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1727B1 - 이중관 연도의 체결장치 - Google Patents

이중관 연도의 체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1727B1
KR101091727B1 KR1020110035389A KR20110035389A KR101091727B1 KR 101091727 B1 KR101091727 B1 KR 101091727B1 KR 1020110035389 A KR1020110035389 A KR 1020110035389A KR 20110035389 A KR20110035389 A KR 20110035389A KR 101091727 B1 KR101091727 B1 KR 1010917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band
piece
fastening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5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상진
Original Assignee
한국스택(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스택(주) filed Critical 한국스택(주)
Priority to KR1020110035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17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1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17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3/00Fittings for chimneys or flues 
    • F23J13/04Joints;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관 연도의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배기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이중관 연도를 편리(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내부관과 외부관을 상ㆍ하로 적층하여 맞댄 상태에서 맞닿은 연결 부분을 브이밴드(V band)와 아웃밴드(out band)에 각각 체결한 후, 브이밴드와 아웃밴드에 부착된 체결장치의 회동에 의해 절개된 브이밴드와 아웃밴드의 양단을 잡아당겨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중관 연도의 체결장치{The assembly double pipe chimney}
본 발명은 배기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이중관 연도를 편리(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내부관과 외부관을 상ㆍ하로 각각 맞댄 상태에서 상ㆍ하로 맞닿은 연결 부분을 브이밴드(V band)와 아웃밴드(out band)에 각각 체결된 체결장치에 의해 원터치 방식으로 체결할 수 있는 이중관 연도의 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 소각장, 지역난방 발전소 굴뚝, 공장, 주거시설, 업무시설 등에서는 필요한 에너지를 얻기 위하여 석탄, 석유, 가스 등의 연료를 사용하여 연소시키게 되는데, 이 때 발생하는 배기가스를 굴뚝을 통해 배출하기 위해 굴뚝까지 안내하는 연결라인을 연도라 한다.
따라서 통상 연도는 소형의 열기기에서 부터 대형의 열기기에 주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열기기가 설치되는 장소와 주변여건에 따라 설치되는 연도의 높이가 다양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원하는 높이로의 연도 제작이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에 현재 제공되고 있는 연도의 대부분은 일정한 높이의 규격으로 규격화되어 제작된 것을 현장에서 상,하로 적층한 후 연결 작업을 통하여 원하는 높이로 설치토록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연도는 통상 고온의 연기로 인한 연도 표면으로 열 차단을 위한 단열층 형성을 위하여 내부관과 외부관으로 이루어지는 이중관으로 이루어져 있어 상,하층으로의 연도 연결 작업시 상,하층으로 연결된 내부관의 상,하단에 형성된 플랜지가 밀착되도록 브이밴드로 체결하여 연결 조립하고, 외부관은 외부관의 상,하측에 형성된 조립홈에 아웃밴드의 상ㆍ하단을 삽입시켜 체결토록 하는 직립 연결 조립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다.
한편, 종래의 브이밴드(15)와 아웃밴드(16)는 도 1a, 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관(14)과 외부관(13)을 각각 상하로 적층한 상태에서 체결하기 위해 양단에는 수직으로 절곡된 체결편에 볼트공을 형성하여, 체결편을 밀착한 상태에서 볼트공으로 볼트(17)를 삽입한 후 너트(18)로 조임 체결하는 방식으로 내부관(14) 및 외부관(13)을 고정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볼트와 너트를 사용하여 브이밴드와 아웃밴드를 체결할 경우 조립과정이 번거로워 조립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가 있다.
또한, 브이밴드와 아웃밴드는 링 형상에서 절단된 양단의 체결편을 고정하기 위해서 별도의 공구로 체결편을 잡아당겨 밀착한 상태를 유지하고 체결공에 볼트와 너트를 체결해야함으로 작업공정이 번거롭다.
또한, 이중관 연도를 점검할 때에는 브이밴드와 아웃밴드를 체결한 볼트와 너트가 가스에 부식 및 파손으로 인해 조임 및 풀림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중관 연도를 설치하는 작업공간이 협소하여 기존방식으로 작업하기에는 작업자의 애로 사항이 많을 뿐만 아니라 브이밴드와 아웃밴드를 볼트와 너트로 체결시 미려함이 떨어지기 때문에 체결위치를 이중관 연도에서 배면에 위치하도록 체결하기 때문에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중관 연도가 설치된 협소한 공간에서 내부관과 외부관의 연결부위를 브이밴드와 아웃밴드로 각각 체결할 때 원터치 방식에 의해 체결장치를 체결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원터치 방식에 따라 회동하여 한 번의 작동에 따라 당겨서 체결하고 풀 수 있어 별도의 공구가 필요없이 체결할 수 있으며, 부식에 의해 파손되지않도록 하여 점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본 발명은 이중관 구조인 내부관과 외부관을 상,하층으로 각각 연도 연결 작업시 내부관의 상,하단에 형성된 플랜지가 밀착되도록 브이밴드로 체결하여 연결 조립하고, 외부관의 상,하층에 형성된 조립홈에 아웃밴드의 삽입시켜 체결토록 하는 방식으로 연결되는 직립 연결 조립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중관 연도 연결 작업시 내부관은 내부관의 상,하단에 형성된 플랜지를 브이밴드로 체결하여 고정하는 체결장치와 외부관은 외부관의 상,하층에 형성된 조립홈에 아웃밴드를 삽입 체결하여 고정하는 체결장치는 체결고리를 회동하여 당겨서 고정함으로 인해 조립공정을 단축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중관 연도의 조립작업시 별도로 공구가 필요하지않기 때문에 조립공정을 단축할 수 있으며, 체결장치의 조작이 간단하여 내부점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협소한 좁은 공간에서도 이중관 연도의 조립작업 및 개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중관 연도를 조립한 후에는 종래의 볼트와 너트로 체결할 때보다는 미려함은 물론 이중관 연도의 이음 부분의 누기 현상을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도 1a은 종래의 브이밴드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1b는 종래의 아웃밴드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체결장치를 아웃밴드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체결장치를 아웃밴드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해 보인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체결장치를 브이밴드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체결장치를 브이밴드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해 보인 결합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체결장치를 도시해 보인 배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체결장치를 도시해 보인 결합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체결장치를 부착한 이중관 연도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 체결장치를 부착한 이중관 연도를 도시해 보인 정면도.
상기와 같은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 체결장치를 아웃밴드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체결장치를 아웃밴드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해 보인 결합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 체결장치를 브이밴드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체결장치를 브이밴드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해 보인 결합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내부관(14)을 상ㆍ하로 적층하여 연결한 부위를 브이밴드(15)로 감싸 체결한 상태에서 내부관의 외부에는 간격을 형성한 상태에서 외부관(13)을 상ㆍ하로 적층하고, 외부관(13) 사이는 아웃밴드(16)로 체결한다.
이때 브이밴드(15)와 아웃밴드(16)를 체결한 상태에서 고정하기 위하여 브이밴드(15)와 아웃밴드(16)의 일측 단부에는 고정고리(3)가 부착되고, 타측 단부에는 이와 대응하게 체결고리(4)가 끼움 결합된 작동 손잡이(7)의 회동에 의해 체결고리(4)가 고정고리(3)에 걸려져 당겨진 후 고정하는 작동부(2)로 구성된 체결장치(1)가 부착된다.
상기 체결장치(1)의 직동부(2)는 고정고리(3)와 마주하는 위치에 고정편(5)이 부착되고, 상기 고정편(5)의 전면에는 좌ㆍ우로 회동 가능하도록 선단 일측이 힌지핀(6)에 의해 체결된 작동 손잡이(7)가 체결된다.
또한, 작동 손잡이(7)에서 힌지핀(6)의 타측 방향에는 상ㆍ하로 양측 단부가 끼움 결합되어 작동 손잡이(7)와의 연동으로 좌ㆍ우로 회동하여 고정고리(3)를 잡아당기는 체결고리(4)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 체결장치(1)는 작동 손잡이(7)를 타측에 있는 고정고리(3) 방향으로 회동한 상태에서 체결고리(4)를 고정고리(3) 방향으로 걸고 작동 손잡이(7)를 원위치 되도록 회동시켜서 고정편(5)으로 밀어서 가압하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함으로 인해 이중관 연도(12)의 조립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고정된 체결장치(1)는 강제로 작동 손잡이(7)를 회동시키지않는 이상 항상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본 발명 체결장치(1)는 브이밴드(15)와 아웃밴드(16)의 절단된 양단을 항상 당겨진 상태로 밀착을 하기 때문에 연결부위로 가스가 새는 것을 방지하고, 부식 및 파손되는 경우가 거의 없으며 체결장치(1)의 조작이 간단하여 유지보수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체결장치(1)는 브이밴드(15)와 아웃밴드(16)에 체결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수개를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브이밴드(15)는 내부관(14)의 상ㆍ하부 양단에는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어 내부관(14)을 상ㆍ하로 적층하면 플랜지가 맞닿은 부분이 돌출됨으로 인해 체결장치(1)의 고정고리(3)와 작동부(2)도 이와 대응하게 브이자 형상으로 구부려지게 형성되어 긴밀하게 부착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 체결장치를 도시해 보인 배면 사시도 이고, 도 7은 본 발명 체결장치를 도시해 보인 결합 사시도 이다.
본 발명 체결장치(1)는 내부관(14)과 외부관(13)을 체결한 브이밴드(15)와 아웃밴드(16)를 고정하는 작동부(2)의 체결고리(4)가 당겨져 고정하는 것으로, 체결고리(4)를 포함한 작동부(2)가 임의로 회동하여 풀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작동부(2)에는 잠금수단(8)이 마련된다.
상기 잠금수단(8)은 작동 손잡이(7) 내부로 잠금편(9)이 삽입되고, 일부는 상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내부에 삽입된 잠금편(9)의 끝단에는 스프링(10)이 삽입되어 상ㆍ하로 동작할 수 있도록 텐션력을 제공한다.
또한, 작동부(2) 내부에 삽입된 잠금편(9)의 일측은 내측으로 잠금홈(11)을 형성하고, 브이밴드(15) 또는 아웃밴드(16)에 고정되는 고정편(5)은 이와 대응하게 잠금돌기(19)를 형성하여 잠금편(9)의 상ㆍ하 동작에 의해 간섭을 하여 잠금 및 해정하는 구조이다.
도 8은 본 발명 체결장치를 부착한 이중관 연도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이고, 도 9는 본 발명 체결장치를 부착한 이중관 연도를 도시해 보인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발전소, 소각장, 지역난방 발전소 굴뚝, 공장, 주거시설, 업무시설 등에 이중관 연도를 조립 설치하기 위해서는 내부관(14)과 외부관(13)을 상,하층으로 각각 연도 연결 작업시 상,하층으로 조립되는 내부관(14)의 상,하단에는 플랜지가 형성되어 맞결합되는 부분을 브이밴드(15)로 체결하면 브이밴드(15)의 일단에 부착된 작동 손잡이(7)를 브이밴드(15)의 타단에 대응하게 부착된 고정고리(3) 방향으로 회동한 후, 작동 손잡이(7)의 체결고리(4)를 고정고리(3)에 걸고나서 작동 손잡이(7)를 원 위치되도록 회동하여 브이밴드(15)에 밀착하면 고정고리(3)도 당겨져 절개된 브이밴드(15) 부분이 밀착되어 고정된다.
또한, 외부관(13)을 상ㆍ하층으로 적층하여 조립할 때 외부관(13)의 상,하층에 형성된 조립홈에 아웃밴드(16)를 삽입시켜 외부관(13)을 체결하는데, 이때 아웃밴드(16)의 일단에 부착된 작동 손잡이(7)를 아웃밴드(16)의 타 단에 대응하게 부착된 고정고리(3) 방향으로 회동한 후, 작동 손잡이(7)의 체결고리(4)를 고정고리(3)에 걸고나서 작동 손잡이(7)를 원 위치되도록 회동하여 아웃밴드(16)에 밀착하면 고정고리(3)도 당겨져 절개된 아웃밴드(16) 부분이 밀착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체결고리(4)가 결합된 작동 손잡이(7)를 좌우로 회동시켜 고정함으로 인해 기존의 볼트(17)와 너트(18)에 의해 조임 체결하는 방식과 달리 원터치 방식으로 조임 체결하는 구조이다.
1: 체결장치 2: 작동부
3: 고정고리 4: 체결고리
5: 고정편 6: 힌지핀
7: 작동손잡이 8: 잠금수단
9: 잠금편 10: 스프링
11: 잠금홈 12: 이중관 연도
13: 외부관 14: 내부관
15: 브이밴드 16: 아웃밴드
17: 볼트 18: 너트
19: 잠금돌기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이중관 연도(12)에서 상,하층의 연도 연결 작업시 상,하층 연도의 내부관(14)은 내부관(14)의 상,하단에 형성된 플랜지가 맞결합되도록 브이밴드(15)로 체결하여 연결조립하고, 외부관(13)은 외부관(13)의 상,하단에 형성된 조립홈에 아웃밴드(16)를 삽입시켜 고정하기 위해서는 브이밴드(15)와 아웃밴드(16)의 일측 단부에는 각각 고정고리(3)가 부착되고, 타측 단부에는 이와 대응하게 체결고리(4)가 끼움 결합된 작동 손잡이(7)의 회동에 의해 체결고리(4)가 회동하여 고정고리(3)에 걸려져 당겨진 후 고정하는 작동부(2)는 고정고리(3)와 마주하는 위치에 부착된 고정편(5)과, 상기 고정편(5)의 전면에는 좌ㆍ우로 회동 가능하도록 선단 일측이 힌지핀(6)에 의해 체결된 작동 손잡이(7)와, 상기 작동 손잡이(7)에서 힌지핀(6)의 타측 방향에는 상ㆍ하로 양측 단부가 끼움 결합되어 작동 손잡이와(7)의 연동으로 좌ㆍ우로 회동하여 고정고리(3)를 잡아당기는 체결고리(4)로 구성된 이중관 연도의 체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2)에는 작동 손잡이(7) 내부로 잠금홈(11)이 형성된 잠금편(9)이 삽입되고, 일부는 상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내부에 삽입된 잠금편(9)의 끝단에는 스프링(10)이 삽입되어 외부로 노출된 잠금편의 일부를 가압 및 해지하면 상ㆍ하로 잠금편(9)이 동작하여 고정편(5)에 형성된 잠금돌기(19)가 잠금홈(11)으로 삽입 및 인출되어 잠금 및 해정되는 잠금수단(8)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관 연도의 체결장치


  5. 삭제
KR1020110035389A 2011-04-15 2011-04-15 이중관 연도의 체결장치 KR1010917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5389A KR101091727B1 (ko) 2011-04-15 2011-04-15 이중관 연도의 체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5389A KR101091727B1 (ko) 2011-04-15 2011-04-15 이중관 연도의 체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1727B1 true KR101091727B1 (ko) 2011-12-08

Family

ID=45505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5389A KR101091727B1 (ko) 2011-04-15 2011-04-15 이중관 연도의 체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17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9798A (ko) * 2018-03-19 2019-09-27 (주)진성파마텍 정제용 탈분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6549Y1 (ko) * 2002-08-19 2002-11-29 일우산업 주식회사 합성수지관의 연결구조
KR200328355Y1 (ko) * 2003-06-16 2003-09-29 임종학 고정고리
JP2004077046A (ja) * 2002-08-20 2004-03-11 Takagi Kogyosho:Kk 煙突の接続構造
KR200385464Y1 (ko) 2005-01-18 2005-05-27 윤석은 파형 강관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6549Y1 (ko) * 2002-08-19 2002-11-29 일우산업 주식회사 합성수지관의 연결구조
JP2004077046A (ja) * 2002-08-20 2004-03-11 Takagi Kogyosho:Kk 煙突の接続構造
KR200328355Y1 (ko) * 2003-06-16 2003-09-29 임종학 고정고리
KR200385464Y1 (ko) 2005-01-18 2005-05-27 윤석은 파형 강관 연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9798A (ko) * 2018-03-19 2019-09-27 (주)진성파마텍 정제용 탈분기
KR102097036B1 (ko) 2018-03-19 2020-04-03 (주)진성파마텍 정제용 탈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21195A1 (en) Coupling for direct venting system
US6601579B2 (en) Indoor-outdoor fireplace
JP2011021601A (ja) タービンエンジン用のシール及びタービンエンジンを組立てる方法
KR101091727B1 (ko) 이중관 연도의 체결장치
KR100942183B1 (ko) 연도용 덕트 조립체
US6588802B2 (en) Two-part, clamp-connected chimney flue tee
CN102155789B (zh) 炉热交换器的收敛-扩张燃烧区
US8505981B2 (en) Gasket-less vent pipe coupling
CN219739870U (zh) 一种就地接线盒的防护结构
KR100942657B1 (ko) 폐열회수보일러의 기구적 슬리브 타입 신축이음장치
KR20100004148A (ko) 자체구조식 조립형 연도
JP2012207815A (ja) ダクト接続継手
JP6147047B2 (ja) 集熱パネルおよび太陽熱集熱器
CN203857466U (zh) 风门机构及具有该风门机构的锅炉
TWI808644B (zh) 太陽能發電板組合裝置及其金屬板件
CN215372531U (zh) 一种wns三回程式锅炉新型前烟箱结构
KR100564878B1 (ko) 무코킹 건축용 외장 패널 및 그 시공방법
KR200442970Y1 (ko) 분리 가능한 보조 가열수단을 가지는 태양열 보일러
KR200291675Y1 (ko) 조립식 난방 패널
CN217952288U (zh) 一种环保型氢氧助燃燃烧设备
CN220152105U (zh) 一种板式平焊法兰
RU2235011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или ремонта теплообменных секций аппаратов воздушного охлаждения
US20060121841A1 (en) Snap-tight chimney liner tee
CN211953247U (zh) 管道式电加热器
CN212842260U (zh) 燃气采暖壁挂炉给排气管用的法兰盘式连接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