KR101099086B1 - 휴대폰 안테나 패턴 인쇄용 패드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안테나 패턴 인쇄방법 - Google Patents

휴대폰 안테나 패턴 인쇄용 패드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안테나 패턴 인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9086B1
KR101099086B1 KR1020110068562A KR20110068562A KR101099086B1 KR 101099086 B1 KR101099086 B1 KR 101099086B1 KR 1020110068562 A KR1020110068562 A KR 1020110068562A KR 20110068562 A KR20110068562 A KR 20110068562A KR 101099086 B1 KR101099086 B1 KR 1010990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printing
antenna pattern
ink
mobile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8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숙
박세용
고장송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연안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연안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연안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110068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90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90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90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33Hand-held trans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inting Metho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안테나 패턴 인쇄용 패드 장치는, 합성수지로 된 휴대폰 케이스에 전도성 잉크를 이용하여 안테나 패턴을 인쇄하는 휴대폰 안테나 패턴 인쇄용 패드 장치로서, 하부면이 부드러운 곡면을 형성하며 실리콘 소재로 된 패드; 상기 패드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패드가 고정된 금속재의 고정 플레이트; 및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상면에 접촉되며 그 고정플레이트의 상부에 배치되며 전기 저항에 의해 발생하는 열로 가열되는 히팅 플레이트;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폰 안테나 패턴 인쇄용 패드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안테나 패턴 인쇄방법{Pad apparatus for printing antenna pattern of mobile phone and print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휴대폰의 케이스에 안테나 패턴을 인쇄하는 패드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안테나 패턴의 인쇄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전기, 전자기기의 경량화와 소형화 설계를 위하여 수지소재(플라스틱)가 널리 이용되고 있는바, 일례로 휴대폰의 내장형 안테나인 인테나의 경우에도 내충격성과 내후성이 양호한 PC(폴리카보네이트) 소재로 성형된 몸체의 일면에 무선 송수신을 위한 패턴(루프)을 형성한 구조를 지닌다.
종래의 경우 소정의 패턴으로 성형된 금속편을 수지 몸체에 열융착하는 방식이 보편적이었으나 패턴의 불균일한 밀착력에 의하여 금속편과 수지 몸체가 일부 분리되는 등의 불량 소지가 많았고, 또 무선송신이나 전자파 차폐 등의 중요한 물성이 장기간 유지되지 못하는 결점이 있었다. 이러한 이유에서 부도체 상에 도전성 패턴을 형성하는 방식에 있어서 물성변화가 적은 무전해 도금(electroless plating)이 선호된다. 무전해 도금은 금속 이온이 있는 용액 중의 환원제에 의해서 물건 위에 금속이 환원 석출되는 방식이며, 이온화 경향에 의한 치환도금(immersion plating)과는 구별하고 있다.
일례로, 한국공개특허 번호 제10-2005-0122000호에 의하면 “폴리카보네이트 성분이 함유된 수지의 무전해 도금을 위한 전처리방법”이 개시되는데, 이는 표면을 부풀린 후 그 부풀린 표면을 제거하여 에칭(etching)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으나 공정이 제법 복잡하고 안정적 물성을 확보하기에 다소 미흡한 점이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번호 제10-0552529호의 “무선휴대단말기에 사용되는 안테나 제조방법”에 의하면 『무선휴대단말기에 사용되는 안테나에 있어서 무선휴대단말기의 내부에 내장되는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카보네이트가 함유된 합성수지로 제조되는 내장 안테나 블록과 상기 안테나 블록의 외면에 도금되는 안테나 루프로 구성되어 단말기의 부피를 줄이고, 내구성이 강한 안테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그 세부적 구성의 요지에 있어서, 안테나 블록을 에칭(etching)하고 이를 중화처리한 후, 예비 침적하여 극성을 부여하고, 극성이 부여된 내장 안테나 블록의 표면을 활성 처리하여 전처리하고, 전 처리된 내장 안테나 블록의 표면에 무전해 동 도금층을 형성하는 과정을 거친다.
또 한국등록특허 번호 제10-0387663호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상에의 도금방법”에 의하면,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표면에 ABS수지 및/또는 UV경화형 도료를 분무 도포하여 프라이머 층을 형성시키고, 무전해 도금 또는 진공증착, 스퍼터링, 이온 플레이팅 등의 건식 도금을 행함에 따라, 프라이머를 기판에 도포 후 무전해 도금하여 지금까지 무전해 도금 및 전기 도금이 어려운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도금특성을 향상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플라스틱 표면에 잉크로 패턴을 인쇄하고 그 패턴 위에 도금을 수행함으로써 안테나 패턴을 형성하는 종래의 방법은 공정이 복잡하고 도금공정이 필수적으로 포함되므로 도금공정에서 발생 되는 수율의 저하로 인하여 생산성이 나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금 공정은 환경적으로 유해한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환경오염 및 공정에 투입되는 작업자의 건강을 위협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특허 제1024505호에서 전도성 잉크를 이용하여 휴대폰 안테나 패턴을 인쇄하는 방법을 발명하여 개시하였다.
상기 특허 제1024505호에서는 전도성 잉크를 이용하여 합성수지 표면에 안테나 패턴을 인쇄할 때 사용되는 패드 장치에 잉크의 전이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열풍을 분사하였으나 열풍을 분사하기 위해 별도의 설비가 필요하고 분사되는 열풍은 패드 장치 이외의 주변에도 분사되므로 작업자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으며, 패드의 가열효율이 다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패드 장치에 잉크가 전이되는 성능을 향상시키고 작업자에게 불편감을 주는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패드 장치 및 그 패드 장치를 이용하여 휴대폰 안테나 패턴을 인쇄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 안테나 패턴 인쇄용 패드 장치는, 합성수지로 된 휴대폰 케이스에 전도성 잉크를 이용하여 안테나 패턴을 인쇄하는 휴대폰 안테나 패턴 인쇄용 패드 장치로서,
하부면이 부드러운 곡면을 형성하며 실리콘 소재로 된 패드;
상기 패드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패드가 고정된 금속재의 고정 플레이트; 및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상면에 접촉되며 그 고정플레이트의 상부에 배치되며 전기 저항에 의해 발생하는 열로 가열되는 히팅 플레이트;를 포함한 점에 특징이 있다.
상기 히팅 플레이트는 지면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어 히터를 수용하는 히터 수용부를 구비하며, 상기 히터 수용부에는 전기 저항에 의해 발열되는 히터가 설치되고, 그 히터와 수평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온도 센서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히팅 플레이트는 황동, 스테인리스, 티타늄, 알루미늄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제조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드 장치를 이용하여 합성수지 부품에 휴대폰 안테나 패턴을 인쇄하는 방법으로서,
안테나 패턴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잉크 수용홈부가 구비된 부식판에 잉크를 채우는 잉크 충전단계;
상기 잉크 수용홈부에 채워진 잉크에 상기 패드를 상기 히팅 플레이트로 가열 및 가압하여 그 잉크를 상기 패드로 전이하는 잉크 전이 단계;
상기 잉크 전이 단계에서 전이된 잉크가 부착된 패드를 합성수지 부품에 가압하여 안테나 패턴을 인쇄하는 인쇄단계; 및
상기 인쇄단계에서 인쇄된 안테나 패턴을 가열하여 건조시키는 건조단계;를 포함한 점에 특징이 있다.
상기 잉크 전이 단계에서 상기 히팅 플레이트의 온도는 70℃ 내지 8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안테나 패턴 인쇄용 패드 장치 및 이 장치를 이용하여 안테나 패턴을 인쇄하는 방법은 부식판으로부터 패드로 잉크의 전이가 종래에 비하여 현저하게 잘 일어남으로써 일 회에 인쇄하는 안테나 패턴의 두께가 종래에 비해 현저하게 두꺼워짐으로써 생산성이 향상되고, 작업자의 작업 환경이 개선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 안테나 패턴 인쇄용 패드 장치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Ⅱ-Ⅱ 선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패드 장치를 이용하여 안테나 패턴을 인쇄하는 공정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잉크 전이 단계 후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인쇄단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인쇄단계 후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패드 장치에 의해 일 회 인쇄를 한 후 인쇄된 잉크의 두께를 종래의 장치와 비교한 사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패드 장치에 의해 인쇄된 휴대폰 안테나 패턴을 종래의 패드 장치에 의해 인쇄된 안테나 패턴의 물성치를 비교한 실험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 안테나 패턴 인쇄용 패드 장치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Ⅱ-Ⅱ 선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패드 장치를 이용하여 안테나 패턴을 인쇄하는 공정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잉크 전이 단계 후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인쇄단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인쇄단계 후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패드 장치에 의해 일 회 인쇄를 한 후 인쇄된 잉크의 두께를 종래의 장치와 비교한 사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패드 장치에 의해 인쇄된 휴대폰 안테나 패턴을 종래의 패드 장치에 의해 인쇄된 안테나 패턴의 물성치를 비교한 실험 결과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 안테나 패턴 인쇄용 패드 장치(10, 이하, "패드 장치"라 함)는, 패드(20)와, 고정 플레이트(30)와, 히팅 플레이트(4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패드 장치(10)는, 합성수지로 된 휴대폰 케이스에 전도성 잉크를 이용하여 안테나 패턴을 인쇄하는 휴대폰 안테나 패턴 인쇄용 패드 장치이다.
상기 패드(20)는 실리콘 소재로 형성된다. 상기 패드(20)는 하부면이 부드러운 곡면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패드(20)의 하부면에 안테나 패턴으로 잉크가 전이된다. 상기 패드(20)의 하부면이 부드러운 곡선으로 형성된 것은 안테나 패턴이 인쇄된 합성수지의 면이 곡면으로 형성된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압력을 가하여 인쇄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고정 플레이트(30)는 상기 패드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고정 플레이트(30)에는 상기 패드가 고정된다. 상기 고정 플레이트(30)는 금속 소재로 제조된다. 상기 고정 플레이트(30)는 예컨대 황동, 스테인리스, 티타늄,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히팅 플레이트(40)는 본 발명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히팅 플레이트(40)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30)의 상면에 접촉되어 고정된다. 상기 히팅 플레이트(40)는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상부에 배치된다. 상기 히팅 플레이트(40)는 전기 저항에 의해 발생하는 열로 가열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히팅 플레이트(40)는 히터 수용부(42)와, 히터(50)와, 온도 센서(6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히터 수용부(42)는 상기 히팅 플레이트(40)의 내부에 좌우 또는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히터 수용부(42)는 관통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히터 수용부(42)는 지면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어 히터(50)를 수용한다. 상기 히터 수용부에는 전기 저항에 의해 발열되는 히터(50)가 설치된다. 상기 온도 센서(60)는 상기 히터(50)와 수평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된다. 상기 온도 센서(60)는 상기 히팅 플레이트(40)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설치된 것이다. 상기 온도 센서(60)에서 측정된 온도 값을 이용하여 상기 히터(50)로 공급되는 전기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히팅 플레이트(40)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히팅 플레이트(40)는 예컨대 황동, 스테인리스, 티타늄, 알루미늄 등과 같은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패드(20)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30) 및 상기 히팅 플레이트(40)와 일체로 부식판(미도시)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부식판에는 오목하게 형성된 잉크 수용홈부(미도시)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잉크 수용홈부는 상측에서 보았을 때 휴대폰 안테나 패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잉크 수용홈부에는 일회 인쇄하는 데 필요한 잉크가 수용될 수 있다.
이제 상술한 바와 같은 패드 장치(10)를 이용하여 휴대폰 안테나 패턴을 인쇄하는 방법(이하 "인쇄방법"이라 함)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인쇄방법은 잉크 충전 단계(S1)와, 잉크 전이 단계(S2)와, 인쇄 단계(S3)와, 건조 단계(S4)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잉크 충전 단계(S1)에서는 상기 부식판에 안테나 패턴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잉크 수용홈부에 잉크를 채운다.
상기 잉크 전이 단계(S2)에서는 상기 잉크 수용홈부에 채워진 잉크에 상기 패드(20)를 상기 히팅 플레이트(40)로 가열 및 가압하여 그 잉크를 상기 패드(20)로 전이한다. 상기 잉크 전이 단계(S2) 후의 상태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부식판으로부터 상기 패드(20)의 하부면에 잉크가 전이된 모습을 볼 수 있다. 상기 잉크 전이 단계(S2)에서는 상기 히팅 플레이트(40)에 의해 상기 고정 플레이트(30)가 가열되고 상기 패드(20)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30)에 의해 가열된다. 상기 히팅 플레이트(40)의 온도는 70℃ 내지 80℃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히팅 플레이트(40)의 온도가 70℃ 미만으로 유지되는 경우에는 상기 패드(20)의 하부면에 전이되는 잉크성분을 구성하는 전도성 금속 입자인 은 나노 입자 사이에 수용성 용제가 다량 위치하여 은 나노 입자 간의 간격이 넓다. 따라서, 상기 패드(20)의 하부면에 잉크가 전이되는 과정에서 수용성 용제가 대부분 휘발되지 않고 남아 있어서 후술하는 인쇄 단계(S3)에서 상기 패드(20)로부터 인쇄면으로 전이되는 은 나노 입자의 양이 적게 된다. 한편, 상기 히팅 플레이트(40)의 온도가 80℃를 초과하도록 유지되는 경우에는 상기 패드(20)의 하부면에 전이된 잉크 성분 중에서 수용성 용제가 지나치가 많이 휘발됨으로써 은 나노 입자 간의 결합이 약해져서 인쇄된 휴대폰 안테나 패턴의 부착력이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히팅 플레이트(40)의 온도가 70℃ 내지 80℃로 유지되는 경우 상기 고정 플레이트(30)의 온도는 50℃ 내지 60℃ 정도로 유지된다. 상기 히팅 플레이트(40)의 역할은 상기 패드(20)의 온도를 상온보다 높게 유지함으로써 그 패드(20)에 전이된 잉크의 휘발성분의 휘발을 유도하여 인쇄 단계(S3)에서 인쇄면이 인쇄되는 잉크의 양이 많아지도록 한다.
상기 인쇄 단계(S3)에서는 상기 잉크 전이 단계에서 전이된 잉크가 부착된 패드(20)를 합성수지 부품에 가압하여 안테나 패턴을 인쇄한다. 상기 인쇄 단계(S3)에서 상기 패드(20)의 가압력은 공지된 패드 인쇄방법에 준한다. 상기 인쇄 단계(S3)에서 일 회의 인쇄에 의해 인쇄면에 인쇄되닌 안테나 패턴의 두께는 약 9.01㎛이다. 상기 인쇄 단계(S3)는 복수 회 반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건조 단계(S4)에서는 상기 인쇄 단계(S3)에서 인쇄된 안테나 패턴을 가열하여 건조시킨다. 상기 건조 단계(S4)에서 사용되는 건조 방법은 공지된 패드 인쇄방법의 건조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패드 장치(10)를 이용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인쇄방법으로 인쇄한 안테나 패턴의 물성치를 종래의 패드 장치를 사용하여 인쇄한 안테나 패턴의 물성치와 비교하였다.
도 7은 도 1에 패드 장치에 의해 일 회 인쇄를 한 후 인쇄된 잉크의 두께를 종래의 장치와 비교한 사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패드 장치에 의해 인쇄된 휴대폰 안테나 패턴을 종래의 패드 장치에 의해 인쇄된 안테나 패턴의 물성치를 비교한 실험 결과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패드 장치에 의해 인쇄된 안테나 패턴의 두께는 약 9.01㎛로서, 종래의 패드 장치에 의해 인쇄된 안테나 패턴의 두께 약4.37㎛에 비하여 현저하게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종래의 패드 장치와 본 발명에 의한 패드 장치를 사용하여 각각의 시료당 9회의 인쇄를 실시한 후에 인쇄된 안테나 패턴의 물성치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도 8에서 측정된 물성치는 인쇄된 안테나 패턴의 두께(㎛), 저항값(Ω), 밀착력(X-커팅 테스트 회수)을 측정하였다. 물성치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 시료의 수는 20개였다. 저항값의 측정은 안테나 패턴 중 가장 먼 위치 간의 저항값을 측정하였다. 밀착력 시험은 일반적으로 산업 현장에서 행해지고 있는 밀착력 시험(Cross-Cutting)을 사용하였다. 밀착력 시험의 목적은 기구부품에 표면처리된 물질과 모재와의 부착력을 검증하여 소비자 사용조건에서 벗겨짐, 박리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고자 실시하는 것이다. 밀착력 시험방법은 밀착력 시험을 위한 부품의 표면에 칼날을 이용하여 가로X세로 1mm 간격으로 각각 11개소씩 표면처리된 막 깊이로 칼집을 낸다. 그 결과 100개의 1mmX1mm의 격자가 생성된다. 생성된 격자의 깔쭉깔쭉한 부분(burr)이나 이물질을 제거한다. 그리고 접착 테이프를 형성된 격자에 기포가 생기지 않도록 접착시킨다. 접착된 테이프를 격자면과 90°각도로 신속하게 잡아당긴다. 이와 같은 과정을 4~5회 반복 실시한다. 그 결과 한 격자(1mmX1mm)당 20% 이하로 떨어지면 합격으로 판정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안테나 패턴의 평균 두께는 종래의 경우 15.475㎛인데 비하여 본 발명의 경우 안테나 패턴의 평균 두께는 19.9375㎛로서 약 28.8% 향상된 효과를 보여 주고 있다. 한편, 저항값을 측정한 결과 종래의 경우 평균 저항값은 0.7Ω인데 비하여 본 발명의 경우 0.395Ω으로서 종래 대비 43.6%의 저항값이 감소하였다. 그리고, 부착력 시험 결과는 종래의 경우 평균 115.9회의 내구성을 보였으나, 본 발명의 경우 119.5회로서 종래 대비 3.1% 정도 부착력도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패드 장치는 종래의 패드 장치에 비하여 일 회에 인쇄되는 안테나 패턴의 두께가 증가함으로써 인쇄 횟수를 줄일 수 있어서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쇄된 패턴의 전기 저항특성이나 내구성도 종래의 패드 장치에 비하여 향상됨으로써 품질 측면에서 향상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패드 장치는 종래의 열풍을 분사하는 방법에 비하여 작업자 주변의 환경이 양호하여 작업자의 불편을 경감시켜주는 효과도 제공한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그러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 예가 구체화될 수 있을 것이다.
10 : 휴대폰 안테나 패턴 인쇄용 패드 장치 20 : 패드
30 : 고정 플레이트 40 : 히팅 플레이트
42 : 히터 수용부 50 : 히터
60 : 온도 센서 S1 : 잉크 충전 단계
S2 : 잉크 전이 단계 S3 : 인쇄 단계
S4 : 건조 단계

Claims (5)

  1. 합성수지로 된 휴대폰 케이스에 전도성 잉크를 이용하여 안테나 패턴을 인쇄하는 휴대폰 안테나 패턴 인쇄용 패드 장치로서,
    하부면이 부드러운 곡면을 형성하며 실리콘 소재로 된 패드;
    상기 패드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패드가 고정된 금속재의 고정 플레이트; 및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상면에 접촉되며 그 고정플레이트의 상부에 배치되며 전기 저항에 의해 발생하는 열로 가열되는 히팅 플레이트;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안테나 패턴 인쇄용 패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 플레이트는 지면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어 히터를 수용하는 히터 수용부를 구비하며, 상기 히터 수용부에는 전기 저항에 의해 발열되는 히터가 설치되고, 그 히터와 수평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온도 센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안테나 패턴 인쇄용 패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 플레이트는 황동, 스테인리스, 티타늄, 알루미늄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안테나 패턴 인쇄용 패드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패드 장치를 이용하여 합성수지 부품에 휴대폰 안테나 패턴을 인쇄하는 방법으로서,
    안테나 패턴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잉크 수용홈부가 구비된 부식판에 잉크를 채우는 잉크 충전단계;
    상기 잉크 수용홈부에 채워진 잉크에 상기 패드를 상기 히팅 플레이트로 가열 및 가압하여 그 잉크를 상기 패드로 전이하는 잉크 전이 단계;
    상기 잉크 전이 단계에서 전이된 잉크가 부착된 패드를 합성수지 부품에 가압하여 안테나 패턴을 인쇄하는 인쇄단계; 및
    상기 인쇄단계에서 인쇄된 안테나 패턴을 가열하여 건조시키는 건조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안테나 패턴의 인쇄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전이 단계에서 상기 히팅 플레이트의 온도는 70℃ 내지 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안테나 패턴의 인쇄방법.
KR1020110068562A 2011-07-11 2011-07-11 휴대폰 안테나 패턴 인쇄용 패드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안테나 패턴 인쇄방법 KR1010990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8562A KR101099086B1 (ko) 2011-07-11 2011-07-11 휴대폰 안테나 패턴 인쇄용 패드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안테나 패턴 인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8562A KR101099086B1 (ko) 2011-07-11 2011-07-11 휴대폰 안테나 패턴 인쇄용 패드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안테나 패턴 인쇄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9086B1 true KR101099086B1 (ko) 2011-12-26

Family

ID=45507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8562A KR101099086B1 (ko) 2011-07-11 2011-07-11 휴대폰 안테나 패턴 인쇄용 패드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안테나 패턴 인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908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23106A (ja) * 2006-05-30 2007-12-13 Fujicopian Co Ltd 非接触通信媒体のアンテナの形成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23106A (ja) * 2006-05-30 2007-12-13 Fujicopian Co Ltd 非接触通信媒体のアンテナの形成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8004B1 (ko) 잉크를 이용하여 안테나 패턴이 인쇄된 휴대폰용 합성수지 부품을 제조하는 방법
US8241480B2 (en) Housing for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making the housing
KR101290670B1 (ko) 도금 신뢰성 향상 기능을 갖는 내장형 안테나 제조방법
CN106538075B (zh) 转印导电材料的方法
RU2009107274A (ru) Способ нанесения металлического покрытия на основу
KR101091937B1 (ko) 균일한 도금층을 형성하는 내장형 안테나 제조방법
CN103458632A (zh) 电子装置壳体及其制作方法
MX2011013434A (es) Proceso para producir un revestimiento estructurado de metal.
KR100901350B1 (ko) 스티커 부착형 루프안테나 제조방법
CN104527307A (zh) 实现单色双光泽的方法、塑胶外壳及终端
KR101099086B1 (ko) 휴대폰 안테나 패턴 인쇄용 패드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안테나 패턴 인쇄방법
KR100844584B1 (ko) 인테나 제조방법
KR101024505B1 (ko) 전도성 잉크를 이용하여 안테나 패턴이 인쇄된 휴대폰용 합성수지 부품을 제조하는 방법
CN101553105B (zh) 电磁波防护结构
CN106400072B (zh) 一种耐腐蚀铝基复合材料及其制备工艺
KR101315116B1 (ko) 필름 안테나 제조방법
CN104955281A (zh) 一种在三维高分子材料表面制作或修复立体电路的方法
TW200606036A (en) Thin metal sheet having a patter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1028414B1 (ko) 휴대폰 안테나 패턴 인쇄용 잉크
KR20160021930A (ko) 투명 나노 금속 메쉬 발열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66718B1 (ko) 쉴드캔용 판재의 제조방법
WO2006024980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n rfid antenna
KR101154145B1 (ko) 유연한 전자회로 부품용 전주마스터 제조방법
KR20150019255A (ko) 안테나 성형방법
KR100951697B1 (ko) 은 나노 메탈이 함유된 금속 도금층용 잉크 및 그 잉크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