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0494B1 - 대전방지 점착필름 및 대전방지 점착필름 제조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대전방지 점착필름 및 대전방지 점착필름 제조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0494B1
KR101090494B1 KR1020090040845A KR20090040845A KR101090494B1 KR 101090494 B1 KR101090494 B1 KR 101090494B1 KR 1020090040845 A KR1020090040845 A KR 1020090040845A KR 20090040845 A KR20090040845 A KR 20090040845A KR 101090494 B1 KR101090494 B1 KR 1010904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static
sensitive adhesive
weight
pressure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0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1913A (ko
Inventor
이상훈
문기정
전해상
Original Assignee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40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0494B1/ko
Publication of KR20100121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19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0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04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5Acrylic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이형필름 상에 이온계 단량체를 함유하는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다관능성 경화제 0.01~10 중량부를 함유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하여 점착층을 형성하고, 점착층 상에 제2 이형필름이 적층된 대전방지 점착필름으로서, 경시안정성이 우수하며, 0.5kV이하의 박리전압과 106~1011Ω/□표면저항을 확보하여 대전방지성능이 우수한 동시에, 점착제 조성물의 블리드 아웃(Bleed out)현상에 의해 점착제 성분이 피착제에 묻는 문제가 개선된 대전방지 점착필름 및 대전방지 점착필름 제조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유화중합, 이온계 단량체, 대전방지, 점착제 조성물, 표면저항, 박리대전압

Description

대전방지 점착필름 및 대전방지 점착필름 제조용 조성물{ANTISTAT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FILM AND COMPOSITION FOR MANUFACTURING OF PRESSURE-SENSITIVE ADHESIVE FILM}
본 발명은 대전방지 점착필름 및 상기 대전방지 점착필름 제조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이형필름에 이온계 단량체를 함유하는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다관능성 경화제가 함유된 대전방지 점착제 조성물이 적층된 구조로서, 기재필름이 사용되지 않는 대전방지 점착필름 및 대전방지 점착필름 제조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점착제는 사용상의 용이성 때문에 포장, 광학, 건축/토목, 자동차등 모든 산업에 있어서 시트, 필름, 라벨, 테이프 등의 용도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 디스플레이 산업이 활성화되면서 광학필름 영역에서도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특히, 액정 표시장치 제조시 편광판을 부착하는 공정에서 점착층으로 부터 이형필름을 박리할 경우 정전기가 발생하게 되는데, 정전기는 액정 표시장치 내부의 액정의 배향에 영향을 주어 액정 표시장치의 불량을 유발할 수 있다.
이때, 정전기 발생은 편광판의 외면에 대전 방지층을 형성하는 것으로 억제시킬 수 있으나, 그 효과가 미비하여 정전기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어, 정전기 발생의 근본적인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점착제의 대전방지 기능이 요구된다.
이에, 일반적으로 대전방지 점착제에 전기적으로 도전성이 있는 금속 분말이나 탄소입자와 같은 전도성을 갖는 물질을 첨가하는 방법, 계면활성제와 같은 이온성 물질을 점착제에 첨가하는 방법이 행하여지고 있다.
그러나, 정전기 방지성을 부여하기 위해 도전성 입자 또는 탄소가 적용될 경우 다량이 첨가되어야 하므로 점착제의 투명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계면활성제가 적용될 경우 습도에 영향받기 쉬우며, 계면활성제가 점착층 표면으로 이행하여 점착필름의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종래기술의 일례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4-0030919호에서는 감압성 점착제 및 하나 이상의 유기염을 포함하는 대전방지제를 사용하는 대전방지 감압성 점착제를 공개하고 있으며,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8-0027263호에서는 단량체 성분으로서 탄소수 1 내지 14의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를 50 내지 99.9중량% 함유하는 수분산형 (메타)아크릴계 중합체 및 이온성 액체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를 공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단분자 유기염 또는 이온성 액체를 사용하는 경우 대전방지제들이 표면으로 이행하는 것에 의해 점착제의 블리드 아웃(Bleed out)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대한민국 특허 제0757666호에서는 4급 암모늄을 형성시킬 수 있는 비닐 단량체, 1 또는 2 이상의 비닐 공단량체 그리고 카르복실기를 포함하는 단량체를 공중합시킨 공중합체와 2-이소프로필-2-옥사졸린 가교제를 포함하는 공중합체를 제조하여 공중합시킨 대전방지 점착제를 제조하였으나, 경화 사이트인 아크릴산을 3차 아민으로 중화시켜 4급 암모늄을 형성하였고, 이러한 경우 옥사졸린 가교제와의 경화밀도가 떨어지므로 안정된 응집력을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용성이 우수하면서 내구신뢰성 및 대전방지 성능이 우수한 대전방지 점착필름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종래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형필름에 이온계 단량체를 함유하는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다관능성 경화제가 함유된 점착제 조성물을 적층하여 대전방지 점착필름을 제조함으로써, 대전방지성, 내구신뢰성, 경시안정성 및 점착성이 우수하면서 점착제 성분이 점착층 표면으로 이동하여 석출되는 블리드 아웃(Bleed out) 현상이 개선됨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형필름에 이온계 단량체를 함유하는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다관능성 경화제가 최적의 비율로 함유된 점착제 조성물이 적층됨으로써, 대전방지성이 우수하면서 조성물의 블리드 아웃(Bleed out) 현상이 개선된 기재필름이 적용되지 않는 대전방지 점착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대전방지 점착필름에 적용되는 대전방지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 이형필름, 상기 제1 이형필름 상에 이온계 단량체를 함유하는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다관능성 경화제 0.01~10 중량부를 함유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하여 형성된 점착층 및 상기 점착층 상에 제2 이형필름이 적층된 대전방지 점착필름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이온계 단량체를 함유하는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는 1) 탄소수 4 내지 12의 알킬기를 갖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2) 이온계 관능기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 0.1~30중량부; 3) 카르복실기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 0.01~5.0 중량부; 및 4) 수산기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 0.05~3.0 중량부가 유화중합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이온계 관능기는 암모늄, 포스포늄, 아르소늄, 옥소늄, 술포늄, 셀레노늄, 플루오로늄 및 요오드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대전방지 점착필름은 박리전압이 0.5Kv 이하, 표면저항이 106 내지 1011 Ω/□인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본 발명은 이온계 단량체를 함유하는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다관능성 경화제 0.01~10 중량부를 함유하는 대전방지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이온계 단량체를 함유하는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는 1) 탄소수 4 내지 12의 알킬기를 갖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2) 이온계 관능기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 0.1~30중량부; 3) 카르복실기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 0.01~5.0 중량부; 및 4) 수산기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 0.05~3.0 중량부가 유화중합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이온계 관능기는 암모늄, 포스포늄, 아르소늄, 옥소늄, 술포늄, 셀레노늄, 플루오로늄 및 요오드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대전방지 점착필름은 이형필름에 유화중합에 의해 제조된 이온계 단량체를 함유하는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다관능성 경화제가 최적의 함량으로 배합된 점착제 조성물이 도포되어 점착층이 형성된 것으로서, 이온계 관능기가 고분자 주 사슬에 부착된 구조를 형성하여, 우수한 내구 신뢰성, 경시안정성, 0.5kV이하의 박리전압 및 106~1011Ω/□표면저항 수준의 대전방지성이 확보되면서, 동시에 점착제 성분이 피착제에 묻는 문제가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 이형필름 상에 이온계 단량체를 함유하는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다관능성 경화제 0.01~10 중량부를 함유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하여 점착층이 형성되고, 점착층 상에 제2 이형필름이 적층된 대전방지 점착필름으로서, 별도의 기재 없이 점착층의 상면 및 하면에 이형필름이 라미네이트된 구성이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 가운데 이온계 단량체를 함유하는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는 1) 탄소수 4 내지 12의 알킬기를 갖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100 중량부에 대하 여, 2) 이온계 관능기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 0.1~30중량부; 3) 카르복실기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 0.01~5.0 중량부; 및 4) 수산기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 0.05~3.0 중량부가 유화중합에 의해 제조된 것으로서, 소수성인 (메타)아크릴계 단량체와 친수성인 이온계 관능기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를 에멀젼 상에서 공중합하여 이온계 관능기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의 분산을 최적화할 수 있다. 이에,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대전기능을 가지는 이온계 관능기가 고분자 사슬 내에서 고르게 분포됨으로 인하여, 이를 점착층으로 적용시에 점착제가 점착층 표면으로 석출되는 블리드 아웃(Bleed out) 현상이 개선된 대전방지 점착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소수 4 내지 12의 알킬기를 갖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는 공지의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바람직한 일례로 이소옥틸 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 아크릴레이트, 2-메틸-부틸 아크릴레이트, 2-에틸-n-헥실 아크릴레이크, n-부틸 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 아크릴레이트, 헥실 아크릴레이트, n-옥틸 아크릴레이트, n-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n-노닐 아크릴레이트, 이소아밀 아크릴레이트, n-데실 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 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 메타 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 아크릴레이트, 4-메틸-2-펜틸 아크릴레이트 및 도데실 아크릴레이트가 있다.
상기 이온계 관능기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는 비닐계 단량체의 말단에 이온계 관능기가 부착된 구조를 가지고, 고분자 사슬에 연결된 상태로 점착제 조성물 내에 고르게 분포된다.
이때, 상기 이온계 관능기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는 탄소수 4 내지 12의 알킬기를 갖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30중량부 함유될 수 있으며, 함량이 0.1중량부 미만이면 충분한 대전방지 기능을 기대하기 어려우며, 30중량부를 초과하면 흡습성의 증가 및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이온계 관능기는 암모늄, 포스포늄, 아르소늄, 옥소늄, 술포늄, 셀레노늄, 플루오로늄 및 요오드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카르복실기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는 탄소수 4 내지 12의 알킬기를 갖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5.0중량부가 함유될 수 있으며, 함량이 0.01중량부 미만이면 충분한 가교구조를 형성할 수 없어 점착층의 우수한 응집력을 기대할 수 없으며, 함량이 5.0중량부를 초과하면 다관능성 경화제 첨가 후 포트라이프(Pot life)가 짧아지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이때, 상기 카르복실기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의 바람직한 일례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이며, 특히 (메타)아크릴산, 크로톤산, 푸마르산, 말레산, 이타콘산 및 글루타콘산 등이 있으며, 필요에 따라 2종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산기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는 0.05 내지 3.0 중량부 함유될 수 있으며, 함량이 0.05중량부 미만이면 충분한 가교구조를 형성할 수 없어 우수한 응집력을 기대할 수 없으며, 함량이 3.0중량부를 초과하면 다관능성 경화제 첨가 후 포트라이프 (Pot life)가 짧아지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이때, 상기 수산기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의 바람직한 일례는 (메타)아크릴레이트이며, 특히 2-하이드록시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 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4-하이드록시 부틸 (메타)아크 릴레이트가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다관능성 경화제는 이관능성 경화제에 비하여 반응시에 경화밀도를 높일 수 있으므로 점착층의 응집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다관능성 경화제는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0중량부의 사용이 바람직하며, 함량이 0.01중량부 미만이면 충분한 가교구조를 형성할 수 없어 점착층의 우수한 응집력을 기대할 수 없으며, 10중량부를 초과하면 경화제 첨가 후 점착제 조성물의 포트라이프 (Pot life)가 짧아지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다관능성 경화제는 유기계 또는 다관능성 금속 킬레이트가 사용될 수 있으며, 유기계 경화제로는 에폭시계 경화제,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이민계 가교제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다관능성 금속 킬레이트는 다가 금속이온이 유기 화합물과 공유결합 또는 배위결합을 하고 있는 구조로서, 다가 금속이온으로는 Al, Cr, Zr, Co, Cu, Fe, Ni, V, Zn, In, Ca, Mg, Mn, Y, Ce, Sr, Ba, Mo, La, Sn, Ti등을 들 수 있으며, 공유결합 또는 배위결합 하는 유기 화합물로는 알킬에스테르, 알코올 화합물, 카르복실산 화합물, 에테르 화합물, 케톤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형필름과 점착층의 밀착력을 향상시킨다는 측면에서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의 사용이 바람직하며, 그 일례로 2,4-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 4,4’-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디사이클로헥실-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시아네이트 트라이머 및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이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대전방지 점착필름에 형성된 점착층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대전방지 필름이 적용되는 피착물의 종류 또는 요구되는 점착력의 정도에 따라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점착층의 두께는 콤마코터와 이형필름 표면과의 거리로서 조절할 수 있으며, 그라비아 코트(gravure court)법, 블레이드 코트(blade court)법, 와이어 바 코트(wire bar court)법, 리버스 코트(reverse court)법, 콤마 코트(comma court)법 등의 도포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이형필름은 공지의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대전방지 점착필름은 점착제 조성물이 점착층의 표면으로 이행하여 석출되는 블리드 아웃(Bleed out) 현상이 개선됨과 동시에, 1×1012Ω/□ 이하의 표면저항과 0.5Kv 이하의 박리전압을 동시에 만족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106 내지 1×1011Ω/□ 범위의 표면저항을 만족한다.
이때, 표면저항이 1×1011Ω/□ 이상인 경우에는 대전방지 기능이 충분하지 않고, 기재필름의 박리, 광학필름의 마찰에 의해 발생된 정전기가 대전되어 액정셀의 회로파괴나 액정의 배향 불량을 야기할 수 있고, 표면저항이 1×106Ω/□ 이하인 경우는 대전방지 성분의 과포함으로 인하여 흡습성 증가 및 신뢰성의 저하를 야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이형필름에 유화중합으로 제조된 이온계 단량체를 함유하는 (메타)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다관능성 경화제를 함유하는 점착제 조성물응 도포하여 점착층이 형성된 것으로, 이온계 단량체가 점착층 내에 고르게 분포하여, 내구 신뢰성, 경시안정성 및 대전방지성이 확보됨과 동시에, 점착제 조성이 점착층 표면으로 이동하여 석출되는 블리드 아웃(Bleed out) 및 점착제 성분이 피착제에 묻는 문제가 개선된 대전방지 점착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대전방지 점착필름에 적용되는 대전방지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이온계 단량체를 함유하는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다관능성 경화제 0.01~10 중량부를 함유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온계 단량체를 함유하는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는 1) 탄소수 4 내지 12의 알킬기를 갖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2) 이온계 관능기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 0.1~30중량부; 3) 카르복실기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 0.01~5.0 중량부; 및 4) 수산기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 0.05~3.0 중량부가 유화중합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이온계 관능기는 암모늄, 포스포늄, 아르소늄, 옥소늄, 술포늄, 셀레노늄, 플루오로늄 및 요오드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대전방지 점착제 조성물에 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앞서 기재된 내용과 동일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 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1. ( 메타 )아크릴계 공중합체 제조
고속교반기, 적정기, 냉각장치 및 온도계가 장착된 1L 반응기에 n-부틸아크릴레이트(조성A) 90중량%, 아크릴산(조성B) 3중량%,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조성C) 2중량%, 2-(아크릴로일옥시) 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조성D) 5중량%를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증류수 200 중량부 및 포타슘 퍼설페이트 1 중량부를 투입한 후, 상온에서 고속교반기로 교반시킨 후 질소가스로 1시간 동안 환류시킨 다음 40~60℃에서 6시간 동안 유화중합시켜 이온계 단량체 함유 (메타) 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를 제조하였다.
2. 대전방지 점착필름 제조
상기 제조된 이온계 단량체 함유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5중량%의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성분2)를 초산에틸에 용해시켜 비휘발성 함량 20중량%의 (메타)아크릴계 대전방지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한 후, 중박리 이형필름 (RPC-101, (주)도레이새한)에 25㎛로 코팅하고 건조시켜 점착층을 형성하고, 점착층 상에 경박리 이형필름 (RPS-101, ㈜ 도레이새한)과 합지하여 대전방지 점착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제조에 있어서, 2-(아크릴로일옥시)트리메틸아모늄 클로라이드(조성D) 대신 (4-비닐벤질)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조성E)를 적용하여 이 온계 단량체 함유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를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대전방지 점착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제조에 있어서, 2-(아크릴로일옥시)트리메틸아모늄 클로라이드(조성D) 대신 (3-(2-(6-포밀-피리딘-2-일)-벤질)-트리페닐-포스포늄 브로마이드(조성F)를 적용하여 이온계 단량체 함유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를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대전방지 점착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제조에 있어서, n-부틸아크릴레이트(조성A) 88중량%, 아크릴산(조성B) 3중량%,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조성C) 2중량% 및 2-(아크릴로일옥시) 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조성D) 7중량%를 혼합하여 이온계 단량체 함유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를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대전방지 점착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제조에 있어서, n-부틸아크릴레이트(조성A) 85중량%, 아크릴산(조성B) 3중량%,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조성C) 2중량% 및 2-(아크릴로일옥시) 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조성D) 10중량%를 혼합하여 이온계 단량체 함유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를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대전방지 점착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제조에 있어서, 2-(아크릴로일옥시)트리메틸아모늄 클로라이드(조성D) 대신 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조성G)를 적용하여 공중합체 수지를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대전방지 점착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제조에 있어서, n-부틸아크릴레이트(조성A) 88중량%, 아크릴산(조성B) 3중량%,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조성C) 2중량% 및 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조성G) 7중량%를 적용하여 공중합체 수지를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대전방지 점착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제조에 있어서, n-부틸아크릴레이트(조성A) 85중량%, 아크릴산(조성B) 3중량%,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조성C) 2중량% 및 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조성G) 10중량%를 적용하여 공중합체 수지를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대전방지 점착필름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09028117899-pat00001
< 실험예 >
1. 박리력 측정
대전방지 점착필름의 경박리 이형필름을 제거한 후 100mm PET 필름에 2kg 롤로 1회 왕복하여 부착시킨다. 이후 중박리 이형필름을 제거한 다음 비-알칼리성 유리판에 동일한 방법으로 부착시킨다. 점착필름이 부착된 유리판을 50℃, 0.5 MPa 조건에서 30분 동안 오토클레이브 처리 한 후, 상온에서 2시간 동안 방치하고, 인스트론 측정 장비를 사용하여 박리각도 180o, 속도 300mm/min 조건하에 전단강도를 측정하였다.
2. 표면저항 측정
대전방지 점착필름을 200mm × 200mm 크기의 샘플로 제조한 후, 이형필름을 제거하고 23℃, 50% 상대습도환경하에서 저항율계(트렉 사, 152-CE-EX 제품)를 이용하여 100V의 전압을 1분간 인가하여 점착층의 표면저항을 3회 이상 측정하여 그 평균값을 기재하였다.
3. 박리대전압 측정
대전방지 점착필름의 이형필름을 30m/분의 속도로 박리하는 동안 표면으로부터 30㎜ 높이에서 정전압 측정기(Statiron-DZ3 제품)를 이용하여 발생하는 정전압을 측정하였다.
4. 경시안정성 측정
대전방지 점착필름의 이형필름을 제거하고 유리판에 부착시킨 후, 상온에서 6개월간 방치하며 숙성시간에 따른 점착력의 경시변화를 육안으로 측정하여, 변화가 심할 경우 ×(불량), 다소 심할 경우 △(보통), 거의 없을 경우 ○(우수), 없을 경우 ◎(매우 우수)로 표기하였다.
5. 내전사성 측정
대전방지 점착필름의 이형필름을 제거하고 유리판에 부착시킨 후, 유리판에서 점착필름을 박리시키고 남아있는 점착제의 전사정도를 육안으로 측정하여, 심할 경우 ×(불량), 조금 있을 경우 △(보통), 거의 없을 경우 ○(우수), 전혀 없을 경우 ◎(매우 우수)로 표기하였다.
6. 블리드 아웃 측정
대전방지 점착필름의 이형필름을 제거하고 유리판에 부착시킨 후, 유리판을 60oC, 습도 95%조건에서 신뢰성 챔버에 500시간 방치한 후 유리판으로부터 점착시트를 박리시키고 박리된 점착제의 표면층 접촉각을 측정하여 점착제 조성물의 표면으로의 이행정도를 측정하여, 접촉각이 50o 이하일 경우는 × (불량), 50o ~ 60o 일 경우는 △(보통), 60o ~ 70o 일 경우는 ○(우수), 70o 이상일 경우는 ◎(매우 우수)로 표기하였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겔분율(%) 90 88 92 87 85 89 85 81
접착력(gf/inch) 84 65 72 58 45 65 72 58
표면저항(Ω/□) 9.8×1010 8.5×1010 8.9×1010 2.3×109 4.8×109 3.8×1011 5.2×1011 2.8×1010
박리대전압(kV) 0.35 0.23 0.42 0.21 0.16 0.46 0.31 0.30
경시안정성 ×
내전사성 ×
내블리드아웃성 ×
상기 실험결과에 의하면, 이온계 단량체 함유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가 적용된 실시예 1 내지 5의 경우 저분자량의 대전방지제를 함유하는 비교예 1 내지 3에 비하여 경시안정성, 내전사성 및 박리대전압이 우수하며, 습열 신뢰성 조건 (60℃, 95%습도, 500시간 방치)하에서 점착제 조성물 및 대전방지제가 표면으로 이동하여 석출되는 블리드 아웃(Bleed out)의 문제가 개선됨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비교예 1 내지 3의 일반적인 대전방지제를 적용한 경우, 대전방지제의 양이 증가할수록 경시안정성 및 내전사성의 물성이 저하되며, 특히 습열 신뢰성조건에서 점착면의 박리가 발생하였고 접촉각도 측정을 통해서 접촉각의 저하, 대전방지제의 블리드 아웃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5의 경우 이온계 단량체 함유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 함량을 증가시켰을 경우에도 일반적인 대전방지제를 사용한 경우와 비교하였을 때 경시안정성, 내전사성 및 내블리드 아웃성 면에서 물성이 현저히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대전방지 점착필름은 이형필름에 유화중합에 의해 제조된 이온계 단량체 함유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다관능성 경화제를 최적의 함량으로 배합한 점착제 조성물이 적층됨으로서, 이온계 관능기가 고분자 주 사슬에 부착된 구조를 형성하여, 우수한 내구 신뢰성, 경시안정성 및 영구 대전방지성이 확보되면서 동시에 점착제 조성물이 표면으로 이행하는 블리드 아웃 (Bleed out) 및 점착제 성분이 피착제에 묻는 문제가 개선될 수 있으며, 특히 디스플레이 분야에 있어서 광학용 대전방지 점착필름으로의 적용이 우수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9)

  1. 제1 이형필름, 상기 제1 이형필름 상에 이온계 단량체를 함유하는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다관능성 경화제 0.01~10 중량부를 함유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하여 형성된 점착층 및 상기 점착층 상에 제2 이형필름이 적층된 대전방지 점착필름에 있어서,
    상기 이온계 단량체를 함유하는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는
    1) 탄소수 4 내지 12의 알킬기를 갖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2) 이온계 관능기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 0.1~30 중량부;
    3) 카르복실기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 0.01~5.0 중량부; 및
    4) 수산기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 0.05~3.0 중량부가 유화중합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대전방지 점착필름.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계 관능기가 암모늄, 포스포늄, 아르소늄, 옥소늄, 술포늄, 셀레노늄, 플루오로늄 및 요오드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대전방지 점착필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방지 점착필름의 박리전압이 0.5Kv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대전방지 점착필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방지 점착필름의 표면저항이 106 내지 1011 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대전방지 점착필름.
  6. 이온계 단량체를 함유하는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다관능성 경화제 0.01~10 중량부를 함유하는 제1항의 대전방지 점착필름 제조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이온계 단량체를 함유하는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는
    1) 탄소수 4 내지 12의 알킬기를 갖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2) 이온계 관능기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 0.1~30중량부;
    3) 카르복실기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 0.01~5.0 중량부; 및
    4) 수산기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 0.05~3.0 중량부가 유화중합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대전방지 점착필름 제조용 조성물.
  7. 삭제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계 관능기가 암모늄, 포스포늄, 아르소늄, 옥소늄, 술포늄, 셀레노늄, 플루오로늄 및 요오드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대전방지 점착필름 제조용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온도 60oC, 습도 95%조건에서 500시간 방치한 후 표면층 접촉각이 70o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대전방지 점착필름.
KR1020090040845A 2009-05-11 2009-05-11 대전방지 점착필름 및 대전방지 점착필름 제조용 조성물 KR1010904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0845A KR101090494B1 (ko) 2009-05-11 2009-05-11 대전방지 점착필름 및 대전방지 점착필름 제조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0845A KR101090494B1 (ko) 2009-05-11 2009-05-11 대전방지 점착필름 및 대전방지 점착필름 제조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1913A KR20100121913A (ko) 2010-11-19
KR101090494B1 true KR101090494B1 (ko) 2011-12-06

Family

ID=43406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0845A KR101090494B1 (ko) 2009-05-11 2009-05-11 대전방지 점착필름 및 대전방지 점착필름 제조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049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06776A (ja) * 2003-12-26 2005-08-04 Toyo Ink Mfg Co Ltd 帯電防止アクリル粘着剤
KR100708972B1 (ko) 2004-10-21 2007-04-18 주식회사 엘지화학 대전 방지성이 우수한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JP2009046535A (ja) 2007-08-14 2009-03-05 Cheil Industries Inc 光学部材用の表面保護シー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06776A (ja) * 2003-12-26 2005-08-04 Toyo Ink Mfg Co Ltd 帯電防止アクリル粘着剤
KR100708972B1 (ko) 2004-10-21 2007-04-18 주식회사 엘지화학 대전 방지성이 우수한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JP2009046535A (ja) 2007-08-14 2009-03-05 Cheil Industries Inc 光学部材用の表面保護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1913A (ko) 2010-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44048B (zh) Adhesive composition and surface protective film
JP4149473B2 (ja) 粘着剤用重合体組成物、表面保護フィルム用粘着剤組成物および表面保護フィルム
KR101092952B1 (ko)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시트
JP4776272B2 (ja) 粘着剤用重合体組成物、表面保護フィルム用粘着剤組成物および表面保護フィルム
KR101297003B1 (ko)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시트
KR101591105B1 (ko) 터치 패널용 점착 필름 및 터치 패널
EP2557135B1 (en) Adhesive composition, adhesive sheet, and touch panel
JP6725448B2 (ja) 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フィルム
TWI612117B (zh) 黏著劑組合物
KR20160063414A (ko) 점착 시트 및 적층체
JP7429752B2 (ja) 粘着剤組成物、粘着フィルム、粘着剤層付き光学フィルム、液晶パネル
JP6599619B2 (ja) 粘着シート、及び、光学部材
JP2024014940A (ja) 粘着剤組成物、粘着フィルム、粘着剤層付き偏光板及び液晶パネル
TWI741082B (zh) 黏著劑組合物及黏著膜
KR101090494B1 (ko) 대전방지 점착필름 및 대전방지 점착필름 제조용 조성물
JP6792035B2 (ja) 表面保護フィルム
JP2022125728A (ja) 粘着剤および粘着シート
JP7227691B2 (ja) 粘着剤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てなる粘着剤、偏光板用粘着剤、ならびに画像表示装置
TWI746441B (zh) 黏著性組成物、黏著劑、黏著片及顯示體
JP5695529B2 (ja) 積層体および該積層体を有するタッチパネル
KR101057666B1 (ko) 대전방지 점착제 조성물
JP7174099B2 (ja) 粘着剤組成物及び表面保護フィルム
JP7227335B2 (ja) 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フィルム
US20140349055A1 (en) Adhesive composition, adhesive sheet, and touch panel
JP2023053101A (ja) 粘着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