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8253B1 - a flowerpot - Google Patents

a flowerpo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8253B1
KR101098253B1 KR1020080136677A KR20080136677A KR101098253B1 KR 101098253 B1 KR101098253 B1 KR 101098253B1 KR 1020080136677 A KR1020080136677 A KR 1020080136677A KR 20080136677 A KR20080136677 A KR 20080136677A KR 101098253 B1 KR101098253 B1 KR 1010982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soil
support surface
pot
sid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66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78420A (en
Inventor
이관준
Original Assignee
이관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관준 filed Critical 이관준
Priority to KR1020080136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8253B1/en
Publication of KR20100078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842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8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825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1Planting receptacles specially adapted for remaining in the soil after plan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1Pots formed in one piece; Materials used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식생포트는 측벽; 상기 측벽에 연결되는 바닥면; 상기 측벽에 형성되는 지지면을 포함하되, 상기 지지면은 상기 측벽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지지면은 상기 측벽에 탈부착 가능하며, 상기 측벽,상기 바닥면, 그리고 상기 지지면은 천연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Vegetation port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side wall; A bottom surface connected to the side wall; And a support surface formed on the sidewall, wherein the support surface is formed to protrude outward of the sidewall, and the support surface is detachable to the sidewall, and the sidewall, the bottom surface, and the support surface are natural fiber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s of.

본 발명에 따른 식생포트는 상기 지지면에 의해 상기 식생포트는 토양에 안정적으로 고정된다.The vegetation p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soil by the support surface the vegetation port.

따라서, 식생포트가 토양에 식재된 상태에서 비, 바람 등에 의해 토양에서 쓸리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식생포트가 토양에서 유실되는 것이 방지된다.Therefore, the vegetation pot is prevented from being lost in the soil because the vegetation pot is prevented from being swept out of the soil by rain, wind, etc. in the state of being planted in the soil.

균근균 Mycorrhiza

Description

식생포트{a flowerpot}Vegetation Pot {a flowerpot}

본 발명은 식생 포트에 관한 것으로서, 황마에서 얻어지는 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getation pot,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fibers obtained from jute.

[종래기술의 문헌정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352871 호[Documentary Information of the Prior Art]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0352871

종래의 원예용 포트는 비닐 포트로만 이루어져 있어서, 식물을 정식 또는 조경공사 식재시 비닐 포트와 분을 분리할 때 분이 깨지는 경우가 많아서 식물 뿌리활착률이 떨어져 제대로 성장하지 못하는 확률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Conventional horticulture pots consist of only a vinyl pot, when the plant is separated from the vinyl pot and powder during planting or landscaping planting, the powder is often broken, so there is a high probability that the plant root slid rate is not properly grown.

또한, 기존 비닐 포트만으로 재배한 모종과 현재 재배되고 있는 식물 중에는In addition, among the seedlings grown only with existing vinyl pots and currently grown plants

다습한 환경이나 관수시 너무 많은 양의 물이 공급되어 졌을 때에는 고사하는 경우가 많아서 배수가 좋은 마사를 혼합한 흙을 사용하고 있다.When a lot of water is supplied in a humid environment or when irrigation, it often dies, and soil mixed with good drainage is used.

이렇게 혼합한 흙은 마사의 비율이 높아져서 뿌리와 혼합한 흙과의 응집력이약해지고, 심근성 뿌리 형태를 지닌 식물은 잔뿌리 형성이 잘 되지 않기 때문에 조경 식재 공사시 비닐 포트와 분을 분리하여 식재할 때 분이 깨지는 경우가 많아서새로운 토양에 초기 활착률이 낮아지게 되어서 고사하는 경우가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Soil mixed in this way increases the ratio of mass and weakens cohesion with soil mixed with roots, and plants with myocardial root shape do not form fine roots. There are a lot of problems in the case of a lot of cracks are broken because the initial slugging rate in the new soil is lowered.

이렇게 고사율이 높으면 높을수록 다시 추가되는 노동력과 인건비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The higher the death rate, the more labor and labor costs are added.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근래에는 수입용 상토가 많이 수입되고 있으며, 코이어 또는 황마에서 얻은 천연섬유를 사용하여 만든 제품이 이미 많이 사용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lot of imported clay is recently imported, and products made using natural fibers obtained from coir or jute are already used.

하지만 수입용 상토의 우수성은 인정되었지만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식물을재배하는 농가에서는 경제적인 부담을 갖게 되며 정식 또는 조경공사시 분이 깨지는 단점이 있다.However, although the excellence of imported soil was recognized, the price is high, so that farmers growing plants have an economic burden and have a disadvantage in breaking the formal or landscaping work.

코이어 또는 황마에서 얻은 천연섬유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조경에서 사용하는 식생매트를 예로 할 수 있으며 이미 여러 분야에서 검증된 친환경 소재이다.For example, vegetation mats used in landscaping using natural fibers obtained from coir or jute are eco-friendly materials that have been proven in various fields.

하지만 식생매트는 많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이것을 생산할 대규모생산체계를 갖춘 곳에서만 생산 가능할 뿐만 아니라 식생매트 생산원가가 높아서조경 식재 시 가격이 비싼 이유로 부담을 느끼는 실정의 단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vegetation mat occupies a large area, it can be produced only in a place with a large-scale production system to produce it, and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burdened because of the high cost of planting the land because of the high production cost of the vegetation mat.

본 발명과 유사한 발명으로는 천변식물 재배방법 및 식재방밥[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352871 호] 가 있다.Inventions similar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cultivation method and plant food Bangbab [Korea Patent No. 10-0352871].

상기 천변식물 재배방법 및 식재방법 발명은 직경6~8cm의 소형 포트에서 천변 식물을 3~6개월 육성하여 소형 포트를 제거하고 소형 근괴의 외주면에 야자섬유를 감싼 후 직경 약15cm의 대형 포트에서 6~12개월 재육성하여 대형 근괴를 이루도록 한 것이다.The cultivation method and the method of plant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grow the stool plant in a small pot of 6 ~ 8cm in diameter for 3-6 months to remove the small pot, wrapped the palm fiber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mall muscle mass 6 in a large pot of about 15cm in diameter It was revived for 12 months to form a large mass.

하지만 상기 발명은 소형 근괴에서 대형 근괴로의 재육성과정에 장시간의 시 간이 소모되며, 소형 포트면에 야자섬유를 일일이 감싸줘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등 노동력과 인건비 그리고 시간 등이 많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onsumes a long time in the process of re-cultivation from small to large masses, and the labor and labor costs and time are consumed a lot, such as the hassle of having to wrap the palm fiber on the small port surface. there was.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819511 호]를 제시하였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applicant has proposed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819511].

하지만, 토양에 식재된 식생포트는 비, 바람에 의한 외부환경에 의해 토양에서 쓸려나가는 경우 식생포트가 유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vegetation pots planted in the soil has a problem that the vegetation pot is lost when the soil is washed away from the soil by the external environment by rain, wind.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토양에 식재된 상태에서 비, 바람에 의한 외부환경에 의해 토양에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식생포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getation port tha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lost in the soil by the external environment caused by rain and wind in the state of being planted in the soil.

본 발명에 따른 식생포트는 측벽; 상기 측벽에 연결되는 바닥면; 상기 측벽에 형성되는 지지면을 포함하되, 상기 지지면은 상기 측벽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지지면은 상기 측벽에 탈부착 가능하며, 상기 측벽,상기 바닥면, 그리고 상기 지지면은 천연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Vegetation port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side wall; A bottom surface connected to the side wall; And a support surface formed on the sidewall, wherein the support surface is formed to protrude outward of the sidewall, and the support surface is detachable to the sidewall, and the sidewall, the bottom surface, and the support surface are natural fiber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s of.

본 발명에 따른 식생포트는, 상기 천연섬유는 황마에서 얻어지는 섬유로 이루어지며, 상기 천연섬유에는 균근균이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Vegetation pot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natural fiber is made of a fiber obtained from jute, characterized in that the mycelia are mixed with mycorrhizal fungi.

본 발명에 따른 식생포트는, 상기 측벽,상기 바닥면, 그리고 상기 지지면은는 천연섬유인 코이어를 압축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코이어에는 균근균이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Vegetation port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side wall, the bottom surface, and the support surface is made by compressing the coir is a natural fiber, characterized in that the mycorrhizal fungi are mixed.

본 발명에 따른 식생포트는, 측벽; 상기 측벽에 연결되는 바닥면을 포함하되, 상기 측벽,상기 바닥면은 천연섬유인 코이어를 압축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코이어에는 균근균이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Vegetation port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side wall; It includes a bottom surface connected to the side wall, the side wall, the bottom surface is made by compressing the coir is a natural fiber, characterized in that the mycorrhizal fungi are mixed.

본 발명에 따른 식생포트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vegetation p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상기 지지면에 의해 상기 식생포트는 토양에 안정적으로 고정된다.The vegetation pot is stably fixed to the soil by the support surface.

따라서, 식생포트가 토양에 식재된 상태에서 비, 바람 등에 의해 토양에서 쓸리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식생포트가 토양에서 유실되는 것이 방지된다.Therefore, the vegetation pot is prevented from being lost in the soil because the vegetation pot is prevented from being swept out of the soil by rain, wind, etc. in the state of being planted in the soil.

상기 식생포트에 균근균이 혼합하기 때문에 상기 식생포트는 토양에서 빠른 기간에 자연분해가 된다.Since the mycorrhizal fungi are mixed in the vegetation pot, the vegetation pot is decomposed quickly in the soil.

이렇게 식생포트가 빠른 기간에 자연분해가 됨으로써, 모종 뿌리의 활착과 성장에 보다 효과적인 도움이 될 수 있다.As this vegetation pot is decomposed quickly, it may be more effective for the rooting and growth of seedling roots.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For reference, among the configu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below,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prior art will be referred to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생포트의 사시도 및 확대도 이며,1 is a perspective view and an enlarged view of a vegetation po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생포트의 사시도 이고,2 to 6 are perspective views of the vegetation po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생 포트가 안착 된 원예용 포트의 단면도 이고,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gardening port in which the vegetation pot is seate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토양에 식재된 식생포트의 단면도 이 다.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vegetation pots planted in the soi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리브가 형성된 식생포트의 사시도 이며,9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getation pot with rib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리브가 형성된 식생포트의 사시도 이며,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getation pot with rib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리브가 형성된 식생포트의 평면도 이고,11 is a plan view of a vegetation pot with rib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토양에 식재된 식생포트의 단면도 이다.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vegetation pots planted in the soi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코이어를 압축하여 제조한 식생포트의 사시도 이며,13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getation pot prepared by compressing a coi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코이어를 압축하여 제조한 식생포트의 단면도 이다.1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vegetation pot prepared by compressing a coi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코이어를 압축하여 제조한 식생포트의 사시도 이며,15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getation pot prepared by compressing a coi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코이어를 압축하여 제조한 식생포트의 단면도 이다.1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vegetation pot prepared by compressing a coi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식생포트는 측벽; 상기 측벽에 연결되는 바닥면; 상기 측벽에 형성되는 지지면을 포함하되, 상기 지지면은 상기 측벽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 성되고, 상기 지지면은 상기 측벽에 탈부착 가능하며, 상기 측벽,상기 바닥면, 그리고 상기 지지면은 천연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Vegetation port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side wall; A bottom surface connected to the side wall; And a support surface formed on the sidewall, wherein the support surface is formed to protrude outwardly of the sidewall, the support surface is detachable to the sidewall, and the sidewall, the bottom surface, and the support surface are natural.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fibers.

본 발명에 따른 식생포트는, 상기 천연섬유는 황마에서 얻어지는 섬유로 이루어지며, 상기 천연섬유에는 균근균이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Vegetation pot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natural fiber is made of a fiber obtained from jute, characterized in that the mycelia are mixed with mycorrhizal fungi.

본 발명에 따른 식생포트는, 상기 측벽,상기 바닥면, 그리고 상기 지지면은는 천연섬유인 코이어를 압축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코이어에는 균근균이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Vegetation port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side wall, the bottom surface, and the support surface is made by compressing the coir is a natural fiber, characterized in that the mycorrhizal fungi are mixed.

본 발명에 따른 식생포트는, 측벽; 상기 측벽에 연결되는 바닥면을 포함하되, 상기 측벽,상기 바닥면은 천연섬유인 코이어를 압축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코이어에는 균근균이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Vegetation port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side wall; It includes a bottom surface connected to the side wall, the side wall, the bottom surface is made by compressing the coir is a natural fiber, characterized in that the mycorrhizal fungi are mixed.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생 포트의 제조과정은 다음과 같다.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vegetation po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먼저 식물에서 채취한 천연섬유를 이용하여 원사를 만들고, 여러 개의 원사가닥을 꼬아 천연섬유로프(110)를 만든다.First, the yarn is made using natural fibers collected from plants, and a plurality of yarn strands are twisted to make a natural fiber rope (110).

그 후 상기 천연섬유로프(110)를 이용해 천연섬유 망을 만든 후 상기 천연섬유 망을 이용해 식생 포트를 제작하게 된다.Thereafter, a natural fiber network is made using the natural fiber rope 110, and then a vegetation pot is manufactured using the natural fiber network.

본 발명의 식생포트는 다양한 천연섬유의 원료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나 황마를 이용하여 천연섬유를 얻는 것이 바람직하다.Vegetation po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through a variety of raw materials of natural fibers, but it is preferable to obtain natural fibers using jute.

식물에서 채취한 천연섬유를 이용해 원사를 만드는 방법은 종래의 한국 등록실용 제 20-0373753 호에 나와 있으므로 이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ince a method of making yarn using natural fibers collected from plants is describ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20-0373753,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생 포트는 상부가 개구된 원통 또는 사각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The vegetation por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ylindrical or square cylinder shape with an upper opening.

상기 식생 포트는 측벽(100)과 상기 측벽에 연결된 바닥면(120) 그리고 상기 측벽(10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지지면(130)으로 이루어진다.The vegetation port includes a sidewall 100, a bottom surface 120 connected to the sidewall, and a support surface 130 formed to protrude outward of the sidewall 100.

상기 지지면(130)은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지만, 상기 바닥면(120)과 인접한 측벽(100) 또는 바닥면(120)에 부착되어 상기 측벽(10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upport surface 130 may be formed at various locations, but the support surface 130 may be attached to the side wall 100 or the bottom surface 120 adjacent to the bottom surface 120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side wall 100. Do.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지면(130)의 부착위치는 도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벽(100)의 상단, 상기 측벽(100), 그리고 상기 측벽(100)의 하단에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도5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모양으로 측벽(100)의 측면에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ttachment position of the support surface 130 may be formed at the top of the side wall 100, the side wall 100, and the bottom of the side wall 100 as shown in FIGS. 1 to 6.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be formed on the side of the side wall 100 in the shape of a wing as shown in FIGS.

상기 지지면(130)은 상기 측벽(100) 또는 바닥면(12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지만, 상기 측벽(100) 또는 상기 바닥면(120)과 탈부착이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support surface 13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side wall 100 or the bottom surface 120, but of course, the support surface 130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side wall 100 or the bottom surface 120.

이 경우, 끈을 이용하여 묶는 방법 등을 통해서, 상기 지지면(130)을 상기 상기 측벽(100) 또는 바닥면(120)에 탈부착 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upport surface 130 may be attached or detached to the side wall 100 or the bottom surface 120 through a method of tying using a string.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생 포트는 두께 1mm의 천연섬유로프(110)를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하여 만든 가로(113) 3~ 5mm, 세로(115) 3~ 5mm의 천연섬유 망을 이용하여 제작된다.Vegetation po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natural fiber net of the width 113 3 ~ 5mm, length 115 ~ 3 ~ 5mm made by arranging the natural fiber rope 110 of thickness 1mm at regular intervals Is produced.

상기 천연섬유로프(110)의 크기와 두께는 상기 식생포트 내부에서 생장하는 식물의 종류에 따라 요구되는 보수력, 보비력, 통기성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생산될 수 있다.The size and thickness of the natural fiber rope 110 may be produced in various ways in consideration of the water holding capacity, bobbin power, breathability required according to the type of plants growing in the vegetation pot.

상기 천연섬유로프(110)에는 균근균이 첨가된다.Mycorrhizal fungi are added to the natural fiber rope 110.

균근(Mycorrhizae)이란 식물의 어린 뿌리가 토양 중에 있는 곰팡이와 공생하Mycorrhizae is a plant whose roots are symbiotic with fungi in the soil.

는 형태로서 구체적으로 곰팡이가 기주식물에 무기염을 대신 흡수하여 전달해 주고, 기주식물이 곰팡이에 탄수화물을 전해줌으로써 공생관계를 유지하는 균을 말한다.Specifically, the fungus is a fungus that absorbs and transfers inorganic salts to host plants instead, and the host plants maintain a symbiotic relationship by delivering carbohydrates to the fungi.

상기 천연섬유로프(110)에 함유되는 천연섬유와 상기 균근균의 중량비는 제한되지 않으며,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중량비가 변화될 수 있다.The weight ratio of the natural fibers and the mycorrhizal fungi contained in the natural fiber rope 110 is not limited, and the weight ratio may be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하지만, 상기 천연섬유로프(110)는 황마에서 얻어지는 섬유 80~90% 중량비, 균근균 10~20% 중량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owever, the natural fiber rope 110 is preferably composed of 80 to 90% weight ratio, 10 to 20% weight ratio of mycorrhizal fungi obtained from jute.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균근균을 함유한 황마에서 얻어지는 섬유로 이루어진 식생포트에서 재배한 식물과 일반 원예용 포트에 넣어서 재배한 식물의 성장과정을 비교한 실험결과는 한국 등록특허 제 819,511호에 제시되어 있으므로 이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Experimental results comparing the growth of plants grown in vegetation pots made of fibers obtained from jute containing mycorrhizal fungi and plants grown in general horticultural pot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Korean Patent No. 819,511 Since it is presented in,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상기 식생포트 내부에는 혼합상토(300) 채워진다.The mixed clay 300 is filled in the vegetation pot.

상기 혼합상토(300)는 황토, 참숯가루, 그리고 코코넛 화이버와 초기 식물 생장에 있어서 필수적인 5대 영양소인 질소, 인, 칼륨, 마그네슘, 칼슘으로 이루어져 있다.The mixed clay 300 is composed of ocher, charcoal powder, and five nutrients essential for coconut fiber and early plant growth, nitrogen, phosphorus, potassium, magnesium and calcium.

상기 혼합상토(300)에 함유되는 코코넛화이버, 황토, 참숯가루, 그리고 5대영양소의 중량비는 제한되지 않으며,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중량비가 변화될 수 있지만, 상기 혼합상토(300)는 코코넛화이버 50~90% 중량비, 황토20~30% 중량비, 참숯가루 10~20% 중량비, 5대 영양소인 질소, 인, 칼륨, 마그네슘 또는 칼슘 5~10% 중량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weight ratio of coconut fiber, ocher, charcoal powder, and five major nutrients contained in the mixed clay 300 is not limited, and the weight ratio may be changed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but the mixed clay 300 is Coconut fiber is preferably composed of 50 to 90% by weight, ocher 20 to 30% by weight, charcoal powder 10 to 20% by weight, five nutrients nitrogen, phosphorus, potassium, magnesium or calcium by 5 to 10% by weight.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생포트의 일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An embodiment of the vegetation po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먼저, 상기 식생 포트만을 이용하여 식생 포트 내부 공간에 모종을 심어 재배할 수 있다.First, seedlings may be planted in a space inside a vegetation pot using only the vegetation pot.

이때, 토양에 상기 지지면(130)을 안착시키고, 고정핀(131) 등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면(130)과 토양을 고정시킨다.At this time, the support surface 130 is seated on the soil, and the support surface 130 and the soil are fixed using the fixing pin 131 or the like.

또한, 상기 지지면(130)에 상기 측벽(100)의 측면 또는 측벽(100)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을 경우, 상기 지지면(130)이 토양에 잘 덮혀서, 상기 지지면(130)과 토양과의 접촉하는 단면적이 넓어지도록 한다.In addition, when the support surface 130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side wall 100 or the top of the side wall 100, the support surface 130 is well covered in the soil, the support surface 130 and the soil Make the cross-sectional area in contact with the wider.

그 후, 상기 식생포트를 토양으로 덮어서 식재하게 된다.Thereafter, the vegetation pot is covered with soil to be planted.

하지만 식생포트 자체만으로는 식생포트 내부에 수용되는 상토의 모양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분이 안정적으로 지지받지 못해 손상될 염려가 있다.However, since the vegetation pot itself does not stably fix the shape of the soil contained inside the vegetation pot, there is a risk that the powder may not be stably supported and damaged.

이와 같은 이유로, 상기 식생포트를 원예용포트(200) 내부에 안착시켜 모종을 키우고, 모종이 자란 후에는 원예용포트(200)와 식생포트를 분리한 후 식생포트를 토양에 식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this reason, the vegetation pot is seated inside the gardening pot 200 to grow seedlings, and after the seedlings are grown, it is preferable to separate the gardening pot 200 and the vegetation pot and then plant the vegetation pot in the soil. .

이때, 상기 바닥면(120)에서 지지면(130)을 분리하여 식생포트를 원예용포트(200) 내부에 안착시게 된다.At this time, the support surface 130 is separated from the bottom surface 120 to be seated in the vegetation pot 200 inside the gardening port (200).

이후, 원예용포트(200)에서 분리한 식생포트를 토양에 식재하는 경우, 상기 바닥면(120) 또는 측벽(100)에 상기 지지면(130)을 부착한 후 상기 식생포트를 토양에 식재한다.Then, in the case of planting the vegetation port separated from the gardening pot 200 in the soil, after attaching the support surface 130 to the bottom surface 120 or side wall 100 and planting the vegetation port in the soil. .

이 구성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This configuration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상기 지지면(130)에 의해 상기 식생포트는 토양에 안정적으로 고정된다.The vegetation pot is stably fixed to the soil by the support surface 130.

따라서, 식생포트가 토양에 식재된 상태에서 비, 바람 등에 의해 토양에서 쓸리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식생포트가 토양에서 유실되는 것이 방지된다.Therefore, the vegetation pot is prevented from being lost in the soil because the vegetation pot is prevented from being swept out of the soil by rain, wind, etc. in the state of being planted in the soil.

실제 조경 공사 식재 시 원예용 포트(200)와 분을 분리할 때 식생 포트로 인해 분의 깨짐을 방지하여 분의 원형을 그대로 식재하기 때문에 식물의 고사율을 낮추고 뿌리의 활착률을 높여 하자 보수율을 낮출 수가 있다.When separating the gardening pot 200 and flour during the actual landscaping work planting, because the vegetation pot prevents cracking of the plant, the planting of the plant is planted as it is, thus lowering the mortality rate of the plant and increasing the sticking rate of the roots. There is a number.

그리하여 많은 노동력과 인건비를 상당 부분 줄일 수 있으며 분이 깨지지 않 기 때문에 원예용 포트(200)에 형성되어 있는 분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으며 조경공사에 활용하면 빠른 시간 내에 생태계를 복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a lot of labor and labor costs can be reduced to a considerable part, and because the minutes are not broken, the minutes formed in the gardening pot 200 can be maintained as it is, and when used in landscaping, there is an advantage of restoring the ecosystem within a short time.

균근균이 혼합된 천연섬유로프(110)는 토양에서 빠른 기간에 자연분해가 된다.Natural fiber rope 110 mixed with mycorrhizal is naturally decomposed in the soil.

이렇게 식생포트가 빠른 기간에 자연분해가 됨으로써, 모종 뿌리의 활착과 성장에 보다 효과적인 도움이 될 수 있다.As this vegetation pot is decomposed quickly, it may be more effective for the rooting and growth of seedling roots.

상기 혼합상토(300)는 코코넛화이버로 인해 보수성, 통기성과 보비성을 높이있다.The mixed clay 300 has a high water retention, breathability and bobbin due to coconut fiber.

또한, 황토에 의해 PH의 안정도를 유지하고 미생물의 활발한 활동으로 인한 살균 및 정화작용을 이끌어낸다.In addition, loess maintains the stability of PH and leads to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due to the active activity of microorganisms.

또한, 참숯가루는 땅의 온도편차를 완화하여 안정된 온도를 유지하며, 투수성과 통기성의 우수성으로 인한 병충해 면역강화 발근력의 촉진으로 뿌리 활착률을 높이고 질소, 인, 칼륨, 마그네슘, 칼슘는 안정적으로 건강한 모종을 육모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charcoal powder maintains stable temperature by alleviating the temperature variation of the ground, and improves root rooting rate by promoting disease-immune strengthening rooting ability due to excellent permeability and breathability. It has the effect of hair growth.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식생포트는, 상부가 개구된 원통 또는 사각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The vegetation po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ylindrical or square cylinder shape with an upper opening.

상기 식생 포트는 측벽(500)과 상기 측벽(500)에 연결된 바닥면(510) 그리고 상기 측벽(50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지지면(700)으로 이루어진다.The vegetation port includes a sidewall 500, a bottom surface 510 connected to the sidewall 500, and a support surface 700 formed to protrude outward of the sidewall 500.

상기 지지면(700)은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지만, 상기 바닥면(510)과 인접한 측벽(100) 또는 바닥면(510)에 부착되어 상기 측벽(50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upport surface 700 may be formed at various positions, but the support surface 700 may be attached to the side wall 100 or the bottom surface 510 adjacent to the bottom surface 510 to protrude outward of the side wall 500. Do.

상기 지지면(700)은 상기 측벽(500) 또는 상기 바닥면(5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지만, 상기 측벽(500) 또는 상기 바닥면(510)과 탈부착이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support surface 70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side wall 500 or the bottom surface 510, but the support surface 700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side wall 500 or the bottom surface 510. .

이때, 접착제 또는 나사와 같은 다양한 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지지면(700)을 상기 측벽(500) 또는 상기 바닥면(510)에 부착 또는 탈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At this time, the support surface 700 may be attached to or detached from the side wall 500 or the bottom surface 510 by various coupling members such as adhesives or screws.

상기 측벽(500), 바닥면(510) 그리고 상기 지지면(700)은 황마와 같이 천연섬유로 이루어진 코이어를 이용하여 이루어진다.The side wall 500, the bottom surface 510 and the support surface 700 is made of a coir made of natural fibers, such as jute.

본 발명에 따른 식생 포트의 제작 공정은 종래의 한국공고특허 제1996-0004332 호와 한국공개특허 제 2002-0068797호에 기술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이하 생략한다.Since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vegetation p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in the conventional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996-0004332 and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2-0068797,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below.

상기 측벽(500), 바닥면(510)의 두께와 크기는 식생포트 내부에서 생장하는 식물의 종류에 따라 요구되는 보수력, 보비력, 통기성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생산될 수 있다.The thickness and size of the side wall 500 and the bottom surface 510 may be produced in various ways in consideration of water retention, bobbin, and breathability required according to the type of plants growing in the vegetation pot.

상기 식생포트의 내측면(즉, 상기 측벽(500)의 내측)에는 다수개의 리브(520)가 형성된다.A plurality of ribs 520 are formed on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vegetation port (ie, the inner side of the side wall 500).

상기 리브(520)는 식생포트 성형시에 리브(520)가 식생포트 내부에 형성되도 록 만들어진 성형틀을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The rib 520 may be manufactured by using a mold formed so that the rib 520 is formed inside the vegetation port when the vegetation pot is formed.

상기 측벽(500), 바닥면(510) 그리고 상기 지지면(700)에는 균근균이 더 첨가된다.Mycorrhizal bacteria are further added to the side wall 500, the bottom surface 510, and the support surface 700.

상기 식생포트의 성형단계시 성형기에서는 많은 열이 발생한다.During the molding step of the vegetation pot, a large amount of heat is generated in the molding machine.

따라서 성형단계에서 균근균을 첨가하여 식생포트를 제작할 경우 성형기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균근균이 멸균될 수 있다.Therefore, when producing a vegetation pot by adding mycorrhizal fungus in the molding step, mycorrhizal fungi may be sterilized by heat generated in the molding machine.

그러므로 균근균은 성형단계를 거쳐 완성된 식생포트에 첨가된다.Therefore, mycorrhizal fungi are added to the finished vegetation pot through the molding step.

상기 측벽(500), 바닥면(510) 그리고 상기 지지면(700)은 코코넛화이버를 더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The side wall 500, the bottom surface 510 and the support surface 700 may be manufactured by further mixing coconut fibers.

상기 코코넛화이버는 열대지방 야자수의 섬유물질로 리그닌의 함량이 높아 화학적으로 불활성이며 미생물 침투에 저항성이 있고 산화조건이 안정적이고 상당한 유기 양분과 미량요소를 함유하고 있어 보비력이 양호한 무독 무취의 상토용 소재이다.Coconut fiber is a fiber material of palm trees in the tropics and has a high content of lignin, which is chemically inert, resistant to microbial penetration, stable in oxidizing conditions, and contains considerable organic nutrients and trace elements. to be.

상기 식생 포트에 사용하는 코코넛 화이버는 보수력과 보비력이 높고 통기성이 좋으며 용적밀도가 낮고 양이온치환용량이 높아서 풍부한 식물 영양과 탄소 함유물질을 포함하고 있다.Coconut fiber used in the vegetation pot contains abundant plant nutrition and carbon-containing substances due to its high water retention and high binding capacity, good ventilation, low volume density and high cation substitution capacity.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식생 포트에 있어서, 상기 식생 포트에 함유되 는 황마에서 얻어지는 천연섬유와 코코넛화이버의 중량비는 제한되지 않으며,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중량비가 변화될 수 있다.In the vegetation po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ight ratio of the natural fiber and the coconut fiber obtained from the jute contained in the vegetation pot is not limited, and the weight ratio may be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

하지만 상기 식생 포트는 황마에서 얻어지는 섬유 80~90% 중량비, 코코넛 화이버의 10~20% 중량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owever, the vegetation pot is preferably composed of 80 to 90% by weight of fiber obtained from jute, 10 to 20% by weight of coconut fiber.

상기 코코넛 화이버는 질소, 인, 규산, 석회, 유황 등 이외에도 식물 양분을보유하고 있는데 이들 성분은 부식되어 분해되므로 인하여 유효화 된다.The coconut fiber has plant nutrients in addition to nitrogen, phosphorus, silicic acid, lime, sulfur, etc., and these components are effective due to corrosion and decomposition.

상기 코코넛 화이버는 다른 상토에 비해 저렴하고 취급이 간편하며, 토양을암갈색이나 흙색으로 변화시켜 태양열의 흡수율을 높이며, 토양 산도는 Ph 5.5~6.5 사이에 고정시키는 중화물질로 구성되어 있다.The coconut fiber is inexpensive and easy to handle compared to other soils, and increases the absorption of solar heat by changing the soil to dark brown or earthy color, and the soil acidity is composed of neutralizing substances fixed between Ph 5.5 to 6.5.

다음 [표1]는 코코넛 화이버의 물리 화학적 특성이다.[Table 1] shows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coconut fiber.

[표1] 코코넛 화이버의 물리 화학적 특성 [Table 1]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coconut fiber

구분 division 내용Contents 구분division 내용Contents 유기질 함량(%)Organic content (%) 95~9995-99 OrganicOrganic 29.0029.00 PHPH 5.5~6.55.5 ~ 6.5 NN 0.3~0.6%0.3-0.6% 양이온 교환용량Cation exchange capacity 60~120meu/100g60 to 120 meu / 100 g NH3NH3 00 전기 전도도Electrical conductivity 200~400us/cm200 ~ 400us / cm MnMn 0.001%0.001% 보수력Conservative 약 8~9배8 ~ 9 times Potassium(%)Potassium (%) 0.780.78 공극률Porosity 94%94% Calcium(%)Calcium (%) 0.400.40 C : N ratioC: N ratio 80~112:180-112: 1 Magnesium(%)Magnesium (%) 0.360.36 독성toxicity 없음none Zinc(ppm)Zinc (ppm) 7.507.50 악취stink 없음none Copper(ppm)Copper (ppm) 3.103.10 Lignin(%)Lignin (%) 41~4541-45 Phosphorous(%)Phosphorous (%) 0.010.01 Cellulose(%)Cellulose (%) 36~4336 ~ 43

상기 식생포트 내부에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혼합상토(600)가 채워진다.The vegetation pot is filled with a mixed clay 600 as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식생포트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An embodiment of the vegetation po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먼저, 상기 식생 포트만을 이용하여 식생 포트 내부 공간에 모종을 심고, 토양에 상기 지지면(700)을 안착시키고, 고정핀(710) 등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면과 토양을 고정시킨다.First, planting seedlings in the inner space of the vegetation pot using only the vegetation port, seating the support surface 700 in the soil, and using the fixing pin 710 to fix the support surface and the soil.

그 후, 상기 식생포트를 토양으로 덮어서 식재하게 된다.Thereafter, the vegetation pot is covered with soil to be planted.

이 구성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This configuration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상기 지지면(700)에 의해 상기 식생포트는 토양에 안정적으로 고정된다.The vegetation pot is stably fixed to the soil by the support surface 700.

따라서, 식생포트가 토양에 식재된 상태에서 비, 바람 등에 의해 토양에서 쓸리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식생포트가 토양에서 유실되는 것이 방지된다.Therefore, the vegetation pot is prevented from being lost in the soil because the vegetation pot is prevented from being swept out of the soil by rain, wind, etc. in the state of being planted in the soil.

복수 개의 상하방향의 리브(520)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재배 식물의 측면 뿌리를 측벽(500) 내측의 리브(520)를 따라서 식생포트의 아래쪽으로 유도할 수 있다.Since a plurality of ribs 520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re provided, the lateral roots of the cultivated plants may be guided downward along the ribs 520 inside the sidewall 500.

그 결과 뿌리가 나선형상으로 신장하는 것을 방지하여 식생포트 내부에서 일어나는 뿌리돌림 현상을 막을 수 있다.As a result, roots can be prevented from extending in a spiral shape, thereby preventing rooting from occurring inside the vegetation port.

따라서 엉킨 뿌리를 자르는 작업이 불필요해져 식물의 영양섭취에 불가피한 흡수근의 손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This eliminates the need for cutting tangled roots and reduces damage to absorbed muscles, which is inevitable for nutrient intake of plants.

또한, 식생포트 내부에 리브(520)가 형성됨으로써, 식생포드 내부의 단면적이 증가하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rib 520 is formed inside the vegetation port,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vegetation pod increases.

따라서 식물의 영양분 저장고 역할을 하는 식생포트가 식생포트(200) 내의 상토와 모종의 뿌리에 접촉하는 단면적이 많아짐으로써 상토와 뿌리에 보다 많은 영양분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vegetation pot, which serves as a nutrient reservoir of the plant, has a larger cross-sectional area in contact with the topsoil and the roots of the seedlings in the vegetation pot 200, thereby providing more nutrients to the topsoil and the roots.

이로 인해 모종은 영양분이 풍부해진 상토에서 보다 많은 영양분을 흡수하게 되어 모종의 성장과 뿌리활착에 도움되는 이점이 있다.Because of this, the seedlings absorb more nutrients from the rich soil, which has the advantage of helping the growth and rooting of the seedlings.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식생 포트의 제조과정은 다음과 같다.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vegetation po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먼저 식물에서 채취한 천연섬유를 가공하지 않은 상태에서 섬유 하나하나를 원사와같은 형태로 가공하지 않은 상태에서 포트형태로 압축하여 식생 포트를 제작하게 된다.First, natural fiber collected from plants is not processed, and each fiber is compressed into a port form without processing into a yarn-like form to produce a vegetation pot.

본 발명의 식생포트는 다양한 천연섬유의 원료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나 코이어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Vegetation po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through a variety of raw materials of natural fiber, but it is preferable to use a coir.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식생 포트는 상부가 개구된 원통 또는 사각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The vegetation por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ylindrical or square cylinder shape with an upper opening.

상기 식생 포트는 측벽(800)과 상기 측벽에 연결된 바닥면 그리고 상기 측벽(80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지지면(900)으로 이루어진다.The vegetation port includes a sidewall 800, a bottom surface connected to the sidewall, and a support surface 900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sidewall 800.

상기 지지면(900)은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지만, 상기 바닥면과 인접한 측벽(800) 또는 바닥면에 부착되어 상기 측벽(80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upport surface 900 may be formed at various locations, but the support surface 900 may be attached to the side wall 800 or the bottom surface adjacent to the bottom surface to protrude outward of the side wall 800.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식생 포트는 지지면(900)이 형서되지 않은 상태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Vegetation port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of the support surface 900 is not in a state of course.

이는, 코이어섬유를 가공하지 않은 상태에서 섬유 하나하나를 원사와같은 형태로 가공하지 않은 상태에서 포트형태로 압축하기 때문에 식생 포트가 토양에 잘 활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비, 바람에 의한 외부환경에 의해 토양에서 유실되는 것을 방지되기 때문이다.This means that the vegetation pots can stick well to the soil because the fibers are not processed and each fiber is compressed into a port form without being processed into a yarn-like form. This is because the environment is prevented from being lost in the soil.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지면(900)의 부착위치는 도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벽(800)의 상단, 상기 측벽(800), 그리고 상기 측벽(800)의 하단에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도5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모양으로 측벽(800)의 측면에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ttachment position of the support surface 900 may be formed at the top of the sidewall 800, the sidewall 800, and the bottom of the sidewall 800, as shown in FIGS. 1 to 6. In particular, as shown in FIG. 5 and FIG. 6, it is possible to be formed on the side of the side wall 800 in the shape of a wing.

상기 지지면(900)은 상기 측벽(800) 또는 바닥면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지만, 상기 측벽(800) 또는 상기 바닥면과 탈부착이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support surface 90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side wall 800 or the bottom surface, but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side wall 800 or the bottom surface.

이 경우, 끈을 이용하여 묶는 방법 등을 통해서, 상기 지지면(900)을 상기 측벽(800) 또는 바닥면에 탈부착 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upport surface 900 may be attached or detached to the side wall 800 or the bottom surface through a method of tying using a string.

상기 측벽(800)과 지지면(900) 그리고 바닥면에는 균근균이 첨가된다.Mycorrhizal bacteria are added to the side wall 800, the support surface 900, and the bottom surface.

균근(Mycorrhizae)이란 식물의 어린 뿌리가 토양 중에 있는 곰팡이와 공생하Mycorrhizae is a plant whose roots are symbiotic with fungi in the soil.

는 형태로서 구체적으로 곰팡이가 기주식물에 무기염을 대신 흡수하여 전달해 주고, 기주식물이 곰팡이에 탄수화물을 전해줌으로써 공생관계를 유지하는 균을 말한다.Specifically, the fungus is a fungus that absorbs and transfers inorganic salts to host plants instead, and the host plants maintain a symbiotic relationship by delivering carbohydrates to the fungi.

상기 측벽(800)과 지지면(900) 그리고 바닥면을 이루는 코이어와 상기 균근균의 중량비는 제한되지 않으며,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중량비가 변화될 수 있다.The weight ratio of the core and the mycorrhizal forming the side wall 800 and the support surface 900 and the bottom surface is not limited, and the weight ratio may be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하지만, 상기 코이어 80~90% 중량비, 균근균 10~20% 중량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coir is composed of 80 to 90% by weight, mycorrhizal fungi 10 to 20% by weight.

상기 식생포트 내부에는 혼합상토(300) 채워진다.The mixed clay 300 is filled in the vegetation pot.

상기 혼합상토는 황토, 참숯가루, 그리고 코코넛 화이버와 초기 식물 생장에 있어서 필수적인 5대 영양소인 질소, 인, 칼륨, 마그네슘, 칼슘으로 이루어져 있다.The mixed clay consists of ocher, charcoal flour, and coconut fiber and five nutrients essential for early plant growth, nitrogen, phosphorus, potassium, magnesium and calcium.

상기 혼합상토에 함유되는 코코넛화이버, 황토, 참숯가루, 그리고 5대영양소의 중량비는 제한되지 않으며,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중량비가 변화될 수 있지만, 상기 혼합상토는 코코넛화이버 50~90% 중량비, 황토20~30% 중량비, 참숯가루 10~20% 중량비, 5대 영양소인 질소, 인, 칼륨, 마그네슘 또는 칼슘 5~10% 중량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weight ratio of coconut fiber, loess, charcoal powder, and five major nutrients contained in the mixed clay is not limited, and the weight ratio may be changed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but the mixed clay is 50 to 90% of coconut fiber. It is preferably composed of a weight ratio, ocher 20-30% weight ratio, charcoal powder 10-20% weight ratio, five to five nutrients nitrogen, phosphorus, potassium, magnesium or calcium 5-10% weight ratio.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식생포트의 일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An embodiment of the vegetation po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먼저, 상기 식생 포트만을 이용하여 식생 포트 내부 공간에 모종을 심어 재 배할 수 있다.First, seedlings may be planted in a space inside the vegetation port using only the vegetation port.

이때, 토양에 상기 지지면(900)을 안착시키고, 상기 지지면(900)을 토양을 고정시킨다.At this time, the support surface 900 is seated on the soil, and the support surface 900 is fixed to the soil.

또한, 상기 지지면(900)에 상기 측벽(800)의 측면 또는 측벽(800)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을 경우, 상기 지지면(900)이 토양에 잘 덮혀서, 상기 지지면(800)과 토양과의 접촉하는 단면적이 넓어지도록 한다.In addition, when the support surface 900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side wall 800 or the top of the side wall 800, the support surface 900 is well covered with soil, so that the support surface 800 and the soil Make the cross-sectional area in contact with the wider.

그 후, 상기 식생포트를 토양으로 덮어서 식재하게 된다.Thereafter, the vegetation pot is covered with soil to be planted.

하지만 식생포트 자체만으로는 식생포트 내부에 수용되는 상토의 모양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분이 안정적으로 지지받지 못해 손상될 염려가 있다.However, since the vegetation pot itself does not stably fix the shape of the soil contained inside the vegetation pot, there is a risk that the powder may not be stably supported and damaged.

이와 같은 이유로, 상기 식생포트를 원예용포트 내부에 안착시켜 모종을 키우고, 모종이 자란 후에는 원예용포트와 식생포트를 분리한 후 식생포트를 토양에 식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this reason, it is preferable that the vegetation pot is seated inside the garden pot to grow seedlings, and after the seedlings are grown, the garden pot and the vegetation pot are separated, and then the vegetation pot is planted in the soil.

이때, 상기 바닥면에서 지지면(900)을 분리하여 식생포트를 원예용포트 내부에 안착시게 된다.At this time, by separating the support surface 900 from the bottom surface is to be placed inside the vegetation pot gardening port.

이후, 원예용포트에서 분리한 식생포트를 토양에 식재하는 경우, 상기 바닥면 또는 측벽(800)에 상기 지지면(900)을 부착한 후 상기 식생포트를 토양에 식재한다.Then, in the case of planting the vegetation port separated from the garden pot in the soil, after attaching the support surface 900 to the bottom or sidewall 800 and planting the vegetation port in the soil.

이 구성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This configuration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상기 지지면(900)에 의해 상기 식생포트는 토양에 안정적으로 고정된다.The vegetation pot is stably fixed to the soil by the support surface 900.

따라서, 식생포트가 토양에 식재된 상태에서 비, 바람 등에 의해 토양에서 쓸리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식생포트가 토양에서 유실되는 것이 방지된다.Therefore, the vegetation pot is prevented from being lost in the soil because the vegetation pot is prevented from being swept out of the soil by rain, wind, etc. in the state of being planted in the soil.

실제 조경 공사 식재 시 원예용 포트와 분을 분리할 때 식생 포트로 인해 분의 깨짐을 방지하여 분의 원형을 그대로 식재하기 때문에 식물의 고사율을 낮추고 뿌리의 활착률을 높여 하자 보수율을 낮출 수가 있다.When separating gardening pots and flour during the actual landscaping planting process, the vegetation pot prevents the cracking of the flour, so the planting of the flour is planted as it is, thus reducing the mortality rate of the plant and increasing the sticking rate of the roots.

그리하여 많은 노동력과 인건비를 상당 부분 줄일 수 있으며 분이 깨지지 않기 때문에 원예용 포트에 형성되어 있는 분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으며 조경공사에 활용하면 빠른 시간 내에 생태계를 복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a lot of labor and labor costs can be reduced a lot, and because the minutes are not broken, the minutes formed in the gardening pot can be maintained as it is, and when used for landscaping, there is an advantage of restoring the ecosystem in a short time.

균근균이 혼합된 상기 측벽(800)과 지지면(900) 그리고 바닥면은 토양에서 빠른 기간에 자연분해가 된다.The side wall 800, the support surface 900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mycorrhizal fungi are spontaneously decomposed in the soil.

이렇게 식생포트가 빠른 기간에 자연분해가 됨으로써, 모종 뿌리의 활착과 성장에 보다 효과적인 도움이 될 수 있다.As this vegetation pot is decomposed quickly, it may be more effective for the rooting and growth of seedling roots.

상기 혼합상토는 코코넛화이버로 인해 보수성, 통기성과 보비성을 높이있다.The mixed soil has a high water retention, breathability and bobbin due to the coconut fiber.

또한, 황토에 의해 PH의 안정도를 유지하고 미생물의 활발한 활동으로 인한 살균 및 정화작용을 이끌어낸다.In addition, loess maintains the stability of PH and leads to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due to the active activity of microorganisms.

또한, 참숯가루는 땅의 온도편차를 완화하여 안정된 온도를 유지하며, 투수성과 통기성의 우수성으로 인한 병충해 면역강화 발근력의 촉진으로 뿌리 활착률을 높이고 질소, 인, 칼륨, 마그네슘, 칼슘는 안정적으로 건강한 모종을 육모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charcoal powder maintains stable temperature by alleviating the temperature variation of the ground, and improves root rooting rate by promoting disease-immune strengthening rooting ability due to excellent permeability and breathability. It has the effect of hair growth.

본 발명에 따른 식생포트는 토양에 식재된 식생포트가 비, 바람에 의한 외부환경에 의해 토양에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식생포트를 제공하는데 적합하다.The vegetation p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uitable for providing a vegetation pot which can prevent the vegetation pots planted in the soil from being lost in the soil by the external environment caused by rain and wind.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생포트의 사시도 및 확대도1 is a perspective view and an enlarged view of a vegetation po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생포트의 사시도2 to 6 are perspective views of the vegetation po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생 포트가 안착 된 원예용 포트의 단면도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gardening port seated vegetation po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토양에 식재된 식생포트의 단면도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vegetation pots planted in the soi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리브가 형성된 식생포트의 사시도9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getation pot with rib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리브가 형성된 식생포트의 사시도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getation pot with rib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리브가 형성된 식생포트의 평면도11 is a plan view of a vegetation pot with rib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토양에 식재된 식생포트의 단면도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vegetation pots planted in the soi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코이어를 압축하여 제조한 식생포트의 사시도13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getation pot prepared by compressing a coi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코이어를 압축하여 제조한 식생포트의 단면도1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vegetation pot prepared by compressing a coi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코이어를 압축하여 제조한 식생포트의 사시도15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getation pot prepared by compressing a coi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코이어를 압축하여 제조한 식생포트의 단면도1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vegetation pot prepared by compressing a coi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측벽 110:천연섬유로프100: side wall 110: natural fiber rope

120: 바닥면 130: 지지면120: bottom surface 130: support surface

200: 원예용포트 300: 혼합상토200: garden pot 300: mixed soil

500: 측벽 510: 바닥면500: side wall 510: bottom surface

520: 리브 600: 혼합상토520: rib 600: mixed soil

700: 지지면 800: 측벽700: support surface 800: side wall

900: 지지면900: support surface

Claims (4)

측벽;Sidewalls; 상기 측벽에 연결되는 바닥면;A bottom surface connected to the side wall; 상기 측벽에 형성되는 지지면을 포함하되,Including a support surface formed on the side wall, 상기 지지면은 상기 측벽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The support surface is form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side wall, 상기 지지면은 상기 측벽에 탈부착 가능하며,The support surface is detachable to the side wall, 상기 측벽,상기 바닥면, 그리고 상기 지지면은 천연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포트.The side wall, the bottom surface and the support surface is a vegetation pot,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natural fibers.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천연섬유는 황마에서 얻어지는 섬유로 이루어지며,The natural fiber is made of fibers obtained from jute, 상기 천연섬유에는 균근균이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포트.Vegetal pot characterized in that the mycorrhizal fungi are mixed in the natural fibe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측벽,상기 바닥면, 그리고 상기 지지면은 천연섬유인 코이어를 압축하여 이루어지며,The side wall, the bottom surface, and the support surface is made by compressing a natural fiber coir, 상기 코이어에는 균근균이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포트.Vegetation pot characterized in that the mycorrhizal fungi are mixed in the coir. 삭제delete
KR1020080136677A 2008-12-30 2008-12-30 a flowerpot KR1010982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6677A KR101098253B1 (en) 2008-12-30 2008-12-30 a flowerpo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6677A KR101098253B1 (en) 2008-12-30 2008-12-30 a flowerpo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8420A KR20100078420A (en) 2010-07-08
KR101098253B1 true KR101098253B1 (en) 2011-12-23

Family

ID=42639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6677A KR101098253B1 (en) 2008-12-30 2008-12-30 a flowerpo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825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8244A (en) * 2010-12-17 2012-06-27 (주)에코원 Ecopot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of
KR101432577B1 (en) * 2014-02-06 2014-08-21 주식회사 포이엔 Raising seeding tra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4462Y1 (en) 2001-11-23 2002-02-19 이상석 cultivation mat on the roof
KR200405135Y1 (en) 2005-10-07 2006-01-10 박우구 The Pot for Growing Seedling
KR100819511B1 (en) * 2007-03-12 2008-04-04 이관준 Mesh po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4462Y1 (en) 2001-11-23 2002-02-19 이상석 cultivation mat on the roof
KR200405135Y1 (en) 2005-10-07 2006-01-10 박우구 The Pot for Growing Seedling
KR100819511B1 (en) * 2007-03-12 2008-04-04 이관준 Mesh po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8420A (en) 201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9511B1 (en) Mesh pot
CN102771363B (en) Special culture medium for Lilium spp. and Lilium spp. culture method
KR101351930B1 (en) A method of licorice culture using tube
KR101263675B1 (en) Media for cultivating mushroom containing water hyacinth, and method of cultivating mushroom using the same
MX2013003809A (en) Plant growth medium.
CN106386353A (en) Seedling growing method of tender branch cutting for keteleeria cyclolepis flous
CN103733842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eony cultivation container by utilizing original ecological material
CN101473754A (en) Cultivation method for preventing damage of successive crop
CN104140337A (en) Float breeding substrate formula and application thereof
CN106912318A (en) A kind of light cultivation matrix of grape pot
KR20110057827A (en) Compost for cultivation of ginseng complex
KR101359047B1 (en) A production method of vegetation mat which could product a chrysanthemum seedings for long time storage
KR100717545B1 (en) A soilless lawn for growth fabric
CN107853046A (en) A kind of wet-land pine tree industrial cuttage method for culturing seedlings
KR20130068290A (en) Mat system to plant chrysanthemum for a flower bed
KR101098253B1 (en) a flowerpot
CN106386125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hrub potted plant
CN108432534A (en) Pecan tree does sth. in advance the promotion method of result
JP3806732B2 (en) Plant growth container
CN102415269A (en) Cuttage propagation method for Juniperus horizontalis &#39;Golden Carpet&#39;
CN106688836A (en) Lily cultivation medium for promoting natural and environmental growth
CN105948936B (en) A kind of seedling medium suitable for torrid areas plant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purposes
KR100402827B1 (en) The method of vegetation mat and the component method of mixture soil in vegetation mat
KR20180047634A (en) Formed culture soil for flowerpot
CN106613706A (en) Mucuna sempervirens bonsai plant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