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5813B1 - 크래들 장치를 이용한 혈당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혈당 모니터링 방법 - Google Patents

크래들 장치를 이용한 혈당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혈당 모니터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5813B1
KR101095813B1 KR1020090114118A KR20090114118A KR101095813B1 KR 101095813 B1 KR101095813 B1 KR 101095813B1 KR 1020090114118 A KR1020090114118 A KR 1020090114118A KR 20090114118 A KR20090114118 A KR 20090114118A KR 101095813 B1 KR101095813 B1 KR 1010958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sugar
information
blood
tim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4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7642A (ko
Inventor
김영탁
장달현
박용완
정호열
신동구
정태은
원규장
신동훈
정석호
최선호
박창현
유국열
Original Assignee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114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5813B1/ko
Publication of KR20110057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76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5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58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glucose, e.g. by tissue impedance measur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98Portable consumer electronic devices, e.g. music players, telephones, tablet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7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Abstract

본 발명은 크래들 장치를 이용한 혈당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혈당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크래들 장치를 이용한 혈당 모니터링 방법은, 혈당 측정기로부터 혈당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외부로부터 사용자 식별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혈당 정보가 수신된 시간과 사용자 식별 정보가 입력된 시간의 차이를 연산하여 시간 차이를 기준 시간과 비교하는 단계, 그리고 시간 차이가 기준 시간보다 작으면 혈당 정보와 사용자 식별 정보를 혈당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에 사용하던 혈당 측정기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원격으로 혈당 관리 서비스를 받을 수 있으므로 기존 당뇨병 환자가 혈당 측정기를 재 구입해야 하는 낭비를 막을 수 있다. 또한, 혈당 정보와 사용자 ID의 수신 시간 차이를 이용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가 하나의 크래들 장치를 이용하더라도 사용자 별로 혈당 정보를 정확하게 혈당 관리 서버로 전달하여 업데이트 시킬 수 있다.
혈당, 크래들 장치, 원격, 혈당 관리 서버

Description

크래들 장치를 이용한 혈당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혈당 모니터링 방법{BLOOD SUGAR MONITORING SYSTEM USING CRADLE MODULE AND BLOOD SUGAR MONITORING METHOD THEROF}
본 발명은 크래들 장치를 이용한 혈당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혈당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에 사용하던 혈당 측정기를 이용하여 다수의 사용자가 편리하게 혈당 관리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크래들 장치를 이용한 혈당 관리 시스템 및 그 혈당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정책연구원 조사에 따르면 당뇨 환자 관련 시장은 외래 환자수 189만명에 2571억원의 진료비가 책정되었다고 할 정도로 당뇨병은 매우 대중화된 질환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고령화 사회에 따른 만성적인 당뇨병 환자들의 체계적인 관리의 필요성이 대두고 있으나 기존 당뇨병 환자들은 병원과의 커뮤니케이션에 시간적, 공간적으로 많은 제약이 따르는 상황이다.
최근에 혈당을 중심으로 사람의 질병을 진단하는 바이오센서 개발이 활발하게 연구되고 상품화되고 있으며, 더 나아가 이러한 바이오센서를 휴대폰과 소형 단말기에 연결하여 가정에서 간단하게 개인의 건강을 진단할 수 있다. 이런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그 동안 병원에 가야만 자신의 건강 상태를 알 수 있었으나 지금은 간단하게 시간과 장소에 상관없이 질병을 진단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소형 단말기의 사용은 어린이나 나이 드신 어르신에게는 조작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소형 단말기에 나타내는 수치에 대한 이해도도 적어 직접 사용이 힘들다. 따라서 질병을 진단한 결과에 대한 이해도가 낮은 사람들을 위해 이해도가 높은 보호자나 제 3자의 건강관리가 요구된다. 또한 기존에 사용하던 혈당 측정기 대신에 병원의 관리 서버와 원격 통신이 가능한 별도의 혈당 측정기를 구입하여야 하므로 경제적인 부담이 큰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당뇨병 환자들의 당뇨 수치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진단하기 위한 원격 데이터 관리 및 처방 시스템을 개발하여 당뇨병 환자들의 삶의 질 개선에 기여하고 또한 연령에 관계없이 접근성이 용이한 혈당 관리 시스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에 사용하는 혈당 측정기를 이용하여 다수의 사용자가 편리하게 혈당 관리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크래들 장치를 이용한 혈당 관리 시스템 및 그 혈당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크래들 장치를 이용한 혈당 모니터링 방법은, 혈당 측정기로부터 혈당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외부로부터 사용자 식별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혈당 정보가 수신된 시간과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가 입력된 시간의 차이를 연산하여 상기 시간 차이를 기준 시간과 비교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시간 차이가 상기 기준 시간보다 작으면 상기 혈당 정보와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를 혈당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시간 차이가 상기 기준 시간보다 작으면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 별로 상기 혈당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간 차이가 상기 기준 시간보다 크면 인증 실패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크래들 장치는, 혈당 측정기로부터 혈당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외부로부터 사용자 식별 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 ID 입력부, 상기 혈당 정보가 수신된 시간과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가 입력된 시간의 차이를 연산하여 상기 시간 차이를 기준 시간과 비교하는 제어부, 그리고 상기 시간 차이가 상기 기준 시간보다 작으면 상기 혈당 정보와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를 혈당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혈당 모니터링 시스템은, 혈당량을 측정하여 혈당 정보를 생성하는 혈당 측정기, 상기 혈당 측정기로부터 수신된 혈당 정보와 외부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식별 정보를 입력된 순서대로 각각 전송하는 크래들 장치,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와 상기 혈당 정보를 각각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한 인증을 성공하면 상기 혈당 정보와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가 수신된 시간 차이를 기준 시간과 비교하여, 상기 시간 차이가 상기 기준 시간보다 작으면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 별로 상기 혈당 정보를 저장하는 혈당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에 사용하던 혈당 측정기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원격으로 혈당 관리 서비스를 받을 수 있으므로 기존 당뇨병 환자가 혈당 측정기를 재 구입해야 하는 낭비를 막을 수 있다. 또한, 혈당 정보와 사용자 ID의 수신 시간 차이를 이용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가 하나의 크래들 장치를 이용하더라도 사용자 별로 혈당 정보를 정확하게 혈당 관리 서버로 전달하여 업데이트 시킬 수 있다.
또한, 혈당 측정기가 없는 환자는 본 발명에 따른 혈당 측정기와 크래들 장치를 구매하여 불필요하게 다른 분석 프로그램이나 PC등에 따로 연결할 필요 없이 바로 원격으로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져 보다 나은 양질의 의료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원격 혈당 관리 시스템을 통하여, 환자의 경우 일일이 혈당을 종이에 기록 할 필요가 없어지고 병원에서는 환자의 전자 차트 기능을 대신할 수가 있어서 인력, 시간, 소모품, 및 비용이 절약되고, 해당 환자 혈당의 통계적 수치를 한번에 파악하여 분석을 빠른 시간에 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 보다 물적, 질적으로 나은 의료 서비스를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래들 장치를 이용한 혈당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속적 혈당 모니터링 시스템은 혈당 측정기(100), 크래들 장치(200), 무선 통신 모듈(300) 및 혈당 관리 서버(400)를 포함한다.
혈당 측정기(100)는 혈액 중 혈당의 농도를 측정하도록 하는 장치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채혈기 또는 채혈짐을 이용하여 채취한 혈액이 묻힌 스트립(혈당측정을 위한 검사용 시험지)을 제공받아 스트립에 묻힌 혈액내의 전류량을 측정하는 기기이다. 여기서 측정되는 전류량은 포도당이 산화효소에 의해 산화되면서 전자를 방출할 때 혈당센서로 흐르는 전류값을 의미한다.
크래들 장치(200)는 혈당 측정기(100)로부터 혈당 정보를 수신하여, 혈당 정보를 가공하거나 외부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ID를 추가하여 혈당 관리 서버(400)로 전송한다. 크래들 장치(200)는 혈당 측정기(100)와 유선 통신 또는 근거리 통신 방식에 의하여 혈당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크래들(cradle) 장치(200)는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해당 병원 및 관리 센터에 설치된 혈당 관리 서버(400)와 접속하며, 혈당 측정기(100)로부터 수신한 혈당 정보와 사용자 ID를 전송한다. 여기서, 크래들 장치(200)는 내부에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직접 혈당 관리 서버(400)로 혈당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고, 외부에 설치된 별도의 무선 통신 모듈(300)과 접속하여 무선 통신 모듈(300)을 통하여 혈당 관리 서버(400)로 혈당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즉, 혈당 측정기(100)가 무선 통신 모듈(300)과 직접적인 접속 수단을 가지지 않는 경우를 위하여, 크래들 장치(200)를 중간에 설치하여 혈당 측정기(10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무선 통신 모듈(300)을 통하여 혈당 관리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크래들 장치(200)는 혈당 측정기(100)와의 전기적인 접점과, 무선 통신 모듈(300)과의 직접적인 접속 수단을 가지며, 양 장치 사이의 데이터 교환을 실현한다.
무선 통신 모듈(300)은 크래들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혈당 정보를 혈당 관리 서버(400)로 전송한다. 여기서, 무선 통신 모듈(300)과 혈당 관리 서버(400) 사이의 통신 방법으로는, 코드부호 분할다중접속(Code Devision Multiple Access, CDMA), 초고속 무선 휴대 인터넷(Wireless Broadband Internet, Wibro), 디지털 가입자 회선(Digital Subscriber Line, DSL, 예) xDSL, ADSL), 공중 통신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을 들 수 있다.
혈당 관리 서버(400)는 병원 및 관리 센터에 주로 설치되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제공받은 사용자 별 혈당 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해당 주치의나 관리자가 볼 수 있는 전자차트에 연동시킴으로써, 주치의나 관리자가 별도의 프로그램 없이 환자들에 대한 데이터를 볼 수 있게 한다.
혈당 관리 서버(400)는 사용자 회원의 혈당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여 상기 혈당 정보를 필요로 하는 의료기관 등에 인터넷망을 통해 제공하는 서비스 등을 관할한다. 즉, 혈당 관리 서버(400)는 혈당 정보를 수집 및 전자차트에 연동할 수 있게 가공하며, 혈당분석 알고리즘을 통해 환자의 혈당 수치를 모니터링하여 해당 주치의나 관리자에게 문자서비스(SMS) 또는 인터넷 망를 통해 통보해 준다. 해당 주치의나 관리자는 혈당 관리 서버(400)에서 제공되는 환자 데이터 및 모니터링 결과를 통해 입수된 정보를 통해 처방이나 맞춤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도 2는 도 1에 따른 혈당 측정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낸 혈당 측정기(100)는 혈당 정보를 크래들 장치(200)로 전달할 수 있는 일반적인 혈당 측정기로서, 혈당 센서(102), 통신부(104) 및 표시부(106)를 포함할 수 있다. 혈당 센서(102)는 사용자의 혈당량을 측정하고 혈당량에 대한 혈당 정보를 생성한다. 혈당 정보에는 혈당량뿐만 아니라 측정 시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혈당 센서(102)는 혈당 정보의 생성에 앞서 측정된 혈당량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고, 오류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혈당량에 대한 혈당 정보를 생성한다. 만약, 오류가 발생한 경우에는 혈당 정보가 생성되지 않고, 오류가 발생하였음을 혈당 측정기(100)에 구비된 표시부(106)에 표출하여 혈당량의 재측정이 이루어지도록 유도할 수 있다.
통신부(104)는 혈당 센서(102)로부터 획득한 혈당 정보를 크래들 장치(200)로 제공한다. 여기서, 혈당 측정기(100)는 크래들 장치(200)와 유선 통신 방식 또는 지그비(Zigbee), RFID와 같은 근거리 통신 방식에 의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혈당 정보를 크래들 장치(200)로 전송한다. 또한 크래들 장치(200)가 혈당 관리 서버(400)로부터 혈당 관리와 관련된 관리 정보를 수신하면, 통신부(104)는 실시간으로 크래들 장치(200)로부터 관리 정보를 수신한다.
표시부(106)는 혈당 센서(102)에 의해 측정된 혈당 정보뿐만 아니라, 혈당 측정이 정상적으로 처리되었는지 여부, 측정된 혈당 정보가 크래들 장치(200) 또는 혈당 관리 서버(400)로 정상적으로 전송되었는지 여부를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106)는 혈당 관리 서버(400)로부터 수신되는 각종 관리 정보를 표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래들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낸 것처럼, 크래들 장치(200)는 수신부(210), 사용자 ID 입력부(220), 저장부(230), 제어부(240) 및 전송부(250)를 포함한다.
수신부(210)는 혈당 측정기(100)와 연결되어, 혈당 측정기(100)로부터 혈당 정보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 기능을 담당한다. 여기서, 크래들 장치(200)는 혈당 측정기(100)와 유선 통신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만일 유선 통신으로 연결될 경우에는 크래들 장치(200)와 혈당 측정기(100)는 USB(Universal Serial Bus) 케이블 등을 이용하여 시리얼 접속된다.
또한 혈당 측정기(100)의 내부에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이 장착되어 있으면, 크래들 장치(200)는 혈당 측정기(100)와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 방식은 근거리 통신 모듈에서 기반으로 하는 개인영역 무선 통신(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의 응용 계층단에서 기능 개발된 모듈이 반영된 것으로, 이에 대한 기술의 예로는 무선 통신 기기간에 근거리에서 저전력으로 무선 통신을 하기 위한 표준인 블루투스(Bluetooth),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 IEEE 802.15.4 표준을 따르는 지그비(Zigbee), 무선인식장치(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등이 해당된다.
사용자 ID 입력부(220)는 외부로부터 사용자 ID를 입력받으며, 사용자는 신 용카드 결제 방식으로 환자 카드를 크래들 장치(200)에 긁으면, 크래들 장치(200)는 환자 카드의 마그네틱 부분으로부터 사용자 ID를 입력받게 된다. 또는 별도의 사용자 ID 입력 버튼을 통해서도 사용자 ID를 입력받을 수 있다.
저장부(230)는 사용자 ID에 따른 혈당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사용자 ID는 혈당 관리 서버(400)에 저장되어 혈당 모니터링을 받는 환자의 ID와 일치해야 한다. 사용자는 크래들 장치(200)에 직접 사용자 ID를 입력할 수 있으며, 입력된 사용자 ID는 사용자 DB(220)에 신규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240)는 혈당 측정기(100)로부터 혈당 정보가 수신된 시간과 외부로부터 사용자 ID가 입력된 시간의 시간 차이를 기준 시간과 비교하여, 시간 차이가 기준 시간보다 작은 경우 사용자 ID 별 혈당 정보를 저장부(230)에 저장시키고, 혈당 관리 서버(4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전송부(250)는 혈당 정보 및 사용자 ID를 무선 통신 모듈(300)를 통하거나 직접 혈당 관리 서버(400)로 전송한다. 여기서 전송부(250)는 주로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며, 코드부호 분할다중접속(CDMA), 초고속 무선 휴대 인터넷(Wibro), 디지털 가입자 회선(DSL), 공중 통신망(PST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뿐만 아니라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과 같은 근거리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을 통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을 이용한 지속적 혈당 모니터링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상 도 4 및 도 6에서 무선 통신 모듈(300)은 도시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을 이용한 지속적 혈당 모니터링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따른 혈당 관리 서버가 전자차트에 연동되어 표시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와 같이 먼저 사용자는 혈당 측정기(100)를 통하여 혈당을 측정하면(S410), 혈당 측정기(100)는 사용자의 혈당량을 나타내는 혈당 정보를 생성한다(S420).
그리고, 사용자는 혈당 측정기(100)와 크래들 장치(200)를 유선으로 연결함으로써, 크래들 장치(200)는 혈당 측정기(100)로부터 혈당 정보를 수신한다(S430). 만일 혈당 측정기(100)에 무선 통신 모듈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혈당 측정기(100)는 크래들 장치(20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하여 혈당 정보를 전달할 수도 있다.
크래들 장치(200)는 외부로부터 사용자 ID를 입력받는다(S440). 사용자가 직접 사용자 ID를 입력하거나 환자 카드를 이용하여 사용자 ID를 입력하면, 크래들 장치(200)는 사용자 ID를 인식하게 된다. 한편, 이와 반대의 순서로 사용자는 먼저 사용자 ID를 입력한 다음 일정 시간 이내에 혈당 정보를 크래들 장치(200)에 입력시킬 수도 있다.
크래들 장치(200)는 혈당 정보가 수신된 시간과 사용자 ID가 입력된 시간의 차이를 계산하여 기준 시간과 비교한다(S450). 만일 혈당 정보가 수신된 시간과 사용자 ID가 입력된 시간의 차이가 기준 시간보다 큰 경우에는, 혈당 정보의 당사자가 사용자 ID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인증 실패 메시지를 생성한다(S460).
그리고 혈당 정보가 수신된 시간과 사용자 ID가 입력된 시간의 차이가 기준 시간보다 작은 경우에는, 혈당 정보의 당사자가 사용자 ID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저장부(230)에 사용자 ID 별로 혈당 정보를 저장하고(S470), 혈당 정보와 사용자 ID를 함께 혈당 관리 서버(400)로 전송한다.
혈당 관리 서버(400)는 사용자 ID 별로 혈당 정보를 수신하면(S480), 수신된 사용자 ID 가 저장 중인 관리 DB에 저장되어 있는 ID인지를 판단한다(S490). 만일 수신한 사용자 ID와 일치하는 ID가 관리 DB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혈당 관리 서버(400)는 크래들 장치(200)로 인증 실패 메시지를 전송한다(S500).
또한 수신한 사용자 ID와 일치하는 ID가 관리 DB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혈당 관리 서버(400)는 사용자 ID에 해당하는 혈당 정보를 관리 DB에 저장하여 업데이트 시키고(S510), 크래들 장치(200)로 인증 성공 메시지를 전송한다(S520).
이와 같이 크래들 장치(200)는 일정 시간 내에 입력된 혈당 정보와 사용자 ID를 하나의 세트로 결합하여 전송함으로써, 사용자 ID와 혈당 정보의 당사자가 불일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크래들 장치(200)에 여러 사용자의 혈당 정보가 입력되더라도 사용자 별로 혈당 정보를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혈당 관리 서버(400)는 혈당 정보를 사용자 ID 별로 저장하고, 해당 주치의나 관리자가 볼 수 있는 전자차트에 연동시켜, 도 5와 같이 주치의나 관리자가 실시간으로 별도의 프로그램 없이 환자들에 대한 데이터를 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혈당 관리 서버(400)는 단문문자서비스(SMS)를 통하여 주치의나 관리자의 휴대 단말기로 혈당 정보 및 사용자 ID를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크래들 장치(200)를 이용하여 사용자 ID 및 혈당 정보를 동시에 혈당 관리 서버(400)로 전달함으로써, 혈당 관리 서버(400)가 환자 별로 맞춤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을 이용한 지속적 혈당 모니터링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먼저 사용자는 혈당 측정기(100)를 통하여 혈당을 측정하면(S610), 혈당 측정기(100)는 사용자의 혈당량을 나타내는 혈당 정보를 생성한다(S620).
그리고, 크래들 장치(200)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ID를 입력받으면(S630), 사용자 ID를 혈당 관리 서버(400)로 전송한다(S640).
혈당 관리 서버(400)는 사용자 ID를 수신하면 수신된 사용자 ID가 저장 중인 관리 DB에 저장되어 있는 ID인지를 판단한다(S650). 만일 수신한 사용자 ID와 일치하는 ID가 관리 DB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혈당 관리 서버(400)는 크래들 장치(200)로 인증 실패 메시지를 전송한다(S660).
그리고, 사용자는 혈당 측정기(100)와 크래들 장치(200)를 연결함으로써, 크래들 장치(200)가 혈당 측정기(100)로부터 혈당 정보를 수신하면(S670), 혈당 정보를 혈당 관리 서버(400)로 전송한다.
혈당 관리 서버(400)는 혈당 정보를 수신한 뒤(S680), 혈당 정보가 수신된 시간과 가장 최근에 수신된 사용자 ID가 입력된 시간의 차이를 계산하여 기준 시간과 비교한다(S690). 만일 혈당 정보가 수신된 시간과 사용자 ID가 입력된 시간의 차이가 기준 시간보다 큰 경우에는, 혈당 정보의 당사자가 사용자 ID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인증 실패 메시지를 생성한다(S660).
또한 수신한 사용자 ID와 일치하는 ID가 관리 DB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혈당 관리 서버(400)는 사용자 ID에 해당하는 혈당 정보를 관리 DB에 저장하여 업데이트 시키고(S700), 크래들 장치(200)로 인증 성공 메시지를 전송한다(S710).
즉, 사용자 ID와 혈당 정보의 각각의 수신 시간이 일정 시간의 범위 내에 속하면 사용자 ID와 혈당 정보의 당사자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ID를 먼저 전송하고 혈당 정보를 다음에 전송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크래들 장치(200)에 입력되는 순서대로 크래들 장치(200)는 혈당 정보를 먼저 전송하고 사용자 ID를 나중에 혈당 관리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 경우도 혈당 관리 서버(400)는 도 6과 같은 방법으로 인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혈당 관리 서버(400)는 크래들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ID 및 혈당 정보의 수신 시간을 통하여 동일인인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환자 별로 정확하게 혈당 정보를 수신 및 관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기존에 사용하던 혈당 측정기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원격으로 혈당 관리 서비스를 받을 수 있으므로 기존 당뇨병 환자가 혈당 측정기를 재 구입해야 하는 낭비를 막을 수 있다. 또한, 혈당 정보와 사용자 ID의 수신 시간 차이를 이용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가 하나의 크래들 장치를 이용하더라도 사용자 별로 혈당 정보를 정확하게 혈당 관리 서버로 전달하여 업데이트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래들 장치를 이용한 혈당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혈당 측정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래들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을 이용한 지속적 혈당 모니터링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따른 혈당 관리 서버가 전자차트에 연동되어 표시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을 이용한 지속적 혈당 모니터링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Claims (8)

  1. 혈당 측정기로부터 혈당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외부로부터 사용자 식별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혈당 정보가 수신된 시간과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가 입력된 시간의 차이를 연산하여 상기 시간 차이를 기준 시간과 비교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시간 차이가 상기 기준 시간보다 작으면 상기 혈당 정보와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를 혈당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시간 차이가 상기 기준 시간보다 크면 인증 실패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크래들 장치를 이용한 혈당 모니터링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차이가 상기 기준 시간보다 작으면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 별로 상기 혈당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크래들 장치를 이용한 혈당 모니터링 방법.
  3. 삭제
  4. 혈당 측정기로부터 혈당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외부로부터 사용자 식별 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 ID 입력부,
    상기 혈당 정보가 수신된 시간과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가 입력된 시간의 차이를 연산하여 상기 시간 차이를 기준 시간과 비교하는 제어부, 그리고
    상기 시간 차이가 상기 기준 시간보다 작으면 상기 혈당 정보와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를 혈당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간 차이가 상기 기준 시간보다 크면 인증 실패 메시지를 생성하는 크래들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차이가 상기 기준 시간보다 작으면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 별로 상기 혈당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크래들 장치.
  6. 삭제
  7. 혈당량을 측정하여 혈당 정보를 생성하는 혈당 측정기,
    상기 혈당 측정기로부터 수신된 혈당 정보와 외부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식별 정보를 입력된 순서대로 각각 전송하는 크래들 장치, 그리고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와 상기 혈당 정보를 각각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한 인증을 성공하면 상기 혈당 정보와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가 수신된 시간 차이를 기준 시간과 비교하여, 상기 시간 차이가 상기 기준 시간보다 작으면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 별로 상기 혈당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시간 차이가 상기 기준 시간보다 크면 인증 실패 메시지를 상기 크래들 장치로 전송하는 혈당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혈당 모니터링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혈당 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한 인증을 실패하면 인증 실패 메시지를 상기 크래들 장치로 전송하는 혈당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090114118A 2009-11-24 2009-11-24 크래들 장치를 이용한 혈당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혈당 모니터링 방법 KR1010958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4118A KR101095813B1 (ko) 2009-11-24 2009-11-24 크래들 장치를 이용한 혈당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혈당 모니터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4118A KR101095813B1 (ko) 2009-11-24 2009-11-24 크래들 장치를 이용한 혈당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혈당 모니터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7642A KR20110057642A (ko) 2011-06-01
KR101095813B1 true KR101095813B1 (ko) 2011-12-21

Family

ID=44393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4118A KR101095813B1 (ko) 2009-11-24 2009-11-24 크래들 장치를 이용한 혈당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혈당 모니터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58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2444B1 (ko) * 2017-03-28 2019-03-28 (주)오상헬스케어 진단정보 중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단정보 관리 시스템과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7642A (ko) 2011-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63549A1 (en) Glucose Measuring Device for Use in Personal Area Network
KR100797458B1 (ko) 건강 진단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과 그를 위한 휴대용 무선 단말기 및 방법
US8882666B1 (en) Personal health monitoring and/or communication system
US20130059541A1 (en) Wireless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for Medical Monitoring Device
KR101381520B1 (ko) 댁내 통신망을 이용한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및 그 방법
KR100749569B1 (ko) 유비쿼터스를 이용한 실버타운 의료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8545512A (ja) データ収集システムおよびインタフェース
JP2009513216A (ja) 対話型患者治療システム
WO2012058227A2 (en) Multiuser health monitoring using biometric identification
US20040044545A1 (en) Home care monitor systems
US9055900B2 (en) Specimen measurement device and specimen measurement system
CN103297510A (zh) 便携式远程多功能医疗服务方法
US20090252306A1 (en) Telemedicine system and method
KR20060082660A (ko)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의료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방법
WO2014070471A1 (en) Wireless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for medical monitoring device
KR20010095395A (ko) 원격 건강 관리 시스템 및 이 시스템용 각종 개인 건강정보 측정용 단말기
KR101095813B1 (ko) 크래들 장치를 이용한 혈당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혈당 모니터링 방법
KR20060121476A (ko)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종합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그방법
JP2000316819A (ja) 予診情報管理システム
KR100561041B1 (ko) 당뇨병 환자 원격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233725B1 (ko) 5g 기반의 멀티 헬스케어 서비스 스마트홈 플랫폼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US20120157790A1 (en) Physical examination method using mobile terminal, and gateway and mobile terminal for physical examination
WO2002017171A1 (fr) Systeme de fourniture de services a distance et procede de calcul de frais
KR100963554B1 (ko) 무선통신모듈이 내장된 혈당 측정기
JP2008079046A (ja) 中継装置、送信装置、中継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