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7650B1 - 치과용 핸드피스 감염방지구 - Google Patents

치과용 핸드피스 감염방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7650B1
KR101097650B1 KR1020100022701A KR20100022701A KR101097650B1 KR 101097650 B1 KR101097650 B1 KR 101097650B1 KR 1020100022701 A KR1020100022701 A KR 1020100022701A KR 20100022701 A KR20100022701 A KR 20100022701A KR 101097650 B1 KR101097650 B1 KR 1010976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piece
infection prevention
prevention device
hole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2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3573A (ko
Inventor
김기석
Original Assignee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22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7650B1/ko
Publication of KR20110103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35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7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76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16Protecting caps for hand-pieces or angle-pie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핸드피스용 감염방지구에 관한 것으로,
핸드피스의 헤드부와 몸체로 이어지는 목부분의 바로 아래에 다소 심한 언더컷 부분에 핸드피스 내부에 분출되는 공기압력이 발생시 이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핸드피스의 헤드 전면에 감염방지구를 씌우는 과정에서 중심은 물론 씌워 내리는 방향까지 참조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여서 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관상의 수용 공간으로 된 수용부 하단에 위치하는 돌출링이 형성되고, 수용부의 선단에 핸드피스의 헤드부 정면 중앙과 일치하는 위치에 통공을 형성하여서 된 공지의 감염방지구에 있어서,
전술한 통공을 하방이 좁고 상방이 넓은 상광하협의 형상으로 형성하고, 통공의 하방 양측에 인접하여 배기공을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핸드피스의 헤드부 후방에서 발생하는 공압이 있는 경우에도 이를 전방의 통공과 배기공으로 배출할 수 있어서 원활한 진료가 가능하게 되고 감염방지구를 장착함에 있어서 통공의 하방 모양을 참작하여 핸드피스에 신속, 정확하게 장착할 수 있게 되어 감염방지구의 효용을 유지하면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치과용 핸드피스 감염방지구{Infection Protector for Dentalhandpiece}
본 발명은 치과용 의료기구 감염방지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치아삭제 및 치아연마, 치석 제거 등 치과 진료과정에서 사용하는 핸드피스나 초음파 스케일러 등 치과용 의료기구(이하 "핸드피스"라 함)가 이물질이나 오염물질로 오염되고, 이러한 치과용 의료기구에 의하여 다른 환자들이 감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치과용 핸드피스 감염방지구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의 발명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602412호(발명의 명칭: 핸드피스용 감염방지구; 이하 '인용발명 1'이라 함)을 제안한 바 있으며, 이는 핸드피스(10)의 헤드부(1)가 삽입되어 핸드피스(10)의 둘레에 탄성으로 밀착고정되는 밀착링(21)이 형성된 삽입부(20)와,
상기 삽입부(20)에서 핸드피스(10)의 헤드부(1)로 연장되어 핸드피스(10)를 수용하는 수용부(30)와,
상기 수용부(30)의 선단에 레이저팁(2) 또는 연마기구 및 기수체 분사구(3a)와 흡인구(3b)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연통되어 핸드피스(10)의 헤드부(1) 둘레에 탄성으로 고정되는 밀착링(41)이 형성된 연통부(40)로 이루어지도록 하여서 된 것이다.
이러한 인용발명 1에 의하면 감염방지구(100)는 관체로 되는 수용부(101)의 일측 단부에 의료기구(105)의 몸체(106) 외주면에 탄성으로 밀착되는 밀착링(102)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101)의 타측에 의료기구(105)의 헤드부(107)가 삽입되는 연통부(103)가 형성되며, 연통부(103)의 단부에 의료기구(105)의 팁(108)이 통과되어 돌출되는 통공(104)이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감염방지구(100)는 의료기구(105)를 커버함으로써 환자를 진료 또는 치료할 때 상기 환자로부터 배출되는 오염물질이나 병원균이 감염방지구(100)의 표면에 접촉될 뿐 의료기구(105)에는 접촉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진료 또는 치료후 의료기구(105)에서 감염방지구(100)를 제거하고 이물질로 오염된 노출부위를 알콜 등으로 소독하고,
사용하지 않은 새 감염방지구(100)를 의료기구(105)에 장착하여 사용하게 되어 위생을 확보하고, 다수의 의료기구(105)를 구비할 필요가 없게 되는 등의 이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감염방지구(100)는 치과용 의료기구(105) 중 핸드피스에 한정된 형태로 된 것이어서 다른 치과용 의료기구에는 적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고, 상기 핸드피스에 장착할 경우에도 감염방지구(100)의 재질이 미끄러짐 없이 밀착되는 재질이어서 그 내부로 의료기구(105)를 삽입시켜 제위치에 장착되도록 하는 과정이 매우 어렵고 불편한 단점이 있다.
또한, 의료기구(105)에 감염방지구(100)를 장착하였을 때 상기 의료기구(105)의 팁(108)이 통공(104)의 중앙에 정확히 위치되어야 상기 통공(104)이 헤드부(107)를 완전 밀착하게 되어 의료기구(105)의 오염을 방지하게 되나,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감염방지구(100)의 재질 특성으로 인한 장착 어려움으로 제 위치에 정확하게 장착되지 못할 경우 의료기구(105)가 오염되는 등의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본 출원의 발명자는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830922호(발명의 명칭: 치과용 의료기구의 감염방지구; 이하 '인용발명 2'이라 함)를 추가로 제안한 바 있으며, 이는 도 1로 도시한 바와 같이 관체로 되는 수용부(11)의 일측에 치과용 의료기구(18)의 둘레에 탄성으로 밀착되는 밀착링(12)이 형성된 공지의 치과용 의료기구의 감염방지구에 있어서,
수용부(11)의 선단에 상기 수용부(11)와 일체로 형성된 꼭지부(14)와, 상기 수용부(11)와 꼭지부(14) 사이에 형성된 절개홈(13)으로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그러므로, 이는 장착을 위하여 감염방지구(10)의 수용부(11)를 밀착링(12)에서부터 돌돌 감아 말되, 꼭지부(14)에 이를 때까지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말은 다음, 핸드피스(19)의 헤드부(21) 중 팁(22)이 설치될 부분에 꼭지부(14)의 내측을 밀착시킨다.
이러한 후, 상기 감염방지구(10)의 말린부분을 핸드피스(19)의 형태를 따라가며 풀어 원래 형태로 복귀시킨다.
즉, 도 2, 3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부(21) 중의 팁(22)이 설치될 위치에서부터 시작하여 헤드부(21)전체를 거져 몸체(20) 전체에 이르도록 상기 핸드피스(19)의 형태를 따라가며 풀어주면 감염방지구(10)가 치과용 의료기구(18)인 핸드피스(19)에 완전 장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장착되면 감염방지구(10)가 그 재질의 특성상 의료기구(18)에 완전 밀착되는 것이며, 수용부(11)의 선단이 밀착링(12)에 의하여 더욱 강력하게 밀착되므로, 외부의 오염물질이나 병원균 등이 감염방지구(10) 내부로 침투되어 의료기구(18)를 오염시키게 될 우려가 전혀 없게 된다.
또한, 상기 과정으로 장착이 완료되면 도 4로 도시한 바와 같이 꼭지부(14)를 손으로 잡고 당기면 절개부(13)를 중심으로 수용부(11)와 꼭지부(14)가 분리되며, 이와 같이 꼭지부(14)를 당길 때 수용부(11)의 절개부(13) 인근도 같이 당겨지다 꼭지부(14)가 분리 이탈되면 탄성에 의하여 원래 위치로 복귀되는데, 이때 헤드부(21)의 팁(22)이 설치될 면 중앙에 정확하게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인용발명 2 역시 의료기구에 완전 밀착되어 장착되므로 진료 또는 치료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이나 감염물질이 의료기구에 접촉되는 것이 방지됨은 물론이며, 또한, 감염방지구를 의료기구에 장착할 때 쉽게 중심을 잡을 수 있게 되어 장착에 편의를 제공하게 되었다. 반면에 일반적으로 많이 쓰이는 핸드피스는 헤드부와 몸체로 이어지는 목부분의 바로 아래에 다소 심한 언더컷 부분이 있으므로, 감염방지구를 씌웠을 시 핸드피스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내부 기계 요소간의 마모로 인하여 외부로 분출되는 공기가 이러한 들떠 있을 수밖에 없는 언더컷 부분을 부풀리게 되어 풍선효과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인용발명 2의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꼭지부(14)를 이용하여 떼어낸 부위가 핸드피스의 중앙이 일치하도록 하여야 하는 바, 실제로는 이러한 중앙의 일치와 함께 둥글게 말려진 감염방지구가 씌워지는 방향까지 일치해야만 정확하게 씌워질 수 있는 것인바, 감염방지구에는 이러한 방향을 정확히 잡을 수 있는 수단이 전혀 마련되어 있지 않아 비틀린 상태로 씌우는 사례가 빈발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비틀린 부분으로 오염물질이 침투하게 되어 감염방지구의 효용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노출되었다.
대한민국등록특허제602412호(발명의명칭:핸드피스용감염방지구) 대한민국특허등록제830922호(발명의명칭:치과용의료기구의감염방지구)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치과용 핸드피스의 헤드부와 몸체로 이어지는 목부분의 바로 아래의 다소 심한 언더컷 부분에 치과용 핸드피스 내부에서 분출되는 공기압력이 발생시 이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치과용 핸드피스의 헤드 전면에 감염방지구를 씌우는 과정에서 중심은 물론 씌워 내리는 방향까지 참조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된 치과용 핸드피스 감염방지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관상의 수용 공간으로 된 수용부의 하단에 치과용 핸드피스의 둘레에 위치하는 돌출링이 형성되고,
수용부의 선단에 핸드피스의 헤드부 정면 중앙과 일치하는 위치에 통공을 형성하여서 된 공지의 감염방지구에 있어서,
전술한 통공을 하방이 좁고 상방이 넓은 상광하협의 형상으로 형성하고, 통공의 하방 양측에 인접하여 배기공을 형성하여서 된 치과용 핸드피스 감염방지구를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감염 방지구의 통공 내부 둘레면에 돌기나 그루브(Groove)를 형성하여 밀착시에도 공기가 더욱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한 치과용 핸드피스 감염방지구를 제안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감염 방지구의 하방 직경을 치과용 핸드피스의 직경보다 넓게 하거나, 감염 방지구의 하방 내부 둘레에 돌기 또는 그루브를 형성하여 핸드피스와 유니트 체어의 호스가 연결되는 접합부에서 발생하는 누설 공기가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함과 아울러, 핸드피스 취급시 핸드피스 하부의 회동부가 원활하게 회동가능하도록 한 치과용 핸드피스 감염방지구를 제안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핸드피스에 감염방지구를 장착시킴에 있어서, 통공이 헤드부의 전면 중앙에서 약간 하방으로 오도록 하되, 통공의 좁은 하방이 핸드피스의 몸체 방향을 향하도록 하여 씌워 내려지도록 함으로써 감염방지구가 신속, 간편, 정확하게 장착될 수 있는 것이며 감염방지구에 의한 오염물질 차단이 가능하게 되는 유용한 효과를 얻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핸드피스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내부 요소간의 마찰로 인하여 핸드피스 헤드부 내부에서 외부로 분출되는 공기가 목부분의 언더컷으로 집중되더라도 이는 감염방지구 통공 및 그 하방 양측에 형성된 배기공을 통하여 원활하게 배출되므로, 진료 중 풍선이 형성됨으로 인한 진료 차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이러한 핸드피스 헤드부와 몸체의 유니트 체어의 호스와 연결된 부분에서 누설되는 공기가 돌기와 그루브에 의하여 더욱 원활하게 배출되어 풍선 효과를 방지함으로써 원활한 진료가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핸드피스의 전방에 일치하게 되는 통공의 하단이 좁은 형상이기는 하나 통공 하방의 양측에 형성된 작은 직경의 배기공에 의하여 통공 하방의 신축성이 증진되므로, 자연스럽게 확장되어 통공이 원형으로 전개됨으로써 핸드피스의 전방을 원형의 통공으로 바람직하게 노출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핸드피스용 감염방지구를 보인 사시도.
도 2 내지 도 4는 종래의 치과용 핸드피스의 감염방지구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감염방지구의 전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감염방지구를 사용에 적합한 형태로 말아 놓은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감염방지구를 핸드피스에 장착하기 위하여 통공과 배기공을 이용하여 중심과 방향을 핸드피스의 헤드부와 몸체에 일치시킨 상태를 보인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감염방지구가 핸드피스의 목부분 까지 씌워진 상태를 보인 설명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감염방지구가 핸드피스에 완전 장착된 상태를 보인 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이 정상적으로 장착된 헤드부를 보인 확대 사시도.
도 11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설명도.
이러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에 본 발명에 의한 감염방지구(100)의 전체적인 형상을 전개된 상태에서 사시도로 보였다.
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핸드피스(200)의 헤드부에 장착되는 상부의 통공(101)을 상광하협의 물방울 형상으로 형성하였다. 아울러, 이러한 통공(101)의 협소한 하부 양측에는 배기공(10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하단에는 감염방지구를 말아 치과용 의료기기에 씌우기 쉽도록 링상으로 된 돌출링(103)을 구비하여 예시된 핸드피스(200)에 씌웠을 시 하단 둘레에 돌출링(103)이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감염방지구(100)는 그 내부에 핸드피스(200)의 헤드부(201)와 몸체(202)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104)가 형성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감염방지구(100)의 형상을 살펴보면 핸드피스(200)의 헤드부(201)와 몸체(202)의 형상과는 거리가 있으나, 감염방지구(100)는 그 재질의 신축성과 유연성으로 인하여 씌우는 과정에서 변형되어 오염물질이 침투되지 않도록 밀착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감염방지구(100)는 실제 사용을 위하여 감염방지구(100)의 수용부(104)를 돌출링(103)에서 부터 돌돌 감아 말되, 통공(101) 및 배기공(102)이 노출될 때까지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말아 준비하며, 이러한 상태를 도 6으로 도시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준비한 다음 도 7로 보인 바와 같이 핸드피스(200)의 헤드부(201) 중앙 팁부분을 중심으로 본 발명에 의한 감염방지구(100)의 통공(101) 중앙이 일치되도록 접촉시키면서 아울러 통공(101) 하방 중앙이 핸드피스(200)의 몸체(202) 중심선과 일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핸드피스(200)에 씌워 내린다.
이어서, 도 8로 보인 바와 같이 감염방지구(100)의 돌출링(103)이 핸드피스(200)의 헤드부(201)를 통과하도록 하며, 도9로 보인 바와 같이 감염방지구(100)의 말린부분을 핸드피스(200)의 형태를 따라가며 풀어 원래 형태로 복귀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헤드부(201) 중앙과 통공(101)이 일치하도록 하고, 통공(101) 하단의 좁은 부분이 몸체(202)의 중심선과 일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핸드피스(200)에 씌워 주고 헤드부(201) 전체를 거져 몸체(202) 전체에 이르도록 상기 핸드피스(200)의 형태를 따라가며 풀어주면 감염방지구(100)가 치과용 핸드피스(200)에 완전 장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장착되면 통공(101)은 전술한 바와 같이 물방울 모양으로 되어 있었으나, 그 하방의 배기공(102)에 의하여 하방의 협소한 부분의 신축성이 증대되어 확장되면서 원형으로 되어 핸드피스(200)의 전면 팁부분을 개방시켜 주시는 것이며, 여타 부분은 오염물질의 침투가 불가능하도록 밀착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핸드피스(200)의 전방에 일치하게 되는 통공(101)의 하단이 좁은 형상이기는 하나 통공(101) 하방의 양측에 형성된 작은 직경의 배기공(102)에 의하여 통공 하방의 신축성이 증진되므로, 자연스럽게 확장되어 통공(101)이 원형으로 전개됨으로써 핸드피스(200)의 전방을 원형의 통공으로 바람직하게 노출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한 상태에서 핸드피스(200)를 사용하게 되면 도 10으로 보인 바와 같이 핸드피스(200)의 헤드부(201) 내부에 설치된 기계 요소간의 마모로 인하여 공압이 헤드의 후부에서 발생되며, 이는 감염방지구(100)의 후방을 부풀게 하여 작업에 장애를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경우에 감염방지구(100)를 부풀게 한 압력이 통공(101)과 전방의 배기공(102)에 의하여 신축이 용이한 영역으로 이동하여 통공(101)으로 쉽게 배출될 수 있는 것이며, 이에 따라 풍선 효과가 발생하여 진료에 지장을 받게 됨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도 11a의 사시도와 11b의 단면도로 도시한 바와 같이, 감염 방지구의 통공(101) 내부 둘레면에 다수의 돌기(105)를 형성함으로써, 헤드부 주변에서 누설되는 공기가 있는 경우 누설된 공기가 다수의 돌기(105) 사이에 형성된 틈과 통공(101)으로 쉽게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도 12a의 사시도와 12b의 단면도로 도시한 바와 같이, 감염 방지구의 통공(101) 내부 둘레면에 다수의 그루브(106)를 형성함으로써, 헤드부 주변에서 누설되는 공기가 있는 경우 누설된 공기가 다수의 그루브(106) 사이에 형성된 틈과 통공(101)으로 쉽게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본 발명은 도 13로 보인 바와 같이, 감염 방지구의 수용부(104) 하방 직경을 치과용 핸드피스의 직경보다 넓게 하여, 핸드피스(200) 하방의 회동부(302)와 연결된 접속부 사이에서 발생하는 누설 공기가 쉽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감염 방지구의 하부가 부풀어 오르지 않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 14로 보인 바와 같이, 감염 방지구 하방의 수용부(104) 내부 둘레에 다수의 돌기(105')를 규칙 배열, 형성함으로써 돌기(105')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을 통하여 핸드피스와 연결된 유니트 체어의 에어 호스 접속부 사이에서 발생하는 누설 공기가 쉽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감염 방지구의 하부가 부풀어 오르지 않게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도 15로 보인 바와 같이, 감염 방지구의 수용부(104) 하방 내부 둘레에 복수개의 그루브(106')를 규칙, 배열 형성하여 핸드피스와 유니트 체어의 호스가 연결되는 접합부에서 발생하는 누설 공기가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16로 보인 바와 같이, 핸드피스(200)의 전방에 스케일러 팁을 설치하되, 전술한 여러 실시예에 의한 구성 요소를 선택적으로 조합하여 실시함으로써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의도하는 요지 및 개념 내에서 여러 공지된 요소들을 결합하거나 다양하게 변화시켜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감염방지구 101:통공 102:배기공
103:돌출링 104:수용부 105, 105':돌기
106, 106':구르브 200:핸드피스 201:헤드부
202:몸체 301:스케일러 팁 302:회동부

Claims (7)

  1. 관의 형태로 된 핸드피스 수용 공간인 수용부와, 수용부 하단에 치과용 핸드피스 몸체 둘레에 위치하는 돌출링과, 수용부의 선단에 형성되며, 핸드피스의 헤드부 정면 중앙과 일치하는 중심 위치에 형성된 통공을 구비하여서 된 공지의 감염방지구에 있어서,
    상기 통공은 하방이 좁고 상방이 넓은 상광하협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통공의 하방 양측에 형성되되 씌워진 핸드피스의 언더컷 부분에 위치되어 감염방지구가 부풀지 않도록 내측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핸드피스 감염방지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술한 통공 내부 둘레면에 다수의 돌기를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핸드피스 감염방지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술한 통공 내부 둘레면에 다수의 그루브를 형성함으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핸드피스 감염방지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술한 수용부 하방을 핸드피스의 직경보다 넓게 하여서 됨을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핸드피스 감염방지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술한 수용부 하방 내부 둘레에 다수의 돌기를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핸드피스 감염방지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술한 수용부 하방 내부 둘레에 다수의 그루브를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핸드피스 감염방지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술한 헤드부에 스케일러 팁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핸드피스 감염방지구.
KR1020100022701A 2010-03-15 2010-03-15 치과용 핸드피스 감염방지구 KR1010976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2701A KR101097650B1 (ko) 2010-03-15 2010-03-15 치과용 핸드피스 감염방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2701A KR101097650B1 (ko) 2010-03-15 2010-03-15 치과용 핸드피스 감염방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3573A KR20110103573A (ko) 2011-09-21
KR101097650B1 true KR101097650B1 (ko) 2011-12-22

Family

ID=44954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2701A KR101097650B1 (ko) 2010-03-15 2010-03-15 치과용 핸드피스 감염방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76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0396A (ko) * 2020-12-07 2022-06-14 김정희 의료 부속품용 캡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9499B1 (ko) * 2018-03-19 2020-02-11 주식회사 아폴로니아 치과용 기구 오염방지유닛, 이를 구비한 치과용 시술기구 및 세척액 공급장치
KR102424740B1 (ko) * 2020-12-23 2022-07-25 주식회사 에이치디아이 의료용 핸드피스 및 호스 커버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2412B1 (ko) 2004-11-23 2006-07-28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핸드피스용 감염방지구
KR100830922B1 (ko) 2007-03-14 2008-05-22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과용 의료기구의 감염방지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2412B1 (ko) 2004-11-23 2006-07-28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핸드피스용 감염방지구
KR100830922B1 (ko) 2007-03-14 2008-05-22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과용 의료기구의 감염방지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0396A (ko) * 2020-12-07 2022-06-14 김정희 의료 부속품용 캡
KR102508246B1 (ko) * 2020-12-07 2023-03-09 김정희 의료 부속품용 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3573A (ko) 2011-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28290A (en) Dental hand piece shield or prophylactic
KR100971889B1 (ko) 핸드피스 및 그 썩백 방지방법
JP4331677B2 (ja) 耳洗浄器
EP2020901B1 (en) Endoscopic sleeve seal
US20060292522A1 (en) Splatter shield for dental cleaning instrument
KR101097650B1 (ko) 치과용 핸드피스 감염방지구
WO2005060822A1 (ja) 内視鏡用処置具栓および処置具用栓体
KR20070110099A (ko) 치과용 핸드피스의 헤드 보호 장치 및 상기 장치가 장착된인서트용 밀봉 포장
WO2005070279A1 (ja) 内視鏡、内視鏡システムおよびフィルタユニット
JP5442079B2 (ja) 栓体及び内視鏡
US20170196645A1 (en) Protective cover coating device
KR101918020B1 (ko) 내시경 커버 장착장치
KR100830922B1 (ko) 치과용 의료기구의 감염방지구
JP2003325545A (ja) 歯科用切削装置
JP4009586B2 (ja) 内視鏡用処置具栓
KR100602412B1 (ko) 핸드피스용 감염방지구
JP4009599B2 (ja) 内視鏡用処置具栓
US20130053637A1 (en) Forceps plug for endoscope
JP3834370B2 (ja) 内視鏡用洗浄シース
US20230210645A1 (en) Aerosol evacuation system with a barrier cover
KR102226947B1 (ko) 일회용 내시경 커버 및 그 장착 제거방법
ES2946336T3 (es) Aparato de conjunto protector desechable para una jeringa dental
JP5618953B2 (ja) 鉗子栓及び内視鏡
KR200350524Y1 (ko) 핸드피스용 감염방지구
JP2011024945A (ja) カテーテル収納チュー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