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0499B1 - 멀티 앵글 디지털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 앵글 디지털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0499B1
KR101090499B1 KR1020090026617A KR20090026617A KR101090499B1 KR 101090499 B1 KR101090499 B1 KR 101090499B1 KR 1020090026617 A KR1020090026617 A KR 1020090026617A KR 20090026617 A KR20090026617 A KR 20090026617A KR 101090499 B1 KR101090499 B1 KR 1010904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gle
transport stream
screen
service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6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1278A (ko
Inventor
문병권
윤심권
이병탁
고석갑
김낙우
김상균
김성창
고재상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100061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12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0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04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 앵글 디지털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카메라로 촬영된 좌우 스테레오 영상을 포함하는 3차원 입체 영상 형태의 촬영 영상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촬영 영상들을 멀티 앵글 디지털 방송 서비스로 제공하기 위한 전송 스트림 형태로 인코딩하는 단계; 및 상기 인코딩된 전송 스트림을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앵글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에 의해 보다 생동감 있는 방송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고 IPTV 에서도 멀티 앵글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멀티 앵글 디지털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multi angle digital broadcating service}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멀티 앵글 디지털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연구는 지식경제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원천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 [과제명 : 광가입자망(FTTH) 서비스 개발 실험 사업]
축구나 농구와 같은 스포츠 중계뿐 아니라, 게임 방송과 같이 여러 명이 참여하는 프로그램을 방송할 때 시청자들은 종종 자신이 원하는 플레이어를 집중적으로 보기 원하지만, 기존의 텔레비전 방송 서비스는 방송사가 선택한 편집화면을 하나의 채널을 통해 제공한다.
이 같은 점을 개선하기 위해 최근에는 다수의 카메라들을 경기장 등에 배치하고, 서로 다른 각도의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물을 상이한 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멀티 앵글 방송 서비스가 시행되고 있다. 사용자는 채널 변경을 통해 자신이 원하는 각도에서 촬영된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 같은 배경에서 도출된 것으로, 선택된 앵글의 촬영 영상을 3차원 입체 영상 형태로 제공하는 멀티 앵글 디지털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시청자들이 원하는 멀티 앵글 채널에 보다 쉽게 접근 가능하도록 하는 멀티 앵글 디지털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는 다수의 카메라로 촬영된 좌우 스테레오 영상을 포함하는 3차원 입체 영상 형태의 촬영 영상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촬영 영상들을 멀티 앵글 디지털 방송 서비스로 제공하기 위한 전송 스트림 형태로 인코딩하는 단계; 및 상기 인코딩된 전송 스트림을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앵글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이때, 상기 인코딩하는 단계는 상기 촬영 영상들 중 하나를 메인 전송 스트림으로 인코딩하고, 나머지 촬영 영상들을 서브 전송 스트림으로 인코딩하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가, 상기 메인 전송 스트림과 상기 서브 전송 스트림에 대한 메타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서브 전송 스트림들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전송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서브 전송 스트림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코딩하는 단계는 상기 다수의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들을 각각 별개 전송 스트림으로 인코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코딩하는 단계는 상기 다수의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들을 하나의 전송 스트림 형태로 인코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기술적 과제는 멀티 앵글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수의 카메라로 촬영된 좌우 스테레오 영상을 포함하는 3차원 입체 영상 형태의 촬영 영상의 전송 스트림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전송 스트림들 중 적어도 일부를 화면 출력하되, 화면상에 멀티 앵글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채널임을 알리는 단계; 및 상기 멀티 앵글 서비스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요청에 따른 멀티 앵글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에서 구현되는 멀티 앵글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이때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화면상에 멀티 앵글 화면 각각에 대한 썸네일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공된 썸네일 들 중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수신된 전송 스트림 들 중 상기 선택된 썸네일에 대한 멀티 앵글 전송 스트림을 추출하여 화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송 스트림을 수신하는 단계는 메인 화면에 대한 전송 스트림과, 멀티 앵글 화면에 대한 메타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화면상에서 일부 영역에 대한 선택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선택된 영역에 대한 좌표 정보 및 상기 수신된 메타 데이터에 기초하여 해당되는 멀티 앵글 화면을 파악하는 단계; 상기 파악된 멀티 앵글 화면에 대한 서브 전송 스트림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에 의해 수신되는 서브 전송 스트림에 대한 멀티 앵글 화면 출력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3D 기반의 멀티 앵글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어, 보다 생동감 있는 방송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고 IPTV에서도 멀티 앵글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 입장에서도 보다 간단하게 멀티 앵글 채널을 변경할 수 있어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이러한 실시예들을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앵글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 앵글 디지털 방송 시스템은 멀티 앵글 개수만큼의 카메라들(10-1, 10-2, ...10-5)과, 멀티 앵글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20), 사용자 단말(30)을 포함한다.
카메라들(10-1, 10-2, ...10-5) 각각은 3D 카메라로 좌.우 스테레오 영상을 만들어낸다. 좌. 우 스테레오 영상은 각각의 별도 스트림 형태로 처리될 수도 있고, 하나의 스트림 형태로 처리될 수도 있다.
멀티 앵글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20)는 다수의 카메라들(10-1, 10-2, ...10-5)로부터의 촬영 영상을 전송 스트림 형태로 인코딩하고, 스트림들 간 동기화를 수행한다. 이때 멀티 앵글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20)에서의 출력 스트림을 구성하는 방식은 크게 세 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첫번째 방식은 모든 멀티 앵글 영상들을 하나의 스트림으로 구성하는 방식이다. 두번째 방식은 하나의 촬영 영상을 포함하는 메인 전송 스트림과 나머지 촬영 영상들을 포함하는 서브 전송 스트림으로 구성하는 방식이다. 또 다른 방식은 촬영 영상들 각각을 전송 스트림으로 구성하는 방식이다.
또한, 멀티 앵글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20)는 유니캐스트 방식 혹은 멀티캐스트 방식으로 전송 스트림을 전송한다. 먼저, 멀티 캐스트 방식을 사용할 경우 전술한 세 가지 출력 스트림 구성 방식에 따라 그룹 ID 개수가 달라진다. 모든 촬영 영상들을 하나의 전송 스트림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멀티캐스트 그룹 ID가 사용된다. 그리고 메인 전송 스트림과 서브 전송 스트림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2개의 그룹 ID가 사용된다. 그리고 각각의 촬영 영상들을 전송 스트림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전송 스트림 개수만큼의 그룹 ID를 필요로 한다.
한편 IP 시스템을 통해 전송하는 경우에는, 유니캐스트 방식 혹은 멀티캐스트 방식 모두 하나의 IP 주소를 사용하고 전송 프레임마다 상이한 포트(port) 번호를 사용함으로써, 각각의 전송 스트림을 구분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은 멀티 앵글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20)로부터 수신되는 전송 스트림을 화면을 통해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30)은 멀티 앵글 스트림이 하나의 전송 스트림으로 수신되는 경우에 먼저 메인 화면을 출력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신된 전송 스트림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멀티 앵글 화면을 선택하여 화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먼저 메인 전송 스트림과 서브 전송 스트림에 대한 메타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메인 전송 스트림을 화면 출력하고, 사용자로부터 멀티 앵글 화면에 대한 요청이 있을 때, 메타 데이터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되는 멀티 앵글 화면에 대한 전송 스트림을 수신하여 이를 화면 출력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앵글 디지털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의 멀티 앵글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먼저, 다수의 3D 카메라로부터 촬영 영상을 입력받는다(S200). 이때 촬영 영상은 좌우 스테레오 영상을 포함하는 3차원 입체 영상 형태이다.
먼저 일 실시예에 있어서, 다수의 입체 영상들은 모두가 하나의 전송 스트림 형태로 인코딩될 수 있다(S210). 그리고 인코딩된 전송 스트림은 멀티캐스트 혹은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전송된다(S220).
한편, 다수의 입체 영상들은 각각 별개의 전송 스트림 형태로 인코딩될 수 있다(S230). 각각 별개의 전송 스트림으로 인코딩 된 경우, 다수의 카메라들 중 대표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에 대한 전송 스트림을 메인 전송 스트림으로 선택한다(S240). 예를 들어 메인 전송 스트림으로 선택되는 촬영 영상은 전반적인 경기장 상황을 촬영한 영상이나, 다수의 플레이어들의 게임화면을 동시에 촬영 영상일 수 있다. 그리고 메인 전송 스트림을 멀티캐스트 혹은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S250).
그리고 나머지 카메라들의 촬영 영상을 모두 하나의 서브 전송 스트림 형태로 인코딩하거나, 각각 별개의 전송 스트림 형태로 인코딩한다.
그리고, 메인 전송 스트림 전송시에(S250), 메인 전송 스트림의 촬영 영상과 연계되는 다른 촬영 영상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함께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메타 데이터는 멀티 앵글 화면에 대한 각도, 거리 혹은 인물, 사물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브 멀티 앵글 화면에 대한 메타 데이터는 메인 전송 스트림과 함께 다중화되어 전송되거나, 별도의 데이터 스트림 형태로 수신될 수 있다.
이 후에 사용자 단말로부터 특정 앵글 화면에 대한 서브 전송 스트림 요청이 수신되면(S260), 해당되는 서브 전송 스트림을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S270).
도 3 내지 도 5는 전송 스트림으로 출력되는 형태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앵글 디지털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촬영 영상들을 하나의 전송 스트림 형태로 인코딩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메인 전송 스트림과, 하나의 서브 전송 스트림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메인 전송 스트림은 해당 채널 초기화시에 출력되는 영상이고, 서브 전송 스트림은 메인 전송 스트림에 포함되는 영상 을 제외한 다른 영상들에 대한 전송 스트림이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카메라들로 촬영된 영상들을 각각 별개의 전송 스트림 형태로 인코딩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구현되는 멀티 앵글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사용자로부터 채널 변경 요청이 입력되면(S600), 먼저 변경된 채널의 메인 영상 화면을 출력한다(S610). 그리고 해당 채널이 멀티 앵글 서비스가 지원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S620), 멀티 앵글 서비스가 지원되는 경우에는 화면을 통해, 해당 채널이 멀티 앵글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채널임을 알린다(S630). 일 실시예에 있어서 멀티 앵글 서비스 제공 가능한 채널이면, 출력 화면 일부에 깜빡이는 도트 모양 혹은 글자 메시지를 표시함으로써 알릴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특정 채널의 전송 스트림으로 다수의 3D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들을 모두 하나의 전송 스트림 형태로 취합한 형태일 수 있다.
이 후에 사용자로부터 멀티 앵글 서비스를 제공받기 원한다는 조작 명령이 입력되면, 멀티 앵글 영상들을 썸네일 형태로 화면에 표시한다(S640). 예를 들어 멀티 앵글 서비스를 제공받기 원한다는 조작 명령은 사용자가 깜빡이는 도트 모양을 클릭하거나, 리모콘의 특정 키를 입력하는 동작을 통해 입력될 수 있다. 그리고 멀티 앵글 영상을 표시하는 것은 메인 화면이 출력되는 화면 일부에 다수의 멀티 앵글 영상을 대한 썸네일 형태로 중복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 후에 사용자로부터 멀티 앵글 영상에 대한 썸네일들 중 하나에 대한 선택 신호가 입력되면(S650), 선택된 멀티 앵글 영상을 메인 화면으로 출력한다(S660). 이때 멀티 앵글 영상은 특정 선수에 대한 앵글화면, 혹은 특정 앵글에서 촬영된 영상이다.
이때 멀티 앵글 영상의 선택이 있으면, 이미 수신된 해당 채널의 멀티 앵글 영상을 모두 포함하는 전송 스트림으로부터 해당 멀티 앵글 영상에 해당하는 스트림들을 추출해야한다. 이때 멀티 앵글 영상에 해당하는 스트림을 추출하는 것은 전송 스트림과 함께 전송되는 메타 데이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메타 데이터는 서브 멀티 앵글 방송 스트림에 대한 각도, 거리 혹은 인물, 사물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브 멀티 앵글 방송 스트림에 대한 메타 데이터는 전송 스트림과 함께 다중화되어 전송되거나, 별도의 데이터 스트림 형태로 수신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멀티 앵글 방송 서비스 제공 시 화면 출력 상태의 예시도이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 일부에 멀티 앵글 방송 서비스 제공 가능 알림 버튼(70)이 깜빡거리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멀티 앵글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기 원하는 경우에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화면(80) 이외에 서브 앵글 화면에 해당하는 멀티 앵글 화면(85a, 85b)들을 메인 화면에 중복 되게 썸네일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구현되는 멀티 앵글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사용자로부터 채널 변경 요청이 입력되면(S900), 먼저 변경된 채널의 메인 영상 화면을 출력한다(S910). 그리고 해당 채널이 멀티 앵글 서비스가 지원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S920), 멀티 앵글 서비스가 지원되는 경우에는 화면을 통해, 해당 채널이 멀티 앵글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채널임을 알린다(S930). 일 실시예에 있어서 멀티 앵글 서비스 제공 가능한 채널이면, 출력 화면 일부에 깜빡이는 도트 모양 혹은 글자 메시지를 표시함으로써 알릴 수 있다.
이 후에 시청자는 화면상에서 자신이 상세히 보고 싶은 방향이나, 특정 축구 선수와 같은 인물이나 사물을 선택한다(S940). 이때, 선택된 좌표 정보와, 해당 체널의 메인 영상 화면에 대한 메인 전송 스트림과 함께 전송되는 멀티 앵글 화면들에 대한 메타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부분에 대한 멀티 앵글 화면의 서브 전송 프레임을 선택한다(S950).
본 실시예에 있어서 메타 데이터는 서브 멀티 앵글 방송 스트림에 대한 각도, 거리 혹은 인물, 사물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브 멀티 앵글 방송 스트림에 대한 메타 데이터는 메인 전송 스트림과 함께 다중화되어 전송되거나, 별도의 데이터 스트림 형태로 수신될 수 있다.
그리고, 멀티 앵글 디지털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로 선택된 서브 전송 스트림을 요청한다(S960). 이때 일 실시예에 있어서, 서브 전송 스트림을 요청하는 것은 멀티캐스트 프로토콜인 IGMP(Internet Group Management Protocol)를 이용해 명 시적으로 요청될 수 있다. IGMP는 인터넷 컴퓨터가 멀티캐스트 그룹을 인근의 라우터들에게 알리는 수단을 제공하는 인터넷 프로토콜이다. 그리고 선택된 서브 전송 스트림을 수신하여 해당 멀티 앵글 화면을 표시한다(S970).
한편, 전술한 멀티 앵글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정보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고, 컴퓨터에 의해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저장매체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 매체 등을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해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앵글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앵글 디지털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의 멀티 앵글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도,
도 3 내지 도 5는 전송 스트림으로 출력되는 형태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구현되는 멀티 앵글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의 플로우차트,
도 7 및 도 8은 멀티 앵글 방송 서비스 제공 시 화면 출력 상태의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구현되는 멀티 앵글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Claims (10)

  1. 다수의 카메라로 촬영된 좌우 스테레오 영상을 포함하는 3차원 입체 영상 형태의 촬영 영상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촬영 영상들 중 하나를 메인 전송 스트림으로 인코딩하고, 나머지 촬영 영상들을 서브 전송 스트림으로 인코딩하여, 상기 입력된 촬영 영상들을 멀티 앵글 디지털 방송 서비스로 제공하기 위한 전송 스트림 형태로 인코딩하는 단계; 및
    상기 인코딩된 전송 스트림들 및, 상기 메인 전송 스트림과 상기 서브 전송 스트림에 대한 메타 데이터를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앵글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서브 전송 스트림들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전송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서브 전송 스트림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앵글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메인 전송 스트림에 제 1 멀티캐스트 그룹 아이디를 할당하고, 상기 서브 전송 스트림에 제 2 멀티캐스트 그룹 아이디를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앵글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코딩하는 단계는 상기 다수의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들을 각각 별개 전송 스트림으로 인코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앵글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별개의 전송 스트림을 동일 IP 주소의 상이한 포트 번호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앵글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코딩하는 단계는 상기 다수의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들을 하나의 전송 스트림 형태로 인코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앵글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7. 멀티 앵글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수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좌우 스테레오 영상을 포함하는 3차원 입체 영상 형태의 촬영 영상의 전송 스트림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전송 스트림들 중 적어도 일부를 화면 출력하되, 화면상에 멀티 앵글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채널임을 알리는 단계; 및
    상기 멀티 앵글 서비스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요청에 따른 멀티 앵글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에서 구현되는 멀티 앵글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화면상에 멀티 앵글 화면 각각에 대한 썸네일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공된 썸네일 들 중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수신된 전송 스트림 들 중 상기 선택된 썸네일에 대한 멀티 앵글 전송 스트림을 추출하여 화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에서 구현되는 멀티 앵글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스트림을 수신하는 단계는 메인 화면에 대한 전송 스트림과, 멀티 앵글 화면에 대한 메타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화면상에서 일부 영역에 대한 선택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선택된 영역에 대한 좌표 정보 및 상기 수신된 메타 데이터에 기초하여 해당되는 멀티 앵글 화면을 파악하는 단계;
    상기 파악된 멀티 앵글 화면에 대한 서브 전송 스트림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에 의해 수신되는 서브 전송 스트림에 대한 멀티 앵글 화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에서 구현되는 멀티 앵글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전송 스트림을 요청하는 단계는 IGMP(Internet Group Management Protocol)를 통해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에서 구현되는 멀티 앵글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090026617A 2008-11-28 2009-03-27 멀티 앵글 디지털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0904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119796 2008-11-28
KR1020080119796 2008-11-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1278A KR20100061278A (ko) 2010-06-07
KR101090499B1 true KR101090499B1 (ko) 2011-12-07

Family

ID=42362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6617A KR101090499B1 (ko) 2008-11-28 2009-03-27 멀티 앵글 디지털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04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37761A1 (ko) * 2013-09-13 2015-03-19 주식회사 모브릭 멀티앵글영상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3769B1 (ko) * 2010-10-06 2016-10-0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실시간 부호화 되는 스케일러블 비디오를 다중 송신그룹으로 보내기 위한 소스 버퍼링을 수행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1446995B1 (ko) * 2013-09-26 2014-10-07 주식회사 모브릭 멀티앵글영상촬영헬멧 및 촬영방법
KR101529139B1 (ko) * 2013-11-01 2015-06-17 주식회사 모브릭 멀티앵글영상촬영을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 메뉴 제공방법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메뉴 제공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1280B1 (ko) * 1998-06-01 2001-06-01 구자홍 앵글화면의 연동녹화 및 재생방법
KR100397511B1 (ko) 2001-11-21 2003-09-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양안식/다시점 3차원 동영상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03715B1 (ko) * 2005-05-17 2007-04-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시점 3차원 동영상 송수신 시스템
KR100763441B1 (ko) 2006-09-30 2007-10-04 광주과학기술원 동기화된 다시점 입체 영상 전송 방법 및 그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1280B1 (ko) * 1998-06-01 2001-06-01 구자홍 앵글화면의 연동녹화 및 재생방법
KR100397511B1 (ko) 2001-11-21 2003-09-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양안식/다시점 3차원 동영상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03715B1 (ko) * 2005-05-17 2007-04-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시점 3차원 동영상 송수신 시스템
KR100763441B1 (ko) 2006-09-30 2007-10-04 광주과학기술원 동기화된 다시점 입체 영상 전송 방법 및 그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37761A1 (ko) * 2013-09-13 2015-03-19 주식회사 모브릭 멀티앵글영상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542416B1 (ko) 2013-09-13 2015-08-07 주식회사 모브릭 멀티앵글영상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1278A (ko) 2010-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28139B1 (ko) 멀티-디바이스 프리젠테이션을 위한 맞춤형 비디오 스트리밍
WO2012043357A1 (ja) コンテンツ送信装置、コンテンツ送信方法、コンテンツ再生装置、コンテンツ再生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US20160261927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nd Displaying Optional Overlays
JP2011077749A (ja) 受信装置及び再生装置
WO2017101296A1 (zh) 视频画面切换方法和装置
CN103139599A (zh) 网络多画面直播系统
US20110090970A1 (en) Terminal and relay node for video conference system
KR101090499B1 (ko) 멀티 앵글 디지털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JP2014515905A (ja) 複数のストリームを互いに異なる経路を通じて受信して処理する受信装置とそのストリーム処理方法及びそのためのストリーム送信方法
JP2004312208A (ja) 映像提示装置、映像提示方法及び映像提示プログラム
US20150350634A1 (en) System for providing complex-dimensional content service using complex 2d-3d content file, method for providing said service, and complex-dimensional content file therefor
US11341976B2 (en) Transmission apparatus, transmission method, processing apparatus, and processing method
KR101587442B1 (ko) 타겟팅 증강 콘텐츠 제공 시스템, 증강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증강 콘텐츠 등록 방법 및 장치
CN110198457A (zh) 视频播放方法及其设备、系统、存储介质、终端、服务器
KR20150051048A (ko) 멀티앵글영상촬영을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 메뉴 제공방법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메뉴 제공장치
KR20140029982A (ko) 디스플레이 장치, 셋톱박스 및 입체 영상 콘텐트 판단 방법
KR101511758B1 (ko) 여러 대의 액션캠 영상을 재생하기 위한 버퍼관리 방법 및 그에 따른 재생장치
JP5671120B2 (ja) 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
KR100743122B1 (ko) 이미지 전송 장치 및 이미지 수신 장치
US10264241B2 (en) Complimentary video content
KR20190103775A (ko) 개인 맞춤형 멀티스크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및 사용자 단말
KR102279404B1 (ko) 콘텐츠 수신 및 재생을 위한 장치 및 방법
JP6590479B2 (ja) 受信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599664B1 (ko) 다시점 영상을 전송하기 위한 시스템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KR20180059281A (ko) 타임 슬라이스 영상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및 영상 제공 서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