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9600B1 - 작업용 발판 - Google Patents

작업용 발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9600B1
KR101089600B1 KR1020110032213A KR20110032213A KR101089600B1 KR 101089600 B1 KR101089600 B1 KR 101089600B1 KR 1020110032213 A KR1020110032213 A KR 1020110032213A KR 20110032213 A KR20110032213 A KR 20110032213A KR 101089600 B1 KR101089600 B1 KR 1010896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ring
horizontal support
scaffold
working scaff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2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인그룹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인그룹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인그룹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10032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96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9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96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28Clips or connections for securing 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발판은 사람을 지지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모서리부에 구비되어 가로 지지대에 걸림으로써 상기 본체를 상기 가로 지지대에 지지하는 고리를 구비하되, 상기 고리는 좌우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제1가로 지지대 또는 상기 본체의 폭방향으로 설치된 제2가로 지지대에 선택적으로 지지되며, 상기 본체의 모서리는 상기 고리의 회전반경에 따라 라운딩처리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용 발판을 제1가로 지지대 또는 제2가로 지지대에 선택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작업용 발판{Working Foothold}
본 발명은 작업용 발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이나 토목 공사 현장 등에서 비계와 같은 임시 가설물에 고정 설치되는 작업용 발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작업용 발판은 건축물의 내,외장재 시공시 옥내 및 옥외 비계 구조물에 설치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작업용 발판을 사용하기 위해 먼저 비계 구조물을 설치한다.
비계 구조물은 높은 곳에서 공사를 할 수 있도록 임시로 설치한 가설물로서 비계 구조물을 만들기 위해 먼저 비계 파이프로 구비되는 세로 지지대를 건물에 인접하도록 지면에 다수 개 세운다. 그리고 상기 다수 개의 세로 지지대에 비계 파이프로 구비되는 다수 개의 제1가로 지지대를 클램프를 이용하여 고정하여 격자형의 내측 구조물을 형성한다. 그리고 내측 구조물로부터 이격되는 위치에 같은 형상이며 대향하도록 외측 구조물을 형성한다.
상기 내측 구조물과 외측 구조물을 구성하는 제1가로 지지대의 상부에 비계 파이프로 구비되는 제2가로 지지대를 클램프로 고정하고, 제2가로 지지대의 상부에 작업자가 통행하기도 하고 건설 자재가 적재되는 작업용 발판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작업용 발판은 장방형의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전면 및 후면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고리를 구비한다. 이러한 고리가 제2가로 지지대에 걸려 고정됨으로써 작업용 발판은 비계 구조물에 고정된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작업용 발판을 제2가로 지지대에 고정시키지 않고 내측 구조물과 외측 구조물을 구성하는 제1가로 지지대에 고정시켜야 할 경우가 발생한다.
그러나 작업용 발판에 구비된 고리는 장방형의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는 몸체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므로, 제2가로 지지대에 고정되는 작업용 발판과 제1가로 지지대에 고정되는 작업용 발판을 별로도 마련해야 한다.
이와 같이 건축 현장 등에서 제1가로 지지대 및 제2가로 지지대에 고정되는 작업용 발판이 혼용하여 사용되는 경우, 작업용 발판의 사용 효율이 떨어지게 되고, 서로 다른 구조의 작업용 발판을 준비해야 하므로 건축 현장 등에서 작업용 발판을 보관하는 공간을 많이 확보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용 발판을 제1가로 지지대 또는 제2가로 지지대에 선택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작업용 발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회전하는 고리를 안정적으로 본체에 고정시킬 수 있는 작업용 발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작업용 발판이 보관되는 공간을 줄일 수 있는 작업용 발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발판은 사람을 지지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모서리부에 구비되어 가로 지지대에 걸림으로써 상기 본체를 상기 가로 지지대에 지지하는 고리를 구비하되, 상기 고리는 좌우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제1가로 지지대 또는 상기 본체의 폭방향으로 설치된 제2가로 지지대에 선택적으로 지지되며, 상기 본체의 모서리는 상기 고리의 회전반경에 따라 라운딩처리되어 있다.
한편 상기 본체에는 상기 고리가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축이 구비되고, 상기 고리는 상기 회전축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형성된 회전부와, 상기 가로 지지대에 걸리도록 후크형상을 가지는 걸림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에는 상기 회전부가 잘 회전할 수 있도록 베이링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에는 상기 고리가 좌우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가로 방향으로 형성된 회전홈과, 상기 회전홈을 따라 회전한 고리의 위치가 결정되도록 상기 회전부가 삽입되는 제1 및 제2위치결정홈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위치결정홈은 상기 회전홈의 양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발판에 의하면 작업용 발판을 제1가로 지지대 또는 제2가로 지지대에 선택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용 발판의 사용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체에 대해 회전하는 고리를 본체에 쉽고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구조적으로 안전한 작업용 발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가로 지지대와 제2가로 지지대에 각각 고정되는 작업용 발판을 별도로 보관하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용 발판을 보관하기 위한 공간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발판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작업용 발판에서 고리가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작업용 발판이 제2가로 지지대에 고정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작업용 발판이 제1가로 지지대에 고정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발판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발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작업용 발판에서 고리가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작업용 발판이 제1가로 지지대 및 제2가로 지지대에 고정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발판(10)은 사람을 지지하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모서리부에 구비되어 가로 지지대320,340)에 걸림으로써 상기 본체(100)를 가로 지지대(320,340)에 지지하는 고리(200)를 구비한다.
본체(100)는 대략적으로 장방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는 스틸프레임에 강판으로 아연 용융도금이 된 소재로 형성되거나, 합성 수지 등과 같이 경량화가 가능한 소재로 형성되어 견고한 내구성을 보장하면서도 전체 무게를 줄일 수 있도록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본체(100)의 상면(101)에는 사람이 본체의 상면을 밟았을 때 미끄러지지 않도록 다수개의 미끄럼 방지용 돌기(11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돌기(111)의 중간에 복수개의 구멍(112)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체(100)의 상면(101)에 수분이 있는 경우 구멍(112)을 통해 수분이 빠져나가도록 함으로써 사람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본체(100)의 측면(102)에는 본체(100)를 가로 지지대(320,340)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리(20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고리(200)는 좌우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본체(100)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제1가로 지지대(320) 또는 본체(100)의 폭방향으로 설치된 제2가로 지지대(340)에 선택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리(200)가 좌우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본체(100)의 모서리는 고리(200)의 회전반경에 따라 라운딩처리되어 있다.
한편 본체(100)의 모서리 부위에는 고리(200)가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축(120)이 구비된다. 상기 회전축(120)은 본체(100)의 상면(101)의 하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고리(200)는 상기 회전축(120)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형성된 회전부(210)와, 가로 지지대(320,340)에 걸리도록 후크형상을 가지는 걸림부(220)를 구비한다. 회전부(210)의 일단에는 본체(100)에 형성된 회전축(120)이 삽입되도록 링(23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리(200)의 회전부(210) 단부에 형성된 링(230)의 내부에는 고리(200)의 회전부(210)가 잘 회전할 수 있도록 베이링(231)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체(100)의 측면(102)에는 상기 고리(200)가 좌우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가로 방향으로 형성된 회전홈(131)과, 상기 회전홈(131)을 따라 회전한 고리(200)의 위치가 결정되도록 상기 회전부(210)가 삽입되는 제1 및 제2위치결정홈(132,133)이 형성된다.
회전홈(131)은 본체(100)의 라운딩처리된 모서리에 형성되는데, 고리(200)의 회전부(210)의 두께에 비해 약간 큰 폭을 가져서 회전부(210)가 회전홈(131)을 통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제1위치결정홈(132)은 본체(100)의 길이방향에 형성되어 있어 고리(200)가 본체(100)가 길이방향으로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제2위치결정홈(133)은 본체(100)의 폭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 고리(200)가 본체(100)가 폭방향으로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제1 및 제2위치결정홈(132,133)은 상기 회전홈(131)의 양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회전홈(131)의 양단에 구비된 제1 및 제2위치결정홈(132,133)은 서로 90도의 각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고리(200)가 제1 및 제2위치결정홈(132,133)에 삽입되면 90도 각도를 유지하며 회전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서 설명한 작업용 발판에서 고리가 90도 회전된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1에서는 고리(200)가 제1위치결정홈(132)에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는데, 이와 같이 제1위치결정홈(132)에 삽입되어 고정된 고리(200)를 제2위치결정홈(133)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제1위치결정홈(132)에 삽입된 고리(200)를 하측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고리(200)를 회전홈(131)을 통해 90도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고리(200)가 90도 회전하여 제2위치결정홈(133)의 하부로 이동하게 된 후 고리(200)를 상측으로 이동시켜 고리(200)가 제2위치결정홈(133)으로 삽입되게 한다.
이와 같이 고리(200)가 제2위치결정홈(133)에 삽입되면 고리(200)의 일측은 회전축(120)에 의해 지지되고, 고리(200)의 타측은 제2위치결정홈(133)에 삽입되어 제2위치결정홈(13)의 단부에 지지되므로 고리(200)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한편 고리(200)가 가로 지지대(320,340)에 걸리도록 설치한 후 사람이 본체(100)를 밟게 되면 중력에 의해 본체(100)는 아래로 내려가게 되므로 고리(200)는 본체(100)에 형성된 위치결정홈(132,133)에 끼게 되어 고리(200)는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업용 발판의 사용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작업용 발판(10)은 주로 비계 구조물(300)에 지지되어 사용된다.
여기서 비계 구조물(300)이란 높은 곳에서 공사를 할 수 있도록 임시로 설치한 가설물을 말한다. 비계 구조물(300)은 비계 파이프로 구비되는 세로 지지대(310)를 건물에 인접하도록 지면에 다수 개 세운다.
상기 다수 개의 세로 지지대(310)에는 비계 파이프로 구비되는 다수 개의 제1가로 지지대(320)를 클램프(330)를 이용하여 다수 개 고정하여 격자형의 내측 구조물(301)을 형성한 후, 상기 내측 구조물(301)로부터 이격되는 위치에 같은 형상이며 대향하도록 외측 구조물(302)을 연결하여 형성한다.
이때 내측 구조물(301)과 외측 구조물(302) 사이의 간격이 작업용 발판(10)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는 경우 작업용 발판(10)을 내측 구조물(301)과 외측 구조물(302)의 제1가로 지지대(320)에 고정시킬 수 없기 때문에 내측 구조물(301)과 외측 구조물(302)의 제1가로 지지대(320)의 상부에 제2가로 지지대(340)를 클램프(330)로 고정한다.
이때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200)가 본체(100)의 길이방향으로 고정되도록 한 후 제2가로 지지대(340)에 작업용 발판(10)의 고리(200)을 장착한다.
한편 내측 구조물(301)과 외측 구조물(302) 사이의 간격이 작업용 발판(10)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경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200)가 본체(100)의 폭방향으로 고정되도록 한 후 고리(200)를 내측 구조물(301)과 외측 구조물(302)의 제1가로 지지대(320)에 장착한다.
이와 같이 건축 현장의 상황에 맞도록 작업용 발판(10)을 제1가로 지지대(320) 또는 제2가로 지지대(340)에 선택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용 발판(10)의 사용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작업용 발판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작업용 발판 100: 본체
120: 회전축 131: 회전홈
132,133: 제1,2위치결정홈 200: 고리
230: 링 231: 베어링

Claims (5)

  1. 사람을 지지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모서리부에 구비되어 가로 지지대에 걸림으로써 상기 본체를 상기 가로 지지대에 지지하는 고리를 구비하되,
    상기 고리는 좌우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제1가로 지지대 또는 상기 본체의 폭방향으로 설치된 제2가로 지지대에 선택적으로 지지되며, 상기 본체의 모서리는 상기 고리의 회전반경에 따라 라운딩처리되어 있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고리가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축이 구비되고,
    상기 고리는 상기 회전축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단부에 링이 형성된 회전부와, 상기 가로 지지대에 걸리도록 후크형상을 가지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고리가 좌우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가로 방향으로 형성된 회전홈과, 상기 회전홈을 따라 회전한 고리의 위치가 결정되도록 상기 회전부가 삽입되는 제1 및 제2위치결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위치결정홈은 상기 회전홈의 양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발판.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에는 상기 회전부가 잘 회전할 수 있도록 베이링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발판.
  4. 삭제
  5. 삭제
KR1020110032213A 2011-04-07 2011-04-07 작업용 발판 KR1010896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2213A KR101089600B1 (ko) 2011-04-07 2011-04-07 작업용 발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2213A KR101089600B1 (ko) 2011-04-07 2011-04-07 작업용 발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9600B1 true KR101089600B1 (ko) 2011-12-05

Family

ID=45505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2213A KR101089600B1 (ko) 2011-04-07 2011-04-07 작업용 발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960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0033A (ja) * 1997-07-11 1999-02-02 Pika Corp:Kk 足場板
JPH11107524A (ja) 1997-10-01 1999-04-20 Heiwa Giken Kk 管材緊結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0033A (ja) * 1997-07-11 1999-02-02 Pika Corp:Kk 足場板
JPH11107524A (ja) 1997-10-01 1999-04-20 Heiwa Giken Kk 管材緊結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59793B2 (en) Earthquake force absorption system
KR102144434B1 (ko) 커튼월 설치용 가시설장치 및 커튼월 설치용 가시설장치의 설치방법
CN112227682A (zh) 一种脚手架结构以及脚手架的搭设工艺
JP2008133596A (ja) 立坑用足場及び立坑用足場の組立・撤去方法
KR101089600B1 (ko) 작업용 발판
CN205116461U (zh) 一种增强土坯墙围护木结构承重房屋整体抗震性能的装置
JP5901873B2 (ja) 法面用仮設足場の設置方法
TWI673418B (zh) 外牆懸臂式施工平台及其組接工法
CN211143084U (zh) 一种基坑的支护结构
JP6145362B2 (ja) 中間作業床形成装置及び中間作業床形成方法
WO2018047926A1 (ja) 水車吊支装置
KR200408267Y1 (ko) 비계의 안전망 설치용 접이식 지지대
CN105822061A (zh) 一种用于集水井、电梯井等模板安装及支撑加固系统
CN203603442U (zh) 一种脚手架伸缩硬防护网片
KR20100038880A (ko) 인양수단을 갖는 가설 흙막이 공사용 사각강관 버팀보
JP2019027196A (ja) 階段開口部手摺および階段開口部手摺を組み込んでなる仮設足場
KR101337875B1 (ko) 송전철탑 기초공사용 안전 사다리
JP2011080276A (ja) 吊り階段の設置方法
JP2010248894A (ja) 避震滑動基礎構法及び装置
KR101295860B1 (ko) 안전 난간대 및 그 고정장치
KR20110084609A (ko) 수직 보호망 체결장치
JP6418607B2 (ja) 墜落防止装置
GB2536113A (en) Fencing bracket
JP3208865U (ja) 基礎工事用足場
AU2017100997A4 (en) Scaffolding for bricklay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