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1404B1 - 복수의 충돌에너지 흡수단계를 갖는 차량의 충돌에너지 흡수장치 및 차량의 충돌에너지 흡수장치용 확관 유도부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복수의 충돌에너지 흡수단계를 갖는 차량의 충돌에너지 흡수장치 및 차량의 충돌에너지 흡수장치용 확관 유도부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1404B1
KR101091404B1 KR1020090048052A KR20090048052A KR101091404B1 KR 101091404 B1 KR101091404 B1 KR 101091404B1 KR 1020090048052 A KR1020090048052 A KR 1020090048052A KR 20090048052 A KR20090048052 A KR 20090048052A KR 101091404 B1 KR101091404 B1 KR 1010914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formation
expansion
collision
plastic deformation
collision energ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8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9475A (ko
Inventor
임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90048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1404B1/ko
Publication of KR20100129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94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1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14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2/00Shaping without cutting, by stamping, spinning, or deep-drawing
    • B21D22/02Stamping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3/00Corrugat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Bend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into wave form
    • B21D13/02Corrugat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Bend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into wave form by pre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3/00Corrugat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Bend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into wave form
    • B21D13/10Corrugat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Bend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into wave form into a peculiar profiling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1/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alter the diameter of tube ends
    • B21D41/02Enlar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88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other parts for vehicles, e.g. cowlings, mudgu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돌시 충격력으로부터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차량에 장착되는 차량의 충돌에너지 흡수장치 및 이를 구성하게 되는 확관 유도부를 제조하기 위한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충돌에너지 흡수장치용 확관 유도부 성형장치는 확관 유도부의 경사면을 성형하기 위하여 하부금형 본체의 상부면 중앙부 영역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 수축 성형부가 구비되는 하부금형과; 상기 제1 수축 성형부가 형성된 상기 하부금형 본체의 면과 마주하는 상부금형 본체의 하부면 중앙부 영역에 함몰되어 상기 제1 수축 성형부와 맞물리게 형성되는 제2 수축 성형부가 구비되는 상부 금형;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하부금형 및 상부금형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수축 성형부는 서로 맞물리는 원뿔대 또는 다각뿔대 구조로 이루어지며, 요철 형태의 주름이 형성되어 수축 성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확관 유도부의 제조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이를 통해 단위 길이당 충돌 에너지의 흡수성능을 증가시킬 수 있는 충돌에너지 흡수장치를 보다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차량, 충돌에너지, 소성변형, 확관, 압괴, 에너지 흡수

Description

복수의 충돌에너지 흡수단계를 갖는 차량의 충돌에너지 흡수장치 및 차량의 충돌에너지 흡수장치용 확관 유도부 성형장치{CRASH ENERGY ABSORBER ABSORBING CRASH ENERGY BY STAGES AND MOLDING APPARATUS FOR FORMING A PIPE EXPANSION LEADING PORTION OF THE SAME}
본 발명은 충돌시 충격력으로부터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차량에 장착되는 복수의 충돌에너지 흡수단계를 갖는 차량의 충돌에너지 흡수장치 및 차량의 충돌에너지 흡수장치를 구성하는 확관 유도부를 제조하기 위한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충돌시 충격력을 흡수하여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한 충돌에너지 흡수장치가 구비되고 있다.
자동차나 기차 등과 같은 차량은 고속으로 이동하다가 다른 운송수단 또는 고정된 물체에 부딪치는 충돌사고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 경우, 충돌시 발생하는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흡수하는 것이 승객의 안전을 확보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종래에 알려진 충돌에너지를 흡수하는 방법은 충돌시 충돌구조부재를 변형시 키면서 발생하는 소성에너지를 이용하는 방식이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충돌에너지 흡수장치(10)는 도 1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지지부(10a)가 고정체(1)에 장착되고, 지지부(10a)와 연장선상에 소성 변형부(10b)가 구비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도 1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충돌체(20)로부터 전달되는 에너지는 상기 소성 변형부(10b)가 압괴되어 발생하는 소성에너지로 전환되도록 하여 충돌에너지는 흡수하도록 구성되고 있다.
이와 같이, 충돌에너지를 흡수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압괴방식의 경우에는 구조부재의 모든 영역이 충돌에너지를 흡수하기 때문에 경량화 측면에서 유리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소재가 굽힘변형을 받기 때문에 충분한 소성변형을 부과하지 못하게 되어 부재의 단위질량당 에너지 흡수능력이 낮은 단점이 낮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충돌에너지 흡수능력을 높이기 위하여 구조재 사이에 폼(foam) 부재나 격막 등과 같은 구조를 부가하여 충돌구조부재를 육각형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설계하는 방법들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차량의 종류 또는 구조에 따라 충돌에너지를 흡수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공간의 길이가 짧은 경우, 단위길이당 더욱 높은 충돌에너지 흡수능력이 요구된다.
예를 들어, 철도차량과 같은 경우, 충돌시 충돌구조부재의 변형공간이 적기 때문에 튜브확관형 충돌에너지 흡수장치를 사용하여 소재의 에너지 흡수 성능을 최대한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튜브를 확관시키기 위하여 구비되는 부분이 강체로서 변형을 하지 않기 때문에 중량이 무겁고, 확관에 의한 소성변형만으로는 요구되는 모든 충돌에너지를 흡수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어려운 실정이다.
다른 일 예로, 달리 최근 개발되고 있는 전기자동차나 연료전지차 등은 무게가 많이 증가하며, 충돌에너지 흡수공간이 짧다. 따라서, 단위길이당 높은 충돌에너지 흡수능력을 요구되고 있다.
이 경우, 기존의 압괴방법을 이용하는 충돌에너지 흡수방식은 굽힘변형에 의한 소성변형량이 적기 때문에 고연신 소재의 높은 에너지 흡수능을 최대한 활용하기에 적합하지 않으며, 상대적으로 큰 붕괴공간을 필요로 한다.
일반적인 충돌의 경우 판재의 굽힘변형에 의하여 소성변형을 하기 때문에 평균 변형률이 20% 전후이다. 판재 표면은 변형량이 크지만 중심면은 변형량이 거의 발생하지 않고, 판재가 접히는 부분에서만 집중적으로 소성변형이 발생한다. 따라서 충돌부재 전체적인 관점에서 보면 소성변형량이 고연신 소재의 특성에 충분하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단위길이당 높은 충돌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는 충돌에너지 흡수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차량의 충돌에너지를 흡수하기 위한 장치의 제조하기 위한 구성부품의 가공성의 개선이 요구되고 있고, 또한, 제조에 따른 생산성의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차량의 충돌에너지 흡수장치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고강도, 고연신 소재의 특성을 이용하여 단위 길이당 충돌 에너지의 흡수성능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충돌에너지를 흡수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공간의 길이가 짧은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충돌에너지의 흡수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차량의 충돌시 발생하는 충돌에너지가 단계적으로 흡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단계적인 충격의 흡수를 위한 부품의 성형 또는 가공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단계적인 충격의 흡수를 위한 부품의 성형 또는 가공에 따른 생산성이 개선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높은 충돌에너지를 흡수함과 동시에 차량경량화를 이룰 수 있도록 충돌부재의 무게를 최소화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저속에 의한 충돌과 고속에 의한 충돌 각각에 적합한 충돌에너지 흡수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충돌 가속도가 최대한 감소하도록 하여 탑승자의 부상정도를 최소화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충돌 붕괴공간을 축소시켜 차량의 설계에 대한 제약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충돌에너지 흡수장치를 구성하는 부품들 간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충돌에너지 흡수장치를 구성하는 부품들 간의 결합력에 대한 선택이 설계 사양에 따라 유연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저속 충돌의 경우 일부 부품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여 교체부품이 최소화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확관에 의한 변형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 형태와 관련된 복수의 충돌에너지 흡수단계를 갖는 차량의 충돌에너지 흡수장치 및 차량의 충돌에너지 흡수장치용 확관 유도부 성형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차량의 충돌시 발생하는 충돌에너지가 단계적으로 흡수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차량의 충돌에너지 흡수장치를 구성하게 되는 확관 유도부의 제조가 단순한 프레스 성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차량의 충돌에너지 흡수장치용 확관 유도부 성형장치는 확관 유도부의 경사면을 성형하기 위하여 하부금형 본체의 상부면 중앙부 영역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 수축 성형부가 구비되는 하부금형과; 제1 수축 성형부가 형성된 하부금형 본체의 면과 마주하는 상부금형 본체의 하부면 중앙부 영역에 함몰되어 제1 수축 성형부와 맞물리게 형성되는 제2 수축 성형부가 구비되는 상부 금형;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하부금형 및 상부금형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수축 성형부는 서로 맞물리는 원뿔대 또는 다각뿔대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하부금형 및 상부금형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수축 성형부는 서로 맞물리는 요철 형태의 주름이 형성되어 수축 성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삭제
그리고, 하부금형은 제1 수축 성형부의 하단 둘레를 따라 피성형부재의 일 단부가 끼워지는 고정홈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하부금형 본체와 제1 수축 성형부 사이에는 피성형부재가 외부에 끼워지는 내측 지지부가 구비되고, 제1 수축 성형부가 상기 지지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금형 본체와 제2 수축 성형부 사이에는 내측 지지부에 끼워진 피성형부재의 외부에 끼워지는 외측 지지부가 구비되고, 제2 수축 성형부가 외측 지지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복수의 충돌에너지 흡수단계를 갖는 차량의 충돌에너지 흡수장치는 튜브 형태로 이루어지며, 충돌시 충돌에너지의 흡수를 위해 확관에 의한 1차 소성변형이 이루어지는 제1 변형부와; 튜브 형태로 이루어지고, 제1 변형부의 단부와 연장선상에 배치되며, 충돌시 충돌에너지를 순차적으로 흡수하기 위하여 제1 변형부의 1차 변형 후 2차 소성변형이 이루어지는 제2 변형부와; 둘레를 따라 하나 이상의 주름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변형부로부터 제2 변형부 방향으로 단면 폭이 점층적으로 좁아지는 원뿔대 또는 다각뿔대 구조로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변형부와 인접한 경사부의 일 단부로부터 상기 제2 변형부 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확관 지지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 변형부와 제2 변형부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제1 변형부의 1차 소성변형을 유발하는 확관 유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제1 변형부는 제2 변형부와 길이가 동일하게 이루어져 1차 소성변형 후, 2차 소성변형시 제2 변형부와 함께 압괴에 의한 소성변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변형부는 충돌시 확관 유도부에 의해 확관되어 소성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확관 유도부와 접하는 부분에 예비 확관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변형부는 예비 확관부의 단부에 확관 유도부와의 결합 또는 결합력을 보강하기 위한 연장부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변형부의 예비 확관부와 확관 유도부의 결합은 나사결합, 용접결합 또는 접착결합 중 하나 이상의 결합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제2 변형부의 일 단부에는 결합매개부재가 더 구비되고, 결합매개부재에 의해 확관 유도부와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삭제
다른 한편, 튜브 형태로 이루어지며, 충돌시 충돌에너지의 흡수를 위해 확관에 의한 1차 소성변형이 이루어지는 제1 변형부와; 튜브 형태로 이루어지고, 제1 변형부의 단부와 연장선상에 배치되며, 충돌시 충돌에너지를 순차적으로 흡수하기 위하여 제1 변형부의 1차 변형 후 2차 소성변형이 이루어지는 제2 변형부와; 둘레를 따라 하나 이상의 주름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변형부로부터 제2 변형부 방향으로 단면 폭이 점층적으로 좁아지는 원뿔대 또는 다각뿔대 구조로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변형부와 인접한 경사부의 일 단부로부터 상기 제2 변형부 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확관 지지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 변형부와 제2 변형부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제1 변형부의 1차 소성변형을 유발하는 확관 유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제1 변형부는 제2 변형부 보다 길이가 짧게 이루어져 1차 소성변형 후, 제2 변형부의 일부 영역이 압괴에 의한 2차 소성변형하고, 다시 제1 및 제2 변형부가 함께 압괴에 의한 3차 소성변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 다른 한편, 튜브 형태로 이루어지며, 충돌시 충돌에너지의 흡수를 위해 확관에 의한 1차 소성변형이 이루어지는 제1 변형부와; 튜브 형태로 이루어지고, 제1 변형부의 단부와 연장선상에 배치되며, 충돌시 충돌에너지를 순차적으로 흡수하기 위하여 제1 변형부의 1차 변형 후 2차 소성변형이 이루어지는 제2 변형부와; 둘레를 따라 하나 이상의 주름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변형부로부터 제2 변형부 방향으로 단면 폭이 점층적으로 좁아지는 원뿔대 또는 다각뿔대 구조로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변형부와 인접한 경사부의 일 단부로부터 상기 제2 변형부 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확관 지지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 변형부와 제2 변형부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제1 변형부의 1차 소성변형을 유발하는 확관 유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제1 변형부는 제2 변형부 보다 길이가 길게 이루어져 1차 소성변형 후, 제1 변형부의 일부 영역이 압괴에 의한 2차 소성변형하고, 다시 제1 및 제2 변형부가 함께 압괴에 의한 3차 소성변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고강도, 고연신 소재의 특성을 이용하여 단위 길이당 충돌 에너지의 흡수성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충돌에너지를 흡수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공간의 길이가 짧은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충돌에너지의 흡수가 가능하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단계적인 충격의 흡수를 위한 부품의 성형 또는 가공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단계적인 충격의 흡수를 위한 부품의 성형 또는 가공에 따른 생산성이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충돌시 발생하는 충돌에너지가 단계적으로 흡수되면서, 충돌 가속도가 최대한 감소하도록 하여 탑승자의 부상정도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높은 충돌에너지를 흡수함과 동시에 충돌부재의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되어 차량경량화가 가능하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저속에 의한 충돌과 고속에 의한 충돌 각각에 적합한 충돌에너지 흡수가 가능하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충돌 붕괴공간을 축소시켜 차량의 설계에 대한 제약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충돌에너지 흡수장치를 구성하는 부품들 간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이를 통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충돌에너지 흡수장치를 구성하는 부품들 간의 결합력에 대한 선택이 설계 사양에 따라 유연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저속 충돌의 경우 손상된 일부 부품만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여 교체되어야 하는 부품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확관에 의한 변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충돌시 발생되는 에너지의 흡수가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단위길이당 흡수에너지가 높기 때문에 차세대 자동차 등과 같이 충돌붕괴거리가 짧은 차량에 적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확관튜브 뿐만 아니라 고정튜브의 충돌에너지 흡수능의 활용을 위하여 하이드로포밍 프레임 타입의 차체에 적용 가능성을 열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복수의 충돌에너지 흡수단계를 갖는 차량의 충돌에너지 흡수장치 및 차량의 충돌에너지 흡수장치용 확관 유도부 성형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차량의 충돌시 발생하는 충돌에너지가 단계적으로 흡수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차량의 충돌에너지 흡수장치를 구성하게 되는 확관 유도부의 제조가 단순한 프레스 성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충돌에너지 흡수장치(100)는 단계적으로 충돌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도록 제1 변형부(120)와 제2 변형부(110)가 연장선 상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변형부(120)는 충돌시 상기 제2 변형부(110) 보다 먼저 1차 소성변형이 발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변형부(120)의 소성변형은 확 관 형태의 소성변형으로 발생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1 변형부(120)는 튜브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튜브 형태는 양 단부가 개구거나 또는 일 단부가 개구되는 상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단면 구조는 형태에 제약 없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변형부(120)의 소성변형에 의해 충돌시 발생하는 충돌에너지가 흡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변형부(110)는 차량에 구비되는 고정체(1)에 일 단부가 고정되도록 결합되고, 다른 일 단부에는 상기 제1 변형부(120)가 연장선 상에 배치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변형부(110)는 상기 제1 변형부(120)가 확관 형태의 소성변형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변형부(120)의 소성변형시 변형되지 않거나, 또는 변형이 최소화 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변형부(110)는 상기 제1 변형부(120)가 소성변형된 후, 2차 소성변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변형부(120)의 소성변형(확관)시 원상태를 최대한 유지하게 되고, 상기 제1 변형부(120)가 소성변형된 후에 소성변형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변형부(120)가 확관 형태의 소성변형이 이루어진 후, 상기 제1 변형부(120)와 함께 압괴 형태의 소성변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변형부(120)가 확관 형태의 소성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제2 변형부(110)와 제1 변형부(120)의 사이에는 확관 유도부(130)가 구비될 수 있 다. 예를 들어, 상기 확관 유도부(130)는 상기 제2 변형부(110)와 상기 제1 변형부(120)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2 변형부(110)의 단부에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확관 유도부(130)는 도 2a에 도시된 것과 같이 결합매개부재(111)에 의해 상기 제2 변형부(110)의 단부에 결합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2 변형부(110)의 단부에 링 구조의 결합매개부재(111)를 구비하고, 결합매개부재(111)에 상기 확관 유도부(130)가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확관 유도부(130), 결합매개부재(111) 및 제2 변형부(110)는 서로 간에 나사결합, 용접결합 또는 접착결합 등과 같은 방식으로 결합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달리,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확관 유도부(130)는 제2 변형부(110)의 단부에 직접 결합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확관 유도부(130)는 상기 제2 변형부(110)의 단부에 나사결합, 용접결합 또는 접착결합 등과 같은 방식으로 결합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1 변형부(120)는 일 단부가 상기 확관 유도부(130)에 임시고정되는 상태로 결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충돌시 제1 변형부의 소성변형이 이루어지기 전에 결합 상태의 파손이 먼저 발생할 수 있도록, 상기 확관 유도부(130)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확관 유도부(130)와 상기 제1 변형부(120)의 결합은 상기 제2 변형부(110)와 확관 유도부(130)의 결합과 같이 나사결합, 용접결합 또는 접착결합 중 어느 하나의 결합구조 또는 이들의 결합구조 중 둘 이상을 조합하여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예시된 것과 같은 결합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각 부품 간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저속충돌로 인한 파손의 경우 일부 부품 만의 교환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확관 유도부(130)는 상기 제1 변형부(120)가 소성변형되는 경우 변형되지 않거나 또는 변형이 최소화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확관 유도부(130)는 제1 변형부(120) 보다 더 큰 허용응력강도, 더 큰 규격 등과 같은 조건이 반드시 요구되는 것을 아니다. 즉, 확관 유도부(130)가 제1 변형부(120) 보다 허용응력강도 또는 두께 등의 규격이 작은 경우에도 제1 변형부(120)의 소성변형시 확관 유도부(130)가 변형되지 않거나 또는 변형이 최소화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확관 유도부(130)는 충돌시 상기 제1 변형부(120)의 확관(소성변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제1 변형부(120)가 충돌에 의해 이동하는 방향으로 그 자체에 경사부(130a)가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경사부(130a)는 충돌시 제1 변형부(120)가 이동하게 되는 방향으로 그 단면 폭이 확대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확관 유도부(130)는 충돌에 의해 상기 제1 변형부(120)가 이동하면서 순차적인 확관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의 경사부(130a)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경사부(130a)의 각도와 비율에 따라 제1 변형부(120)의 확관률과 확관된 후 제1 변형부(120)의 압괴 형태의 소성변형률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확관 유도부(130)에는 충돌시 제1 변형부(120)의 확관 변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확관 지지부(130b)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것 과 같이 상기 확관 유도부(130)는 경사부(130a)가 구비되고, 상기 경사부(130a)의 일 단부에서 충돌시 상기 제1 변형부(120)가 확관 변형되어 이동하는 진행방향으로 상기 확관 지지부(130b)가 연장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2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1 변형부(120)는 상기 확관 유도부(130)와 접하게 되는 단부에 예비 확관부(121)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예비 확관부(121)는 상기 확관 유도부(130)의 경사부(130a)와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1 변형부(120)의 예비 확관부(121)에는 상기 확관 유도부(130)의 확관 지지부(130b)와 결합하게 되는 연장부(121a)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연장부(121a)는 확관 지지부(130b)의 외부를 감싸는 구조로 끼워지도록 구성되어 상기 연장부(121a)와 확관 지지부(130b)가 접하는 영역이 나사결합, 용접결합 또는 접착결합 등에 의해 확관 유도부(130)와 제1 변형부(120)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예비 확관부(121)는 충돌시 제1 변형부(120)가 상기 확관 유도부(130)와 접한 단부 영역부터 순차적으로 확관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작용할 수 있다.
상기 예시된 확관 유도부(130)에 의해, 상기 제1 변형부(120)는 충돌에 의해 확관 변형되어 제2 변형부(110)의 외부에 배치되는 상태, 즉, 상기 제2 변형부(110)가 제1 변형부(120)의 내부에 삽입되는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1 변형부(120)의 소성변형에 의해 충돌에너지가 완전히 흡수되지 않은 경우, 즉, 여분의 충돌에너지가 남게 되는 경우에는 제2 변형 부(110) 및 제1 변형부(120)가 함께 소성변형될 수 있다. 이 경우, 소성변형은 압괴 방식의 소성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제1 변형부(120)는 확관에 의한 소성변형 뿐만 아니라 확관 유도부(130)에 의해 굽힘과 펴짐에 의한 소성변형도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확관시 제1 변형부(120)의 소성변형량을 결정하기 위하여는 제1 변형부(120)의 확관률과 함께 확관 유도부(130)에 형성되는 경사부의 각도에 따른 굽힘변형량이 함께 고려될 수도 있다.
즉, 2차 소성변형에 요구되는 흡수율을 제외한 여분의 흡수율이 1차 소성변형시 최대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확관율과 굽힘 변형량이 고려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충돌에너지 흡수장치(100)는 1차 확관에 의한 소성변형과 2차 압괴에 의한 소성변형이 순차적으로 발생하여 서로 다른 충돌에너지에 대하여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충돌하중을 서서히 증가시켜, 탑승객에 대한 충돌가속도를 감소시키게 되므로 상해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변형부(120)가 1차 소성변형되어 상대적으로 작은 충돌에너지를 먼저 흡수하게 되고, 제2 변형부(110) 및 제1 변형부(120)가 함께 소성변형되어 상대적으로 큰 충돌에너지를 흡수하게 되므로, 저속충돌 및 고속충돌에 대한 적용이 유리하게 되며, 단위길이당 흡수에너지의 상승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확관 유도부(130)는 벌크 형태 또는 튜브 형태의 부재를 가공하여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확관 유도부(130)는 기계가공 또는 엔드포밍 등과 같은 방식에 의해 제조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기계가공 방식은 벌크 형태의 소재를 선반 등과 같은 장치를 이용하여 깍아내어 제조하게 되고, 엔드포밍 방식은 튜브 형태의 부재 한쪽 끝단을 잡고 다른 한쪽 끝단을 펀치로 벌려 제조하게 된다. 기계가공의 경우에 있어서는 비용이 비싸고 생산성이 떨어지는 제약이 있다. 그리고, 엔드포밍 방식의 경우에 있어서는 튜브를 고정시키는 부위가 일정 길이 이상이 되어야 하는 제약이 있다. 즉, 확관 유도부(130)는 경량화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확관 지지부(130b)의 길이를 가능한 짧게 형성시켜야 한다.
따라서, 경량화의 가능 또는 제조의 용이성을 위해,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은 확관 유도부 성형장치(200)에 의해 확관 유도부(130)가 제조될 수도 있다. 상기 확관 유도부 성형장치(200)는 단순한 프레스 가공에 의해 확관 유도부(130)가 제조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 확관 유도부 성형장치(200)는 확관 유도부(130)의 경사부(130a)를 형성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하부금형(210)과 상부금형(220)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하부금형(210)에는 확관 유도부(130)의 경사부(130a)를 성형하기 위하여 하부금형 본체(211)의 상부 영역에 제1 수축 성형부(2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수축 성형부(212)는 상기 하부금형 본체(211)의 상부면에 돌출되는 구조로 배치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제1 수축 성형부(212)는 상기 하부금형 본체(211)의 상부면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거나, 또는 별도의 부재를 장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수축 성형부(212)는 원뿔대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달리, 가공되는 피성형부재(30)의 구조에 따라 상기 제1 수축 성형부(212)는 삼각뿔대 또는 사각뿔대 등과 같은 다각형의 구조로 이루어지는 다각 구조의 뿔대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금형(220)에는 하부금형(210)의 제1 수축 성형부(212)와 맞물리게 되어 확관 유도부(130)의 경사부(130a)를 성형하게 되는 제2 수축 성형부(222)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수축 성형부(222)는 상기 상부금형 본체(221)의 상부면에 함몰되는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수축 성형부(222)는 원뿔대의 구조 또는 다각뿔대 구조로 함몰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피성형부재(30)는 하부금형(210)의 제1 수축 성형부(212)와 상부금형(220)의 제2 수축 성형부(222) 사이에 물려지면서 가압된다. 이러한 작용에 의해 피성형부재(30)는 일 단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오그라드는 수축 변형이 발생하게 되어 확관 유도부(130)의 경사부(130a)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공의 경우, 피성형부재(30)의 일 단부 영역(오무려지는 영역)에 길이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의 주름(130c)이 형성되는데, 만일 주름(130c)이 잘못 형성되는 경우, 또는 어느 일 영역(일측)으로 과도하게 주름이 형성되는 경우, 경사부(130a)의 각도가 요구되는 범위를 벗어나거나 또는 형상의 불량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이 외에도 경사부(130a) 영역의 강도가 불균일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수축 성형부(212,222)의 외부면에는 요철 형태의 주름(212a,222a)을 형성하여 피성형부재(30)의 성형시 강재로 주름(130c)이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피성형부재(30)가 성형시 배치된 위치의 이탈이 발생하지 않도록 피성형부재(30)를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피성형부재(30)의 위치 고정을 위하여, 하부금형(210)에는 제1 수축 성형부(212)의 둘레를 따라 피성형부재(30)의 일 단부가 끼워지는 고정홈(213)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 4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피성형부재(30)는 일 단부가 상기 고정홈(213)에 끼워진 상태로 배치되고, 도 4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피성형부재(30)의 다른 영역이 제1 및 제2 수축 성형부(212,222)에 맞물려 수축 변형이 발생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고정홈(213)에 끼워진 피성형부재(30)의 단부는 확관 유도부(130)의 확관 지지부(130b)로 성형될 수 있다. 이 경우, 확관 지지부(130b)의 길이는 상기 고정홈(213)의 깊이를 조절하여 결정할 수도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피성형부재(30)의 위치 고정을 위하여, 하부금형 본체(211)에는 피성형부재(30)가 외부에 끼워지는 내측 지지부(214)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내측 지지부(214)는 하부금형 본체(211)의 외부면에 배치되고, 상기 내측 지지부(214)로부터 연장되어 제1 수축 성형부(212)가 배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부금형 본체(221)에는 피성형부재(30)가 내부에 끼워지는 외측 지 지부(224)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외측 지지부(224)는 상부금형 본체(221)의 어느 일면으로부터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기 외측 지지부(224)로부터 연장선 사으로 제2 수축 성형부(222)가 함몰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6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피성형부재(30)는 일 단부가 상기 내측 지지부(214)에 끼워진 상태로 배치되고, 도 4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피성형부재(30)의 다른 영역이 제1 및 제2 수축 성형부(212,222)에 맞물려 수축 변형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내측 지지부(214)에 끼워진 피성형부재(30)는 일 단부는 내측 지지부(214)와 외측 지지부(224)에 의해 맞물리는 상태가 되어 확관 유도부(130)의 확관 지지부(130b)로 성형될 수 있다. 이 경우, 확관 지지부(130b)의 길이는 상기 내측 지지부(214)와 외측 지지부(224)의 높이를 조절하여 결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가공(성형)에 의해 제조된 확관 유도부(130)는 어느 일 단부에 확관 지지부(130b)가 형성되고, 상기 확관 지지부(130b)로부터 다른 일 단부 방향으로 직경(또는 폭)이 점층적으로 좁아지는 경사부(130a)가 형성된다. 이 경우, 경사부(130a)에는 수축 변형에 따른 주름(130c)이 형성될 수 있다.
도 7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충돌에너지 흡수장치(100)는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충돌체(20)와 충돌하게 되는 경우, 제1 변형부(120)가 상기 확관 유도부(130)에 의해 확관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경우, 제1 변형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확관 유도부(130)와 접한 영역이 순차적으로 굽힘과 펴짐이 발생한다. 즉, 제1 변형부(120)는 충돌에 의해 상기 제2 변형부(110)의 위치로 이동하게 될 때, 확관 유도 부(130)와 접하게 되는 제1 변형부(120)는 그 접한 영역이 확관 유도부(130)에 의해 구불어지면서 확관변형이 발생하고, 확관 유도부(130)를 지나게 되면서 확관이 된 상태로 원래의 제1 변형부(120)의 단면과 동일한 방향으로 펴지게 된다.
도 7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1 변형부(120)의 일부가 확관영역(121b)으로 소성변형된 부분 확관에 의해 충돌에너지가 완전히 흡수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변형부(120)는 일 단부가 고정체(1)와 접할 때 까지 확관에 의한 소성변형을 하면서 충돌에너지를 흡수하게된다.
도 7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와 같은 제1 변형부(120)이 소성변형에 의해서도 충돌에너지가 완전히 흡수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변형부(120)는 제2 변형부(110)와 함께 압괴 형태의 소성변형을 하면서 충돌에너지를 흡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이러한 작용에 의해, 저속충돌의 경우 제1 변형부(120)의 소성변형에 의해서 충돌에너지가 흡수되고, 제2 변형부(110)는 변형되지 않기 때문에 부품의 수리 시 제1 변형부(120) 또는 제1 변형부(120)와 확관 유도부(130)만 간단히 교체하면 된다. 그리고, 고속충돌의 경우는 제1 변형부(120)의 소성변형에 의해서 1차 충동에너지를 흡수하고 제2 변형부(110)와 함께, 이중으로 충돌에너지를 흡수하기 때문에 일반 압괴방식에 비하여 높은 에너지를 얻을 수 있다.
한편, 1차 소성변형 후, 2차 소성변형시 제2 변형부(110)와 함께 압괴에 의한 소성변형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제1 변형부(120)는 제2 변형부(110)와 길이가 동일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1차 소성변형 후, 제2 변형부의 일부 영역이 압괴에 의한 2차 소 성변형하고, 다시 제1 및 제2 변형부(120,110)가 함께 압괴에 의한 3차 소성변형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제1 변형부(120)는 제2 변형부(110) 보다 길이가 짧게 구성될 수도 있다.
또 다른 한편, 1차 소성변형 후, 제1 변형부의 일부 영역이 압괴에 의한 2차 소성변형하고, 다시 제1 및 제2 변형부가 함께 압괴에 의한 3차 소성변형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제1 변형부(120)는 제2 변형부(110) 보다 길이가 길게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변형부(120)는 확관 후 압괴되는 방식으로 최대한의 소성변형률을 부과할 수 있기 때문에 고연신, 고강도 소재의 높은 에너지 흡수능을 최대한 활용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충돌에너지 흡수단계를 갖는 차량의 충돌에너지 흡수장치 및 차량의 충돌에너지 흡수장치용 확관 유도부 성형장치는 상기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로 한정되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을 위하여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1a는 종래의 차량에 구비되는 충돌에너지 흡수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는 도면이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충돌에너지 흡수장치가 변형되어 충돌에너지를 흡수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충돌에너지 흡수단계를 갖는 차량의 충돌에너지 흡수장치의 구성에 관한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충돌에너지 흡수장치용 확관 유도부 성형장치의 구성에 관한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차량의 충돌에너지 흡수장치용 확관 유도부 성형장치에 의해 확관 유도부가 성형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충돌에너지 흡수장치용 확관 유도부 성형장치의 구성에 관한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차량의 충돌에너지 흡수장치용 확관 유도부 성형장치에 의해 확관 유도부가 성형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충돌에너지 흡수단계를 갖는 차량의 충돌에너지 흡수장치가 충돌시 단계적으로 변형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0 ... 충돌에너지 흡수장치 110 ... 제2 변형부
111 ... 결합매개부재 120 ... 제1 변형부
121 ... 예비 확관부 121a ... 연장부
121b ... 확관영역 130 ... 확관 유도부
130a ... 경사부 130b ... 확관 지지부
200 ... 확관 유도부 성형장치 210 ... 하부금형
211 ... 하부금형 본체 212 ... 제1 수축 성형부
212a,222a ... 주름 213 ... 고정홈
214,224 ... 지지부 220 ... 상부금형
221 ... 상부금형 본체 222 ... 제2 수축 성형부

Claims (11)

  1. 확관 유도부의 경사면을 성형하기 위하여 하부금형 본체의 상부면 중앙부 영역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 수축 성형부가 구비되는 하부금형과;
    상기 제1 수축 성형부가 형성된 상기 하부금형 본체의 면과 마주하는 상부금형 본체의 하부면 중앙부 영역에 함몰되어 상기 제1 수축 성형부와 맞물리게 형성되는 제2 수축 성형부가 구비되는 상부 금형;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하부금형 및 상부금형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수축 성형부는 서로 맞물리는 원뿔대 또는 다각뿔대 구조로 이루어지며, 요철 형태의 주름이 형성되어 수축 성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충돌에너지 흡수장치용 확관 유도부 성형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금형은 제1 수축 성형부의 하단 둘레를 따라 피성형부재의 일 단부가 끼워지는 고정홈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충돌에너지 흡수장치용 확관 유도부 성형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금형 본체와 제1 수축 성형부 사이에는 피성형부재가 외부에 끼워지는 내측 지지부가 구비되고, 제1 수축 성형부가 상기 지지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상부금형 본체와 제2 수축 성형부 사이에는 상기 내측 지지부에 끼워진 피성형부재의 외부에 끼워지는 외측 지지부가 구비되고, 제2 수축 성형부가 상기 외측 지지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충돌에너지 흡수장치용 확관 유도부 성형장치.
  5. 튜브 형태로 이루어지며, 충돌시 충돌에너지의 흡수를 위해 확관에 의한 1차 소성변형이 이루어지는 제1 변형부와;
    튜브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변형부의 단부와 연장선상에 배치되며, 충돌시 충돌에너지를 순차적으로 흡수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변형부의 1차 변형 후 2차 소성변형이 이루어지는 제2 변형부와;
    둘레를 따라 하나 이상의 주름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변형부로부터 제2 변형부 방향으로 단면 폭이 점층적으로 좁아지는 원뿔대 또는 다각뿔대 구조로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변형부와 인접한 경사부의 일 단부로부터 상기 제2 변형부 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확관 지지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 변형부와 제2 변형부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제1 변형부의 1차 소성변형을 유발하는 확관 유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변형부는 제2 변형부와 길이가 동일하게 이루어져 1차 소성변형 후, 2차 소성변형시 제2 변형부와 함께 압괴에 의한 소성변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충돌에너지 흡수단계를 갖는 차량의 충돌에너지 흡수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변형부는 충돌시 상기 확관 유도부에 의해 확관 되어 소성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확관 유도부와 접하는 부분에 예비 확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충돌에너지 흡수단계를 갖는 차량의 충돌에너지 흡수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변형부는 예비 확관부의 단부에 확관 유도부와의 결합 또는 결합력을 보강하기 위한 연장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제1 변형부의 예비 확관부와 확관 유도부의 결합은 나사결합, 용접결합 또는 접착결합 중 하나 이상의 결합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충돌에너지 흡수단계를 갖는 차량의 충돌에너지 흡수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변형부의 일 단부에는 결합매개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결합매개부재에 의해 확관 유도부와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충돌에너지 흡수단계를 갖는 차량의 충돌에너지 흡수장치.
  9. 삭제
  10. 튜브 형태로 이루어지며, 충돌시 충돌에너지의 흡수를 위해 확관에 의한 1차 소성변형이 이루어지는 제1 변형부와;
    튜브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변형부의 단부와 연장선상에 배치되며, 충돌시 충돌에너지를 순차적으로 흡수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변형부의 1차 변형 후 2차 소성변형이 이루어지는 제2 변형부와;
    둘레를 따라 하나 이상의 주름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변형부로부터 제2 변형부 방향으로 단면 폭이 점층적으로 좁아지는 원뿔대 또는 다각뿔대 구조로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변형부와 인접한 경사부의 일 단부로부터 상기 제2 변형부 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확관 지지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 변형부와 제2 변형부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제1 변형부의 1차 소성변형을 유발하는 확관 유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변형부는 제2 변형부 보다 길이가 짧게 이루어져 1차 소성변형 후, 제2 변형부의 일부 영역이 압괴에 의한 2차 소성변형하고, 다시 제1 및 제2 변형부가 함께 압괴에 의한 3차 소성변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충돌에너지 흡수단계를 갖는 차량의 충돌에너지 흡수장치.
  11. 튜브 형태로 이루어지며, 충돌시 충돌에너지의 흡수를 위해 확관에 의한 1차 소성변형이 이루어지는 제1 변형부와;
    튜브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변형부의 단부와 연장선상에 배치되며, 충돌시 충돌에너지를 순차적으로 흡수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변형부의 1차 변형 후 2차 소성변형이 이루어지는 제2 변형부와;
    둘레를 따라 하나 이상의 주름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변형부로부터 제2 변형부 방향으로 단면 폭이 점층적으로 좁아지는 원뿔대 또는 다각뿔대 구조로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변형부와 인접한 경사부의 일 단부로부터 상기 제2 변형부 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확관 지지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 변형부와 제2 변형부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제1 변형부의 1차 소성변형을 유발하는 확관 유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변형부는 제2 변형부 보다 길이가 길게 이루어져 1차 소성변형 후, 제1 변형부의 일부 영역이 압괴에 의한 2차 소성변형하고, 다시 제1 및 제2 변형부가 함께 압괴에 의한 3차 소성변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충돌에너지 흡수단계를 갖는 차량의 충돌에너지 흡수장치.
KR1020090048052A 2009-06-01 2009-06-01 복수의 충돌에너지 흡수단계를 갖는 차량의 충돌에너지 흡수장치 및 차량의 충돌에너지 흡수장치용 확관 유도부 성형장치 KR1010914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8052A KR101091404B1 (ko) 2009-06-01 2009-06-01 복수의 충돌에너지 흡수단계를 갖는 차량의 충돌에너지 흡수장치 및 차량의 충돌에너지 흡수장치용 확관 유도부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8052A KR101091404B1 (ko) 2009-06-01 2009-06-01 복수의 충돌에너지 흡수단계를 갖는 차량의 충돌에너지 흡수장치 및 차량의 충돌에너지 흡수장치용 확관 유도부 성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9475A KR20100129475A (ko) 2010-12-09
KR101091404B1 true KR101091404B1 (ko) 2011-12-07

Family

ID=43506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8052A KR101091404B1 (ko) 2009-06-01 2009-06-01 복수의 충돌에너지 흡수단계를 갖는 차량의 충돌에너지 흡수장치 및 차량의 충돌에너지 흡수장치용 확관 유도부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140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17779U (ko) 1977-02-25 1977-09-07
JPH10122439A (ja) * 1996-10-23 1998-05-15 Horie Metal Co Ltd エネルギ吸収管及び該エネルギ吸収管を備えた車両用衝撃吸収装置
KR200298159Y1 (ko) 2002-08-31 2002-12-16 이상근 트랜지션 노즐의 제조금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17779U (ko) 1977-02-25 1977-09-07
JPH10122439A (ja) * 1996-10-23 1998-05-15 Horie Metal Co Ltd エネルギ吸収管及び該エネルギ吸収管を備えた車両用衝撃吸収装置
KR200298159Y1 (ko) 2002-08-31 2002-12-16 이상근 트랜지션 노즐의 제조금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9475A (ko) 2010-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61287A (ko) 복수의 충돌에너지 흡수단계를 갖는 차량의 충돌에너지 흡수장치
KR100813160B1 (ko) 차량용 크래쉬박스
KR100875231B1 (ko) 충돌 에너지 흡수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레일차량
JP6200966B2 (ja) 鉄道車両の衝突エネルギー吸収装置
US20060237976A1 (en) Crushable structure manufactured from mechanical expansion
US9598035B2 (en) Impact absorber
JPWO2005075254A1 (ja) 車両の衝撃吸収装置
JP2012107660A (ja) エネルギ吸収体、当該エネルギ吸収体を備えた衝突エネルギ吸収構造、及び当該衝突エネルギ吸収構造を備えた鉄道車両
CN204821427U (zh) 吸能盒及汽车
JP2006232042A (ja) 車両の前部構造
CN104691467A (zh) 碰撞复合吸能装置和用途
JP2010111239A (ja) 衝突エネルギ吸収部材
KR101091404B1 (ko) 복수의 충돌에너지 흡수단계를 갖는 차량의 충돌에너지 흡수장치 및 차량의 충돌에너지 흡수장치용 확관 유도부 성형장치
KR101143078B1 (ko) 복수의 충돌에너지 흡수단계를 갖는 차량의 충돌에너지 흡수장치
JP4577826B2 (ja) 車両用バンパビーム構造
KR20110006446A (ko) 복수의 충돌에너지 흡수단계를 갖는 차량용 전방 충돌에너지 흡수장치
JP4457302B2 (ja) 自動車用衝撃吸収部材
KR100813158B1 (ko) 차량용 크래쉬박스
WO2017034501A1 (en) Nested crash box as a passive safety component in vehicles
KR101510039B1 (ko) 차량용 크래시박스
KR101369725B1 (ko) 차량용 크래쉬박스
KR20120118276A (ko) 차량용 크래쉬박스
KR20050112342A (ko) 차량의 크래쉬 박스
CN113119898A (zh) 一种碰撞吸能盒
JP4689300B2 (ja) 車両用衝撃吸収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