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7683B1 - 웨어링 제조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웨어링 제조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7683B1
KR101097683B1 KR1020110068688A KR20110068688A KR101097683B1 KR 101097683 B1 KR101097683 B1 KR 101097683B1 KR 1020110068688 A KR1020110068688 A KR 1020110068688A KR 20110068688 A KR20110068688 A KR 20110068688A KR 101097683 B1 KR101097683 B1 KR 1010976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 ring
resin solution
reinforcing fibers
piston
polyester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8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영직
Original Assignee
윤영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영직 filed Critical 윤영직
Priority to KR1020110068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76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7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76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7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30Shaping by lay-up, i.e. applying fibres, tape or broadsheet on a mould, former or core; Shaping by spray-up, i.e. spraying of fibres on a mould, former or c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58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fillers only, e.g. particles, powder, beads, flakes, spheres
    • B29C70/6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fillers only, e.g. particles, powder, beads, flakes, spheres the filler influencing the surfac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 e.g. by concentrating near the surface or by incorporating in the surface by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8/00Winding webs
    • B65H18/08Web-winding mechanism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2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pparatu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eating of textile materials, not restricted to a particular kind of apparatus, provided for in groups D06B1/00 - D06B21/00
    • D06B23/02Roll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7/00Heating or cooling textile fabrics
    • D06C7/02Set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07Polyes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Reinforced Plastic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웨어링 제조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웨어링 제조방법은 유압실린더 내부의 피스톤 및 로드 부위에 장착되는 웨어링을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복수개의 권취롤러에 보강섬유를 장착하는 보강섬유 장착단계와; 상기 권취롤러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복수층의 보강섬유를 공급받아 폴리에스테르 수지용액을 보강섬유에 분사노즐로 분사함으로써 함침(含浸)하는 수지함침단계와; 폴리에스테르 수지용액이 함침된 복수층의 보강섬유를 가압롤러로 압착하여 서로 밀착시키는 보강섬유 밀착단계와; 밀착된 복수층의 보강섬유를 성형금형으로 이송하여 원하는 사이즈의 웨어링 형태의 소재로 성형하는 성형단계와; 웨어링 형태의 소재를 그 형태를 따라 절단하여 웨어링을 생산하는 소재절단단계와; 상기 소재절단단계에서 생산된 웨어링에 열처리를 하는 열처리단계;로 구성되어, 품질이 균일한 웨어링을 생산하고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웨어링 제조방법 및 장치{Manufacturing Method and Equipment of Wear Ring}
본 발명은 웨어링 제조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품질이 균일한 웨어링을 생산하고 재료비를 절감하며 작업공정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웨어링 제조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웨어링이란 유압실린더 내부의 피스톤 및 로드 부위에 장착하여 사용함으로써 피스톤과 로드를 가이드하고 횡하중을 지탱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피스톤과 실린더 내벽 또는 로드와 실린더 헤드와 같은 작동부품 간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주로 사용되기도 한다.
이러한, 웨어링은 대개, 수지함침된 보강섬유를 맨드럴(금형)에 적층 성형한 후 경화오븐을 통하여 성형한 소재를 열처리하고, 맨드럴을 보강섬유로부터 분리한 후 CNC가공선반을 통하여 성형소재의 내경, 외경 및 폭을 가공하고, 이를 다시 내,외경의 모따기작업 및 절단작업, 버제거작업을 거쳐 웨어링을 제조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웨어링 제조방법은 복잡한 제조공정을 거쳐야 함으로써 웨어링의 작업시간 및 작업 비용이 많이 소모되는 문제가 있었으며, 제조하고자 하는 웨어링의 크기에 따라 맨드럴의 금형 또한 각각 준비하여야 하는 문제로 생산비용 및 작업시간이 증대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CNC선반을 통하여 생산하고자 하는 웨어링을 가공하게 됨으로써 CNC가공선반의 크기에 따른 웨어링 가공 과정의 한계로 인하여 대형 웨어링을 생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손쉽게 작업을 이룰 수 없었으며, 웨어링을 제조한 후에도 제조된 웨어링이 균일한 편차를 이루도록 정밀하게 가공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들로 인하여 본 출원인은 2009년 6월 16일에 웨어링 제조방법이라는 발명 명칭으로 출원을 하였는데(출원번호 : 10-2009-0053246), 이러한 본 출원인의 발명을 직접 실시해보니 대형와인딩기계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웨어링의 치수정밀도 향상을 위하여 복수회의 연마작업을 하게 되어 재료비가 상승할 뿐만 아니라 분진이 대량으로 발생하고, 수지함침이 균일하지 않아서 균일한 품질의 웨어링 생산에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웨어링에 폴리에스테르 수지용액을 균일하게 함침시켜 품질이 균일한 웨어링을 생산할 수 있는 웨어링 제조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성형금형을 사용하여 보강섬유를 웨어링 형태로 성형함으로써 재료비를 절감하고 작업공정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웨어링 제조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웨어링 제조방법은 유압실린더 내부의 피스톤 및 로드 부위에 장착되는 웨어링을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복수개의 권취롤러에 보강섬유를 장착하는 보강섬유 장착단계와; 상기 권취롤러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복수층의 보강섬유를 공급받아 폴리에스테르 수지용액을 보강섬유에 분사노즐로 분사함으로써 함침(含浸)하는 수지함침단계와; 폴리에스테르 수지용액이 함침된 복수층의 보강섬유를 가압롤러로 압착하여 서로 밀착시키는 보강섬유 밀착단계와; 밀착된 복수층의 보강섬유를 성형금형으로 이송하여 원하는 사이즈의 웨어링 형태의 소재로 성형하는 성형단계와; 웨어링 형태의 소재를 그 형태를 따라 절단하여 웨어링을 생산하는 소재절단단계와; 상기 소재절단단계에서 생산된 웨어링에 열처리를 하는 열처리단계;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한 본 발명의 웨어링 제조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웨어링 제조장치는 보강섬유를 감는 복수개의 권취롤러와; 상기 권취롤러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복수층의 보강섬유를 공급받아 보강섬유에 폴리에스테르 수지용액을 함침(含浸)하는 수지함침장치와; 상기 수지함침장치를 거친 복수층의 보강섬유를 상측과 하측에서 가압하여 밀착시키는 가압롤러와; 상기 가압롤러를 거침으로써 밀착된 복수층의 보강섬유를 원하는 사이즈와 형태로 성형하여 웨어링 형태의 소재를 만드는 성형금형과; 웨어링 형태의 소재를 이송하는 이송기와; 상기 이송기를 통하여 전달된 웨어링 형태의 소재를 그 형태를 따라 절단하여 웨어링을 생산하는 절단기와; 절단기의 절단에 의하여 생산된 웨어링에 열처리를 하는 열처리로;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지함침장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용액이 수용되어 있는 수지용액탱크와; 상기 수지용액탱크와 유입배관에 의하여 연결되어 수지용액탱크로부터 폴리에스테르 수지용액을 공급받는 수지펌프와; 유출배관에 의하여 상기 수지펌프로부터 폴리에스테르 수지용액을 공급받는 수지저장탱크와; 상기 수지저장탱크에 복수개가 연결되어 상기 보강섬유의 이동경로상에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을 이루며 배치되고, 복수의 분사노즐이 구비되어 폴리에스테르 수지용액을 보강섬유에 분사하는 분출배관;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지펌프는 상기 유입배관에 연결되고, 내부에 하부피스톤이 구비된 하부실린더와; 상기 하부실린더와 일정거리 이격되게 연결되고, 피스톤로드에 의하여 하부피스톤과 연결되는 상부피스톤이 내부에 구비되며, 상단과 하단에 각각 상부공기 유출입홀과 하부공기 유출입홀이 형성된 상부실린더;로 구성되되, 상기 하부공기 유출입홀을 통하여 상부실린더 내부에 공기가 유입되면 상부피스톤이 상승하면서 하부피스톤을 끌어올려 하부실린더 내부에 폴리에스테르 수지용액이 유입되고, 상기 상부공기 유출입홀을 통하여 상부실린더 내부에 공기가 유입되면 상부피스톤이 하강하면서 하부피스톤을 하측으로 밀어 하부실린더 내부의 폴리에스테르 수지용액이 유출배관을 통하여 수지저장탱크로 이송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웨어링 제조방법 및 장치는 성형금형으로 웨어링 소재의 사이즈를 맞추어 생산하므로 원자재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에 복수회에 걸쳐 시행되던 연마공정을 줄여 작업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수지펌프의 분사노즐로 보강섬유에 강하게 폴리에스테르 수지용액을 분사함과 아울러 가압롤러를 복수층의 보강섬유를 밀착시키고 열처리를 함으로써, 웨어링 소재의 조직을 균일화하여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웨어링 제조방법을 보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웨어링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웨어링 제조장치 중 수지펌프의 작동과정을 보인 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웨어링 제조방법 및 시스템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웨어링 제조방법을 보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웨어링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이며,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웨어링 제조장치 중 수지펌프의 작동과정을 보인 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웨어링 제조방법은 유압실린더 내부의 피스톤 및 로드 부위에 장착되는 웨어링을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강섬유 장착단계(S10)와, 수지함침단계(S20)와, 보강섬유 밀착단계(S30)와, 성형단계(S40)와, 소재절단단계(S50) 및 열처리단계(S60)로 구성된다.
상기 보강섬유 장착단계(S10)는 복수개의 권취롤러(100)에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이루어진 보강섬유(T)를 장착하는 과정이다. 이때, 권취롤러(100)는 수평방향으로 일직선을 이루며 복수개가 배치되고, 이와 동일하게 그 하측에 수평방향으로 일직선을 이루며 복수개가 배치되어 상하로 각각 복수개가 설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수지함침단계(S20)는 상기 권취롤러(100)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복수층의 보강섬유(T)를 공급받아 폴리에스테르 수지용액(L)을 보강섬유(T)에 분사노즐(241)로 분사함으로써 함침(含浸)하는 과정이다. 상기 보강섬유 장착단계(S10)에서 말했듯이 권취롤러(100)는 상하로 복수개가 배치되는데, 이렇게 배치된 권취롤러(100)로부터 보강섬유가 공급되면 상하로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복수층을 이루며 보강섬유(T)가 공급된다. 이러한 복수층의 보강섬유(T)의 상측과 하측에서 각각 분사노즐(241)로 폴리에스테르 수지용액(L)을 강한 분사압으로 분출함으로써 보강섬유(T)에 함침시키는 과정이 수지함침단계(S20)이다.
상기 보강섬유 밀착단계(S30)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용액(L)이 함침된 복수층의 보강섬유(T)를 가압롤러(300)로 압착하여 서로 밀착시키는 과정이다. 보강섬유(T)가 보강섬유 밀착단계(S30)를 거치게 되면 폴리에스테르 수지용액(L)이 보강섬유(T)에 골고루 함침될 뿐만 아니라 상하에 배치된 가압롤러(300) 사이의 거리를 조정함으로써 보강섬유에 함침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용액(L)의 양을 조정할 수 있다. 이렇게 함침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용액(L)의 양을 조절하고 골고루 폴리에스테르 수지용액(L)이 함침되도록 하는 것은 균일한 성질을 갖는 품질 좋은 웨어링을 생산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상기 성형단계(S40)는 밀착된 복수층의 보강섬유(T)를 성형금형(400)으로 이송하여 원하는 사이즈의 웨어링 형태의 소재로 성형하는 과정이다. 성형금형(400)은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으로 나뉘어져 있고, 이러한 상부금형과 하부금형 사이에 보강섬유(T)를 넣고 가압하면 애초에 의도하고 있던 사이즈의 웨어링 형태가 만들어진다.
상기 소재절단단계(S50)는 상기 성형단계(S40)에서 만들어진 웨어링 형태의 소재를 그 형태를 따라 절단하여 웨어링을 생산하는 과정이다. 즉, 웨어링 형태로 성형된 소재의 가장자리에는 웨어링 형태로 성형되지 않고 남은 보강섬유(T)가 연결되어 있어서, 그러한 보강섬유(T)를 절단해야만 완전한 형태의 웨어링이 생산되므로, 절단기(600)로 웨어링 형태가 이루어지도록 소재의 가장자리를 따라 절단하여 웨어링만 남도록 하는 과정이 소재절단단계(S50)이다. 이렇게 성형금형(400)으로 성형을 하고 절단기(600)로 절단을 하면 기존에 복수회 실시되던 연마작업의 횟수를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마작업의 수가 감소됨으로써 원재료를 절감할 수 있다.
상기 열처리단계(S60)는 상기 소재절단단계(S50)에서 만들어진 웨어링에 열처리를 하는 과정이다. 이러한 열처리단계(S60)를 거침으로써 웨어링이 균일한 조직을 갖게 되고 외부조건에 의하여 변형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웨어링 제조방법을 설명하였고,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웨어링 제조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웨어링 제조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웨어링 제조장치는 복수개의 권취롤러(100)와, 수지함침장치(200)와, 가압롤러(300)와, 성형금형(400)과, 이송기(500)와, 절단기(600) 및 열처리로(700)로 구성된다.
상기 권취롤러(100)는 앞서 말한대로 수평방향으로 일직선을 이루며 복수개가 배치되고, 이와 동일하게 그 하측에 수평방향으로 일직선을 이루며 복수개가 배치되어 상하로 각각 복수개가 설치된다. 이러한 복수개의 권취롤러(100) 각각에는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이루어진 보강섬유(T)가 감겨져 있다.
상기 수지함침장치(200)는 상기 권취롤러(100)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복수층의 보강섬유(T)를 공급받아 보강섬유(T)에 폴리에스테르 수지용액을 함침(含浸)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수지함침장치(200)는 수지용액탱크(210)와, 수지펌프(220)와, 수지저장탱크(230) 및 분출배관(240)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지용액탱크(210)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용액(L)을 수용하는 용기이다.
상기 수지펌프(220)는 상기 수지용액탱크(210)와 유입배관(P1)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유입배관(P1)은 하단부가 상기 수지용액탱크(210)에 수용되어 있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용액(L)에 잠겨 있고, 상단부가 상기 수지펌프(220)에 연결되어 있다. 이렇게 수지펌프(220)가 유입배관(P1)에 의하여 수지용액탱크(210)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유입배관(P1)을 통하여 수지펌프(220)는 수지용액탱크(210)에 수용되어 있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용액(L)을 공급받는다.
이러한 수지펌프(220)는 하부실린더(221)와 상부실린더(222)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실린더(221)는 하단이 상기 유입배관(P1)의 상단에 연결되고, 내부에 하부피스톤(221a)이 구비된다.
상기 상부실린더(222)는 상기 하부실린더(221)와 일정거리 이격되게 연결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하부실린더(221)와 상부실린더(222) 사이에는 연결봉(223)이 설치되어 하부실린더(221)와 상부실린더(222)가 일정거리 이격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실린더(222) 내부에는 상부피스톤(222a)이 구비되는데, 상기 상부피스톤(222a)은 피스톤로드(221b)에 의하여 상기 하부피스톤(221a)가 연결된다. 따라서, 상부피스톤(222a)이 상부실린더(222) 내부에서 상측으로 이동하면 하부피스톤(221a)도 하부실린더(221) 내부에서 상측으로 이동하고, 상부피스톤(222a)이 상부실린더(222) 내부에서 하측으로 이동하면 하부피스톤(221a)도 하부실린더(221) 내부에서 하측으로 이동한다.
한편, 상기 상부실린더(222)의 상단과 하단에는 상부공기 유출입홀(222b)과 하부공기 유출입홀(222c)이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상부공기 유출입홀(222b)과 하부공기 유출입홀(222c)은 상부실린더(222) 내부의 상부피스톤(222a)을 움직이는 힘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하부실린더(221)와 상부실린더(222)에서의 하부피스톤(221a)과 상부피스톤(222a)의 움직임을 간단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부실린더(222)의 하단에 구비된 하부공기 유출입홀(222c)로 공기를 주입하여 상부실린더(222) 내부에 공기를 유입시키면 상부피스톤(222a)은 상부실린더(222) 내부에서 상측으로 이동한다. 이때, 상부피스톤(222a)은 피스톤로드(221b)에 의하여 하부피스톤(221a)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승하는 상부피스톤(222a)은 하부피스톤(221a)을 끌어올리게 된다. 이렇게 하부피스톤(221a)이 하부실린더(221) 내부에서 상승하면 수지용액탱크(210)에 수용되어 있던 폴리에스테르 수지용액(L)이 유입배관(P1)을 타고 하부실린더(221) 내부로 유입된다. 한편, 유입배관(P1)의 관로상에는 제1체크밸브(CV1)가 설치되어 유입배관(P1)을 통해 하부실린더(221) 내부로 유입된 폴리에스테르 수지용액(L)이 수지용액탱크(210) 쪽으로 다시 흘러가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부실린더(222)의 상단에 구비된 상부공기 유출입홀(222b)로 공기를 주입하여 상부실린더(222) 내부에 공기를 유입시키면 상부피스톤(222a)은 상부실린더(222) 내부에서 하측으로 이동한다. 상부피스톤(222a)이 하강하면 피스톤로드(221b)에 의하여 하부피스톤(221a)이 하측으로 밀려 하부실린더(221) 내부에 유입되었던 폴리에스테르 수지용액(L)이 유출배관(P2)을 통하여 수지저장탱크(230)로 이송된다.
여기서, 유출배관(P2)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유출배관(P2)은 상기 수지펌프(220)와 수지저장탱크(230)를 연결하는 것으로서, 이 유출배관(P2)의 관로상에는 제2체크밸브(CV2)가 설치되어 수지펌프(220)의 하부실린더(221)에서 유출되어 수지저장탱크(230) 쪽으로 유동된 폴리에스테르 수지용액(L)이 다시 하부실린더(221) 쪽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수지저장탱크(230)는 유출배관(P2)에 의하여 상기 수지펌프(220)로부터 폴리에스테르 수지용액을 공급받는다. 이러한 수지저장탱크(230)는 상단에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관(P3)이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수지저장탱크(230)에서 분출배관(240)으로 폴리에스테르 수지용액(L)이 공급될 때는 공기가 폴리에스테르 수지용액(L)에 혼입된 상태로 공급된다. 이렇게 공기를 폴리에스테르 수지용액(L)에 혼입시켜 분출배관(240)으로 보내는 이유는 분사노즐(241)에서 폴리에스테르 수지용액(L)을 분출하였을 때 보강섬유(T)에 더욱 함침이 잘 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분출배관(240)은 상기 수지저장탱크(230)에 복수개가 연결되어 상기 보강섬유(T)의 이동경로상에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을 이루며 배치된다. 그리고, 이러한 분출배관(240)에는 복수개의 분사노즐(241)이 구비되어 상기 수지저장탱크(230)로부터 공급받은 폴리에스테르 수지용액(L)을 보강섬유(T)에 분사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분출배관(240) 사이로 상기 권취롤러(100)에서 공급되는 보강섬유(T)가 이동하는데, 이렇게 분출배관(240) 사이에 위치되는 보강섬유(T)에 분사노즐(241)에서 강한 분사압으로 분출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용액(L)이 함침된다.
상기 가압롤러(300)는 상기 수지함침장치(200)를 거친 복수층의 보강섬유(T)를 상측과 하측에서 가압하여 밀착시킨다. 가압롤러(300)는 상측과 하측에 각각 하나씩 설치되고, 그 상측과 하측에 설치된 가압롤러(30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상측과 하측의 가압롤러(300) 사이를 지나가는 보강섬유(T)를 가압한다. 이렇게 가압롤러(300)로 보강섬유를 가압하면 보강섬유에 함침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용액(L)의 양을 조절할 수 있고, 동시에 보강섬유(T)에 폴리에스테르 수지용액(L)이 균일하게 함침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성형금형(400)은 상기 가압롤러(300)를 거침으로써 밀착된 복수층의 보강섬유(T)를 원하는 사이즈와 형태로 성형하여 웨어링 형태의 소재를 만드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성형금형(400)은 상부금형과 하부금형 한 쌍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러한 상부금형과 하부금형 사이에 보강섬유(T)를 넣음으로써 웨어링 형태의 소재를 만든다.
상기 이송기(500)는 상기 성형금형(400)에서 만들어진 웨어링 형태의 소재를 이송하는 것으로, 캐터필러(Caterpillar) 형식, 즉 무한궤도 형식의 이송장치이다.
상기 절단기(600)는 상기 이송기(500)를 통하여 전달된 웨어링 형태의 소재를 그 형태를 따라 절단하여 필요없는 보강섬유를 제거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절단기(600)를 통해서 형태적으로 완성된 웨어링이 생산된다.
상기 열처리로(700)는 상기 절단기(600)의 절단에 의하여 생산된 웨어링에 일정시간동안 일정온도의 열을 가하는, 즉 열처리를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열처리로(700)의 열처리 과정을 웨어링이 겪음으로써 웨어링 재료 조직이 균일하게 되고 이후에 외부요인에 따라 쉽게 변형되는 것이 방지된다.
S10: 보강섬유 장착단계 S20: 수지함침단계
S30: 보강섬유 밀착단계 S40: 성형단계
S50: 소재절단단계 S60: 열처리단계
100: 권취롤러 200: 수지함침장치
210: 수지용액탱크 220: 수지펌프
221: 하부실린더 221a: 하부피스톤
221b: 피스톤로드 222: 상부실린더
222a: 상부피스톤 222b: 상부공기 유출입홀
222c: 하부공기 유출입홀 223: 연결봉
230: 수지저장탱크 240: 분출배관
241: 분사노즐 300: 가압롤러
400: 성형금형 500: 이송기
600: 절단기 700: 열처리로
CV1: 제1체크밸브 CV2: 제2체크밸브
L: 폴리에스테르 수지용액 P1: 유입배관
P2: 유출배관 P3: 공기유입관
T: 보강섬유

Claims (4)

  1. 유압실린더 내부의 피스톤 및 로드 부위에 장착되는 웨어링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복수개의 권취롤러(100)에 보강섬유(T)를 장착하는 보강섬유 장착단계(S10)와;
    상기 권취롤러(100)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복수층의 보강섬유(T)를 공급받아 폴리에스테르 수지용액(L)을 보강섬유(T)에 분사노즐(241)로 분사함으로써 함침(含浸)하는 수지함침단계(S20)와;
    폴리에스테르 수지용액(L)이 함침된 복수층의 보강섬유(T)를 가압롤러(300)로 압착하여 서로 밀착시키는 보강섬유 밀착단계(S30)와;
    밀착된 복수층의 보강섬유(T)를 성형금형(400)으로 이송하여 원하는 사이즈의 웨어링 형태의 소재로 성형하는 성형단계(S40)와;
    웨어링 형태의 소재를 그 형태를 따라 절단하여 웨어링을 생산하는 소재절단단계(S50)와;
    상기 소재절단단계(S50)에서 생산된 웨어링에 열처리를 하는 열처리단계(S6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링 제조방법.
  2. 유압실린더 내부의 피스톤 및 로드 부위에 장착되는 웨어링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보강섬유(T)를 감는 복수개의 권취롤러(100)와;
    상기 권취롤러(100)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복수층의 보강섬유(T)를 공급받아 보강섬유(T)에 폴리에스테르 수지용액을 함침(含浸)하는 수지함침장치(200)와;
    상기 수지함침장치(200)를 거친 복수층의 보강섬유(T)를 상측과 하측에서 가압하여 밀착시키는 가압롤러(300)와;
    상기 가압롤러(300)를 거침으로써 밀착된 복수층의 보강섬유(T)를 원하는 사이즈와 형태로 성형하여 웨어링 형태의 소재를 만드는 성형금형(400)과;
    웨어링 형태의 소재를 이송하는 이송기(500)와;
    상기 이송기(500)를 통하여 전달된 웨어링 형태의 소재를 그 형태를 따라 절단하여 웨어링을 생산하는 절단기(600)와;
    절단기(600)의 절단에 의하여 생산된 웨어링에 열처리를 하는 열처리로(7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링 제조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지함침장치(200)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용액(L)이 수용되어 있는 수지용액탱크(210)와;
    상기 수지용액탱크(210)와 유입배관(P1)에 의하여 연결되어 수지용액탱크(210)로부터 폴리에스테르 수지용액(L)을 공급받는 수지펌프(220)와;
    유출배관(P2)에 의하여 상기 수지펌프(220)로부터 폴리에스테르 수지용액(L)을 공급받는 수지저장탱크(230)와;
    상기 수지저장탱크(230)에 복수개가 연결되어 상기 보강섬유(T)의 이동경로상에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을 이루며 배치되고, 복수의 분사노즐(241)이 구비되어 폴리에스테르 수지용액(L)을 보강섬유(T)에 분사하는 분출배관(24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링 제조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수지펌프(220)는 상기 유입배관(P1)에 연결되고, 내부에 하부피스톤(221a)이 구비된 하부실린더(221)와;
    상기 하부실린더(221)와 일정거리 이격되게 연결되고, 피스톤로드(221b)에 의하여 하부피스톤(221a)과 연결되는 상부피스톤(222a)이 내부에 구비되며, 상단과 하단에 각각 상부공기 유출입홀(222b)과 하부공기 유출입홀(222c)이 형성된 상부실린더(222);로 구성되되,
    상기 하부공기 유출입홀(222c)을 통하여 상부실린더(222) 내부에 공기가 유입되면 상부피스톤(222a)이 상승하면서 하부피스톤(221a)을 끌어올려 하부실린더(221) 내부에 폴리에스테르 수지용액(L)이 유입되고,
    상기 상부공기 유출입홀(222b)을 통하여 상부실린더(222) 내부에 공기가 유입되면 상부피스톤(222a)이 하강하면서 하부피스톤(221a)을 하측으로 밀어 하부실린더(221) 내부의 폴리에스테르 수지용액(L)이 유출배관(P2)을 통하여 수지저장탱크(230)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링 제조장치.
KR1020110068688A 2011-07-12 2011-07-12 웨어링 제조방법 및 장치 KR1010976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8688A KR101097683B1 (ko) 2011-07-12 2011-07-12 웨어링 제조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8688A KR101097683B1 (ko) 2011-07-12 2011-07-12 웨어링 제조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7683B1 true KR101097683B1 (ko) 2011-12-22

Family

ID=45506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8688A KR101097683B1 (ko) 2011-07-12 2011-07-12 웨어링 제조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76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9853B1 (ko) * 2017-08-02 2018-03-20 김선진 복합소재를 이용한 웨어링 어셈블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0237B1 (ko) 1995-12-22 1999-06-01 추호석 탄소섬유 보강 복합재 베어링 제조 방법
JPH11246676A (ja) 1998-03-02 1999-09-14 Lignyte Co Ltd Frp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588108B1 (ko) 2004-04-21 2006-06-12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자동차 범퍼용 임팩트 빔 제조 방법
KR100938098B1 (ko) 2009-06-16 2010-01-21 윤영직 웨어링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0237B1 (ko) 1995-12-22 1999-06-01 추호석 탄소섬유 보강 복합재 베어링 제조 방법
JPH11246676A (ja) 1998-03-02 1999-09-14 Lignyte Co Ltd Frp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588108B1 (ko) 2004-04-21 2006-06-12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자동차 범퍼용 임팩트 빔 제조 방법
KR100938098B1 (ko) 2009-06-16 2010-01-21 윤영직 웨어링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9853B1 (ko) * 2017-08-02 2018-03-20 김선진 복합소재를 이용한 웨어링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83094B1 (en) Rtm metho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fiber-reinforced resin molded body
CN101648420B (zh) 橡胶合金材料传动件数控加工装备
CN101913254A (zh) 多层纤维复合积层型材的立式拉挤成形工艺及装置
CN106273554B (zh) 用于制造复合增强构件的装置和方法
CN104044237A (zh) 一种制模机及其全自动加工方法
KR20120095511A (ko) 공기혼합분사를 이용한 유리섬유 강화수지 저장탱크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유리섬유 강화수지 저장탱크
KR101097683B1 (ko) 웨어링 제조방법 및 장치
CN106216421A (zh) 一种齿圈热挤压模具及其装配方法
CN107639860A (zh) 一种纤维浸渍系统
KR101258004B1 (ko) 인발성형용 금형
KR101448259B1 (ko) 연속식 섬유 강화 파이프의 제조 장치
MX2020012671A (es) Metodo para fabricar articulo moldeado de resina reforzada con fibra y dispositivo de fabricacion del mismo.
CN112246534A (zh) 一种立体纤维编织复合管道上胶系统及上胶方法
CN109747185B (zh) 一种两步法编织拉挤管道生产工艺及其设备
CN209454039U (zh) 一种设有外开模装置的注塑机
CN210390121U (zh) 一种纤维增强3d喷射成型装置
CN105729831A (zh) 碳纤维制件的生产设备及生产工艺
DE102012109671A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Fertigung einer Vorform
CN207643564U (zh) 注塑包胶自动化设备
KR101690149B1 (ko) 서포트 분리가 용이한 3차원 프린터
KR20140119254A (ko) 수지이송성형 금형용 수지 이송 유로 전환 밸브
RU152623U1 (ru) Оснастка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крыла беспилотного летательного аппарата
CN218615528U (zh) 一种复合材料环形制件的生产线
JP2024010424A (ja) 高圧タンク及び高圧タンクの製造装置
CN203592639U (zh) 一种注塑模具的顶出垫块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9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