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0452B1 - 비상버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원격제어 경보처리시스템 - Google Patents

비상버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원격제어 경보처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0452B1
KR101090452B1 KR1020090055827A KR20090055827A KR101090452B1 KR 101090452 B1 KR101090452 B1 KR 101090452B1 KR 1020090055827 A KR1020090055827 A KR 1020090055827A KR 20090055827 A KR20090055827 A KR 20090055827A KR 101090452 B1 KR101090452 B1 KR 1010904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alarm
control alarm
point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5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7667A (ko
Inventor
최경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호서텔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호서텔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호서텔넷
Priority to KR1020090055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0452B1/ko
Publication of KR20100137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76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0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04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2Manually actuated calamity alarm transmitting arrangements emergency non-personal manually actuated alarm, activators, e.g. details of alarm push buttons mounted on an infrastructur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변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경보등에 무선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무선통신부과 비상버튼 입력부를 장착하여 비상상황 발생 시 이를 조작하여 해당 지점으로 접근하는 방향의 도로변 경보등들을 무선데이터 통신을 이용하여 동시에 점등 또는 점멸함으로서 비상상황 발생 여부를 운전자 또는 보행자에게 알려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무선통신을 위한 무선통신부, 비상상태 발보를 위한 비상버튼 입력부, 경보상태를 알리기 위한 경보등 발광부로 구성된 무선제어 경보등과 무선제어 경보등과 센터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무선기지국, 무선기지국을 통해 무선제어 경보등이 발보한 비상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활용하여 비상상황 발생 지점 주변의 무선제어 경보등을 무선기지국을 통해 제어하는 센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비상상황 발생을 인지한 인지자가 해당 지점 근처의 무선제어 경보등에 장착된 비상버튼을 조작하여 해당 지점 주변의 경보등을 직접 점등 또는 점멸 제어함으로서 비상상황 발생지점으로 접근중인 운전자 또는 보행자에게 신속하게 경보 상황을 알려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경광등, 안개등, 무선통신, 원격제어, 비상버튼

Description

비상버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원격제어 경보처리시스템{The radio remote control alarm handling system which has the emergency button}
본 발명은 무선통신과 경보등을 이용한 비상상황 발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데이터 송수신기능과 비상상태 입력기능을 가진 무선제어 경보등을 이용하여 지점정보가 포함된 비상상황 정보를 발보하고, 이를 무선기지국, 센터가 수신하여 비상상황 발보 지점을 인식해 낸 다음 자동으로 경보 발보 지역을 결정하고 무선통신을 통해 해당 지역의 무선제어 경보등을 점등, 점멸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비상상황 발생을 인지한 사람이 발생지점 전방에 직접 비상표지판을 설치하거나, 교통관리 요원이 센터에 연락하여 센터의 시설물 관리요원을 통해 전광판을 제어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방법은 비상상황을 알리는 효과가 적을 뿐만 아니라 비상상황 발생 시점에서 경보 발생 시점까지의 시간이 너무 오래 걸려 추가의 사고 를 예방하는 효과가 적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비상상황 인지자가 직접 도로변 비상상황 발보 장치를 조작하여 신속하게 비상상황 정보를 발보하고 이 정보를 이용하여 경보처리 시스템이 자동으로 도로변의 장치를 제어 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로변의 시설물에 무선통신 기능과 사용자 입력 기능을 추가하여 그 활용도를 증대할 수 있는 방법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상상황 인지자는 도로변에 설치된 경보등의 비상버튼을 조작함으로서 비상상황 발생정보를 신속하게 발보하여 해당 지점 주변의 경보등을 직접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추가 연락없이 비상상황 처리요원인 관리자에게 비상상황을 알릴 수 있어 그 처리를 신속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도로 변에 설치되는 복수의 무선제어경보등과, 상기 무선제어경보등을 제어하는 센터를 구비하는 무선원격제어 경보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무선제어경보등 각각은 비상사태발생을 입력받기 위한 비상버튼; 상기 비상버튼이 눌러진 경우 비상발보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하고, 상기 센터로부터 전송된 무선제어경보등 제어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통신부; 경보등의 점등/점멸을 제어하기 위한 발광부; 및 상기 비상버튼이 눌러진 경우 비상발보정보 및 상기 무선제어경보등의 지점ID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가 무선으로 전송되도록 상기 무선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센터로부터 전송된 무선제어경보등 제어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어신호에 포함된 상기 무선제어경보등의 지점ID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경보등발광부를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센터는 상기 무선제어경보등으로부터 전송된 비상발보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비상발보신호에 포함된 지점ID 정보와 상기 무선제어경보등 각각의 지점 ID, 실제지점, 설치지점의 상하행선을 판단하기 위한 방향 정보가 저장된 무선제어경보등별 지점 할당표로부터 상기 비상발보신호를 전송한 무선제어경보등의 실제위치 및 상기 비상발보신호를 전송한 무선제어경보등이 위치한 도로의 방향 정보를 파악하여, 자동으로 상기 비상사태가 발생된 지점 도로와 동일한 방향의 도로에 위치한 무선제어경보등 중 상기 비상사태가 발생한 지점으로 접근하는 방향에 위치한 소정 개수의 무선제어경보등에 점등/점멸을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원격제어 경보처리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도로 변에 설치되는 복수의 무선제어경보등을 이용한 무선원격제어 경보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무선제어경보등 각각은 비상사태발생을 입력받기 위한 비상버튼; 상기 비상버튼이 눌러진 경우 제1비상발보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하고, 타 무선제어경보등으로부터 전송된 상기 타무선제어경보등의 지점ID정보를 포함하는 제2비상발보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통신부; 경보등의 점등/점멸을 제어하기 위한 발광부; 및 상기 비상버튼이 눌러진 경우 비상발보정보 및 상기 무선제어경보등의 지점ID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가 무선으로 전송되도록 상기 무선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타 무선제어경보등으로부터 상기 제2비상발보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지점ID정보별 실제 설치지점에 대한 정보와 상기 제2비상발보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경보등의 점등/점멸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경보등발광부를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원격제어 경보처리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첨부된 도면을 각각의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무선제어 경보등 블록도의 일례를 설명한 것이다. 무선제어 경보등은 비상상황을 입력받기 위한 비상버튼(120), 무선제어 경보등을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 프로세스(140), 자신의 지점ID를 저장하기 위한 비휘발성 메모리(141),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통신부(150), 경보를 표시하기 위한 발광부(180)을 구비함으로서 구현된다.
도 2는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의 일례를 설명한 것이다. 시스템은 버튼입력과 무선통신이 가능한 무선제어 경보등(230,240,241,242), 무선제어 경보등과 센터(220)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무선기지국(200), 무선기지국(200)의 중계를 통해 무선제어 경보등(230,240,241,242) 을 원격제어하는 센터(220)를 구비함으로서 달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무선제어 경보등의 제어 흐름도를 설명한 것이다. 무선제어 경보등의 제어는 버튼입력을 감시(310)하고 확인하는 부분(320), 이를 확인하여 송신데이터를 송신하는 부분(350)으로 이루어진 송신처리 부분과 무선데이터 수신대기(310)하고 수신데이터 수신을 확인(330)하는 부분, 자신의 지점ID가 포함되어 있는 지 확인(340)하고 발광부를 제어하는 부분(360)을 구현함으로 달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해 무선제어 경보등이 무선기지국으로 송신하는 송신데이터의 일례이다. 송신데이터는 무선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고유한 데이터인 Preamble(400), Sync(410), 비상상황을 나타내는 비상발보(420), 무선제어 경보등의 설치지점을 나타내는 지점ID(430), 무선데이터 오류체크를 위한 Check Sum(440)을 구성함으로 구현된다.
도 5는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해 무선제어 경보등이 무선기지국에서 수신하는 수신데이터의 일례이다. 수신데이터는 무선데이터 수신을 위한 고유한 데이터인 Preamble(500), Sync(510), 발광부 제어를 위한 점등/점멸/소등 명령(520), 발광부 제어명령을 처리해야 할 무선제어 경보등의 지점ID들(530), 무선데이터 오류체크를 위한 Check Sum(540)을 구성함으로 구현된다.
도 6은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해 센터가 관리하는 무선제어 경보등별 지점 할당 표의 일례이다. 지점 할당표는 설치된 무선제어 경보등들의 지점ID(601), 설치지점의 상하행선을 판단하기 위한 방향(602), 기준지점을 기준으로 실제 설치위치를 나타내는 실제지점(603)을 구성함으로 구현된다.
상기의 도면 설명을 바탕으로 구체적인 실시 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사고(280)를 인지한 차량(270)의 운전자가 인접구간에 있는 무선제어 경보등 (240)의 비상버튼(120)을 누르면 버튼 입력을 감시(310)하던 무선제어 경보등(240)의 마이크로 프로세스(140)는 버튼 입력을 감지(320)을 한 후 도 4의 송신데이터를 구성한다. 도 4의 송신데이터에서 지점 ID(430)는 해당 무선제어 경보등(240)의 비휘발성 메모리(141)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값을 읽어 사용하며, 비상발보(420)은 센터(220)와 무선제어 경보등(240)의 통신 프로토콜 정의 시 미리 정의된 값을 사용한다. 이렇게 구성된 도 4의 송신데이터는 마이크로 프로세스(140)의 제어에 의해 무선통신부(150)을 통해 무선기지국(200)으로 송신된다. 송신된 데이터는 해당 무선제어 경보등(240)을 관할하는 무선기지국(200)에 의해 수신된다. 무선기지국(200)은 무선제어 경보등(240)이 송신한 데이터를 수신 후 이를 공중망 또는 사설망(210)을 통해 센터(220)로 중계 한다.
센터(220)는 수신한 데이터의 비상발보(420)정보에서 비상상황 발생 여부를, 지점ID(430)에서 비상상황이 발생한 실제지점(602)을 도 6의 무선제어 경보등별 지점 할당 표를 근간으로 분석해 낸다. 본 실시 예에서는 비상발보를 한 무선제어 경보등(240)의 지점ID(430)가 N(615) 이므로 방향은 상행선(616), 설치지점은 상행기준지점 + (50 x (N-1)) (617)이다. 그러므로 비상상황 발생지점의 방향인 상행선상의 비상상황 발생지점으로 진행 중인 차량(250, 260)에 시선유도가 가능한 지점ID 1(610)부터 N-1(613)까지의 무선제어 경보등(230)들을 점등/점멸 제어할 필요가 있다. 센터(220)는 지점ID 1(610)부터 N-1(613)까지의 무선제어 경보등(230)들을 점등/점멸하라는 명령을 공중망 또는 사설망(210)을 통해 무선기지국(200)에 전송하고, 이를 수신한 무선기지국(200)은 도 5의 수신데이터를 무선제어 경보등(230, 240, 241, 242)에 송신한다. 무선통신부(150)을 통해 무선데이터 수신대기 중(310)이던 무선제어 경보등(230,240,241,242)이 수신데이터 수신을 확인(330)하고, 수신데이터 정보내의 지점ID(530)에서 자신의 지점 ID와 동일한 ID가 있는 지를 확인(340)하여 있을 경우 점등/점멸(520) 명령에 따라 발광부 제어(360)를 한다. 무선제어 경보등(230)이 점등/점멸하고 있으면 사고지점으로 진행 중인 차량(250,260)의 운전자는 전방의 비상상황 발생여부를 감지하고 방어운전을 함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된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센터(220)가 어떤 무선제어경보등을 점멸할지를 판단하여 이를 무선신호를 통하여 전송하는 예가 설명되었으나, 무선제어경보등이 직접 다른 무선제어경보등의 신호를 수신하여 자신의 점등/점멸 제어 여부를 스스로 결정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자신이 점등/점멸되어야 하는 위치에 있는지 여부는 앞선 실시예에서 판단하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판단이 가능하다.
즉, 센터에서 저장하고 있던 지점 ID별 실제 설치지점에 대한 정보인 경보등별 지점할당표를 무선제어경보등이 직접 관리하고, 이를 이용하여 자신이 위치와 신호가 전송된 무선제어경보등의 위치를 비교하여 자신이 경보등을 점등/점멸해야 하는 위치에 있는 것인지 판단하는 방법을 통하여 경보등의 점등/점멸 여부를 결정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제어 경보등의 블록도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경보처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제어 경보등의 제어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제어 경보등의 송신데이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제어 경보등의 수신데이터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제어 경보등별 지점 할당 표

Claims (3)

  1. 도로 변에 설치되는 복수의 무선제어경보등과, 상기 무선제어경보등을 제어하는 센터를 구비하는 무선원격제어 경보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무선제어경보등 각각은
    비상사태발생을 입력받기 위한 비상버튼;
    상기 비상버튼이 눌러진 경우 비상발보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하고, 상기 센터로부터 전송된 무선제어경보등 제어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통신부;
    경보등의 점등/점멸을 제어하기 위한 발광부; 및
    상기 비상버튼이 눌러진 경우 비상발보정보 및 상기 무선제어경보등의 지점ID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가 무선으로 전송되도록 상기 무선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센터로부터 전송된 무선제어경보등 제어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어신호에 포함된 상기 무선제어경보등의 지점ID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경보등발광부를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센터는
    상기 무선제어경보등으로부터 전송된 비상발보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비상발보신호에 포함된 지점ID 정보와 상기 무선제어경보등 각각의 지점 ID, 실제지점, 설치지점의 상하행선을 판단하기 위한 방향 정보가 저장된 무선제어경보등별 지점 할당표로부터 상기 비상발보신호를 전송한 무선제어경보등의 실제위치 및 상기 비상발보신호를 전송한 무선제어경보등이 위치한 도로의 방향 정보를 파악하여, 자동으로 상기 비상사태가 발생된 지점 도로와 동일한 방향의 도로에 위치한 무선제어경보등 중 상기 비상사태가 발생한 지점으로 접근하는 방향에 위치한 소정 개수의 무선제어경보등에 점등/점멸을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원격제어 경보처리시스템.
  2. 삭제
  3. 도로 변에 설치되는 복수의 무선제어경보등을 이용한 무선원격제어 경보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무선제어경보등 각각은
    비상사태발생을 입력받기 위한 비상버튼;
    상기 비상버튼이 눌러진 경우 제1비상발보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하고, 타 무선제어경보등으로부터 전송된 상기 타무선제어경보등의 지점ID정보를 포함하는 제2비상발보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통신부;
    경보등의 점등/점멸을 제어하기 위한 발광부; 및
    상기 비상버튼이 눌러진 경우 비상발보정보 및 상기 무선제어경보등의 지점ID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가 무선으로 전송되도록 상기 무선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타 무선제어경보등으로부터 상기 제2비상발보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지점ID정보별 실제 설치지점에 대한 정보와 상기 제2비상발보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경보등의 점등/점멸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경보등발광부를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원격제어 경보처리시스템.
KR1020090055827A 2009-06-23 2009-06-23 비상버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원격제어 경보처리시스템 KR1010904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5827A KR101090452B1 (ko) 2009-06-23 2009-06-23 비상버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원격제어 경보처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5827A KR101090452B1 (ko) 2009-06-23 2009-06-23 비상버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원격제어 경보처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7667A KR20100137667A (ko) 2010-12-31
KR101090452B1 true KR101090452B1 (ko) 2011-12-06

Family

ID=43511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5827A KR101090452B1 (ko) 2009-06-23 2009-06-23 비상버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원격제어 경보처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045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39285A (ja) * 2004-05-27 2005-12-08 Keiji Chisaka 防犯システム及び携帯防犯ブザー
KR100769562B1 (ko) 2007-06-19 2007-10-23 (주)유셀네트웍스 감시지역의 비상경보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39285A (ja) * 2004-05-27 2005-12-08 Keiji Chisaka 防犯システム及び携帯防犯ブザー
KR100769562B1 (ko) 2007-06-19 2007-10-23 (주)유셀네트웍스 감시지역의 비상경보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7667A (ko) 2010-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631790A (zh) 智能告警方法、智能告警装置及智能告警系统
KR20220044822A (ko) 위험 차량 및 도로 상태의 통신을 위한 시스템
CN103959354A (zh) 用于提供安全驾驶信息的路灯和用于使用路灯来提供安全驾驶信息的系统
KR20180008361A (ko) 가로등을 이용한 교통사고 알림 시스템
CN101833866A (zh) 基于射频识别技术的矿井斜坡道交通信号监控系统
JP2002305088A (ja) 道路照明システム
KR101383157B1 (ko) 긴급 차량을 위한 교통 신호 시스템 및 그 방법과, 외부 교통 장치와 연결된 교통 신호 장치
KR101976196B1 (ko) 차량용 교통신호 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클라우드 기반의 교통신호 정보 제공 시스템
KR101090452B1 (ko) 비상버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원격제어 경보처리시스템
US9041525B2 (en) Light control system
KR101314237B1 (ko) 횡단보도 신호등 제어시스템
JP5768699B2 (ja) 交通設備、中央装置及び交通システム
KR101371974B1 (ko) 차량의 긴급상황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42262B1 (ko) 스마트 안전 삼각대 시스템
KR20170117639A (ko) 차량 운전자의 비상 알림 시스템
JP5454551B2 (ja) 交通信号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情報提供装置
EP2821312A1 (en) Signaling system for signalling the decommisioning of a subsection of a railway track
KR20130046091A (ko) 갓길용 차량안전 경고시스템
KR101273388B1 (ko) 휴대용 led 비상등 및 그 제어방법
KR20160119345A (ko) Its 시스템 내장형 사고 알림 장치 및 방법
KR100731657B1 (ko) Cdma통신망을 이용한 교통신호 제어장치
KR20110066587A (ko) 사고발생 경보 송출 및 이동주차 안내방송 제공과 긴급출동차량 진입유도 기능을 수행하는 보안등
JP2015133265A (ja) トンネル照明システム
JP4411557B2 (ja) 車用電波警報器
CN117842141A (zh) 一种铁路上道作业防护安全监控管理方法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