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8306B1 - 시각적 콘텐트 신호 디스플레이 장치 및 시각적 콘텐트 신호 디스플레이 방법 - Google Patents

시각적 콘텐트 신호 디스플레이 장치 및 시각적 콘텐트 신호 디스플레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8306B1
KR101098306B1 KR1020067003435A KR20067003435A KR101098306B1 KR 101098306 B1 KR101098306 B1 KR 101098306B1 KR 1020067003435 A KR1020067003435 A KR 1020067003435A KR 20067003435 A KR20067003435 A KR 20067003435A KR 101098306 B1 KR101098306 B1 KR 1010983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isplay
surround image
visual content
sur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3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2201A (ko
Inventor
어윈 알. 메인더스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60092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22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8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83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 G09G3/00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to produce spatial visual eff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Composi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6Video wall, i.e. juxtaposition of a plurality of screens to create a display screen of bigger dimens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13The adjustment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07Resolution change, inclusive of the use of different resolutions for different screen are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Geomet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각적 콘텐트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101)를 포함하는 시각적 콘텐트 신호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관한 것이다. 수신기(101)는 제 1 디스플레이(105)에 연결되는 제 1 디스플레이 프로세서(103)에 연결되고, 시각적 콘텐트 신호를 표시한다. 수신기(101)는 시각적 콘텐트 신호로부터 백그라운드 콘텐트 정보를 추출하는 추출 프로세서(107)에 또한 연결된다. 백그라운드 콘텐트 정보는 추출된 백그라운드 콘텐트 정보에 기초하여 서라운드 이미지를 생성하는 제 2 디스플레이 프로세서(109)에 공급된다. 서라운드 이미지는 제 1 디스플레이(105)의 이미지의 시각적 특성들에 대응하는 시각적 특성들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2 디스플레이 프로세서(109)에 연결되는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11)을 더 포함하고, 증가된 시야각을 갖는 결합된 디스플레이가 달성되는 제 2 디스플레이 영역 상에 상기 서라운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동작가능하다. 상기 서라운드 이미지는 방의 벽들 및 천정으로 투영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에 의해 강화된 시청 경험을 제공한다.
Figure R1020067003435
시각적 콘텐트 신호, 시각적 콘텐트 신호 디스플레이 장치, 제 1 디스플레이, 제 2 디스플레이, 서라운드 이미지

Description

시각적 콘텐트 신호 디스플레이 장치 및 시각적 콘텐트 신호 디스플레이 방법{A visual content signal display apparatus and a method of displaying a visual content signal therefor}
본 발명은 시각적 콘텐트 신호 디스플레이 장치 및 시각적 콘텐트 신호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제 1 디스플레이를 강화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있어서, 소비자들에게 제공될 수 있는 콘텐트의 다양성과 양은 예를 들어 위성 TV 방송들, 디지털 다용도 디스크(DVD), 케이블 방송, 및 지상파 TV를 포함하는 배포 매체들의 증가하는 수를 통해 사용가능한 보다 많은 콘텐트와 함께 현저하게 증가되어 왔다.
증가된 콘텐트의 양과 증가된 배포의 유연성 이외에, 시청각 콘텐트에 대한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한 중요한 노력이 콘텐트 공급 산업에 의해 이루어져 왔다. 예를 들어, 디지털 TV 및 DVD 와 같은 디지털 비디오 배포의 출현은 가정 환경에서 생성될 수 있는 픽쳐들 및 사운드들의 품질을 현저하게 개선하였다. 또한, 와이드 스크린 TV들 및 특히 평면 스크린 TV들의 출현은 예를 들어 영화관에서 보았던 스크린들과 보다 유사한 종횡비들을 갖는 대형 스크린 TV들의 유행을 증가시켜 왔다.
증가된 사용자 경험의 또 다른 예는 가정용 시네마의 출현과, 특히 다수의 스피커들(통상적으로 5개 또는 7개 방향의 스피커들 + 베이스 효과용 서브우퍼)이 청취 위치 주변에 위치됨으로써 몰입되는 오디오 경험을 제공하는 서라운드 사운드의 출현이다.
향상된 사용자 경험이 사용자를 위한 보다 넓은 시야각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는 것이 또한 제안되어 왔다. 예를 들어, 영화관들은 사용자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대형 반구형 스크린을 이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례로는 IMAX 영화관 상영들이 있다. 그러나, 이것들은 가장 실용적인 (가정용) 환경들에 대해 너무 크고, 고가이며, 비실용적이다.
미국 특허 US 제5,963,247호에서는 합성 3차원 유형 이미지 시퀀스들(composite three-dimensional-like image sequences)이 2개 이상의 개별 이미지 시퀀스들을 결합함으로써 생성되는 시각적 디스플레이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시스템에 있어서, 개별 이미지 시퀀스들은 기록되고 서로 다른 스크린들 상에 투영된다. 상기 스크린들은 배치되고 상기 개별 이미지 시퀀스들은 동기화되어 시청자가 2개 이상의 스크린들에 걸쳐 확장되는 합성 픽쳐를 본다.
그러나, US 제5,963,247호의 시스템은 이하를 포함하는 다수의 연관된 단점들을 갖기 쉽다. 첫째로, 상기 시스템은 다소 복잡하며 복수의 개별 이미지 시퀀스들의 처리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처리는 상기 이미지 시퀀스들의 송신 및 수신 모두에 대해 요구된다. 또한, 하나 이상의 이미지 시퀀스가 기록되어야 하는데 이는 추가적인 장비를 필요로 하고 기록과 연관된 추가적인 불편함들 및 작업들을 초래한다. 유사하게, 복수의 이미지 시퀀스들이 배포되어야 하고 이는 요구되는 대역폭을 증가시키고 추가적인 배포 자원들을 사용한다. 이것은 제한된 가용 대역폭을 갖는 기존 통신 시스템들에서의 배포를 방해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영화들 또는 TV 프로그램들과 같은 종래의 시각적 콘텐트 신호들이 복수의 개별적 상관된 이미지 시퀀스를 포함할 수 없기 때문에, 강화된 시청 경험은 기존 콘텐트 신호들에 대해 달성될 수 없다. 추가적으로, 상기 시스템은 요구되는 공간적 동기화를 달성하기 위해, 둘 이상의 스크린들 뿐만 아니라 상기 스크린들의 정확한 상대적 위치 지정을 필요로 한다.
그러므로, 향상된 시각적 콘텐트 신호 디스플레이 시스템이 유리할 것이며, 특히 증가된 사용자 경험, 증가된 유연성, 감소된 복잡성, 감소된 비용, 증가된 후방 적합성, 및/또는 콘텐트 신호의 기록의 용이함을 허용하는 시스템이 유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양호하게는 하나 이상의 상술된 단점들을 단독으로 또는 어떠한 조합으로 완화하거나, 경감하거나, 제거하려 한다.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라서, 시각적 콘텐트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과, 제 1 디스플레이(primary display) 상에 상기 시각적 콘텐트 신호를 프리젠팅하는 수단과, 상기 시각적 콘텐트 신호로부터 백그라운드 콘텐트 정보를 추출하는 수단과, 상기 백그라운드 콘텐트 정보에 응답하여 서라운드 이미지를 생성하는 수단과, 제 2 디스플레이 영역(secondary display area)상에 상기 서라운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여 증가된 시야각을 갖는 결합된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시각적 콘텐트 신호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결합된 디스플레이에 증가된 시야각을 제공함으로써 증가된 사용자 경험을 허용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은 부분적으로 또는 대폭적으로 또는 심지어 전체적으로 하나 이상의 시청자들을 둘러쌀 수 있고, 그에 의해 보다 열중케 하는 시청 경험을 제공한다. 상기 시청 경험은 서라운드 사운드 경험과 조화되는 서라운드 이미지 경험을 제공할 수 있고, 그에 의해 확실히 몰입하게 하는 시청각 경험을 제공한다.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은 하나 이상의 스크린들 또는 전용 디스플레이 요소들에 놓여 있을 필요는 없고, 임의의 적절한 영역을 사용할 수 있다.
제 1 디스플레이의 이미지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콘텐트 신호의 백그라운드 콘텐트 정보의 사용에 의해 확장될 수 있고, 그에 의해 개별 이미지 시퀀스들에 대한 필요성들을 제거하거나 완화시킨다. 그러므로, 낮은 복잡성 및/또는 높은 유연성을 갖는 시각적 콘텐트 신호 디스플레이 장치가 얻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가정용 및 소비자 시장에 적절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가능하거나 촉진될 수 있다.
더욱이, 단일한 콘텐트 신호만이 기록 및 생성되므로 신호들의 기록 및 배포가 굉장히 용이해진다. 또한, 상기 시각적 콘텐트 디스플레이 장치는 완전히 이전의 것과 호환(fully backward compatible)될 수 있으며, 기존의 기록, 송신, 방송, 및/또는 배포 수단과 함께 사용될 수도 있으며, 기존의 콘텐트 신호들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시각적 콘텐트 디스플레이 장치는 종래의 TV 방송들 또는 DVD 콘텐트의 시청 경험을 강화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서라운드 이미지는 양호하게는 정적 이미지가 아니라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시각적 콘텐트 신호와 연관된 동적 서라운드 이미지 시퀀스라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용어 이미지는 예를 들어 비디오 클립들을 포함하는 이미지 시퀀스들 뿐만 아니라 단독의 정적 이미지들 양자를 포함하도록 사용된다. 따라서, 이미지는 단일한 픽쳐를 포함하거나, 또는 예를 들어 비디오 시퀀스를 제공하는 복수의 후속하는 픽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상기 서라운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수단은 오브젝트의 외부 표면상으로 상기 서라운드 이미지를 투영하도록 동작가능하다.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은 적절한 오브젝트의 외부 표면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상기 서라운드 이미지를 표현하기 위한 전용 오브젝트가 아닐 수 있다. 오히려, 상기 서라운드 이미지는 이용가능한 표면들 상에 투영될 수 있고, 그에 의해 상기 시각적 콘텐트 디스플레이 장치의 비용, 복잡성, 및/또는 사이즈를 감소시킨다. 더욱이, 그것은 전용 스크린들 또는 상기 서라운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요구되는 셋업들에 대한 어떠한 필요성들을 경감시켜서 배치를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라, 상기 외부 표면은 방(room)의 내부 표면이다. 이것은 강화된 시청 경험을 제공하는 특별히 단순한 시각적 콘텐트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시청 경험은 방의 외부 표면들이 서라운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특별하게는 서라운드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적절한 소스를 제공하여 향상될 수 있다. 그것은 추가로 배치를 용이하게 한다. 상기 내부 표면은 양호하게는 방의 마루, 천정 및 벽들 중 하나, 그 이상, 또는 모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라, 상기 추출하는 수단은 시각적 콘텐트 신호로부터 실시간 백그라운드 콘텐트 정보를 추출하도록 동작가능하고, 상기 서라운드 이미지를 생성하는 수단은 상기 실시간 백그라운드 콘텐트 정보에 응답하여 실시간 서라운드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동작가능하다.
상기 서라운드 이미지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콘텐트 신호를 반영하기 위해 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동적으로 변하는 이미지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수신된 시각적 콘텐트 신호의 그것을 넘어 확장하여 표현될 수 있고, 따라서 향상된 시청 경험을 제공한다. 상기 서라운드 이미지는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의 백그라운드에서의 다른 변화들 및 장면 변화들을 통해 변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의 이미지에 밀접하여 따르는 서라운드 이미지를 제공하여 결합된 디스플레이의 연속성을 강화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라, 상기 추출하는 수단은 상기 시각적 콘텐트 신호에 포함된 백그라운드 메타 데이터에 응답하여 상기 백그라운드 콘텐트 정보를 추출하도록 동작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시각적 콘텐트 신호는 최근의 백그라운드를 표시하는 메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메타 데이터는 상기 시각적 콘텐트 신호가 예를 들어 관중들 무리에 대응하는 서라운드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사용될 수 있는 축구 경기의 것이라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타 데이터는 백그라운드 특성들 또는 오브젝트들을 직접적으로 표시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의 일부가 하늘로 구성된 것을 표시할 수 있다. 이것은 상기 백그라운드 콘텐트 정보 생성의 특별히 낮은 복잡성 및/또는 정밀한 방식을 허용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라, 상기 추출하는 수단은 상기 시각적 콘텐트 신호의 콘텐트 분석에 응답하여 상기 백그라운드 콘텐트 정보를 추출하도록 동작가능하다. 이것은 어떠한 추가적인 정보도 포함될 필요 없이 백그라운드 콘텐트 정보의 완전히 자동화된 추출을 허용한다. 따라서, 그것은 이전의 것과의 호환성의 높은 등급을 보장한다. 예를 들어, 상기 콘텐트 분석은 상기 시각적 콘텐트 신호가 예를 들어 관중들에 대응하는 서라운드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사용될 수 있는 축구 경기의 것이라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콘텐트 분석은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의 이미지의 섹션들의 특정 시각적 특징들을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라, 상기 콘텐트 분석은 이미지 오브젝트 인식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콘텐트 분석은 상기 시각적 콘텐트 신호에서 오브젝트들의 존재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콘텐트 분석은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의 이미지의 섹션이 구름들, 초원등을 포함한다는 것을 표시할 수 있고 이것이 적절한 서라운드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라, 서라운드 이미지를 생성하는 수단은 이미지 오브젝트의 모션 추정을 수행하고, 모션 추정에 응답하여 상기 서라운드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동작가능하다. 이것은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서라운드 이미지 사이의 증가된 연속성을 보장하고 상기 서라운드 이미지를 강화하는 적절한 방식을 허용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에서 오브젝트의 움직임은 상기 오브젝트가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의 에지에 도달할 때 상기 서라운드 이미지에서 추적되고 연속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라, 상기 백그라운드 콘텐트 정보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의 에지에 인접하는 상기 시각적 콘텐트 신호의 이미지 섹션의 시각적 특성과, 대응하는 시각적 특성을 갖는 적어도 부분적인 서라운드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동작가능한 상기 서라운드 이미지를 생성하는 수단과, 상기 에지에 인접한 상기 부분적인 서라운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동작가능한 상기 서라운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이것은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 사이의 에지에 걸쳐 연속성의 높은 등급을 허용하므로, 결합된 디스플레이가 달성되고, 이는 단일한 연속적 이미지로 감지될 수 있게 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양호하게는, 상기 콘텐트 정보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의 서로 다른 에지들에 인접한 상기 시각적 콘텐트 신호의 복수의 이미지 섹션들의 시각적 특성과, 대응하는 시각적 특성을 갖는 복수의 부분적인 서라운드 이미지 섹션들을 생성하도록 동작가능한 서라운드 이미지를 생성하는 수단과, 대응하는 에지들에 인접한 상기 부분적인 서라운드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동작가능한 서라운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라, 서라운드 이미지를 생성하는 수단은 상기 백그라운드 콘텐트 정보와 연관된 미리 결정된 이미지에 응답하여 상기 서라운드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동작가능하다. 이것은 낮은 복잡성 구현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서라운드 이미지 또는 그의 일부분들은 유사한 시각적 특성들을 갖는 미리 저장된 이미지에 포함되어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저장된 하늘의 이미지는 하늘을 포함하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의 이미지 섹션을 확장하도록 상기 서라운드 이미지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미리 결정된 이미지의 특성들은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의 대응하는 이미지 섹션을 반영하도록 수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밝기 및 채도는 상기 이미지 섹션을 반영하도록 수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라, 상기 서라운드 이미지를 생성하는 수단은 유효한 백그라운드 콘텐트 정보가 결정되지 않은 경우 미리 결정된 디폴트 이미지에 응답하여 상기 서라운드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동작가능하다. 이는 적절한 백그라운드 콘텐트 정보가 결정될 수 없는 경우 뉴트럴(neutral) 서라운드 이미지가 표시되는 것을 허용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디폴트 이미지는 서라운드 이미지의 프리젠테이션이 없는 것에 대응하는 널(null) 서라운드 이미지 일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는 또한 시야각(또는 주요 이미지로부터의 거리)의 기능으로 예를 들어 밝기에서 변화하는 색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라, 상기 서라운드 이미지를 생성하는 수단은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상에서의 콘텐트 신호의 디스플레이의 품질보다 더 낮은 품질로 상기 서라운드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동작가능하다.
상기 서라운드 이미지 또는 그의 일부분들은 예를 들어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보다 더 낮은 해상도의 것일 수 있다. 이것은 처리를 용이하게 하며 상기 서라운드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기능성의 요구들을 감소시킨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미리 결정된 이미지들에 대해 감소된 처리 시간 또는 저장 요구가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라, 상기 서라운드 이미지를 생성하는 수단은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로부터의 증가하는 거리(시야각)에 대해 감소하는 품질을 갖는 상기 서라운드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동작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공간적 해상도는 증가하는 거리(시야각)에 대해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가는 감소된 품질에 따른 감도(sensitivity)가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고, 그 결과 상기 품질이 증가되어, 관련되는 장비 및/또는 처리의 복잡성 및 비용을 감소시킨다는 것을 인식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라, 상기 서라운드 이미지를 생성하는 수단은 상기 제 2 디스플레이와 연관된 시청 환경의 특성들에 응답하여 상기 서라운드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동작가능하다.
예를 들어, 투영된 서라운드 이미지는 시청 환경 및/또는 반사율과, 상기 서라운드 이미지를 반영하기 위해 사용되는 임의의 표면들의 색상에서의 주위 밝기 레벨에 의존할 수 있다. 그러므로, 특정 시청 환경에 대한 향상된 커스텀화(customisation)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시청 환경의 특성들은 자동적으로 결정될 수 있거나 사용자에 의한 수동 입력으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라, 상기 시각적 콘텐트 신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시각적 콘텐트 신호의 카테고리를 결정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서라운드 이미지를 생성하는 수단은 상기 카테고리에 응답하여 처리하는 상기 서라운드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동작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시각적 콘텐트 신호의 카테고리는 상기 시각적 콘텐트 신호의 콘텐트의 장르(genre)와 관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알고리즘들 및 프로세스들은 상기 콘텐트가 액션, 스포츠, 뉴스, 또는 음악 콘서트 콘텐트인지의 여부에 따라 상기 서라운드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것은 시각적 콘텐트 신호의 주어진 카테고리에 대해 최적화된 서라운드 이미지가 생성되도록 허용한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라, 시각적 콘텐트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제 1 디스플레이 상에 상기 시각적 콘텐트 신호를 프리젠팅하는 단계와, 상기 시각적 콘텐트 신호로부터 백그라운드 콘텐트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백그라운드 콘텐트 정보에 응답하여 서라운드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와, 제 2 디스플레이 영역 상에 상기 서라운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여 증가된 시야각을 갖는 결합된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각적 콘텐트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측면들 및 다른 측면들은 이하 기술될 실시예(들)를 참조로 하여 명확하게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지 예로서 도면들을 참조로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적 콘텐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라서 TV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시청 설비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시각적 콘텐트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시청 설비를 도시한 도면.
이하의 기술(description)은 가정용 소비자 환경에 특히 잘 맞는 시각적 콘텐트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가능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초점을 맞출 것이지만, 본 발명이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에 제한되지는 않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간략하게는, 용어 "이미지"는 기술에 있어서 단일한 프레임 이미지들 및 다중 프레임 (예로써, 움직이는) 이미지들과 이미지 시퀀스들 양자를 포함하도록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서라운드 이미지는 반드시 단일한 정적 이미지는 아니지만, 예를 들어 비디오 클립에 대응하는 (잠재적으로 제한되지 않는) 이미지 시퀀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적 콘텐트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도시한 도면이다.
시각적 콘텐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적절한 소스(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시각적 콘텐트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101)를 포함한다. 상기 소스는 외부에 있거나 내부에 있을 수 있고, 예를 들어 TV 방송 신호 또는 DVD 디스크에 의한 것일 수 있다. 수신기(101)는 상기 시각적 콘텐트 신호를 수신하는데 필요하고, 적절한 포맷으로 이것을 추출 또는 변환하기 위해 모든 필요한 기능성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TV 방송 신호에 대해 수신기(101)는 기초 대역 시각적 콘텐트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수신된 라디오 신호를 증폭, 필터링, 복조, 및 디코딩하기 위한 모든 필요한 기능성을 포함한다.
시각적 콘텐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신기(101)에 연결된 제 1 디스플레이 프로세서(103)와, 제 1 디스플레이 프로세서(103)에 연결된 제 1 디스플레이(105)를 더 포함한다. 제 1 디스플레이 프로세서(103)는 상기 시각적 콘텐트 신호를 처리하고, 상기 시각적 콘텐트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 1 디스플레이(105)를 제어하도록 동작가능하다.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수신기(101), 제 1 디스플레이 프로세서(103), 및 제 1 디스플레이(105)는 종래의 TV 세트와 동일하고, 표준 TV 시각적 콘텐트 신호를 수신하고 제 1 디스플레이(105) 상에 표시하도록 동작가능하다.
추가로, 시각적 콘텐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신기(101)에 연결되고 상기 기초 대역 시각적 콘텐트 신호를 그로부터 수신하는 추출 프로세서(107)를 포함한다. 추출 프로세서(107)는 상기 시각적 콘텐트 신호로부터 백그라운드 콘텐트 정보를 추출하도록 동작가능하다. 상기 백그라운드 콘텐트 정보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의 백그라운드의 특성들과 관련이 있다.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추출 프로세서(107)는 방송 설비에 의해 상기 시각적 콘텐트 신호에 매립된 메타 데이터를 추출함으로써 백그라운드 콘텐트 정보를 추출한다. 상기 메타 데이터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의 이미지의 백그라운드를 표시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백그라운드 콘텐트 정보는 디스플레이된 장면의 백그라운드를 형성하는 픽쳐의 이미지 섹션들과 관련이 있고, 따라서 그 장면 동안 상대적으로 정적이기 쉬운 이미지 섹션들의 것과 관련이 있다. 예를 들어, 뉴스 방송에 대해 남아있는 요소들이 백그라운드로 고려될 수 있는 반면에 뉴스 해설자는 포그라운드로 고려될 것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백그라운드 콘텐트 정보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의 에지들을 넘어 적절히 확장되고 외삽될 수 있는 이미지 세그먼트들과 관련하여 고려될 수 있다. 메타 데이터가 사용될 때, 방송 설비는 무엇이 적절한 메타 데이터를 매립함으로써 백그라운드 정보로 고려되는 지를 결정할 수 있다.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메타 데이터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의 서로 다른 에지들로 향하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의 이미지의 시각적 특성들과 관련이 있다. 예를 들어, 메타 데이터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의 상위 에지로 향하는 이미지 섹션들이 하늘에 대응하고,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의 하위 에지로 향하는 이미지 섹션들이 초원에 대응하며,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의 측면 에지들로 향하는 이미지 섹션들이 상기 에지에 따른 중간 구분을 갖는 초원 및 하늘에 대응한다는 것을 표시하여 추출될 것이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상기 메타 데이터는 양호한 백그라운드 색상 또는 텍스처나 다른 시각적 특성을 표시하는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추출 프로세서(107)는 제 2 디스플레이 프로세서(109)에 연결된다. 제 2 디스플레이 프로세서(109)는 추출된 백그라운드 콘텐트 정보를 공급받고, 이것에 응답하여 서라운드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동작가능하다.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디스플레이 프로세서(109)는 제 1 디스플레이(105)를 넘어 확장하는 제 2 디스플레이 영역 상에서 상기 서라운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그것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동작가능한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11)에 연결된다.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11)은 외부 표면상에 이미지를 투영하도록 동작가능한 디스플레이 프로젝터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이 표면은 외부적이며 양호하게는 휴대용 반사 스크린일 수 있지만,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시청 환경 내 기존 오브젝트들의 표면이다. 양호하게는, 프로젝터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가 위치되는 방의 벽들, 마루 및/또는 천정상에 이미지를 직접적으로 투영하도록 동작가능하다.
그러므로, 상기 실시예는 시야각이 현저하게 확장될 수 있고, 강화 및 몰두된 시청 경험이 제공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영역 상으로 수신 및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의 백그라운드와 연관된 서라운드 이미지가 투영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양호한 실시예를 추가로 설명하기 위해,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라 TV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시청 설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제 1 벽(203), 제 2 벽(205), 제 3 벽(207), 마루(209), 및 천정(211)을 갖는 방(201)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방은 구체적으로 제 3 벽(207) 상에 장착되는 종래의 평면 스크린 TV 일 수 있는 제 1 디스플레이(213)를 포함한다.
제 1 디스플레이(213)는 명확성과 단순성을 위해, 4개의 서로 다른 이미지 섹션들(215, 217, 219, 221)을 갖는 것으로 예시된 최근 이미지를 포함하는 영화를 나타내고 있다. 제 1 이미지 세그먼트(215)는 제 1 벽(213)에 가장 근접한 제 1 디스플레이(213)의 에지를 향하는 이미지의 백그라운드에 대응한다. 제 2 이미지 세그먼트(217)는 제 2 벽(205)에 가장 근접한 제 1 디스플레이(213)의 에지를 향하는 이미지의 백그라운드에 대응한다. 제 3 이미지 세그먼트(219)는 천정(211)에 가장 근접한 제 1 디스플레이(213)의 에지를 향하는 이미지의 백그라운드에 대응한다. 제 4 이미지 세그먼트(221)는 상기 이미지의 포그라운드에 대응한다.
도 2는 종래의 시청 환경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러한 시청 설비의 심각한 단점은 시청 경험이 이미지의 사이즈 그 자체로 인해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의 임팩트를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다수의 시각적 산만함들을 허용하는 제 1 디스플레이의 작은 사이즈에 의해 제한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영화관과 가정용 시네마 또는 텔레비전 장치에서 경험되는 감정적 경험 사이의 현저한 차이는 보다 작은 시야각로 인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영화관 스크린은 가정용 소비자 장비의 것보다 적어도 사이즈에 있어서 더 크다. 넓은 시야각은 시청자가 장면에 몰입되어 보다 강렬한 경험들을 제공받도록 허용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시각적 콘텐트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시청 설비를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3은 도 1의 시각적 콘텐트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시청 경험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예에 있어서, 추출 프로세서(107)는 이미지 섹션(215)이 제 1 벽(203) 을 향해 확장하는 제 1 디스플레이(213)의 에지에 근접하여 존재한다는 것을 결정한다. 이러한 이미지 섹션의 특성들이 결정된다. 예를 들어, 이러한 이미지 섹션이 주로 녹색 초원 배경을 포함한다는 것이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디스플레이 프로세서(109)는 제 1 벽(203) 및 제 3 벽(207)의 일부에 녹색 초원의 이미지를 투영하기 위해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11)을 제어한다.
마찬가지로, 제 2 이미지 세그먼트(217)는 또한 녹색 및 초원으로 결정될 수 있고, 그 결과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11)은 제 2 벽(205) 및 제 3 벽(207)의 일부로 녹색 초원의 이미지를 투영할 수 있다.
추출 프로세서(107)는 추가로 이미지 섹션(213)이 제 1 디스플레이(213)의 상위 에지에 근접하여 존재한다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 섹션의 특성들은 예를 들어 구름들과 함께 푸른 하늘을 주로 포함하는 것으로 결정된다. 따라서, 제 2 디스플레이 프로세서(109)는 천정(211) 및 제 3 벽(207)의 일부에 구름의 이미지를 투영하기 위해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11)을 제어한다.
따라서, 시청자는 이러한 경우에 최초 디스플레이와 비교하여 많이 증가된 시야각을 갖는 부분적으로 둘러싸인 이미지가 주어질 것이다. 상기 벽들 및 천정상에 투영된 서라운드 이미지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의 이미지의 백그라운드에 대해 정확히 부합할 필요가 없거나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의 이미지로부터 평활하고 중요하지 않은 변화를 갖는다. 그러므로, 향상된 시청자 경험은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이미지에서 대략적인 근사치를 통해 달성될 수 있고, 특히 몇 개의 이미지들에 대해 연관된 색상들의 투영은 강화된 경험에 대해 충분할 수 있다.
특정 예로서, 제 1 디스플레이가 도시의 사람이 밀집된 광장 중앙에서 이야기하는 사람을 보여주는 경우, 빌딩들 및 다른 유사한 피쳐들은 측면 벽들 상으로 투영될 수 있고, 하늘 및 구름들은 천정상에 투영될 수 있으며, 채색된 모자이크를 갖는 거리들의 픽쳐들은 마루 상으로 투영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 있어서, 시청자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상에서 주요하게 초점 맞춰진 이미지를 계속해서 볼 수 있지만, 또한 측면들에서 주택들의 외관들 및 하늘에서의 구름들을 그 사람의 시야 밖에서도 볼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훨씬 강렬한 시청 경험을 제공하는 서라운드 이미지가 생성된다.
투영된 이미지들은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이미지 섹션들로부터 이러한 이미지 섹션들의 이미지 데이터를 흐리게 하고 다시 샘플링하는 적절한 반복으로 얻어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기존에 미리 저장된 이미지들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각적 콘텐트 디스플레이 장치는 서로 다른 가능한 백그라운드 콘텐트 특성들에 대응하는 다수의 미리 저장된 이미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시퀀스를 포함하는) 이미지는 예를 들어 다소 구름 낀 하늘, 보다 많이 구름 낀 하늘에 대한 또 다른 이미지, 구름 없는 하늘에 대한 또 다른 이미지 등등에 대응하여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추출된 백그라운드 콘텐트 정보는 주어진 이미지 섹션에 대한 적절한 이미지를 선택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이것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대응하는 부분 상으로 투영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메타 데이터는 그 결과 상기 시각적 콘텐트 신호로부터 추출될 수 있고 적절한 미리 저장된 이미지를 선택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는 예를 들어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의 이미지의 밝기 및 채도에 대응하도록 수정된 특성들을 가질 수 있다. 이미지는 그 후에 다른 이미지 세그먼트들에 대해 선택된 다른 이미지들과 합쳐질 수 있고, 그 결합된 서라운드 이미지는 방의 벽들 및/또는 천장 및/또는 마루 상으로 투영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메타 데이터가 상기 시각적 콘텐트 신호를 통해 사용되도록 간주되는 적절한 이미지를 직접적으로 표시 또는 식별할 수 있다.
어떠한 적절한 백그라운드 콘텐트 정보도 결정될 수 없는 경우 또는 마찬가지로 어떠한 서라운드 이미지도 결정된 백그라운드 콘텐트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없는 경우, 시각적 콘텐트 디스플레이 장치는 양호하게는 디폴트 이미지를 투영한다. 구체적으로, 디폴트 이미지는 어떠한 이미지도 투영하지 않는 것에 대응하는 널 이미지 일 수 있다. 그러나,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폴트 이미지는 시각적으로 매력있는 디스플레이를 생성하기 위해 제 1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이미지이다.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11)은 양호하게는 이미지들이 방 내 몇 개의 표면들에 투영될 수 있는 회전식 폴리곤을 포함하는 프로젝터/빔어(beamer)를 사용할 수 있다. 프로젝터는 시청자 뒤,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앞, 천정, 또는 어떠한 적절한 위치에 놓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복수의 프로젝터들이 사용될 수 있다.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서라운드 이미지의 처리 및 생성은 실시간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백그라운드 콘텐트 정보는 그것이 수신될 때와 이러한 정보가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와 동기적인 서라운드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사용될 때 그에 따라 상기 시각적 콘텐트 신호로부터 실시간으로 추출된다. 양호하게는, 상기 서라운드 이미지의 처리 및 생성과 연관된 어떠한 지연도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에 대해 동일하게 지연되는 상기 시각적 콘텐트 신호에 의해 보상받는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이전에 나타난 이미지들로부터의 백그라운드 콘텐트 정보는 최근 이미지에 대응하는 서라운드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것은 특히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의 시각적 콘텐트 신호를 지연시키지 않기 위해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유리하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백그라운드 콘텐트 정보는 상기 시각적 콘텐트 신호의 콘텐트 분석에 의해 추출될 수 있다.
콘텐트 분석은 콘텐트의 제시된 카테고리에 대해 전형적인 특정 특성들을 검출하는데 기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디오 콘텐트 아이템은 녹색의 높은 평균 농도 및 빈번한 옆쪽으로의 모션을 갖는 것으로 축구 경기와 관련시킴으로써 검출될 수 있다. 만화는 통상적으로 강한 주요 색상들, 밝기의 높은 레벨, 및 뚜렷한 색상 변화들을 갖는 것을 특성으로 한다.
따라서, 비디오 코딩 파라미터들은 비디오 신호의 콘텐트를 결정하기 위해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DCT 변환 블록 내 AC 계수들의 높은 상대적인 값은 뚜렷한 변화가 상기 변환 블록 내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표시한다. 그러한 변화는 만화에 대해 전형적이며, 그러므로 최근의 콘텐트가 만화라는 것을 표시하는 비디오 코딩 파라미터로 포함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현저히 많은 수의 파라미터들이 고려되고, 콘텐트는 결정된 특성들과 가장 밀접하게 상관하는 콘텐트 카테고리로 결정될 수 있다. 그 결과, 채도 및 휘도는 최근의 콘텐트가 만화인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디오 코딩 데이터가 큰 유니폼 또는 평탄한 픽쳐 영역들뿐만 아니라 높은 등급의 채도, 높은 휘도, 높은 주파수 DCT 계수들 내 에너지의 높은 농도를 표시하는 경우, 콘텐트 분석 알고리즘은 상기 최근의 콘텐트를 만화로 결정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비디오 코딩 파리미터들 및 비디오가 아닌 코딩 파라미터들 모두는 콘텐트 분석을 위해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높은 등급의 모션, 강한 휘도, 및 연관된 사운드 트랙의 리듬 특질은 최근의 콘텐트가 음악 비디오라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콘텐트 분석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는 일반적으로 당업자를 통해 이용가능하다. 예를 들어, 2002년 4월-6월,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s, IEEE Multimedia 에서 C. Djeraba에 의한 논문 "콘텐트 기반 멀티미디어 인덱싱 및 검색(Content-Based Multimedia Indexing and Retrieval)"과, 1999년 1월/2월, vol. 11, No.1,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s, IEEE Transactions on Knowledge and Data Engineering 에서 A. Yoshika 등에 의한 논문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들을 위한 콘텐트 기반 검색에 대한 개론(A Survey on Content-Based Retrieval for Multimedia Databases)"과, 2002년 7월-9월,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s, IEEE Multimedia 에서 N. Dimitrova 등에 의한 논문 "비디오 콘텐트 분석 및 검색의 애플리케이션들(Applications of Video-Content Analysis and Retrieval)"은 참조문헌들로 콘텐트 분석에 대한 소개를 제공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콘텐트의 결정은 제시된 시각적 콘텐트 신호에 대한 백그라운드 콘텐트 정보의 추정들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각적 콘텐트 정보 신호가 축구 경기와 관련이 있는 경우, 그 팀들과 연관된 관중들 또는 깃발들을 포함하는 서라운드 이미지가 생성될 수 있다. 카테고리가 만화로 결정되는 경우, 강한 주요 색상들이 서라운드 이미지에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서로 다른 이미지 세그먼트들의 시각적 특성들을 단순하게 결정하는 간략화된 콘텐트 분석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트 분석은 이미지의 콘텐트들을 결정하기 위해 수행될 수 있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오브젝트 식별 및 이미지 오브젝트들의 인식이 백그라운드 콘텐트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브젝트 검출 알고리즘은 이미지가 움직이는 오브젝트를 포함한다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양호하게는, 상기 오브젝트 검출은 모션 추정과 결합되고, 서라운드 이미지는 그 추정된 모션에 응답하여 생성된다.
예를 들어, 움직이는 오브젝트가 검출되어 제 1 디스플레이 내 그 오브젝트의 궤도가 결정될 수 있다. 그 오브젝트가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의 에지에 도달함에 따라, 상기 시각적 콘텐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궤도를 외삽하여 그 서라운드 이미지로 상기 오브젝트의 연속된 움직임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추가적인 예들로서, 상기 콘텐트 분석 및 처리는 포그라운드로부터 백그라운드의 필터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브젝트 검출 및 패턴 인식과 같은 것은 백그라운드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오브젝트들을 검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콘텐트 분석 또는 처리에 의해 결정될 수 있고 상기 서라운드 이미지를 생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파라미터들의 예들은 이미지 내 백그라운드의 평균 색상, 이미지의 강도 또는 밝기, 서로 다른 장면들의 지속기간 및 빈도와, 개별적 클립들 또는 장면들 내 동적 변화들을 포함한다.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서라운드 이미지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의 것보다 낮은 품질 레벨에서 생성된다. 본 발명가는 예를 들어 높은 공간 해상도가 시청자의 초점의 중앙에 있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에 대해서만 요구된다는 것을 인식했다. 통상적으로, 시청자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실제 초점의 이미지의 선명한 윤곽들 및 색상들을 인지하지만, 백그라운드의 인지는 덜 선명하다(보다 넒은 시야각들에서는 오직 일반적 윤곽들 및 색상들만 인지된다).
따라서,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서라운드 이미지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의 것보다 더 낮은 공간 해상도 상태에 있다. 실제로,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서라운드 이미지의 품질 및 특히 해상도는 (시야각이 증가하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로부터의 증가하는 거리에 대해 감소한다. 상기 감소는 단조로울(monotonic) 필요는 없고, 예를 들어 상기 제 1 디스플레이까지 거리의 계단 함수(step function) 일 수 있다.
감소된 품질 레벨은, 덜 정확한 정보(보다 낮은 공간 및 동적 해상도)가 요구되기 때문에, 예를 들어 백그라운드 콘텐트 정보의 추출에 대해 요구되는 계산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게 한다. 또한, 보다 적은 저장 용량이 어떠한 미리 저장되는 백그라운드 이미지들을 저장하는데 요구된다. 추가적으로, 상기 서라운드 이미지를 투영하기 위한 장비는 덜 복잡할 수 있고, 따라서 더 저렴하다.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투영된 서라운드 이미지는 추가로 특정 시청 설비 및 상기 시각적 콘텐트 신호의 콘텐트에 대해 개인 기호에 맞춰질 수 있다.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시각적 콘텐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백그라운드 콘텐트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시각적 콘텐트 신호의 카테고리(예로써, 유형)에 의존하는 서라운드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알고리즘들 및 처리 파라미터들을 수정하도록 동작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라운드 이미지들에 의해 강화될 수 있는 콘텐트는 영화들/연속극, 음악 콘서트들, 스포츠 게임들, 휴일 픽쳐들, 다큐멘터리들, 연극/공연들, 동물 시리즈 및 공상 과학 프로그램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우주 공상 과학 장면은 천장 상에 접근하는 우주선들 및 별들을 나타내는 서라운드 이미지에 의해 강화될 수 있다.
상기 서라운드 이미지의 처리 및 특성은 상기 시각적 콘텐트 신호의 콘텐트의 유형에 의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리 떨어진 별들 및 우주선들이 있는 밤 하늘이 공상 과학 프로그램에서 우주 정거장의 외부 장면에 콘텐트가 대응하는 경우 생성될 수 있는 반면에, 불꽃 놀이를 하는 밤 하늘을 생성하는 알고리즘은 콘텐트가 외부 록 콘서트에 대응하는 경우 생성될 수 있다.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서라운드 이미지는 추가로 시청 환경의 특성들에 응답하여 생성된다. 단순한 예로써, 상기 서라운드 이미지는 바람직하게는 그것이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보다 낮은 밝기를 제공하지만 명료한 시청을 위해 충분 히 밝은 것으로 투영된다. 시청된 이미지가 방의 일반적인 밝기 레벨뿐만 아니라 투영된 표면들의 반사율에 의존할 것이기 때문에, 그 투영된 이미지의 밝기는 사용된 표면들의 밝기 레벨 및 특질에 의존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특징들 및 다른 특징들은 빛의 강도 측정기와 같은 것을 포함하는 센서들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추가적인 일대일 맞춤 및 그에 따른 시청 경험 강화를 허용할 수 있는 특징들의 다른 예들은 다음을 포함한다.
상기 시각적 콘텐트 디스플레이 장치는 서라운드 이미지의 강도 및 그에 따른 경험의 강도를 수정하기 위한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민감한 사람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보다 익숙한 시청자가 보다 강화된 경험을 선호할 수 있는 반면에 약간의 강화를 선호할 수 있다. 추가로, 몇 가지 실시들에 있어서 상기 시각적 콘텐트 신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시각적 콘텐트 신호의 카테고리를 결정하는 수단과, 사용자에 의해 결정된 바에 따라 선호하는 감도에 응답하여 서라운드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동작가능할 수 있는 서라운드 이미지를 생성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각적 콘텐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서라운드 이미지의 동력을 변경하기 위한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각적 콘텐트 디스플레이 장치는 메타 데이터 또는 이미지 처리/분석에 기초하는 서라운드 이미지를 선택하기 위해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각적 콘텐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서라운드 이미지의 동력들(예로써, 스위칭의 레이트, 색상 선호도, 등등) 및 선호되는 색상들을 반영하는 사용자 프로파일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4번 영화를 본 경우 서로 다른 시청 경험은 5번째 시청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있어서, 그 사용자 프로파일은 장래의 시청들에 대해 상기 시각적 콘텐트 디스플레이 장치의 세팅들(예로써, 감도 레벨)을 제어하기 위해 저장되고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시각적 콘텐트 디스플레이 장치는 선택적으로 상기 서라운드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라운드 이미지는 미리 규정된 이벤트들이 발생할 때만(예를 들어, 축구 경기에서 득점이 되었을 때만) 제공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서라운드 이미지는 마이크, CCD 카메라의 것, 등등과 같은 센서들에 의해 수신된 비디오 신호들 및 송신된 오디오의 처리에 응답하여 부분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신호들은 시각적 콘텐트 신호로부터의 정보의 추출 이외에 사용될 수 있고/있거나 매립된 데이터 스트림으로 상기 시각적 콘텐트 신호에 포함될 수 있고 그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센서 신호들로부터 추출될 수 있는 정보는 상기 시각적 콘텐트 신호의 시각적 콘텐트로부터 추출된 것과 유사할 수 있다. 추가로, 환경적인 측면들에는 방의 빛의 강도(낮 또는 밤, 방의 빛 소스들), 방의 사람들의 수, 사용자로부터의 명령들을 처리하기 위한 음성 인식(서로 다른 유형으로의 스위치, 또는 서라운드 이미지들의 밝기, 감도 증가), (파티들, 백그라운드에서의 대화 등등) 해프닝에 대한 서라운드 이미지의 적응, 자기 학습 등등과 같은 것들이 고려될 수 있다.
특정한 예로써, 시각적 콘텐트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음과 같은 예를 포함하는 다수의 특징들 및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소비자용 서라운드 이미지 제어 박스로 제공될 수 있다.
- 상기 서라운드 경험의 강도를 변경하기 위한 제어 입력.
- 콘텐트 유형을 선택하기 위한 제어 입력.
- 콘텐트 아이템 카테고리를 선택하기 위한 제어 입력.
- 서라운드 이미지 처리 변화들의 동력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 입력.
- 장면 콘트라스트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입력.
- 사용자 프로파일을 선택 및/또는 저장하기 위한 제어 입력 또는 자동화 수단.
- 자기 학습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수단(예로써, 축구 경기에서 연속적인 골들이 때를 맞춰 강조될 수 있는 것과 같은 재생된 장면들의 수에 따른 서라운드 이미지 제어의 동작들의 특성들을 측정 또는 결정).
- 예로써, 강화가 미리 규정된 이벤트들에 대해서만 발생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한 편파 제어 수단(polarization control means).
- (색상, 강도, 이미지 인식, 등등) 사용하기 위한 오디오/비디오 콘텐트 신호로부터의 정보와 같은 것을 처리하는 서라운드 이미지를 위해 소스 정보를 선택하기 위한 소스 선택기.
- 최근의 시청 환경에 대한 적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입력.
- 예로써 서라운드 경험의 목적을 선택하여 선택될 서라운드 이미지들이 이 러한 목적을 가장 적절히 달성하도록 허용하기 위한 목적 선택기(purpose selector).
- 무드 선택기(mood selector).
본 발명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것들의 어떠한 조합을 포함하여 어떠한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나 이상의 데이터 프로세서들 및/또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들 상에서 작동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요소들 및 구성요소들은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물리적, 기능적, 및 논리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실제로, 기능성은 단일 유닛, 복수의 유닛들, 또는 다른 기능성 유닛들의 일부에서 구현될 수 있다. 그와 같이, 본 발명은 단일 유닛으로 구현될 수 있거나, 서로 다른 유닛들 및 프로세서들 사이에 물리적 및 기능적으로 분배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양호한 실시에와 관련하여 기술되었을 지라도, 본 명세서에 설명된 특정 형태에 제한되지 않는 것으로 간주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특허청구범위에 있어서, 용어 "포함하는"은 다른 요소들 또는 단계들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추가로, 개별적으로 열거되었을지라도, 복수의 수단, 요소들, 또는 방법 단계들은 단일한 유닛 또는 프로세서와 같은 것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개별적인 특징들이 서로 다른 청구항들에 포함될 수 있을지라도, 이것들은 가능한 한 유리하게 결합되어, 서로 다른 청구항들에서의 포함은 특징들의 조합이 가능하지 않고/않거나 유리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단수 언급은 복수를 배제하지 않는다. 따라서, "하나", "제 1", "제 2" 등의 언급은 복수를 배제하지 않는다.

Claims (18)

  1. 시각적(visual) 콘텐트 신호 디스플레이 장치(100)로서,
    시각적 콘텐트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101)과,
    제 1 디스플레이(105) 상에 상기 시각적 콘텐트 신호를 프리젠팅하는 수단(103)과,
    상기 시각적 콘텐트 신호로부터 백그라운드 콘텐트 정보(background content information)를 추출하는 수단(107)과,
    상기 백그라운드 콘텐트 정보에 응답하여 서라운드 이미지(surround image)를 생성하는 수단(109)과,
    증가된 시야각을 갖는 결합된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도록 제 2 디스플레이 영역 상에 상기 서라운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수단(111)을 포함하는, 시각적 콘텐트 신호 디스플레이 장치(10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라운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수단(111)은 상기 서라운드 이미지를 오브젝트의 외부 표면상에 투영하도록 동작가능한, 시각적 콘텐트 신호 디스플레이 장치(100).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표면은 방의 내부 표면인, 시각적 콘텐트 신호 디스플레이 장치(100).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하는 수단(107)은 상기 시각적 콘텐트 신호로부터 실시간 백그라운드 콘텐트 정보를 추출하도록 동작가능하고, 상기 서라운드 이미지를 생성하는 수단(109)은 상기 실시간 백그라운드 콘텐트 정보에 응답하여 실시간 서라운드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동작가능한, 시각적 콘텐트 신호 디스플레이 장치(100).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하는 수단(107)은 상기 시각적 콘텐트 신호에 포함된 백그라운드 메타 데이터에 응답하여 상기 백그라운드 콘텐트 정보를 추출하도록 동작가능한, 시각적 콘텐트 신호 디스플레이 장치(100).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하는 수단(107)은 상기 시각적 콘텐트 신호의 콘텐트 분석에 응답하여 상기 백그라운드 콘텐트 정보를 추출하도록 동작가능한, 시각적 콘텐트 신호 디스플레이 장치(100).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트 분석은 이미지 오브젝트 인식을 포함하는, 시각적 콘텐트 신호 디스플레이 장치(100).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서라운드 이미지를 생성하는 수단(109)은 이미지 오브젝트의 모션 추정을 수행하고, 상기 모션 추정에 응답하여 상기 서라운드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동작가능한, 시각적 콘텐트 신호 디스플레이 장치(100).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백그라운드 콘텐트 정보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의 에지(edge)에 인접한 상기 시각적 콘텐트 신호의 이미지 섹션의 시각적 특성을 포함하고, 상기 서라운드 이미지를 생성하는 수단(109)은 대응하는 시각적 특성을 갖는 적어도 부분적인 서라운드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동작가능하며, 상기 서라운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수단(111)은 상기 에지에 인접한 상기 부분적인 서라운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동작가능한, 시각적 콘텐트 신호 디스플레이 장치(100).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라운드 이미지를 생성하는 수단(109)은, 상기 백그라운드 콘텐트 정보와 연관된 미리 결정된 이미지에 응답하여 상기 서라운드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동작가능한, 시각적 콘텐트 신호 디스플레이 장치(100).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서라운드 이미지를 생성하는 수단(109)은, 어떠한 유효한 백그라운드 콘텐트 정보도 결정되지 않은 경우, 미리 결정된 디폴트 이미지에 응답하여 상기 서라운드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동작가능한, 시각적 콘텐트 신호 디스플레이 장치(100).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라운드 이미지를 생성하는 수단(109)은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상에 상기 콘텐트 신호의 디스플레이의 품질보다 낮은 품질로 상기 서라운드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동작가능한, 시각적 콘텐트 신호 디스플레이 장치(100).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라운드 이미지를 생성하는 수단(109)은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로부터 의 거리의 증가에 대해 감소하는 품질을 갖는 서라운드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동작가능한, 시각적 콘텐트 신호 디스플레이 장치(100).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라운드 이미지를 생성하는 수단(109)은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과 연관된 시청 환경의 특성들에 응답하여 상기 서라운드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동작가능한, 시각적 콘텐트 신호 디스플레이 장치(100).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적 콘텐트 신호의 카테고리를 결정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서라운드 이미지를 생성하는 수단(109)은 상기 카테고리에 응답하여 처리하는 서라운드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동작가능한, 시각적 콘텐트 신호 디스플레이 장치(100).
  16. 시각적 콘텐트 신호 디스플레이 방법으로서,
    시각적 콘텐트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제 1 디스플레이(105) 상에 상기 시각적 콘텐트 신호를 프리젠팅하는 단계와,
    상기 시각적 콘텐트 신호로부터 백그라운드 콘텐트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백그라운드 콘텐트 정보에 응답하여 서라운드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와,
    제 2 디스플레이 영역 상에 상기 서라운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여 증가된 시야각을 갖는 결합된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각적 콘텐트 신호 디스플레이 방법.
  17. 제 16 항에 따른 방법의 실행을 가능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8. 삭제
KR1020067003435A 2003-08-19 2004-08-05 시각적 콘텐트 신호 디스플레이 장치 및 시각적 콘텐트 신호 디스플레이 방법 KR1010983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3102594 2003-08-19
EP03102594.3 2003-08-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2201A KR20060092201A (ko) 2006-08-22
KR101098306B1 true KR101098306B1 (ko) 2011-12-26

Family

ID=34178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3435A KR101098306B1 (ko) 2003-08-19 2004-08-05 시각적 콘텐트 신호 디스플레이 장치 및 시각적 콘텐트 신호 디스플레이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746356B2 (ko)
EP (1) EP1658553B1 (ko)
JP (1) JP4594308B2 (ko)
KR (1) KR101098306B1 (ko)
CN (1) CN100375005C (ko)
ES (1) ES2526613T3 (ko)
WO (1) WO20050177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348353A1 (en) 2001-05-22 2002-11-22 Marc Arseneau Local broadcast system
EP1658553B1 (en) 2003-08-19 2014-11-19 TP Vision Holding B.V. A visual content signal apparatus and a method of displaying a visual content signal thereof
EP2284814A1 (en) * 2005-01-03 2011-02-16 Vumii, Inc. Systems and methods for night time surveillance
EP1919219A4 (en) * 2005-07-11 2010-12-01 Sharp Kk VIDEO ENTRY DEVICE, VIDEO DISPLAY DEVICE, VIDEO END PROCEDURE AND VIDEO DISPLAY METHOD
WO2007009225A1 (en) 2005-07-22 2007-01-25 Kangaroo Media Inc. System and methods for enhancing the experience of spectators attending a live sporting event
US8042140B2 (en) 2005-07-22 2011-10-18 Kangaroo Media, Inc. Buffering content on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20070126864A1 (en) * 2005-12-05 2007-06-07 Kiran Bhat Synthesizing three-dimensional surround visual field
US20070141545A1 (en) * 2005-12-05 2007-06-21 Kar-Han Tan Content-Based Indexing and Retrieval Methods for Surround Video Synthesis
US8130330B2 (en) * 2005-12-05 2012-03-06 Seiko Epson Corporation Immersive surround visual fields
US20070126932A1 (en) * 2005-12-05 2007-06-07 Kiran Bhat Systems and methods for utilizing idle display area
WO2007107930A1 (en) * 2006-03-20 2007-09-2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Projector based ambient lighting system
JP2007264633A (ja) * 2006-03-28 2007-10-11 Seiko Epson Corp サラウンド・ビジュアル・フィールド・システム、入力ストリームに関連するサラウンド・ビジュアル・フィールドを生成する方法およびサラウンド・ビジュアル・フィールド・コントローラ
GB2436921A (en) * 2006-04-06 2007-10-10 British Broadcasting Corp Methods and apparatus providing central, primary displays with surrounding display regions
WO2008146214A1 (en) * 2007-05-29 2008-12-0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Visualizing objects of a video signal
KR101411324B1 (ko) * 2007-08-14 2014-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디스플레이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적용한 디스플레이장치
WO2009040698A1 (en) * 2007-09-24 2009-04-0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background screen
JP5438021B2 (ja) * 2007-11-20 2014-03-12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 省電力透過ディスプレイ
DE102008026517A1 (de) * 2008-06-03 2009-12-10 Zumtobel Lighting Gmbh Beleuchtungs- und Anzeigevorrichtung
JP2012501005A (ja) * 2008-08-26 2012-01-12 ピュアデプス リミテッド 多層ディスプレイにおける改良
US8290252B2 (en) 2008-08-28 2012-10-16 Microsoft Corporation Image-based backgrounds for images
US8427424B2 (en) 2008-09-30 2013-04-23 Microsoft Corporation Using physical objects in conjunction with an interactive surface
US8730309B2 (en) 2010-02-23 2014-05-20 Microsoft Corporation Projectors and depth cameras for deviceless augmented reality and interaction
US9329469B2 (en) 2011-02-17 2016-05-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oviding an interactive experience using a 3D depth camera and a 3D projector
US9508160B2 (en) * 2011-02-22 2016-11-29 Xerox Corporation User interface panel
US9480907B2 (en) 2011-03-02 2016-11-0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mmersive display with peripheral illusions
US20120223885A1 (en) * 2011-03-02 2012-09-06 Microsoft Corporation Immersive display experience
KR20120134412A (ko) * 2011-06-02 2012-12-1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영상 표시 방법
US9597587B2 (en) 2011-06-08 2017-03-2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Locational node device
US11321772B2 (en) 2012-01-12 2022-05-03 Kofax,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ication document processing and business workflow integration
US8989515B2 (en) 2012-01-12 2015-03-24 Kofax,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obile image capture and processing
US10127636B2 (en) 2013-09-27 2018-11-13 Kofax, Inc. Content-based detection and three dimensional geometric reconstruction of objects in image and video data
JP2014183559A (ja) * 2013-03-21 2014-09-29 Casio Comput Co Ltd 報知制御装置、報知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GB2518821A (en) 2013-09-11 2015-04-08 Barco Nv Multi-screen projector setting
US9992462B2 (en) 2013-09-11 2018-06-05 Barco N.V. Multi-screen projector setting
US9877080B2 (en) * 2013-09-27 2018-01-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US10242285B2 (en) 2015-07-20 2019-03-26 Kofax, Inc. Iterative recognition-guided thresholding and data extraction
US10467465B2 (en) 2015-07-20 2019-11-05 Kofax, Inc. Range and/or polarity-based thresholding for improved data extraction
EP3494694A4 (en) * 2016-12-20 2019-08-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THEREOF
BR112019022210A2 (pt) 2017-05-12 2020-05-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arelho eletrônico
US11062176B2 (en) 2017-11-30 2021-07-13 Kofax, Inc. Object detection and image cropping using a multi-detector approach
US10592194B2 (en) * 2018-04-20 2020-03-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multiple display device projection
CN109729422B (zh) * 2018-12-24 2021-02-12 惠科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控制方法和显示装置
CN110730338A (zh) * 2019-10-23 2020-01-24 国网黑龙江省电力有限公司信息通信公司 一种电视背景墙投影装置
FR3111724B1 (fr) * 2020-06-18 2022-11-04 Cgr Cinemas Méthodes pour la production d’effets d’immersion visuelle pour un contenu audiovisuel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67531A1 (en) 2001-05-11 2002-11-14 Xerox Corporation Mixed resolution displays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83493A (en) * 1942-05-01 1945-08-28 Mabel V Mercer Motion picture apparatus
US4479784A (en) * 1981-03-03 1984-10-30 The Singer Company Eye line-of-sight responsive wide angle visual system
US5187586A (en) * 1991-04-12 1993-02-16 Milton Johnson Motion picture environment simulator for television sets
DE4222538A1 (de) 1992-07-09 1994-01-13 Roman Malinowski Anlage zur Darstellung räumlicher, akustischer und optischer Effekte und Kamera zur Bilderfassung
JPH0777665A (ja) * 1993-03-29 1995-03-20 Canon Inc 画像表示装置及びその為の画像撮影装置
US5963247A (en) * 1994-05-31 1999-10-05 Banitt; Shmuel Visual display systems and a system for producing recordings for visualization thereon and methods therefor
US6329964B1 (en) 1995-12-04 2001-12-11 Sharp Kabushiki Kaisha Image display device
JP3631848B2 (ja) * 1996-06-28 2005-03-23 富士通株式会社 画像表示システム
US5764306A (en) * 1997-03-18 1998-06-09 The Metaphor Group Real-time method of digitally altering a video data stream to remove portions of the original image and substitute elements to create a new image
US6151081A (en) * 1997-12-02 2000-11-21 Raytheon Company Large screen display with projected overlay and method of using same
US6335985B1 (en) * 1998-01-07 2002-01-01 Kabushiki Kaisha Toshiba Object extraction apparatus
CA2320694C (en) * 1998-02-20 2005-07-12 Deep Video Imaging Limited A multi-layer display and a method for displaying images on such a display
US6490011B1 (en) * 1998-12-18 2002-12-03 Caterpillar Inc Display device convertible between a cave configuration and a wall configuration
JP2001078113A (ja) * 1999-09-06 2001-03-23 Sony Corp 映像機器および映像表示方法
US6359398B1 (en) 1999-11-29 2002-03-19 Mitsubishi Digital Electronics America Inc. Method to control CRT phosphor aging
JP2001333030A (ja) * 2000-05-19 2001-11-30 Minolta Co Ltd 放送番組送受信システム、これに使用される放送装置及び受信装置、放送番組送受信方法、並びに、記録媒体再生システム、これに使用される記録媒体再生装置及び記録媒体
JP2002176638A (ja) * 2000-12-07 2002-06-21 Cyberspace:Kk データ通信システムおよび装置、データ通信方法、記録媒体
JP2004516521A (ja) * 2000-12-19 2004-06-03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画像投射システム
JP2003086384A (ja) * 2001-06-28 2003-03-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照明サービスを提供する方法、照明装置、記録媒体および再生装置
EP1658553B1 (en) 2003-08-19 2014-11-19 TP Vision Holding B.V. A visual content signal apparatus and a method of displaying a visual content signal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67531A1 (en) 2001-05-11 2002-11-14 Xerox Corporation Mixed resolution display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375005C (zh) 2008-03-12
CN1836202A (zh) 2006-09-20
US7746356B2 (en) 2010-06-29
JP2007503146A (ja) 2007-02-15
EP1658553A1 (en) 2006-05-24
JP4594308B2 (ja) 2010-12-08
WO2005017739A1 (en) 2005-02-24
US20060268363A1 (en) 2006-11-30
ES2526613T3 (es) 2015-01-13
EP1658553B1 (en) 2014-11-19
KR20060092201A (ko) 2006-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8306B1 (ko) 시각적 콘텐트 신호 디스플레이 장치 및 시각적 콘텐트 신호 디스플레이 방법
US8488901B2 (en) Content based adjustment of an image
US8031891B2 (en) Dynamic media rendering
US2010018857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closed captioning in three-dimensional imagery
CN103649904A (zh) 自适应内容呈现
US20030016236A1 (en) Immersive augmentation for display systems
JP2011086283A (ja) 動的レンダリング用3次元ビデオキャプチャ・ワークフロー用のシステム及び方法
WO2014155670A1 (ja) 立体視映像処理装置、立体視映像処理方法及び立体視映像処理用プログラム
KR10238311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방법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CN1809151B (zh) 显示设备及其控制方法
KR100860964B1 (ko)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 및 방법
US1100306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method of information processing, and image display system
CN109741464B (zh) 用于显示实景的方法和装置
JP4789592B2 (ja) 視聴環境制御装置及び視聴環境制御方法
JP5166794B2 (ja) 視聴環境制御装置および視聴環境制御方法
US20090021642A1 (en) Moving image reproduc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moving image reproducing apparatus
KR20050116916A (ko) 환경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를 생성하고 재생하는 방법과그 재생 장치
JP2009064594A (ja) 照明装置、それを備えてなる画像表示装置及び照明方法
CN114286139B (zh) 电影播放方法及系统、计算机设备
WO2023082361A1 (zh) 一种依据视频图像变化数据转成led立体幻彩效果的方法及系统
US20210176488A1 (en) Display Device,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JPH0577894U (ja) 照明装置
JP2006325043A (ja) 画像表示装置及びテレビジョン受像機
EP333716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al home ambient lighting selection for studio graded content
Hirschmann HD TV: High Definition Televi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