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1778B1 - 건축 구조물 입체모형 조립세트 - Google Patents

건축 구조물 입체모형 조립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1778B1
KR101101778B1 KR1020090037628A KR20090037628A KR101101778B1 KR 101101778 B1 KR101101778 B1 KR 101101778B1 KR 1020090037628 A KR1020090037628 A KR 1020090037628A KR 20090037628 A KR20090037628 A KR 20090037628A KR 101101778 B1 KR101101778 B1 KR 1011017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pe
coupling member
coupling
structural
pin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7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8763A (ko
Inventor
심종석
이춘호
한덕전
Original Assignee
심종석
한덕전
이춘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종석, 한덕전, 이춘호 filed Critical 심종석
Priority to KR1020090037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1778B1/ko
Publication of KR20100118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87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1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17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5/00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5/04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of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10Mode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 구조물 입체모형 조립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단면의 형상이 8각형이 되는 다면체 중 사각형 형상의 면에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의 바닥면에 핀홀이 구비되어 있는 결합부재, 상기 결합부재와 다른 결합부재를 연결시켜 주는 연결부재 및 상기 결합부재와 연결부재를 결합시켜 주거나 상기 연결부재끼리 결합시켜 주는 연결핀을 포함하는 건축 구조물 입체모형 조립세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각종 입체적인 건축구조골조의 축소된 형태를 모형을 가지고 직접 만들어보게 함으로서, 트러스, 라멘 구조 등 건축구조시스템 전반에 대한 이해를 돕게 하고, 접합부 형상 및 구조형태에 따른 거동 등 다양한 구조적인 지식을 학습자에게 시각적으로 보다 쉽게 이해시킬 수 있으며, 대학에서 학습 교보재로 사용할 경우, 건축구조역학 등 건축구조 관련 과목에 대한 흥미유발과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다.
구조역학, 트러스구조, 라멘구조, 모듈화, 강접골조, 힌지골조, 입체모형

Description

건축 구조물 입체모형 조립세트 {Architectural structure 3D-model assembly set}
본 발명은 건축 구조물 입체모형 조립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강접 골조와 힌지 골조를 중심으로 다양한 입체 골조를 만들어 역학 적인 거동을 직접 실험할 수 있도록 한 건축 구조물 입체모형 조립세트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에서 하중을 지지하는 부분을 구조물이라고 하고 구조물에 대한 역학적 관계를 구명하는 학문을 구조역학이라고 한다. 이러한 구조역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트러스 구조나 라멘 구조 등이 어떻게 형성되고 어느 부위에 하중을 받으며 어느 부위에 변형이 어떠한 형상으로 생기는지를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구조역학 등 건축구조 관련 지식은 강의실에서 교과서에 의한 수식전개와 이론 강의에만 의존하게 되는 것이 현 실정이며, 이러한 강의 환경에서는 건축 구조물의 거동 및 힘의 흐름 등 구조적인 기본 지식을 학생들에게 흥미롭게 전달시키기 어려우며 평면적인 지식만을 전달할 수 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개선하기 위해서 학습교재용 조립식 모형 블록과 관련한 제품이 시중에 나와 있기는 하다. 하지만 상기 제품은 평면적인 8면체로 구 성되어 있으며 형태적으로는 구조물의 구성이 가능하지만 연결 부재들 사이에 유격이 있어 연결부위가 항상 흔들리고 연결부재는 스틱으로 연성이 전혀 없으며, 연결부재의 단면은 십자형으로 되어 있어 건축적인 형태를 제대로 반영할 수 없게 되어 있어서 건축 구조적인 지식전달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골조의 형태 및 기본개념을 간단한 건축구조물 모형의 제작과 실험을 통하여 직접 경험할 수 있도록 하며, 구조물의 역학적인 거동과 힘의 흐름 및 트러스, 라멘 등 각종 구조시스템 전반에 대해서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이해가 가능하게 하며, 입체적인 건축구조물의 형태와 접합부 등을 직접 만들어 보게 함으로서 건축구조 관련 과목에 대한 흥미 유발과 학습효과를 높이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단면의 형상이 8각형이 되는 다면체 중 사각형 형상의 면에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의 바닥면에 핀홀이 구비되어 있는 결합부재, 상기 결합부재와 다른 결합부재를 연결시켜 주는 연결부재 및 상기 결합부재와 연결부재를 결합시켜 주거나 상기 연결부재끼리 결합시켜 주는 연결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연결핀의 형상과 대응되는 홈이 양 끝단에 구비되며 상기 결합부재와 수직방향이나 수평방향으로 연결되는 제 1 연결부재, 상기 연결핀의 형상과 대응되는 홈이 양 끝단에 구비되며 상기 결합부재와 대각선 방향으로 연결되는 제 2 연결부재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한다.
또한 상기 연결핀은 한 쪽 끝이 상기 핀홀과 대응하여 결합되며 다른 쪽 끝은 상기 핀홀의 형상을 그대로 연장한 것과 동일한 형상인 제 1 연결핀, 한 쪽 끝 이 상기 핀홀과 대응하여 결합되며 다른 쪽 끝은 볼 형상인 제 2 연결핀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형성된 평면에 결합되는 판이 더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합부재의 사각형 형상의 모든 면에 "十"자형 또는 "一" 자형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구조역학의 이론과 기본개념을 간단한 건축구조물 모형의 제작과 실험을 통하여 직접 경험할 수 있도록 하며, 구조물의 역학적인 거동과 힘의 흐름 및 트러스, 라멘 등 각종 구조시스템 전반에 대해서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이해가 가능하게 하며, 입체적인 건축구조물의 형태와 접합부 등을 직접 만들어 보게 함으로서 건축구조 과목에 대한 흥미 유발과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강접골조와 힌지골조를 각각 구현할 수 있으므로 실제와 같은 구조역학 모델을 직접적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구조물에서의 힘의 흐름과 상기한 골조의 거동을 본 발명을 통하여 간편하게 확인하고 이해할 수 있으며, 고층 구조 시스템, 철골 구조 시스템, 접합부 시스템, 기둥이나 보의 배치 방법 등에 대한 다양한 거동을 나타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건축 구조물 입체모형 조립세트는 단면의 형상이 8각형이 되는 다면체 중 사각형 형상의 면에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의 바닥면에 핀홀이 구 비되어 있는 결합부재, 상기 결합부재와 다른 결합부재를 연결시켜 주는 연결부재 및 상기 결합부재와 연결부재를 결합시켜 주거나 상기 연결부재끼리 결합시켜 주는 연결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연결핀의 형상과 대응되는 홈이 양 끝단에 구비되며 상기 결합부재와 수직방향이나 수평방향으로 연결되는 제 1 연결부재, 상기 연결핀의 형상과 대응되는 홈이 양 끝단에 구비되며 상기 결합부재와 대각선 방향으로 연결되는 제 2 연결부재 중 어느 하나이다.
또한 상기 연결핀은 한 쪽 끝이 상기 핀홀과 대응하여 결합되며 다른 쪽 끝은 상기 핀홀의 형상을 그대로 연장한 것과 동일한 형상인 제 1 연결핀, 한 쪽 끝이 상기 핀홀과 대응하여 결합되며 다른 쪽 끝은 볼 형상인 제 2 연결핀 중 어느 하나이다.
또한 상기 홈의 형상은 "十"자형 또는 "一" 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형성된 평면에 결합되는 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결합부재, 연결부재 및 연결핀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연결부재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연결핀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결합부재의 다른 형상을 나 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이용하여 조립된 입체모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이용하여 다양한 조립된 입체모형의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재(10)는 단면의 형상이 8각형이 되는 다면체의 여러 면 중에서 사각형 형상의 모든 면의 중앙부에 사각형 홈(11)이 형성되고 상기 홈(11)의 바닥면 중앙에 핀홀(12)이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결합부재(10)는 8면체가 x,y,z축을 줌심으로 각각 교차하여 이루어진 다면체로서 사각형과 삼각형의 면에 의해서 이루어 지게 되는데 상기한 여러 면 중에서 삼각형 형상을 하고 있는 부분에는 상기 홈(11)이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사각형 형상을 하고 있는 부분에만 상기 홈(11)이 형성되어 있음을 도 1을 통해서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홈(11)은 상기 결합부재(10)의 모든 면 중에서 18개의 면에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재(10)의 단면의 형상인 8각형에 있어서 중심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선분과 중심과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된 선분의 길이의 비는 1.5 : 1 이 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결합부재(10)에 형성되는 면의 형상은 중심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면의 모양은 정사각형 모양이 되고 중심과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면의 모양은 직사각형 모양이 된다. 따라서 이 모양과 맞게 상기 홈(11)의 형상도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재(10)의 사각형 면에 형성되 는 홈(11)의 형상이 "十"자형 또는 "一"자형이 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18개의 각각의 면에 상기 연결부재(20)들을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홈(11)과 상기 핀홀(12)을 형성하고 상기 핀홀(12)에 결합되는 연결핀(30)의 형상에 따라 강접합과 핀(Pin)접합이 가능하도록 하여 실제 건축 구조역학에 있어서 다양한 접합부의 거동을 나타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홈(11)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핀홀(12)의 형상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을 두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그 형상이 사각형 모양의 홀이 될 수도 있으며 원통형 모양의 홀이 될수도 있고 그 밖에 여러가지 다각형 모양의 홀이 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연결핀(30)과의 결합을 더욱 견고히 할 수 있도록 나사결합을 하고자 하는 경우라면 상기 핀홀(12)과 상기 연결핀(30)에 나사홈과 나사산을 형성하여야 하는데 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상기 핀홀(12)의 형상을 원통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것이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2 에서는 상기 핀홀(12)의 형상을 원통형으로 나타내었으며, 나사홈이 형성되도록 하였다.
상기 연결부재(20)는 상기 결합부재(10)를 어떻게 연결시켜주느냐에 따라서 크게 제 1 연결부재(21)와 제 2 연결부재(22)로 구분할 수 있다.
제 1 연결부재(21)의 경우에는 상기 결합부재(10)를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연결시켜주며, 제 2 연결부재(22)의 경우에는 상기 결합부재(10)를 대각선 방향으로 연결시켜주게 된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연결부재(21)는 그 끝단에 형성된 홈과 돌출부의 형상 및 길이에 따라 4개의 유형으로 구분이 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연결부재(21)의 끝단에 형성된 돌출부가 사각형 형상을 하며 상기 핀홀(12)과 동일한 형상의 홈을 형성하고 있는 것은 21a, 상기 연결부재의 끝단에 형성된 돌출부가 테이퍼진 형상을 하면서 볼 형상의 홈을 형성하고 있는 것은 21b, 상기 21a와 동일한 돌출부 및 홈을 가지면서 그 길이가 2배인 21c, 상기 21b와 동일한 돌출부 및 홈을 가지면서 그 길이가 2배인 22d의 4개의 유형으로 구분이 된다.
상기 21a 와 21c에 형성된 사각형 돌출부는 상기 홈(11)중 정사각형 형상을 한 홈과 대응하여 정확하게 결합되도록 하여 부재의 움직임을 제한시키도록 함에 그 특징이 있다. 이는 실제 구조역학에서 강접합을 나타내기 위한 결합이다.
상기 21b 와 21d의 돌출부는 테이퍼가 져 있어 상기 홈(11)과 직접적인 결합을 하지 못하며, 끝단에 형성된 홈은 볼 형상을 하고 있어 상기 제 2 연결핀(32)과 대응하여 결합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제 2 연결핀(32)과 상기 볼 형상의 홈 사이에는 어느 정도 유격이 있어 부재의 움직임이 제한되지 않기 때문에 핀(Pin) 접합을 이루게 된다. 이에 의해서 회전절점과 동일한 거동을 나타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21c, 21d 는 상기 21a, 21b 보다 길이가 2배 길게 함으로써 건축구조물 모형을 만들때 정사각형뿐만 아니라 직사각형의 모형도 만들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 2 연결부재(22)는 끝단이 테이퍼진 형상을 하 고 있으며 양 끝단에는 볼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재(10)를 대각선방향으로 연결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제 2 연결부재(22)가 대각선 방향으로 상기 결합부재(10)를 연결시키려면 상기 제 2 연결부재(22)가 서로 어느 하나를 관통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상기 제 2 연결부재(22)는 2가지 종류로 나뉘게 된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22b는 22a와 동일한 형상을 하고 있으나 그 길이가 22a 보다 약 2배정도 길며 그 중앙의 양 쪽에는 상기 홈(11) 및 상기 핀홀(12)이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22b의 양 쪽에 형성된 홈(11)의 중앙부에 형성된 핀홀(12)에 상기 제 2 연결핀(32)을 이용하여 22a를 서로 결합시킴으로서 "X" 자 형태의 결합이 가능하게 되어 대각선 방향으로 상기 결합부재(10)를 연결시켜줄 수 있게 된다. 또한, 22b에 형성된 핀홀(12)에도 상기한 바와 같이 나사산을 형성하여 제 2 연결핀(32)과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연결핀(30)은 그 형상에 따라 제 1 연결핀(31)과 제 2 연결핀(32)으로 구분된다.
제 1 연결핀(31)은 상기 핀홀(12)의 형상이 그대로 연장된 것과 같은 형상을 하게 되며 상기 핀홀(12)에 형성된 나사홈과 대응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산을 형성할 수 있다.
제 2 연결핀(32)은 한쪽 끝단은 상기 핀홀(12)의 형상과 대응하여 결합될 수 있는 모양을 하고 상기 핀홀(12)에 형성된 나사홈과 대응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될 수도 있으며, 다른 쪽 끝단에는 볼이 결합된 형상을 하게 된다.
상기 제 2 연결핀(32)과 상기 제 1 연결부재(21) 또는 제 2 연결부재(22)를 끼워맞춰 결합시키며 상기 제 2 연결핀(32)의 볼 형상 부분과 연결부재(21, 22)의 볼 형상의 홈 사이에는 어느정도 유격이 있어서 연결부재의 움직임이 제한되지 않으므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회전절점의 거동을 나타낼 수 있게된다.
실제 구조 역학에서 수직부재는 기둥으로 수평부재는 보로 나타낼 수 있으며 기둥과 보의 결합은 대부분 강접합에 의해 이루어 지며 이렇게 기둥과 보가 강접합으로 이루어져 있는 구조를 라멘 구조라고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구조물을 보강하기 위해서 대각선 방향으로 부재를 연결시키는데 이를 브레이스(brace)라고 하며 보통 브레이스(brace)는 핀(Pin)결합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트러스 구조는 삼각형을 기본으로 각 부재가 핀(Pin)결합에 의해 이루어진 것을 말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다양한 접합부의 거동을 나타내기 위해서 상기 제 1 연결핀(31)과 제 2 연결핀(32)이 필요하게 되며, 각 연결부재(20)들의 끝단에 형성된 홈이 상기 연결핀(30)들의 끝단형상과 대응하여 결합 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재(10)에 상기 제 1 연결부재(21)중 21a와 상기 제 1 연결핀(31)이 결합하게 되면 강접합의 거동을 나타내며 라멘 구조를 만들 수 있고, 상기 결합부재(10)에 상기 제 1 연결부재(21)중 21b와 상기 제 2 연결핀(32)이 결합하게 되면 핀(Pin)접합의 거동을 나타내며 트러스 구조를 만들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제 2 연결부재(22)와 제 2 연결핀(32)에 의해서 브레이스(brace)를 나타낼 수 있게 된다.
도 3의 실시예에 나타난 바와 같이 4개의 결합부재(10)와 4개의 제 1 연결부재(21)를 결합하여 사각형 구조물을 만들 수 있으며, 여기에 다시 제 2 연결부재(22)중 22a 2와 22b 1개를 대각선 방향으로 결합시킨 구조물을 만들 수 있다. 이때 22b의 길이는 제 1 연결부재(21)의 길이보다 1.414배 더 길어야 함은 도면을 통해 알 수 있다. 다만, 그 정확한 길이는 상기 결합부재(10)의 크기 및 상기 연결부재(20)의 두께에 따라 달라 질수 있으므로 상기 연결부재의 길이 및 두께에 특별한 제한을 두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4개의 결합부재(10)와 4개의 제 1 연결부재(21)에 의해 형성된 사각형 평면에 결합될 수 있도록 사각형 형상의 판(50)을 더 추가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판(50)을 더 추가함으로써 전단벽 보강 구조 또는 코어 구조가 가능하게 하였으며, 바닥면이나 벽면으로도 구성이 가능하게 하였다.
이때 상기 판(5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도 4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연결부재(21a,21b)는 중앙부 양 측면에 반원형 홈을 각각 마주보게 형성하고 상기 판(50)의 각 모서리 중앙부에 반원형 돌출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연결부재(21c, 21d)의 경우에는 21a, 21b보다 2배 더 많이 반원형 홈이 형성될 수 있음을 도 4를 통해서 알 수 있다.
상술한 반원형 돌출부가 반원형 홈과 대응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판(50)의 결합을 용이하고 견고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도 8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건축 구조물 입체 모형 조립 세트를 이용하여 조립한 건축 구조물 입체 모형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 다.
도 8은 본 발명의 건축 구조물 입체 모형 조립 세트을 이용하여 강접 골조를 구성한 도면이다. 도 9는 건축 구조물 입체 모형 조립 세트를 이용하여 튜브 구조를 구성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힌지 골조를 구성하면서 브레이스를 분산 배치 형태로 구성한 것이다. 도 11은 힌지 골조를 구성하면서 연층 브레이스를 형성하도록 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햇 트러스(Hat Truss) 형식의 건축 구조물 모형을 구성한 실시예이다. 도 13은 힌지 골조를 구성하고, 전단 벽을 형성한 실시예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트러스 구조를 구성한 도면이다. 마지막으로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 구조물 입체 모형 조립 세트를 이용하여 슈퍼 프레임(Super Frame)을 구성한 도면이다.
도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된 건축물 모형에 다양한 각도로 주어지는 힘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학습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축 구조물 입체 모형 조립 세트를 이용하면 다양한 건축 구조물의 형태를 학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결합부재, 연결부재 및 연결핀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연결부재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연결핀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결합부재의 다른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이용하여 조립된 입체모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8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이용하여 다양한 조립된 입체모형의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결합부재
11 : 홈
12 : 핀홀
20 : 연결부재
21 : 제 1 연결부재
22 : 제 2 연결부재
30 : 연결핀
31 : 제 1 연결핀
32 : 제 2 연결핀
50 : 판

Claims (5)

  1. 단면의 형상이 8각형이 되는 다면체 중 사각형 형상의 면에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의 바닥면에 핀홀이 구비되어 있는 결합부재;
    상기 결합부재와 다른 결합부재를 연결시켜 주는 연결부재; 및
    상기 결합부재와 연결부재를 결합시켜 주거나 상기 연결부재끼리 결합시켜 주는 연결핀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연결핀의 형상과 대응되는 홈이 양 끝단의 사각형 돌출부에 각각 형성되며, 움직임의 제한을 위해 상기 사각형 돌출부가 상기 결합부재의 홈에 틈 없이 결합되어 강접합 하도록 하거나, 상기 연결핀의 형상과 대응되는 홈이 양 끝단의 테이퍼형 돌출부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테이퍼형 돌출부와 상기 결합부재의 홈과의 유격만큼 유동이 가능하여 핀(Pin)접합 하도록 하면서 상기 결합부재와 수직방향이나 수평방향으로 연결되는 제 1 연결부재,
    상기 연결핀의 형상과 대응되는 홈이 양 끝단의 테이퍼형 돌출부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테이퍼형 돌출부와 상기 결합부재의 홈과의 유격만큼 유동이 가능하여 핀(Pin)접합 하도록 하면서 상기 결합부재에 대각선 방향으로 연결되는 제 2 연결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건축 구조물 입체모형 조립세트.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핀은 한 쪽 끝이 상기 핀홀과 대응하여 결합되며 다른 쪽 끝은 상기 핀홀의 형상을 그대로 연장한 것과 동일한 형상인 제 1 연결핀, 한 쪽 끝이 상기 핀홀과 대응하여 결합되며 다른 쪽 끝은 볼 형상인 제 2 연결핀 중 어느 하나인 건축 구조물 입체모형 조립세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홈이 "十"자형 또는 "一" 자형으로 형성된 건축 구조물 입체모형 조립세트.
  5. 제 1항, 제 3항 및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형성된 면에 결합되는 판이 더 포함되는 건축 구조물 입체모형 조립세트.
KR1020090037628A 2009-04-29 2009-04-29 건축 구조물 입체모형 조립세트 KR1011017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7628A KR101101778B1 (ko) 2009-04-29 2009-04-29 건축 구조물 입체모형 조립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7628A KR101101778B1 (ko) 2009-04-29 2009-04-29 건축 구조물 입체모형 조립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8763A KR20100118763A (ko) 2010-11-08
KR101101778B1 true KR101101778B1 (ko) 2012-01-05

Family

ID=43404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7628A KR101101778B1 (ko) 2009-04-29 2009-04-29 건축 구조물 입체모형 조립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17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1950A (ko) 2014-01-07 2015-07-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부재 미니어처를 이용한 디지털 건축 문화재의 조립 체험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6359B1 (ko) * 2013-01-08 2014-11-03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정형 그리드 쉘 구조물의 4웨이 테넌 조인트 프레임
CN110751870B (zh) * 2019-11-01 2021-08-24 郭晶玉 装配式建筑框架柱教学实验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29395U (ko) * 1976-03-26 1977-10-01
JPS52129395A (en) * 1976-04-23 1977-10-29 Seiko Instr & Electronics Ltd Tuner fork type peizoelectric resonatpr
US4129975A (en) * 1977-03-09 1978-12-19 Matrix Toys, Inc. Construction set having clip fasteners
KR19990078845A (ko) * 1999-08-12 1999-11-05 신동수 전방향 결합이 가능한 조립식 블록완구
US6641453B1 (en) * 2000-01-28 2003-11-04 Academy Of Applied Science Construction set for building structure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29395U (ko) * 1976-03-26 1977-10-01
JPS52129395A (en) * 1976-04-23 1977-10-29 Seiko Instr & Electronics Ltd Tuner fork type peizoelectric resonatpr
US4129975A (en) * 1977-03-09 1978-12-19 Matrix Toys, Inc. Construction set having clip fasteners
KR19990078845A (ko) * 1999-08-12 1999-11-05 신동수 전방향 결합이 가능한 조립식 블록완구
US6641453B1 (en) * 2000-01-28 2003-11-04 Academy Of Applied Science Construction set for building structur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1950A (ko) 2014-01-07 2015-07-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부재 미니어처를 이용한 디지털 건축 문화재의 조립 체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8763A (ko) 2010-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harafi et al. Interlocking system for enhancing the integrity of multi-storey modular buildings
US10518193B2 (en) Toy construction set
BR112012017916A2 (pt) modulo estéreo reticulado para a construção de edifícios e método de construção dos mesmos
KR101101778B1 (ko) 건축 구조물 입체모형 조립세트
US10577787B2 (en) Beam component for use in technical construction, construction kit and method of connecting beam components
US11302218B2 (en) Construction teaching set for education
KR20100118768A (ko) 건축 구조물 입체모형 조립세트
KR101094709B1 (ko) 건축 구조물 모형 조립세트
Tang Timber gridshells: beyond the drawing board
JP2005240359A (ja) ユニット式建物及び建物ユニット
JP3380600B2 (ja) 建物の鉄骨構造
Saidani et al. Investigation into a new type of multi-reciprocal grid
Arnouts Computational Investigation of the Structural Response of Bistable Scissor Structures
WO2023157528A1 (ja) 多重立体トラスシステム
JP6829965B2 (ja) 塔状建物
Coskun et al. Building a Load-bearing Truss for Introductory Statics Course
CN107687221B (zh) 一种分解曲面屋盖荷载的结构
JP2023165104A (ja) ブロック積みによる柱状・壁状もしくは高層トラス構造物
Sakantamis et al. The cocoon method: a physical modelling tool for designing tensegrity systems
US20170136653A1 (en) Mold for Making Units of a Dome Structur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JP2019148057A (ja) 仮囲い用ベース体
JPH07269165A (ja) 制振構造物
WO2003059478A1 (en) Building block for educational purposes
JPH0463947B2 (ko)
KR20200020277A (ko) 다축 교차 입체 구조용 접속 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