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9281A - 타임 슬라이스 영상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및 영상 제공 서버 - Google Patents

타임 슬라이스 영상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및 영상 제공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9281A
KR20180059281A KR1020160158669A KR20160158669A KR20180059281A KR 20180059281 A KR20180059281 A KR 20180059281A KR 1020160158669 A KR1020160158669 A KR 1020160158669A KR 20160158669 A KR20160158669 A KR 20160158669A KR 20180059281 A KR20180059281 A KR 201800592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reference camera
time slice
user terminal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8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7016B1 (ko
Inventor
김도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60158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7016B1/ko
Publication of KR20180059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92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7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70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5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for obtaining an image which is composed of images from a temporal image sequence, e.g. for a stroboscopic effect
    • H04N5/2627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for obtaining an image which is composed of images from a temporal image sequence, e.g. for a stroboscopic effect for providing spin image effect, 3D stop motion effect or temporal freeze effe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5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 H04N21/8456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by decomposing the content in the time domain, e.g. in time seg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90Arrangement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e.g. multiple cameras in TV studios or sports stadiums
    • H04N5/24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Studio Device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타임 슬라이스 영상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은 영상 제공 서버로부터 복수의 카메라에 의해 각각의 시점에서 촬영된 복수의 촬영 영상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복수의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기준 카메라로 선택하는 기준 카메라 선택부, 상기 선택된 기준 카메라에 대응하는 촬영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타임 슬라이스 영상의 생성 요청을 입력받은 경우, 상기 기준 카메라에서 촬영된 촬영 영상 및 상기 기준 카메라로부터 기설정된 좌우 거리 이내에 위치한 카메라에서 촬영된 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타임 슬라이스 영상을 생성하는 타임 슬라이스 영상 생성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타임 슬라이스 영상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및 영상 제공 서버{USER DEVICE AND SERVER FOR PROVIDING TIME SLICE VIDEO}
본 발명은 타임 슬라이스 영상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및 영상 제공 서버에 관한 것이다.
타임 슬라이스(time slice) 기법이란, 복수의 카메라가 다양한 각도로 피사체를 향하도록 설치하여 순간적으로 동시에 촬영한 후, 컴퓨터를 이용해 사진을 연결함으로써, 피사체의 정지된 동작을 마치 무비 카메라로 찍은 듯이 보이게 하는 영상 기법을 말한다. 타임 슬라이스는 피사체를 입체적으로 묘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간과 공간을 초월한 느낌을 제공한다.
이러한 타임 슬라이스 기법과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 2007-0000994호는 화상을 기록 및 재생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종래의 타임 슬라이스 기법은 타임 슬라이스 영상 생성에 대한 제어권이 영상 제작자에게 있어 영상 제작자가 타임 슬라이스 영상을 촬영 및 생성하고, 이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방향적인 서비스로 구성되었다. 그러나 사용자 단말에서는 제공된 시점에 대해서만 타임 슬라이스 영상을 제공받게 됨으로써,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에서의 타임 슬라이스 영상을 볼 수 없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타임 슬라이스 영상에 대한 제어권을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의 타임 슬라이스 영상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가 스포츠 경기 영상 또는 공연 영상을 여러 방향 또는 원하는 시점에서 시청할 수 있도록 다시점 타임 슬라이스 영상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및 영상 제공 서버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사용자가 기준 카메라를 선택하면, 기준 카메라와 좌우에 인접하게 위치한 카메라를 이용하여 연관성이 높은 다시점 타임 슬라이스 영상을 제공하는 타임 슬라이스 영상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및 영상 제공 서버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영상 제공 서버로부터 복수의 카메라에 의해 각각의 시점에서 촬영된 복수의 촬영 영상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복수의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기준 카메라로 선택하는 기준 카메라 선택부, 상기 선택된 기준 카메라에 대응하는 촬영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타임 슬라이스 영상의 생성 요청을 입력받은 경우, 상기 기준 카메라에서 촬영된 촬영 영상 및 상기 기준 카메라로부터 기설정된 좌우 거리 이내에 위치한 카메라에서 촬영된 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타임 슬라이스 영상을 생성하는 타임 슬라이스 영상 생성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영상 제공 서버로부터 복수의 카메라에 의해 각각의 시점에서 촬영된 복수의 촬영 영상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복수의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기준 카메라로 선택하는 기준 카메라 선택부, 상기 선택된 기준 카메라에 대응하는 촬영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타임 슬라이스 영상의 생성 요청을 입력받은 경우, 상기 선택된 기준 카메라의 정보를 상기 영상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전송부 및 상기 기준 카메라에서 촬영된 촬영 영상 및 상기 기준 카메라로부터 기설정된 좌우 거리 이내에 위치한 카메라에서 촬영된 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생성된 타임 슬라이스 영상을 상기 영상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타임 슬라이스 영상 수신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복수의 카메라에 의해 각각의 시점에서 촬영된 복수의 촬영 영상을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타임 슬라이스 영상의 생성 요청을 입력받은 경우, 기준 카메라의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기준 카메라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 카메라에서 촬영된 촬영 영상 및 상기 기준 카메라로부터 기설정된 좌우 거리 이내에 위치한 카메라에서 촬영된 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타임 슬라이스 영상을 생성하는 타임 슬라이스 영상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생성된 타임 슬라이스 영상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기준 카메라는 상기 복수의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된 것이고, 상기 선택된 기준 카메라에 대응하는 촬영 영상은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표시되는 것인 영상 제공 서버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가 스포츠 경기 영상 또는 공연 영상을 여러 방향 또는 원하는 시점에서 시청할 수 있도록 다시점 타임 슬라이스 영상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및 영상 제공 서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기준 카메라를 선택하면, 기준 카메라와 좌우에 인접하게 위치한 카메라를 이용하여 연관성이 높은 다시점 타임 슬라이스 영상을 제공하는 타임 슬라이스 영상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및 영상 제공 서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임 슬라이스 영상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공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공 서버에서 타임 슬라이스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타임 슬라이스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타임 슬라이스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8a 내지 도 8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타임 슬라이스 영상을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임 슬라이스 영상 제공 시스템에서 타임 슬라이스 영상을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타임 슬라이스 영상 제공 시스템에서 타임 슬라이스 영상을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임 슬라이스 영상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타임 슬라이스 영상 제공 시스템(1)은 복수의 카메라(110), 영상 제공 서버(120) 및 사용자 단말(13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카메라(110), 영상 제공 서버(120) 및 사용자 단말(130)은 타임 슬라이스 영상 제공 시스템(1)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는 구성요소들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의 타임 슬라이스 영상 제공 시스템(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제공 서버(120)는 복수의 카메라(110) 및 사용자 단말(130)과 동시에 또는 시간 간격을 두고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간에 정보교환이 가능한 연결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예는, 3G, 4G, 5G, Wi-Fi, 블루투스(Bluetooth),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복수의 카메라(110)는 스포츠 경기장 또는 공연장에서 스포츠 경기 영상 또는 공연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 영상을 영상 제공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카메라(110)는 스포츠 경기장 또는 공연장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된 것일 수 있다.
영상 제공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30)에 의해 복수의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받는 경우, 선택된 컨텐츠와 관련하여 복수의 카메라(110)에 의해 촬영된 복수의 촬영 영상을 사용자 단말(130)로 전송할 수 있다.
영상 제공 서버(120)는 복수의 카메라(110)에 의해 각각의 시점에서 촬영된 복수의 촬영 영상을 사용자 단말(1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영상 제공 서버(120)는 복수의 촬영 영상을 사용자 단말(130)로 스트리밍할 수 있다.
영상 제공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30)을 통해 타임 슬라이스 영상의 생성 요청을 입력받은 경우, 기준 카메라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13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기준 카메라는 복수의 카메라(110)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된 것으로, 선택된 기준 카메라에 대응하는 촬영 영상은 사용자 단말(130)을 통해 표시되는 것일 수 있다. 또는, 기준 카메라는 사용자 단말(130)의 터치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드래그 입력에 의해 기존에 선택된 기준 카메라로부터 인접한 카메라로 이동됨으로써 복수의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선택받아 변경된 것이고, 변경된 기준 카메라의 시점에 대응하는 촬영 영상은 사용자 단말(130)을 통해 표시되는 것일 수 있다.
영상 제공 서버(120)는 기준 카메라의 정보에 기초하여 기준 카메라에서 촬영된 촬영 영상 및 기준 카메라로부터 기설정된 좌우 거리 이내에 위치한 카메라에서 촬영된 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타임 슬라이스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제공 서버(120)는 타임 슬라이스 영상의 생성 요청에 대응하는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기준 카메라에서 촬영된 촬영 영상 및 기준 카메라로부터 기설정된 좌우 거리 이내에 위치한 카메라에서 촬영된 촬영 영상으로부터 각각 이미지를 추출하고, 추출된 각각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타임 슬라이스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영상 제공 서버(120)는 생성된 타임 슬라이스 영상을 사용자 단말(13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30)이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받으면, 사용자 단말(130)은 영상 제공 서버(120)로부터 선택된 컨텐츠와 관련하여 복수의 카메라(110)에 의해 각각의 시점에서 촬영된 복수의 촬영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복수의 컨텐츠는 공연 컨텐츠 또는 스포츠 경기 컨텐츠에 대한 다수의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30)은 복수의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기준 카메라로 선택하고, 선택된 기준 카메라에 대응하는 촬영 영상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130)은 복수의 카메라(110)에 대한 리스트를 디스플레이에 더 표시하고, 변경된 기준 카메라를 리스트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30)은 터치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드래그 입력에 의해 기존에 선택된 기준 카메라로부터 인접한 카메라로 이동함으로써 복수의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선택받아 기준 카메라를 변경하고, 변경된 기준 카메라의 시점에 대응하는 촬영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30)은 영상 제공 서버(120)로부터 복수의 카메라(110)에 대응하는 각각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기준 카메라가 변경되는 경우, 변경된 기준 카메라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가이드 이미지를 더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30)은 리스트와 같이 가이드 이미지를 전체 화면 모드로 표시하는 제 1 표시 모드 또는 리스트의 표시 없이 가이드 이미지를 최소화 모드로 표시하는 제 2 표시 모드에 따라 가이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가이드 이미지는 복수의 카메라가 설치된 촬영 장소 및 촬영 장소에서 변경된 기준 카메라의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보여지는 화각 정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130)은 드래그 입력에 의해 기준 카메라가 변경되는 동안에 변경된 기준 카메라에 대응하는 촬영 영상의 재생을 정지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130)은 드래그 입력에 의해 기준 카메라가 변경되는 동안에 변경된 기준 카메라에 대응하는 촬영 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30)은 사용자로부터 타임 슬라이스 영상의 생성 요청을 입력받은 경우, 기준 카메라에서 촬영된 촬영 영상 및 기준 카메라로부터 기설정된 좌우 거리 이내에 위치한 카메라에서 촬영된 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타임 슬라이스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30)은 타임 슬라이스 영상의 생성 요청에 대응하는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기준 카메라에서 촬영된 촬영 영상 및 기준 카메라로부터 기설정된 좌우 거리 이내에 위치한 카메라에서 촬영된 촬영 영상으로부터 각각 이미지를 추출하고, 추출된 각각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타임 슬라이스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30)은 사용자로부터 타임 슬라이스 영상의 생성 요청을 입력받은 경우, 선택된 기준 카메라의 정보를 영상 제공 서버(120)로 전송하고, 기준 카메라에서 촬영된 촬영 영상 및 기준 카메라로부터 기설정된 좌우 거리 이내에 위치한 카메라에서 촬영된 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생성된 타임 슬라이스 영상을 영상 제공 서버(1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공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영상 제공 서버(120)는 전송부(210), 수신부(220) 및 타임 슬라이스 영상 생성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송부(210)는 사용자 단말(130)에 의해 복수의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받는 경우, 선택된 컨텐츠와 관련하여 복수의 카메라(110)에 의해 각각의 시점에서 촬영된 복수의 촬영 영상을 사용자 단말(1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전송부(210)는 복수의 촬영 영상을 사용자 단말(130)로 스트리밍할 수 있다.
전송부(210)는 사용자 단말(130)로 복수의 카메라(110)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송부(210)는 복수의 카메라(110)에 대한 식별 정보로서 카메라 ID를 사용자 단말(13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30)에서 표시될 가이드 이미지 및 화각 정보에 이용되도록 촬영 장소에 설치된 복수의 카메라(110)에 대응하는 각각의 위치 정보를 사용자 단말(13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전송부(210)는 실시간 컨텐츠의 경우, 카메라 상태에 대한 상태 정보(예를 들어, 온/오프/준비/녹화 상태)를 사용자 단말(130)로 전송할 수 있다.
전송부(210)는 타임 슬라이스 영상 생성부(230)에서 생성된 타임 슬라이스 영상을 사용자 단말(130)로 전송할 수 있다.
수신부(220)는 사용자 단말(130)을 통해 타임 슬라이스 영상의 생성 요청을 입력받은 경우, 기준 카메라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13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부(220)는 복수의 카메라(110)가 '1번 내지 30번 카메라'를 포함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30)로부터 기준 카메라로서 '7번 카메라'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기준 카메라는 복수의 카메라(110)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된 것이고, 선택된 기준 카메라에 대응하는 촬영 영상은 사용자 단말(130)을 통해 표시되는 것일 수 있다. 또는, 기준 카메라는 사용자 단말(130)의 터치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드래그 입력에 의해 기존에 선택된 기준 카메라로부터 인접한 카메라로 이동됨으로써 복수의 카메라(110) 중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선택받아 변경된 것이고, 변경된 기준 카메라의 시점에 대응하는 촬영 영상은 사용자 단말(130)을 통해 표시되는 것일 수 있다.
타임 슬라이스 영상 생성부(230)는 기준 카메라의 정보에 기초하여 기준 카메라에서 촬영된 촬영 영상 및 기준 카메라로부터 기설정된 좌우 거리 이내에 위치한 카메라에서 촬영된 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타임 슬라이스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임 슬라이스 영상 생성부(230)는 타임 슬라이스 영상의 생성 요청에 대응하는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기준 카메라에서 촬영된 촬영 영상 및 기준 카메라로부터 기설정된 좌우 거리 이내에 위치한 카메라에서 촬영된 촬영 영상으로부터 각각 이미지를 추출하고, 추출된 각각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타임 슬라이스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좌우 거리가 n=2로 설정된 경우, 타임 슬라이스 영상 생성부(230)는 기준 카메라로부터 좌측에 위치한 카메라 중 2번째 카메라까지의 촬영 영상 및 기준 카메라로부터 우측에 위치한 카메라 중 2번째 카메라까지의 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타임 슬라이스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이 타임 슬라이스 영상을 직접 생성할 수 있는 경우, 영상 제공 서버(120)는 타임 슬라이스 영상 생성부(23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공 서버에서 타임 슬라이스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공 서버(120)에 의해 수행되는 타임 슬라이스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타임 슬라이스 영상 제공 시스템(1)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공 서버(120)에 의해 수행되는 타임 슬라이스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에도 적용된다.
단계 S310에서 영상 제공 서버(120)는 복수의 카메라(110)에 의해 각각의 시점에서 촬영된 복수의 촬영 영상을 사용자 단말(130)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320에서 영상 제공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30)을 통해 타임 슬라이스 영상의 생성 요청을 입력받은 경우, 기준 카메라 정보를 사용자 단말(13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330에서 영상 제공 서버(120)는 기준 카메라의 정보에 기초하여 기준 카메라에서 촬영된 촬영 영상 및 기준 카메라로부터 기설정된 좌우 거리 이내에 위치한 카메라에서 촬영된 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타임 슬라이스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340에서 영상 제공 서버(120)는 생성된 타임 슬라이스 영상을 사용자 단말(130)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310 내지 S34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전환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30)은 컨텐츠 선택부(410), 수신부(420), 기준 카메라 선택부(430), 표시부(440) 및 타임 슬라이스 영상 생성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선택부(410)는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받을 수 있다.
수신부(420)는 컨텐츠 선택부(410)에서 선택된 컨텐츠와 관련하여 영상 제공 서버(120)로부터 복수의 카메라(110)에 의해 각각의 시점에서 촬영된 복수의 촬영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부(420)는 복수의 스포츠 경기 컨텐츠 중 야구 경기를 복수의 카메라(110)에 의해 각각의 시점에서 촬영된 복수의 촬영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수신부(420)는 영상 제공 서버(120)로부터 복수의 카메라(110)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부(420)는 영상 제공 서버(120)로부터 복수의 카메라(110)에 대한 식별 정보로서 카메라 ID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수신부(420)는 영상 제공 서버(120)로부터 가이드 이미지 및 화각 정보에 이용되도록 촬영 장소에 설치된 복수의 카메라(110)에 대응하는 각각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수신부(420)는 실시간 컨텐츠의 경우, 카메라 상태에 대한 상태 정보(예를 들어, 온/오프/준비/녹화 상태)를 수신할 수 있다.
기준 카메라 선택부(430)는 복수의 카메라(110) 중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기준 카메라로 선택할 수 있다. 기준 카메라 선택부(430)는 터치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드래그 입력에 의해 기존에 선택된 기준 카메라로부터 인접한 카메라로 이동함으로써 복수의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선택받아 기준 카메라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카메라 선택부(430)는 복수의 카메라(110)가 '1번 내지 30번 카메라'를 포함하는 경우, 드래그 입력을 통해 기준 카메라를 '7번 카메라'로 선택할 수 있다.
표시부(440)는 선택된 기준 카메라에 대응하는 촬영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440)는 변경된 기준 카메라의 시점에 대응하는 촬영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440)는 기준 카메라로 선택된 '7번 카메라'의 촬영 영상을 표시하고, 기준 카메라가 '11번 카메라'로 변경된 경우, '11번 카메라'의 촬영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표시부(440)는 드래그 입력에 의해 기준 카메라가 변경되는 동안에 변경된 기준 카메라에 대응하는 촬영 영상의 재생을 정지할 수도 있고, 재생을 지속할 수도 있다.
표시부(440)는 기준 카메라 변경된 경우, 변경된 기준 카메라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가이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가이드 이미지는 복수의 카메라(110)가 설치된 촬영 장소 및 촬영 장소에서 변경된 기준 카메라의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보여지는 화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440)는 복수의 카메라(110)에 대한 리스트를 표시하고, 변경되는 기준 카메라를 리스트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440)는 리스트와 같이 가이드 이미지를 전체 화면 모드로 표시하는 제 1 표시 모드 또는 리스트의 표시 없이 가이드 이미지를 최소화 모드로 표시하는 제 2 표시 모드에 따라 가이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타임 슬라이스 영상 생성부(450)는 타임 슬라이스 영상의 생성 요청을 입력받은 경우, 기준 카메라에서 촬영된 촬영 영상 및 기준 카메라로부터 기설정된 좌우 거리 이내에 위치한 카메라에서 촬영된 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타임 슬라이스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타임 슬라이스 영상 생성부(450)는 타임 슬라이스 영상의 생성 요청에 대응하는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기준 카메라에서 촬영된 촬영 영상 및 기준 카메라로부터 기설정된 좌우 거리 이내에 위치한 카메라에서 촬영된 촬영 영상으로부터 각각 이미지를 추출하고, 추출된 각각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타임 슬라이스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좌우 거리가 n=2로 설정된 경우, 타임 슬라이스 영상 생성부(450)는 기준 카메라의 촬영 영상, 기준 카메라로부터 좌측에 위치한 카메라 중 2번째 카메라까지의 촬영 영상 및 기준 카메라로부터 우측에 위치한 카메라 중 2번째 카메라까지의 촬영 영상으로부터 각각 이미지를 추출하고, 추출된 각각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타임 슬라이스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타임 슬라이스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30)에 의해 수행되는 타임 슬라이스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타임 슬라이스 영상 제공 시스템(1)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30)에 의해 수행되는 타임 슬라이스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에도 적용된다.
단계 S510에서 사용자 단말(130)은 영상 제공 서버(120)로부터 복수의 카메라(110)에 의해 각각의 시점에서 촬영된 복수의 촬영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520에서 사용자 단말(130)은 복수의 카메라(110) 중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기준 카메라로 선택할 수 있다.
단계 S530에서 사용자 단말(130)은 선택된 기준 카메라에 대응하는 촬영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단계 S540에서 사용자 단말(130)은 타임 슬라이스 영상의 생성 요청을 받은 경우, 기준 카메라에서 촬영된 촬영 영상 및 기준 카메라로부터 기설정된 좌우 거리 이내에 위치한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타임 슬라이스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510 내지 S54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전환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30)은 컨텐츠 선택부(610), 수신부(620), 기준 카메라 선택부(630), 표시부(640), 전송부(650) 및 타임 슬라이스 영상 수신부(6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컨텐츠 선택부(610), 수신부(620), 기준 카메라 선택부(630) 및 표시부(640)에 대한 기능은 도 4에 도시된 컨텐츠 선택부(410), 수신부(420), 기준 카메라 선택부(430) 및 표시부(440)의 기능과 동일하므로, 해당 기능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전송부(650)는 타임 슬라이스 영상의 생성 요청을 입력받은 경우, 선택된 기준 카메라의 정보를 영상 제공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타임 슬라이스 영상 수신부(660)는 기준 카메라에서 촬영된 촬영 영상 및 기준 카메라로부터 기설정된 좌우 거리 이내에 위치한 카메라에서 촬영된 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생성된 타임 슬라이스 영상을 영상 제공 서버(1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타임 슬라이스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30)에 의해 수행되는 타임 슬라이스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타임 슬라이스 영상 제공 시스템(1)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30)에 의해 수행되는 타임 슬라이스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에도 적용된다.
단계 S710에서 사용자 단말(130)은 영상 제공 서버(120)로부터 복수의 카메라에 의해 각각의 시점에서 촬영된 복수의 촬영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720에서 사용자 단말(130)은 복수의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기준 카메라로 선택할 수 있다.
단계 S730에서 사용자 단말(130)은 선택된 기준 카메라에 대응하는 촬영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단계 S740에서 사용자 단말(130)은 타임 슬라이스 영상의 생성 요청을 입력받은 경우, 선택된 기준 카메라의 정보를 영상 제공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750에서 사용자 단말(130)은 기준 카메라에서 촬영된 촬영 영상 및 기준 카메라로부터 기설정된 좌우 거리 이내에 위치한 카메라에서 촬영된 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생성된 타임 슬라이스 영상을 영상 제공 서버(1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710 내지 S75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전환될 수도 있다.
도 8a 내지 도 8h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타임 슬라이스 영상을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메인 화면을 도시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30)은서 타임 슬라이스 영상의 생성을 위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 후, 메인 화면(800)에 표시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타임 슬라이스 영상을 생성할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30)은 사용자로부터 타임 슬라이스 영상의 생성을 위해 쇼트 트랙(801), 피겨 스케이팅(802), 야구(803) 중 어느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130)에서 피겨 스케이팅(802)을 선택받은 경우, 사용자 단말(130)은 피겨 스케이팅(802)을 촬영한 대표 영상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타임 슬라이스 영상 생성을 요청받는 입력 화면을 도시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8b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30)은 대표 영상의 재생 중 특정 시점에서의 타임 슬라이스 영상을 생성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30)은 터치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810)을 수신함으로써, 타임 슬라이스 영상의 생성을 위한 단계로 진입할 수 있다.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타임 슬라이스 영상 생성을 요청받는 입력 화면을 도시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8c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30)은 대표 영상의 재생 중 특정 시점에서의 타임 슬라이스 영상을 생성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30)은 시점 선택 버튼(820)을 입력받음으로써, 타임 슬라이스 영상의 생성을 위한 단계로 진입할 수 있다.
도 8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타임 슬라이스 생성 화면을 도시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8b 내지 도 8d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30)은 대표 영상의 재생 중 특정 시점에서 터치 입력(810) 또는 시점 선택 버튼(820)을 입력받은 경우, 타임 슬라이스 생성 화면에 진입할 수 있다.
도 8d를 참조하면, 타임 슬라이스 생성 화면에 진입한 경우, 사용자 단말(130)은 복수의 카메라에 대한 리스트(830)를 대표 영상의 하단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30)은 대표 영상 위에 가이드 이미지(850)를 오버레이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재생 중인 대표 영상의 기준 카메라가 '10번 카메라'(840)인 경우, 사용자 단말(130)은 복수의 카메라(110)가 설치된 촬영 장소(850) 및 촬영 장소에서 '10번 카메라'(840)에 대한 화각 정보(855)를 포함하는 가이드 이미지(805)를 대표 영상에 오버레이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8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기준 카메라를 변경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8e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30)은 터치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드래그 입력(860)을 통해 도 8d에서 기준 카메라로 선택된 '10번 카메라'(840)를 '13번 카메라'(865)로 변경하고, 변경된 카메라의 시점에 대응하는 촬영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8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타임 슬라이스 영상을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8f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30)은 사용자로부터 타임 슬라이스 영상 생성 및 재생 버튼(870)을 입력받으면 변경된 카메라를 기준 카메라로 하는 타임 슬라이스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전체 3분의 동영상 중 특정 재생 시점인 1분경에 타임 슬라이스 영상 생성 및 재생 버튼(870)을 입력받고, 기준 카메라로부터 좌우 거리 이내가 n=2로 설정된 경우, 사용자 단말(130)은 타임 슬라이스 영상의 생성을 요청받은 해당 시점에 대해 기준 카메라로부터 좌측에 위치한 두 대의 카메라 및 우측에 위치한 두 대의 카메라'의 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타임 슬라이스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도 8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옵션 설정 화면을 도시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8g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30)은 옵션 설정 화면(880)을 통해 타임 스탑(881), 미니맵(882) 및 맵 투명성(883)을 설정할 수 있다.
타임 스탑(881)은 예를 들어, 오프(off)로 설정된 경우, 사용자 단말(130)은 드래그 입력에 의해 기준 카메라가 변경되는 동안에 변경된 카메라에 대응하는 촬영 영상의 재생을 정지하고, 타임 스탑(881)이 온(on)으로 설정된 경우, 변경된 기준 카메라에 대응하는 촬영 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미니맵(882)은 예를 들어, 오프(off)로 설정된 경우, 사용자 단말(130)은 가이드 이미지를 전체 화면 모드로 표시하고, 온(on)으로 설정된 경우, 사용자 단말(130)은 가이드 이미지를 최소화 모드로 표시할 수 있다.
맵 투명성(883)은 촬영 영상에 표시될 가이드 이미지의 투명도를 바를 이용하여 설정할 수 있다.
도 8h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미니맵 설정 여부에 따라 표시된 가이드 이미지를 도시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8h를 참조하면, 미니맵(882)이 오프(off)로 설정된 경우, 사용자 단말(130)은 가이드 이미지를 전체 화면 모드(890)로 표시하고, 온(on)으로 설정된 경우, 사용자 단말(130)은 가이드 이미지를 최소화 모드(895)로 표시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임 슬라이스 영상 제공 시스템에서 타임 슬라이스 영상을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타임 슬라이스 영상 제공 시스템(1)은 복수의 카메라(110), 영상 제공 서버(120) 및 사용자 단말(13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카메라(110)는 각각의 시점에서 영상을 촬영하고(S901), 각각의 카메라에서 촬영한 촬영 영상을 영상 제공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S902).
영상 제공 서버(120)는 복수의 카메라(110)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촬영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S903).
사용자 단말(130)은 타임 슬라이스 영상의 생성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S904).
사용자 단말(130)은 복수의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고(S905), 선택된 컨텐츠와 관련하여 복수의 카메라(110)에 의해 촬영된 복수의 촬영 영상을 영상 제공 서버(120)로 요청할 수 있다(S906).
영상 제공 서버(120)는 복수의 촬영 영상을 스트리밍으로 사용자 단말(130)에게 전송할 수 있다(S907).
사용자 단말(130)은 복수의 카메라(110) 중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기준 카메라로 선택하고(S908), 선택된 기준 카메라에 대응하는 촬영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S909).
사용자 단말(130)은 사용자로부터 타임 슬라이스 영상의 생성 요청을 입력받으면(S910), 타임 슬라이스 영상의 생성 요청에 대응하는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기준 카메라에서 촬영된 촬영 영상 및 기준 카메라로부터 기설정된 좌우 거리 이내에 위치한 카메라에서 촬영된 촬영 영상으로부터 각각 이미지를 추출하고(S911), 추출된 각각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타임 슬라이스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S912).
사용자 단말(130)은 생성된 타임 슬라이스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S913).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901 내지 S913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전환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타임 슬라이스 영상 제공 시스템에서 타임 슬라이스 영상을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타임 슬라이스 영상 제공 시스템(1)은 복수의 카메라(110), 영상 제공 서버(120) 및 사용자 단말(13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카메라(110)는 각각의 시점에서 영상을 촬영하고(S1001), 각각의 카메라에서 촬영한 촬영 영상을 영상 제공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S1002).
영상 제공 서버(120)는 복수의 카메라(110)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촬영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S1003).
사용자 단말(130)은 타임 슬라이스 영상의 생성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S1004).
사용자 단말(130)은 복수의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고(S1005), 선택된 컨텐츠와 관련하여 복수의 카메라(110)에 의해 촬영된 복수의 촬영 영상을 영상 제공 서버(120)로 요청할 수 있다(S1006).
영상 제공 서버(120)는 복수의 촬영 영상을 스트리밍으로 사용자 단말(130)에게 전송할 수 있다(S1007).
사용자 단말(130)은 복수의 카메라(110) 중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기준 카메라로 선택하고(S1008), 선택된 기준 카메라에 대응하는 촬영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S1009).
사용자 단말(130)은 사용자로부터 타임 슬라이스 영상의 생성 요청을 입력받으면(S1010), 선택된 기준 카메라의 정보를 영상 제공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S1011).
영상 제공 서버(120)는 타임 슬라이스 영상의 생성 요청에 대응하는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기준 카메라에서 촬영된 촬영 영상 및 기준 카메라로부터 기설정된 좌우 거리 이내에 위치한 카메라에서 촬영된 촬영 영상으로부터 각각 이미지를 추출하고(S1012), 추출된 각각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타임 슬라이스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S1013). 영상 제공 서버(120)는 생성된 타임 슬라이스 영상을 사용자 단말(130)로 전송할 수 있다(S1014).
사용자 단말(130)은 생성된 타임 슬라이스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S1015).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1001 내지 S1015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전환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10을 통해 설명된 영상 제공 서버 및 사용자 단말에서 타임 슬라이스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10을 통해 설명된 영상 제공 서버 및 사용자 단말에서 타임 슬라이스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복수의 카메라
120: 영상 제공 서버
130: 사용자 단말
210: 전송부
220: 수신부
230: 타임 슬라이스 영상 생성부
410: 컨텐츠 선택부
420: 수신부
430: 기준 카메라 선택부
440: 표시부
450: 타임 슬라이스 영상 생성부
610: 컨텐츠 선택부
620: 수신부
630: 기준 카메라 선택부
640: 표시부
650: 전송부
660: 타임 슬라이스 영상 수신부

Claims (16)

  1. 타임 슬라이스 영상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영상 제공 서버로부터 복수의 카메라에 의해 각각의 시점에서 촬영된 복수의 촬영 영상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복수의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기준 카메라로 선택하는 기준 카메라 선택부;
    상기 선택된 기준 카메라에 대응하는 촬영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타임 슬라이스 영상의 생성 요청을 입력받은 경우, 상기 기준 카메라에서 촬영된 촬영 영상 및 상기 기준 카메라로부터 기설정된 좌우 거리 이내에 위치한 카메라에서 촬영된 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타임 슬라이스 영상을 생성하는 타임 슬라이스 영상 생성부
    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2.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받는 컨텐츠 선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영상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선택된 컨텐츠와 관련하여 복수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복수의 촬영 영상을 수신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카메라 선택부는 터치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드래그 입력에 의해 기존에 선택된 기준 카메라로부터 인접한 카메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선택받아 기준 카메라를 변경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변경된 기준 카메라의 시점에 대응하는 촬영 영상을 표시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복수의 카메라에 대응하는 각각의 위치 정보를 더 수신하고,
    상기 기준 카메라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표시부는 상기 변경된 기준 카메라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가이드 이미지를 더 표시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이미지는 상기 복수의 카메라가 설치된 촬영 장소 및 상기 촬영 장소에서 상기 변경된 기준 카메라의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보여지는 화각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복수의 카메라에 대한 리스트를 더 표시하고,
    상기 변경되는 기준 카메라를 상기 리스트를 통해 표시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리스트와 같이 상기 가이드 이미지를 전체 화면 모드로 표시하는 제 1 표시 모드 또는 상기 리스트의 표시 없이 상기 가이드 이미지를 최소화 모드로 표시하는 제 2 표시 모드에 따라 상기 가이드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사용자 단말.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드래그 입력에 의해 기준 카메라가 변경되는 동안에 상기 변경된 기준 카메라에 대응하는 촬영 영상의 재생을 정지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드래그 입력에 의해 기준 카메라가 변경되는 동안에 상기 변경된 기준 카메라에 대응하는 촬영 영상을 재생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임 슬라이스 영상 생성부는 상기 타임 슬라이스 영상의 생성 요청에 대응하는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 카메라에서 촬영된 촬영 영상 및 상기 기준 카메라로부터 기설정된 좌우 거리 이내에 위치한 카메라에서 촬영된 촬영 영상으로부터 각각 이미지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각각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타임 슬라이스 영상을 생성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
  11. 타임 슬라이스 영상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영상 제공 서버로부터 복수의 카메라에 의해 각각의 시점에서 촬영된 복수의 촬영 영상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복수의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기준 카메라로 선택하는 기준 카메라 선택부;
    상기 선택된 기준 카메라에 대응하는 촬영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타임 슬라이스 영상의 생성 요청을 입력받은 경우, 상기 선택된 기준 카메라의 정보를 상기 영상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전송부; 및
    상기 기준 카메라에서 촬영된 촬영 영상 및 상기 기준 카메라로부터 기설정된 좌우 거리 이내에 위치한 카메라에서 촬영된 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생성된 타임 슬라이스 영상을 상기 영상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타임 슬라이스 영상 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
  12. 타임 슬라이스 영상을 제공하는 영상 제공 서버에 있어서,
    복수의 카메라에 의해 각각의 시점에서 촬영된 복수의 촬영 영상을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타임 슬라이스 영상의 생성 요청을 입력받은 경우, 기준 카메라의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기준 카메라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 카메라에서 촬영된 촬영 영상 및 상기 기준 카메라로부터 기설정된 좌우 거리 이내에 위치한 카메라에서 촬영된 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타임 슬라이스 영상을 생성하는 타임 슬라이스 영상 생성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생성된 타임 슬라이스 영상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기준 카메라는 상기 복수의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된 것이고, 상기 선택된 기준 카메라에 대응하는 촬영 영상은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표시되는 것인, 영상 제공 서버.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는 상기 복수의 촬영 영상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스트리밍하는 것인, 영상 제공 서버.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타임 슬라이스 영상 생성부는 상기 타임 슬라이스 영상의 생성 요청에 대응하는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 카메라에서 촬영된 촬영 영상 및 상기 기준 카메라로부터 기설정된 좌우 거리 이내에 위치한 카메라에서 촬영된 촬영 영상으로부터 각각 이미지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각각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타임 슬라이스 영상을 생성하는 것인, 영상 제공 서버.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카메라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터치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드래그 입력에 의해 기존에 선택된 기준 카메라로부터 인접한 카메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복수의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선택받아 변경된 것이고, 상기 변경된 기준 카메라의 시점에 대응하는 촬영 영상은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표시되는 것인, 영상 제공 서버.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복수의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받는 경우,
    상기 전송부는 상기 선택된 컨텐츠와 관련하여 복수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복수의 촬영 영상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인, 영상 제공 서버.
KR1020160158669A 2016-11-25 2016-11-25 타임 슬라이스 영상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및 영상 제공 서버 KR1021870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669A KR102187016B1 (ko) 2016-11-25 2016-11-25 타임 슬라이스 영상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및 영상 제공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669A KR102187016B1 (ko) 2016-11-25 2016-11-25 타임 슬라이스 영상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및 영상 제공 서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9281A true KR20180059281A (ko) 2018-06-04
KR102187016B1 KR102187016B1 (ko) 2020-12-04

Family

ID=62628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8669A KR102187016B1 (ko) 2016-11-25 2016-11-25 타임 슬라이스 영상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및 영상 제공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70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1162B1 (ko) * 2019-09-17 2020-10-28 주식회사 픽셀스코프 타임 슬라이스 영상 생성 방법 및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1868B1 (ko) * 2013-11-12 2015-04-20 한국과학기술원 다중 카메라 디바이스를 활용한 멀티미디어 촬영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50050172A (ko) * 2013-10-31 2015-05-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관심 객체 추적을 위한 다중 카메라 동적 선택 장치 및 방법
KR20160081530A (ko) * 2014-12-31 2016-07-08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복수의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관리하는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662560B1 (ko) * 2015-04-23 2016-10-05 김상진 카메라 기능 설정과 영상 촬영을 동시에 수행하는 카메라 셔터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0172A (ko) * 2013-10-31 2015-05-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관심 객체 추적을 위한 다중 카메라 동적 선택 장치 및 방법
KR101511868B1 (ko) * 2013-11-12 2015-04-20 한국과학기술원 다중 카메라 디바이스를 활용한 멀티미디어 촬영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60081530A (ko) * 2014-12-31 2016-07-08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복수의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관리하는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662560B1 (ko) * 2015-04-23 2016-10-05 김상진 카메라 기능 설정과 영상 촬영을 동시에 수행하는 카메라 셔터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1162B1 (ko) * 2019-09-17 2020-10-28 주식회사 픽셀스코프 타임 슬라이스 영상 생성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7016B1 (ko) 2020-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35141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6309749B2 (ja) 画像データ再生装置および画像データ生成装置
JP5920708B2 (ja) 多視点映像ストリーム視聴システムおよび方法
WO2020181073A1 (en) Method, apparatus, terminal, capturing system and device for setting capturing devices
TWI530157B (zh) 多視角影像之顯示系統、方法及其非揮發性電腦可讀取紀錄媒體
US20150222815A1 (en) Aligning videos representing different viewpoints
KR101604250B1 (ko) 게임 동영상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
US20200388068A1 (en) System and apparatus for user controlled virtual camera for volumetric video
KR101530826B1 (ko) 360도 공간영상 재생방법 및 그 시스템
JP2022536182A (ja) データストリームを同期させるシステム及び方法
KR102069930B1 (ko) 이머전 통신 클라이언트, 서버 및 컨텐츠 뷰를 획득하는 방법
US20170225077A1 (en) Special video generation system for game play situation
KR101329057B1 (ko) 다시점 입체 동영상 송신 장치 및 방법
KR20160021706A (ko) 360도 공간영상 재생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901111B1 (ko) 삼차원 가상 공간 콘텐츠를 이용한 영상제공시스템
JP7202935B2 (ja) 注目度算出装置、注目度算出方法、および注目度算出プログラム
CN111433725B (zh) 用于基于用户位置的交互360视频回放的系统和方法
KR20190031220A (ko) Vr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12188219B (zh) 视频接收方法和装置以及视频发送方法和装置
KR101430985B1 (ko) 2d-3d 복합 차원 콘텐츠 파일을 사용하는 복합 차원 콘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 그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90019407A (ko) 타임 슬라이스 영상을 제공하는 서버, 방법 및 사용자 단말
WO2018027067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anoramic video with collaborative live streaming
KR102187016B1 (ko) 타임 슬라이스 영상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및 영상 제공 서버
CN110198457B (zh) 视频播放方法及其设备、系统、存储介质、终端、服务器
KR20130067855A (ko) 시점 선택이 가능한 3차원 가상 콘텐츠 동영상을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