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2894B1 - 호스트 장치에서 디바이스 장치로의 인가전압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호스트 장치에서 디바이스 장치로의 인가전압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2894B1
KR100562894B1 KR1020040029228A KR20040029228A KR100562894B1 KR 100562894 B1 KR100562894 B1 KR 100562894B1 KR 1020040029228 A KR1020040029228 A KR 1020040029228A KR 20040029228 A KR20040029228 A KR 20040029228A KR 100562894 B1 KR100562894 B1 KR 1005628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applied voltage
level
list process
us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9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4064A (ko
Inventor
이준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텔레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텔레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텔레칩스
Priority to KR1020040029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2894B1/ko
Publication of KR20050104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40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2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28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66Arrangements to supply power to external peripherals either directly from the computer or under computer control, e.g. supply of power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 computer controlled power-strip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호스트 장치에서 디바이스 장치로의 USB 인가전압을 최적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호스트 장치의 USB 포트를 통해 연결된 디바이스 장치가 호스트 장치와 USB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호스트 장치로부터 디바이스 장치로 인가되는 최소 인가전압을 검출하고 이에 따라 공급하기 위한 인가전압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호스트 장치의 불필요한 전원소모를 절감할 수 있고, 전기적 손상에 의해 디바이스 장치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호스트 장치, 디바이스 장치, 인가 전압제어, 전원소모 절감

Description

호스트 장치에서 디바이스 장치로의 인가전압 제어방법 {Method of voltage control of USB host into USB device}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호스트 장치 및 디바이스 장치에 대한 일 실시예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호스트 장치에서 디바이스 장치로의 인가전압 제어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 흐름도.
도 3은 호스트 장치에서 디바이스 장치로의 인가전압 제어방법에 대한 다른 실시예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USB 호스트 11 : 배터리
12 : 전압변환부 13 : USB 포트
14 : 제어부 15 : 메모리
20 : USB 디바이스 21 : USB 커넥터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호스트 장치에서 디바이스 장치로의 USB 인가전압을 최적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호스트 장치의 USB 포트를 통해 연결된 디바이스 장치가 호스트 장치와 USB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호스트 장치로부터 디바이스 장치로 인가되는 최소 인가전압을 검출하고 이에 따라 공급하기 위한 인가전압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호스트 장치'란 이동통신 단말기, 개인 휴대통신 단말기(PCS), 개인용 디지털 단말기(PDA), 스마트폰, 차세대 이동통신 단말기(IMT-2000), 무선랜 단말기, 노트북, 동영상(MPEG, AVI 등) 재생기, 오디오(MP3 등) 재생기 등과 같이 개인이 휴대 가능한 단말기를 말하며, 특히 자체전원으로 구동되면서 디바이스 장치로 전원을 공급하는 단말기를 말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디바이스 장치'란 호스트 장치의 USB 포트에 연결되는 주변기기로서, 호스트 장치의 USB 포트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특히 버스-파워형(bus-power) USB 장치를 말한다.
디지탈 인터페이스 기술의 발전에 따라 호스트 장치의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를 통하여 별도의 드라이버를 탑재하지 않고서도 각종 주변기기를 쉽게 탈부착할 수 있다. USB 인터페이스란 단순히 프린터나 스캐너만을 연결하는 인터페이스가 아니라, USB 방식의 주변기기(예; 메모리, 하드 디스크, 카메라, 캠코더 등)를 손쉽게 단말기에 연결하기 위해 고안된 국제 표준규격이며, 종래의 병렬/직 렬 인터페이스의 전송속도를 개선시킨 방식이다.
USB 인터페이스(암놈포트, 숫놈포트)는 4개의 핀으로 구성된다. 이 4개의 핀 중 VBUS 핀은 전원 공급용이고, D+ 핀 및 D- 핀은 데이터 송수신용이고, 나머지 하나의 핀은 그라운드 접지용이다.
이러한 USB 인터페이스 방식의 기기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호스트 장치의 예인 이동형 USB 호스트 오디오 재생기는 제품단가를 낮추기 위해 내부 플래시 메모리에 최소한의 시스템 파일, 오디오 재생 프로그램, 코덱 등만을 저장하고 있다. 즉, 이동형 USB 호스트 오디오 재생기는 USB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외부의 USB 메모리와 통신을 수행하여 이 외부 USB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오디오 데이터를 읽어서 재생한다.
한편, 디바이스 장치는 전원구동 방식에 따라 버스-파워형과 셀프-파워형으로 나뉜다. 버스-파워형 USB 기기는 USB 커넥터 중 VBUS 핀을 통하여 호스트 장치의 USB 포트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며, 셀프-파워형 USB 기기는 자체 배터리의 전원으로 구동된다.
호스트 장치는 USB 포트에 디바이스 장치가 연결되면 VBUS 핀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한 후에 해당 기기의 하드웨어적인 특성 등을 판별하여 이 디바이스 장치를 등록한다. 여기서, 호스트 장치가 주변기기를 등록하는 과정을 버스일람(Bus Enumeration)이라고 한다. 즉, '버스일람'이란 주변기기의 정보를 보관, 관리하는 기능이며, 이러한 버스일람 프로세스를 통하여 각 기기를 관리하기 위한 하드웨어 트리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호스트 장치가 USB 포트의 VBUS 핀을 통하여 모든 디바이스 장치로 동일하게 고정된 전원을 공급한 후에 해당 디바이스 장치를 등록하여 통신을 수행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호스트 장치가 디바이스 장치의 실제적인 구동전압에 무관하게 모든 USB 기기에 고정된 전원을 동일하게 공급하기 때문에 호스트 장치가 불필요한 전원을 소모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호스트 장치는 자체전원으로 구동되는데, 저전원 구동의 디바이스 장치에도 이보다 높은 고정전원을 공급하므로 결과적으로 전원이 빨리 방전된다.
또한, 디바이스 장치는 각 제조업체별 및 각 기기 종류별로 구동전압과 기기 특성이 다양하기 때문에 고정전원을 모든 디바이스 장치에 동일하게 공급하는 것은 해당 디바이스 장치에 대해서 전기적 손상을 가져올 가능성이 있으며, 이에 따라 제품이 파손 또는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호스트 장치의 USB 포트를 통해 연결된 디바이스 장치가 호스트 장치와 USB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호스트 장치로부터 디바이스 장치로 인가되는 최소 인가전압을 검출하고 이에 따라 공급하기 위한 인가전압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호스트 장치의 USB 포트 인가전압을 USB 인터페이스 규약에 따른 최대레벨의 값으로 설정하는 제1 단계; USB 포트에 디바이스 장치가 연결되면 제1 단계에서 설정한 USB 포트 인가전압을 디바이스 장치로 공급하고 버스일람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제2 단계; 제2 단계의 버스일람 프로세스가 정상적으로 수행되면 반복적으로 디바이스 장치로 공급되는 전압에서 제1 스텝만큼 레벨을 감소시킨 전압을 디바이스 장치로 공급하고, 레벨을 변경하여 전압을 공급할 때마다 버스일람 프로세스를 재수행하는 제3 단계; 및 제3 단계를 수행하면서 버스일람 프로세스가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으면 디바이스 장치로 공급되는 전압에서 제1 스텝만큼 증가시킨 값에 대응되는 레벨의 전압을 최소 인가전압으로 결정하고, 최소 인가전압의 전원을 디바이스 장치로 공급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특징을 갖는 호스트 장치에서 디바이스 장치로의 인가전압 제어방법을 제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 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호스트 장치 및 디바이스 장치에 대한 일 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호스트 장치(10)는 동작전원이 축적된 배터리(11)와, 제어부(14)의 제어에 의해 배터리(11)로부터 공급받은 전압레벨을 변환하기 위한 전압변환부(12)와, 전압변환부(12)에서 변환한 전압 및 제어부(14)의 제어에 따른 버스일람 관련 데이터를 디바이스 장치(20)로 제공하기 위한 USB 포트(13)와,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고 USB 포트(13)에 디바이스 장치(20)의 USB 커넥터(21)가 연결되면 디바이스 장치(20)와의 버스일람 프로세스를 수행한 결과에 따라 전압변환부(12)에서 출력되는 전압 크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4), 및 호스트 장치 구동 프로그램과 버스일람 프로세스 수행을 위한 데이터 등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15)를 포함한다.
이외에도, 호스트 장치(10)는 화면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와, 버튼을 통해 각종 신호 등을 입력받기 위한 키 입력부와, 음성 등을 입력받기 위한 마이크와, 음성 등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또는 이어폰) 등과 같은 기본적인 구성요소들(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디바이스 장치(20)는 호스트 장치(10)에 연결되는 USB 포트(13)와 연결하기 위한 USB 커넥터(21)를 포함하며,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오디오 데이터, 동영상 데이터 등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또는 하드 디스크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1)는 직류 전원을 축적하고 있는 축전지로 구현되거나 직류/교류 전원을 어댑터 등을 통하여 충전할 수 있는 충전지로 구현된다. 또한, 전압변환부(12)는 직류 전압-직류 전압 변환기(DC/DC Converter)로 구현되며, 이 전압변환부(12)는 제어부(14)의 제어에 의해 배터리(11)로부터 공급받은 직류 전원의 크기를 가변시켜 출력한다. 또한, 전압변환부(12)는 예컨대 적응출력 타입 컨버터(adjustable output type converter)로서, 피드백(feedback) 핀에 걸리는 전압을 통하여 출력전압을 결정한다. 즉, 제어부(14)는 전압변환부(12)의 피드백 핀에 제어신호(출력전압)를 인가하여 전압변환부(12)가 배터리(11)로부터 공급받은 전압을 해당 전압으로 변환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호스트 장치(10)가 USB 포트(13)를 통해 연결되는 디바이스 장치(20)로 특정의 인가 전압을 공급하면서 디바이스 장치(20)와의 버스일람 프로세스를 수행한 결과에 대응하여 디바이스 장치(20)로의 최소 인가전압을 검출하여 인가 전압의 생성에 반영한다.
즉, 호스트 장치(10)는 기 설정한 인가전압을 디바이스 장치(20)로 공급하면서 버스일람 프로세스(즉, 기기의 특성 등을 판별하여 해당 기기의 각종 정보를 등록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 때, 호스트 장치(10)는 버스일람 프로세스를 통하여 디바이스 장치(20)를 리셋시키고 고유 어드레스를 할당하며, 디바이스 장치(20)로부터 구성정보(configuration)를 읽어와서 당해 구성정보를 시스템 레지스트리 등 에 등록한 후에 디바이스 장치(20)와의 USB 통신을 수행(예; USB 기기(20)에 저장되어 있는 오디오 데이터 등을 로딩)한다.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버스일람 프로세스에 상응하는 프로세스를 하나의 단위 프로세스로 구현하여 특정 전압을 디바이스 장치(20)로 공급하면서 이 단위 프로세스가 정상적으로 수행되면 기 설정한 특정 전압을 일정 크기(예; 0.1V, 0.5V 등)만큼 더 감소시키거나 증가시켜 인가전압을 재설정한다. 그리고 나서, 재설정한 인가전압을 디바이스 장치(20)로 공급하면서 단위 프로세스가 실패(정상적으로 단위 프로세스가 재수행되지 않음)할 때까지 반복 수행하며, 마지막으로 성공(정상적으로 단위 프로세스가 재수행됨)한 과정에서의 재설정 인가전압을 디바이스 장치(20)로 공급할 최소 인가전압으로 결정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호스트 장치에서 디바이스 장치로의 인가전압 제어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 흐름도이다.
먼저, 전압변환부(12)의 출력전압 레벨을 USB 최대 인가전압 레벨(예컨대, 5.25V)로 설정한다(200). 이 때, USB 포트(13)의 VBUS 핀에는 전압변환부(12)에서 출력한 최대 인가전압 레벨의 전원이 공급되고, 따라서 USB 포트(13)를 통해 연결되는 디바이스 장치(20)에는 이 최대 인가전압 레벨의 전원이 공급되게 된다. 여기서, USB 인터페이스 규약에 따르면 USB 포트(13)의 VBUS 핀에 인가할 수 있는 최대 전압레벨은 5.25V이며, 이에 디바이스 장치(20)로 인가할 수 있는 최대 전압레벨도 5.25V로 선정되었다.
이후, USB 포트(13)에 디바이스 장치(20)가 연결됨을 인지한다(201).
그러면, 기 설정("200" 과정에서 설정)된 출력전압(USB 최대 인가전압)을 디바이스 장치(20)로 공급하면서 버스일람 프로세스를 수행한다(202).
버스일람 프로세스의 수행 결과(202), 디바이스 장치(20)와의 버스일람 프로세스가 정상으로 수행되지 않으면 버스일람 프로세스 수행실패 사실을 통보한다(203). 예를 들어, 디바이스 장치(20)와의 버스일람 프로세스가 수행되지 않으면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디바이스 장치 등록 실패", "디바이스 장치와의 통신이 수행되지 않습니다", "디바이스 장치 오류 발생", "USB 포트 오류 발생" 등과 같은 문구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반면, 버스일람 프로세스의 수행 결과(202), 디바이스 장치(20)와의 버스일람 프로세스가 정상 수행되면 전압변환부(12)의 출력전압 레벨을 기 설정("200" 과정에서 설정)한 전압레벨에서 일정 크기(예; 0.1V 등)를 감소시킨 값으로 설정한다(204).
그런후, 이전 과정("204" 과정)에서 설정한 출력전압을 디바이스 장치(20)로 공급하면서 버스일람 프로세스를 재수행한다(205).
버스일람 프로세스 재수행 결과(205), 디바이스 장치(20)와의 버스일람 프로세스가 정상 수행되면 "204" 과정 및 "205"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반면, 버스일람 프로세스 재수행 결과(205), 디바이스 장치(20)와의 버스일람 프로세스가 정상 수행되지 않으면 전압변환부(12)의 출력전압 레벨을 이전 과정("204" 과정)에서 설정한 출력전압 레벨에 일정 크기의 전압(예; 0.1V 등)을 증가시킨 값으로 재설정한다(206). "206" 과정에서 설정한 전압변환부(12)의 출력전압이 디바이스 장치(20)를 구동시킬 수 있는 최소 인가전압이다.
부가적으로, 디바이스 장치(20)의 보다 원활한 구동 및 전기적 보호를 위해서는 최소 인가전압 레벨에 기기구동 여유(margin) 전압을 더한 값을 최적 인가전압 레벨로서 선택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호스트 장치에서 디바이스 장치로의 최소 인가전압 결정 방법에 대한 다른 실시예 흐름도이다.
먼저, 전압변환부(12)의 출력전압 레벨을 USB 인가 전압범위 중에서 임의적 크기(예컨대, 3.0V)로 설정한다(300). 이 때, USB 포트(13)의 VBUS 핀에는 전압변환부(12)에서 변환한 임의 레벨의 전원이 공급되고, 그에 따라 USB 포트(13)를 통하여 연결되는 디바이스 장치(20)에는 이 임의 레벨의 전원이 공급되게 된다. 이 때, USB 인터페이스 규약에 따라 USB 포트(13)의 VBUS 핀에 인가할 수 있는 전압레벨의 범위는 0 ~ 5.25V이다.
이후, USB 포트(13)에 디바이스 장치(20)가 연결됨을 인지한다(301).
그러면, 기 설정("300" 과정에서 설정)된 레벨의 전압(임의 레벨의 전압)이 디바이스 장치(20)로 공급되고, 버스일람 프로세스를 수행한다(302).
버스일람 프로세스의 수행 결과(302), 디바이스 장치(20)와의 버스일람 프로세스가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으면 전압변환부(12)의 출력전압 레벨을 기 설정("300" 과정에서 설정)된 레벨에서 일정 크기(예; 0.1V 등)를 증가시킨 값으로 설정하고(303), 그리고 나서 설정된 전압레벨이 USB의 최대 인가전압 레벨(예컨대, 5.25V)를 초과하는지를 검사한다(304).
상기 검사 결과(304), "303" 과정에서 설정된 전압레벨이 USB 최대 인가전압 레벨를 초과하면 버스일람 프로세스 수행 실패 사실을 통보한다(305). 예를 들어, 디바이스 장치(20)와의 버스일람 프로세스가 수행되지 않으면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디바이스 장치 등록 실패", "디바이스 장치와의 통신이 수행되지 않습니다", "디바이스 장치 오류 발생", "USB 포트 오류 발생" 등과 같은 문구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당해 사실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반면, 상기 검사 결과(304), "303" 과정에서 설정된 전압레벨이 USB 최대 인가전압 레벨를 초과하지 않으면 이전 과정("303" 과정)에서 설정한 출력전압을 디바이스 장치(20)로 공급하면서 전술한 바와 같은 버스일람 프로세스를 재수행한다(306).
버스일람 프로세스 재수행 결과(306), 디바이스 장치(20)와의 버스일람 프로세스가 정상 수행되지 않으면 "304" 과정 및 "306" 과정을 반복적으로 진행하고, 버스일람 프로세스 재수행 결과(306), 디바이스 장치(20)와의 버스일람 프로세스가 정상 수행되면 전압변환부(12)의 출력전압 레벨을 현재의 상태로 설정한다(307). 이 "307" 과정에서 설정된 전압변환부(12)의 출력전압이 디바이스 장치(20)를 구동시킬 수 있는 최소 인가전압이다.
부가적으로, 디바이스 장치(20)의 보다 원활한 구동 및 전기적 보호를 위해서는 최소 인가전압 레벨을 결정함에 있어 기기구동 여유(margin) 전압을 더 고려할 수 있다.
한편, 버스일람 프로세스의 수행 결과(302), 디바이스 장치(20)와의 버스일람 프로세스가 정상 수행되면 전압변환부(12)의 출력전압 레벨을 기 설정("300" 과정에서 설정)된 전압레벨에서 일정 크기(예; 0.1V 등)를 감소시킨 값으로 설정한다(308).
그런 후, "308" 과정에서 설정한 출력전압을 디바이스 장치(20)로 공급하면서 버스일람 프로세스를 재수행한다(309).
버스일람 프로세스 재수행 결과(309), 디바이스 장치(20)와의 버스일람 프로세스가 정상 수행되면 "308" 과정과 "309" 과정을 반복 진행하고, 버스일람 프로세스 재수행 결과(309), 디바이스 장치(20)와의 버스일람 프로세스가 정상 수행되지 않으면 전압변환부(12)의 출력전압 레벨을 이전 과정("300" 과정)에서 설정된 전압레벨에 일정 크기(예; 0.1V 등)를 증가시킨 값으로 설정한다(310). 이 "310" 과정에서 설정한 전압변환부(12)의 출력전압이 디바이스 장치(20)를 구동시킬 수 있는 최소 인가전압이다.
부가적으로, 디바이스 장치(20)의 보다 원활한 구동 및 전기적 보호를 위해서는 최소 인가전압 레벨에 기기구동 여유(margin) 전압을 더한 값을 최적 인가전압 레벨로서 선택할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여 기술하였던 실시예에서는 '308' 단계에서 전압변환부(12)의 출력전압 레벨을 감소시키는 일정 크기(이하, '제1 스텝'이라 함)와 '303' 단계에서 전압변환부(12)의 출력전압 레벨을 증가시키는 일정 크기(이하, '제2 스텝'이라 함)이 서로 동일한 것처럼 기술되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로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특히, 일반적으로는 버스일람 프로세스가 실패될 때 소요되는 시간이 성공할 때 소요되는 시간보다 더 긴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버스일람 프로세스가 실패되는 경우에 전압변환부(12)의 출력전압 레벨을 보다 크게 증가시키도록 제2 스텝이 제1 스텝보다 더 크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의 내용이 실시예를 들어 설명되었으나,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에 불과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원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원리 및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 또는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호스트 장치에 연결되는 디바이스 장치의 구동가능한 최소 인가전압을 검출하여 공급함으로써 호스트 장치에서의 불필요한 전원소모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한 디바이스 장치의 구동 전압을 판별하여 가변적으로 최적 인가전압을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해당 디바이스 장치의 전기적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디바이스 장치의 기기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호스트 장치의 USB 포트 인가전압을 USB 인터페이스 규약에 따른 최대레벨의 값으로 설정하는 제1 단계;
    USB 포트에 디바이스 장치가 연결되면 상기 제1 단계에서 설정한 USB 포트 인가전압을 상기 디바이스 장치로 공급하고 버스일람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제2 단계;
    상기 제2 단계의 버스일람 프로세스가 정상 수행되면 반복적으로 상기 디바이스 장치로 공급되는 전압에서 제1 스텝만큼 레벨을 감소시킨 전압을 상기 디바이스 장치로 공급하고, 레벨을 변경하여 전원을 공급할 때마다 상기 버스일람 프로세스를 재수행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제3 단계를 수행하면서 상기 버스일람 프로세스가 정상 수행되지 않으면 상기 디바이스 장치로 공급되는 전압에서 상기 제1 스텝만큼 증가시킨 값에 대응되는 레벨의 전압을 최소 인가전압으로 결정하고, 상기 최소 인가전압의 전원을 상기 디바이스 장치로 공급하는 제4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 장치에서 디바이스 장치로의 인가전압 제어방법.
  2. 호스트 장치의 USB 포트 인가전압을 USB 인터페이스 규약에 따른 가능 범위 내의 특정 레벨로 설정하는 제1 단계;
    USB 포트에 디바이스 장치가 연결되면 상기 제1 단계에서 설정한 USB 포트 인가전압을 상기 디바이스 장치로 공급하고 버스일람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제2 단계;
    상기 제2 단계의 버스일람 프로세스가 정상 수행되는 경우, 반복적으로 상기 디바이스 장치로 공급되는 전압에서 제1 스텝만큼 레벨을 감소시킨 전압을 상기 디바이스 장치로 공급하고, 레벨을 변경하여 전원을 공급할 때마다 상기 버스일람 프로세스를 재수행하는 제3 단계;
    상기 제3 단계를 수행하면서 상기 버스일람 프로세스가 정상 수행되지 않으면 상기 디바이스 장치로 공급되는 전압에서 상기 제1 스텝만큼 증가시킨 값에 대응되는 레벨의 전압을 최소 인가전압으로 결정하고, 상기 최소 인가전압의 전원을 상기 디바이스 장치로 공급하는 제4 단계;
    상기 제2 단계에서 버스일람 프로세스가 정상 수행되지 않는 경우, 반복적으로 상기 디바이스 장치로 공급되는 전압에서 제2 스텝만큼 레벨을 증가시킨 전압을 상기 디바이스 장치로 공급하고, 레벨을 변경하여 전원을 공급할 때마다 상기 버스일람 프로세스를 재수행하는 제5 단계; 및
    상기 제5 단계를 수행하면서 상기 버스일람 프로세스가 정상 수행되면 상기 디바이스 장치로 공급되는 전압에 대응되는 레벨의 전압을 최소 인가전압으로 결정하는 제6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 장치에서 디바이스 장치로 의 인가전압 제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텝보다 상기 제2 스텝이 더 크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 장치에서 디바이스 장치로의 인가전압 제어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장치로 공급되는 전압에서 상기 제1 스텝만큼 증가시킨 값에 대응되는 레벨의 전압 또는 상기 디바이스 장치로 공급되는 전압에 대응되는 레벨의 전압을 최소 인가전압으로 결정함에 있어서, 대응되는 레벨의 전압은 그 전압에서 소정의 기기구동 여유전압(margin)을 가산한 전압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 장치에서 디바이스 장치로의 인가전압 제어방법.
KR1020040029228A 2004-04-27 2004-04-27 호스트 장치에서 디바이스 장치로의 인가전압 제어방법 KR1005628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9228A KR100562894B1 (ko) 2004-04-27 2004-04-27 호스트 장치에서 디바이스 장치로의 인가전압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9228A KR100562894B1 (ko) 2004-04-27 2004-04-27 호스트 장치에서 디바이스 장치로의 인가전압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4064A KR20050104064A (ko) 2005-11-02
KR100562894B1 true KR100562894B1 (ko) 2006-03-21

Family

ID=37281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9228A KR100562894B1 (ko) 2004-04-27 2004-04-27 호스트 장치에서 디바이스 장치로의 인가전압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28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5508B1 (ko) 2006-09-18 2013-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컴퓨터 및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4303B1 (ko) 2010-03-15 2011-12-19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표시 패널의 테스트 장치 및 테스트 방법
KR102463224B1 (ko) * 2022-05-03 2022-11-07 주식회사 지구사랑 커패시터를 이용한 휴대용 급속 충전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5508B1 (ko) 2006-09-18 2013-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컴퓨터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4064A (ko) 2005-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8512B1 (ko) 전원 공급 전용 장치, 단말기, 전원 공급 시스템, 및 전원공급 방법
JP4601330B2 (ja)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情報処理装置、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494900B1 (ko) 충전 장치 식별을 통한 충전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방법
US7757104B2 (en) Integrated circuit and signal process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8035368B2 (en) Integrated circuit, universal serial bus on-the-go power source and methods for use therewith
US8694803B1 (en) Controlling power received through multiple bus interfaces in a portable computing device
JP5572858B2 (ja) 過電圧を検出して下流デバイスの電力を停止する上流デバイス
US20110320837A1 (en) Power supply circuit, power supply method, and signal processing apparatus
KR100972271B1 (ko) 집적 회로 및 그것을 이용한 신호 처리 장치
US11910171B2 (en) Smart speaker power management
WO2014136265A1 (ja) 電子機器およびシステム
US10136223B1 (en) Control method and control system for audio device
CN112540664A (zh) 当电子装置与外部装置连接使用时降低功耗的方法
US20110291609A1 (en) Computer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TWI689821B (zh) Usb轉接電路
KR20160143077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전원 공급 제어 방법
JP2006262610A (ja) 電源回路
KR101097556B1 (ko)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JP6387775B2 (ja) 携帯電子機器
KR100562894B1 (ko) 호스트 장치에서 디바이스 장치로의 인가전압 제어방법
US20130134947A1 (en) Power consumption control method for an electronic system and electronic system thereof
US11775040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receiving power from external electronic device
US10051395B2 (en) Accessory management and data communication using audio port
KR101781222B1 (ko) 아날로그 소자 최적화 장치
KR20050054690A (ko) 이동통신 단말기 충전 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1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