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4273B1 - 대변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대변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4273B1
KR101094273B1 KR1020090041945A KR20090041945A KR101094273B1 KR 101094273 B1 KR101094273 B1 KR 101094273B1 KR 1020090041945 A KR1020090041945 A KR 1020090041945A KR 20090041945 A KR20090041945 A KR 20090041945A KR 101094273 B1 KR101094273 B1 KR 1010942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hip
passage
hip support
s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1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2983A (ko
Inventor
허승환
Original Assignee
허승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승환 filed Critical 허승환
Priority to KR1020090041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4273B1/ko
Publication of KR20100122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29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4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42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9/00Bed-pans, urinals or other sanitary devices for bed-ridden persons; Cleaning devices therefor, e.g. combined with toilet-urinals
    • A61G9/003Bed-p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51Genital or anal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30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 A61G2200/32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ly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단에 항문 주변 폐쇄부가 마련된 통로부 ; 상기 통로부의 후단에 연결되어 상기 통로부를 통하여 들어오는 대변을 저장하기 위한 대변 탱크가 마련되는 본체부 ; 상기 통로부의 전단부 하부에 결합되는 엉덩이 받침판 지지대 ; 상기 엉덩이 받침판 지지대의 전방에 마련되되, 전방의 두께가 얇고 후방의 두께가 두꺼운 쐐기 형태의 엉덩이 받침판 ; 상기 엉덩이 받침판의 상면에 마련되는 벨트 부재 ; 상기 벨트 부재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엉덩이 받침판에 마련되는 벨트 구동원 ;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의하여 누워서 지내야만 하는 환자의 대변 처리를 환자가 수치심을 가지지 않고서도 간단히 처리할 수 있는 대변 처리 장치를 제공하게 되어, 환자의 간병 뿐만 아니라 환자 자신의 존엄감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Description

대변 처리 장치{FECES TREATING DEVICE}
본 발명은 침대에 누워지내야만 하는 환자, 즉 자신의 힘으로 화장실에 가서 대변을 볼 수 없는 환자의 대변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세계적으로 고령화 시대에 접어들면서 노인 인구의 비율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노인 인구의 증대에 따라 신체 거동이 불편한 노인 환자가 증대됨은 물론이며, 기타 사고 등으로 인하여 침대에 누워지내야만 하는 환자들이 있다.
이와 같이 침대에 누워지내야만 하는 환자를 보살피기 위한 각종 지원 정책들이 나오고 있지만, 실제로 환자를 보살피는 보호자 내지 간병인의 입장에서 가장 거북한 것은 환자의 치료 자체보다는 환자가 자신의 힘으로 대소변을 처리할 수 없다는 문제이다.
즉 누워서 지내야만 하는 환자를 간병할 때 가장 어려운 점은 환자의 대소변을 직접 받아내고 환자의 항문 등을 청결한 상태로 유지하여야 한다는 점이다.
종래에 이와 같이 누워서 지내야만 하는 환자의 대변 처리를 위하여 개발된 기술은, 기저귀와 유사한 형태, 혹은 요강과 유사한 형태로 대변을 처리하는 기술 이 개발되었지만, 여전히 보호자 내지 간병인이 환자의 대변을 받아내고 환자의 항문 주변을 깨끗하게 닦아주어야 하기 때문에, 대변을 처리하는 보호자 내지 간병인이 대변 처리를 거북하게 생각하는 것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특히 환자의 입장에서는 의식이 있는 상태에서 자신의 치부를 반복하여 보여주기 때문에 상당한 수치심을 가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누워서 지내야만 하는 환자의 대변 처리를 환자가 수치심을 가지지 않고서도 간단히 처리할 수 있는 대변 처리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단에 항문 주변 폐쇄부가 마련된 통로부 ; 상기 통로부의 후단에 연결되어 상기 통로부를 통하여 들어오는 대변을 저장하기 위한 대변 탱크가 마련되는 본체부 ; 상기 통로부의 전단부 하부에 결합되는 엉덩이 받침판 지지대 ; 상기 엉덩이 받침판 지지대의 전방에 마련되되, 전방의 두께가 얇고 후방의 두께가 두꺼운 쐐기 형태의 엉덩이 받침판 ; 상기 엉덩이 받침판의 상면에 마련되는 벨트 부재 ; 상기 벨트 부재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엉덩이 받침판에 마련되는 벨트 구동원 ;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엉덩이 받침판 지지대의 전방에 받침판 회동 지지부가 마련되며, 상기 엉덩이 받침판은 2개로 분할되어 상기 받침판 회동 지지부의 양측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엉덩이 받침판의 후방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봉 지지대, 하단이 상기 회전봉 지지대에 고정되는 회전봉용 스프링, 하단이 상기 회전봉용 스프링의 상단에 고정되되 상기 엉덩이 받침판에 대하여 수직하게 마련되는 회전봉, 상기 회전봉 지지대를 회전구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엉덩이 받침판에 마련되는 회전봉 구동원이 부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엉덩이 받침판 지지대의 후방에 상기 통로부의 전단부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통로부 위치 조절부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누워서 지내야만 하는 환자의 대변 처리를 환자가 수치심을 가지지 않고서도 간단히 처리할 수 있는 대변 처리 장치를 제공하게 되어, 환자의 간병 뿐만 아니라 환자 자신의 존엄감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예에 따라 그 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예의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대변을 받아내는 과정을 도시한 개념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서 본 장치만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엉덩이 받침부가 대변 탱크 상부에 거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아울러 도 4는 도 1의 장치의 기본적인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실시예는 크게 엉덩이 받침부(100), 통로부(200), 본체부(300)로 이루어진다.
통로부(200)는 그 전단에 항문 주위 영역을 감싸도록 폐곡선 형태의 구조를 가지며 신축성 재질로 된 항문 주변 폐쇄부(210)가 마련되며, 그 후단이 본체부(300)의 대변 탱크(310)와 연결되어, 상기 항문 주변 폐쇄부(210)를 통하여 들어오는 대변을 본체부(300)의 대변 탱크(310)로 보내게 된다.
엉덩이 받침부(100)는 상기 통로부(200)의 전단부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통로부(200)의 전단이 항문 주위 영역과 접촉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통로부(200)의 전단부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사용자의 엉덩이 무게에 의하여 눌러짐으로써 고정되는 부위이다.
본체부(300)에는 통로부(200)를 통하여 들어오는 대변을 저장하는 대변 탱크(310)와, 기타 본 장치를 사용함에 있어서 필요한 물이 저장되는 물 탱크(320), 세제가 저장되는 세제 탱크(330), 본 장치를 가동하기 위한 각종 버튼과 화면 등을 제공하는 조작부(340) 등이 마련되며, 아울러 각종 구동원들(각종 펌프나 공기압축기, 유압구동원 등)이 마련되는 부위이다.
도 4를 참조하면서 통로부(200)의 기본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통로부(200)는 전단에는 항문 주위 영역을 감쌀 수 있도록 폐곡선 형태의 구조를 가지며 신축성 재질로 된 항문 주변 폐쇄부(210)가 마련된다.
항문 주변 폐쇄부(210)는 항문 주위의 신체 굴곡에 가급적 유사하게 디자인된다. 그러나 신체 구조는 사람마다 상이하므로 이러한 형태만으로 항문 주변을 완전히 폐쇄할 수는 없을 것이다
항문 주변 폐쇄부(210)의 후방에는 항문 주변 폐쇄부(210)의 폐곡선 형태의 구조을 따라 다수의 접촉 보장용 피스톤(220)이 나란히 마련된다.
즉 나란히 마련되는 다수의 접촉 보장용 피스톤(220)의 전단이 항문 주변 폐쇄부(210)의 후방에 고정 마련된다.
아울러 다수의 접촉 보장용 피스톤(220)의 후단은 실린더 본체(230)의 각각의 실린더실(231)에 내장된다.
실린더 본체(230)에는 각각의 접촉 보장용 피스톤(220)의 후단이 내장되는 실린더실(231)이 마련된다.
즉 각각의 접촉 보장용 피스톤(220)의 후단은 각각의 실린더실(231)에 걸리는 구동 압력에 따라 전진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린더실(231)에 걸리는 구동 압력은 서로 동일한 구동 압력이 걸리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각각의 실린더실(231)은 서로 다른 실린더실(231)과 연통되는 구동 압력 연통부(232)가 형성되어 있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실린더실(231)이 구동 압력 연통부(232)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어느 하나의 실린더실(231)에 걸리는 구동 압력은 다른 실린더실(231)에 걸리는 구동 압력과 동일하게 된다. 이는 유체의 일부에 압력을 가하면 그 압력이 유체 내의 모든 곳에 같은 크기로 전달된다는 파스칼의 법칙에 의하여 설명된다.
따라서 유압이나 공압 등을 발생하는 피스톤 구동원(피스톤 구동원은 본체부(300) 혹은 통로 선단 지지체(240) 주변에 마련될 수 있다.)에 의하여 실린더 본체(230)에 구동 압력이 걸리면 모든 실린더실(231)에 동일한 구동 압력이 걸 리게 되며, 각각의 접촉 보장용 피스톤(220)은 동일한 압력으로 전진하게 되나, 각각의 접촉 보장용 피스톤(220)은 동일한 거리만큼 전진하게 되는 것은 아니다.
즉, 항문 주변 폐쇄부(210)가 항문 주위의 피부와 밀착되지 않은 상태라면 그 부위의 접촉 보장용 피스톤(220)은 항문 주변 폐쇄부(210)가 피부와 밀착될 때까지 전진하게 되며, 이미 항문 주위의 피부와 밀착되어 있는 항문 주변 폐쇄부(210)에 마련된 접촉 보장용 피스톤(220)은 거의 전진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작동을 위하여 항문 주변 폐쇄부(210)는 그 형태의 변화가 자유로운 신축성 있는 실리콘 등의 재질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각각의 접촉 보장용 피스톤(220)은, 접촉 보장용 피스톤(220)이 마련된 항문 주변 폐쇄부(210)의 모든 부위가 동일한 압력으로 신체와 접촉할 때까지 각각 적당한 길이만큼 전진하게 된다.
아울러 항문 주변 폐쇄부(210)와 실린더 본체(230)는 통로 선단 지지체(240)와 연결되어 관 형태를 이룰 수 있도록 한다.
통로 선단 지지체(240)는 플라스틱과 같은 일종의 구조물로서 기능할 수 있는 것으로서, 통로부 위치 조절부(113)에 의하여 엉덩이 받침부(100)에 대하여 그 위치가 상하, 전후, 좌우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통로 선단 지지체(240)의 위치 변화에 따라 항문 주변 폐쇄부(210)의 위치도 함께 변경되게 된다.
통로 선단 지지체(240)의 내측 하부에는 상부가 개방된 반원통형의 신축성 재질로 된 진동 이송부(250)가 마련된다.
진동 이송부(250)는 일종의 도랑과 같은 역할을 하며, 아울러 바닥면 상부에 후방을 향하여 경사진 다수의 경사턱(251)이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통로 선단 지지체(240)와 진동 이송부(250) 사이에는 상기 진동 이송부(250)를 전후 방향으로 진동시키기 위한 진동 수단(260)이 마련된다.
진동 수단(260)은 다양한 수단이 응용될 수 있으며, 진동 수단(260)의 다양한 예는 도 33에 예시되어 있다.
따라서 항문 주변 폐쇄부(210)를 통하여 들어온 대변은 진동 이송부(250)로 들어오고, 진동 이송부(250)에서는 진동 수단(260)에 의하여 전후 방향으로 진동하면서 다수의 경사턱(251)의 전후 방향 진동에 의하여 대변을 후방으로 이송하게 된다.
진동 이송부(250)의 후단에는 진공 이송관(270)의 전단이 연결되며, 진공 이송관(270)의 후단은 본체부(300)의 대변 탱크(310)까지 연결된다.
아울러 진공 이송관(270)의 후단에는 통상적으로는 닫힌 상태를 유지하면 대변의 이동시 일방향으로 열리게 되는 진공 이송관 뚜껑(271)이 마련된다.
아울러 진공 이송관(270)은 보호관(280)에 의하여 감싸여진 상태이며, 보호관(280)과 진공 이송관(270) 사이에는 전선은 물론이며, 물, 공압 내지 유압 등의 이송을 위한 다수의 관들이 배치된다.
도 4에서 보호관(280)과 진공 이송관(270) 사이에 배치된 관은 공기 순환관(281)이며, 공기 순환관(281)의 일단은 대변 탱크(310)와 연통되며, 타단은 통로 선단 지지체(240)의 내부와 연통되며, 통로 선단 지지체(240)에 마련된 타단에는 순환관 뚜껑(281a)이 공기의 흐름에 따라 일방향으로 개폐되도록 마련된다.
본체부(300)에는 대변 탱크(310), 물 탱크(320), 세제 탱크(330) 등의 저장 탱크들과 펌프, 공기압축기 등의 구동원, 조작부(340) 등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세제 탱크(330)는 대변 탱크(310)의 상부에 배치된다.
대변 탱크(310)는 그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물 탱크(320)의 높이를 대변 탱크(310)의 높이보다 크도록 하여, 대변 탱크(310)가 물 탱크(320)의 측면을 따라 상하로 승강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이와 같이 대변 탱크(310)를 승강할 수 있기 위하여는 모터 등의 구동원과, 물 탱크(320)에 대변 탱크(310)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안내할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나 이러한 기술은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대변 탱크(310)는 진공 이송관(270)을 통한 대변의 원활한 이송을 위하여 아래와 같은 구성이 부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변 탱크(310) 내부에 상부가 개방된 보조 저장 용기(311)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보조 저장 용기(311)는 고정되어 있는 형태로 설명하지만, 보조 저장 용기(311)의 청소 등을 위하여 보조 저장 용기(311)의 바닥이 개방되거나 측벽이 개방되도록 보조 저장 용기(311)를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보조 저장 용기(311)의 상부에는 하부가 개방된 구획 용기(312)가 마련되며, 구획 용기(312)의 하단부는 보조 저장 용기(311)의 상단부보다 낮게 위치되며, 또한 구획 용기(312)의 하단부는 보조 저장 용기(311)의 내부에 위치된다.
따라서 보조 저장 용기(311)에 일정 수위 이상의 대변과 물 등이 저장되면, 대변 탱크(310)는 제1저장실(313)과 제2저장실(314)로 구획된다.
제1저장실(313)은 i) 구획 용기(312)와 ii) 보조 저장 용기(311)에 저장된 대변과 물 등에 의하여 포위되는 공간이며, 제2저장실(314)은 대변 탱크(310)에서 제1저장실(313)을 제외한 공간이다.
아울러 진공 이송관(270)은 제1저장실(313)로 유입되며, 공기 순환관(281)은 제2저장실(314)과 연통된다.
구획 용기(312)의 내부 상부로부터 하부를 향하여 가이드판(312a)이 마련되어 진공 이송관(270)으로부터 유입되는 물과 공기 등이 하부 방향으로 내려가도록 안내한다.
아울러 구획 용기(312)의 상부에는 진공펌프(315)가 마련되며, 상기 진공펌프(315)는 모터(316)의 구동에 의하여 작동되며, 아울러 상기 진공펌프(315)는 제1저장실(313)의 공기를 제2저장실(314)로 강제 이송하여, 제1저장실(313)을 진공 상태로 만들 수 있다.
아울러 구획 용기(312)의 일측에는 제1저장실(313)과 제2저장실(314)을 연통시키는 연통구(312b)가 형성되며, 연통구(312b)의 제2저장실(314)측에는 공기의 흐름에 따라 일방향으로 개폐될 수 있는 연통구 뚜껑(312c)이 마련된다.
연통구(312b)와 진공 펌프(315)가 설치된 부위는 가이드판(312a)에 의하여 진공 이송관(270)이 연결된 부위와 격리된다.
또한 제2저장실(314)의 상부에는 내부의 공기 압력이 상승하면 내부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허용하면서 공기중의 악취를 제거하는 탈취부(317)가 마련된다. 탈취부(317)는 제2저장실(314)과 외부를 연결하는 관에 탈취를 위한 필터가 마 련되는 것으로도 충분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대변을 처리하는 과정을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대변을 처리할 때의 도 4의 주요부 작동도이다.
먼저 엉덩이 받침부(100)를 사용자의 엉덩이 하부에 위치시킨다.
다음으로 통로부(200)의 항문 주변 폐쇄부(210)가 사용자의 항문 주위를 폐쇄하도록 적절히 통로 선단 지지체(240)를 엉덩이 받침부(100)에 대하여 상하 좌우 전후로 이동시킨다. 이에 의하여 항문 주변 폐쇄부(210)가 항문 주위를 폐쇄시킨다.
다음으로 실린더 본체(230)에 구동 압력을 인가하여 접촉 보장용 피스톤(220)이 전진하여 항문 주변 폐쇄부(210) 전체가 사용자의 항문 주변 전체에 균일하게 밀착된다.
이러한 과정에 의하여 대변을 처리할 준비가 완료된다.
사용자가 대변을 배출하면, 대변은 진동 이송부(250)에 의하여 후방으로 이송된다. 이때 진동 수단(260)이 진동 이송부(250)를 전후 방향으로 진동시키면 진동 이송부(250)의 경사턱(251)에 의하여 대변이 후방으로 원활히 이송된다.
아울러 진공펌프(315)가 구동하면, 제1저장실(313)의 공기가 제2저장실(314)로 이동하면서 제1저장실(313)은 진공 상태가 되며, 따라서 통로 선단 지지체(240)내부로부터 진공 이송관(270)을 경유하여 제1저장실(313)로 들어오는 공기 흐름이 형성되며, 이 공기 흐름과 함께 대변이 진공 이송관(270)을 따라 강제 이송되어 보조 저장 용기(311)로 투입된다. 이때 진공 이송관 뚜껑(271)은 공기의 흐름으로 인 하여 자연스럽게 열리게 된다.
아울러 이와 같은 진공펌프(315)의 구동에 의하여 통로 선단 지지체(240) 내부의 압력이 제2저장실(314)의 압력보다 낮게 되면, 공기 순환관(281)을 통하여 제2저장실(314)의 공기가 통로 선단 지지체(240) 내부로 공급되며, 이때 순환관 뚜껑(281a)은 공기의 흐름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열리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사용자의 대변 배출이 완료되면, 물 등을 통하여 통로 선단 지지체(240) 등을 세척하는 것과 동시에 혹은 직후에 통로부(200) 내부의 악취가 포함된 공기를 제거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6은 통로부 내부의 악취가 포함된 공기를 제거할 때의 도 4의 주요부 작동도이다.
본체부(300)에는 공기압축기(미도시)(물론 공기압축기는 통로부에 마련될 수도 있다.)가 마련되며, 공기압축기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는 보호관(280)과 진공 이송관(27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는 압축공기 공급관(미도시)을 통하여 통로 선단 지지체(24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통로 선단 지지체(240) 내부로 압축공기가 공급되면, 그 공기는 진공 이송관(270)을 통하여 대변 탱크(310)로 나가게 된다. 이때 공기 순환관(281)의 순환관 뚜껑(281a)은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통로 선단 지지체(240)로부터 진공 이송관(270)을 지나 제1저장실(313)로의 공기 흐름이 형성되며, 이에 의하여 제1저장실(313)의 공기 압력이 제2저장실(314)보다 높게 되면 연통구(312b)의 연통구 뚜껑(312c)이 자연스럽게 열리 게 되면서 제1저장실(313)의 공기가 제2저장실(314)로 배출되며, 아울러 제2저장실(314)의 공기 압력이 상승하게 되면 그 상승된 압력으로 인하여 제2저장실(314)의 공기는 탈취부(317)를 지나면서 악취가 제거된 상태로 외부로 배출된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통로부(20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14는 외부를 투명하게 하여 내부가 확인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7은 전방에서 바라본 통로부의 선단부의 사시도이며, 도 8은 통로부의 선단부를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9는 항문 주변 폐쇄부와 실린더 본체를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며, 도 10은 통로 선단 지지체의 내부를 보이기 위한 일부 절개 사시도이며, 도 11은 항문 주변 폐쇄부에 장착되는 일회용 커버의 사시도이며, 도 12는 항문 주변 폐쇄부에 장착되는 덮개의 사시도이며, 도 13은 통로 선단 지지체에 장착되는 제1소변기구의 사시도이며, 도 14는 도 13의 제1소변기구를 전방에서 바라본 확대 사시도이다.
도 7, 도 9, 도 10을 통하여 항문 주변 폐쇄부(210), 접촉 보장용 피스톤(220), 실린더 본체(230), 실린더실(231), 구동 압력 연동부(232), 통로 선단 지지체(240), 진동 이송부(250)를 확인할 수 있다.
본 장치를 여러 사람이 함께 사용할 때에는, 즉 병원 등에서 사용할 경우에는 청결을 위하여 사용하는 사람마다 항문 주변 폐쇄부(210)에 도 11과 같은 일회용 커버(211)를 항문 주변 폐쇄부(210)에 장착시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도 12와 같은 덮개(212)를 항문 주변 폐쇄부(210)에 장착시켜 냄새가 항문 주변 폐쇄부(210)로부터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통로 선단 지지체(240)의 내부에는 도 10과 같이 다기능 헤드(420)가 마련된다. 다기능 헤드(420)는 통로 선단 지지체(240) 내부에 마련되되 별도의 모터 등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다기능 헤드(420)에는 카메라(421), 조명기구(422), 압력 공기 분출구(423), 물 분사 노즐(424)이 마련된다.
카메라(421)는 대변을 배출하는 사람의 항문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하여 마련되는 것으로서 카메라(421)의 원활한 촬영을 위하여 LED 등의 조명기구(422)가 함께 마련된다.
카메라(421) 및 조명기구(422)의 작동은 본체부(300)의 조작부(340)에 의하여 제어되며, 아울러 카메라(421)에서 촬영되는 영상은 조작부(34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된다.
따라서 본 장치를 조작하는 조작자는 조작부(340)의 화면을 주시하면서 사용자의 항문의 위치에 맞게끔 본 장치의 통로부(200)의 항문 주변 폐쇄부(210)가 정확히 항문을 포위하도록 통로부 위치 조절부(113)를 제어하여 통로 선단 지지체(240)의 위치를 조절한다.
실시예에 따라서 카메라(421)가 적외선을 이용한 카메라라면 조명기구(422)는 불필요할 것이다.
압력 공기 분출구(423)는 본체부(300)에 마련된 공기 압축기(미도시)에 의하여 공급되는 압축 공기가 분출되기 위한 부위이다. 즉 압력 공기 분출구(423)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통로부(200) 내부의 공기를 환기시켜 정화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물 분사 노즐(424)은 본체부(300)에 마련된 물 탱크(320)에 저장된 물이 펌프 등에 의하여 물 분사 노즐(424)을 통하여 분사되기 위한 부위이다.
물 분사 노즐(424)에서 분사되는 물은, 통로부(200) 내부의 세척을 위하여 저압의 물이 분사되든지, 통로부(200) 내부의 세척을 위하여 세제가 혼합된 물이 저압으로 분사되든지, 혹은 배변 완료 후 사용자의 항문을 씻기 위하여 고압의 물이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체부(300)에는 고압 펌프, 저압 펌프가 마련될 수 있으며, 아울러 물 탱크(320)의 물과 세제 탱크(330)의 세제를 혼합할 수 있는 배관 구성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카메라(421), 조명 기구(422), 압력 공기 분출구(423), 물 분사 노즐(424)이 집합 구성된 다기능 헤드(420)는 조작자가 조작부(340)를 조작함으로써 그 작동 여부를 조작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다기능 헤드(420)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기능 헤드(420)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모터 등을 포함하는 구성은 별도의 설명 없이도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 이송부(250)의 후단 상부에는 수평상으로 분쇄용 회전체(430)가 마련된다.
분쇄용 회전체(430)는 그 주면에 다수의 분쇄날(431)이 마련되어 진동 이송부(250)를 따라 후방으로 이송되어 오는 대변을 잘게 부수어, 대변이 진공 이송관(270)으로 용이하게 들어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아울러 통로 선단 지지체(240)에는 소변을 받아낼 수 있는 제1소변기구(410)가 마련된다(도 7, 도 13, 도 14 참조).
제1소변기구(410)의 선단은 여성의 성기를 감쌀 수 있는 형태를 가지며 아울러 남성의 성기를 삽입할 수 있는 형태를 가진다.
따라서 제1소변기구(410)는 여성의 소변을 받아내거나 혹은 남성의 소변을 받아낼 수 있다.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1소변기구(410)의 선단에도 항문 주변 폐쇄부(210), 접촉 보장용 피스톤(220), 실린더 본체(230)와 유사한 구성을 갖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소변기구(410)에서 받아내는 소변은 통로 선단 지지체(240) 내부로 들어가 진공 이송관(270)을 통과하여 대변 탱크(310)에 저장된다.
아울러 제1소변기구(410)에도 카메라(411), 조명기구(412), 물 분사 노즐(413)이 마련된다(도 14 참조).
카메라(411), 조명기구(412), 물 분사 노즐(413)은 여성의 성기를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만 차이가 있을 뿐 다기능 헤드(420)의 카메라(421), 조명 기구(422), 물 분사 노즐(424)과 마찬가지 방식으로 동작한다.
아울러 제1소변기구(410)는 통로 선단 지지체(240)에 탑재되어 통로 선단 지 지체(240)와 함께 움직이지만, 통로 선단 지지체(240)에 대하여 상하 또는 전후로 이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소변기구(410)와 통로 선단 지지체(240) 사이에는 실린더를 이용한 전후진 기구(414), 모터의 구동을 이용한 회동 기구(415)가 마련될 수 있다(도 13 참조).
전후진 기구(414)의 구동에 의하여 제1소변기구(410)는 통로 선단 지지체(240)에 대하여 전후로 이동될 수 있으며, 아울러 회동 기구(415)의 구동에 의하여 제1소변기구(410)는 통로 선단 지지체(240)에 대하여 상하로 회동되어 그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위치 조정은 본체부(300)에서 조작자가 카메라(411)에서 촬영하는 영상을 확인하면서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위치 조정에 따른 구성은 도시된 기술 이외에도 다양한 기술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도 15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엉덩이 받침부(100)의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한다.
도 15는 엉덩이 받침부의 주요 구성의 분리 개념 사시도이며, 도 16은 엉덩이 받침판이 펼쳐진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17 및 도 18은 엉덩이 받침판이 접혀진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19는 통로부(200)를 제거한 상태의 엉덩이 받침부의 사시도이며, 도 20는 엉덩이 받침부의 내부를 보여주기 위한 내부 사시도이며, 도 21은 하부에서 바라본 엉덩이 받침부의 사시도이며, 도 22는 엉덩이 받침부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엉덩이 받침부(100)는 크게 엉덩이 받침판 지지대(110), 엉덩이 받침판(120), 벨트 부재(130), 회전봉부(140) 등으로 이루어진다.
엉덩이 받침판 지지대(110)는 통로 선단 지지체(240)의 하부와 결합되는 부위이다.
엉덩이 받침판 지지대(110)의 후방에는 통로 선단 지지체(240)를 상하로 이동시키거나, 좌우로 이동시키거나, 전후로 이동시키기 위한 통로부 위치 조절부(113)가 마련된다.
이러한 이동을 위한 구성요소들은 실린더, 모터 등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는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아울러 엉덩이 받침판 지지대(110)의 후방 양측에는 손잡이(111)가 각각 마련되며, 조작자는 상기 손잡이(111)를 잡아 쥔 상태로 통로 선단 지지체(240) 내지 본 엉덩이 받침부(100)를 소정의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아울러 엉덩이 받침판 지지대(110)의 전방에는 받침판 회동 지지부(112)가 마련된다.
받침판 회동 지지부(112)의 양측에 엉덩이 받침판(120)이 각각 힌지 형태로 결합된다.
따라서 각각의 엉덩이 받침판(120)은 받침판 회동 지지부(112)와 결합된 힌지 부위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엉덩이 받침판(120)은 받침판 회동 지지부(112)의 양측에 한 쌍이 마련된다.
엉덩이 받침판(120)은 전방의 두께가 얇고 후방의 두께가 두꺼운 쐐기 형태를 가진다.
또한 엉덩이 받침판(120)은 그 각각의 상면에 벨트 부재(130)가 마련된다.
따라서 벨트 부재(130)는 엉덩이 받침판(120)의 경사진 상면과 마찬가지로 경사진 형태로 배치된다.
따라서 벨트 부재(130)의 전방의 상면은 후방의 상면에 비하여 낮은 위치에 마련된다.
통상적인 벨트 부재와 마찬가지로 본 벨트 부재(130)는 다수의 종동 롤러(132)와 하나의 구동 롤러(133), 상기 종동 롤러(132)들과 상기 구동 롤러(133)를 연결하는 벨트(134)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각각의 엉덩이 받침판(120)에는 각각의 벨트 부재(130)를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131)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벨트 구동원이 마련된다.
따라서 모터(131)의 회전 구동에 의하여 구동 롤러(133)가 회전되면 벨트 부재(130)가 구동된다.
아울러 엉덩이 받침판(120)의 벨트 부재(130) 후방에는 회전봉부(140)가 마련된다. 즉 회전봉부(140)는 엉덩이 받침판(120)마다 마련된다.
회전봉부(140)는 엉덩이 받침판(12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봉 지지대(141)와, 하단이 상기 회전봉 지지대(141)에 대하여 고정되는 회전봉용 스프링(142)과, 하단이 상기 회전봉용 스프링(142)의 상단에 결합되되 엉덩이 받침판(120)에 대하여 수직하게 마련되는 회전봉(143)으로 이루어지며, 아울러 모터(144)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회전봉 지지대(141)를 회전구동시키는 회전봉 구동원이 엉덩이 받침판(120)에 마련된다.
도 22는 본 엉덩이 받침부(100)를 이용하여 통로부(200)의 항문 주변 폐쇄부(210)를 사용자의 항문에 밀착시키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의 (a)는 본 엉덩이 받침부(100)를 사용자의 허벅지(1) 사이 상부에 위치시킨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아울러 도 22의 (b)는 (a) 상태에서의 사용자의 허벅지(1)와 엉덩이 받침부(100)의 상태를 보이기 위하여 사용자의 머리 방향에서 사용자의 발바닥을 향하여 바라본 상태에서의 개념도이다.
한 쌍의 엉덩이 받침판(120)이 하나의 평면상에 나란히 위치되었을 때(즉 펼쳐진 상태)의 폭은 사용자의 양 엉덩이를 받칠 수 있을 정도의 폭을 가져야 하므로 허벅지 사이의 폭에 비하여 상당히 넓다.
따라서 엉덩이 받침판(120)을 어떻게 사용자의 엉덩이 하부까지 이동시킬 것인지가 문제가 된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는 도 2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엉덩이 받침판(120)이 받침판 회동 지지부(112)와 힌지 결합되어 회동 가능한 상태로 만들어, 엉덩이 받침판(120)의 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즉 한 쌍의 엉덩이 받침판(120)을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접으면 엉덩이 받침판(120)의 폭은 상당히 감소된다.
도 22의 (b) 상태에서 직하부로 엉덩이 받침부(100)를 내리면 (c), (d), (e) 상태로 변화되게 된다.
이때 엉덩이 받침부(100)가 하부로 이동할 때 사용자의 허벅지(1) 상부는 엉 덩이 받침판(120)과 거의 접촉하지 않으며 또한 회전봉(143)과 반드시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엉덩이 받침판(120)은 허벅지(1)의 상부와 접촉하는 회전봉(143)에 의하여 펴지는 상태로 변화되게 된다.
도 22의 (e)와 같은 상태로 엉덩이 받침판(120)를 위치시킨 후 벨트 부재(130)를 구동시키면서 가볍게 엉덩이 받침부(100)를 전방으로 밀면 엉덩이 받침판(120)이 사용자의 엉덩이 하부로 들어갈 수 있다.
엉덩이 받침판(120)이 전진할 때 회전봉(143) 또한 모터(144) 등에 의하여 천천히 회전하면서 사용자의 허벅지 살이 회전봉(143)과 구름 접촉되도록 하여 회전봉(143)에 의하여 사용자의 허벅지 살을 발바닥 측으로 밀어낸다. 따라서 회전봉(143)에 의하여 사용자의 허벅지 살이 지나치게 압박받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물론 회전봉(143)을 구동하는 모터(144)의 출력은 약하게 설정하여, 회전봉(143)에 지나친 과부하가 걸릴 경우 회전봉(143)이 멈추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회전봉부(140)의 회전봉(143)은 회전봉용 스프링(142)에 의하여 어느 정도 굽어질 수 있는 상태이므로 사용자의 신체 구조에 따라 적절하게 휘어지면서 회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하여 엉덩이 받침부(100)가 사용자의 엉덩이 하부의 적절한 위치에 자리를 잡으면, 이후 본 장치의 조작자는 본체부(300)의 조작부(340) 를 구동하여 엉덩이 받침판 지지대(110)에 마련된 통로부 위치 조절부(113)를 구동시켜 통로 선단 지지체(240)의 위치(전후, 좌우, 상하)를 적절히 조절한다.
이하 본체부(300)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3은 각종 탱크 등을 제거한 상태의 본체부(300)의 사시도이며, 도 24 및 도 25는 물 탱크의 사시도이며, 도 26은 물 탱크 외부에 부착되는 호스 거치대와 물 탱크 내부에 마련되는 급수 차단 밸브를 보이기 위한 도면이며, 도 27은 대변 탱크의 사시도이며, 도 28은 대변 탱크가 상부로 이동한 상태의 본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9는 대변 탱크의 보조 저장 용기와 구획 용기의 구조를 보이기 위한 도면이며, 도 30 및 도 31은 벨트 덮개 공급대의 사시도이며, 도 32는 벨트 덮개 커터의 구조를 보이기 위한 확대 사시도이다.
본체부(300)는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350)의 하부에 바퀴가 마련되어 원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300)는 지지대(350)의 상부에 각종 전기 장치들과 모터, 펌프, 공기압축기 등이 마련된다.
또한 본체부(300)에는 물 탱크(320)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가온할 수 있는 히터장치(351)가 마련된다. 즉 사용자의 항문을 씻을 때 온수가 공급될 수 있도록 물 탱크(320)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히터장치(351)에 의하여 적절히 가온한 후 공급하게 된다.
또한 본체부(300)의 각종 전기장치들은 배터리(352)에 축전된 전기를 이용하여 구동되거나 혹은 직접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기를 직류로 변환한 후 구 동될 수 있다.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기를 공급받기 위한 전선은 릴 형태의 전선 거치대(353)에 감겨있다가 필요시 전선을 외부로 인출하거나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전선 거치대(353)로 전선이 감겨들어갈 수 있다.
본체부(300)의 후방에는, 본 장치에서 가장 큰 구조물인 물 탱크(320)가 마련되며, 물 탱크(320)의 상부에 조작부(340)가 마련되도록 하였다.
도 24는 물 탱크(320)를 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25는 물 탱크(320)를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물 탱크(320)의 외측에 릴 형태의 호스 거치대(321)가 마련되며, 상기 호스 거치대(321)에 호스(322)가 감겨있다.
따라서 수도꼭지 등에 호스(322)의 선단을 연결하면 물은 물 탱크(320) 내부로 유입되며, 아울러 물 탱크(320) 내부에는 물의 부력으로 작동하는 급수 차단 밸브(323)가 마련되어 있다.
급수 차단 밸브(323)는 물 탱크(320) 내부가 적정 수위 이상이 되면 물 탱크(320)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를 가진 물 탱크(320)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한편, 물 탱크(320)의 전방에 대변 탱크(310)가 마련되며, 대변 탱크(310)는 물 탱크(320)의 일측면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며, 아울러 대변 탱크(31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대변 탱크 높이 조절부가 마련된다. 대변 탱크 높이 조절부는 모터 등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대변 탱크(310)가 대변을 받아내고 있을 때의 상태, 즉 대변 탱크(310)가 낮게 위치하고 있을 때의 상태인 반면, 도 28은 대변 탱크(310)가 높게 위치하고 있을 때의 상태이다.
도 28의 상태에서 대변 탱크(310)를 비우거나 청소하는 것이 가능하다.
대변 탱크(310)의 최하부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318)가 마련되며, 상기 배출구(318)는 배출구 커버(319)에 의하여 막혀 있는 상태이다.
아울러 배출구 커버(319)는 대변 탱크(310)의 상부에 마련되어 있는 배출구 커버 손잡이(319a)와 연결되어 있으며, 배출구 커버 손잡이(319a)를 조작함으로써 배출구 커버(319)는 배출구(318)를 개폐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출구 커버 손잡이(319a)와 배출구 커버(319)가 연결되는 구성은, 배출구 커버 손잡이(319a)를 회전시킴으로써 배출구 커버(319)가 상하로 이동되도록 구성하든지, 혹은 배출구 커버 손잡이(319a)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동작에 의하여 배출구 커버(319)가 상하로 이동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 이외에도 다양한 수단이 제시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8의 상태에서 대변 탱크(310)의 배출구(318)가 변기의 직상부에 위치되도록 한 후, 배출구 커버 손잡이(319a)를 조작하여 배출구 커버(319)가 열리도록 하면 대변 탱크(310)의 대변과 물이 배출구(318)를 지나 변기로 자연스럽게 투입될 수 있으며, 아울러 대변 탱크(310) 상부로부터 대변 탱크(310) 내부에 물이 분사되는 호스 등을 삽입하여 대변 탱크(310) 내부를 청소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소변기구(370)가 대변 탱크(310)의 일측 에 마련될 수 있다. 제2소변기구(370)는 대변 탱크(310)의 외측에 마련된 소변기구 거치대(380)에 거치되되, 제2소변기구(370)에 의하여 받아내는 소변은 제2소변기구(370)에 연결된 소변 호스(371)를 따라 대변 탱크(310)로 투입된다.
즉 제2소변기구(370)는 소변 호스(371)의 형태가 자유롭게 변형될 수 있다는 점을 이용하여 소변만을 받아낼 때, 즉 항문 주변 폐쇄부(210)를 이용하지 않을 경우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반하여 제1소변기구(410)는 소변과 대변을 한꺼번에 받아낼 때, 즉 항문 주변 폐쇄부(210)를 항문 주위에 접촉시킬 때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제2소변기구(370)의 선단에 다수의 구멍을 형성하고, 소변기구 거치대(380)로부터 물이 제2소변기구(370) 내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면, 제2소변기구(370)를 소변기구 거치대(380)에 거치하였을 때 제2소변기구(370)를 물청소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2소변기구(370)의 선단에도 항문 주변 폐쇄부(210), 접촉 보장용 피스톤(220), 실린더 본체(230)와 유사한 구성을 갖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9는 대변 탱크(310)의 보조 저장 용기(311), 구획 용기(312) 등의 구조를 보이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9의 구조는 도 4의 개념도에 의하여 이미 설명된 것이다.
아울러 대변 탱크(310) 상부에는 세제 탱크(330)가 마련된다.
또한 대변 탱크(310)의 상부에는 벨트 덮개 공급대(360)가 마련된다.
도 30 및 도 31은 벨트 덮개 공급대의 사시도이며, 도 32는 벨트 덮개 커터의 구조를 보이기 위한 도면이다.
본 장치를 여러 사람이 함께 사용하는 경우에는 위생상의 문제로 벨트 부재(130)에 일회용 비닐 등의 벨트 덮개(361)를 덮어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일회용 비닐 등의 벨트 덮개(361)가 롤 형태로 감긴 벨트 덮개 공급대(360)가 마련된다.
먼저 공급대 가이드(362)가 대변 탱크(310)의 상부에 고정 마련되며, 공급대 가이드(362)에 롤 지지체(364)가 마련된다.
롤 지지체(364)는 공급대 가이드(362)를 따라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된다. 이는 엉덩이 받침부(100)에는 2개의 엉덩이 받침판(120), 즉 2개의 벨트 부재(130)가 마련되므로, 엉덩이 받침부(100)를 대변 탱크(310)의 상부에 거치시킨 상태에서 롤 지지체(364)를 좌우로 이동시킴으로써 2개의 벨트 부재(130) 모두에 벨트 덮개(361)를 공급할 수 있도로 하기 위함이다.
롤 지지체(364) 내부에 벨트 덮개(361)의 일단이 롤 형태로 감겨 있으며, 벨트 덮개(361)의 타단은 롤 지지체(364)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상태로 된다.
아울러 롤 지지체(364)에는 판 스프링(365)이 마련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벨트 덮개(361)는 롤 지지체(364)와 판 스프링(365) 사이를 지나면서 그 자세가 유지될 수 있다. 판 스프링(365)은 벨트 덮개(361)를 하부에서 가볍게 지지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
아울러 롤 지지체(364)의 외측 일측에는 벨트 덮개 커터(363)가 마련되며, 벨트 덮개 커터(363)는 롤 지지체(364)를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구조에서 엉덩이 받침부(100)의 벨트 부재(130)의 벨트(134)를 벨트 덮개(361)에 면접촉시킨 상태에서 벨트 부재(130)를 구동시키면, 벨트 덮개(361)가 롤 지지체(364)로부터 풀려나오면서 벨트(134)에 감기게 된다.
벨트 덮개(361)가 벨트(134)를 완전히 감으면, 벨트 부재(130)의 구동을 중지시키고, 벨트 덮개 커터(363)를 벨트 덮개(361)의 폭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면 벨트 덮개(361)가 절단되게 된다.
한편, 통로부(200)의 진동 이송부(250)를 전후 방향으로 진동시키기 위한 진동 수단을 도 3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3은 진동 이송 수단의 여러가지 형태를 보이기 위한 도면이다.
진동 수단으로서는 도 33의 (a)와 같이 솔레노이드 밸브(S)와 같이 직접 왕복 구동하는 장치를 진동 이송부(250)의 저면 하부에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3의 (b)는 통로 선단 지지체(240)에 마련된 모터(M)의 회전축에 경사진 원판(M2)을 마련하고, 진동 이송부(250)의 저면에 상기 원판(M2) 사이에 위치되는 돌기(P2)들을 마련하여, 원판(M2)의 회전에 따라 돌기(P2)들이 전후 방향으로 진동하도록 구현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도 33의 (c)는 통로 선단 지지체(240)에 마련된 모터(M)의 회전축에 원판(M3)을 마련하고, 그 원판(M3)에 편심되게 돌기(I3)를 마련하며, 진동 이송부(250)의 저면에 상기 돌기(I3)를 감싸도록 아래로 늘어지게 돌기 안내부(G3) 를 마련하면, 편심되게 회전하는 돌기(I3)에 의하여 돌기 안내부(G3) 및 이에 연결된 진동 이송부(250)가 진동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도 33의 (c)는 정면에서 바라본 개념도와 측면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이하 본 실시예의 전체적인 작동을 설명한다.
본 장치를 사용자가 누워있는 침대까지 이동시킨다.
다음으로 본 장치의 전원 스위치를 켠다.
전선을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할 경우에는 전선 거치대(353)의 전선을 콘센트에 접속하면, 콘센트로부터 공급되는 교류 전기는 직류로 변환되어 본 장치의 전기장치들에 공급된다.
또한 경우에 따라 배터리(352) 충전을 위하여 전선을 콘센트에 접속시킬 수도 있다.
아울러 전선을 이용하지 않더라도 배터리(352)에 충전된 전기에 의하여 본 장치의 각종 전기장치들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의 엉덩이 밑에 엉덩이 받침부(100)를 위치시킨다.
이 과정은 도 22를 참조하여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 있다.
다음으로 통로 선단 지지체(240)의 항문 주변 폐쇄부(210)가 사용자의 항문 주변을 폐쇄하도록, 통로 선단 지지체(240)의 위치를 조절한 후, 아울러 실린더 본체(230)의 실린더실(231)을 구동하여 각각의 접촉 보장용 피스톤(220)이 전진하여 항문 주변 폐쇄부(210)가 완전히 항문 주변을 폐쇄할 수 있도록 한다.
통로 선단 지지체(240)는 엉덩이 받침부(100)에 마련되는 통로부 위치 조절부(113)에 의하여 상하, 좌우, 전후로 그 위치가 조절되며, 이러한 통로부 위치 조절부(113)의 구성은 다양한 수단이 강구될 수 있다. 중요한 점은 엉덩이 받침부(100)가 사용자의 엉덩이 하중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엉덩이 받침부(100)를 기준으로 통로 선단 지지체(24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통로 선단 지지체(240)의 위치 조절은 다기능 헤드(420)가 하부로 하강하여 다기능 헤드(420)가 통로 선단 지지체(240)의 중앙부에 위치된 후, 다기능 헤드(420)의 카메라(421) 및 조명 기구(422)에 의하여 사용자의 항문 위치를 확인하면서 이루어진다.
이 과정이 완료되면 다기능 헤드(420)는 다시 상부로 올라간다.
이와 같이 통로 선단 지지체(240)의 위치가 조절된 후 실린더 본체(230)가 구동한다.
실린더 본체(230)의 구동은 유압 내지 공압 등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며, 본체부(300)에 마련된 피스톤 구동원(미도시)에 의하여 실린더 본체(230)에 마련되는 접촉 보장용 피스톤(220)들은 동일한 구동 압력을 받으므로 항문 주변 폐쇄부(210)가 동일한 압력으로 항문 주변에 접촉할 때까지 전진하게 된다. 이에 의하여 항문 주변 폐쇄부(210)가 항문 주변에 완전히 밀착된다.
다음으로 사용자의 배변 모드가 시작된다.
배변 모드가 시작되면 다기능 헤드(420)의 물 분사 노즐(424)로부터 세제가 혼합된 물이 일정 시간 먼저 뿌려진다.
이후 물 분사 노즐(424)로부터는 저압의 물이 지속적으로 분사되어 대변이 원활히 이송될 수 있도록 하며, 대변은 물과 함께 전후로 진동되는 진동 이송부(250)를 거쳐 진공 이송관(270)을 거쳐 대변 탱크(310)로 들어간다.
한편, 진동 이송부(250) 및 진공 이송관(270)을 따라 물이 적절히 분사될 수 있는 노즐들이 다수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진공 이송관(270)의 경우 진공 이송관(270)을 따라 물 공급 라인을 형성한 후 물 공급 라인과 진공 이송관(270) 사이에 미세한 연결 구멍을 다수 형성하고, 물 공급 라인에 저압 펌프로서 저압의 물을 공급하면 물 공급 라인으로부터 진공 이송관(270)에 물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진공 이송관(270) 직전에서 대변은 분쇄용 회전체(430)에 의하여 잘게 부서지게 되어 진공 이송관(270)을 지나가기 쉽게 만들어진다.
진공 이송관(270)의 작동은 도 5를 참고하여 이미 설명하였다.
여성이 제1소변기구(410)를 사용할 경우 이와 유사한 과정들이 진행된다.
다음으로 배변이 완료된 후의 과정을 설명한다.
조작부(350)의 배변 종료 스위치를 켜면 다기능 헤드(420)가 다시 하강한 후 물 분사 노즐(424)로부터 고압의 물이 분사되어 사용자의 항문을 세척하며, 아울러 통로부(200) 내부를 물로서 청소하게 된다.
또한 항문 세척이 완료된 후 압력 공기 분출구(423)로부터 고압의 공기가 분출되어 통로부(200) 내부의 공기를 환기시킨다. 이러한 과정은 도 6에서 설명한 바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의 엉덩이 밑의 위치된 엉덩이 받침부(100)를 제거한다.
엉덩이 받침부(100)의 제거는 도 22를 참고하여 설명한 엉덩이 받침부(100)의 배치 과정과 역과정으로 진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장치를 사용한 후 대변 탱크(310)에 대변이 어느 정도 차게 되면 본 장치를 변기로 가져간 후 도 28과 같은 상태로 변화시킨 후(즉 대변 탱크를 상부로 이동시킨 후) 대변 탱크(310)를 비우고 청소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제2실시예을 설명한다.
도 34 내지 도 35는 본 발명에 의한 제2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36은 도 34 내지 도 35의 개념도이다.
도 37은 제2실시예의 통로부 선단부의 구조를 보이기 위한 일부 절개 사시도이며, 도 38은 제2실시예의 통로부 후단부의 구조를 보이기 위한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제1실시예의 진공 이송관(270) 대신 경사턱(251)이 형성된 진동 이송부(250)가 통로부(200)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진동 이송부(250)에 의하여 대변이 이동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보조 저장 용기(311), 구획 용기(312), 진공 펌프(315), 모터(316) 등이 불필요하다.
또한 진동 이송부(250)의 하부 여러 지점에 진동 수단(260)이 마련된다.
진동 수단(260)은 진동 이송부(250)의 하부 여러 지점에 도 33과 같은 구성들이 적절히 다수개 마련될 수 있다.
진동 이송부(250)가 대변 탱크(310)와 연결되는 부위에는 회전 연결체(290)가 마련되며, 회전 연결체(290)의 대변 탱크(310)측 단부에는 입구 뚜껑(291)이 일방향으로 개폐가능하게 마련된다.
회전 연결체(290)는 본 통로부(200)가 대변 탱크(310)에 대하여 자유롭게 수평 방향을 따라 회전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며, 입구 뚜껑(291)은 대변이 흘러내려갈 경우에는 대변의 흘러내려가는 힘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열리고, 별도의 외력이 없다면 닫힌 상태를 유지하여 악취가 통로부(200)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아울러 탈취부(317)는 회전 연결체(290)의 상부에 마련된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 진동 이송부(250)를 감싸는 보호관(280)은 도 35와 같이 휘어질 수 있도록, 도 37 및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 형태의 마디가 길이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관 형태의 구조를 이루며, 마디와 마디들은 조금씩 꺽일 수 있는 구조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도 37 및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관(280)의 외부 상부에는 보호관(280)을 따라 물 공급관(450)이 마련되며, 상기 물 공급관(45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물 분사 노즐(451)이 마련되며, 물 분사 노즐(451)은 보호관(280) 내부에 배치되어 진동 이송부(250)의 상부에 물을 분사할 수 있다.
물 분사 노즐(451)은 사용자가 배변하는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조금씩 물이 분사되어 대변이 원활히 이송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아울러 보호관(280)의 상부에는 보호관(280)을 따라 배치되는 물 공급관(450) 등을 보호하기 위한 2차 커버(440)가 보호관(280)의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된다.
상기와 같은 점을 제외하고, 엉덩이 받침부(100)나 본체부(300)의 구성은 제1실시예의 구성과 큰 차이가 없다.
한편 상기에서 언급한 진공 이송관 뚜껑(271), 순환관 뚜껑(281a), 입구 뚜껑(291), 연통구 뚜껑(312c) 등은 매우 가볍운 재질로 설계하여 그 상부 지점을 각각의 구멍 내지 관에 결합 내지 접착시키면, 자체 하중에 의하여 구멍 내지 관을 밀폐시키고 구멍 내지 관으로부터 외부로의 유체 흐름이 발생할 때 자연스럽게 열리도록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아울러 상기에서 본 장치는 본체부(300)에 조작부(340)를 마련하여 조작자가 조작부(340)의 화면을 확인하면서 본 장치를 조작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대변을 배출하는 사용자가 화면이 있는 리모컨 등을 직접 조작하거나, 조작부(340)가 본체부(3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하여 분리된 조작부(340)를 사용자가 조작하여 환자 자신이 직접 본 장치를 사용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내지 조정되어 실시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 내지 조정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용한다면 이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침대에 누워지내야만 하는 환자, 즉 자신의 힘으로 화장실에 가서 대변을 볼 수 없는 환자의 대변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여 환자의 간병 뿐만 아니라 환자 자신의 존엄감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예의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대변을 받아내는 과정을 도시한 개념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본 장치만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엉덩이 받침부가 대변 탱크 상부에 거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장치의 기본적인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
도 5는 대변을 처리할 때의 도 4의 주요부 작동도,
도 6은 통로부 내부의 악취가 포함된 공기를 제거할 때의 도 4의 주요부 작동도,
도 7은 전방에서 바라본 통로부의 선단부의 사시도,
도 8은 통로부의 선단부를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9는 항문 주변 폐쇄부와 실린더 본체를 도시한 단면 사시도,
도 10은 통로 선단 지지체의 내부를 보이기 위한 일부 절개 사시도,
도 11은 항문 주변 폐쇄부에 장착되는 일회용 커버의 사시도,
도 12는 항문 주변 폐쇄부에 장착되는 덮개의 사시도,
도 13은 통로 선단 지지체에 장착되는 제1소변기구의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제1소변기구를 전방에서 바라본 확대 사시도,
도 15는 엉덩이 받침부의 주요 구성의 분리 개념 사시도,
도 16은 엉덩이 받침판이 펼쳐진 상태의 사시도,
도 17 및 도 18은 엉덩이 받침판이 접혀진 상태의 사시도,
도 19는 통로부를 제거한 상태의 엉덩이 받침부의 사시도,
도 20는 엉덩이 받침부의 내부를 보여주기 위한 내부 사시도,
도 21은 하부에서 바라본 엉덩이 받침부의 사시도,
도 22는 엉덩이 받침부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3은 각종 탱크 등을 제거한 상태의 본체부의 사시도,
도 24 및 도 25는 물 탱크의 사시도,
도 26은 물 탱크 외부에 부착되는 호스 거치대와 물 탱크 내부에 마련되는 급수 차단 밸브를 보이기 위한 도면,
도 27은 대변 탱크의 사시도,
도 28은 대변 탱크가 상부로 이동한 상태의 본 장치의 사시도,
도 29는 대변 탱크의 보조 저장 용기와 구획 용기의 구조를 보이기 위한 도면,
도 30 및 도 31은 벨트 덮개 공급대의 사시도,
도 32는 벨트 덮개 커터의 구조를 보이기 위한 확대 사시도,
도 33은 진동 이송 수단의 여러 형태를 보이기 위한 도면,
도 34 내지 도 35는 본 발명에 의한 제2실시예의 사시도,
도 36은 도 34 내지 도 35의 개념도,
도 37은 제2실시예의 통로부 선단부의 구조를 보이기 위한 일부 절개 사시도,
도 38은 제2실시예의 통로부 후단부의 구조를 보이기 위한 일부 절개 사시도.

Claims (4)

  1. 전단에 항문 주변 폐쇄부가 마련된 통로부 ; 상기 통로부의 후단에 연결되어 상기 통로부를 통하여 들어오는 대변을 저장하기 위한 대변 탱크가 마련되는 본체부 ; 상기 통로부의 전단부 하부에 결합되는 엉덩이 받침판 지지대 ; 상기 엉덩이 받침판 지지대의 전방에 마련되되 쐐기 형태로 형성된 엉덩이 받침판 ; 상기 엉덩이 받침판의 상면에 마련되는 벨트 부재 ; 상기 벨트 부재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엉덩이 받침판에 마련되는 벨트 구동원 ;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엉덩이 받침판 지지대의 전방에 받침판 회동 지지부가 마련되며, 상기 엉덩이 받침판은 2개로 분할되어 상기 받침판 회동 지지부의 양측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변 처리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엉덩이 받침판의 후방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봉 지지대, 하단이 상기 회전봉 지지대에 고정되는 회전봉용 스프링, 하단이 상기 회전봉용 스프링의 상단에 고정되되 상기 엉덩이 받침판에 대하여 수직하게 마련되는 회전봉, 상기 회전봉 지지대를 회전구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엉덩이 받침판에 마련되는 회전봉 구동원이 부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변 처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엉덩이 받침판 지지대의 후방에 상기 통로부의 전단부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통로부 위치 조절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변 처리 장치.
KR1020090041945A 2009-05-14 2009-05-14 대변 처리 장치 KR1010942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1945A KR101094273B1 (ko) 2009-05-14 2009-05-14 대변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1945A KR101094273B1 (ko) 2009-05-14 2009-05-14 대변 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2983A KR20100122983A (ko) 2010-11-24
KR101094273B1 true KR101094273B1 (ko) 2011-12-19

Family

ID=43407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1945A KR101094273B1 (ko) 2009-05-14 2009-05-14 대변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42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46647B (zh) * 2019-04-04 2024-03-29 北京大学深圳医院 男女通用型老年接尿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4792A (ja) * 1997-02-21 1998-09-08 Shunji Okajima 介護用フォーク式リフト装置と衣類脱着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4792A (ja) * 1997-02-21 1998-09-08 Shunji Okajima 介護用フォーク式リフト装置と衣類脱着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2983A (ko) 2010-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89361A1 (en) Automatic wheelchair-type feces cleaner without need of undressing and dressing
US20140068862A1 (en) Bed with integral toilet
JP4065002B2 (ja) 自動排便処理装置
KR101679751B1 (ko) 배변 처리장치 장착 전동침대
KR100610584B1 (ko) 환자용 침대
KR100797578B1 (ko) 자동 배변 처리장치
KR102047781B1 (ko) 환자용 배변처리기 및 그 이용방법
CN110582219B (zh) 排泄物处理方法及其装置
KR102117875B1 (ko) 용변 자동 처리장치
KR101179217B1 (ko) 대변 처리 장치
JP2003514620A (ja) とりわけ寝たきりの人用のトイレット装置
JP4116652B2 (ja) 自動排便処理装置
JP4502973B2 (ja) 装着型排泄装置
KR101094273B1 (ko) 대변 처리 장치
KR101067833B1 (ko) 대변 처리 장치
KR101052024B1 (ko) 대소변 배출기
KR100795149B1 (ko)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
KR102075301B1 (ko) 환자용 배설물 용변기 및 용변기의 배설물 처리장치
US4276663A (en) Toilet facility
JP3181671U (ja) 洗浄機能付きポータブルトイレ一体型車椅子
KR20170021550A (ko) 질 또는 항문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핸드비데
KR200348639Y1 (ko) 환자용 이동식 배변기
KR102035104B1 (ko) 와병 환자용 기저귀 커버
JP2008035969A (ja) 介護用洗髪装置
WO1995004513A1 (fr) Procede et appareil d'elimination des excre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