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6486B1 - 유체 여과용 엘리먼트 - Google Patents

유체 여과용 엘리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6486B1
KR101096486B1 KR1020040024332A KR20040024332A KR101096486B1 KR 101096486 B1 KR101096486 B1 KR 101096486B1 KR 1020040024332 A KR1020040024332 A KR 1020040024332A KR 20040024332 A KR20040024332 A KR 20040024332A KR 101096486 B1 KR101096486 B1 KR 1010964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cylinder
filter
support cylinder
fil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4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0938A (ko
Inventor
시오야노리카즈
Original Assignee
와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와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90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09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6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64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0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flat filtering elements
    • B01D29/075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flat filtering elements located in a closed housing and comprising scrapers or agitators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s, e.g. Nutsche- or Rosenmund-type filters for performing multiple step operations such as chemical reactions, filtering and cake treat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지지통과 이것에 끼워넣은 여과통 사이의 유체의 유동 공간에 유체의 분류를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지지통(5)과, 이것에 끼워넣은 여과통(8) 사이의 유동 공간(16)에, 지지통(5)의 외주에 소요 간격을 두고 돌출설치한 돌기(15)(스페이서)를 개재시킨다.
용기, 격벽, 유입실, 여과실, 지지통, 엔드 플레이트, 여과통, 스페이서, 유동 공간.

Description

유체 여과용 엘리먼트{FLUID FILTER ELEMENT}
도 1 은 유체 여과 장치의 일부 절결 정면도이다.
도 2 는 여과통의 장전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절결 정면도이다.
도 3 은 여과통 부분의 횡단면 평면도이다.
도 4 는 종래의 여과체 장전 상태의 일부 절결 정면도이다.
(도면부호의 설명)
1 용기 2 격벽
3 유입실 4 여과실
5 지지통 6 하부 엔드 플레이트
7 상부 엔드 플레이트 8 여과통
15 돌기(스페이서) 16 유동 공간
본 발명은, 물, 오일, 약품 등의 유체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여과 분리하는 유체 여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체 여과 장치에서는, 이 장치내에 장전되는 여과통의 장전 구조상, 여과통 에 대하여 유체의 여과 작용이 국부적으로 저해되는 경향이 있다.
배경기술에서 기술한 유체 여과 장치로서는, 일본 특개평 9-75612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 상기 공보에는 도 4와 같이 유체 여과 장치를 구성하는 용기(A)의 내부에 격벽(B)을 통하여 유입실(C)과 여과실(D)을 구획 형성하고, 상기 여과실(D)에, 일단을 격벽(B)에 고착하고 이 일단을 유입실(C)에 연통시킨 외주에 다수의 액통과 구멍(E)을 갖는 지지통(F)을 돌출 개입시키고, 이 지지통(F)의 외주에 여과통(G)을, 양 통(F, G) 사이에 유체유동용의 공간(H)을 갖도록 스페이서(I)를 개재하여 끼워맞추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유체 여과 장치의 여과 작용은, 용기(A)의 유입실(C)에 압력적으로 유입되는 유체는, 지지통(F)을 통하여 여과실(D)에 유도되는 동시에, 지지통(F)의 액통과 구멍(E)으로부터 공간(H)에 유입되고, 이 공간(H)내의 유체는 여과통(G)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빠지고, 그 도중에, 예를 들면 물과 오일로 여과 분리되고, 각각이 용기(A) 밖에 도시하지 않은 상법 수단에 의해 취출되는 것이다.
종래기술의 유체 여과 장치는, 지지통(F)과 여과통 사이의 유동 공간(H)이 도면과 같이 링 형상의 스페이서(I)에 의해 상하로 칸막이되어 있기 때문에, 유체는 스페이서(I)를 경계로 하여 상하로 분류되어 버리고, 이 분류에 의해 여과통(G)에 대한 유체의 빠져 나감이 국부적으로 저해되어, 여과통(G)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의 균일한 여과 작용을 달성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스페이서의 존재 에 의해 유체를 분류시키지 않는 유체 여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유체 여과 장치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1에 기재된 구성을 채용한다.
즉, 청구항 1에서는, 여과 장치를 구성하는 용기의 내부를 격벽을 개재하여 유입실과 여과실로 구획 형성하고, 상기 여과실에, 일단을 격벽에 고정하는 동시에 유입실로 연통시키고, 또한, 외주에 다수의 액통과 구멍을 구비한 지지통을 돌출 개입시키고, 이 지지통의 외주에 여과통을, 양쪽 통 사이에 유체 유동용의 공간을 갖도록 스페이서를 개재하고 끼워맞추는 유체 여과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를, 공간내의 유체가 공간의 전체 길이에 연통하도록 상기 지지통의 외주에 소요 간격을 두고 배열되고, 상기 지지통의 액통과 구멍에 끼워맞추어 고정되는 복수의 돌기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해, 공간내에 진입한 유체가 스페이서를 구성하는 돌기 사이를 통과하여 유동 공간의 전체 길이에 걸쳐 유동되므로 공간내의 유체의 분류는 저지된다.
또한 이 구성에서는, 지지통에 천공되어 있는 액통과 구멍을 돌기의 부착 구멍으로서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삭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
이하, 본 발명에 관계되는 유체 여과용 엘리먼트를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 도 2에 있어서, 1은 유체 여과 장치를 구성하는 세로형의 용기이다.
이 용기(1)내에는 격벽(2)을 통하여 하부에 유체의 유입실(3)이, 상부에 여과실(4)이 구획 형성된다.
상기 여과실(4)에는 하단을 유입실(3)에 연통시키고, 또한, 이 하단을 격벽(2)에 외팔보 지지 형상으로 고착한 여과통 삽입용의 지지통(5)이 돌출 개입된다.
상기 지지통(5)은, 그 하부측 외주에 용착에 의해 고정한 하부 엔드 플레이트(6)를 내뻗어 형성하고, 또 지지통(5)의 상단에 착탈 가능한 상부 엔드 플레이트(7)를 설치하고, 양 엔드 플레이트(6, 7)에, 엔드 플레이트 미장착 상태의 여과통(8)의 양 단면을 맞닿아 끼워지지하게 한다.
상부 엔드 플레이트(7)는,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통(5)에 나사 시트(9)의 중앙부에 볼트(10)를 상향 돌출 상태로 비틀어 넣어 고정하고, 이 볼트(10)에 상부 엔드 플레이트(7)에 설치한 중앙구멍(10a)을 헐겁게 끼워지게 하고 O링(10b)에 의해 실링하고, 중앙구멍(10a)의 상방으로 돌출한 볼트 부분에 조임 너트(11)를 나사결합한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통(5)은, 여과통(8)의 전체 길이를 끼워넣을 수 있는 긴 모양으로 형성되고, 또한, 지지통(5)에는 여과통(8)의 끼워넣는 길이 범위에 다수의 액통과 구멍(5a)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지지통(5)과 여과통(8) 사이에는, 유체의 유동 공간(16)이 형성되고, 이 유동 공간(16)에는 스페이서를 구성하는 핀 형상의 돌기(15)가 개재된다.
상기 돌기(15)는, 지지통(5)에 설치한 액통과 구멍(5a)에 끼워맞춤 고정되고, 지지통(5)의 축방향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둘레 방향으로 90°의 각도를 두고 4개씩 단속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여과통(8)의 용기(1)에의 장전 조작으로서는, 용기(1)의 상측 덮개를 떼어내고, 지지통(5)에 설치한 너트(11)와 상부 엔드 플레이트(7)를 볼트(10)로부터 미리 떼어내 둔다.
이이서, 이 떼어낸 상태에서, 엔드 플레이트 미장전 상태의 여과통(8)을 지지통(5)의 상단 해방단으로부터 끼워넣어지게 함으로써 여과체(8)의 하단면은 저절로 하부 엔드 플레이트(6)에 맞닿는다.
이 맞닿음 상태에서 상부 엔드 플레이트(7)의 중앙구멍(10a)을 볼트(10)에 삽입시키고, 너트(11)를 볼트(10)에 나사결합하여 조임으로써 여과통(8)의 양 단면은, 상하의 엔드 플레이트(6, 7)에 압착 지지되어, 장전을 완료한다.
또, 여과통(8)을 눈막힘 등에 의해 교환할 때는, 너트(11)와 상부 엔드 플레이트(7)를 이탈시켜서 눈막힘 여과통을 뽑아내고, 새로운 여과통으로 상술한 요령으로 바꾸어 장전한다.
본 실시예에 도시한 여과통(8)은, 석유 화학 플랜트 등의 특수 유체의 여과에 사용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여과통(8)은 금속 펀치 플레이트제의 내외 2중통(8a ,8b) 사이에 글라스울로 이루어지는 여과재(8c)를 두꺼운 층으로 충전하고, 상기 여과통(8) 양 단부에 위치하는 여과재 부분을 외주로부터 밴드(12)로 조여서 압축시키고, 이 압축에 의해 유체의 침투를 저지하는 고밀도부(13)를 형성하고, 또한 고밀도부(13)에의 유체의 침입을 더욱 강력하게 저지하기 위해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하의 엔드 플레이트(6, 7)에 엔들리스 형상의 단면 쐐기부(14)를 형성하고, 이 쐐기부(14)를 여과통의 단면에 파고 들어가게 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여과 장치에 의하면, 유동 공간내에 유입한 유체를 스페이서를 구성하는 돌기 사이를 통과시켜서 유동시키므로, 유동 공간에서의 유체의 분류가 해소된다.
또, 유체를 여과통의 전체 길이에 걸친 공간내를 유동시켜서 여과통의 전체 면적을 통해 빠져나가는 작용을 달성하여, 여과 로스가 없는 유효한 여과 작용을 도모할 수 있다.
더불어, 여과통을 지지통에 끼워맞춤 장전할 때, 돌기를 가이드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또한, 지지통에 뚫어 설치되어 있는 액통과 구멍을 그대로 돌기의 부착 구멍으로서 이용하면 좋으므로, 특별한 부착 구조를 설치할 필요가 없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여과 장치를 구성하는 용기의 내부를 격벽을 개재하여 유입실과 여과실로 구획 형성하고, 상기 여과실에, 일단을 격벽에 고정하는 동시에 유입실에 연통시키고, 또한, 외주에 다수의 액통과 구멍을 구비한 지지통을 돌출 개입시키고, 이 지지통의 외주에 여과통을, 양 통 사이에 유체 유동용의 공간을 갖도록 스페이서를 개재하고 끼워맞추는 유체 여과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를, 공간내의 유체가 공간의 축방향으로 연통하도록 상기 지지통의 외주에 소요 간격을 두고 배열되고, 상기 지지통의 액통과 구멍에 끼워 맞추어 고정되는 복수의 돌기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여과 장치.
  2. 삭제
KR1020040024332A 2004-03-10 2004-04-09 유체 여과용 엘리먼트 KR1010964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066664 2004-03-10
JP2004066664A JP4556070B2 (ja) 2004-03-10 2004-03-10 流体濾過用エレメン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0938A KR20050090938A (ko) 2005-09-14
KR101096486B1 true KR101096486B1 (ko) 2011-12-20

Family

ID=35080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4332A KR101096486B1 (ko) 2004-03-10 2004-04-09 유체 여과용 엘리먼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556070B2 (ko)
KR (1) KR1010964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2344B1 (ko) * 2006-12-28 2008-04-17 (주)청류에프앤에스 산업용 유체 여과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35936A (en) * 1978-09-05 1980-03-13 Naniwa Gomme Kogyo Kk Filter
JPS63115409U (ko) * 1987-01-20 1988-07-25
JPH0261407U (ko) * 1988-10-24 1990-05-08
JPH0975612A (ja) * 1995-09-08 1997-03-25 Wako Sangyo Kk 流体濾過装置における濾体の装填機構
WO2002074413A1 (de) * 2001-03-19 2002-09-26 Anton Steinecker Maschinenfabrik Gmbh Filterkerz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35936A (en) * 1978-09-05 1980-03-13 Naniwa Gomme Kogyo Kk Filter
JPS63115409U (ko) * 1987-01-20 1988-07-25
JPH0261407U (ko) * 1988-10-24 1990-05-08
JPH0975612A (ja) * 1995-09-08 1997-03-25 Wako Sangyo Kk 流体濾過装置における濾体の装填機構
WO2002074413A1 (de) * 2001-03-19 2002-09-26 Anton Steinecker Maschinenfabrik Gmbh Filterkerz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254081A (ja) 2005-09-22
JP4556070B2 (ja) 2010-10-06
KR20050090938A (ko) 2005-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1210B1 (ko) 캔들 필터 요소 조립체
US4812235A (en) Filter element assembly replaceable mesh pack
US3390778A (en) Two-stage, twist-on type filter assembly
US8048299B2 (en) Crossflow pressure liquid filtration with ultrasonic enhancement
KR100296232B1 (ko) 저정체용적필터조립체
US5437788A (en) Backwashing filter assembly
US3438502A (en) Filtration apparatus
CA1328627C (en) Filter media for filter systems
US4402828A (en) Pressure filter vessel
US3442390A (en) Multicartridge filter
HU213772B (en) Backwash filter for filtration of viscous liquids
KR101096486B1 (ko) 유체 여과용 엘리먼트
US2381627A (en) Filter
JP4377095B2 (ja) 立上り管を備えたフィルタ要素
US788359A (en) Water-filter.
JP3660600B2 (ja) 濾過装置及び廃濾材強制分離装置
KR200467091Y1 (ko) 수처리용 필터장치
US20080257838A1 (en) Cartridge based filter assembly for use in removing sub micronic particles from fluids
JPS6025168B2 (ja) 自動分離システム
US3312352A (en) Filter assembly having a support grid
RU2396423C1 (ru) Фильтр гидродинамический с импульсной промывкой
EP0774288B1 (en) Filter and filter element
JP3662856B2 (ja) 濾過助剤供給装置および濾過助剤供給装置を用いる濾過装置
RU2392030C1 (ru) Патронный фильтр (варианты)
RU2416713C2 (ru) Скважинный фильт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