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9281B1 - 통신기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통신기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9281B1
KR101699281B1 KR1020160018824A KR20160018824A KR101699281B1 KR 101699281 B1 KR101699281 B1 KR 101699281B1 KR 1020160018824 A KR1020160018824 A KR 1020160018824A KR 20160018824 A KR20160018824 A KR 20160018824A KR 101699281 B1 KR101699281 B1 KR 1016992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
natural language
codebook
unit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8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광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씨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씨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씨솔루션
Priority to KR10201600188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92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9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92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7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characterised by the inclusion of specific contents
    • H04L51/18Commands or executable codes
    • G06F17/27
    • H04L67/1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34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involving the movement of software or configuration para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기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통신기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기기는 송신 기기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부;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코드를 추출하여 자연어로 변환하는 코드변환부; 변환된 자연어를 처리하여 제어명령을 추출하는 자연어 내용인식부; 추출된 제어명령을 이용하여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검출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송신 기기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본 발명의 통신기기 및 그 제어방법을 사용하면, 제품에 설치된 기존 소프트웨어 코드 수정없이 통신 기능을 확장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대방/상대 제품이 무엇인지 누구인지도 모르는 처음 연결되는 다른 기종/다른 회사 제품끼리도 추가 작업 없이 통신이 가능하다.

Description

통신기기 및 그 제어방법{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통신기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통신기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사람과 사람이 기기와 통신하거나, 사람과 기기간 통신이 주류였으나 사물인터넷 기술의 발달로 기기간에도 통신하는 시대가 되었다.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약어로 IoT)은 각종 사물에 센서와 통신 기능을 내장하여 인터넷에 연결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여기서 사물이란 가전제품, 모바일 장비, 웨어러블 컴퓨터 등 다양한 임베디드 시스템이 된다. 가전제품, 전자기기뿐만 아니라 헬스케어, 원격검침, 스마트홈, 스마트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물을 네트워크로 연결해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통신을 위해서는 송수신 기기간 연결을 위한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가 필요하다. 무선 네트워크로는 CDMA, LTE, WiFi, zigbee, Bluetooth 등이 있다. 안전한 정보 전달을 위해서는 TCP/IP, UDP/IP 등의 통신 전송 프로토콜이 필요하다. 또한 전송하고자 하는 정보를 메시지 형태로 담아 전달하는 SMS, MMS 등의 메시지 전달 서비스가 필요하다.
한편, 다양한 분야에서 사물을 네트워크로 연결해 정보를 공유함에 따라, 현재 사물인터넷 제품을 만드는 회사별로 제품별로 메시지 처리 기준이 달라서 이 기종간의 제품 혹은 다른 회사 제품간에 실질적인 통신이 어려운 상태이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상호 호환성을 가지기 위해 각 제품 혹은 각 회사별로 추가 작업이 필요하다.
또한 제어명령 등의 메시지가 추가되거나 확장 변경될 때마다 제품에 도입하기 위해 제품에 설치된 소프트웨어를 새롭게 컴파일을 해서 재설치를 해야 하는 등 추가 작업이 계속 필요하다.
가트너에 따르면 2009년까지 사물 인터넷 기술을 사용하는 사물의 개수는 9억개였으나 2020년까지 이 수가 260억 개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같이 많은 사물이 연결되면 제품마다 소프트웨어를 재설치하는 일은 엄청난 노력이 요구된다.
따라서 제어명령 등 메시지가 추가되거나 확장 변경될 때마다 제품마다 소프트웨어를 재설치하지 않도록 하는 기술의 필요성이 사물 인터넷의 등장에 따라 함께 대두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735708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액션에 따른 명령어를 정의하기 위한 방법.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자연어 기반으로 메시지를 구성하여 전송하고, 수신하는 통신기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기기는 송신 기기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부;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코드를 추출하여 자연어로 변환하는 코드변환부; 변환된 자연어를 처리하여 제어명령을 추출하는 자연어 내용인식부; 추출된 제어명령을 이용하여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검출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송신 기기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신 기기는 코드와 자연어 간 매칭 관계에 대한 코드북을 저장하고 있는 코드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코드 변환부는 추출된 코드를 코드북부에 전달하고, 코드북부는 전달받은 코드에 매칭되는 자연어를 텍스트 형태로 코드 변환부로 회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신 기기는 송신 기기로부터 코드와 자연어 간 새롭게 매칭되는 코드와 자연어를 수신하여 코드북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드북부는 전달받은 코드에 매칭되는 자연어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송신 기기 또는 코드북 서버로부터 코드북을 수신받아 코드북을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기기의 제어방법은, 송신 기기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단계;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코드를 추출하여 자연어로 변환하는 코드변환단계; 변환된 자연어를 처리하여 제어명령을 추출하는 자연어 내용인식단계; 추출된 제어명령을 이용하여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단계;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검출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송신 기기로 전송하는 송신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신 기기의 제어방법은 코드와 자연어 간 매칭 관계에 대한 코드북을 저장하는 코드북저장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코드변환단계는 추출된 코드를 코드북부에 전달하고, 코드북부는 전달받은 코드에 매칭되는 자연어를 텍스트 형태로 코드 변환부로 회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신 기기의 제어방법은 송신 기기로부터 코드와 자연어 간 새롭게 매칭되는 코드와 자연어를 수신하여 코드북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드북부는 전달받은 코드에 매칭되는 자연어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송신 기기 또는 코드북 서버로부터 코드북을 수신받아 코드북을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통신 기기의 제어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통신기기 및 그 제어방법을 사용하면, 제품에 설치된 기존 소프트웨어 코드 수정없이 통신 기능을 확장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대방/상대 제품이 무엇인지 누구인지도 모르는 처음 연결되는 다른 기종/다른 회사 제품끼리도 추가 작업 없이 통신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기기의 메시지 수신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기기의 메시지를 확장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기기의 구성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기기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코드북을 업데이트 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기기의 메시지 수신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자연어 기반으로 구성한다. 통신에서 상대방의 제품이름을 알고 싶은 경우에, 기존방법의 예로서 DNMAE 0x0001001라고 선언하고 사용한다. 송신 기기가 송신하여 통신 기기에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0x0001001이라는 식별번호를 보고 수신 기기는 자신의 제품이름을 물어보는지 알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어, ‘너의 제품이름은 무엇이냐’라는 메시지를 What is your name? WYN으로 선언하여 사용한다. 즉, 송신 기기는 WYN이란 두문자만으로 코드를 만들어 수신 기기로 송신하면 된다. 이 경우에 수신 기기는 WYN이란 두문자로 된 코드를 이해하고 자신의 제품이름을 물어보는지 알게 된다. 이를 기초로 하여 제품이름을 메모리에서 읽어와 송신 기기 측으로 전송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기기의 메시지를 확장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메시지를 확장하고자 하는 경우에, 가령, 제품코드를 묻는 제어명령을 추가하고자 할 경우에는 기존방법의 예로서 DSERIAL 0x0001011라고 선언하고 사용한다. 송신 기기가 송신하여 통신 기기에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0x0001011이라는 식별번호를 보고 수신 기기는 자신의 제품코드를 물어보는지 알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어, ‘너의 제품코드는 무엇이냐’라는 메시지를 What is your serial? WYS로 선언하여 사용한다. 즉, 송신 기기는 WYS란 두문자만으로 코드를 만들어 수신 기기로 송신하면 된다. 이 경우에 수신 기기는 WYS란 두문자로 된 코드를 이해하고 자신의 제품코드를 물어보는지 알게 된다. 이를 기초로 하여 제품코드를 메모리에서 읽어와 송신 기기 측으로 전송하게 된다.
기존 방법에서는 제품코드에 대한 제어명령 메시지에 대해 DSERIAL 0x0001011라고 선언하고 사용하게 되는데, 이를 제품이 알 수 있게 제품코드에 대한제어 명령 메시지를 추가한 소프트웨어를 컴파일하여 다시 제품에 설치를 해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통신 기기의 제어방법에서는 제품코드를 물어보는 제어명령 메시지를 자연어 기반으로 구성하고, 이를 송신 기기가 수신 기기로 전달하고, 이를 수신 기기 측에서 자연어 기반으로 처리하여 제어 명령을 의미를 이해하고 이에 대응하기 때문에 추가되는 제품코드에 대한 제어명령 메시지를 인식하기 위해 별도로 소프트웨어를 컴파일하여 제품에 재설치해야 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처리절차는 이하 도 3 내지 도 5에서 살펴본다.
송신 기기(100)를 이용하여 수신 기기(200)를 제어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수신 기기는 본 발명에서 제어명령에 대한 메시지를 수신한다는 관점에서의 명칭일 뿐 메시지 송신과 수신이 가능한 통신 기기이다. 또한 송신 기기도 송신과 수신이 모두 가능한 통신 기기를 의미한다. 송신 기기(100)와 수신 기기(200)는 IoT 기기, 이동 단말기, 스마트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송신 기기와 수신 기기의 및 그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기기(200)의 구성 예를 도시한 것이다.
통신 기기의 하나인 수신 기기(200)는 수신부(210), 코드변환부(220), 자연어 내용인식부(230), 송신부(240), 코드북부(250) 및 제어부(260)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기기는 송신 기기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부;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코드를 추출하여 자연어로 변환하는 코드변환부; 변환된 자연어를 처리하여 제어명령을 추출하는 자연어 내용인식부; 추출된 제어명령을 이용하여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검출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송신 기기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통신 기기는 코드와 자연어 간 매칭 관계에 대한 코드북을 저장하고 있는 코드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코드 변환부는 추출된 코드를 코드북부에 전달하고, 코드북부는 전달받은 코드에 매칭되는 자연어를 텍스트 형태로 코드 변환부로 회신한다. 또한 상기 통신 기기는 송신 기기로부터 코드와 자연어 간 새롭게 매칭되는 코드와 자연어를 수신하여 코드북부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코드북부는 전달받은 코드에 매칭되는 자연어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송신 기기 또는 코드북 서버로부터 코드북을 수신받아 코드북을 업데이트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우선, 수신부(210)는 외부의 송신 기기(100)로부터 제어명령(가령, 제품이름, 제품코드를 질의하는 내용)에 관한 코드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적어도 하나를 수신한다. 여기에서 메시지는 문자 메시지 전송 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 및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서비스(MMS, Multimedia Message Service)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수신되는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수신부(210)는 송신 기기(100)로부터 메시지가 아닌 다른 방법으로 제어명령을 수신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송신 기기(100)는 수신 기기(200)의 사용자가 기 설정한 송신 기기(100)일 수도 있고, 사용자가 기 설정하지 않은 임의의 전자 기기일 수도 있다. 만일 기기 보안을 위해 수신부(210)가 기 설정되지 않은 송신 기기(100)로부터 제어명령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제어부(260)는 송신 기기(100)의 메시지를 무시할 수 있다.
제어명령에 관한 코드를 포함하는 메시지(가령, WYN)가 수신부(210)에 수신되면 수신부는 이를 코드 변환부(220)에 전달하게 되고, 코드 변환부(220)는 전달받은 코드(가령, WYN)가 어떤 의미인지 이해하기 위해 코드북부(250)에 코드의 의미를 문의하고, 그 결과를 자연어로 된 텍스트로 회신받게 된다. 코드북부(250)의 코드북은 널리 공지된 바와 같은 메모리 모듈, 가령, RAM, ROM, 플래시 메모리, 하드 드라이브 또는 휴대용 매체(예를 들어, CD, DVD, USB 메모리 등)에 저장된다.
코드북부(250)는 WYN이란 코드에 대해서 What is your name?이라는 것임을 코드 변환부(220)에 회신한다. 만일 코드북부가 전달받은 코드에 매칭되는 자연어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송신 기기 또는 코드북 서버로부터 코드북을 수신받아 코드북을 업데이트 한다.
코드 변환부(220)는 회신 받은 자연어 정보를 자연어 내용인식부에 전달하고, 자연어 내용인식부(230)는 자연어 처리(Natural Language Processing, NLP)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제어 명령을 추출할 수 있다.
자연어 처리 알고리즘이란, 통신기기 또는 컴퓨터가 사람 언어의 이해, 생성 및 분석을 하기 위한 인공 지능 기술을 의미한다. 자연어 이해 작업이란, 사람의 일상 생활 언어를 형태 분석, 의미 분석, 대화 분석 등을 통해 통신기기 또는 컴퓨터가 처리할 수 있도록 변환시키는 작업을 의미한다.
자연어 내용인식부(230)는 자연어 처리 알고리즘을 통해 제어 명령이 추출되면, 추출된 제어 명령을 이용하여 제어부(260)가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추출된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메모리(미도시)에 기 저장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고, 검출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송신부(240)를 통해 송신 기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들어, 제어부는 제어명령이 제품이름을 문의하는 것이면 메모리에 저장된 제품이름을 송신 기기에 송신하고, 제품코드를 문의 하는 것이면 메모리에 저장된 제품코드를 읽어서 송신 기기(100)에 송신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260)는 수신 기기(200)내 구성요소인 수신부(210), 코드변환부(220), 자연어 내용인식부(230), 송신부(240), 코드북부(250)의 구동 여부 및, 기능 제어 및 관리를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수신부와 송신부는 하나로 구성요소, 즉 무선통신부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코드변환부, 자연어 내용인식부, 및 코드북부는 제어부와 함께 하나의 칩으로 또는 프로세서에 동작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기기(200)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기기의 제어방법은, 송신 기기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단계;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코드를 추출하여 자연어로 변환하는 코드변환단계; 변환된 자연어를 처리하여 제어명령을 추출하는 자연어 내용인식단계; 추출된 제어명령을 이용하여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단계;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검출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송신 기기로 전송하는 송신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통신 기기의 제어방법은 코드와 자연어 간 매칭 관계에 대한 코드북을 저장하는 코드북저장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코드변환단계는 추출된 코드를 코드북부에 전달하고, 코드북부는 전달받은 코드에 매칭되는 자연어를 텍스트 형태로 코드 변환부로 회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 기기의 제어방법은 송신 기기로부터 코드와 자연어 간 새롭게 매칭되는 코드와 자연어를 수신하여 코드북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드북부는 전달받은 코드에 매칭되는 자연어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송신 기기 또는 코드북 서버로부터 코드북을 수신받아 코드북을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통신 기기의 제어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통신 기기의 하나인 수신 기기의 제어방법은 제어명령 수신 단계(S100), 코드 변환 단계(S200), 자연어 내용 인식 단계(S300) 및 회신 단계(S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제어명령 수신 단계(S100)를 설명하면, 수신부(210)가 외부의 송신 기기(100)로부터 제어명령(가령, 제품이름, 제품코드를 질의하는 내용)에 관한 코드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가 진행된다. 수신부(210)는 송신 기기(100)로부터 메시지가 아닌 다른 방법으로 제어명령을 수신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송신 기기(100)는 수신 기기(200)의 사용자가 기 설정한 송신 기기(100)일 수도 있고, 사용자가 기 설정하지 않은 임의의 전자 기기일 수도 있다. 만일 기기 보안을 위해 수신부(210)가 기 설정되지 않은 송신 기기(100)로부터 제어명령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제어부(260)는 송신 기기(100)의 메시지를 무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코드 변환 단계(S200)를 설명하면, 제어명령에 관한 코드를 포함하는 메시지(가령, WYN)가 수신부(210)에 수신되면, 수신부는 이를 코드 변환부(220)에 전달하게 되고, 코드 변환부(220)는 전달받은 코드(가령, WYN)가 어떤 의미인지 이해하기 위해 코드북부(250)에 코드의 의미를 문의하고, 그 결과를 자연어로 된 텍스트로 회신 받는 단계를 진행한다. 만일 코드북부가 전달받은 코드에 매칭되는 자연어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에는 송신 기기 또는 코드북 서버로부터 코드북을 수신받아 코드북을 업데이트 한다.
코드북부(250)는 WYN이란 코드에 대해서 What is your name?이라는 것임을 코드 변환부(220)에 회신한다.
다음으로, 자연어 내용 인식 단계(S300)를 설명하면, 코드 변환부(220)는 회신 받은 자연어 정보를 자연어 내용인식부(230)에 전달하고, 자연어 내용인식부(230)는 자연어 처리(Natural Language Processing, NLP)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제어 명령을 추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회신 단계(S400)를 설명하면, 자연어 내용인식부(230)는 자연어 처리 알고리즘을 통해 제어 명령이 추출되면, 추출된 제어 명령을 이용하여 제어부(260)가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단계로 진행한다. 제어부(260)는 추출된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메모리(미도시)에 기 저장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고, 검출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송신부(240)를 통해 송신 기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코드북을 업데이트 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따른 코드북을 업데이트 하기 위한 시스템은 송신 기기(100)와 수신 기기(200)와 별도로 코드북 서버(300)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송신 기기, 수신 기기, 코드북 서버는 인터넷(400)을 통하여 서로 통신하거나, 직접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서 통신할 수 있다. 가령, 스마트홈 환경이라면, 코드북 서버는 홈게이트웨이나 홈서버에 구현될 수 있거나 별도의 서버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5에서 보듯이, 수신 기기(200)가 코드를 수신하는 경우에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송신 기기(100)에서 코드북을 사용하여 제어명령에 대한 코드를 생성하여 수신 기기(200)로 전달하는 경우 동일한 코드북을 수신 기기(200)가 가지고 있어야 한다.
만일 송신 기기(100)에서 새로운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경우, 가령 제품코드를 질의하는 제어명령의 경우에 두문자 S가 Serial을 의미한다는 것을 송신 기기(100)에 포함되어 있는 코드북부에 포함하도록 코드북부를 수정해야 한다. 이 경우에 수신 기기(200)에서의 코드북부(220)에는 송신 기기(100)의 코드북부와 다른 코드를 포함하게 된다. 따라서 수신 기기(200)의 코드북부의 코드북을 송신 기기(100)의 코드북부(250)의 코드북과 일치시키기 위해서 코드 업데이트를 해야 한다.
코드북을 업데이트 하는 방법은 송신 기기가 직접 수신 기기에 사전에 코드북을 전달하거나, 코드북 서버를 이용하여 송신 기기와 수신 기기의 코드북을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를 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오프라인으로 송신 기기 및/또는 수신기기에서 코드북이 포함된 메모리를 코드북이 갱신된 메모리로 교체할 수도 있다.
코드북을 직접 전달하여 업데이트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송신 기기(100)는 새롭게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경우에는 자신의 코드북 내용 중 변경된 코드 부분에 대한 코드 정보 또는 코드북 전체를 수신 기기(200)에 제공해야 한다. 코드북의 전달은 가령 파일 전송에 의해 직접 행해질 수 있거나, 통신, 예를 들어 이메일 또는 IM(Instant Message)를 통해 가능하다. 또한 코드북은 HTTP, FTP, DMA 등과 같은 널리 공지된 프로토콜 및 기술을 사용하여 전달될 수 있다.
코드북 서버를 이용하여 코드북을 업데이트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새로운 코드가 생성되는 경우에 사용자가 코드북 서버내의 코드북을 갱신하고, 송신 기기(100)와 수신 기기(200)는 새롭게 생성된 코드들에 대해서 주기적으로 코드북을 업데이트 하거나, 송신 기기(100)가 제어명령이 포함된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 해당 코드에 대한 정보가 수신 기기(200)의 코드북부에 포함하고 있지 않을 때 코드북 서버로 코드북 업데이트를 요청하여 해당 코드 또는 코드북 전체의 업데이트를 수행한다.
코드북의 전달은 가령 파일 전송에 의해 직접 행해질 수 있거나, 통신, 예를 들어 이메일 또는 IM(Instant Message)를 통해 가능하다. 또한 코드북은 HTTP, FTP, DMA 등과 같은 널리 공지된 프로토콜 및 기술을 사용하여 전달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기기의 제어방법은 다양한 전자적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저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소프트웨어 분야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저장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상술한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전자적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장치, 예를 들어,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송신기기
200 : 수신기기(통신기기)
210 : 수신부
220 : 코드변환부
230 : 자연어 내용인식부
240 : 송신부
250 : 코드북부
260 : 제어부

Claims (9)

  1. 통신 기기에 있어서,
    송신 기기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부;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코드를 추출하여 자연어로 변환하는 코드변환부;
    변환된 자연어를 처리하여 제어명령을 추출하는 자연어 내용인식부;
    추출된 제어명령을 이용하여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검출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송신 기기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신 기기는 코드와 자연어 간 매칭 관계에 대한 코드북을 저장하고 있는 코드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코드변환부는 추출된 코드를 코드북부에 전달하고, 코드북부는 전달받은 코드에 매칭되는 자연어를 텍스트 형태로 코드 변환부로 회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기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신 기기는 전달받은 코드에 매칭되는 자연어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송신 기기로부터 코드와 자연어 간 새롭게 매칭되는 코드와 자연어를 수신하여 코드북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기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코드북부는 전달받은 코드에 매칭되는 자연어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송신 기기 또는 코드북 서버로부터 코드북을 수신받아 코드북을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기기.
  5. 통신 기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송신 기기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단계;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코드를 추출하여 자연어로 변환하는 코드변환단계;
    변환된 자연어를 처리하여 제어명령을 추출하는 자연어 내용인식단계;
    추출된 제어명령을 이용하여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단계;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검출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송신 기기로 전송하는 송신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기기의 제어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통신 기기의 제어방법은 코드와 자연어 간 매칭 관계에 대한 코드북을 저장하는 코드북저장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코드변환단계는 추출된 코드를 코드북부에 전달하고, 코드북부는 전달받은 코드에 매칭되는 자연어를 텍스트 형태로 코드 변환부로 회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기기의 제어방법.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통신 기기의 제어방법은 전달받은 코드에 매칭되는 자연어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송신 기기로부터 코드와 자연어 간 새롭게 매칭되는 코드와 자연어를 수신하여 코드북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기기의 제어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코드북부는 전달받은 코드에 매칭되는 자연어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송신 기기 또는 코드북 서버로부터 코드북을 수신받아 코드북을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기기의 제어방법.


  9. 삭제
KR1020160018824A 2016-02-17 2016-02-17 통신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992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8824A KR101699281B1 (ko) 2016-02-17 2016-02-17 통신기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8824A KR101699281B1 (ko) 2016-02-17 2016-02-17 통신기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9281B1 true KR101699281B1 (ko) 2017-01-24

Family

ID=57993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8824A KR101699281B1 (ko) 2016-02-17 2016-02-17 통신기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928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2025A (ko) * 2003-08-25 2005-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메일을 이용한 원격지에서의 가전기기 제어 장치 및그에 따른 방법
KR20070053501A (ko) * 2005-11-21 2007-05-25 주식회사 케이티 문자메시지의 언어 처리를 이용한 원격 제어 서비스 장치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 홈네트워킹 시스템
KR100735708B1 (ko) 2007-01-10 2007-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액션에 따른 명령어를 정의하기 위한방법
KR20110048255A (ko) * 2009-11-02 2011-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Sms 메시지로 피제어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150069961A (ko) * 2013-12-16 2015-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2025A (ko) * 2003-08-25 2005-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메일을 이용한 원격지에서의 가전기기 제어 장치 및그에 따른 방법
KR20070053501A (ko) * 2005-11-21 2007-05-25 주식회사 케이티 문자메시지의 언어 처리를 이용한 원격 제어 서비스 장치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 홈네트워킹 시스템
KR100735708B1 (ko) 2007-01-10 2007-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액션에 따른 명령어를 정의하기 위한방법
KR20110048255A (ko) * 2009-11-02 2011-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Sms 메시지로 피제어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150069961A (ko) * 2013-12-16 2015-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209004B (zh) 代码转换方法及装置
Coskun et al. Professional NFC application development for android
US10771408B2 (en) Chatbot system and service method thereof
KR102146031B1 (ko) 멀티 도메인 기반의 챗봇 시스템 및 챗봇 서비스 제공 방법
EP3779969B1 (en) Electronic devices managing a plurality of intelligent agents
WO2002015604A3 (en) Mobile data communication system
JP2009518734A (ja) Ipアドレスに基づくrfidサービスのためのrfidタグおよびそれを用いたipアドレスに基づくrfidサービス方法
KR20140037519A (ko) 자연어 기반의 명령어 인식을 통해 가전기기를 원격 제어하는 제어 단말 및 그 방법
CN107729014B (zh) 一种基于Android的页面跳转方法及结构
US20080255852A1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voice command processing
KR20060097809A (ko)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정보 제공 서버와기록매체
KR20060097802A (ko) 고객 정보 관리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고객 정보 관리 서버와 정보 저장매체와 기록매체
CN104426868A (zh) 请求的处理方法和处理装置
KR101699281B1 (ko) 통신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40112149A (ko) Nfc 태그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스템
CN104899771B (zh) 一种账号数据转移方法及相关设备、系统
KR20170051916A (ko) 접속 정보 확인에 기초한 모바일 간편 결제 보조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05391845A (zh) 一种移动智能终端的远程操作方法及装置
CN105763422A (zh) 群组快速邀请新用户的方法
CN115328321B (zh) 基于身份转换的人机交互方法及相关装置
CN109426357A (zh) 信息输入方法和装置
KR20120139647A (ko) 정보 제공 방법
CN112650601B (zh) 跨宿主打开小程序的方法、装置、设备、存储介质和程序
KR20190043401A (ko) 전자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기기 제어 시스템 및 그 전자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US11010565B1 (en) Natural language driven transac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