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7258B1 - 배터리 팩 - Google Patents

배터리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7258B1
KR101097258B1 KR1020090119901A KR20090119901A KR101097258B1 KR 101097258 B1 KR101097258 B1 KR 101097258B1 KR 1020090119901 A KR1020090119901 A KR 1020090119901A KR 20090119901 A KR20090119901 A KR 20090119901A KR 101097258 B1 KR101097258 B1 KR 1010972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battery
space
spaces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9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2988A (ko
Inventor
안진홍
곽노현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9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7258B1/ko
Priority to US12/768,103 priority patent/US8993147B2/en
Publication of KR20110062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29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72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72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42Grouping of primary cells into batteries
    • H01M6/44Grouping of primary cells into batteries of tubular or cup-shaped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4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ells
    • H01M10/643Cylindrica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1Surfaces specially adapted for heat dissipation or radiation, e.g. fins or coa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6Solid parts with flow channel passages or pipes for heat exchange
    • H01M10/6557Solid parts with flow channel passages or pipes for heat exchange arranged between th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H01M10/6561Gases
    • H01M10/6566Means within the gas flow to guide the flow around one or more cells, e.g. manifolds, baffles or other barri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3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18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2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casings or racks
    • H01M50/227Organic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개의 전지 셀들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배터리 팩에서, 전지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셀 공간을 구획하는 홀더 케이스; 및 각각 상기 셀 공간에 수납되는 전지 셀들을 구비하고, 상기 셀 공간들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전지 셀이 수납되지 아니하는 빈 셀 공간이며, 상기 셀 공간들 중에서 다른 셀 공간들에 의하여 둘러싸이는 셀 공간들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전지 셀이 수납되지 아니하는 빈 셀 공간인 배터리 팩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배터리 팩{Battery pack}
본 발명은 배터리 팩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단위 전지 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하나의 단위로 묶어 전지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용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휴대용 기기에 대한 전원 공급원으로 이차 전지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이차전지는 적용되는 외부기기의 종류에 따라 단일 전지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전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하나의 단위로 형성한 배터리 팩의 형태로 사용되기도 한다.
휴대폰과 같은 소형 디바이스는 단일 전지의 출력과 용량으로 소정시간 동안 작동이 가능하다. 하지만, 노트북 컴퓨터, 캠코더 등의 모바일 기기 또는 전력소모가 많은 전동 자전거, 전동 스쿠터,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와 같이 장기간 구동과 대전력 구동이 필요하다.
따라서, 중형 내지 대형 디바이스는 출력 및 용량의 문제로 배터리 팩이 선호된다. 배터리 팩은 내장된 전지의 개수와 전지들 사이의 연결 구조에 따라 출력 전압이나 출력전류를 높일 수 있다. 이러한 배터리 팩은 다수의 전지들을 내장하고 대전류로 충방전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 팩을 구성하는 전지 셀들이 과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복수개의 전지 셀들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배터리 팩에서, 전지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셀 공간을 구획하는 홀더 케이스; 및 각각 상기 셀 공간에 수납되는 전지 셀들을 구비하고, 상기 셀 공간들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전지 셀이 수납되지 아니하는 빈 셀 공간이며, 상기 셀 공간들 중에서 다른 셀 공간들에 의하여 둘러싸이는 셀 공간들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전지 셀이 수납되지 아니하는 빈 셀 공간인 배터리 팩을 제공한다.
삭제
상기 셀 공간이 상기 홀더 케이스의 내부에 제1 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되고, 상기 셀 공간이 상기 제1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인 제2 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될 수 있다.
삭제
상기 제1 방향으로 N개의 행과 상기 제2 방향으로 N개의 열로 배열되는 상기 셀 공간들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제1 그룹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그룹의 N번째 행에서 N번째 행의 첫 번째 열과 N번째 열의 셀 공간을 제외한 셀 공간들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빈 셀 공간(N은 자연수)이 될 수 있다.
인접하는 2 이상의 셀 공간 위치에 배치되는 상기 빈 셀 공간이 하나의 빈 셀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그룹이 적어도 하나 이상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제1 방향으로 M개의 행과 상기 제2 방향으로 N개의 열로 배열되는 상기 셀 공간들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제2 그룹을 구비하고, 상기 제2 그룹의 모든 상기 셀 공간에 상기 전지 셀이 수납(M은 자연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제1 그룹들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열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제2 그룹이 연속하여 배열되는 상기 제1 그룹들 중의 마지막에 배열되는 제1 그룹의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제1 그룹의 N번째 행에서 N번째 행의 첫 번째 열과 N번째 열의 셀 공간을 제외한 모든 셀 공간들이 상기 빈 셀 공간이 될 수 있다.
상기 제1 그룹의 N번째 행에서 2번째 열과 N-1번째 열의 셀 공간이 하나의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빈 셀 공간이 상기 전지 셀들이 수납되는 셀 공간과 다른 형상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개의 전지 셀들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배터리 팩에서, 전지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관한 배터리 팩(10)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배터리 팩(10)은 홀더 케이스(100); 및 전지 셀(200)을 구비할 수 있다. 홀더 케이스(100)는 그 내부에 다수의 전지 셀(200)을 수납하여 하나의 단위로 묶어 배터리 팩을 형성한다. 전지 셀(200)은 홀더 케이스(100)내부에 수납되어 하나의 배터리 팩을 형성한다.
배터리 팩(10)은 전기 셀(200)이 패킹되는 구조를 변경함으로써, 전지 셀(200)에서 발생되는 열을 효율적으로 방출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전지 셀(200)의 온도 상승을 저감시켜 배터리 팩(10)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홀더 케이스(100)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케이스(100a)와 제2 케이스(100b)를 구비할 수 있다. 홀더 케이스(100)는 제1 케이스(100a)와 제2 케이스(100b) 사이의 공간에 다수의 셀 공간(S)을 형성한다. 홀더 케이스(100)에 마련된 각각의 셀 공간(S)에 단위 전지 셀(200)이 수납될 수 있다.
배터리 팩(10)은 셀 공간(S)들 중의 일부 셀 공간이 전지 셀이 수납되지 않는 빈 공간(150)이 되도록 함으로써, 빈 공간(150)을 통하여 공기 흐름을 유도하여 배터리 팩(10)의 방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하나의 행 또는 열의 모든 전지 셀(200)에 대응되는 위치를 빈 공간으로 하지 아니하고, 일부 예를 들어 내부에 위치되는 전지 셀(200)에 대응되는 위치가 빈 공간이 되도록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내부에 전지 셀(200)이 수납되는 홀더 케이스(100)의 공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케이스(100a)는 쌍을 이루는 상대편 제2 케이스(100b)와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케이스(100a)와 제2 케이스(100b) 사이에는 다수의 전지 셀(200)들을 개재한 상태로 제1 케이스(100a)에 대하여 z 방향으로 제2 케이스(100b)가 조립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하여, 홀더 케이스(100)의 내측 편은 제1 케이스(100a)와 제2 케이스(100b)가 서로 바라보는 측을 의미할 수 있다. 홀더 케이스(100)의 외측 편은 제1 케이스(100a)와 제2 케이스(100b)가 서로 바라보는 측의 반대되는 측을 의미할 수 있다.
각각의 전지 셀(200)들의 조립위치에 대응하여 쌍을 이루는 제1 케이스(100a)와 제2 케이스(100b)는 서로 대칭적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 케이스(100a)와 제2 케이스(100b)의 체결되는 부분은 서로 끼워 맞춰질 수 있도록 상보적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홀더 케이스(100)는 홀더 프레임(110)과 리브(120)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 프레임(110)은 케이스의 테두리를 형성한다. 리브(120)는 복수개가 홀더 프레임(110)과 함께 일체로 형성되어, 전지 셀(200)들을 공간적으로 분리시킨다. 이때, 홀더 프레임(110)은 리브(120)들을 측면에서 둘러싸고, 리브(120)들과 일체로 홀더 케이스(100)의 테두리를 형성한다.
상기 리브(120)는 배터리 팩(10)에 내장되는 다수의 전지 셀(200)들이 복수 열에 걸쳐서 규칙적으로 배열되도록 전지 셀(200)들이 삽입될 수 있는 셀 공간(S)을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셀 공간(S)은 홀더 케이스(100)를 관통하는 홀의 형상으 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리브(120)는 원통형 전지 셀(200)의 둘레를 둘러싸도록 원통의 지지면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리브(120)는 제1 리브(121), 제2 리브(122), 및 이격 컬럼(12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리브(121)는 가로, 세로방향(x 및 y 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전지 셀(200)들을 공간적으로 분리하기 위해 가로방향(x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리브(122)는 세로방향(x 및 y 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전지 셀(200)들을 공간적으로 분리하기 위해 세로방향(y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격 컬럼(125)은 제1 리브(121)와 제2 리브(122)가 교차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격 컬럼(125)을 따라서는 공기통로를 형성하는 방열홀(125`)이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방열홀(125`)은 원형의 단면구조를 갖고, 전체 길이를 통하여 이격 컬럼(125)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공기 흐름(f)이 상기 방열홀(125`)을 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열홀(125`)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 흐름(f)은 이웃하는 전지 셀(200)들 사이를 통과하며, 충방전 동작에 따라 발생된 열을 취합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방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방열홀(125`)을 따라 유도되는 공기 흐름(f)은 자연적으로 발생되거나, 외부 송풍에 의해 강제될 수 있다. 즉, 공기 흐름(f)이 자연 대류 또는 강제 대류에 의한 방열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더 케이스(100)의 외부에는 방열홀(125`) 내로 냉각공기를 송풍하는 냉각 팬(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리브(121)는 가로방향(x 방향)으로 연장되며, 가로방향(x 방향)으로 배열된 이격 컬럼(125)들을 서로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리브(122)는 세로방향(y 방향)으로 연장되며, 세로방향(y 방향)으로 배열된 이격 컬럼(125)들을 서로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리브(121)와 제2 리브(122)를 통하여, 이웃하는 이격 컬럼(125)들이 상호 지지될 수 있다.
제1 리브(121), 제2 리브(122), 및 이격 컬럼(125)이 서로 연결됨으로써 전지 셀(200)의 전체 둘레를 둘러싸는 원통 형상의 셀 공간(S)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셀 공간(S)에 의하여 이웃하는 전지 셀(200)들 사이의 열적 접촉을 저지할 수 있다.
또한, 특정한 전지 셀(200)이 과열되는 이상 동작 환경에서 이웃하는 전지 셀(200)들이 연쇄적으로 가열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홀더 케이스(100)는 일체적으로 성형될 수 있고, 우수한 가공성과 단열 특성을 갖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홀더 케이스(100)의 외측 편에서는 이격 컬럼(125)들이 제1, 제1 리브(121)와 제2 리브(122)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구조적인 강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홀더 케이스(100)의 내측 편에서는 방열 목적으로 제1 리브(121)와 제2 리브(122)를 배제시킴으로써, 전지 셀(200) 표면의 일부가 직접 저온의 공기에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에는 도 1의 배터리 팩(10)에서 홀더 케이스(100)의 내측 편이 도시되어 있다. 도 3에는 도 2에 도시된 홀더 케이스(100)의 주요부가 확대하여 도시되어 있 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가로 방향(x 방향)과 세로방향(y 방향)을 따라 이격 컬럼(125)들이 배열될 수 있다. 이격 컬럼(125)들 사이에는 전지 셀(200) 표면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간극(130)이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간극(130)은 이격 컬럼(125)들 사이의 제1 리브(121)와 제2 리브(122)가 배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격 컬럼(130)들은 간극(130)에 의하여 서로에 대해 분리되어 고립된 형태를 취하게 된다.
간극(130)을 통하여 노출된 전지 표면(Ae)이 저온의 외기와 직접 접촉됨으로써 대류 방열이 이루어지고, 충방전 동작에 따른 전지의 열 축적이 방지될 수 있다. 제1 리브(121)와 제2 리브(122)는 홀더 케이스(100)의 외측 편(-z 방향 측)에서 전지 셀(200)의 둘레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소정 폭(W1,W2) 만큼 내측 방향(+z 방향 측)으로 연장된다.
제1 리브(121)와 제2 리브(122)의 폭(W1,W2)은 전지 셀(200)의 노출 면적과 직결된다. 즉, 제1 리브(121)와 제2 리브(122)의 폭(W1,W2)을 증가시키면 그만큼 많은 전지 셀(200)의 표면이 리브(121,122)에 의해 덮이게 된다. 그에 따라, 노출면(Ae)이 줄어들게 된다. 반대로 제1 리브(121)와 제2 리브(122)의 폭(W1,W2)을 감소시키면, 그만큼 간극(130) 길이가 확장되어 전지의 노출면(Ae)이 증가하게 된다.
제1 리브(121)와 제2 리브(122)의 폭(W1,W2)을 조절함으로써 전지의 노출면(Ae)을 조정할 수 있고, 노출면(Ae)을 증가시킴에 따라 방열을 촉진할 수 있다. 다만, 노출면(Ae)이 과도하게 증가되면, 이웃한 전지 셀(200)들 간에 열적 접촉이 생길 수 있고, 특정 전지 셀(200)이 과열되는 이상 동작 환경에서, 이웃한 전지 셀(200)들이 연쇄적으로 가열되어 열화될 수 있으므로, 노출면(Ae)을 적정 크기로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해진 위치에 규칙적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전지 셀(200)들 사이에는 소정의 이격 갭(g)이 확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격 갭(g)을 이웃한 전지 셀(200)들 간에 만곡점으로부터 만곡점까지의 최단거리로 정의할 때, 방열 효율의 측면에서 최소한 2mm 이상의 이격 갭(g)이 확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소한의 이격 갭(g)을 확보함으로써 이웃한 전지 셀(200)들 간의 열적 접촉을 저지하여 연쇄적인 열화를 방지할 수 있고, 이격 갭(g)에 채워지는 공기량을 확보하여 방열을 촉진할 수 있다.
한편, 이격 컬럼(125)을 따라서는 공기통로를 제공하는 방열홀(125`)이 형성될 수 있다. 방열홀(125`)의 주변으로는 4개의 전지 셀(200)들이 대칭적 위치에 배치되고, 각 방열홀(125`)은 그 주위에 배치된 전지 셀(200)로부터 발생된 열을 취합하여 공기흐름(f)을 통해 소산시키는 방열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가로 방향(x 방향)과 세로 방향(y 방향)으로 이웃한 4개의 이격 컬럼(125)들은 각 전지 셀(200)이 수납되는 셀 공간(S)을 정의한다. 예를 들어, 이격 컬럼(125)의 측면은 원통형 전지 셀(200)을 감싸도록 원주 형상의 일부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홀더 케이스(100)에 수납되는 전지 셀(200)로서는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가 모두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 및 용량 면에서 유리한 리튬이온 이차전 지가 사용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리튬이온 이차전지 이외에도 니켈-카드뮴 이차전지, 니켈-수소 이차전지, 리튬 전지 등이 다른 여러 가지 전지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전지 셀(200)들은 1000mA 이상, 예를 들어, 1800mA의 대전류로 충전되거나 방전을 수행한다. 충방전에 수반되는 온도상승 및 열화 내지 오작동을 막기 위해 제안된 방열 구조에 의하면, 각 전지 셀(200)로부터 생성된 열은 방열홀(125`)의 공기흐름(f)을 통해 외부로 방출된다. 이와 함께, 이격 컬럼(125)들 사이의 간극(130)을 통하여 노출된 전지의 노출면(Ae)이 직접 외기에 접촉됨으로써 방열이 더욱 촉진될 수 있다.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한 쌍의 홀더 케이스(100)는 그 사이에 다수의 전지 셀(200)들을 개재한 상태로 서로 마주하도록 조립될 수 있다. 이때 전지 셀(200)들은 홀더 케이스(100)에 정의된 셀 공간(S) 위치에 대응하여 규칙적인 위치에 조립될 수 있다.
홀더 케이스(100)의 외측에는 배터리 팩에 내장된 다수의 전지 셀(200)들을 직렬/병렬상태로 연결해주는 리드 판(180)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리드 판(180)은 홀더 케이스(100)에서 돌출된 조립용 돌기(181)에 끼워져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조립용 돌기(181)는 홀더 케이스(100)에 수납된 전지 셀(200)들이 밖으로 빠져나오지 않도록 하는 스톱퍼(stopper)의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리드 판(180)은 전지 셀(200) 양단의 단부 전극들을 서로 직렬 또는 병렬 상태로 연결해준다. 예를 들어, 상기 리드 판(180)은 가로 2열, 세로 3열에 걸 쳐서 배치된 5개의 전지 셀(200)들을 병렬상태로 접속하고, 다단으로 적층된 병렬블록들을 직렬상태로 접속할 수 있다.
다만, 배터리 팩(10)에 내장된 전지 셀(200)들의 직렬 또는 병렬의 접속구조나, 병렬 블록을 구성하는 전지 셀(200)의 개수나 배치 등에 대해서는 예시된 이외에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배터리 팩(10)을 구성하는 전지 셀(200)들을 적층시킨 배열 형태에 대해서도 도면으로 예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리드 판(180)의 외측에는 절연성의 리드 테이프(190)가 부착됨으로써 리드 판(180)을 외부환경으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시킬 수 있다. 상기 배터리 팩(10)은 전지 셀(200)의 전압 상태를 검출하고, 충방전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회로기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은 전류 패스를 형성하는 리드 판(180)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로기판으로부터 인출된 리드선(미도시)을 통하여 리드 판(180)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은 리드 판(180)을 통하여 각 전지 셀(200)의 전압 상태를 검출하고, 충전 전류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홀더 케이스(100)의 상하 단부에는 직립자세의 배터리 팩을 지지해주는 레그 부재(141, 142)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레그 부재(141, 142)는 각 홀더 케이스(100)의 좌우 양편에 마련될 수 있고, 배터리 팩은 대칭적인 4개소에 마련된 레그 부재(141, 142)에 의해 안정적인 직립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10)에서 전지 셀(200)들의 배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배터리 팩(10)은 10S5P 배열의 배터리 팩(10)으로, 10개씩 직렬로 연결되는 전지 셀(200)들이 5개 병렬로 연결되어 배터리 팩(10)이 형성되는 실시예이다.
배터리 팩(10)에서는 셀 공간(S)들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전지 셀(200)이 수납되지 아니하는 빈 셀 공간(150)이 된다. 이때, 셀 공간(S)들 중에서 다른 셀 공간들에 의하여 둘러싸이는 셀 공간들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전지 셀(200)이 수납되지 아니하는 빈 셀 공간(150)이 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다른 셀 공간들에 의하여 둘러싸이는 셀 공간들이 빈 셀 공간(150)이 되도록 함으로써, 셀 공간(150)에 삽입되는 전지 셀(200)들 사이에 공기 통로가 확보되도록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전지 셀(200)에서 발생되는 열을 효율적으로 방출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셀 공간(S)은 홀더 케이스(100)의 내부에 제1 방향으로 예를 들어 -y 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셀 공간(S)은 제1 방향과 다른 방향인 제2 방향 예를 들어 제1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x 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셀 공간(S)들은 -y 방향의 행 방향과 x 방향의 열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배터리 팩(10)은 전지 셀(200)들이 행과 열을 따라 배열되는 제1 그룹(210)과 제2 그룹(220)의 셀 공간(S)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그룹(210)은 -y 방향으로 N개의 행과 상기 x 방향으로 N개의 열로 배열되는 상기 셀 공간(S)들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 그룹(220)은 -y 방향으로 M개의 행과 x 방향으로 N개의 열로 배열되는 셀 공간(S)들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그룹(220)의 모든 셀 공간(S)에 전지 셀(200)이 수납될 수 있다. 여기서, M과 N은 자연수이다.
이때, 셀 공간(S)들은 제1 그룹(210)이 적어도 하나 이상 -y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그룹(220)이 연속하여 배열되는 제1 그룹(210)들 중의 마지막에 배열되는 제1 그룹(210)의 -y 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제1 그룹(210)은 제1 그룹(210)의 N번째 행에서 N번째 행의 첫 번째 열과 N번째 열의 셀 공간을 제외한 셀 공간들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빈 셀 공간(150)이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그룹(210)의 N번째 행에서 N번째 행의 첫 번째 열과 N번째 열의 셀 공간을 제외한 모든 셀 공간들이 상기 빈 셀 공간(150)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행과 열로 배열되는 셀 공간(S)에서 특정한 행의 내부에 위치되는 모든 셀 공간이 빈 셀 공간(150)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빈 셀 공간(150)은 다른 셀 공간들에 의하여 둘러싸이는 셀 공간들 중에서 선택되도록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셀 공간(150)에 삽입되는 전지 셀(200)들 사이에 공기 통로가 확보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전지 셀(200)에서 발생되는 열을 효율적으로 방출할 수 있게 된다.
도면에 도시된 10S5P 배열의 배터리 팩(10)에서는 M이 2가 되고, N이 4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그룹(210)은 4×4의 셀 공간(S)을 포함하고, 그 중에서 4번 째의 내부에 포함되는 두 개의 셀 공간이 빈 셀 공간(150)이 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모든 셀 공간(150)들이 전지 셀(200)이 수납될 수 있도록 전지 셀(200)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상을 갖는다. 다만, 빈 셀 공간(150)도 전지 셀(200)이 수납되는 셀 공간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나, 빈 셀 공간(150)에는 전지 셀(200)이 삽입되지 않는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서 다른 인접하는 2 이상의 셀 공간 위치에 배치되는 빈 셀 공간(150)이 하나의 빈 셀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그룹(210)의 N번째 행에서 2번째 열과 N-1번째 열의 셀 공간이 하나의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4번째 행의 2번째 열 및 3번째 열이 하나의 빈 셀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빈 셀 공간이 전지 셀(200)들이 수납되는 셀 공간(S)과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빈 셀 공간(150)들 보다 큰 빈 공간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하여 방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한 행 전체를 빈 셀 공간이 되도록 하는 경우에 비하여, 반복되는 충방전에 대하여 전지 용량 특성 즉 전지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내부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공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10)에 의한 전지 성능이 충방전 회수에 대한 전지 용량의 변화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지 셀(200)이 삽입되지 아니하는 빈 공간(150)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10)에 의한 전지 성능 곡선(61)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비교예로서 도 1의 배터리 팩(10)과 동일한 개수의 전지 셀(200)을 포함하면서, 전지 셀(200)이 삽입되지 아니하는 빈 공간(150)을 포함하지 않는 배터리 팩에 의한 전지 성능 곡선(62)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각각의 성능 곡선(61, 62)은 25℃에서 충방전이 반복되는 회수에 따른 전지 용량의 변화를 나타낸다.
도 1의 배터리 팩(10)의 전지 성능 곡선(61)은 5개의 전지 셀이 병렬로 연결되어 1개의 직렬 연결을 형성하는 1S5P 배터리 팩을 25℃에서 실험한 전지 성능 곡선(63)과 유사한 패턴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비교예에 의한 배터리 팩의 전지 성능 곡선(62)은 5개의 전지 셀이 병렬로 연결되어 1개의 직렬 연결을 형성하는 1S5P 배터리 팩을 45℃에서 실험한 전지 성능 곡선(63)과 초기에는 유사한 패턴을 보여주다가 충방전 회수가 증가함에 따라 급격하게 전지 용량이 줄어든다.
즉, 도 1의 배터리 팩(10)의 전지 성능 곡선(61)은 비교예에 의한 배터리 팩의 전지 성능 곡선(62)에 비하여 향상된 수명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10)은 전지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는, 도 1의 배터리 팩(10)에서는 빈 셀 공간(150)들 보다 큰 빈 공간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하여 방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반복되는 충방전에 대하여 전지 용량 특성 즉 전지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복수개의 전지 셀들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배터리 팩에서, 전지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관한 배터리 팩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배터리 팩에서 홀더 케이스의 내측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홀더 케이스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배터리 팩의 조립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배터리 팩에서 전지들의 배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배터리 팩에 의한 전지 성능을 충방전 회수에 대한 전지 용량의 변화로 표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홀더 케이스 110: 홀더 프레임
120: 리브 121: 제1 리브
122: 제2 리브 125: 이격 컬럼
125`: 방열홀 130: 이격 컬럼 사이의 간극
141, 142: 레그 부재 200: 전지 셀
180: 리드 판 181: 조립용 돌기
190: 리드 테이프 f: 공기흐름
Ae: 간극을 통한 전지의 노출면 S: 셀 공간

Claims (17)

  1. 복수 개의 셀 공간을 구획하는 홀더 케이스; 및 각각 상기 셀 공간에 수납되는 전지 셀들을 구비하고,
    상기 셀 공간들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전지 셀이 수납되지 아니하는 빈 셀 공간이며,
    상기 셀 공간들 중에서 다른 셀 공간들에 의하여 둘러싸이는 셀 공간들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전지 셀이 수납되지 아니하는 빈 셀 공간인 배터리 팩.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셀 공간이 상기 홀더 케이스의 내부에 제1 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되고, 상기 셀 공간이 상기 제1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인 제2 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되는 배터리 팩.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으로 N개의 행과 상기 제2 방향으로 N개의 열로 배열되는 상기 셀 공간들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제1 그룹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그룹의 N번째 행에서 N번째 행의 첫 번째 열과 N번째 열의 셀 공간을 제외한 셀 공간들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빈 셀 공간인(N은 자연수) 배터리 팩.
  6. 제5항에 있어서,
    인접하는 2 이상의 셀 공간 위치에 배치되는 상기 빈 셀 공간이 하나의 빈 셀 공간으로 형성되는 배터리 팩.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룹이 적어도 하나 이상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열되는 배터리 팩.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으로 M개의 행과 상기 제2 방향으로 N개의 열로 배열되는 상기 셀 공간들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제2 그룹을 구비하고, 상기 제2 그룹의 모든 상기 셀 공간에 상기 전지 셀이 수납되는(M은 자연수) 배터리 팩.
  9. 제8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제1 그룹들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열되 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제2 그룹이 연속하여 배열되는 상기 제1 그룹들 중의 마지막에 배열되는 제1 그룹의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열되는 배터리 팩.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룹의 N번째 행에서 N번째 행의 첫 번째 열과 N번째 열의 셀 공간을 제외한 모든 셀 공간들이 상기 빈 셀 공간인 배터리 팩.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룹의 N번째 행에서 2번째 열과 N-1번째 열의 셀 공간이 하나의 공간으로 형성되는 배터리 팩.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빈 셀 공간이 상기 전지 셀들이 수납되는 셀 공간과 다른 형상을 갖는 배터리 팩.
  13. 제1항, 제3항 및 제5항 내지 제12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케이스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사이의 공간에 복수 개의 상기 셀 공간을 구획하는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케이스가,
    상기 제1 케이스와 상기 제2 케이스의 내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상기 전지 셀들을 분리하는 리브들, 및
    상기 리브들을 측면에서 둘러싸서 상기 리브들과 일체로 상기 홀더 케이스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홀더 프레임을 구비하는 배터리 팩.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셀 공간이 상기 홀더 케이스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배터리 팩.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셀 공간이 상기 홀더 케이스의 내부에 제1 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되고, 상기 셀 공간이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방향인 제2 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되고,
    상기 리브가, 인접하여 배치되는 상기 전지 셀을 공간적으로 분리하도록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리브, 인접하여 배치되는 상기 전지 셀을 공간적으로 분리하도록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리브, 및 상기 제1 리브와 상기 제2 리브가 교차되어 형성되는 이격 컬럼을 구비하는 배터리 팩.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 셀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이격 컬럼을 관통하여 공기 통로가 형성 하는 방열홀을 더 구비하는 배터리 팩.
KR1020090119901A 2009-12-04 2009-12-04 배터리 팩 KR1010972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9901A KR101097258B1 (ko) 2009-12-04 2009-12-04 배터리 팩
US12/768,103 US8993147B2 (en) 2009-12-04 2010-04-27 Battery pa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9901A KR101097258B1 (ko) 2009-12-04 2009-12-04 배터리 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2988A KR20110062988A (ko) 2011-06-10
KR101097258B1 true KR101097258B1 (ko) 2011-12-21

Family

ID=44082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9901A KR101097258B1 (ko) 2009-12-04 2009-12-04 배터리 팩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993147B2 (ko)
KR (1) KR1010972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56595A1 (de) 2003-12-04 2005-06-30 Basf Ag Brennstoffölzusammensetzungen mit verbesserten Kaltfließeigenschaften
KR101108184B1 (ko) 2009-12-11 2012-02-0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101202333B1 (ko) * 2010-06-09 2012-11-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JP2014505335A (ja) * 2011-06-30 2014-02-27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二次電池用電極組立体及びこれを含むリチウム二次電池
FR2990063B1 (fr) * 2012-04-30 2016-12-09 Batscap Sa Dispositif pour le maintien d'ensemble de stockage d'energie electrique
CN103682191B (zh) * 2012-09-06 2016-08-24 阿提瓦公司 框架具有点胶挡止的电池组件
WO2014079507A1 (en) * 2012-11-23 2014-05-30 Husqvarna Ab Apparatus for providing battery pack cooling
FR2998715A1 (fr) * 2012-11-27 2014-05-30 IFP Energies Nouvelles Batterie electrique modulaire, notamment pour vehicules automobiles, en particulier de type hybride ou electrique
US9698403B2 (en) 2013-09-06 2017-07-04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High current interconnect system and method for use in a battery module
US9825343B2 (en) 2014-09-30 2017-11-21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Battery module passive thermal management features and positioning
US10658717B2 (en) 2014-09-30 2020-05-19 Cps Technology Holdings Llc Battery module active thermal management features and positioning
US10720683B2 (en) 2014-09-30 2020-07-21 Cps Technology Holdings Llc Battery module thermal management features for internal flow
US10115943B2 (en) 2015-11-02 2018-10-30 Korea Institute Of Energy Research Battery packing module and battery pack
KR101870251B1 (ko) * 2016-07-15 2018-06-2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배터리 패킹모듈 및 배터리 팩
JP6863455B2 (ja) * 2017-04-24 2021-04-2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蓄電装置、電池パック、電動車両、電力貯蔵システム、電動工具および電子機器
DE102017207188A1 (de) * 2017-04-28 2018-10-31 Robert Bosch Gmbh Batterie mit einer Mehrzahl an Batteriezellen
US11469466B2 (en) 2017-05-23 2022-10-11 Aceleron Limited Battery pack assembly
WO2019028515A1 (en) * 2017-08-08 2019-02-14 Cape Bouvard Technologies Pty Ltd STRUCTURAL BATTERY
KR101892116B1 (ko) * 2017-11-06 2018-08-2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배터리팩모듈, 배터리팩 및 그 제조방법
WO2019213717A1 (en) * 2018-05-11 2019-11-14 Cape Bouvard Technologies Pty Ltd A structural battery
GB201821083D0 (en) * 2018-12-21 2019-02-06 Aceleron Ltd Battery pack assembly
KR102281374B1 (ko) 2018-12-21 2021-07-2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모듈 하우징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AU2020236020A1 (en) 2019-03-14 2021-10-28 Generac Power Systems, Inc. Battery module thermal management
KR20220064087A (ko) 2020-11-11 2022-05-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에어모빌리티의 공냉식 배터리 냉각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77243A (ja) * 2007-04-27 2008-11-13 Samsung Sdi Co Ltd 電池モジュール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42353A (en) * 1997-05-22 1999-08-24 Schoultz; Roger A. Battery with replaceable cells
JP4196521B2 (ja) * 2000-05-19 2008-12-17 新神戸電機株式会社 電気自動車用バッテリ構造及び電池モジュール
JP5078298B2 (ja) 2006-08-11 2012-11-21 三洋電機株式会社 パック電池
KR100934466B1 (ko) * 2006-09-25 2009-12-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셀들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접속부재
FR2908557B1 (fr) * 2006-11-14 2009-02-06 Vehicules Electr Societe Par A Batterie electrique comprenant un systeme de conditionnement mecanique et thermique
JP5110933B2 (ja) 2007-03-29 2012-12-26 三洋電機株式会社 パック電池
JP5173226B2 (ja) 2007-03-30 2013-04-03 三洋電機株式会社 パック電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77243A (ja) * 2007-04-27 2008-11-13 Samsung Sdi Co Ltd 電池モジュ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993147B2 (en) 2015-03-31
US20110135993A1 (en) 2011-06-09
KR20110062988A (ko) 2011-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7258B1 (ko) 배터리 팩
KR101166023B1 (ko) 방열 효율이 향상된 팩 전지
KR101097268B1 (ko) 방열효율 및 장착구조가 개선된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조립체
KR100684766B1 (ko) 이차 전지 모듈
KR100953614B1 (ko) 이차 전지 모듈
KR100839374B1 (ko) 전지 모듈
JP5004534B2 (ja) パック電池
KR101866345B1 (ko) 배터리모듈
KR101191664B1 (ko) 전지 모듈
KR20150102632A (ko) 이차 전지 팩
KR20110002355A (ko) 배터리 팩
KR20070013455A (ko) 이차 전지 모듈
JP2008047301A (ja) パック電池
KR101256063B1 (ko) 전지 모듈
JP2008097942A (ja) 組電池
JP5096842B2 (ja) 電池格納ユニット
US20160336629A1 (en) Battery module
KR101309153B1 (ko) 전지 모듈
KR20210073887A (ko) 배터리 팩
KR100627396B1 (ko) 이차 전지 모듈
KR102629460B1 (ko) 배터리 팩
KR20060103630A (ko) 이차 전지 모듈
KR100805108B1 (ko) 전지 모듈
KR100637469B1 (ko) 이차 전지 모듈
KR100649217B1 (ko) 이차 전지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