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7556B1 -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 Google Patents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7556B1
KR101097556B1 KR1020097013662A KR20097013662A KR101097556B1 KR 101097556 B1 KR101097556 B1 KR 101097556B1 KR 1020097013662 A KR1020097013662 A KR 1020097013662A KR 20097013662 A KR20097013662 A KR 20097013662A KR 101097556 B1 KR101097556 B1 KR 1010975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ng state
serial bus
message
current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3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7105A (ko
Inventor
다니엘 벤카크
토마스 블록
스텐 칼센
자니 헤이크키넨
Original Assignee
노키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노키아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90087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71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7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75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66Arrangements to supply power to external peripherals either directly from the computer or under computer control, e.g. supply of power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 computer controlled power-stri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53Power saving in b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ower Sour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Systems (AREA)

Abstract

직렬 버스에 접속되는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되는데, 그 방법은 직렬 버스의 일시 정지 모드를 위한 전력 요건을 표시한 메시지를 상기 직렬 버스상에 전송하는 단계와, 수신된 인증 메시지에 응답하여 제 1 동작 상태 또는 제 2 동작 상태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일시 정지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와, 상기 동작 상태가 상기 제 1 상태이면, 상기 표시된 전력 요건에 따라, 기설정된 전류 한도를 초과하는 전류를 공급받는 단계와, 상기 동작 상태가 제 2 상태이면, 상기 기설정된 전류 한도 이하의 전류를 공급받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POWER CONTROL FOR SERIAL BUS PERIPHERAL DEVICE}
본 발명은 전력 제어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직렬 버스 접속의 일시 정지 모드(suspended mode)에서의 전력 제어에 관한 것이다.
많은 전자 장치들은 데이터 통신을 위해 개인용 컴퓨터, 랩탑 컴퓨터 또는 프린터와 같은 다른 장치와 접속되도록 구성된다. 그러한 전자 장치로는, 예를 들어, 휴대형 컴퓨터, 디지털 카메라, 매체 플레이어 또는 이동 전화등이 있다. PC나 일부 다른 장치에 대한 접속은 직렬 데이터 통신 버스를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가 빈번하다.
직렬 데이터 버스 인터페이스는, 통상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라인, 접지 라인 및 전력 라인을 포함한다. 추가의 핀 및 라인들이 존재할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에, 장치는 인터페이스상의 전력 라인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 전력 공급의 한가지 목적은, 전력 소비가 제한된 장치가 호스트 장치와 함께 동작하기 위해 추가적인 전력 공급을 가질 필요가 없도록 하는 것이다. 한가지 예시 로서, USB(Universal Serial Bus) 표준이 있다. USB 표준 사양은 장치가 얼마나 많은 전력을 소비할 것인지 및 어떤 조건하에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는지를 정의한다. 통상적으로는, 각 표준을 따르는 특정 접속 절차가 필요하며, 이후에 데이터 통신 또는 전력 공급을 위해 직렬 버스가 이용될 수 있다,
많은 장치들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 전원으로서, 배터리 또는 재충전가능 배터리를 이용하기 때문에, 고안에 있어서 전력 소비가 중요한 고려 사항이 된다. 직렬 데이터 버스상에 공급되는 전력은, 예를 들어, 배터리를 재충전하거나 장치의 일부 부품들에게 전력을 공급하는데 이용되는데, 이때, 버스를 통한 데이터 통신을 위해 이용되는 것과 동일한 인터페이스 및 접속이 이용된다. 단지 제한된 전력만을 공급하는 이동 장치(예를 들어, 재충전가능 배터리 형태)는 어떠한 장치 특성도 생략할 필요없이 가능한 오랜 동작 시간을 달성하기 위한 전력 절감 방법을 특히 필요로 한다.
예를 들어, USB에서는 호스트로부터의 전류가 인터페이스 전력 라인(Vbus)을 통해 장치로 공급된다. 호스트에 의해 공급되어 장치가 Vbus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는 최대 전류는 사전 설정되며 장치 및 관련 호스트의 전류 동작 모드에 의존한다. 장치가 취할 수 있는 여러 모드들 또는 동작 상태들이 정의되는데, 그들 각각은 전력 제한과 같은 지정된 구성을 가진다.
직렬 버스 통신이 필요치 않은 경우, 버스는 일시 정지 모드로 진입한다. 예를 들어, USB의 경우에는, 3ms초과 동안 버스 활성이 검출되지 않으면 장치는 이러한 모드로 진입할 것이다. USB 일시 정지 모드에서는 전력 소비가 단위 부하당 500 μA의 전류 공급으로 제한되며, 고전력 장치(5개의 단위 부하)에 대해서는 최대 2.5mA로 제한된다. 이것이 의미하는 것은, 일시 정지 모드의 장치가 버스 접속을 통해 임의의 전력 소모 특성을 유지하기 위한 충분한 전력을 보장받지 못하고, 일시 정지 모드 동안에는 그 자신의 내부 전력 공급에 의지해야 한다는 것이다. 내부 공급이 없거나 충분하게 충전되지 않으면, 장치의 일시 정지 모드를 인에이블하기 위해 특징들이 불활성화되어야 한다. 다른 한편, 통상적으로, 장치의 버스 통신과 관련된 부분들이 전혀 필요치 않을 경우, 일시 정지 모드로 진입하여 그 부분들을 불활성화시키는 것이 경제적이다. 또한, 장치가 USB 전력 라인을 이용하여 충전중이면, 버스가 호스트에 의해 일시 정지될 때 충전을 중지해야 한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상기 직렬 버스에 접속된 장치에 의해 직렬 버스의 일시 정지 모드를 위한 전력 요건을 표시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수신된 인증 메시지에 응답하여 제 1 또는 제 2 동작 상태를 설정하며, 상기 일시 정지 모드로 진입하며, 상기 동작 상태가 상기 제 1 상태이면, 상기 표시된 전력 요건에 따라 기설정된 전류 한도를 초과하는 전류를 공급받고, 상기 동작 상태가 제 2 상태이면, 상기 기설정된 전류 한도 이하의 전류를 공급받는 방법이 제공된다.
그 방법은 디스에이블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디스에이블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동작 상태를 설정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이에 따라, 호스트는 필요한 시점에 증가 전력 모드를 디스에이블시키고, 일시 정지 모드에서 직렬 버스에 대해 정상적인 전류 한도를 따르도록 장치에 지시한다.
일부 실시 예에 있어서, 그 방법은 버스 리셋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동작 상태를 설정하고/하거나 상기 직렬 버스로부터의 상기 장치의 접속 해제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동작 상태를 설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그 방법은 상기 디스에이블 메시지나 상기 인증 메시지에 응답하여 확인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 방법에서는, 장치가 사실상 증가된 전력을 공급받거나 받을 것임을 호스트에게 알린다.
일부 예시에 있어서, 동작 상태는 하드웨어 기반 또는 소프트웨어 기반 상태 머신에 저장된다. 호스트로부터 인증이 수신되면, 이 동작 상태는 저장되고, 후속하여, 일시 정지 모드로 진입할 때 추가 전력을 공급할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상태 머신 또는 레지스터로부터 판독된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 있어서, 메시지는 상기 직렬 버스를 통해 전송된다. 이 직렬 버스는, 예를 들어, 전자 소비재에 대한 가장 일반적인 직렬 버스 표준중 하나인 USB 표준에 따라 동작한다.
일부 실시 예에 있어서, 기 설정된 전류 한도는 2.5mA일 수 있다. 이것은 일시 정지 모드에 대해 USB 사양이 제공한 전력 한도이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일시 정지 모드로의 진입은 기 설정된 일시 정지 조건에 응답하여 이루어진다. 그러한 조건은, USB에 정의된대로 임의의 버스 활성이 없는 기 설정된 기간일 수 있지만, 다른 이벤트 또는 신호들이 일시 정지 모드를 동일하게 활성화시킬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싱 유닛상에서 실행될 때 상술한 모든 단계들을 실행하는 컴퓨터 코드 섹션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제공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가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증가 전력 소비 모드를 인에이블링하는 메시지 시퀀스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증가 전력 소비 모드를 디스에이블링하는 메시지 시퀀스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장치에서 실행되는 예시적인 방법의 단계들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직렬 버스 접속을 통해 접속된 예시적인 장치와 호스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면에 도시된 특징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또한, 도시되지 않은 소자들 및 세부 구성이 존재할 수 있다.
장치의 내부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는 방법에 대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가 안출된다. 호스트 및 그와 접속된 주변 장치간에 교환되는 메시지는, 일시 정지 모드에 있는 동안에 실제 의도한대로 호스트로부터 보다 많은 전류가 공급되는 동작 모드를 인에이블링하는데 이용된다.
설명을 위해, 용어 "증가 전력 소비 모드"는, 장치가, 일시 정지 모드(suspended mode)에서 인터페이스상에 실질적으로 특정하게 또는 통상적으로 허용되는 것보다 많은 전력을 직렬 버스 인터페이스의 전력 공급으로부터 공급받도록 하는 동작 모드를 지칭한다. "일시 정지 모드"는 직렬 버스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고, 그에 따라 적어도 일부의 장치/호스트 기능이 불활성화되고/되거나 낮은 전력 모드로 동작하는 동작 모드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USB 일시 정지 모드를 이용하면, 일시 정지 모드의 장치에 대해 지정되고 허용된 전류 드레인(current drain)은 기껏해야 2.5mA이다. 장치에 대해 상기에서 정의된 증가 전력 소비 모드가 인에이블되면, 인터페이스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는, 일시 정지 모드에 있을 때, 이러한 2.5mA의 한도를 초과한다. 본 발명의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로서 USB를 언급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전류 드레인이 제한된 일시 정지 모드 또는 대기 모드를 이용하는 다른 직렬 버스 통신 인터페이스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예시적인 방법의 여러 단계들이 약술된다. 도 1 및 도 2에는 전송되는 메시지 및 실행되는 기능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을 위한 시퀀스 다이아그램이 도시된다. 장치에서 실행되는 방법 단계들은 도 3의 흐름도에 예시적으로 도시된다.
장치(4)는 USB 호스트(2)에 부착되면, 호스트(2)를 이용하여 전체 버스 통신을 인에이블하도록 열거해야 한다(도 3의 단계 302). 정확한 열거 절차(102)는, 예를 들어, 2000년 4월 27일자 개정판 2.0의 USB 표준에 지정되어 있으며, 이는 www.usb.org를 통해 입수할 수 있고, 본 명세서에서 참조로서 인용된다. 열거 이후, 호스트는 접속된 장치에 전력 정보를 요청한다. 이를 위해, 요청 메시지(104)(모드 인에이블 시퀀스에서 이용되는 메시지에 대해 도 1 참조)가 이용될 수 있다. 장치는 그 요청을 수신하여(단계 304), 그 현재 전력 요건을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전력 요건의 결정은 현재 이용되고 있지는 않지만 추후에 이용될 수 있는 임의 부품을 참작하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전력 요건은 사전 설정되거나 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어떤 경우라도, 장치는 요청에 대해 단계(306)에서 전력 정보 메시지(106)로 응답할 수 있다. 이 메시지에는, 필요한 최대 전류가 지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 있어서, 그 메시지는, 장치가 일시 정지 모드동안에 2.5mA의 전류 한도를 초과하는 증가된 전류 소비를 필요로 하는지의 여부를 나타낸다.
호스트는, 일시 정지 모드에서 원하는 전류를 공급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공급 가능하면, 호스트는 버스 시그널링을 통해 장치에 재전송되는 추가 메시지(108)에 의해 장치에 대한 증가 전력 소비 모드를 허용한다. 필요한 경우, 호스트는 이 시점에 증가된 전력 공급을 인에이블할 수 있다. 호스트는, 그 시점 또는 항상, 일시 정지 모드에서 증가된 전류 공급을 지원하지 못하면, 일시 정지 모드에 대해 원래 지정되었던 것 보다 많은 전류를 공급할 수 없음을 장치에 알리기 위해 거절 메시지를 전송한다. 대안적으로, 메시지(106)에 전혀 응답하지 않음으로써 장치에 대한 거절을 나타낼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장치는, 예를 들어 USB 사양을 따르는 USB에 대해 일반적으로 허용되는 것보다 많은 전류를 공급받지 못한 다.
장치가 증가 전력 모드에 대한 인에이블 메시지(108)를 수신했으면(단계 308), 그 장치는 일시 정지 모드(112)에서 통상적으로 허용된 것 보다 많은 전류를 공급받는다. 선택적으로, 단계(310)에서 장치는 호스트에 전송된 인에이블 확인 메시지(110)를 이용하여 모드 인에이블을 우선적으로 승인할 수 있다. 그 장치는 최대 허용 전류량을 반드시 공급받아야 하는 것은 아니다. 실제에 있어서, 장치는 수신된 인증 및/또는 반환된 확인에 응답하여 증가 전력 모드를 나타내는 특정 동작 상태(단계 312)를 설정한다. 이것은, 예를 들어, 상태 레지스터내에 플래그(flag)나 비트를 설정하여, 인에이블되거나 디스에이블된 증가 전력 소비 모드에 대응하는 제 1 또는 제 2 동작 상태를 나타냄으로써, 실행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일부 조건들이 충족되어 일시 정지 모드로 되어야 한다(단계 314). USB의 경우, 3ms 초과의 시간동안 버스 활성이 검출되지 않으면 버스는 일시 정지되지만, 다른 조건들은 유사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일시 정지 모드는, 증가 전력 모드의 인증을 위한 상술한 메시지 시퀀스 직후에만 반드시 활성화되는 것은 아니다. 인증 메시지들은, 예를 들어, 열거 직후에 교환될 수 있다. 그 다음, 필요한 임의 시점에 장치에 의해 일시 정지 모드로 진입하며, 일시 정지 모드에서는 충분한 전류가 여전히 공급될 수 있는데, 이것은, 호스트가 이전에 이미 증가 전력 모드를 인에이블했기 때문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기반 상태 머신은 현재의 동작 상태를 저장하는데 이용되는데, 그 동작 상태는 일시 정지 모드로 진입할 때 단계(318)에서 검색될 수 있다. 현재 동작 상태의 판독이후, 장치는 일시 정지 상태에서 일반적으로 정의된 전류 한도 이하의 전류, 예를 들어, 최대 2.5mA의 전류를 공급받을 수 있으며(단계 322), 또는 증가된 전력 드레인이 가능함을 동작 상태 플래그가 나타내는 경우에는, 필요할 때 보다 많은 전류를 공급받을 수 있다(단계 320). 증가 전력 모드에서는 최대 전류 드레인이 교환된 메시지들중 한 메시지, 예를 들어, 호스트로부터 수신한 인에이블 메시지내에 정의되거나 또는 사전 설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는, 전력 요건 및 제한이 그 메시지내에 전혀 제공되지 않으며, 그에 따라 장치나 호스트는, 일시 정지 모드를 위한 전류 요건이 정상 동작 모드에서와 동일하다고 간주한다.
추가 실시 예에 있어서, 메시지 시퀀스는 나중에 교환되거나, 또는 장치에 의한 충전 사이클의 시작과 같은 특정 이벤트에 응답하여 교환된다. 그 경우, 장치는, 임의의 이전 전력 정보 요청을 수신하지 않고도, 호스트에 대한 증가 전력 요건을 대안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단계 306에서 처럼).
버스의 일시 정지 모드 및 이 모드에서의 장치의 전력 소비는 도 1 및 도 2의 메시지 시퀀스 도면에 도시된다. 인에이블 메시지(도 1의 108) 및 그에 대응하는 확인(110) 이후의 임의 시점에 일시 정지 모드(112)로 진입할 수 있다. 열거(102)와 전력 정보(104)의 사이와 같이, 일부 시퀀스들 사이에 도시된 도트들은, 임의의 추가적인 단계들, 시퀀스들 및 절차들이 그들 사이에 발생함을 나타낸다. 메시지(108,110)에 의해 증가 전력 모드가 인에이블됨에 따라, 단계(114)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전력 소비는 일시 정지 모드에서 2.5mA를 초과하게 된다.
호스트는, 임의 시점에, 증가 전력 소비 모드를 디스에이블한다. 이를 위해, 호스트는, 디스에이블 메시지(202)(디스에이블 메시지 시퀀스에 대해 도 2 참조)를 장치에 전송하며(단계 326), 그 다음 단계(328)에서 호스트에 대응하는 디스에이블 확인(204)으로 응답한다. 증가 전력 소비 모드가 디스에이블된 이후(즉, 정상 모드로 다시 설정된 이후), 장치가 일시 정지 모드로 진입하면(도 3의 단계 316 및 도 2의 206), 일시 정지 모드를 위해 지정된 전류량(USB의 경우 2.5mA) 이하의 전류를 공급받는다(단계 322/208).
장치가 호스트나 허브로부터 접속 해제되고, 또한 버스가 표준 버스 리셋을 통해 리셋되면(단계 330), 증가 전력 소비 모드는 자동적으로 디스에이블된다. 이러한 디스에이블 절차는 호스트 및 장치 사이에 어떠한 메시지의 전송도 필요로하지 않는다. 장치가, 리셋 이후 또는 재부착된 이후 다시 버스 통신 상태가 되면, 상술한 바와 같은 다른 인증 절차가 필요하게 되는데, 이는 그 장치가 일시 정지 모드 동안에 다시 증가된 전류를 공급받기 전에 이루어진다.
장치에 대한 디폴트 동작 상태는 증가된 전력 소비가 디스에이블되도록, 즉, 정상 동작 상태이어야 한다. 이에 따라 USB 장치에 대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장치가 일시 정지 모드에서 전류 제한을 따르도록 요구하는 임의의 검증 테스트를 그 장치가 통과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모든 메시지 및 명령은 벤더 특정 메시지 및 명령으로 정의된다.
도 4에 개략적으로 도시되고 설명된 예시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는 장치(4)는, 이동 통신 장치, 확장 기능을 가진 헤드셋같이 다른 장치를 위한 보조 장치, 카메라, 휴대형 또는 데스크탑 컴퓨터등일 수 있다. 호스트(2)는, 예를 들어, 다른 컴퓨터 또는 이동 컴퓨팅/통신 장치 또는 추가 장치에 접속된 직렬 허브일 수 있다. 직렬 버스 인터페이스(50a,50b)(예를 들어, USB)와, 장치(4)와 호스트(2)를 접속시키는 직렬 버스 접속(6)은 전력 라인(8)과 여러 데이터 라인(9)을 포함한다. 장치 또는 호스트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또는 제어기(10a,10b), 메모리 유닛(12a,12b), 라디오 유닛(30a,30b), 사용자 인터페이스(40), 추가 장치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여러 인터페이스 또는 입력/출력(도시되지 않음), 전력 공급 유닛(20a,20b)을 포함한다. 프로세서(10)는 메모리 유닛(12)상에 저장된 특정 기능을 수행하고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메모리 유닛(12)은 변수, 프로그램 코드, 플래그, 입력 데이터, 측정 데이터 또는 임의의 다른 유형의 저장 가능 정보와 같이, 동작 동안에 초래한 임의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그것은,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비 휘발성 또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메모리 카드와 같은 제거가능 저장 유닛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장치에 존재하는 라디오 유닛은 전송 유닛(들), 안테나(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나 코딩 소자와 같은 신호 프로세서(들)등을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40)는 장치의 기능에 의거하여 광범위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통신 유닛의 사용자 인터페이스(40)는 키패드, 키보드, 커서 소자 또는 임의의 알려진 추가적인 사용자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헤드셋은, 예를 들어, 헤드셋의 기능 및 볼륨을 조절하기 위해 버튼, 휠 또는 유사한 소자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임의 크기의 텍스트를 위한 디스플레이 또는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LED와 같은 피조사 소자(illuminated element)와 같은 비주얼 사용자 인터페이스 소자(visual user interface element)가 포함된다. 물론, 헤드셋상의 헤드폰(및 음성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이나 오디오 출력 또는 시그널링을 위한 스피커와 같은 오디오 소자들이 동일하게 제공될 수 있다. 전력은, 재충전가능 또는 재충전불가능 배터리와 같은 내부 전원 및/또는 외부 전원을 위한 인터페이스와, 여러 소자에 제공되는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소자를 포함하는 전력 유닛(20)에 의해 제공되고 제어될 수 있다. 상술한 관점에서, 예를 들어, 전력은 직렬 인터페이스의 전력 라인을 통해 제공되며, 예시적인 실시 예로서, 백업 전력 공급(backup power supply)을 위해 배터리가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장치(4), 호스트(2) 및 직렬 버스 접속(6)은 본 명세서에 도시되지 않고/않거나 설명되지 않은 추가적인 소자, 접속 및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또는 설명된 소자들의 일부는, 원하는 기능 및 응용에 의거하여, 생략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조합되거나 접속될 수 있다. "장치" 및 "호스트"는 직렬 버스 통신의 견지에서 기능적 용어로서 이해되어야 하며, 그러한 장치에 포함된 소자에 관한 어떠한 추가적인 결론을 허용해서는 안된다. 즉, 예시적인 장치(2,4)와 도 4의 그들의 소자들은 상호 교환될 수 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과 연관하여 집적화될 수 있는 장치 소자들 및 많은 다른 구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는, 예를 들어, 라디오 기능을 가진 헤드셋 및 셀룰러 폰과 같은 이동 통신 장치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호스트 및 장치(즉, 본 예시에서는 전화기 및 헤드셋)는 USB 인터페이스와 같은 직렬 버스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추가적인 접속 케이블을 통해 직간접적으로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속될 수 있다. 전화기가 USB 버스를 일시 정지시키는 경우, 이것은 2.5mA를 초과하는 전류를 공급받지 못하며, 그에 따라 버스가 일시 정지될 때 라디오 기능과 같은 임의의 개선된 기능성이 이용될 수 없음을 의미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증가 전력 소비 모드를 이용하면, 헤드셋은, 열거 이후의 일부 포인트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일시 정지 모드에 대한 그의 전력 요건을 나타냄으로써 이 모드를 요청할 수 있다. 호스트(이 경우에는 전화기)로부터 충분한 전류를 이용할 수 있으면, 증가 전력 모드를 인에이블할 수 있다. 그 다음, 장치(헤드셋)는 일시 정지일 때, 즉, USB 통신이 불활성화될 경우에도 USB 인터페이스로부터 필요한 전류를 공급받을 수 있기 때문에, 일시 정지 모드에서 추가적인 라디오 기능을 계속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설명된 단계들 중 일부는 생략되거나 다른 단계로 대체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또한, 단계들의 순서는 정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확인 메시지는 동작 상태의 설정 전에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가 설명되었지만, 이것이 특허청구범위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당업자라면, 설명된 실시 예에 대해 여러가지 수정이 이루어지고, 임의 실시 예에 대한 많은 다른 구성 또는 조합이 이와 동일한 결과를 달성할 수 있음을 알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여러 분야에 종사한 자에게, 다른 태스크에 대한 해법 및 다른 응용을 위한 개조를 제안할 것이다. 본 출원인은, 특허청구범위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를 위해 선택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이루어진 모든 정정, 본 발명의 모든 그러한 이용 및 그들의 변경을 커버한다고 간주한다.

Claims (23)

  1. 전자 장치에서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직렬 버스의 일시 정지 모드를 위한 전력 요건을 표시하는 메시지를 상기 직렬 버스상에 전송하는 단계와,
    호스트 장치로부터 수신된 인증 메시지에 응답하여 동작 상태를 제 1 동작 상태 또는 제 2 동작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일시 정지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와,
    상기 동작 상태가 상기 제 1 동작 상태이면, 상기 표시된 전력 요건에 따라, 기설정된 전류 한도를 초과하는 전류를 공급받는(drawing a current) 단계와,
    상기 동작 상태가 제 2 동작 상태이면 상기 기설정된 전류 한도 이하의 전류를 공급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디스에이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동작 상태를 상기 디스에이블 메시지에 응답하여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에이블 메시지에 응답하여 확인 메시지(confirmation message)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동작 상태를 버스 리셋에 응답하여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동작 상태를 장치가 상기 직렬 버스로부터 접속 해제(disconnection)되는 것에 응답하여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메시지(authorization message)에 응답하여 확인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상태는 하드웨어 기반형 또는 소프트웨어 기반형 상태 머신(state machine)에 저장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렬 버스는 USB 표준에 따라 동작되는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전류 한도는 2.5mA인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시 정지 모드로의 진입은 기설정된 일시 정지 조건에 응답하여 이루어지는
    방법.
  11. 호스트 장치에 의해 전자 장치의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직렬 버스의 일시 정지 모드를 위한 상기 전자 장치의 전력 요건을 표시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일시 정지 모드를 위한 전력 요건이 충족될 수 있는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전력 요건이 충족될 수 있으면, 증가 전력 모드(increased power mode) 인에이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일시 정지 모드에서의 상기 표시 전력 요건에 따라 증가 전류 드레인을 허용하도록 충분한 전류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요건이 일시 정지 모드에서 더이상 충족될 수 없음을 표시하기 위해 상기 장치에 디스에이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3. 전자 장치의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전자 장치에 의해 직렬 버스의 일시 정지 모드를 위한 전력 요건을 표시하는 메시지를 상기 직렬 버스상에 전송하는 단계와,
    호스트 장치에 의해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호스트 장치에 의해 상기 일시 정지 모드를 위한 전력 요건이 충족될 수 있는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호스트 장치에 의해 상기 전력 요건이 충족될 수 있으면 증가 전력 모드 인에이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증가 전력 모드 인에이블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전자 장치에 의해 동작 상태를 제 1 동작 상태 또는 제 2 동작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일시 정지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와,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동작 상태가 상기 제 1 동작 상태이면 기설정된 전류 한도를 초과하는 전류를 상기 표시된 전력 요건에 따라 공급받는 단계와,
    상기 동작 상태가 상기 제 2 동작 상태이면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기설정된 전류 한도 이하의 전류를 공급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 컴퓨터에 사용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내장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직렬 버스의 일시 정지 모드를 위한 전자 장치의 전력 요건을 표시한 메시지를 전송하는 코드와,
    수신된 인증 메시지에 응답하여 동작 상태를 제 1 동작 상태 또는 제 2 동작 상태로 설정하는 코드와,
    제 1 동작 상태가 설정되는지 또는 제 2 동작 상태가 설정되는지를 판정하는 코드와,
    상기 동작 상태가 제 1 동작 상태이면 기설정된 전류 한도를 초과하는 전류를 상기 일시 정지 모드에 있어서의 상기 표시된 전력 요건에 따라 공급받는 코드와,
    상기 동작 상태가 상기 제 2 동작 상태이면 상기 기설정된 전류 한도 이하의 전류를 공급받는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5. 직렬 버스의 일시 정지 모드를 위한 전자 장치의 전력 요건을 표시한 메시지를 전송하는 직렬 버스 인터페이스와,
    상기 직렬 버스 인터페이스에 접속되어, 상기 직렬 버스 인터페이스상에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에 기초하여 동작 상태를 제 1 동작 상태 또는 제 2 동작 상태로 설정하는 프로세싱 유닛과,
    상기 동작 상태에 의거하여 상기 직렬 버스 인터페이스로부터 공급받는 전류를 제한하는 전류 제한기를 포함하되,
    상기 동작 상태가 제 1 동작 상태이면 상기 공급받는 전류는 기설정된 전류 한도를 초과하며, 상기 동작 상태가 제 2 동작 상태이면 상기 전류 제한기는 공급받는 전류를 상기 기설정된 전류 이하로 제한하는
    전자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동작 상태 또는 제 2 동작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소프트웨어 기반형 또는 하드웨어 기반형 상태 레지스터를 더 포함하는
    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제 1 동작 상태가 설정되는지 또는 제 2 동작 상태가 설정되는지를 결정하는
    장치.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상기 직렬 버스의 일시 정지 모드로 진입하는
    장치.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직렬 버스는 USB 표준에 따라 동작하는
    장치.
  20. 일시 정지 모드를 위한 전자 장치의 전력 요건을 표시한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직렬 버스 인터페이스와,
    상기 직렬 버스 인터페이스에 접속된 프로세싱 유닛-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일시 정지 모드를 위한 전력 요건이 충족될 수 있는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직렬 버스 인터페이스는 상기 전력 요건이 충족될 수 있으면 증가 전력 모드 인에이블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또한 구성됨 -과,
    일시 정지 모드에서의 상기 표시 전력 요건에 따라 증가 전류 드레인을 허용하도록 충분한 전류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전력 유닛을 포함하는
    호스트 장치.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KR1020097013662A 2006-11-30 2006-11-30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KR1010975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IB2006/003421 WO2008065468A1 (en) 2006-11-30 2006-11-30 Power control for serial bus peripheral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7105A KR20090087105A (ko) 2009-08-14
KR101097556B1 true KR101097556B1 (ko) 2011-12-22

Family

ID=39467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3662A KR101097556B1 (ko) 2006-11-30 2006-11-30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235249B2 (ko)
KR (1) KR101097556B1 (ko)
CN (1) CN101573676B (ko)
WO (1) WO20080654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1115319A (en) * 2009-10-19 2011-05-01 Wistron Corp A protable electronic device and power management method
US8756445B2 (en) * 2010-01-06 2014-06-17 Apple Inc. Providing power to an accessory during portable computing device hibernation
WO2012030348A1 (en) * 2010-09-02 2012-03-0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harging port
CN103513735B (zh) * 2012-06-18 2016-04-20 国基电子(上海)有限公司 电子装置及调整电子装置工作模式的方法
CN109308111B (zh) * 2014-05-28 2022-03-01 精工爱普生株式会社 电子设备
US11237618B2 (en) 2018-07-19 2022-02-01 Dell Products L.P. System and method to maintain optimal system performance within user defined system level power cap in a changing workload environment
KR20210034431A (ko) 2019-09-20 2021-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장치와의 연결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외부 장치와 연결하여 사용할 때 소모 전류를 감소시키는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05097A (en) 1998-10-14 2000-08-15 Cypress Semiconductor Corp. Device and method for interconnecting universal serial buses including power management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12895A (ja) * 1998-01-30 1999-08-06 Nec Corp 消費電流制御方法及び装置
US6662301B1 (en) * 1999-08-27 2003-12-09 Canon Kabushiki Kaisha Computer peripheral device, its control method, image pickup device, storage medium, computer system, and computer
CA2517333C (en) * 2001-03-01 2007-11-27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powering and charging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JP2003263245A (ja) * 2002-03-07 2003-09-19 Fuji Xerox Co Ltd Usb装置
US6963986B1 (en) * 2002-06-21 2005-11-08 Cypress Semiconductor Corp. Device enumeration current reduction
GB2402271B (en) * 2003-05-27 2006-04-19 Research In Motion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a charging state in a mobile electronic device
SE527826C2 (sv) * 2003-09-10 2006-06-13 Mats Webjoern Ett laddningssystem för laddning av ackumulatororgan i en elektronisk anordning, och en laddningsapparat och en elektronisk anordning för systemet.
TWI234067B (en) * 2003-10-28 2005-06-11 Prolific Technology Inc Universal serial bus controller with power-saving mod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7509507B2 (en) * 2004-06-29 2009-03-24 Broadcom Corporation Multi-regulator power supply chip with common control bus
KR100613608B1 (ko) * 2004-09-06 2006-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절전모드 기능을 가지는 장치 및 그의 절전모드 제어방법
US7873841B2 (en) * 2006-10-30 2011-01-18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 of maintaining a USB active state without data transf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05097A (en) 1998-10-14 2000-08-15 Cypress Semiconductor Corp. Device and method for interconnecting universal serial buses including power manag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7105A (ko) 2009-08-14
US20100037074A1 (en) 2010-02-11
WO2008065468A1 (en) 2008-06-05
CN101573676A (zh) 2009-11-04
CN101573676B (zh) 2012-10-03
US9235249B2 (en) 2016-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7556B1 (ko)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EP3652612B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mode switching and storage medium thereof
US748997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supply of the apparatus
KR20120101728A (ko)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하이버네이션 동안의 액세서리로의 전력의 제공
US8438408B2 (en) Control of accessory components by portable computing device
KR102052443B1 (ko) 충전 및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
WO2020134566A1 (zh) 移动终端的Doze模式的控制方法、存储介质及移动终端
KR20110129202A (ko) 컴퓨터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KR20210034431A (ko) 외부 장치와의 연결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외부 장치와 연결하여 사용할 때 소모 전류를 감소시키는 방법
KR20200142219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저장 공간 이용 방법
CN112817896A (zh) 一种Type-C接口保护电路、方法、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US20210399561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receiving power from external electronic device
CA2809874A1 (en) Hot swapping swap media at a computing device
US20150169039A1 (en) Electronic Apparatus, Method and Storage Medium
EP2312446A2 (en) Terminal apparatus using a peripheral apparatus of another terminal via the control of one terminal, and interface method thereof
CN103198257B (zh) 在混合信息处理设备环境下的安全性重新使用
KR20160041282A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8996776B2 (en) Computing device and method for hot swapping media
KR100765234B1 (ko) 인증 코드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충전 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KR20120106480A (ko) 외부 디바이스와 결합하는 휴대 단말 및 그 구동 방법
CN111953720A (zh) 电子装置以及电子装置远程控制系统
KR100562894B1 (ko) 호스트 장치에서 디바이스 장치로의 인가전압 제어방법
JP6586832B2 (ja) 情報処理装置
JP5450231B2 (ja) キーボード接続装置
CN110708746B (zh) 通信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移动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