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4709B1 - 건축 구조물 모형 조립세트 - Google Patents

건축 구조물 모형 조립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4709B1
KR101094709B1 KR1020090037643A KR20090037643A KR101094709B1 KR 101094709 B1 KR101094709 B1 KR 101094709B1 KR 1020090037643 A KR1020090037643 A KR 1020090037643A KR 20090037643 A KR20090037643 A KR 20090037643A KR 101094709 B1 KR101094709 B1 KR 1010947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unction
connecting member
shape
shaped groove
structu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7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8771A (ko
Inventor
심종석
이춘호
한덕전
Original Assignee
심종석
한덕전
이춘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종석, 한덕전, 이춘호 filed Critical 심종석
Priority to KR1020090037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4709B1/ko
Publication of KR20100118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87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4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47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5/00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5/04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of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10Mode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면개념의 건축구조물 모형 조립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상, 하면의 형태가 팔각형인 팔각기둥 형상을 가지며, 상기 상, 하면의 팔각형의 각 면의 중앙부에 T자형 홈이 형성되고, 상기 T자형 홈은 상기 팔각기둥 형상을 높이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접합부 및 상기 접합부에 형성된 T자형 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양 끝단이 T자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접합부를 다른 접합부와 연결시켜 주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건축 구조물 모형 조립세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접합부와 연결부재(보 및 기둥 등에 해당)만으로 매우 다양한 형태의 평면적인 골조를 조립, 시현할 수 있다. 강의실에서 교수자가 부재와 부재를 잇는 절점(접합부)의 지지조건에 따른 각종 평면형의 골조를 조립하여, 골조에 힘이 가해질 때의 거동을 학습자에게 직접 보여 줌으로서, 구조물에의 힘의 흐름과 변형 등 건축구조역학의 기본개념에 대한 이해를 돕게 하고, 접합부 형상 및 구조형태에 따른 골조의 거동 등 다양한 구조적인 지식을 학습자에게 시각적으로 보다 쉽게 이해시킬 수 있으며, 대학에서 교육용 학습 교보재로 사용할 경우 건축구조역학 등 건축구조 관련 과목에 대한 흥미 유발과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다.
구조역학, 트러스구조, 라멘구조, 모듈화, 강접골조, 힌지골조, 모형

Description

건축 구조물 모형 조립세트 {Architectural structure model assembly set}
본 발명은 건축 구조물 모형 조립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강접 골조와 힌지 골조를 중심으로 다양한 골조를 만들어 역학 적인 거동을 직접 실험할 수 있도록 한 건축 구조물 모형 조립세트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에서 하중을 지지하는 부분을 구조물이라고 하고 구조물에 대한 역학적 관계를 구명하는 학문을 구조역학이라고 한다. 이러한 구조역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트러스 구조나 라멘 구조 등이 어떻게 형성되고 어느 부위에 하중을 받으며 어느 부위에 변형이 어떠한 형상으로 생기는지를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구조역학 등 건축구조 관련 지식은 강의실에서 교과서에 의한 수식전개와 이론 강의에만 의존하게 되는 것이 현 실정이며, 이러한 강의 환경에서는 건축 구조물의 거동 및 힘의 흐름 등 구조적인 기본 지식을 학생들에게 흥미롭게 전달시키기 어려우며 평면적인 지식만을 전달할 수 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
반면 현재까지 대학에서 활용할 수 있는 평면적인 개념의 학습교재용 또는 교수자 강의용 모형조립세트로 개발된 것은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개선하기 위해서, 강의를 진행하는 교수자 의 입장에서 수업 중에 직접 제작하여 학생들에게 설명할 수 있거나 학생 스스로 직접 조립하여 힘을 가하면서 거동을 관찰할 수 있는 학습용 평면골조 모형 조립세트를 연구 개발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골조의 형태 및 기본개념을 간단한 건축골조 모형의 제작과 거동을 통하여 시각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하며, 구조물의 역학적인 거동과 힘의 흐름 및 트러스, 라멘 등 각종 구조골조의 역학적인 거동에 대한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이해가 가능하게 함으로서, 건축구조 관련 과목에 대한 흥미 유발과 학습효과를 높이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상, 하면의 형태가 팔각형인 팔각기둥 형상을 가지며, 상기 상, 하면의 팔각형의 각 면의 중앙부에 T자형 홈이 형성되고, 상기 T자형 홈은 상기 팔각기둥 형상을 높이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접합부 및 상기 접합부에 형성된 T자형 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양 끝단이 T자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접합부를 다른 접합부와 연결시켜 주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접합부를 다른 접합부와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는 제1 연결부재, 상기 접합부를 다른 접합부와 대각선 방향으로 연결하는 제2 연결부재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한다.
또한,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중앙부에 타원형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부재 또는 상기 타원형 구멍을 통과할 수 있도록 중앙부가 가늘어지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 연결부재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서로 교차할 수 있도록 중앙부에 홈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양 끝부분에 힌지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힘의 작용에 따른 구조물의 변형 등 구조역학의 기본개념을 간단한 건축구조골조 모형의 제작과 거동을 통하여 시각적으로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며, 구조물의 역학적인 거동과 힘의 흐름 및 트러스, 라멘 등 각종 구조골조의 역학적인 거동에 대한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이해가 가능하게 하여 건축구조 과목에 대한 흥미 유발과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강접골조와 힌지골조 및 브레이스 보강골조 등의 구조골조 축소모형을 평면적인 형태로 손쉽게 조립, 제작하여 구조물에서의 힘의 흐름과 상기한 구조골조의 거동을 본 발명을 통하여 학습자에게 확인하고 이해시킬 수 있으므로 본 발명는 건축구조역학 과목의 강의 및 학습용 교보재로서의 활용성이 매우 클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에 의한 건축 구조물 모형 조립세트는 상, 하면의 형태가 팔각형인 팔각기둥 형상을 가지며, 상기 상, 하면의 팔각형의 각 면의 중앙부에 T자형 홈이 형성되고, 상기 T자형 홈은 상기 팔각기둥 형상을 높이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접합부 및 상기 접합부에 형성된 T자형 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양 끝단이 T자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접합부를 다른 접합부와 연결시켜 주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접합부를 다른 접합부와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는 제1 연결부재, 상기 접합부를 다른 접합부와 대각선 방향으로 연결하는 제2 연결부재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한다.
또한,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중앙부에 타원형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부재 또는 상기 타원형 구멍을 통과할 수 있도록 중앙부가 가늘어지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 연결부재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서로 교차할 수 있도록 중앙부에 홈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양 끝부분에 힌지부가 형성된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1 연결부재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2 연결부재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연결부재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결합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이용하여 조립된 모형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이용하여 조립된 모형의 사시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이용하여 조립된 입체모형에서 외력에 의하여 변형되는 형태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접합부(10)는 상, 하면의 형태가 팔각형인 팔 각기둥 형상을 가지며, 상기 상, 하면의 팔각형의 각 면의 중앙부에 T자형 홈이 형성되고, 상기 T자형 홈은 상기 팔각기둥 형상을 높이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즉, 팔각기둥의 8개의 옆면의 중앙부를 따라서 일자형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 내측 끝 부분에 상기 홈과 직각을 이루는 홈이 형성되어 있어, 상, 하면에서 볼 때 상기 홈이 T자 형태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접합부의 팔각기둥 형상의 옆면을 따라서 총 8개의 홈이 형성된다.
상기 접합부(10)의 팔각기둥 형상의 옆면을 따라 형성되는 홈은 상기 팔각기둥 형상의 높이방향으로 상기 팔각기둥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홈이 상기 접합부(10)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접합부(10)를 다른 접합부와 연결하는 연결부재(20)를 상기 홈에 끼워서 연결하기가 용이하다.
특히, 상기 접합부(10)에 형성되는 홈의 형태가 T자 형태로, 외측에서는 일자 형태이고, 상기 홈의 내측에는 상기 홈의 깊이 방향과 수직으로 홈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끝단의 형태가 T자의 형상을 가지는 연결부재(20)를 상기 접합부(10)에 연결시키는 경우, 상기 연결부재(20)가 상기 접합부(10)에 밀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부재(20)에 별도의 힌지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접합부(10) 및 상기 연결부재(20)사이에 강접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연결부재(20)는 상기 접합부(10)를 어떻게 연결시켜주느냐에 따라서 크게 제 1 연결부재(21)와 제 2 연결부재(22)로 구분할 수 있다.
제1 연결부재(21)는 상기 접합부(10)를 수직방형 또는 수평방향으로 연결시켜 주며, 제2 연결부재(22)는 상기 접합부(10)를 대각선 방향으로 연결시켜주게 된 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제1 연결부재(21)는 힌지부가 형성되었는지 여부 및 상기 힌지부의 형상에 따라서 3 가지 유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연결부재(21)에 힌지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양 끝단이 T자로 형성되고 그 중간은 평평한 평판의 형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은 21a, 상기 제1 연결부재(21)의 양 끝부분에 핀으로 연결된 경첩 형태의 힌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21b, 상기 제1 연결부재(21)의 양 끝부분의 일부의 두께가 다른 부분보다 얇도록 하여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힌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21c의 3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상기 도면부호 21a에 해당하는 제1 연결부재는 상술한 바와 같이 양 끝단이 T자 형상을 가지며 상기 T자 형상의 양 끝단이 상기 접합부(10)의 각 면에 형성되어 있는 홈에 밀착되도록 결합될 수 있기 때문에, 부재의 움직임을 제한시키도록 함에 그 특징이 있다. 이는 실제 구조역학에서 강접합을 나타내기 위한 결합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도면부호 21a에 해당하는 제1 연결부재를 이용한다면,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강접합 형태로 상기 접합부(10)를 다른 접합부와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도면부호 21b 및 21c에 해당하는 제1 연결부재는 양 끝부분에 힌지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도면부호 21a에 해당하는 제1 연결부재와 마찬가지로 상기 도면부호 21b 및 21c에 해당하는 제1 연결부재도 양 끝단에 T자 형상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접합부(10)의 T자형 홈에 밀착되어 연결됨으로써 접합부(10)와 제1 연결부재(21) 사이에서는 움직임이 제한된다. 그러나, 상기 도면부호 21b 및 21c에 해당하는 제1 연결부재는 양 끝부분에 힌지부가 형성되어 있어, 제1 연결부재 및 접합부(10) 사이에서 움직임이 제한되더라도, 제1 연결부재 자체에서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는 실제 구조역학에서 핀(Pin)접합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에 의해서 회전절점과 동일한 거동을 나타낼 수 있게 된다.
상기 도면부호 21b및 21c에 해당하는 제1 연결부재에 형성되는 힌지부는 핀으로 연결된 경첩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면부호 21b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경첩 형태의 힌지부는 서로 맞물리는 효철 형태로 구성된 부분이 핀에 의하여 서로 연결됨으로써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면부호 21b 및 21c에 해당하는 제1 연결부재에 형성되는 힌지부는 양 끝부분의 일부의 두께가 다른 부분보다 얇도록 하여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면부호 21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 끝부분 중 일부 부분의 두께가 다른 부분에 비하여 얇도록 구성되게 되면, 상기 얇게 구성된 부분은 힘이 주어지는 경우 힘에 따라서 휘어지게 된다. 따라서 핀(Pin)결합과 같이 움직임이 가능한 형태로 상기 접합부(10)들을 서로 연결시킬 수 있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제2 연결부재(22)는 힌지부의 형상 및 중앙부의 형상에 따라서 총 6 가지 유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 끝부분이 경첩 형태의 힌지부를 형성하고 있으면서, 중앙부에 타원형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22a, 양 끝부분의 일부의 두께가 다른 부분에 비하여 가늘어지는 형태로 힌지부가 형성되며 중앙부에 타원형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22b, 상기 도면부호 22a에 해당하는 제2 연결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타원형 구멍을 통과할 수 있도록 중앙부가 가늘어지는 형태로 구성되며 경첩 형태의 힌지부를 형성하는 21c, 상기 도면부호 21c에 해당하는 제2 연결부재와 동일하게 중앙부가 가늘어지는 형태로 구성되며, 양 끝부분의 일부의 두께가 다른 부분에 비하여 가늘어지는 형태로 힌지부가 형성되는 21d, 두 연결부재가 서로 교차할 수 있도록 중앙부에 홈이 형성되어 있고, 경첩 형태의 힌지부를 형성하는 21e, 두 연결부재가 서로 교차할 수 있도록 중앙부에 홈이 형성되어 있고 양 끝부분의 일부의 두께가 다른 부분에 비하여 가늘어지는 형태로 힌지부가 형성되는 21f의 총 6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상기 제2 연결부재(22)에서 양 끝부분에 형성되는 힌지부는 상기 제1 연결부재(21) 중 일부(21b 및 21c)에 형성되어 있는 힌지부와 동일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한 효과도 동일하게 기대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 연결부재(2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접합부(10)를 대각선 방향으로 연결해야 하는데, 4개의 접합부(10)가 4개의 제1 연결부재(21)에 의하여 사각형 형태로 결합되어 있는 경우, 상기 사각형 형태를 대각선으로 연결하는 2개의 제2 연결부재(22)는 중앙에서 서로 교차하게 된다. 만일, 제2 연결부재(22)가 제1 연결부재(21)와 마찬가지로 전체적으로 평판으로 형성되어 있다면, 교차되는 부분이 서로 겹쳐서 구조물을 형성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제2 연결부재(22)는 교차하는 두 제2 연결부재(22)가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하는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부호 22a 및 22b에 해당하는 제2 연결부재는 중앙에 타원형 구멍이 형성되어 다른 연결부재가 상기 구멍을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타원형 구멍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타원형으로 구성된 것일 뿐, 다른 형태를 가지더라도 다른 연결부재를 통과시킬 수 있다면 무관하다.
도면부호 22c 및 22d에 해당하는 제2 연결부재는 상기 도면부호 22a 및 22b에 해당하는 제2 연결부재에 형성된 타원형 구멍을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타원형 구멍 부분과 교차하는 중앙부가 다른 부분에 비하여 가늘어지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서, 도면부호 22a 및 22b에 해당하는 제2 연결부재 하나와 도면부호 22c 및 22d에 해당하는 제2 연결부재 하나를 쌍으로 하여 두 제2 연결부재가 대각선 방향으로 상기 접합부(10)를 연결하면서도 서로 간섭을 일으키지 않고,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연결부재가 교차하도록 구성된 구조물은 도 7의 사시도에 잘 드러나 있다.
도면부호 22e 및 22f에 해당하는 제2 연결부재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에 한 쪽으로 홈이 형성되어 있어, 두 연결부재가 서로 홈에 끼워진 채로 대각선으로 교차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상기 도면부호 21a 내지 22d에 해당하는 제2 연결부재에서와 같이 두 제2 연결부재를 쌍으로 구성하지 않고도, 동일한 형태의 제2 연결부재를 서로 교차하도록 연결하여 상기 접합부(10)를 대각선으로 연결하는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실제 구조 역학에서 수직부재는 기둥으로 수평부재는 보로 나타낼 수 있으며 기둥과 보의 결합은 대부분 강접합에 의해 이루어 지며 이렇게 기둥과 보가 강접합 으로 이루어져 있는 구조를 라멘 구조라고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구조물을 보강하기 위해서 대각선 방향으로 부재를 연결시키는데 이를 브레이스(brace)라고 하며 보통 브레이스(brace)는 핀(Pin)결합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트러스 구조는 삼각형을 기본으로 각 부재가 핀(Pin)결합에 의해 이루어진 것을 말한다. 트러스 구조에서는 상기 기본이 되는 삼각형 구조물을 이어 붙여 구조물을 형성하는 것으로, 큰 건물의 지붕을 구성하는 경우나 하천 등의 교량을 건설할 때에 많이 사용이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라멘 구조 또는 트러스 구조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을 구성하기 위해 다양한 접합부의 거동을 나타내려면, 각 연결부재들의 끝단이 제1 연결부재(21) 및 제2 연결부재(22)와 같이 다양한 형태를 가져야만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합부(10)에 도면 부호 21a에 해당하는 제1 연결부재(21)가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1 연결부재(21a) 의 끝단에 형성되어 있는 T자 형상과 접합부(10)에 형성된 홈의 형태가 일치하게 됨으로써, 접합부(10) 및 제1 연결부재(21a)가 유격 없이 밀착되어 결합되게 되어 강접합의 거동을 나타내게 되고, 이와 같은 강접합을 이용하여 라멘 구조를 만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접합부(10)에 제1 연결부재 중 21b 또는 21c에 해당하는 연결부재가 연결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연결부재(21b 또는 21c)의 끝부분에 힌지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접합부(10)와 밀착되어 결합되더라도 상기 제1 연결부재(21b 또는 21c)가 움직임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게 되고, 이에 따라서 결국 핀(Pin)접합의 거동을 나타내게 된다. 이와 같은 핀 접합의 거동을 이용하면 상술한 트러스 구조를 만들 수 있다.
그리고,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리고 상기 접합부(10)에 제2 연결부재(22)를 결합시키는 경우 상술한 도면부호 21b 또는 21c에 해당하는 제1 연결부재의 결합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움직임이 가능하여 핀(Pin)접합의 거동을 나타내게 되고, 이를 이용하여 브레이스(brace)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 7의 실시예에 나타난 바와 같이, 4개의 접합부(10)와 4개의 제1 연결부재(21)를 결합하여 사각형 구조물을 만들 수 있으며, 여기에 다시 제2 연결부재(22)중 22a 및 22c를 대각선 방향으로 결합시킨 구조물을 만들 수 있다. 이때 22a 및 22c의 길이는 제1 연결부재(21)의 길이보다 1.414배 더 길어야 함은 도면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다만, 그 정확한 길이는 상기 접합부(10)의 크기 및 상기 연결부재(20)의 두께에 따라 달라 질 수 있으므로 상기 연결부재의 길이 및 두께에 특별한 제한을 두는 것은 아니다.
또한 교육상 편의를 위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합부(10)에 형성된 T자형 홈 중 어느 하나에 한 쪽 끝단이 연결되고, 바닥에 설치할 수 있는 받침에 나머지 끝단이 연결되는 형태의 연결부재와 상기 받침을 추가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교육상 편의를 위하여 추가되는 부재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을 받는 것은 아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건축물 골조 모형에서 외력이 주어지는 경우 입체 모형의 변형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좌측은 건축물 입체 모형의 구성 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면에서 접합부가 원형으로 구성된 것은 힌지 결합을 의미한다. 또한, 화살표는 건축 구조 모형에 주어지는 힘의 방향을 나타내며, 힘이 주어져서 변형된 형태는 도면의 우측에 표시된다. 도면의 우측에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은 힘을 받기 전의 원래 건축물 입체 모형의 형태를 나타낸 것이고, 색깔 있는 실선으로 표시한 것이 힘의 방향에 따라 변형되는 건축물 입체 모형의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된 건축물 모형에 다양한 각도로 주어지는 힘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학습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1 연결부재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2 연결부재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연결부재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결합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이용하여 조립된 모형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이용하여 조립된 모형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이용하여 조립된 입체모형에서 외력에 의하여 변형되는 형태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9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이용하여 조립된 입체모형에서 외력에 의하여 변형되는 형태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접합부
20 : 연결부재
21 : 제 1 연결부재
22 : 제 2 연결부재

Claims (5)

  1. 상, 하면의 형태가 팔각형인 팔각기둥 형상을 가지며, 상기 상, 하면의 팔각형의 각 면의 중앙부에 T자형 홈이 형성되고, 상기 T자형 홈은 상기 팔각기둥 형상을 높이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접합부; 및
    상기 접합부에 형성된 T자형 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양 끝단이 T자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접합부를 다른 접합부와 연결시켜 주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접합부를 다른 접합부와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는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접합부를 다른 접합부와 대각선 방향으로 연결하는 제2 연결부재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중앙부에 타원형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부재 또는 상기 타원형 구멍을 통과할 수 있도록 중앙부가 가늘어지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 연결부재 중 어느 하나인 건축 구조물 모형 조립세트.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서로 교차할 수 있도록 중앙부에 홈이 형성되어 있는 건축 골조 모델 조립세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양 끝부분에 힌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건축 구조물 모형 조립세트.
KR1020090037643A 2009-04-29 2009-04-29 건축 구조물 모형 조립세트 KR1010947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7643A KR101094709B1 (ko) 2009-04-29 2009-04-29 건축 구조물 모형 조립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7643A KR101094709B1 (ko) 2009-04-29 2009-04-29 건축 구조물 모형 조립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8771A KR20100118771A (ko) 2010-11-08
KR101094709B1 true KR101094709B1 (ko) 2011-12-16

Family

ID=43404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7643A KR101094709B1 (ko) 2009-04-29 2009-04-29 건축 구조물 모형 조립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470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0670Y1 (ko) 2001-09-29 2002-01-12 박호걸 조립식 건축모형 연결구
KR100511766B1 (ko) * 2002-12-23 2005-09-02 홍지기술산업주식회사 건설용 조립 보강메시
KR200441034Y1 (ko) * 2007-01-23 2008-07-17 박건찬 조립 블럭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0670Y1 (ko) 2001-09-29 2002-01-12 박호걸 조립식 건축모형 연결구
KR100511766B1 (ko) * 2002-12-23 2005-09-02 홍지기술산업주식회사 건설용 조립 보강메시
KR200441034Y1 (ko) * 2007-01-23 2008-07-17 박건찬 조립 블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8771A (ko) 2010-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18193B2 (en) Toy construction set
US11302218B2 (en) Construction teaching set for education
CN107708829A (zh) 用于技术架构的梁部件、架构套件以及连接梁部件的方法
KR101101778B1 (ko) 건축 구조물 입체모형 조립세트
KR101094709B1 (ko) 건축 구조물 모형 조립세트
JPH07116753B2 (ja) 木質建造物の軸組接合方法および構造
KR20100118768A (ko) 건축 구조물 입체모형 조립세트
KR101843285B1 (ko) 지오데식 돔 하우스 제작 교구
KR101871969B1 (ko) 조립식 블록 완구 및 조립식 블록 완구 조립 방법
KR200468614Y1 (ko) 조립완구용 튜브 연결체
JP4504046B2 (ja) ユニット式建物及びユニット式建物の構築方法
JP2008185770A (ja) 建物の構造モデル及びこれを用いた制震構造説明方法
JP3933673B2 (ja) 木拾い用接合金具および木拾い装置
JP4772308B2 (ja) ユニット建物の構築方法
JP3380600B2 (ja) 建物の鉄骨構造
Whitehead Rebuilding a framework for learning: Rethinking structural design instruction in an architectural curriculum
US20050032455A1 (en) Modular, structural building element, construction toy
WO2003059478A1 (en) Building block for educational purposes
US20190197918A1 (en) Improvements introduced in sets of structural parts for composition of architectural didactic materials
CN212032530U (zh) 一种古建筑积木式仿真教具
KR200229430Y1 (ko) 학습용 조립 블럭
Chou et al. Virtual Steel Connection Sculpture-Student Learning Assessment
Hoong Building Mechanical Intuition Through Hands-On Learning with Truss Components
Beck Teaching Elements and Principles of Bridge Design.
KR200488111Y1 (ko) 다중 실험이 가능한 방진 트러스 실험 놀이완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