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4530B1 - 문자메시지의 언어 처리를 이용한 원격 제어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문자메시지의 언어 처리를 이용한 원격 제어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4530B1
KR101094530B1 KR20050111351A KR20050111351A KR101094530B1 KR 101094530 B1 KR101094530 B1 KR 101094530B1 KR 20050111351 A KR20050111351 A KR 20050111351A KR 20050111351 A KR20050111351 A KR 20050111351A KR 101094530 B1 KR101094530 B1 KR 1010945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remote control
language processing
command
text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50111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3501A (ko
Inventor
박성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200501113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4530B1/ko
Publication of KR20070053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35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4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4530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자메시지의 언어 처리를 이용한 원격 제어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메시지를 보낼 때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메시지 포맷의 정의가 필요없음) 문장으로 보내면, 이 메시지의 의미를 올바르게 해석하여 그에 따라 시스템(예를 들면, 홈네트워킹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는 문자메시지의 언어 처리를 이용한 원격 제어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문자메시지를 이용한 원격 제어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원격 제어 단말기로부터 문자메시지 - 기 약정된 원격 제어 명령 형식에 무관한 자연어로 구성된 문장임 - 를 수신받기 위한 메시지 수신수단; 제어수단의 제어하에, 상기 문자메시지(이하, '수신 메시지'라 함)의 의미를 자연어 처리 기능을 통해 파악하여 명령어 형식에 맞게 변환한 후 상기 제어수단으로 전송하고, 메시지 해석에 따른 사용자의 응답 요구에 따라 명령 수행 결과에 대해 자연어로 문자메시지(이하, '송신 메시지'라 함)를 작성하기 위한 언어처리수단; 상기 수신 메시지를 상기 언어처리수단으로 전달하고, 상기 언어처리수단으로부터의 명령어에 따라 원격 제어 대상을 제어하며, 상기 원격 제어 대상에 대한 명령 수행 결과를 상기 언어처리수단으로 전달하기 위한 상기 제어수단; 및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하에, 상기 송신 메시지를 상기 원격 제어 단말기 혹은 기 정의된 단말기로 송신하기 위한 메시지 송신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언어처리수단은, 상기 수신 메시지의 의미를 자연어 처리 기능을 통해 파악함에 있어서, 정보가 불충분한 경우, 관련 정보를 인터넷에서 추가로 탐색할 수 있는 정보 검색 기능을 더 구비한다.
문자메시지, 원격 제어, 언어 처리, 홈네트워킹, SMS

Description

문자메시지의 언어 처리를 이용한 원격 제어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Remotely controllable system and method using language processing of short messages, and home networking equipped with the system using its}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자메시지의 언어 처리를 이용한 원격 제어 서비스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메시지의 언어 처리를 이용한 원격 제어 서비스 장치가 적용되는 홈네트워킹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자메시지의 언어 처리를 이용한 원격 제어 서비스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1 : 단문메시지 수신부 12 : 제어부
13 : 언어 처리부 14 : 단문메시지 송신부
15 : 명령 수신부
본 발명은 문자메시지의 언어 처리를 이용한 원격 제어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문자메시지(SMS 혹은 MMS 등)를 이용하여 원격지에서 시스템을 제어함에 있어서, 메시지를 보낼 때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메시지 포맷의 정의가 필요없음) 문장으로 보내면, 이 메시지의 의미를 올바르게 해석하여 그에 따라 시스템(예를 들면, 홈네트워킹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는 문자메시지의 언어 처리를 이용한 원격 제어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문자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단말기의 보급으로 여러 가지 여가 문화의 발달과 바쁜 일상으로 인해, 문화생활을 위한 서비스 활동에 있어서 문자메시지에 대한 활용이 점차 일반화되어 가고 있다.
단문메시지 서비스(SMS : Short Message Service)는 무선 단말기에서 단문 형태의 텍스트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해주는 서비스로서, 무선 단말기나 네트워크를 통해 문자 또는 숫자로 이루어진 데이터를 전송해준다. 처음에는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용으로 시작되었으나, 점차 각종 정보제공이나 전자상거래의 결제수단 등으로 활용 범위가 넓어지고 있으며, 최근에는 문자 위주의 서비스에서 벗어나 사진, 그림, 동영상 등을 주고 받을 수 있는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로 진화하고 있는 중이다.
원격지에서 단문메시지(SMS) 등을 이용하여 단말기를 제어(발신 제한, 전원 오프 등 잠금(lock) 기능을 설정하는 경우 등)하는 선행기술의 일예(이하, '제1 선행기술'이라 함)로는, "원격 제어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한국공개특허공보 2002-0056371호, 2002. 7. 10 공개)", "SMS를 이용한 단말기의 원격 제어 방법(한국공개특허공보 2001-0045885호, 2001. 6. 5 공개)" 등이 있다.
상기 제1 선행기술은 SMS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를 원격 제어하는 것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가 SMS를 통해 수신된 메시지를 입력받아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되어 있는 특정 메시지와 비교하여 수신된 특정 메시지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이 존재하는지를 검색하여 해당 제어 명령을 발생시켜 단말기를 제어한다.
한편, 원격지에서 단문메시지(SMS) 등을 이용하여 단말기를 제어(정보 검색 및 관리 등)하는 선행기술의 다른 예(이하, '제2 선행기술'이라 함)로는, "단문 서비스를 이용한 원격 정보 검색 및 관리 방법(한국공개특허공보 2002-0050536호, 2002. 6. 27 공개)",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제어 방법(한국공개특허공보 2002-0066006호, 2002. 8. 14 공개)" 등이 있다.
상기 제2 선행기술 역시 SMS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를 원격 제어하는 것이지만, SMS를 활용하여 원격으로 정보를 검색하고 관리하는 점에서 상기 제1 선행기술과 다소 차이가 있다. 즉, 상기 제2 선행기술은 SMS 파라미터 데이터에 명령 형식을 정의하여 송신 단말에서 수신 단말로 명령을 보내고, 수신 단말은 명령을 분 석하고 이를 실행한 결과를 다시 송신 단말로 보내도록 함으로써, 정보의 검색과 관리가 가능한 수신 단말을 원격으로 제어하여 정보를 검색 및 관리하고 수신 단말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게 해준다.
상기 제1 및 제2 선행기술은 원격 제어 대상이 이동통신 단말기로 한정되어 있으며, 제어 과정 역시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을 제한하거나 정보의 검색 및 관리에 제한되어 있다.
물론, 원격지에서 단문메시지(SMS) 등을 이용하여 서버를 제어(정보 검색 및 관리 등)하는 선행기술의 다른 예(이하, '제3 선행기술'이라 함)로는, "명령어 코드로 입력된 단문메시지 전송 방법(한국공개특허공보 2002-0051576호, 2002. 6. 29 공개)" 등이 있다.
하지만, 상기 제3 선행기술은 상기 제1 및 제2 선행기술에 비춰 볼 때, 제어 대상을 달리하고 있지만, 제어 과정(정보 검색 및 관리 등)에 있어서는 별반 다르지 않다.
그러나 상기 제1 내지 제3 선행기술의 공통적인 문제점은 단문메시지의 포맷을 미리 정의해 두어야만 하고, 사용자가 이를 알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명령어를 숙지하지 못한 사용자에게는 불편을 초래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SMS 파라미터 데이터에 명령 형식을 정의하여 송신 단말에서 수신 단말(혹은 서버)로 전송하고, 수신 단말(혹은 서버)에서는 상기 명령을 분석하고 이를 실행한 결과를 다시 송신 단말로 보내도록 하는 '기 약정된 단문메시지 포맷'에 기인한 원격지 제어 방식을 취하고 있기 때문에, 명령어에 익숙하지 못한 사용자에게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메시지를 보낼 때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메시지 포맷의 정의가 필요없음) 문장으로 보내면, 이 메시지의 의미를 올바르게 해석하여 그에 따라 시스템(예를 들면, 홈네트워킹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는 문자메시지의 언어 처리를 이용한 원격 제어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문자메시지를 이용한 원격 제어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원격 제어 단말기로부터 문자메시지 - 기 약정된 원격 제어 명령 형식에 무관한 자연어로 구성된 문장임 - 를 수신받기 위한 메시지 수신수단; 제어수단의 제어하에, 상기 문자메시지(이하, '수신 메시지'라 함)의 의미를 자연어 처리 기능을 통해 파악하여 명령어 형식에 맞게 변환한 후 상기 제어수단으로 전송하고, 메시지 해석에 따른 사용자의 응답 요구에 따라 명령 수행 결과에 대해 자연어로 문자메시지(이하, '송신 메시지'라 함)를 작성하기 위한 언어처리수단; 상기 수신 메시지를 상기 언어처리수단으로 전달하고, 상기 언어처리수단으로부터의 명령어에 따라 원격 제어 대상을 제어하며, 상기 원격 제어 대상에 대한 명령 수행 결과를 상기 언어처리수단으로 전달하기 위한 상기 제어수단; 및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하에, 상기 송신 메시지를 상기 원격 제어 단말기 혹은 기 정의된 단말기로 송신하기 위한 메시지 송신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언어처리수단은, 상기 수신 메시지의 의미를 자연어 처리 기능을 통해 파악함에 있어서, 정보가 불충분한 경우, 관련 정보를 인터넷에서 추가로 탐색할 수 있는 정보 검색 기능을 더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하에, 상기 원격 제어 대상에 대해 명령을 수행하고, 상기 원격 제어 대상에 대한 명령 수행 결과를 상기 제어수단으로 보고하기 위한 명령실행수단을 더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은, 문자메시지를 이용한 원격 제어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원격 제어 단말기로부터 문자메시지 - 기 약정된 원격 제어 명령 형식에 무관한 자연어로 구성된 문장임 - 를 수신받는 메시지 수신 단계; 발신번호(Caller ID)를 통해 사용자를 인증하는 인증 단계; 상기 인증된 사용자로부터의 상기 문자메시지(이하, '수신 메시지'라 함)의 의미를 자연어 처리 기능을 통해 파악하는 메시지 해석 단계; 상기 메시지 해석 결과, 상기 수신 메시지의 해석 내용을 명령어 형식에 맞게 변환하여 원격 제어 대상을 제어하는 제어 단계; 및 상기 메시지 해석 결과, 상기 사용자의 응답 요구에 따라, 명령 수행 결과에 대해 자연어로 문자메시지를 작성하여 상기 원격 제어 단말기 혹은 기 정의된 단말기로 송신하는 메시지 송신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메시지 해석 단계는, 상기 수신 메시지의 의미를 자연어 처리 기능을 통해 파악함에 있어서, 정보가 불충분한 경우, 관련 정보를 인터넷에서 추가로 탐색하는 정보 검색 단계를 더 포함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은 문자메시지(SMS, MMS 등)를 이용하여 원격으로 시스템(예를 들면, 홈네트워킹 시스템)을 제어하는 것으로, 사용자로 하여금 특정한 형태의 단문을 암기할 필요없이 자연스럽게 문장을 입력하여 문자메시지를 보내도 시스템(예를 들면, 홈네트워킹 시스템)을 제어 가능하도록 해준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단문메시지 수신부로부터 메시지를 전달받은 제어부가 이 메시지를 언어 처리부로 전달하여 그 의미를 분석하게 하고 제어부가 이해할 수 있는 정해진 형식으로 그 결과를 전달받아, 이 결과에 따라 시스템을 제어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사람이 아닌 단말기 또는 시스템이 문자메시지를 수신할 경우에도, 사용자가 자연스럽게 글을 쓰듯이 입력하여 전송한 메시지를, 시스템이 언어 처리를 통하여 이해하고 그에 따른 제어 또는 응답을 해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원격에서 시스템을 제어하고자 할 경우에, 문자메시지(SMS, MMS 등)를 작성하여 전송할 수 있는 단말기를 사용하여 자연스럽게 문장으로 명령을 만들어 전송하게 함으로써, 사용자들로 하여금 편리하게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게 해준다. 특히, 홈네트워킹 시스템의 경우, 원격에서 가전기기를 제어하고자 할 때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자메시지의 언어 처리를 이용한 원격 제어 서비스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문자메시지의 언어 처리를 이용한 원격 제어 서비스 장치는, 원격 제어 단말기(문자메시지 송신만 혹은 송수신이 가능한 유무선 단말기임)로부터 문자메시지(기 약정된 원격 제어 명령 형식에 무관한 자연어로 구성된 문장임)를 수신받기 위한 단문메시지 수신부(11)와, 제어부(12)의 제어하에, 수신된 문자메시지의 의미를 자연어 처리 기능을 통해 파악하여 명령어 형식에 맞게 변환한 후 제어부(12)로 전송하고, 메시지 해석에 따른 사용자의 응답 요구에 따라 명령 수행 결과에 대해 자연어로 문자메시지(송신될 문자메시지)를 작성하기 위한 언어 처리부(13)와, 수신된 문자메시지를 언어 처리부(13)로 전달하고, 언어 처리부(13)로부터의 명령어에 따라 원격 제어 대상(예를 들면, 홈네트워킹 시스템의 가전기기)을 제어하며, 원격 제어 대상(예를 들면, 홈네트워킹 시스템의 가전기기)에 대한 명령 수행 결과를 언어 처리부(13)로 전달하는 제어부(12)와, 제어부(12)의 제어하에, 송신될 문자메시지를 원격 제어 단말기(이러한 경우 문자메시지 송수신이 가능한 유무선 단말기임) 혹은 기 지정된 단말기(명령 수행 결과에 대해 수신받는 단말기를 미리 지정해 둔 경우로서, 문자메시지 수신만 혹은 송수신이 가능한 유무선 단말기임)로 송신하기 위한 단문메시지 송신부(14)를 포함한다. 또한, 제어부(12)의 제어하에, 원격 제어 대상(예를 들면, 홈네트워킹 시스템의 가전기기)에 대해 명령을 수행하고, 원격 제어 대상에 대한 명령 수행 결과를 제어부(12)로 보고하는 명령 수신부(예를 들면, 홈네트워킹 시스템의 홈게이트웨이)(15)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언어 처리부(13)는 수신된 문자메시지의 의미를 자연어 처리 기능을 통해 파악함에 있어서, 충분한 정보를 얻지 못할 때(획득된 정보가 미진한 경우), 관련 정보를 인터넷에서 추가로 탐색할 수 있는 정보 검색 기능을 더 구비한다.
다만, 비록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문자메시지(SMS, MMS)의 언어 처리를 이용한 원격 제어 서비스 장치가 원격 제어 단말기(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문자메시지 송신이 가능한 단말기이면 족함)와 원격 제어에 관련된 문자메시지(SMS/MMS)를 송수신 처리하기 위해서는, 이동통신사의 단문서비스 센터(SMSC : Short Message Service Center) 혹은 통신사업자(예를 들면, KT)의 SMS/MMS 게이트웨이와 연동된다.
단문메시지 수신부(11)는 원격 제어 단말기(문자메시지 송신이 가능한 단말기이면 족함)에서 사용자가 보낸 문자메시지(SMS, MMS 등)를 수신하는 부분이다.
제어부(12)는 수신된 문자메시지(SMS, MMS 등)를 언어 처리부(13)로 전달하고, 언어 처리부(13)가 해석하여 제어부(12)에 맞는 형식으로 변환하여 전송한 명령을 받아서 그 명령을 수신하는 명령 수신부(예를 들면, 홈네트워킹 시스템의 홈게이트웨이)(15)로 보내고, 명령 수신부(예를 들면, 홈네트워킹 시스템의 홈게이트웨이)(15)로부터 나온 결과를 다시 언어 처리부(13)로 보내어 사용자에게 보낼 문자메시지를 받아서 단문메시지 송신부(14)로 보낸다.
언어 처리부(13)는 수신된 문자메시지의 의미를 파악하여(이때, 자연어 처리 과정을 통해 의미론 분석) 제어부(12)로 명령을 보내고, 제어부(12)가 보낸 결과(명령 수행 결과)에 따라 사용자에게 보낼 문자메시지를 생성한다. 이때, 수신된 문 자메시지의 의미를 자연어 처리 기능을 통해 파악함에 있어서, 정확하게 결과를 얻지 못할 때(즉, 사용자의 의도를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하는 경우), 정보 검색 기능을 이용하여 관련 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추가로 찾을 수 있다.
언어 처리부(13)는 수신된 문자메시지의 의미를 파악함에 있어서, 기기 제어 명령뿐만 아니라, 명령 수행 결과에 대해 응답메시지를 구성할지에 대해서도 판단한다.
예를 들면, "오늘 10시에 시작하는 '내 이름은 김삼순' 녹화, 메시지 받으면 응답 바람"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응답을 요구했음을 파악했기 때문에, 녹화 예약 완료에 대한 응답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전송한다. 만약, 예약에 실패한 경우(사용자가 보낸 메시지의 내용에 오류가 있거나 홈네트워크 기기 제어가 불가능한 경우 등)에는 예약 실패 이유와 예약되지 않았음을 응답메시지로 만들어 사용자에게 전송한다. 이때, 사용자가 보낸 메시지의 내용에 오류가 있는 경우에는, 오류 내용을 바로잡아 응답메시지를 구성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오늘 10시에 시작하는 '내 이름은 김삼순' 녹화, 응답할 필요 없음"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해 놓은 옵션에 따라 녹화 예약 완료 혹은 실패에 대한 응답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전송한다.
단문메시지 송신부(14)는 사용자에게 보낼 명령 수행 결과에 대한 문자메시지를 원격 제어 단말기(문자메시지 수신이 가능한 단말기이면 족함) 혹은 기 지정된 단말기(명령 수행 결과에 대해 수신받는 단말기를 미리 지정해 둔 경우로서, 문자메시지 수신이 가능한 단말기이면 족함)로 전달해준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자메시지의 언어 처리를 이용한 원격 제어 서비스 장치는,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지에서 홈네트워킹 시스템의 가전기기를 제어하고자 할 때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는 바, 원격지에서 홈네트워킹 시스템의 가전기기를 제어하고자 할 경우에, 문자메시지(SMS, MMS 등)를 작성하여 전송할 수 있는 단말기를 사용하여 자연스럽게 문장으로 명령을 만들어 전송하게 함으로써, 사용자들로 하여금 편리하게 홈네트워킹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게 해준다. 이러한 경우, 명령 수신부(15)가 홈네트워킹 시스템의 홈게이트웨이(Home gateway) 역할을 하게 된다.
즉, 홈네트워킹 시스템은 중앙감시실에 통합 관리 서버를 설치하고, 이 통합 관리 서버에 연결되어 있는 여러 가정의 홈게이트웨이를 통해 각 가정의 기기 제어 및 검침 등의 작업을 할 수 있다. 따라서 통합 관리 서버에는 단문메시지 수신부(11), 제어부(12), 언어 처리부(13), 단문메시지 송신부(14) 등이 구비될 수 있으며, 홈게이트웨이는 명령 수신부(15)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단문메시지 수신부(11), 제어부(12), 언어 처리부(13), 단문메시지 송신부(14) 등을 통합 관리 서버 전단에 구성하여, 통합 관리 서버와의 연동을 통해서도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2의 홈네트워킹 시스템을 예로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문자메시지의 언어 처리를 이용한 원격 제어 서비스 방법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예를 들어, 집 외부에 있는 사용자가 집에 늦게 귀가하게 되어서 TV 프로그램을 예약하고자 한다. 이때, 사용자는 문자메시지(예를 들면, "오늘 10시에 시작하는 '내 이름은 김삼순' 녹화, 메시지 받으면 응답 바람")를 작성하여 통합 관리 서버(원격 제어 서비스 장치)로 보낸다.
이후, 통합 관리 서버(원격 제어 서비스 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단문메시지 수신부(11)를 통해 메시지가 수신되면, 제어부(12)에서는 사용자의 전화번호(즉, 발신번호(Caller ID))를 파악하고(301), 등록된 사용자인 경우 해당 메시지를 언어 처리부(13)로 전달한다. 이후에, 언어 처리부(13)에서는 이 메시지를 분석한다(302).
이때, 메시지 분석(자연어 처리 과정 등)을 통해 중요한 정보를 추출해 보면, "오늘 10시", "녹화", "내 이름은 김삼순", "응답" 등이 있을 수 있다.
그런데, 녹화를 하기 위해서 필요한 정보는 녹화 채널과 녹화 시간이다. 따라서 상기 메시지의 내용("오늘 10시에 시작하는 '내 이름은 김삼순' 녹화, 메시지 받으면 응답 바람")만으로는 제어부(12)에 명령을 보낼 수 없으므로(명령에 필요한 정보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 해당)(303), 언어 처리부(13)는 인터넷을 통하여 정보를 검색한다(304,305). 그 결과 '내 이름은 김삼순'이라는 프로그램이 MBC 채널에서 10시부터 한 시간 동안 나온다는 정보를 찾아서(명령에 필요한 정보가 충분한 경우에 해당함)(306) 미리 정의된 형식에 맞춰 정보(제어 명령어)를 제어부(12)로 보내 준다(310). 이때, 정보 검색 결과, 명령에 필요한 정보가 충분치 않은 경우에는(306), 사용자에게 추가 정보를 요구하는 메시지를 작성하여(307) 단문메시지 송신부(14)를 통해 사용자에게 송신한다(308,309).
그러나 상기 메시지의 내용("오늘 10시에 시작하는 '내 이름은 김삼순' 녹화, 메시지 받으면 응답 바람")만으로 제어부(12)에 명령을 보낼 수 있는 경우에는(명령에 필요한 정보가 충분한 경우에 해당)(303), 별도의 정보 검색 과정(304,305) 없이 기 정의된 형식에 맞춰 정보(제어 명령어)를 제어부(12)로 전달할 수 있다(310).
이후, 제어부(12)는 언어 처리부(13)로부터 받은 명령(제어 명령어)을 홈게이트웨이(명령 수신부(15))로 보내고(311), 홈게이트웨이(명령 수신부(15))는 가전기기(즉, VCR)를 작동시켜 녹화 예약을 한다. 그리고 녹화 예약이 되었으면, 홈게이트웨이(명령 수신부(15))는 예약이 끝났음을 제어부(12)로 알린다.
다음으로, 제어부(12)가 그 결과를 언어 처리부(13)로 넘기면(312), 언어 처리부(12)는 메시지("오늘 10시에 시작하는 '내 이름은 김삼순' 녹화, 메시지 받으면 응답 바람")에서 사용자가 응답을 요구했음을 파악했기 때문에(314) 응답 메시지(예를 들면, "오늘10시 MBC방영 '내 이름은 김삼순'을 녹화 예약 완료")를 만들고(315) 사용자에게 보내라는 명령을 제어부(12)로 보낸다.
그러면, 제어부(12)는 이 응답메시지를 단문메시지 송신부(14)로 보내고, 단문메시지 송신부(14)는 해당 사용자에게 응답메시지를 전송한다.
위의 예에서 조금 변형된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을 수 있다.
먼저, 사용자가 응답을 요구하지 않는 경우이다.
즉, 메시지에서 "메시지 받으면 응답 바람" 대신 "응답할 필요 없음"이라고 적은 경우(A-1)이다. 또는, 메시지에서 "메시지 받으면 응답 바람"이라는 말을 빼고 보낸 경우(A-2)이다.
한편, 사용자가 보낸 정보에 오류가 있는 경우(B)이다. 예를 들면, '내 이름은 김삼순'이 실제로는 9시에 시작하는 경우이다.
다른 한편, VCR의 전원을 켤 수 없어서 홈게이트웨이(명령 수신부(15))가 녹화 예약 설정에 실패했다고 결과를 보내 오는 경우(C)이다.
상기 (A-1)의 경우에는 정상적으로 예약이 끝났으면, 언어 처리부(13)에서는 제어부(12)로 응답메시지를 보낼 필요가 없음을 알리고, 예약이 제대로 되지 않았을 때 예약 실패 이유와 예약되지 않았음을 메시지로 만들어 제어부(12)로 보낸다. 그러면, 제어부(12)에서는 예약 실패 메시지를 단문메시지 송신부(14)로 보내어 결과를 사용자에게 알린다.
또한, 상기 (A-2)의 경우에는 미리 정해 놓은 사용자 옵션에 따라 응답메시지를 보낼 수도 있고 보내지 않을 수도 있을 것이다. 즉, 통합 관리 서버(원격 제어 서비스 장치)에 저장해 놓은 옵션에 따라 사용자가 응답메시지를 받는 것으로 되어 있으면 응답메시지를 보내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보내지 않으면 될 것이다.
또한, 상기 (B)의 경우에는 "'내 이름은 김삼순' 9시에 시작, 응답없으면 이대로 예약하겠습니다."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보내어 다시 요구를 받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C)의 경우에는 "VCR의 전원이 켜지지 않아 예약 실패했습니다."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보낼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원격지에서 문자메시지를 이용하여 다양한 시스템(특히, 홈네트워킹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게 해주는데, 특히 특정한 형식을 암기할 필요없이 형식에 구애됨이 없이 사람에게 단문을 보내듯이 문장(기 약정된 원격 제어 명령 형식에 무관한 자연어로 구성된 문장)을 보내면 이를 처리하여 그 의미를 해석하고 그에 따라 시스템을 동작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문자메시지를 이용한 원격 제어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원격 제어 단말기로부터 문자메시지 - 기 약정된 원격 제어 명령 형식에 무관한 자연어로 구성된 문장임 - 를 수신받기 위한 메시지 수신수단;
    제어수단의 제어하에, 상기 문자메시지(이하, '수신 메시지'라 함)의 의미를 자연어 처리 기능을 통해 파악하여 명령어 형식에 맞게 변환한 후 상기 제어수단으로 전송하고, 메시지 해석에 따른 사용자의 응답 요구에 따라 명령 수행 결과에 대해 자연어로 문자메시지(이하, '송신 메시지'라 함)를 작성하기 위한 언어처리수단;
    상기 수신 메시지를 상기 언어처리수단으로 전달하고, 상기 언어처리수단으로부터의 명령어에 따라 원격 제어 대상을 제어하며, 상기 원격 제어 대상에 대한 명령 수행 결과를 상기 언어처리수단으로 전달하기 위한 상기 제어수단; 및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하에, 상기 송신 메시지를 상기 원격 제어 단말기 혹은 기 정의된 단말기로 송신하기 위한 메시지 송신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언어처리수단은,
    상기 수신 메시지의 의미를 자연어 처리 기능을 통해 파악함에 있어서, 정보가 불충분한 경우, 관련 정보를 인터넷에서 추가로 탐색할 수 있는 정보 검색 기능을 더 구비하는, 문자메시지의 언어 처리를 이용한 원격 제어 서비스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하에, 상기 원격 제어 대상에 대해 명령을 수행하고, 상기 원격 제어 대상에 대한 명령 수행 결과를 상기 제어수단으로 보고하기 위한 명령실행수단
    을 더 포함하는 문자메시지의 언어 처리를 이용한 원격 제어 서비스 장치.
  3. 삭제
  4. 문자메시지를 이용한 원격 제어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원격 제어 단말기로부터 문자메시지 - 기 약정된 원격 제어 명령 형식에 무관한 자연어로 구성된 문장임 - 를 수신받는 메시지 수신 단계;
    발신번호(Caller ID)를 통해 사용자를 인증하는 인증 단계;
    상기 인증된 사용자로부터의 상기 문자메시지(이하, '수신 메시지'라 함)의 의미를 자연어 처리 기능을 통해 파악하는 메시지 해석 단계;
    상기 메시지 해석 결과, 상기 수신 메시지의 해석 내용을 명령어 형식에 맞게 변환하여 원격 제어 대상을 제어하는 제어 단계; 및
    상기 메시지 해석 결과, 상기 사용자의 응답 요구에 따라, 명령 수행 결과에 대해 자연어로 문자메시지를 작성하여 상기 원격 제어 단말기 혹은 기 정의된 단말기로 송신하는 메시지 송신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메시지 해석 단계는,
    상기 수신 메시지의 의미를 자연어 처리 기능을 통해 파악함에 있어서, 정보가 불충분한 경우, 관련 정보를 인터넷에서 추가로 탐색하는 정보 검색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문자메시지의 언어 처리를 이용한 원격 제어 서비스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송신 단계는,
    상기 메시지 해석 결과, 상기 사용자가 응답을 요구하거나 응답을 생략한 경우, 명령 수행 성공에 대해 자연어로 문자메시지(이하, '송신 메시지'라 함)를 작성하여 상기 송신 메시지를 상기 원격 제어 단말기 혹은 기 정의된 단말기로 송신하는, 문자메시지의 언어 처리를 이용한 원격 제어 서비스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송신 단계는,
    상기 메시지 해석 결과, 상기 사용자가 응답을 요구하지 않거나 응답을 생략한 경우, 명령 수행 결과 실패 시에만, 명령 수행 실패에 대해 자연어로 문자메시지를 작성하여 상기 원격 제어 단말기 혹은 기 정의된 단말기로 송신하는, 문자메시지의 언어 처리를 이용한 원격 제어 서비스 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송신 단계는,
    상기 메시지 해석 결과, 메시지 내용의 정보에 오류가 있는 경우, 오류를 수정하는 것에 대해 자연어로 문자메시지를 작성하여 상기 원격 제어 단말기 혹은 기 정의된 단말기로 송신하는, 문자메시지의 언어 처리를 이용한 원격 제어 서비스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20050111351A 2005-11-21 2005-11-21 문자메시지의 언어 처리를 이용한 원격 제어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KR1010945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111351A KR101094530B1 (ko) 2005-11-21 2005-11-21 문자메시지의 언어 처리를 이용한 원격 제어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111351A KR101094530B1 (ko) 2005-11-21 2005-11-21 문자메시지의 언어 처리를 이용한 원격 제어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3501A KR20070053501A (ko) 2007-05-25
KR101094530B1 true KR101094530B1 (ko) 2011-12-19

Family

ID=38275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111351A KR101094530B1 (ko) 2005-11-21 2005-11-21 문자메시지의 언어 처리를 이용한 원격 제어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453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7519A (ko) * 2012-09-19 2014-03-27 주식회사 케이티 자연어 기반의 명령어 인식을 통해 가전기기를 원격 제어하는 제어 단말 및 그 방법
WO2023080574A1 (ko) * 2021-11-03 2023-05-11 삼성전자 주식회사 음성 인식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9281B1 (ko) * 2016-02-17 2017-01-24 주식회사 에스씨솔루션 통신기기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7519A (ko) * 2012-09-19 2014-03-27 주식회사 케이티 자연어 기반의 명령어 인식을 통해 가전기기를 원격 제어하는 제어 단말 및 그 방법
KR101909498B1 (ko) * 2012-09-19 2018-10-19 주식회사 케이티 자연어 기반의 명령어 인식을 통해 가전기기를 원격 제어하는 제어 단말 및 그 방법
WO2023080574A1 (ko) * 2021-11-03 2023-05-11 삼성전자 주식회사 음성 인식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3501A (ko) 2007-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433736B (zh) 机器控制系统以及机器控制方法
JP4138252B2 (ja) 電子機器の遠隔制御方法
JP2002165280A (ja) ホームネットワークの遠隔制御方法及びゲートウェイ
KR101595762B1 (ko) 휴대 단말기의 원격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US8705415B2 (en) Communication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led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8718450B2 (en) Portable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1612845B1 (ko) 리모트 ui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16035004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trolled device included in network
CN109800557B (zh) 基于区块链的集成处理方法、装置、服务器、设备及介质
US20090083763A1 (en) Remote control of computing devices via two disparate networks
JP2013543189A (ja) Smsを用いて遠隔デバイスを制御する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KR101094530B1 (ko) 문자메시지의 언어 처리를 이용한 원격 제어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JP4754432B2 (ja) 遠隔操作システム、通信端末、サーバ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7192208B2 (ja) 機器制御システム、デバイス、プログラム、及び機器制御方法
JP2009211566A (ja) 認証システム、情報機器、認証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050026354A (ko) 컨트롤러, 프로그램 및 기억 매체
KR20020020177A (ko) 제어 전자메일 시스템, 제어 전자메일 송신 시스템 및제어 전자메일 수신시스템
CN112492599B (zh) 终端控制方法、系统、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09346047B (zh) 基于麦克风的一键开启点歌处理方法、系统及存储介质
KR101592896B1 (ko) Dm 클라이언트의 장치 관리 트리 접근 제어 시스템, 방법 및 장치
CN113296415A (zh) 智能家电控制方法、智能家电控制装置与系统
KR101238916B1 (ko) 통합 ip 메시지 시스템하에서의 특정 디바이스 메시지송수신 시스템
JP2011244400A (ja) 遠隔操作システム及び方法、遠隔制御装置
KR100380904B1 (ko)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제어 시스템
KR101739381B1 (ko) 리모트 ui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