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7751B1 - 숙면 유도기 - Google Patents

숙면 유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7751B1
KR101097751B1 KR1020090061127A KR20090061127A KR101097751B1 KR 101097751 B1 KR101097751 B1 KR 101097751B1 KR 1020090061127 A KR1020090061127 A KR 1020090061127A KR 20090061127 A KR20090061127 A KR 20090061127A KR 101097751 B1 KR101097751 B1 KR 1010977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p
main body
oxygen
user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1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3717A (ko
Inventor
조윤성
Original Assignee
조윤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윤성 filed Critical 조윤성
Priority to KR1020090061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7751B1/ko
Publication of KR20110003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37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7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77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1/02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for inducing sleep or relaxation, e.g. by direct nerve stimulation, hypnosis, analgesia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2Gases
    • A61M2202/0208Oxyge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esthes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sych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숙면 유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밝은 대낮과 같이 잠을 청하기 어려운 부적합한 환경에서도 침대나 이불에 눕거나 혹은 의자에 앉아서도 편안한 취침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숙면 유도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머리를 받쳐 눕기에 적당한 폭과 길이를 갖는 평판형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단 일 측으로부터의 부채식 개폐를 통해, 사용자 얼굴에 조사되는 빛을 차단토록 한 돔형 블라인드와; 그리고, 상기 본체의 바닥면에 더 부착결합됨에 따라, 각종 의자의 등받이에 상기 본체를 밀착고정시켜 사용 가능케 하기 위한 탄력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본체는, 사용자의 머리를 떠받치기에 적당한 폭을 가진 "∩"형 평판구조로 이루어지되, 만곡부 가장자리 전체에 일정높이 수직한 테두리벽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벽과 일정간격 평행상태를 유지하게 된 격벽이 평탄면 내측에 일체로 더 상향 돌출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테두리벽의 외측 단부에는, 별도의 음향재생장치를 수용보관할 수 있도록 거치홀더가 구비결합되고, 상기 거치홀더와의 근접 단부에는, 상기 음향재생장치의 이어폰소켓에 끼움 접속시켜 음향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는 핀잭이 구비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격벽의 양 선단부 내면에는, 산소캔 또는 산소탱크로부터 산소를 공급받아 사용자의 얼굴 주변으로 방출시키기 위한 분사노즐이 각각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수면, 숙면, 유도, 백색소음, 습도, 산소, 블라인드, 차양판

Description

숙면 유도기{Induction apparatus for a sound sleep}
본 발명은 숙면 유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밝은 대낮과 같이 잠을 청하기 어려운 부적합한 환경에서도 침대나 이불에 눕거나 혹은 의자에 앉아서도 편안한 취침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숙면 유도기에 관한 것이다.
인간다운 삶의 기본요건은 의식주(衣食住)의 욕구 충족이며, 이 세 가지의 욕구가 모두 충족되어야만 인간은 건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건강(健康 / Health)의 사전적 의미로는 정신적인 혹은 육체적인 이상의 유무를 주안(主眼)으로 본 몸의 상태를 말한다. 또한,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질병이 없거나 허약하지 않은 것, 신체적·정신적·사회적으로 완전히 안녕(安寧)한 상태에 놓여있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
이러한 건강을 유지함에 있어, 필수적이고도 기본적인 생리기능 중의 하나인 수면(睡眠, sleeping)은 일상생활로 피로해진 육체나 정신의 기능들을 회복시켜주며, 흐트러진 균형을 다시 맞춰주고 가역(可逆 / Reversible, 물질의 상태가 한 번 바뀐 다음 다시 본디 상태로 돌아갈 수 있는 것.)적으로 재충전 시켜줌으로써 우리들이 깨어있을 때 최상의 활동이 가능하도록 해준다.
반면, 제대로 수면을 취하지 못할 경우 활력이나 자발성 그리고 동기나 의욕의 감퇴, 피로와 무기력·두통·과민상태·불안·우울증 등을 초래하고 낮 활동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게 되며, 심하게는 사망에 이르기까지 한다.
예컨대, 직장인 및 수험생과 같은 현대인들 대다수가, 갈수록 치열해지는 경쟁과 쌓이는 스트레스 그리고 주변환경 등으로 숙면(熟眠, A sound sleep)을 취하기가 어려운 현실로 인해 피로를 호소하고 있으며, 이는 전술한 수면부족시의 신체 부작용과도 일맥상통한다.
이에 다소나마 도움이 되기 위하여, 국내공개특허 제10-2009-19376호에서는, 사용자 스스로 몸을 돌리지 않고도 머리를 주기적으로 기울어지게 하는 반복적인 시소운동으로 코골이 예방 및 긴장을 완화시켜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된 복합기능 숙면 유도기를 개시한바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복합기능 숙면 유도기를 나타낸 사시도로써, 종래의 복합기능 숙면 유도기는, 상부 덮개(910)와 하부몸체(920)로 분리되고 편심캠(934)의 승강으로 상기 상부덮개(910)의 좌,우측을 번갈아가며 기울임 작용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상부덮개(910)에는 머리를 안착시키게끔 고무패드(913)가 구비된 머리안착부(911)를 사이에 두고 좌,우 대칭으로 측두근을 지압하는 옆머리 받침(912)을 복수개 형성하고, 상기 하부몸체(920) 중앙부 일측에 모터(930)를 장착하며, 상기 모터(930)의 구동축(931)에 연결된 기어장치(932)에 치합되어 연동되는 길이방향 종동축(933)의 양단에 상기 편심캠(934)을 결합하고, 상기 하부몸체(920)의 일 측으로는 수면으로 뇌파를 유도하는 음향출력을 위한 음향재생장치(963)가 장착되어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상기 모터(930) 구동에 의한 각 편심캠(934)의 엇갈림 교대회전 작용을 통해 상기 상부덮개(910)가 좌,우로 반복적 기울임 작용을 일으키도록 함으로써, 상기 상부덮개(910)를 베고 누워있는 사용자 머리의 근육 긴장을 완화시킴과 동시에 기도를 개방하여 코골이를 방지하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 상부덮개(910) 상에 단순히 사용자가 머리를 올려놓게만 된 것일 뿐, 충분한 수면을 취하기에 적합한 빛 차단기능을 발휘할만한 그 어떠한 장치도 마련되어 있지 않은 관계로 인해, 한낮에 부족한 잠(수면)을 청하려는 이들에게 아무런 도움이 되지 못하는 사용상 제한의 문제점이 있어 왔다.
또한, 상기 모터(930)의 구동과 더불어 상기 모터(930) 구동에 의한 상기 구동축(931)과 상기 편심캠(934)의 연동시 발생하는 진동과 소음이 상기 상부덮개(910)를 타고 사용자에게 그대로 전달될 수밖에 없어, 흔히 잠귀가 밝은 예민한 사용자들이 취침을 방해할 뿐더러 혹여 잠이 들었다 하더라도 숙면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더하여, 상기 음향재생장치(963)를 통해 뇌파에 유익한 음향을 출력하여 수면을 유도한다고는 하나, 상기 모터(930) 구동시 형성되는 자기장에 의한 전자파 발생과 더불어 기계적 소음발생으로 인해 되려 뇌파를 불안정하게 만들어 잠을 청 하는 이가 사실상 숙면을 취할 수 없도록 하는 폐단을 일으켜 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주변의 빛이 사용자의 얼굴에 직접적으로 조사됨을 방지하여 한낮에도 편안히 취침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함과 함께 수면 중의 호흡시 필요한 산소방출 및 습도유지 그리고 뇌파 안정을 위한 백색소음의 출력을 통해 숙면을 가능케 하도록 한 숙면 유도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의자의 등받이와 같이 경사구조를 갖는 물품에도 본체를 간단히 고정시킬 수 있는 밴드를 구비하여, 의자에 편안하게 앉아 기댄 상태로도 사용이 편리하도록 한 숙면 유도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숙면 유도기는, 머리를 받쳐 눕기에 적당한 폭과 길이를 갖는 평판형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단 일 측으로부터의 부채식 개폐를 통해, 사용자 얼굴에 조사되는 빛을 차단토록 한 돔형 블라인드와; 그리고, 상기 본체의 바닥면에 더 부착결합됨에 따라, 각종 의자의 등받이에 상기 본체를 밀착고정시켜 사용 가능케 하기 위한 탄력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본체는, 사용자의 머리를 떠받치기에 적당한 폭을 가진 "∩"형 평판구조로 이루어지되, 만곡부 가장자리 전체에 일정높이 수직한 테두리벽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벽과 일정간격 평행상태를 유지하게 된 격벽이 평탄면 내측에 일체로 더 상향 돌출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테두리벽의 외측 단부에는, 별도의 음향재생장치를 수용보관할 수 있도록 거치홀더가 구비결합되고, 상기 거치홀더와의 근접 단부에는, 상기 음향재생장치의 이어폰소켓에 끼움 접속시켜 음향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는 핀잭이 구비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격벽의 양 선단부 내면에는, 산소캔 또는 산소탱크로부터 산소를 공급받아 사용자의 얼굴 주변으로 방출시키기 위한 분사노즐이 각각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숙면 유도기는, 돔 형태의 블라인드를 이용하여 잠을 청하기 위한 사용자의 얼굴을 감싸도록 함으로써 한낮의 밝은 빛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산소캔 혹은 산소탱크로부터 수면 호흡시 충분한 산소 방출과 동시에 물의 자연증발을 통한 주변 습도를 적정하게 유지시켜주도록 하여 상기 블라인드로 얼굴을 가릴 경우에도 대기 상태를 쾌적하게 이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백색소음 청취로 인한 뇌파의 안정을 도모하고 코골이 및 무호흡증 등과 같은 수면장애의 치료와 아울러 취침하는 이의 숙면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가져다준다.
이와 함께, 침대나 이불 위에 누워서 사용함에 더하여 평소 휴대하고 다니면서 사무용 의자나 자동차 시트 또는 비행기 좌석 등에 즉시 장착함과 같이 언제 어 디서나 어떠한 자세에서도 간편히 적용시켜 사용할 수 있는 아주 유용한 발명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중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숙면 유도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숙면 유도기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숙면 유도기의 내부구조 및 블라인드의 개폐관계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숙면 유도기에 있어서, 덮개판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부분절개사시도이며,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숙면 유도기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2 내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숙면 유도기(A)는, 머리를 받쳐 눕기에 적당한 폭과 길이를 갖는 평판형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상단 일 측으로부터의 부채식 개폐를 통해 사용자 얼굴에 조사되는 빛을 차단토록 한 돔형 블라인드(2)와, 상기 본체(1)의 바닥면에 더 부착결합됨에 따라 각종 의자의 등받이에 상기 본체(1)를 밀착고정시켜 사용 가능케 하기 위한 탄력밴드(3)로 구성된다.
본체(1)는, 침대나 이불 위 혹은 바닥에 누워 잠을 청할 경우 일반 베개와 같이 사용 가능하면서도 수면 호흡시의 충분한 산소공급 및 적당한 습도유지와 함 께 뇌파를 안정시켜 숙면을 유도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머리를 떠받치기에 적당한 폭을 가진 "∩"형 평판구조로 이루어지되, 만곡(彎曲)부 가장자리 전체에 일정높이 수직한 테두리벽(11)이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테두리벽(11)과 일정간격 평행상태를 유지하게 된 격벽(12)이 상기 본체(1)의 평탄면 내측에 일체로 더 상향 돌출형성된다. 이로 인해, 상기 테두리벽(11)과 상기 격벽(12) 사이로 상기 블라인드(2)의 수용을 위한 내재공간(1a)이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더하여,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의 평탄면 일 측을 횡으로 가로질러 상기 격벽(12) 양측과 연계되는 복수의 횡벽(13)(14)이 일정간격을 두고 추가로 각각 상향 돌출형성됨으로써, 수면시 필요한 산소공급용 산소캔을 넣어둘 수 있는 수납공간(1b) 및 습도유지를 위한 물을 담아둘 수 있는 담수공간(1c)이 마련된다. 한편, 상기 수납공간(1b)과 상기 담수공간(1c)의 상단 개구부를 밀폐하기 위하여 덮개판(15) 및 그릴판(16)이 각각 더 거치결합된다.
상기 덮개판(15)은, 상술한 수납공간(1b)에 상기 산소캔 외에도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발생시키는 고체산소(Solidoxygen) 또는 방향제 등의 고형화된 물질을 넣어둘 경우 해당 성분의 원활한 외부배출을 목적으로 선택 개폐가 가능한 다공(多孔) 구조를 갖는다. 이를 위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장공형 상부슬릿(15a)이 상부패널에 일정간격마다 관통형성되고, 상기 상부패널의 길이방향 양단을 "ㄷ"자형으로 각각 하향 절곡함을 통해 하부에 슬라이딩판(15-1)이 추가로 더 밀착 구비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판(15-1) 전체에는 상기 상부슬릿(15a)과 동일한 다수의 하부슬릿(15-1a)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판(15-1)의 일측 상단 가장자리에는 상기한 상부패널 상단으로 외부노출된 상태에서 좌,우로 조작할 수 있는 레버(15-11)가 구비결합됨에 따라, 상기 상,하부슬릿(15a)(15-1a)의 중복 연통 또는 엇갈림 밀폐 위치설정이 가능하다.
상기 그릴판(16) 전체에는, 상기 담수공간(1c)에 담긴 물의 가습을 가능케 한 다수의 장공형 관통슬릿(16a)이 일정패턴을 따라 관통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담수공간(1c) 내에 별도의 팬(Fan, 도시하지 않음)을 더 구비하여 증발효력을 배가시킬 수도 있음이 바람직하다.
이와 더불어, 상기 횡벽(13)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1) 상부의 다른 일 측에는, 사용자의 머리를 편안히 받쳐줄 수 있는 베개(17)가 구비결합된다.
한편, 상기 테두리벽(11)의 양 끝단 근접 단에는 상기 블라인드(2) 회동의 기준점을 형성하는 힌지공(11a)이 관통되고, 상기 테두리벽(11) 상단 내측 전체는 상기 블라인드(2)를 완전히 펼쳐놓을 경우의 한계범위 결정을 위한 절곡테(111)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테두리벽(11)의 외측 단부에는, 통상의 MP3와 같은 음향재생장치(도시하지 않음)를 수용보관할 수 있게 된 거치홀더(112) 및 상기 음향재생장치의 이어폰소켓에 끼움 접속시켜 음향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는 핀잭(113)이 구비결합되고, 별도의 호스연결을 통해 외부에서 산소를 직접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한 소켓(114)이 구비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격벽(12)의 양 선단 내면에는, 상기 핀잭(113)을 통해 전달된 신호를 청취음향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된 스피커(121)와, 상기 수납공간(1b)에 넣어둔 산소캔이나 상기 소켓(114)에 연결된 산소탱크로부터 산소를 공급받아 사용자 얼굴 주변으로 방출시키기 위한 분사노즐(122)이 각각 구비되어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힌지공(11a)과 대향하는 상기 격벽(12)의 외단부에는, 상기 블라인드(2)의 선단이 걸리도록 하여 블라인드(2)의 펼침 범위를 사용자의 눈높이에 따라 조절가능하게 하는 3개의 걸림돌기(123)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블라인드(2)는, 상기 본체(1)의 베개(17)를 베고 누운 사용자의 얼굴을 가려 주변의 조도(照度)를 낮춤과 같이 최적의 수면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재공간(1a)에 중첩 수용되거나 부채형 펼침 구조를 이루게 된 다수의 차양판(21)과, 상기 차양판(21)들의 각 끝단을 연이어 관통함과 동시에 상기 본체(1)의 힌지공(11a)에 삽입됨에 의해 상기한 차양판(21)들의 공통 회동점을 형성하는 힌지핀(22)으로 구성된다.
상기 차양판(21)은, 중앙부 폭이 크고 그로부터 양측으로 점차 감소 폭을 형성하여 양 끝단이 뾰족한 형태를 이루는 것에 의해, 각기 연계된 모든 차양판(21)들을 펼쳐놓을 경우 반구형 돔(Dome) 구조를 갖도록 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차양판(21)의 선단 마구리(테)면 내측에는 절곡단턱(211)이 형성되고, 후단 마구리면 내,외측에는 외향단턱(212) 및 내향단턱(213)이 각각 형성됨으로써, 다수의 상기 차양판(21)들이 중첩형으로 접히거나 부채형으로 펼쳐질 수 있는 것이다.
탄력밴드(3)는, 각종 의자의 등받이에 상기 본체(1)를 밀착고정시켜 상체를 일으킨 앉은 자세에서도 본 발명을 활용토록 하기 위한 것으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의 밑바닥에 부착결합되고 상기한 의자의 등받이를 둘러 압박할 수 있음이 바람직하다.
미설명부호, (h)는 상기 그릴판의 한켠에 개폐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형성된 삽입공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발명에 따른 숙면 유도기(A)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핀(22)을 이용하여 상기한 차양판(21)들이 공통 회동 기준점을 갖도록 하는 단일의 상기 블라인드(2)를 구비결합한다.
그 다음, 상기 블라인드(2)의 양 외측으로 더 돌출된 상기 힌지핀(22)을 각각 상기 본체(1)의 힌지공(11a)에 끼움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본체(1)의 일측으로 상기 블라인드(2)가 펼쳐지거나 접힐 수 있는 본 발명의 숙면 유도장치(A)를 구성한다.
이후,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납공간(1b)에 산소캔을 넣어두는 한편 상기 담수공간(1c)에는 적당한 물을 담아두는 것으로, 상기 격벽(12) 내면에 구비된 상기 분사노즐을 통해서는 산소가 방출되도록 하고, 상기 그릴판(16)의 상기 관통슬릿(16a)들을 통하여는 물의 자연증발에 의한 가습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는, 상기 블라인드(2)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얼굴을 감싸 협소한 밀폐공간 을 형성함으로 인하여, 얼굴 주변의 산소가 부족하지 않도록 보충하면서도 적당한 습도의 유지를 위함이다.
한편, 상기한 산소캔을 대신하여 상기 수납공간(1c)에 고체산소 또는 방향성분을 분출시키는 방향제로 대체시켜 사용할 수도 있으며, 해당 성분의 방출을 위해서는 상기 덮개판(15)의 상부슬릿(15a)과 하부슬릿(15-1a)이 연통하도록 함으로써 이룰 수 있음이 가능하다.
계속해서, 상기 본체(1)의 테두리벽(11) 외면에 구비결합된 상기 거치홀더(112)에 음향재생장치(MP3 등)를 별도 수용 거치함과 동시에 상기 핀잭(113)을 상기한 음향재생장치의 이어폰소켓에 접속시켜 상기 격벽(121) 내면에 더 구비된 상기 스피커(121)를 통하여 음향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음향재생장치에 내장된 파도소리·빗방울소리·새소리 등과 같이 주파수 대역 없이 광범위한 랜덤사운드라 일컫는 백색소음(White noise)의 출력을 통해, 심신이 안정될 때 나오는 뇌파(腦波 / Brain wave, 알파파)를 유도하고 수면 도중의 호흡이 원활하도록 하여 코골이 및 무호흡증의 원인 치료와 숙면을 취할 수 있는 환경의 제공을 위함이다.
이어서, 최초 상기 내재공간(1a)에서 다수의 상기 차양판(21)이 중첩되는 접이식 구조를 이뤄 상기 블라인드(2)가 수용되도록 한다. 즉, 하나의 차양판(21) 외향단턱(212)이 다른 차양판(21)의 내향단턱(213)과 상호 밀착하는 식으로 모든 차양판(21)들을 동일하게 중첩시켜 상기 내재공간(1a)에 상기한 블라인드(2)를 수용시킬 수 있는 것이며, 각 차양판(21)들의 내향단턱(213) 내면으로 상호 근접 배치 된 다른 차양판(21)들 각각의 외향단턱(212) 외면이 밀착됨에 따라 가능하다.
이 상태에서,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을 청하기 위한 사용자는 상기 베개(17) 위에 머리를 벤 다음 상기 블라인드(2)를 반구형(돔) 구조로 펼쳐서 얼굴을 가리고 침대 혹은 이불 위에 누워서 편안한 수면을 취하게 된다.
한편,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의 각종 의자의 등받이 전면에 밀착시켜 놓은 다음 상기한 탄력밴드(3)를 이용하여 단단히 고정시켜줌으로써 앉은 자세로써도 사용할 수 있다. 때문에, 평소 휴대하고 다니면서 사무용 의자 또는 자동차 시트 및 항공기 좌석 등받이 등에 즉시 활용이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복합기능 숙면 유도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숙면 유도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숙면 유도기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숙면 유도기의 내부구조 및 블라인드의 개폐관계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숙면 유도기에 있어서, 덮개판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부분절개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숙면 유도기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A : 숙면 유도기, 1 : 본체, 1a : 내재공간
1b : 수납공간, 1c : 담수공간, 2 : 블라인드
3 : 탄력밴드, 11 : 테두리벽, 11a : 힌지공
12 : 격벽, 12a : 내향홈, 13, 14 : 횡벽
15 : 덮개판, 15a : 상부슬릿, 15-1 : 슬라이딩판
15-1a : 하부슬릿, 15-11 : 레버, 16 : 그릴판
16a : 관통슬릿, 17 : 베개, 21 : 차양판
22 : 힌지핀, 111 : 절곡테, 112 : 거치홀더
113 : 핀잭, 114 : 소켓, 121 : 스피커
122 : 분사노즐, 123 : 걸림돌기, 211 : 절곡단턱
212 : 외향단턱, 213 : 내향단턱

Claims (14)

  1. 사용자의 머리를 떠받치기에 적당한 폭을 가진 "∩"형 평판구조로 이루어지되, 만곡부 가장자리 전체에 일정높이 수직한 테두리벽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벽과 일정간격으로 평행을 유지하도록 형성된 격벽이 평탄면 내측에 일체로 더 상향 돌출형성된 평판형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단 일 측으로부터의 부채식 개폐를 통해 사용자 얼굴에 조사되는 빛을 차단하기 위한 돔형 블라인드; 및
    상기 본체의 바닥면에 더 부착결합됨에 따라, 각종 의자의 등받이에 상기 본체를 밀착고정시켜 사용 가능케 하기 위한 탄력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테두리벽과 상기 격벽 사이로 상기 블라인드의 수용 보관을 위한 내재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본체의 평탄 상면 일 측을 횡으로 가로질러 상기 격벽 양측과 연계되는 복수의 횡벽이 일정간격을 두고 추가로 각각 상향 돌출형성됨으로써 산소캔을 넣어둘 수 있는 수납공간 및 습도유지를 위한 물을 담아둘 수 있는 담수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수납공간과 상기 담수공간의 상단 개구부를 밀폐하기 위하여 덮개판 및 그릴판이 각각 더 거치결합되되,
    상기 덮개판은, 다수의 장공형 상부슬릿이 상부패널에 일정간격마다 관통형성되고, 상기 상부패널의 길이방향 양단을 "ㄷ"자형으로 각각 하향 절곡함을 통해 하부에 슬라이딩판이 추가로 더 밀착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딩판 전체에는, 상기 상부슬릿과 중복 연통되거나 엇갈림 밀폐될 수 있는 다수의 하부슬릿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판의 일측 상단 가장자리에는 상기 상부패널 상단으로 외부노출된 상태에서 좌,우로 조작하여 상기 상,하부슬릿의 연통과 밀폐를 조작할 수 있는 레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면 유도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 측 상에는, 사용자의 머리를 받쳐줄 수 있는 베개가 더 구비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숙면 유도기.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벽의 외측 단부에는, 별도의 음향재생장치를 수용보관할 수 있도록 거치홀더가 구비결합되고,
    상기 거치홀더와의 근접 단부에는, 상기 음향재생장치의 이어폰소켓에 끼움 접속시켜 음향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는 핀잭이 구비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숙면 유도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벽의 외측 단부에는, 별도의 산소탱크를 외부에서 연결하여 산소를 공급받을 수 있게 한 소켓이 구비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숙면 유도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의 양 선단부 내면에는, 산소캔 또는 산소탱크로부터 산소를 공급받아 사용자의 얼굴 주변으로 방출시키기 위한 분사노즐이 각각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숙면 유도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의 외단부에는, 상기 블라인드의 선단이 걸리도록 하여 상기 블라인드의 펼침 범위를 사용자의 눈높이에 따라 조절가능하게 돌출된 다수의 걸림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면 유도기.
  9. 삭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릴판 전체에는, 상기 담수공간에 담긴 물의 가습을 가능케 한 다수의 장공형 관통슬릿이 일정패턴을 따라 관통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숙면 유도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라인드는, 상기 내재공간에 중첩 수용되거나 부채형 펼침 구조를 이루게 된 다수의 차양판과,
    상기 차양판들의 각 끝단을 연이어 관통함과 동시에 상기 본체의 테두리벽 일측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차양판들의 공통 회동점을 이루도록 된 힌지핀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숙면 유도기.
  12.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의 양 선단부 내면에는, 상기 핀잭을 통해 전달된 신호를 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는 음향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된 스피커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숙면 유도기.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판은, 중앙부의 폭이 크고 그로부터 양측으로 폭이 점차 감소하여 양 끝단이 협소한 형태를 이룸으로써, 각기 연계된 모든 차양판들을 펼쳐놓을 경우 반구형 돔(Dome) 구조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숙면 유도기.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판의 선단 마구리면 내측에는 절곡단턱이 형성되고, 후단 마구리면 내,외측에는 외향단턱 및 내향단턱이 각각 형성됨에 따라,
    다수의 상기 차양판들이 상호 중첩 접이되거나 부채형으로 펼쳐질 수 있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숙면 유도기.
KR1020090061127A 2009-07-06 2009-07-06 숙면 유도기 KR1010977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1127A KR101097751B1 (ko) 2009-07-06 2009-07-06 숙면 유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1127A KR101097751B1 (ko) 2009-07-06 2009-07-06 숙면 유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3717A KR20110003717A (ko) 2011-01-13
KR101097751B1 true KR101097751B1 (ko) 2011-12-27

Family

ID=43611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1127A KR101097751B1 (ko) 2009-07-06 2009-07-06 숙면 유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77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4255B1 (ko) 2013-04-22 2013-11-01 주식회사 비에스앤코 엘이디 광을 이용하는 피부광선조사기
KR102528813B1 (ko) * 2022-11-29 2023-05-09 정사교 안락의자 또는 매트리스에서 사용할 수 있는 친환경 숙면용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3105B1 (ko) * 2015-04-17 2017-01-05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커버부가 구비된 숙면도움장치
KR102065815B1 (ko) * 2016-04-15 2020-01-13 한진규 불면증 환자용 시계
CN106562628A (zh) * 2016-10-24 2017-04-19 浙江理工大学 一种带有收纳式遮光隔音篷和雨衣的u型枕
KR101964787B1 (ko) * 2018-02-02 2019-04-02 최창규 기능성 직물이 탈착 가능한 프레임
CN110150893B (zh) * 2018-02-13 2024-04-23 永艺家具股份有限公司 多功能座椅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89862A (ja) * 2005-09-29 2007-04-12 Nisshin:Kk 頭部顔面用ドームとその使用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89862A (ja) * 2005-09-29 2007-04-12 Nisshin:Kk 頭部顔面用ドームとその使用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4255B1 (ko) 2013-04-22 2013-11-01 주식회사 비에스앤코 엘이디 광을 이용하는 피부광선조사기
WO2014175499A1 (ko) * 2013-04-22 2014-10-30 주식회사 비에스앤코 엘이디 광을 이용하는 피부광선조사기
CN104334233A (zh) * 2013-04-22 2015-02-04 嬖啊思公司 使用led光的用于皮肤的光束辐照器
KR102528813B1 (ko) * 2022-11-29 2023-05-09 정사교 안락의자 또는 매트리스에서 사용할 수 있는 친환경 숙면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3717A (ko) 2011-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7751B1 (ko) 숙면 유도기
US20120210516A1 (en) Travel pillow
EP0578378A1 (en) Improved lounger chair
US7546652B1 (en) Colic swing
US877033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tion of noise during sleep
KR100972060B1 (ko) 경혈 지압용 베개
KR200483101Y1 (ko) 기능성 등받이 목베개
JP3147396U (ja) 快眠枕
KR100802997B1 (ko) 간이용 베개
JP2004351217A (ja) 伏臥就寝、休養又は治療用クッション用具
JP3132068U (ja) 枕装置
KR100939081B1 (ko) 베개
CN200954230Y (zh) 按摩椅的头罩装置
US20170000680A1 (en) Decorative cushion massage device
KR100609437B1 (ko) 건강 베개
JP2008043354A (ja) 伏臥用クッション装置
JP3137030U (ja) 高さと硬さの調整可能な快眠枕
JP2006340942A (ja) マットレス及び該マットレスを備えたベッド
JP3038326U (ja) 発泡合成樹脂製クッション材
CN209284807U (zh) 一种改善睡眠亚健康的生物多功能枕
CN210227664U (zh) 用于心理治疗访问的抱枕
JPS6311955Y2 (ko)
KR200396542Y1 (ko) 릴랙스 매트
KR100665859B1 (ko) 팔베개
JP3140048U (ja) 伏せ寝用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