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6004B1 - 디스크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댐핑 쉼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크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댐핑 쉼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6004B1
KR101096004B1 KR1020090079328A KR20090079328A KR101096004B1 KR 101096004 B1 KR101096004 B1 KR 101096004B1 KR 1020090079328 A KR1020090079328 A KR 1020090079328A KR 20090079328 A KR20090079328 A KR 20090079328A KR 101096004 B1 KR101096004 B1 KR 1010960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ing shim
recess
damping
shim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9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1497A (ko
Inventor
함우진
Original Assignee
울브린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브린코리아(주) filed Critical 울브린코리아(주)
Priority to KR1020090079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6004B1/ko
Publication of KR20110021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14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6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60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65/04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2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for axially-engaging brakes, e.g. disc brakes
    • F16D65/095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7Resilient means interposed between pads and supporting members or other brake parts
    • F16D65/0971Resilient means interposed between pads and supporting members or other brake parts transmitting brake actuation force, e.g. elements interposed between brake piston and p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크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댐핑 쉼 및 그의 제조방법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밀림방지를 위한 오목부가 형성된 패드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디스크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댐핑 쉼에 있어서, 상기 댐핑 쉼의 소정 영역을 절개하되 상기 오목부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절개부와, 상기 절개부 사이에 상기 댐핑 쉼의 일부가 프레싱 가공되어 외측으로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오목부에 삽입되는 함몰부를 포함하는 댐핑 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핑거부와 댐핑 쉼의 접착으로 인한 드래그 현상을 없앨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브레이크 패드의 교환시 망치 등으로 댐핑 쉼을 탈거하지 않아도 되므로 브레이크 패드 교환이 쉬워진다.
댐핑 쉼, 밀림방지, 접착제

Description

디스크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댐핑 쉼 및 그의 제조방법{Damping Shim For Disc-type Brake Syste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크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댐핑 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휠(Wheel)과 함께 회전하는 디스크(Disc)를 제동하기 위한 브레이크 패드용 댐핑 쉼(Damping Shim)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장착되는 브레이크 시스템은 주행 중에 자동차를 감속하거나 정지 또는 정지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장치로서, 주행 중의 운동에너지를 기계적인 마찰 장치에 의해 열 에너지로 변환하고 그에 의해 발생한 마찰열을 대기 중에 방출하여 제동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브레이크 시스템으로는 드럼식 브레이크 시스템과 디스크식 브레이크 시스템이 있다.
디스크식 브레이크 시스템은 드럼 대신에 휠과 함께 회전하는 원판형의 디스크를 양쪽에서 브레이크 패드로 강하게 압박하여 제동력을 얻는 방식으로서, 도 1에 일반적인 디스크식 브레이크 시스템의 단면도를 도시하였다.
도 1에서 보듯이, 디스크식 브레이크 시스템은 캘리퍼(10), 휠과 함께 회전하는 디스크(20), 및 디스크(20)의 양측면에 인접하게 설치된 한쌍의 브레이크 패 드(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캘리퍼(10)는 실린더부(40)와 그 타측에 배치되는 핑거부(50)를 포함하고, 실린더부(40) 내부에는 진퇴 운동이 가능한 피스톤(40a)이 설치되며, 실린더부(40)의 내주면에는 제동 유압이 해제될 때 피스톤(40a)을 복원시키는 탄성 재질의 시일(Seal; 40b)이 설치된다. 또한, 한쌍의 브레이크 패드(30)는 피스톤(40a)의 일단 및 핑거부(50)의 일단에 각각 설치되며, 디스크(20)는 이 한쌍의 브레이크 패드(30) 사이에 배치된다.
상술한 구조의 디스크식 브레이크 시스템의 작동 방식을 살펴보면, 운전자가 브레이크 패달을 밟음에 따라 배력장치(미도시)에 의해 마스터 실린더(미도시)에서 형성된 유압이 캘리퍼(10)에 전해지게 되고, 그에 의해 실린더부(40) 내의 피스톤(40a)이 실린더부(40) 측의 브레이크 패드(30)를 밀게 되고, 또한 실린더부(40) 내에 잔존하는 유압에 의해 실린더부(40)와 연결된 핑거부(50)가 다른 브레이크 패드(30)를 디스크(20) 측으로 밀게 된다.
이러한 동작에 따라 두 개의 브레이크 패드(30)가 그 사이에 위치한 디스크(20)를 압박하여 제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운전자가 브레이크 패달에서 발을 떼면, 피스톤(40a)이 시일(40b)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되며, 그에 따라 실린더부(40) 측의 브레이크 패드(30)와 핑거부(50) 측의 브레이크 패드(30)가 다시 디스크로부터 일정 간격만큼 이격된다.
한편, 도 2a에서 보듯이, 브레이크 패드(30)는 패드 플레이트(32), 댐핑 쉼(Damping Shim; 34) 및 마찰 패드(36)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마찰 패드(36)는 패드 플레이트(32)의 일측면에 부착되어 디스크(20)와 직접 마찰되며, 댐핑 쉼(34)은 디스크(20)와 마찰 패드(36)의 마찰로 인해 발생되는 마찰열 및 제동시의 진동 소음이 피스톤(40a) 및 핑거부(5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패드 플레이트(32)의 타측면에 부착되어 마찰 패드(36)와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브레이크 패드(30)의 배치 상태를 살펴보면, 피스톤(40a) 및 핑거부(50)의 가압력은 댐핑 쉼(34)을 통해 패드 플레이트(32) 및 마찰 패드(36)로 전달되는데, 예컨대 피스톤(40a)이 전진하여 제동 작용을 하게 되면 디스크(20)와 마찰 패드(36) 사이에 형성되는 제동 토크에 의해 패드 플레이트(32)가 디스크(20)의 회전 방향으로 밀리게 되며, 패드 플레이트(32)와 피스톤(40a) 사이에 배치된 댐핑 쉼(34)은 상대적으로 디스크(20)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밀리게 된다.
따라서, 댐핑 쉼(34)이 패드 플레이트(32)에 강하게 결속되어 있지 않다면 밀림 현상에 의해 댐핑 쉼(34)이 패드 플레이트(32)로부터 밀려서 파열 또는 파손되는 문제가 야기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노력이 시도되었는데, 그 중 한가지 방법으로, 도 2a 및 도 2b에서와 같이, 패드 플레이트(32)에 오목부(32a)를 형성하고, 댐핑 쉼(34)에는 오목부(32a)에 끼워지는 함몰부(34a)를 형성하여 패드 플레이트(32)에 의한 댐핑 쉼(34)의 밀림을 방지하는 방법이 개발되었다.
상기 함몰부(34a)는 댐핑 쉼(34)의 일부가 프레싱 가공되어 외측으로 소정 높이만큼 돌출되도록 제작되는데, 그 전에 상기 함몰부(34a)의 좌우에는 슬릿공(34b)을 형성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릿공(34b)은 함몰부(34a) 가공을 용이하게 하고, 함몰부(34a)의 가장자리가 상기 오목부(32a)의 내벽과 밀착되는 슬리브(sleeve) 역할을 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함몰부(34a) 형성을 위한 프레스 가공시 과도한 소성 변형으로 인해 제품의 평탄도가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댐핑 쉼(34a)에는 상기 함몰부(34a)를 형성할 때 평탄도를 보상하도록 하는 관통공(34c)이 함몰부(34a)가 위치한 상부 및 하부에 마련된다.
한편, 도 3b 및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댐핑 쉼(34)은 판 형상의 기재(1,Base) 외피를 고무 재질로 코팅층(2, Coating Layer)을 형성하고, 그 일측면에 패드 플레이트(32)와 접착시키기 위한 접착층(3, Adhesive Layer)이 도포된 구조를 갖으며, 접착층(3)에 이물질이 달라 붙지 못하도록 종이 또는 비닐 재질의 커버(4)로 접착층을 보호한다.
여기서, 기재(1), 코팅층(2) 및 접착층(3)은 디스크(20)와 마찰 패드(36)의 마찰로 인해 발생하는 마찰열 및 진동 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는 재질로 선택되며, 특히 기재(1)로는 냉간 압연 강판(Cold Roll Steel)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Stainless Steel)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코팅층(2)으로는 NBR(Nitrile Butadiene Rubber), ACR(Acrylic Rubber) 등의 일레스토머(Elastomer)가 사용될 수 있으며, 접착층(3)으로는 ACR(Acrylic),실리콘(Silicon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댐핑 쉼(34)의 기재(1)는 2개 이상의 스틸판을 복층으로 적층하여 형성하기도 하는데, 상기 스틸판 사이에는 접착층(3)이 형성된다.
상술한 댐핑 쉼(34)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면은 패드 플레이트(32)에 결합되고 타측면은 브레이크 제동시 캘리퍼(10)의 핑거부(50)의 안쪽면 또는 피스톤(40a)에 가압되면서 패트 플레이트(32) 및 마찰 패드(36)를 디스크(20)를 향해 접촉되도록 한다.
그런데 브레이크의 제동시 캘리퍼(10)의 핑거부(50)가 고압으로 댐핑 쉼(34)을 가압함에 따라 댐핑 쉼(34)에 타공된 슬릿공(34b) 및 관통공(34c)(이하, 구멍)을 통해 접착제가 새어나와 도 3a에 도시된 A 영역과 핑거부(50)가 접착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렇게 접착제에 의해 댐핑 쉼(34)과 핑거부(50)가 접착되면 브레이크를 작동하지 않는 상태에서 오작동을 일으키는 드래그(drag) 현상을 야기한다.
또한, 브레이크 패드(30)를 교환할 경우 댐핑 쉼(34)을 탈거하기 위해서는 핑거부(50)를 망치로 때려서 분리시켜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댐핑 쉼에 타공된 구멍으로부터 접착제가 새어나와 핑거부와 접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드래그 현상을 없앨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브레이크 패드 교환이 쉽도록 하는 댐핑 쉼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밀림방지를 위한 오목부가 형성된 패드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디스크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댐핑 쉼에 있어서, 상기 댐핑 쉼의 소정 영역을 절개하되 상기 오목부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절개부와, 상기 절개부 사이에 상기 댐핑 쉼의 일부가 프레싱 가공되어 외측으로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오목부에 삽입되는 함몰부를 포함하는 댐핑 쉼을 제공한 다.
상기 오목부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절개부의 가장자리에 타공되는 한 쌍의 관통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몰부는, 상기 댐핑 쉼의 타 영역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되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절곡된 한 쌍의 절곡면; 및 상기 절곡면들 사이에서 댐핑 쉼의 타 영역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되 중심부가 평탄하게 형성된 평탄면;을 포함하며, 상기 관통공은 상기 절곡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절개부는 상기 오목부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댐핑 쉼은 판상의 기재와, 상기 기재의 외면에 코팅된 코팅층과, 상기 코팅층이 형성된 상기 기재의 일면에 형성된 접착층과, 상기 접착층을 보호하는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드 플레이트에는 소정 높이 돌출되어 밀림을 방지하는 밀림방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댐핑 쉼에는 상기 밀림방지돌기에 끼워지는 끼움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밀림방지를 위한 오목부가 형성된 패드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디스크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댐핑 쉼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댐핑 쉼의 소정 영역을 관통하는 4개의 관통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오목부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4개의 관통공 중 인접한 2개의 관통공들끼리 연결하되 서로 대향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절개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한 쌍의 절개부들 사이에 상기 댐핑 쉼의 일부가 프레싱 가공되어 외측으로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되는 함몰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댐핑 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댐핑 쉼에 의하면 브레이크 동작시 핑거부에 의해 댐핑 쉼의 일면이 가압되면서 관통공으로 접착제가 새어 나오더라도 접착제의 누설량이 적을 뿐만 아니라 핑거부와 접촉되지 않는 함몰부위에 관통공이 위치되므로 접착제가 핑거부에 묻지 않게 된다. 따라서, 핑거부와 댐핑 쉼의 접착으로 인한 드래그 현상을 없앨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브레이크 패드의 교환시 망치 등으로 댐핑 쉼을 탈거하지 않아도 되므로 브레이크 패드 교환이 쉬워진다.
본 발명의 댐핑 쉼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관통공, 절개부 및 함몰부를 순차적으로 형성하므로 댐핑 쉼은 가공 과정중에 평탄도를 유지하면서 효율적으로 가공된다.
본 발명은 밀림방지를 위한 오목부가 형성된 패드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디스크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댐핑 쉼에 있어서, 상기 댐핑 쉼의 소정 영역을 절개하되 상기 오목부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절개부와, 상기 절개부 사이에 상기 댐핑 쉼의 일부가 프레싱 가공되어 외측으로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오목부에 삽입되는 함몰부를 포함하는 댐핑 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 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댐핑 쉼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로서, 도 4a는 사시도, 도 4b는 평면도, 도 4c는 I-I 단면도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댐핑 쉼(340)은 패드 플레이트(320)에 결합되고, 패드 플레이트(320)는 마찰 패드(360)와 결합되어 브레이크 패드(300)를 구성한다.
여기서 패드 플레이트(320)에는 브레이크 작동시 디스크(200)의 회전에 의해 댐핑 쉼(340)이 패드 플레이트(320)로부터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오목부(321, 도 2b 및 도 4b 참조)가 형성된다.
상기 오목부(321)는 예를 들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 플레이트(32)의 두께방향으로 일정 깊이 함몰된 홈(32a)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두께 방향을 관통하는 구멍이 될 수도 있다. 그리고 오목부(321)의 형상은 도 4b에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평면에서 바라볼 때 원형을 이룰 수 있으며 실시 형태에 따라 타원형, 사각형, 육각형 등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댐핑 쉼(340)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의 기재(1)와, 상기 기재(1)의 외면에 코팅된 코팅층(2)과, 상기 코팅층(2)이 형성된 상기 기재(1)의 일면에 형성된 접착층(3)과, 상기 접착층(3)을 보호하는 커버(4)를 포함하여 이루어 진다.
이러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댐핑 쉼(340)은 상기 패드 플레이트(320)의 오목부(321)에 삽입되는 구성으로 상기 오목부(320)와 상호작용 하면서 밀림을 방지하도록 하는 구성들을 포함한다.
즉, 상기 댐핑 쉼(340)은 소정 영역을 절개하되 상기 패드 플레이트(320)의 오목부(321) 내측에 위치하도록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절개부(341)와, 상기 절개부(341) 사이에 상기 댐핑 쉼(340)의 일부가 프레싱 가공되어 외측으로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오목부(321)에 삽입되는 함몰부(3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절개부(341)와 함몰부(343)는 댐핑 쉼(340)에서 하나의 밀림방지 구조를 이루어 패드 플레이트(320)의 오목부(321)에 결합되어 상호 작용하는데, 상기 패드 플레이트(320)에 형성된 오목부(321) 개수만큼 마련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패드 플레이트(320)에 형성된 2개의 오목부(321)와 대응하도록 댐핑 쉼(340)의 밀림방지구조는 좌 우측에 2개가 마련된다.
여기서, 댐핑 쉼(340)에는 후술할 절개부(341), 관통공(342) 및 함몰부(343)를 1조로 하는 밀림방지구조가 좌우에 각각 1개씩 형성되나 편의상 어느 한 쪽에 위치된 구성을 대표로 설명한다.
상기 절개부(341)는 오목부(321)의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오목부(321)는 원형의 형상을 가지므로 한 쌍의 절개부(341)는 오목부(321)에 대응하는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절개부(341)는 댐핑 쉼(340)의 일면을 펀치로 가압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형성된 절개부(341)는 함몰부(343)가 형성되기 이전에는 완전히 절개되지 않고 눌린 상태로 있을 수 있다. 그러나 함몰부(343)가 형성될 때 절개부(341)는 댐핑 쉼(340)의 일면으로부터 함몰부(343)의 가장자리가 분리되도록 역할한다.
그러므로 댐핑 쉼(340)에 상기 절개부(341)가 형성되고 나면 프레싱 가공으로 함몰부(343)를 쉽게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절개부(341)의 내측에 위치한 함몰부(343)의 가장자리 영역은 오목부(321)의 내벽과 접촉되는 슬리브(sleeve)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함몰부(343) 형성을 위한 프레스 가공시 과도한 소성 변형으로 인해 제품의 평탄도가 저하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오목부(321)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절개부(341)의 가장자리에는 타공되는 한 쌍의 관통공(342)이 형성된다. 즉, 상기 관통공(342)은 함몰부(343)를 형성할 때 댐핑 쉼(340)의 평탄도를 보상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관통공(342)의 크기는 최소한의 수치를 갖도록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브레이크 동작시 핑거부(50)에 의한 가압으로 종래 댐핑 쉼(34, 도 2a 내지 도 3b 참조)에 형성된 다수의 큰 구멍들(34b, 34c)들로부터 접착제가 새어 나와 핑거부(50)와 댐핑 쉼(34)이 접착되는 문제를 개선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관통공(342)과 절개부(341)가 형성되면 드로잉(drwaing) 가공을 통해 댐핑 쉼(340)에 함몰부(343)를 형성한다.
상기 함몰부(343)는 도 4b 및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댐핑 쉼(340) 의 타 영역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되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절곡된 한 쌍의 절곡면(344)과, 상기 절곡면(344)들 사이에서 댐핑 쉼(340)의 타 영역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되 중심부가 평탄하게 형성된 평탄면(345)을 갖게 된다.
여기서 상술한 관통공(342)은 상기 절곡면(344)에 위치하게 되는데,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통공(342) 역시 함몰부(343)에 의해 함몰된 상태에 놓이게 된다.
상기 댐핑 쉼(340)에 형성된 함몰부(343)는 상기 패드 플레이트(320)에 형성된 오목부(321)에 끼워짐으로써 댐핑 쉼(340)이 패드 플레이트(320)로부터 밀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댐핑 쉼(340)이 브레이크 동작시 핑거부(50)에 의해 가입되면서 관통공(342)으로 접착제가 새어 나오더라도 상기 관통공(342)은 크기가 작기 때문에 접착제의 누설량이 적게 된다. 그리고 핑거부(50)는 댐핑 쉼(340)의 일면에 접촉되는데 상기 관통공(342) 및 절개부(341)는 상기 오목부(321)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접촉면으로부터 함몰되므로 관통공(342) 및 절개부(341)로부터 누출되는 접착제가 핑거부(50)에 묻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댐핑 쉼(340)에 타공된 구멍으로부터 접착제가 새어나와 핑거부(50)와 접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드래그 현상을 없앨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브레이크 패드의 교환을 위해 망치 등을 사용하여 댐핑 쉼을 탈거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브레이크 패드 교환이 쉬워진다.
한편, 상기 패드 플레이트(320)에는 소정 높이 돌출되어 밀림을 방지하는 밀 림방지돌기(32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댐핑 쉼(340)에는 상기 밀림방지돌기(323)에 끼워지는 끼움공(347)이 형성된다.
상기 밀림방지돌기(323)는 원기둥 형태로 패드 플레이트(320)에 돌출되며 중앙 영역 하단부에 2개가 형성되며, 상기 끼움공(347)은 상기 밀림방지돌기(323)에 대응되도록 원형의 단면을 갖는 구멍으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댐핑 쉼(340)이 패드 플레이트(320)에 결합될 때 댐핑 쉼(340)의 끼움공(347)이 패드 플레이트(320)의 밀림방지돌기(323)에 먼저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끼움공(347)과 밀림방지돌기(323)는 양 부재가 결합되는 위치를 안내하는 가이드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아울러 브레이크 동작시 양 부재가 서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핑 쉼(340)의 제조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댐핑 쉼(340)에는 절개부(341), 관통공(342), 함몰부(343)를 1조로 하는 밀림방지 구조가 좌우에 각각 1개씩 2쌍으로 형성되나 본 제조방법을 설명함에 있어서도 편의상 일측에 형성된 것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댐핑 쉼(340)에는 소정 영역을 관통하는 4개의 관통공(342)과 끼움공(347)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342)과 끼움공(347)은 펀치로 댐핑 쉼(340)의 두께 전체를 천공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관통공(342)은 최소한도로 작은 크기를 가지며 패드 플레이트(320)의 오목부(321)의 내측에 위 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중요하다.
다음으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2개의 관통공(342)들을 연결하는 한 쌍의 절개부(341)를 형성한다. 한 쌍의 절개부(341)는 펀치로 가압하여 2개의 관통공(342)들을 연결하도록 한다. 이때 절개부(341)의 역시 상기 오목부(321)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며, 오목부(321)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상기 절개부(341)는 원호 형상을 갖는다.
마지막으로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몰부(343)를 형성한다. 함몰부(343)는 드로잉(Drawing) 가공으로 형성되는데, 다이(Die) 위에 댐핑 쉼(340)을 올려놓고 한 쌍의 절개부(341) 사이 공간을 펀치로 가압함으로써 절곡면(344)과 평탄면(345)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함몰부(343)는 프레싱 가공되어 외측으로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되며 절개부(341)에 의해 가장자리가 떨어진 상태를 가지며 패드 플레이트(320)의 오목부(321)에 끼워질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관통공(342)은 상기 절곡면(344)에 위치하게 되는데,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통공(342) 역시 함몰부(343)에 의해 함몰된 상태에 놓이게 된다.
이와 같은 제조방법에 의해 본 발명의 댐핑 쉼(340)은 단계별로 제작될 수 있으며 제조 과정에서 관통공(342), 절개부(341) 및 함몰부(343)를 순차적으로 형성하므로 댐핑 쉼(340)은 가공 과정 중에 평탄도를 유지하면서 효율적으로 가공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디스크식 브레이크 시스템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종래의 브레이크 패드를 도시한 도면들로서, 도 2a는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I-I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b는 도 2a 및 도 3b의 댐핑 쉼에 대한 도면들로서, 도 3a는 평면도이고, 도 3b는 I-I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댐핑 쉼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로서, 도 4a는 사시도, 도 4b는 평면도, 도 4c는 I-I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핑 쉼의 제조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참조부호의 설명>
10 : 캘리퍼 20 : 디스크 30 : 브레이크 패드
40 : 실린더 40a : 피스톤 50 : 핑거부
300 : 브레이크 패드 320 : 패드 플레이트 321 : 오목부
323 : 밀림방지돌기 340 : 댐핑 쉼 341 : 절개부
342 : 관통공 343 : 함몰부 344 : 절곡면
345 : 평탄면 347 : 끼움공

Claims (7)

  1. 밀림방지를 위한 오목부가 형성된 패드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디스크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댐핑 쉼에 있어서,
    상기 댐핑 쉼의 소정 영역을 절개하되 상기 오목부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절개부; 및
    상기 절개부 사이에 상기 댐핑 쉼의 일부가 프레싱 가공되어 외측으로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오목부에 삽입되는 함몰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목부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한 쌍의 절개부 각각의 가장자리에 한 쌍의 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핑 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는,
    상기 댐핑 쉼의 타 영역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되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절곡된 한 쌍의 절곡면; 및 상기 절곡면들 사이에서 댐핑 쉼의 타 영역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되 중심부가 평탄하게 형성된 평탄면;을 포함하며,
    상기 관통공은 상기 절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핑 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절개부는 상기 오목부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핑 쉼.
  5. 제1항, 제3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 쉼은,
    판상의 기재와, 상기 기재의 외면에 코팅된 코팅층과, 상기 코팅층이 형성된 상기 기재의 일면에 형성된 접착층과, 상기 접착층을 보호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핑 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 플레이트에는 소정 높이 돌출되어 밀림을 방지하는 밀림방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댐핑 쉼에는 상기 밀림방지돌기에 끼워지는 끼움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핑 쉼.
  7. 밀림방지를 위한 오목부가 형성된 패드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디스크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댐핑 쉼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댐핑 쉼의 소정 영역을 관통하는 4개의 관통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오목부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4개의 관통공 중 인접한 2개의 관통공들끼리 연결하고 서로 대향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절개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한 쌍의 절개부들 사이에 상기 댐핑 쉼의 일부가 프레싱 가공되어 외측으로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되는 함몰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댐핑 쉼의 제조방법.
KR1020090079328A 2009-08-26 2009-08-26 디스크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댐핑 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0960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9328A KR101096004B1 (ko) 2009-08-26 2009-08-26 디스크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댐핑 쉼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9328A KR101096004B1 (ko) 2009-08-26 2009-08-26 디스크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댐핑 쉼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1497A KR20110021497A (ko) 2011-03-04
KR101096004B1 true KR101096004B1 (ko) 2011-12-19

Family

ID=43930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9328A KR101096004B1 (ko) 2009-08-26 2009-08-26 디스크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댐핑 쉼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600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7331Y1 (ko) * 2001-11-16 2002-03-09 주식회사 한국베랄 디스크 브레이크용 브레이크 패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7331Y1 (ko) * 2001-11-16 2002-03-09 주식회사 한국베랄 디스크 브레이크용 브레이크 패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1497A (ko) 2011-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78493Y2 (ja) ディスクブレーキ
JPH11148521A (ja) 鳴き防止シム
KR101096004B1 (ko) 디스크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댐핑 쉼 및 그의 제조방법
JP6112391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パッド用シム
KR100824911B1 (ko) 댐핑 심 및 이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패드
KR100906992B1 (ko) 디스크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댐핑 쉼
KR20100023666A (ko) 디스크 브레이크
WO2008097025A1 (en) Damping shim for disc-type brake system
JP2007198407A (ja) ディスクブレーキ装置
KR20160061203A (ko) 자동차용 캘리퍼 브레이크
JPH08232998A (ja) ディスクブレーキ用シム
JP7213994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
KR20180091417A (ko) 디스크브레이크
CN115704431A (zh) 用于盘式制动器的制动衬块
KR0119398Y1 (ko) 디스크 브레이크의 노이즈 방지장치
KR100844556B1 (ko) 브레이크 패드의 롤 백 장치
KR200281974Y1 (ko) 디스크 브레이크의 커버심
KR0141038B1 (ko) 디스크 브레이크의 노이즈 방지장치
KR20210098645A (ko) 차량용 브레이크
JP2875386B2 (ja) 自動二輪車のディスクブレーキ装置
KR20020078018A (ko) 디스크 브레이크
JPH0725340U (ja) ディスクブレーキ用パッド
KR20090055711A (ko) 우수한 평탄도를 갖는 디스크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댐핑 쉼
KR100580035B1 (ko) 형상 기억 합금을 이용한 브레이크의 드래그 저감 구조
KR100779485B1 (ko) 디스크 브레이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