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1520B1 - 댁내 통신망을 이용한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댁내 통신망을 이용한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1520B1
KR101381520B1 KR1020060101987A KR20060101987A KR101381520B1 KR 101381520 B1 KR101381520 B1 KR 101381520B1 KR 1020060101987 A KR1020060101987 A KR 1020060101987A KR 20060101987 A KR20060101987 A KR 20060101987A KR 101381520 B1 KR101381520 B1 KR 1013815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ometric information
healthcare service
home
user
access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1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5364A (ko
Inventor
이왕상
장미자
유영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60101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1520B1/ko
Publication of KR20080035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53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1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15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04W84/20Master-slave selection or change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ardiolog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댁내 헬스케어 서비스 단말시스템에서는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만성질환자의 생체정보를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댁내 통신망을 통하여 서버로 전달하게 하고, 서버에서는 이를 누적관리 및 분석처리하여 웹상에서 사용자들에게 개인별 홈페이지를 통하여 제공하게 하고, 아울러 의료기관이나 헬스클럽 등과의 연계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건강을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하는, 댁내 통신망을 이용한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댁내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 단말시스템에 있어서, 건강관리 대상이 되는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측정하여 무선통신을 통하여 엑세스 포인트(AP)로 전송하되, 통신장애로 전송 오류가 발생하면 상기 측정된 생체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고 있다가 통신장애 해소 시 재전송하기 위한 생체정보 측정 수단; 및 상기 생체정보 측정 수단으로부터 생체정보를 수신하여 공중전화망(PSTN)을 통하여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 서버시스템으로 전달하기 위한 상기 엑세스 포인트(AP)를 포함한다.
헬스케어, 유비쿼터스, 댁내 통신망, 블루투스, 생체정보, 건강관리, 소모품

Description

댁내 통신망을 이용한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Ubiquitous Healthcare Service using the communication network in ho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댁내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댁내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 단말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댁내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 단말시스템의 다른 실시예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중전화망에 연결된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 서버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기관과 연계된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헬스클럽과 연계된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생체정보 측정기기와 엑세스 포인트 간의 통신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8은 도 7의 통신 과정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에러 유형에 대한 설명도,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U-헬스케어 센터에서 사용자 휴대폰으로 전송하는 문자메시지 형태에 대한 일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U-헬스케어 센터에서 생체정보 이상 발생사실을 전화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알리는 방법에 대한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1: 댁내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 단말시스템
12: 댁내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 서버시스템
121, 421: 웹서버 122, 422: DB 서버
123, 423: 데이터베이스(DB)
201 내지 203, 301 내지 303: 생체정보 측정기기
210, 310: 댁내 컴퓨터(사용자 단말) 220, 340: 유선 전화기
230, 330: 엑세스 포인트 240, 320: 모뎀
본 발명은 댁내 통신망을 이용한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댁내 헬스케어 서비스 단말시스템에서는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만성질환자의 생체정보(혈압, 혈당 등)를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댁내 통신망(블루투스 무선통신망, 인터넷, 공중전화망)을 통하여 서버(헬스케어 서비스 서버시스템)로 전달하게 하고, 서버에서는 이를 누적관리 및 분석처리하여 웹상에서 사용자들에게 개인별 홈페이지를 통하여 제공하게 하고, 아울러 의료기관이나 헬스클럽 등과의 연계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건강을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하는, 댁내 통신망을 이용한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IT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건강에 대한 관심이 더욱 증가되어, 외부 의료기관과 연결하여 의료기기나 생체정보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원격에서 검진하고 위급상황을 알려주는 헬스케어 서비스가 점차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새로운 서비스로 부각되고 있다.
또한, 사회적으로 인구 노령화가 지속되어 실버산업이 발전할 것으로 예상되며, 독신자의 비율이 사회 전체적으로 크게 증가하면서, 환자(사용자) 이외에도 노약자, 장애인, 독거인 등의 건강을 증진하고, 질병을 예방하며, 관리에 활용할 수 있어서 유비쿼터스 헬스케어(Ubiquitous - Healthcare)가 각광을 받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생체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측정기기는 소형화, 저가격화로 인하여 일반 사용자에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한편, 네트워크 기술 중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PAN: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기술의 발달로 센서와 게이트웨이 간의 연동을 위한 요소 기술이 발달되어, 수십에서 수백 미터 떨어진 개인용 컴퓨터(PC), 휴대폰, PDA, 가전기기 등의 정보통신기기를 무선으로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다만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의 세부 기술에 따라 그 전송속도에 차이가 있다.
종래에는 네트워크를 통한 서비스를 배제한 채, 생체정보 수집에 중점을 두어 측정기기 자체의 정확도를 높이는 등의 측정 기기 성능을 향상시키는데 주력하였다. 단순 데이터의 측정으로 인해 얻은 생체정보는 기기 자체 메모리의 한계로 인하여 장기간의 누적관리가 어려웠고, 그로 인하여 측정 결과에 대한 분석은 전혀 이루어질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측정 기기의 인터넷 접속이 되지 않으므로, 의료기관이나 헬스클럽과 연계하여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댁내 헬스케어 서비스 단말시스템에서는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만성질환자의 생체정보(혈압, 혈당 등)를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댁내 통신망(블루투스 무선통신망, 인터넷, 공중전화망)을 통하여 서버(헬스케어 서비스 서버시스템)로 전달하게 하고, 서버에서는 이를 누적관리 및 분석처리하여 웹상에서 사용자들에게 개인별 홈페이지를 통하여 제공하게 하고, 아울러 의료기관이나 헬스클럽 등과의 연계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건강을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하는, 댁내 통신망을 이용한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댁내 통신망을 이용하여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댁내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 단말시스템에 있어서, 건강관리 대상이 되는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측정하여 무선통신을 통하여 엑세스 포인트(AP)로 전송하되, 통신장애로 전송 오류가 발생하면 상기 측정된 생체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고 있다가 통신장애 해소 시 재전송하기 위한 생체정보 측정 수단; 상기 생체정보 측정 수단으로부터 상기 측정된 생체정보를 수신하여 모뎀 수단을 통하여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 서버시스템으로 전달하고, 사용자 단말과는 유선으로 연결되어 사용자 데이터를 상기 모뎀 수단으로 전송하거나 상기 모뎀 수단을 통하여 수신된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기 위한 상기 엑세스 포인트(AP); 및 상기 엑세스 포인트(AP)로부터 전달된 생체정보를 변조하여 인터넷을 통하여 상기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 서버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상기 엑세스 포인트(AP)에 연결된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 서버시스템 간에 인터넷을 통하여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변복조 신호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상기 모뎀 수단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은, 댁내 통신망을 이용한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댁내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 단말시스템에 있어서, 건강관리 대상이 되는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측정하여 무선통신을 통하여 엑세스 포인트(AP)로 전송하되, 통신장애로 전송 오류가 발생하면 상기 측정된 생체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고 있다가 통신장애 해소 시 재전송하기 위한 생체정보 측정 수단; 및 상기 생체정보 측정 수단으로부터 생체정보를 수신하여 공중전화망(PSTN)을 통하여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 서버시스템으로 전달하기 위한 상기 엑세스 포인트(AP)를 포함한다.
삭제
한편, 본 발명은, 생체정보 측정기기에 적용되는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생체정보 측정기기가 건강관리 대상이 되는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측정 단계; 및 상기 생체정보 측정기기가 상기 측정된 생체정보를 블루투스 무선통신을 통하여 댁내 엑세스 포인트로 전송하되, 통신장애로 전송 오류가 발생하면 상기 측정된 생체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고 있다가 통신장애 해소 시 재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단계를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먼저, 본 발명을 전반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가정 내에서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만성질환자의 건강관리를 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정 내에서 매일 측정된 생체정보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내장한 생체정보 측정기기와 엑세스 포인트(Access Point) 간에 형성된 블루투스 네트워크를 통하여 엑세스 포인트(Access Point)로 전송되고, 그에 따라 엑세스 포인트는 전송된 생체정보를 인터넷망 혹은 PSTN망을 통해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 서버시스템으로 전송한다. 이렇게 전송된 생체정보는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버에서 누적 관리되고 분석되어 웹사이트(또는 휴대폰, 우편 등)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정 내에서 만성질환에 대한 건강관리를 위한 것으로 매일 측정된 생체정보를 누적 관리하여, 혈당 및 혈압과 같은 의료기관과 연계가 가능한 생체정보는 담당 전문의를 통해 측정된 정보에 대해서 모니터링되며, 체성분과 같은 의료기관과 굳이 연계가 필요치 않은 생체정보는 추이를 통한 맞춤형 운동 및 식이 습관을 제공하여, 건강관리에 대한 체계적인 수행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댁내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는, 인터넷(10)으로 상호 연결된 댁내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 단말시스템(11),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 서버시스템(12), 의료기관 시스템(13), 헬스클럽 시스템(14) 간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즉,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은 사용자의 가정 내에 위치하는 댁내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 단말(Terminal)시스템(11)과,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 서버(Server)시스템(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이들은 인터넷(10)을 통하여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하여 의료기관 시스템(13) 및 헬스클럽 시스템(14)과도 연결(연계)되어 있다.
사용자의 가정 내에 있는 댁내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 단말시스템(11)은 인터넷 혹은 유선전화가 설치된 가정 내에서 각종 생체정보 수집을 위한 각종 생체정보 측정기기(혈당기, 혈압기, 체성분 분석기 등)들과, 전화선(공중전화망)(도 3 참조) 혹은 인터넷(도 2 참조)에 연결되어 생체정보의 전송을 수행하는 엑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2, 도 3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엑세스 포인트와 생체정보 측정기기 간에는 블루투스 프로토콜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며, 엑세스 포인트는 측정기기로부터 전달받은 생체정보를 인터넷(10)을 통하여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 서버시스템(12)으로 전송한다.
한편, 유비쿼터스(U) 헬스케어 센터에서 운용하는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 서버시스템(12)은 웹서버(121), DB 서버(122), 데이터베이스(DB)(1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웹서버(121)는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 단말시스템(11)으로부터 사용자들에 대한 생체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누적관리하면서 그 누적관리되는 생체정보를 분석하고, 그 누적관리되는 생체정보를 통해 사용자 측의 생체정보 측정기기의 소모품의 잔존량(또는 사용량)을 확인하여 필요한 소모품(스트립, 알콜솜 등)이 해당 사용자에게 자동 배송될 수 있도록 주문 처리하고, 또는 해당 사용자에 맞는 운동 처방이나 식이 습관 등의 건강 컨텐츠를 제공한다. 또한, 웹서버(121)는 누적관리되는 생체정보, 분석결과, 의사소견 등을 사용자마다 할당된 개인별 홈페이지를 통하여 웹상에서 제공한다.
그리고 DB 서버(122)는 웹서버(121)가 수신한 생체정보, 생체정보를 분석한 결과(분석자료)나 의료기관으로부터 받은 소견 등을 데이터베이스(123)를 통하여 사용자별로 저장관리하며, 그에 따라 DB(123)는 생체정보, 분석자료, 의료기관 소견 등을 저장한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123)는 DB 서버(122)와 별개로 구성할 수도 있고, 또는 DB 서버(122) 내에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의료기관은 해당 의료기관 시스템(13)으로 인터넷(10)을 통하여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 서버시스템(12)에 접속하여, 그 서버시스템(12)에서 누적/관리되는 생체정보를 근거로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대한 소견을 작성할 수 있으며, 이는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 서버시스템(12)에 저장된다. 즉, 연계된 의료기관의 전문의는 자신의 컴퓨터 상의 에이전트(Agent)를 통해서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 서버시스템(12)에 접속함으로써 담당하는 환자(사용자)에 대한 최근 측정 정보(생체정보)를 실시간 열람 내지 모니터링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웹상에서 사용자(환자)에 대한 전문적인 소견을 작성할 수 있다.
한편,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센터에서는 사용자 생체정보에 대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사용자에 적합한 운동량 정보'를 헬스클럽에 제공하는데, 그에 따라 헬스클럽 시스템(14)은 해당 사용자의 운동실시 결과를 피드백시켜 주게 된다.
이하,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 서버시스템(12) 및 이를 운용하는 U-헬스케어 센터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 서버시스템(12)은 사용자가 매일 측정한 생체정보를 DB 서버(122) 내의 DB(123)에 누적/관리하며, 사용자는 웹서버(121)의 웹사이트를 통해 자신에 대한 생체정보(측정된 생체 정보)를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건강 관리 컨텐츠도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U-헬스케어 센터는 의료기관 시스템(13)과 연계하여 담당 전문의에게 담당 환자(사용자)에 대한 생체정보를 열람할 수 있도록 하며, 그에 따라 담당 전문의는 진료 시 생체정보를 활용할 수 있고, 필요한 경우에는 건강증진 상담이나 전달내용 등의 의료기관 소견을 작성(웹서버 상에서 작성)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댁내에서 담당 전문의의 기본적인 건강증진 상담을 받아볼 수 있게 한다.
또한, U-헬스케어 센터는 사용자 관리를 위한 방법으로, 미 측정 사용자를 독려시키기 위해 사용자의 휴대폰이나 가정 내 일반전화로 콜(CALL)을 하게 되고, 측정 결과에 대해서는 SMS 서비스를 통해 통보하며, 주기적으로 사용자가 측정했던 생체정보에 대한 의사의 건강증진 상담 및 분석 자료 등의 의료기관의 소견을 우편 등으로 발송하게 하여 사용자에게 피드백시켜 준다.
또한, U-헬스케어 센터는 가정 내 사용자가 측정한 체성분의 생체정보를 사용자의 동의를 거쳐 헬스클럽과 연계시키고, 사용자에게 적합한 운동량과 운동방법을 제공하며, 사용자는 헬스클럽에 방문하는 경우 자신에게 적합한 운동 계획(운동량, 운동 방식 등)을 확인할 수 있으며, 헬스클럽은 사용자의 운동 실시 여부 및 운동량을 체크하여 U-헬스케어 센터로 피드백한다.
또한, U-헬스케어 센터에서는 생체정보 측정을 위한 측정기기 소모품의 사용량을 자동으로 조회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사용자의 별도의 요청이 없어도 필요한 측정기기 소모품들이 사용자의 동의를 거쳐 자동 배송되도록 한다. 즉, U-헬스케어 센터에서는 사용자로부터 전송된 누적데이터(생체정보)를 통해 생체정보 측정기기의 소모품(예를 들면, 스트립, 알콜솜 등)의 사용량을 수치적으로 파악하고, 그 파악된 소모품 사용량으로부터 추가적으로 필요한 소모품 양을 파악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거나, 또는 배송 처리를 한다. 이때, 배송되는 소모품 비용은 헬스케어 서비스 이용 요금에 포함될 수 있다. 각 소모품의 배송은 U-헬스케어 센터의 통제 및 관리 하에 전국에 산재해 있는 대리점에서 사용자 정보를 통해 편리하게 배송이 이루어지거나 혹은 안내를 통해 사용자가 대리점을 방문하여 제공받을 수 있게 되거나, 우편(소포), 택배 등의 운송 수단을 통해서도 배송될 수 있다.
또한, U-헬스케어 센터의 웹서버(121)는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의 건강노트를 활용하여 매일 측정되는 자신의 누적된 생체정보를 열람할 수 있게 하고, 건강관리를 위한 식이 처방 및 운동 방법에 대해 안내를 받을 수 있게 하며, 전문가의 건강증진 상담도 참고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웹서버(121)는 기타 건강에 대한 뉴스 및 상식도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댁내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 단말시스템(11)의 일실시예 구성도로서, 생체정보 측정기기(201 내지 203), 댁내 컴퓨터(사용자 단말)(210), 유선전화기(220), 엑세스 포인트(230), 및 모뎀(2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댁내 컴퓨터(사용자 단말)(210)는 유선으로 엑세스 포인트(230)에 연결되고, 생체정보 측정기기(201 내지 203)는 무선으로 엑세스 포인트(230)에 연결되며, 유선전화기(220)는 모뎀(240)을 통하여 공중전화망(PSTN)(21)에 연결된다. 그리고 모뎀(240)은 엑세스 포인트(230)와 인터넷(20)에 연결되어 있다.
한편, 생체정보 측정기기(201 내지 203)는 엑세스 포인트(230)를 통해 블루투스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무선으로 연결되는 것으로서, 건강관리 대상이 되는 사용자의 생체정보(예를 들면, 혈당, 혈압, 체성분 등)를 측정하여 블루투스 무선통신을 통하여 엑세스 포인트(AP)(230)로 전송하되, 통신장애로 전송 오류가 발생하면 그 측정된 생체정보를 저장부(생체정보 측정기기 자체의 메모리 또는 버퍼 등)에 저장하고 있다가 통신장애 해소 시 재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재전송 기능은 공지의 블루투스 무선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수행하거나 차기(다음번) 측정 생체정보 전송 시에 함께 전송한다. 또한, 생체정보 측정기기(201 내지 203)는 댁내 사용자가 복수인 경우에는 사용자 식별정보(ID)를 통하여 사용자를 식별하고, 사용자 식별정보(ID) 별로 생체정보를 전송한다. 즉, 측정되는 생체정보가 체성분 정보의 경우에는 사용자 식별을 위하여 측정기기 내에 자체 식별정보(ID)를 내장함으로써, 생체정보 측정 시에 ID를 설정하면 ID 별로 사용자를 구별하게 되며, 이러한 식별정보(ID)는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 서버시스템(12)에서도 데이터 관리 시 사용자 구별에 사용된다.
여기서, 생체정보 측정기기(201 내지 203)와 엑세스 포인트(230)는 블루투스 프로토콜(Bluetooth Protocol)에 따라 무선통신을 수행한다.
엑세스 포인트(AP)(230)는 생체정보 측정기기(201 내지 203)로부터 무선통신을 통하여 그 측정된 생체정보를 수신하여 모뎀(240)을 통하여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 서버시스템(도 1의 12 참조)으로 전달하고, 댁내 컴퓨터(사용자 단말)(210)와는 유선으로 연결되어 사용자 데이터를 모뎀(240)을 통하여 외부의 인터넷(20) 측으로 전송하거나 외부의 인터넷(20) 측으로부터 모뎀(240)을 통하여 수신된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 데이터를 댁내 컴퓨터(사용자 단말)(210)로 전달한다. 그리고 엑세스 포인트(AP)(230)는 생체정보 측정기기(201 내지 203)의 MAC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그 측정된 생체정보를 수신할 해당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 서버시스템을 인식한다.
모뎀(240)은 엑세스 포인트(AP)(230)로부터 전달된 생체정보를 신호변환(변조)하여 인터넷(20)을 통하여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 서버시스템(도 1의 12 참조)으로 전송하고, 엑세스 포인트(AP)(230)에 연결된 댁내 컴퓨터(사용자 단말)(210)와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 서버시스템 간에 인터넷(20)을 통하여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신호변환(변복조 신호처리)을 수행하기도 한다. 또한, 모뎀(240)은 댁내 유선전화기(220)와 공중전화망(PSTN)(21)을 연결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여기서, 모뎀(240)에는 xDSL(x digital subscriber line) 모뎀 등이 해당된다.
위에서 본 바와 같이, 모뎀(240)과 엑세스 포인트(230)가 가정 내에서의 인터넷 통신 및 무선 통신을 책임지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댁내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 단말시스템의 다른 실시예 구성도이다.
댁내 컴퓨터(사용자 단말)(310)는 모뎀(320)을 이용하여 인터넷(30)에 접속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 서버시스템(도 4 참조)에 접속할 수 있다.
생체정보 측정기기(301 내지 303)는 건강관리 대상이 되는 사용자의 생체정보(혈압, 혈당, 체성분 등)를 측정하여 블루투스 무선통신을 통하여 엑세스 포인트(AP)(330)로 전송하되, 통신장애로 전송 오류가 발생하면 측정된 생체정보를 저장부(생체정보 측정기기 자체의 메모리 또는 버퍼 등)에 저장하고 있다가 통신장애 해소 시 재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재전송 기능은 공지의 블루투스 무선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수행하거나 차기(다음번) 측정 생체정보 전송 시에 함께 전송한다.
한편, 엑세스 포인트(330)는 생체정보 측정기기(301 내지 303)로부터 무선통신을 통하여 전송된 생체정보를 수신하여, DTMF 방식이나 Z모뎀 방식으로 공중전화망(PSTN)(31)을 통하여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 서버시스템으로 전달한다. 또한, 엑세스 포인트(330)는 전화선을 통하여 댁내 전화기(340)와 공중전화망(PSTN)(31)을 연결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엑세스 포인트(330)는 전화선을 통하여 공중전화망(PSTN)(31)에 연결되고, 모뎀 방식의 전송 방식을 사용하며, 콘센트 형으로 설치된다.
도 3에서는 도 2에서와 달리, 인터넷을 사용하는 댁내 컴퓨터(310)와 별도로 엑세스 포인트(330)가 설치되므로, 그 추가된 엑세스 포인트(330)로 인해 인터넷 속도가 제한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중전화망에 연결된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 서버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로서, 가정 내 단말시스템의 구성을 도 3과 같이 했을 경우의 U-헬스케어 서비스 서버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다.
공중전화망(41)에 연결되는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 서버시스템(40)은 콜렉션 서버(410), 웹서버(421), 데이터베이스 서버(DB 서버)(422), 데이터베이스(4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콜렉션 서버(410)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콜렉션 서버(410)는 PSTN망(41)으로 연결되는 것으로서,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 단말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생체정보가 DTMF(Dual Tone Multi-Frequency) 방식이나 Z모뎀 방식으로 공중전화망(PSTN)을 통하여 전송되는 경우에, 그 전달된 데이터(생체정보)를 해석하고, 그 해석 결과를 웹서버(421)로 전송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웹서버(421)는 도 2와 같이 인터넷을 통하여 전송된 생체정보와 도 3과 같이 공중전화망(PSTN)을 통하여 전송된 생체정보를 모두 수신하여 관리/분석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기관과 연계된 U-헬스케어 서비스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로서, 혈당, 혈압 등 의료기관의 전문의와의 연계가 필요한 생체정 보의 경우에 있어서의 U-헬스케어 서비스 과정을 나타낸다.
도 5의 서비스 과정을 전반적으로 살펴보면, 사용자가 가정 내에서 측정한 정보가 U-헬스케어 센터에서 관리되고, 의료기관에서 건강증진 상담 및 전달 내용을 작성하면, 그에 따라 U-헬스케어 센터에서 사용자에게로 생체정보에 대한 결과를 알려준다.
생체정보 측정기기가 사용자(건강관리 대상자)의 생체정보(예를 들면, 혈당, 혈압 등)를 측정/수집하면(501), 측정기기와 엑세스 포인트(Access Point) 간에 블루투스 프로토콜을 형성하여(502), 측정기기가 가정 내 어디에서든지 무선의 엑세스 포인트(Access Point)로 측정된 생체정보를 전송한다. 그러면, 엑세스 포인트(Access Point)는 전송받은 생체정보를 U-헬스케어 센터로 전송하게 된다(503).
그러면, U-헬스케어 센터는 수신한 생체정보가 전송과정이나 측정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하였는지 여부(즉, 데이터 이상 유무)를 검사하여(504), 사용자가 측정한 데이터가 이상 데이터이면 사용자 확인과정을 거쳐, 오류가 있는 생체정보에 대해서는 삭제를 하거나 보정한다(505).
이후, U-헬스케어 센터는 데이터에 이상이 없거나 오류가 보정된 경우에, DB 서버에 저장하여 누적 관리하고, 누적된 자료를 통해 생체정보(측정되어 전송된 생체정보)를 분석한다(506).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저장/관리되는 생체 정보는 담당 의료기관에서 웹을 통하여 U-헬스케어 센터에 접속하여 열람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담당 의료기관에서는 생체정보에 대한 소견을 작성하여 제공하며(507), U-헬스케어 센터는 생체정보 분석 결과 및 의료기관의 소견 내용을 웹(Web)으로나 온/오프라인(예를 들면, 휴대폰, 가정 내 일반전화, 우편 등)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한다(508). 사용자는 U-헬스케어 센터에서 제공되는 생체정보 분석 결과, 의료기관의 소견 등과 같은 건강 관련 정보를 통해 자신의 건강을 관리하게 된다(509).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헬스클럽과 연계된 U-헬스케어 서비스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로서, 사용자가 가정 내에서 측정한 생체정보가 U-헬스케어 센터에서 관리되고, U-헬스케어 센터에서 연계된 헬스클럽에 사용자에게 적합한 운동량 정보를 제공하면 헬스클럽은 사용자의 운동 실시 여부를 체크하여 U-헬스케어 센터로 피드백하게 된다. 그러면, U-헬스케어 센터에서 사용자에게로 생체정보에 대한 분석결과 및 건강관리 내용을 알려준다.
가정 내에서 생체정보 측정기기를 동시에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여러 명이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를 구별할 수 있도록 생체정보 측정기기 내에 사용자 식별정보(ID)를 설정한다(601).
생체정보 측정기기는 그 설정된 사용자 ID를 통해 측정된 생체정보를 해당 사용자의 고유한 생체정보로 인식하여 수집하고(602), 엑세스 포인트(Access Point)와의 사이에 있어서 무선 프로토콜을 형성한다(603).
측정기기가 가정 내 어디에서든지 무선의 엑세스 포인트(Access Point)로 측정된 생체정보를 전송한다. 그러면, 엑세스 포인트(Access Point)는 전송받은 생체정보를 U-헬스케어 센터로 전송하게 된다(604).
그러면, U-헬스케어 센터는 수신한 생체정보가 전송과정이나 측정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하였는지 여부(즉, 데이터 이상 유무)를 검사하여(605), 사용자가 측정한 데이터가 이상 데이터이면 사용자 확인과정을 거쳐, 오류가 있는 생체정보에 대해서는 삭제를 하거나 보정한다(606).
이후, U-헬스케어 센터는 데이터에 이상이 없거나 오류가 보정된 경우에, DB 서버에 저장하여 누적 관리하고, 누적된 자료를 통해 생체정보(측정되어 전송된 생체정보)를 분석한다(607).
또한, U-헬스케어 센터는 "607"에서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사용자에 적합한 운동량'을 연계 헬스클럽에 제공하고, 그러면, 연계 헬스클럽에서는 그에 따른 운동실시 여부를 체크하여 U-헬스케어 센터로 피드백시켜 준다(608).
U-헬스케어 센터는 측정되어 전송된 생체정보에 대한 분석 자료나 건강관리 내용을 온/오프라인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되며(609), 이를 통해서 사용자는 자신의 건강을 관리하게 된다(610).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생체정보 측정기기와 엑세스 포인트 간의 통신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로서, 댁내에 복수의 엑세스 포인트가 있는 경우, 최초 접속 시에 페어링(Pairing)이 성공한 엑세스 포인트가 있으면, 이후의 접속은 상기 최초로 페어링이 성공한 엑세스 포인트로 자동으로 접속을 수행하는 것을 나타낸다.
사용자가 생체정보 측정기기의 전원을 켜(ON)면(701), 이 측정기기는 엑세스 포인트(Access Point)와의 접속이 처음인지, 아니면 이전에 통신이 이루어졌는지에 따라, 통신 흐름이 다르게 된다. 이는 블루투스 프로토콜의 일반적인 기능을 따르는데, 초기에 페어링(Pairing)이라는 과정을 통해 블루투스 프로토콜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는 WPAN를 형성하는 다른 프로토콜과는 달리 통신에 대한 안정성이 뛰어나다. WPAN에서 지그비(zigbee) 프로토콜과 같은 경우는 저출력의 낮은 전송속도를 갖는다는 장점 때문에 실제 홈 네트워크용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통신채널을 형성할 때에 주위 신호강도에 따라 링크가 이루어짐으로써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에 문제가 있으며, 실제 가정에 적용할 수 있기에는 인식거리에 제약이 있다는 문제가 있다.
블루투스 프로토콜 중 처음으로 측정기기와 엑세스 포인트(Access Point) 간에 페어링(Pairing)을 시도할 경우(702, 703), 페어링(Pairing)의 성공 여부에 따라 측정기기와 엑세스 포인트(Access Point)간의 프로토콜이 달라지는데, 만약 페어링(Pairing)이 성공하게 되면, 측정기기와 엑세스 포인트(Access Point) 간에 접속(CONNECTION)을 맺고(705), 생체정보 및 전송에 대한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706).
"706"의 데이터 송수신 과정이 모두 끝나고, 전송할 데이터가 없을 경우에는 측정기기와 엑세스 포인트(Access Point) 간의 통신 채널이 끊어지고(707), 측정기기내 블루투스 모듈의 전력 소모 방지를 위해 전원(블루투스 모듈의 전원)이 오프(OFF)된다(708).
한편, 주위의 통신할 엑세스 포인트(Access Point)의 검색을 위해 소요되는 시간이 충분히 경과했음에도 불구하고, 페어링(Pairing)이 이루어지지 못할 경우(페어링(Pairing) 실패의 경우)에는(704), 측정기기 내의 블루투스 모듈의 전원을 오프(OFF)시키고(709), 사용자에게 등록 실패에 대한 에러 코드(도 8 참조)를 표시한다(710).
한편, "702"의 확인 결과, 최초의 접속이 아닌 경우, 즉 측정기기가 이미 등록된 엑세스 포인트(Access Point)와 접속(CONNECTION)을 시도하는 경우에는(721), 역시 페어링(Pairing)의 성공 여부에 따라 측정기기와 엑세스 포인트(Access Point)간의 프로토콜이 달라진다.
만약, 페어링(Pairing)이 성공하게 되면, "705" 내지 "708"과 같은 과정을 수행하고(725 내지 728), 반면에 페어링(Pairing)이 실패하게 되면 측정기기 내 블루투스 모듈의 전원을 오프(OFF)시키고(723), 다음 측정 때까지 데이터를 보관한 후(724), 사용자에게 등록 실패에 대한 에러 코드(도 8 참조)를 표시한다(710).
도 8은 도 7의 통신 과정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에러 유형에 대한 설명도로서, 생체정보 측정기기 내의 블루투스 모듈과 엑세스 포인트(Access Point) 간의 페어링(Pairing) 실패 시에 발생할 수 있는 에러 코드를 나타낸다.
에러 코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처에 사용 가능한 장치가 없을 때에 발생하는 "Connection Timeout", 상대편 장치와의 연결에 실패할 때에 발생하는 "Connection Failed", 근처에 페어링(Pairing)이 가능한 장치가 없을 때에 발생하는 "Pairing Timeout", 상대편 장치와의 페어링(Pairing)에 실패했을 때에 발생되는 "Pairing Failed"로 나눌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U-헬스케어 센터에서 사용자 휴대폰으로 전송하는 문자메시지 형태에 대한 일예시도이다.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 서버시스템은 사용자의 생체정보(건강 상태 정보)를 누적관리 및 분석하고 그 결과를 사용자 등이 웹상에서 열람할 수 있게 하며, 또한 각종 방법을 통하여(예를 들면, 사용자의 휴대폰으로 전화를 걸거나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혹은 우편을 통하여) 자동으로 누적 정보나 분석 결과를 알려 준다. 또한, 일정기간 이상 측정을 하지 않는 사용자에게는 각종 방법으로 측정을 권유한다.
사용자 휴대폰으로 전송하는 문자메시지는 생체정보 수치의 포함 여부에 따라 도 9a와 도 9b에 도시된 메시지 형태 또는 그와 유사한 형태로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생체정보를 측정하지 않은 미측정 사용자의 휴대폰으로는 SMS를 통하여 측정을 유도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U-헬스케어 센터에서 생체정보 이상 발생사실을 전화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알리는 방법에 대한 설명도로서, 사용자가 측정하여 전송한 생체정보가 이상한 값으로 확인된 경우, U-헬스케어 센터가 사용자의 댁내 일반전화로 생체정보 이상 발생 사실을 알려주는 과정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생체정보 이상 사실 통보 과정은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 서버시스템이 자동적으로 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요컨대, U-헬스케어 센터에서는 사용자의 건강관리를 지속적으로 하기 위해 사용자의 휴대폰이나 가정 내 유선 전화 혹은 우편 등을 통하여 서비스 이용을 인지할 수 있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 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댁내에서 사용자가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생체정보를 수집 및 전송함으로써, U-헬스케어 센터에서 사용자의 생체정보 관리 및 사용자의 건강관리를 위해 측정을 유도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의 건강 상태를 체크하고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은, 매일 주기적으로 가정 내에서 사용자가 측정기기를 통해 측정된 생체정보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 서버시스템으로 전송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별도의 행위 없이도 자동으로 생체정보 데이터(이전 전송 과정에서 미전송된 생체정보를 포함)를 전송할 수 있게 하고, 그에 따라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 서버시스템에서는 그 전송된 생체정보를 체계적으로 통합 관리하며, 주기적으로 측정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한 맞춤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블루투스 기반의 WPAN을 구성함으로써, 가정 내 어디에서 든지 안전한 통신 채널을 갖게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편리하게 생체정보를 측정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의료기관에 내방하지 않고도 가정 내에서 기본적인 생체정보를 측정하고 이를 관리할 수 있게 하며, 더 나아가 그 측정된 정보를 통하여 담당 전문의에 의한 건강증진 상담을 받을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계된 의료기관의 전문의로 하여금 자신의 컴퓨터 상의 에이전트(Agent)를 통해서 담당하는 환자(사용자)에 대한 최근 측정 정보(생체정보)를 실시간 열람 내지 모니터링할 수 있게 하고, 연계된 헬스클럽과 관련해서는 사용자의 체성분 정보에 맞는 운동 처방을 제공하고 헬스클럽에서 사용자가 실시한 운동량을 체크하여 추후 운동 처방에 반영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생체정보 측정기기의 소모품과 관련해서는 소모품의 소모량(또는 잔존량)을 체크하여 필요한 소모품이 미리 배송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자신의 생체정보를 측정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3)

  1. 댁내 통신망을 이용하여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댁내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 단말시스템에 있어서,
    건강관리 대상이 되는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측정하여 무선통신을 통하여 엑세스 포인트(AP)로 전송하되, 통신장애로 전송 오류가 발생하면 상기 측정된 생체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고 있다가 통신장애 해소 시 재전송하기 위한 생체정보 측정 수단;
    상기 생체정보 측정 수단으로부터 상기 측정된 생체정보를 수신하여 모뎀 수단을 통하여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 서버시스템으로 전달하고, 사용자 단말과는 유선으로 연결되어 사용자 데이터를 상기 모뎀 수단으로 전송하거나 상기 모뎀 수단을 통하여 수신된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기 위한 상기 엑세스 포인트(AP); 및
    상기 엑세스 포인트(AP)로부터 전달된 생체정보를 변조하여 인터넷을 통하여 상기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 서버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상기 엑세스 포인트(AP)에 연결된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 서버시스템 간에 인터넷을 통하여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변복조 신호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상기 모뎀 수단
    을 포함하는 댁내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 단말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 수단은,
    댁내 전화기와 공중전화망(PSTN)을 연결하는, 댁내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 단말시스템.
  3. 댁내 통신망을 이용한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댁내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 단말시스템에 있어서,
    건강관리 대상이 되는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측정하여 무선통신을 통하여 엑세스 포인트(AP)로 전송하되, 통신장애로 전송 오류가 발생하면 상기 측정된 생체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고 있다가 통신장애 해소 시 재전송하기 위한 생체정보 측정 수단; 및
    상기 생체정보 측정 수단으로부터 생체정보를 수신하여 공중전화망(PSTN)을 통하여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 서버시스템으로 전달하기 위한 상기 엑세스 포인트(AP)
    를 포함하는 댁내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 단말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엑세스 포인트(AP)는,
    댁내 전화기와 상기 공중전화망(PSTN)을 연결하는, 댁내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 단말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엑세스 포인트(AP)는,
    상기 수신된 생체정보를 DTMF(Dual Tone Multi-Frequency) 방식 또는 Z모뎀 방식으로 상기 공중전화망(PSTN)을 통하여 상기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 서버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댁내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 단말시스템.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정보 측정 수단은,
    상기 측정된 생체정보를 블루투스 프로토콜(Bluetooth Protocol)에 따라 상기 엑세스 포인트(AP)로 전송하는, 댁내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 단말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엑세스 포인트(AP)는,
    상기 생체정보 측정 수단의 MAC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상기 측정된 생체정보를 전송할 해당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 서버시스템을 인식하는, 댁내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 단말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정보 측정 수단은,
    댁내에 복수의 엑세스 포인트가 있는 경우, 최초 접속 시에 페어링(Pairing)이 성공한 엑세스 포인트가 있으면, 이후의 접속은 상기 최초로 페어링이 성공한 엑세스 포인트로 자동으로 접속을 수행하는, 댁내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 단말시스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정보 측정 수단은,
    댁내 사용자가 복수인 경우에, 사용자 식별정보(ID)를 통하여 사용자를 식별하고,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ID) 별로 생체정보를 전송하는, 댁내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 단말시스템.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정보 측정 수단은,
    혈당, 혈압, 체성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측정하는, 댁내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 단말시스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생체정보 측정기기에 적용되는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생체정보 측정기기가 건강관리 대상이 되는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측정 단계; 및
    상기 생체정보 측정기기가 상기 측정된 생체정보를 블루투스 무선통신을 통하여 댁내 엑세스 포인트로 전송하되, 통신장애로 전송 오류가 발생하면 상기 측정된 생체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고 있다가 통신장애 해소 시 재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단계
    를 포함하는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단계는,
    댁내에 복수의 엑세스 포인트가 있는 경우, 최초 접속 시에 페어링(Pairing)이 성공한 엑세스 포인트가 있으면, 이후의 접속은 상기 최초로 페어링이 성공한 엑세스 포인트로 자동으로 접속을 수행하는,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 방법.
  20. 제 18 항 또는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단계는,
    댁내 사용자가 복수인 경우에, 사용자 식별정보(ID)를 통하여 사용자를 식별하고,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ID) 별로 생체정보를 전송하는,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 방법.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KR1020060101987A 2006-10-19 2006-10-19 댁내 통신망을 이용한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및 그 방법 KR1013815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1987A KR101381520B1 (ko) 2006-10-19 2006-10-19 댁내 통신망을 이용한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1987A KR101381520B1 (ko) 2006-10-19 2006-10-19 댁내 통신망을 이용한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5364A KR20080035364A (ko) 2008-04-23
KR101381520B1 true KR101381520B1 (ko) 2014-04-04

Family

ID=39574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1987A KR101381520B1 (ko) 2006-10-19 2006-10-19 댁내 통신망을 이용한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15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8766B1 (ko) 2020-03-09 2020-12-11 주식회사 글로벌비즈텍 인공지능 기반의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7992B1 (ko) * 2008-03-29 2010-10-18 서현배 가정방문 건강검진 시스템
KR100980426B1 (ko) * 2008-07-07 2010-09-07 주식회사 엠유비정보통신 독거노인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56699B1 (ko) * 2009-07-29 2016-09-1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무선 근거리 기반 생체 신호 측정 단말기 및 방법
AU2011207344B2 (en) * 2010-01-21 2015-05-21 Asthma Signals, Inc. Early warning method and system for chronic disease management
AP2015008571A0 (en) * 2012-12-18 2015-07-31 Lillie Bruce Coney Secure healthcare management and communication system
KR20160084945A (ko) * 2015-01-06 2016-07-15 주식회사 아이센스 생체 정보의 제공 방법
KR101659939B1 (ko) 2016-03-15 2016-09-26 (주)하이디어 솔루션즈 이원화된 파라미터를 이용한 보호객체 관리시스템
KR102319498B1 (ko) * 2018-11-14 2021-11-01 (주)인더스웰 Aal기반 헬스케어 서비스시스템
KR102470263B1 (ko) * 2019-11-05 2022-11-24 (주)인더스웰 Ict기반의 양방향 통신과 사용자 관리가 가능한 혈당측정관리시스템
KR102319495B1 (ko) * 2019-11-12 2021-11-01 디노플러스 (주) Aal기반 헬스케어정보 처리시스템
KR102470262B1 (ko) * 2020-11-16 2022-11-25 (주)인더스웰 블루투스 맥 어드레스를 이용한 aal 헬스케어 디바이스 자동등록장치
KR102517472B1 (ko) * 2021-03-12 2023-04-04 주식회사 휴이노 생체 신호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한 방법, 디바이스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6772A (ko) * 2000-12-15 2002-06-21 이계철 통신망 정합 블루투스 액세스포인트 장치
JP2004199358A (ja) 2002-12-18 2004-07-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健康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生体データ取得送信装置、健康サービス提供装置、健康サービス提供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20060045404A (ko) * 2004-09-01 2006-05-17 주식회사 케이티 유비쿼터스 네트워킹 기술 기반하에 온/오프라인 서비스를연계한 헬스케어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6772A (ko) * 2000-12-15 2002-06-21 이계철 통신망 정합 블루투스 액세스포인트 장치
JP2004199358A (ja) 2002-12-18 2004-07-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健康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生体データ取得送信装置、健康サービス提供装置、健康サービス提供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20060045404A (ko) * 2004-09-01 2006-05-17 주식회사 케이티 유비쿼터스 네트워킹 기술 기반하에 온/오프라인 서비스를연계한 헬스케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8766B1 (ko) 2020-03-09 2020-12-11 주식회사 글로벌비즈텍 인공지능 기반의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5364A (ko) 2008-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1520B1 (ko) 댁내 통신망을 이용한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및 그 방법
US8852093B2 (en) Home care logistics and quality assurance system
CN1701335B (zh) 远程医疗系统
US6891936B2 (en) Remote data control system and measuring data gathering method
US7791467B2 (en) Repeater providing data exchange with a medical device for remote patient care and method thereof
US8882666B1 (en) Personal health monitoring and/or communication system
KR101339539B1 (ko) 생체 데이터를 원격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
US8015026B2 (en) Health management system for people and pets
CN101477128B (zh) 血糖测试系统
US20150199489A1 (en) Remote healthcare diagnostics tool
US20120109676A1 (en) Multiuser health monitoring using biometric identification
CN101483690A (zh) 移动通讯终端及健康信息采集方法
CN110970127A (zh) 基于健康信息平台的家庭医生签约服务信息系统及方法
CN105022911A (zh) 用于在无疗法间隔中记录患者数据的数据处理和通信单元
JP4069722B2 (ja) 健康管理端末
EP2015670B1 (en) Mobile healthcare data
KR100693861B1 (ko) 통합 건강관리를 위한 측정 디바이스의 신체 측정 시스템및 그 방법과 신체 측정 디바이스
US20080107121A1 (en) Network roaming and reporting system of physiological parameters and method thereof
KR100673237B1 (ko)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70113014A (ko) Wpan을 기반으로 하는 홈 헬스 케어 시스템
CN111430047A (zh) 线下线上结合的自助医疗问诊方法及系统
CN108538346A (zh) 一种智能化居家养老用健康档案管理系统及管理流程
KR20010097151A (ko) 원격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070432A (ko)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건강 검진 방법 및 건강 검진을 위한 건강 측정 게이트웨이 및 휴대용 단말기
JP2008079046A (ja) 中継装置、送信装置、中継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