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9580B1 - 상부패키지의 분리 및 체결이 용이한 지그장치 - Google Patents

상부패키지의 분리 및 체결이 용이한 지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9580B1
KR101089580B1 KR1020100028950A KR20100028950A KR101089580B1 KR 101089580 B1 KR101089580 B1 KR 101089580B1 KR 1020100028950 A KR1020100028950 A KR 1020100028950A KR 20100028950 A KR20100028950 A KR 20100028950A KR 101089580 B1 KR101089580 B1 KR 101089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e
fastening
guide block
upper package
ji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8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9296A (ko
Inventor
이광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텔레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텔레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텔레칩스
Priority to KR10201000289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9580B1/ko
Publication of KR20110109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92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9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9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121Apparatus for making assembl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package constru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92Apparatus for mechanical trea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32Holders for supporting the complete device in operation, i.e. detachable fix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0Bump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16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ump connector
    • H01L2224/161Disposition
    • H01L2224/16151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16221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16225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non-metallic, e.g. insulating substrate with or without metallis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1Disposition
    • H01L2224/4815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4822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48225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non-metallic, e.g. insulating substrate with or without metallisation
    • H01L2224/48227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non-metallic, e.g. insulating substrate with or without metallisation connecting the wire to a bond pad of the it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4Connecting portions
    • H01L2224/4847Connecting portions the connecting portion on the bonding area of the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being a wedge bond
    • H01L2224/48471Connecting portions the connecting portion on the bonding area of the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being a wedge bond the other connecting portion not on the bonding area being a ball bond, i.e. wedge-to-ball, reverse stit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ic Connection Of Electric Components To Prin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키지-온-패키지의 상부패키지를 교체하기 위한 지그장치로서,
중심에는 개방된 홀더부가 형성되며, 상기 홀더부를 중심으로 상하좌우 돌출되어 형성된 십자형의 프레임부; 상부에는 손잡이가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 양측에는 스프링홀더가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부의 상하좌우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가이드블록; 상기 홀더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가이드블록과 좌우방향에 배치되는 상기 가이드블록을 각각 연결하며, 양끝단이 상기 스프링홀더에 고정되는 탄성부재; 및 상하방으로 관통되며, 상기 홀더부에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장방형의 체결프레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상부패키지가 분리되는 경우에는 상기 홀더부에 상기 체결프레임부가 탈착되고, 상기 상부패키지가 체결되는 경우에는 상기 홀더부에 상기 체결프레임부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패키지의 분리 및 체결이 용이한 지그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부패키지의 분리 및 체결이 용이한 지그장치는 상부패키지가 홀딩되도록 지그장치를 장착함으로써, 패키지의 분리 및 체결을 용이하게 할 수가 있고, 패키지 교체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상부패키지의 분리 및 체결이 용이한 지그장치 {A JIG device easily separating and jointing of top package}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반도체 패키지가 수직으로 적층되어 만들어지는 패키지-온-패키지에서 상부에 위치한 상부패키지가 불량일 경우, 새로운 패키지로 교체할 때 지그장치를 이용해서 신속하게 교체할 수 있는 상부패키지의 분리 및 체결이 용이한 지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패키지 기판 위에 패키지 기판을 적층하는 패키지-온-패키지(Package On Package, 이하 POP라 함)는 상부에 위치하는 패키지에 1개 이상의 반도체 칩을 적층하여 패키지를 형성하고,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패키지에는 1개의 반도체 칩을 와이어 본딩에 의해 실장한 후, 하부패키지에 상부패키지를 적층함으로서 하나의 POP구조를 이룬다.
인쇄회로기판에 패키지를 실장하는 방법은 반도체 패키지를 기판의 표면에 리플로우 납땜(reflow soldering)을 이용하여 실장한다. 그러나 납땜시에 미납이나 냉납 등과 같은 접촉성 불량들이 유발되어 전기적 연결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서 상부패키지가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경우에 반도체 패키지를 교체하게 되는데, 반도체 패키지 제거시 작업자가 직접 핀셋을 이용해서 패키지를 제거하기 때문에 반도체 패키지를 교체하는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패키지를 분리하거나 체결할 때는 열풍기를 사용해서 패키지 상부에 뜨거운 바람을 가하게 되는데, 이때 바람의 세기에 의해서 상부패키지뿐만 아니라, 하부 패키지 또한 분리되는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하부에 위치한 하부 패키지도 충격 및 뒤틀림으로 인하여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의 목적은 POP 구조의 상부패키지가 불량인 경우에 교체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고, 하부패키지가 바람의 세기에 의해 뒤틀리지 않도록 하기 위한 지그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부패키지의 분리 및 체결이 용이한 지그장치는 패키지-온-패키지의 상부패키지를 교체하기 위한 지그장치로서, 중심에는 개방된 홀더부가 형성되며, 홀더부를 중심으로 상하좌우 돌출되어 형성된 십자형의 프레임부; 상부에는 손잡이가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 양측에는 스프링홀더가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부의 상하좌우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가이드블록; 상기 홀더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가이드블록과 좌우방향에 배치되는 상기 가이드블록을 각각 연결하며, 양끝단이 상기 스프링홀더에 고정되는 탄성부재; 및 상하방으로 관통되며, 홀더부에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장방형의 체결프레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부패키지가 분리되는 경우에는 홀더부에 체결프레임부가 탈착되고, 상부패키지가 체결되는 경우에는 홀더부에 체결프레임부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가이드블록은 맨 앞 단부가 경사지게 하방으로 꺾인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가이드블록은 서로 마주보는 면의 양끝 모서리가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가이드블록은 분리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가이드블록은 측면에 가이드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가이드돌기가 삽입되어 안내되도록 프레임부에는 내측홈이 형성되어 가이드블록이 프레임부의 내측홈으로 분리가능하게 끼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체결프레임부에는 모서리에 대각선으로 돌출되어 하방으로 꺾인 끼움부가 형성되고, 프레임부에는 끼움부와 대응되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체결프레임부의 끼움부가 프레임부의 삽입홈과 끼워져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체결프레임부는 상부패키지의 높이보다 더 크게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탄성부재는 원형으로 권선된 코일과, 코일의 양끝에서 소정길이로 연장되며 내측으로 오므라드는 두 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부패키지의 분리 및 체결이 용이한 지그장치는 상부패키지가 홀딩되도록 지그장치를 장착함으로써, 패키지의 분리 및 체결을 용이하게 할 수가 있고, 패키지 교체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부패키지의 분리 및 체결이 용이한 지그장치는 열풍기의 뜨거운 바람이 지그장치의 전면부와 부딪쳐서 하부패키지에는 최소한의 열만 전달됨으로써, 바람의 세기로 하부패키지가 뒤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상부패키지를 분리하기 위한 지그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탄성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는 탄성부재가 수축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탄성부재가 팽창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은 [도 1]의 지그장치에 체결프레임부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평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주요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8]은 상부패키지의 제거 전, 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상부패키지가 제거되는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0]은 새로운 패키지가 체결되는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부패키지의 분리 및 체결이 용이한 지그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상부패키지를 분리하기 위한 지그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탄성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부패키지를 분리하기 위한 지그장치는 프레임부(100), 가이드블록(200) 및 탄성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프레임부(100)는 전체적으로 십자형으로 이루어지며, 상하방으로 관통된 구조이다. 중심에는 상부패키지(600: 도 8a 참조)가 홀딩되도록 홀더부(110)가 형성되고, 홀더부(110)를 중심으로 좌우 방향에 X축 가이드부(120)와 상하 방향에 Y축 가이드부(130)가 돌출 형성된다. X축 가이드부(120)와 Y축 가이드부(130)에는 후술할 가이드블록(200)의 가이드돌기(217,227)가 삽입되어 안내되도록 내측에 내측홈(160)이 형성되고, 프레임부(100)의 제1모서리(140), 제2모서리(141), 제3모서리(142), 제4모서리(143)에는 후술할 체결프레임부(400)의 끼움부(402: 도 5 참조)와 대응되는 삽입홈(150)이 형성된다. 그리고 프레임부(100) 하부에는 지그장치를 지지하는 지지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지지대는 상하로 높이조절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지지대에 의해서 홀더부(110) 안으로 상부패키지(600)가 정확한 위치에 홀딩이 된다.
가이드블록(200)은 프레임부(100)의 X축 가이드부(120)로 삽입되는 한 쌍의 X축 가이드블록(210)과 프레임부(100)의 Y축 가이드부(130)로 삽입되는 한 쌍의 Y축 가이드블록(220)으로 구성되며, X축 가이드블록(210)과 Y축 가이드블록(220)은 서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X축 가이드블록(210)과 Y축 가이드블록(220)은 상부에 각각 손잡이(211, 221)가 구비된다. 그리고, X축 가이드블록(210)과 Y축 가이드블록(220)의 단부에는 하기 탄성부재(300)의 양끝단이 고정될 수 있도록 스프링홀더(219, 229)가 구비된다. 스프링홀더(219, 229)는 하기 탄성부재(300)의 걸림부(303)가 끼움 삽입될 수 있도록 홀(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측면에는 가이드돌기(217, 227)가 형성되어 가이드돌기(217, 227)가 프레임부(100)의 내측에 형성된 내측홈(160)과 끼워져서 가이드블록(200)이 내측홈(160)을 따라 좌우 또는 상하로 슬라이딩 되는 동시에 분리가능하도록 탈부착된다. 따라서, 가이드블록(200)은 조립과 분해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각각의 X축 가이드블록(210)과 Y축 가이드블록(220)은 맨 앞 단부가 경사지게 하방으로 꺾어져 있으며, 상부패키지(600)의 하단부와 접하는 일정한 면적의 경사면(215: 도 9 참조)을 갖는다. 그리고 X축 가이드블록(210)과 Y축 가이드블록(220)이 서로 마주보는 면의 양끝은 모서리가 경사지는 모따기(213, 223: 도 8b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가이드블록(200)의 재질은 합성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경우에 따라서, 재질이 바이메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재질이 바이메탈인 경우에는 열에 의해서 금속이 휘어지기 때문에, 상부패키지(600)에 열이 가해질 때, 단부가 위로 휘어져서 이 휨의 세기로 상부패키지(600)를 들어올릴 수가 있다. 열이 식으면 단부는 아래로 휘어져서 원래 상태로 되돌아간다.
탄성부재(300)는 홀더부(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에 배치되는 X축 가이드블록(210)과 상하에 배치되는 Y축 가이드블록(220)을 각각 연결하며, 양끝단이 스프링홀더(219, 229)에 의해 고정된다.
한편, 탄성부재(300)는 토션스프링으로 사용됨이 바람직하고, 그 형상은 대략 원형으로 권선된 코일(301)과, 이 코일(301)의 양끝에서 소정길이 연장되며 내측으로 오므라드는 두 팔(302)로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두 팔(302)의 끝에는 스프링홀더(219, 229)에 끼움 고정되는 걸림부(303)가 형성되어 있다. 탄성부재(300)의 한 쪽 팔(302)의 끝은 X축 가이드블록(210) 상부에 위치하는 스프링홀더(219)에 삽입되고, 나머지 한 쪽 팔(302)의 끝은 Y축 가이드블록(220) 상부에 위치하는 스프링홀더(229)에 삽입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300)는 토션스프링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예시하였으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므라들거나 펴지는 역할을 하는 변형된 형태가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3]는 탄성부재가 수축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탄성부재가 팽창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탄성부재(300)가 수축시에는 양단의 걸림부(303)를 기준으로 코일(301)이 외향돌출되고, 탄성부재(300)가 팽창시에는 두 팔(302)이 펴지게 된다. 여기서, 탄성부재(300)의 코일(301)이 외향돌출됨으로써, 프레임부(100)에 형성된 삽입홈(150)과 하기 체결프레임부(400)의 끼움부(402)와의 결합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같이 구성되는 지그에서 한 쌍의 X축 가이드블록(210)과 한 쌍의 Y축 가이드블록(220) 중 어느 하나의 양 손잡이(211)에 외력이 작용하면, 이 외력에 의해서 탄성부재(300)의 두 팔(302)이 직선형으로 펴지게 된다. 이 과정에서, X축 가이드블록(210)과 Y축 가이드블록(220)이 양 옆으로 벌어지게 되는 것이다.
[도 5]는 [도 1]의 지그장치에 체결프레임부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는 [도 5]의 평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도 6]의 주요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를 참조하면, 프레임부(100), 가이드블록(200) 그리고 탄성부재(300)는 [도 1]과 동일한 구성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여기서는 체결프레임부(400)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체결프레임부(400)는 홀더부(110)에 안착되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사각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하방으로 관통된 구조이다. 그리고 네 모서리에는 대각선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하방으로 꺾인 끼움부(402)가 형성된다. 여기서, 대각선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부분을 돌출부(401)라 하고, 이 돌출부(401)와 일체로 연결되어 하방으로 꺾인 부분을 끼움부(402)라 한다. 이 끼움부(402)가 프레임부(100)에 형성된 삽입홈(150)에 끼워져서 프레임부(100)와 체결프레임부(400)는 일체로 결합된다. 그리고 체결프레임부(400)는 가이드블록(200)이 상부패키지(600) 하부 안쪽으로 더 이상 들어가지 않도록 상부패키지(600)의 높이보다 더 크게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체결프레임부(400)는 불량 난 상부패키지를 떼고 난 뒤, 새로운 상부패키지를 붙이고자 할 때에만 사용되며, 새로운 상부패키지(600)는 체결프레임부(400)의 가운데 관통된 개방구(410)의 내측벽에 밀착되도록 끼워지게 된다.
참고로, 상부패키지(600)는 가로,세로 길이가 10x10mm 또는 12x12mm 사이즈로 제작되는 경우가 많다. 그렇기 때문에 체결프레임부(400)는 이러한 사이즈의 상부패키지가 끼워질 수 있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상부패키지의 제거 전, 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상부패키지가 제거되는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 및 [도 9]을 참조하여, 상부패키지를 분리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8 (a)는 상부패키지(600)가 분리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고, 도 8 (b)는 상부패키지(600)가 분리된 후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8 (a)에 관한 설명부터 하자면, 먼저 상부패키지(600) 홀딩되도록 지그장치가 장착된다. 다음으로 X축 가이드블록(210)의 양 손잡이(211)에 외력이 작용하여 탄성부재(300)의 두 팔(302)이 직선형으로 펴지면서 X축 가이드블록(210)과 Y축 가이드블록(220)이 동시에 상하좌우로 벌어지게 된다. 이와 반대로, Y축 가이드블록(220)의 양 손잡이(221)에 외력이 작용할 수도 있다. 그 다음으로 손잡이(211)에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부재(300)의 복원력으로 두 팔(302)이 안으로 오므라든다. 이 과정에서, 가이드블록(200)은 상부패키지(600)의 상하좌우를 누르게 된다.
다음으로, 도 8 (b)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부패키지(600)가 분리되도록 열풍기로 상부패키지(600) 상부에 뜨거운 바람을 몇 초간 불어 넣으면, 이 열이 상부패키지(600) 하부로 전달되어 이 열에 의해 상부패키지(600)와 상부패키지(600) 하부에 접착된 솔더볼과의 접착이 느슨해진다. 이때, 접착이 느슨해지면서 가이드블록(200)은 탄성부재(300)의 당기는 힘에 의해서, 상부패키지(600) 하부 안쪽으로 점차 들어오게 된다. 또한, 열풍기의 뜨거운 바람이 지그장치의 전면부와 부딪치게 되므로, 하부패키지(700)에는 최소한의 열만 전달되어 바람의 세기로 하부패키지(700)가 뒤틀리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는다.
여기서, 가이드블록(200)이 상부패키지(600) 하부 안쪽으로 들어가는 양은 X축 가이드블록(210)과 Y축 가이드블록(220)의 모서리가 서로 맞닿는 부분 즉, X축 가이드블록(210)과 Y축 가이드블록(220)의 모서리가 경사지는 모따기(213, 223)의 수평길이와 동일하며, 이 수평길이만큼 가이드블록(200)이 상부패키지(600) 하부 안쪽으로 들어가게 된다. 이에 따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패키지(600)는 가이드블록(200)의 경사진 경사면(215)을 따라 위로 솟아오르게 된다. 이로써, POP구조의 상부패키지(600)와 하부패키지(700)는 완전 분리가 된다.
[도 10]은 새로운 패키지가 체결되는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새로운 패키지를 체결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상부패키지(600)가 홀딩되도록 지그장치가 장착된 다음, X축 가이드블록(210)의 양쪽 손잡이(211)에 외력이 작용하여 탄성부재(300)의 두 팔(302)이 펴지면서 X축 가이드블록(210)과 Y축 가이드블록(220)이 양 옆으로 벌어진다. 경우에 따라서, Y축 가이드블록(220)의 양쪽 손잡이(221)에 외력이 작용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체결프레임부(400)가 프레임부(100)의 홀더부(110)로 안착된다. 이때, 체결프레임부(400)의 끼움부(402)가 프레임부(100)의 삽입홈(150)에 정확하게 끼워져서 체결프레임부(400)와 프레임부(100)는 일체로 결합하게 된다.
양 손잡이(211)에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부재(300)의 복원력으로 두 팔(302)이 안으로 오므라들면서, 가이드블록(200)이 체결프레임부(400)의 상하좌우를 누르게 된다. 이때, 가이드블록(200)은 체결프레임부(400)로 인해서 상부패키지(600) 안쪽으로 더 이상 들어가지 않게 되어 상부패키지(600) 상부로 열이 가해질 때 가이드블록이 상부패키지(600)를 들어올리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체결프레임부(400)의 가운데 관통된 개방구(410)의 내측벽으로 밀착되도록 새로 교체될 상부패키지(600)가 삽입된다. 체결프레임부(400)에 삽입된 상부패키지(600)가 하부패키지(700) 상부에 위치된 솔더볼과 접착되도록 열풍기로 상부패키지(600) 상부에 뜨거운 바람을 몇 초간 불어넣는다. 이 열이 식은 후에는 상부패키지(600)와 하부패키지(700)가 완전 체결된다.
지금까지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부패키지의 분리 및 체결이 용이한 지그장치는 열풍기의 뜨거운 바람이 지그장치의 전면부와 부딪쳐서 하부패키지(700)에는 최소한의 열만 전달되어, 바람의 세기로 하부패키지(700)가 뒤틀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가이드블록(200)이 누르는 힘에 의해서 붙어있던 상부패키지(600)가 자동으로 떨어지기 때문에 기존 방식인 핀셋을 이용해서 상부패키지(600)를 들어내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프레임부 110: 홀더부
120: X축 가이드부 130: Y축 가이드부
140: 제1모서리 141: 제2모서리
142: 제3모서리 143: 제4모서리
150: 삽입홈 160: 내측홈
200: 가이드블록 210: X축 가이드블록
211: 손잡이 213: 모따기
215: 경사면 217: 가이드돌기
219: 스프링홀더 220: Y축 가이드블록
221: 손잡이 223: 모따기
227: 가이드돌기 229: 스프링홀더
300: 탄성부재 301: 코일
302: 팔 303: 걸림부
400: 체결프레임부 401: 돌출부
402: 끼움부 410: 개방구
600: 상부패키지 700: 하부패키지

Claims (8)

  1. 패키지-온-패키지의 상부패키지를 교체하기 위한 지그장치로서,
    중심에는 개방된 홀더부가 형성되며, 상기 홀더부를 중심으로 상하좌우 돌출되어 형성된 십자형의 프레임부;
    상부에는 손잡이가 구비되고 미리 설정된 단부에 스프링홀더가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부의 상하좌우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가이드블록;
    상기 홀더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가이드블록과 좌우방향에 배치되는 상기 가이드블록을 각각 연결하며, 양끝단이 상기 스프링홀더에 고정되는 탄성부재; 및
    상하방으로 관통되며, 상기 홀더부에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장방형의 체결프레임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상부패키지가 분리되는 경우에는 상기 홀더부에 상기 체결프레임부가 탈착되고, 상기 상부패키지가 체결되는 경우에는 상기 홀더부에 상기 체결프레임부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패키지의 분리 및 체결이 용이한 지그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블록은 맨 앞 단부가 경사지게 하방으로 꺾인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패키지의 분리 및 체결이 용이한 지그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블록은 서로 마주보는 면의 양끝 모서리가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패키지의 분리 및 체결이 용이한 지그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블록은 분리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패키지의 분리 및 체결이 용이한 지그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블록은 측면에 가이드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돌기가 삽입되어 안내되도록 상기 프레임부에는 내측홈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블록이 상기 프레임부의 내측홈으로 분리가능하게 끼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패키지의 분리 및 체결이 용이한 지그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프레임부에는 모서리에 대각선으로 돌출되어 하방으로 꺾인 끼움부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부에는 상기 끼움부와 대응되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프레임부의 끼움부가 상기 프레임부의 삽입홈과 끼워져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패키지의 분리 및 체결이 용이한 지그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체결프레임부는 상부패키지의 높이보다 더 크게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패키지의 분리 및 체결이 용이한 지그장치.
  8.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원형으로 권선된 코일과, 상기 코일의 양끝에서 소정길이로 연장되며 내측으로 오므라드는 두 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패키지의 분리 및 체결이 용이한 지그장치.
KR1020100028950A 2010-03-31 2010-03-31 상부패키지의 분리 및 체결이 용이한 지그장치 KR101089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8950A KR101089580B1 (ko) 2010-03-31 2010-03-31 상부패키지의 분리 및 체결이 용이한 지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8950A KR101089580B1 (ko) 2010-03-31 2010-03-31 상부패키지의 분리 및 체결이 용이한 지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9296A KR20110109296A (ko) 2011-10-06
KR101089580B1 true KR101089580B1 (ko) 2011-12-05

Family

ID=45026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8950A KR101089580B1 (ko) 2010-03-31 2010-03-31 상부패키지의 분리 및 체결이 용이한 지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95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02342B2 (en) 2014-10-15 2016-11-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packag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3838A (ja) 2002-04-08 2003-10-24 Nec Electronics Corp 半導体パッケージ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3838A (ja) 2002-04-08 2003-10-24 Nec Electronics Corp 半導体パッケージ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02342B2 (en) 2014-10-15 2016-11-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packag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9296A (ko) 2011-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69488A1 (en) Circuit board mounted with surface mount type circuit componen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20010028553A1 (en) Removable heat sink bumpers on a quad flat package
WO2001039564A1 (en) A module cover element
US9601417B2 (en) “L” shaped lead integrated circuit package
KR101089580B1 (ko) 상부패키지의 분리 및 체결이 용이한 지그장치
US4858820A (en) Desoldering aid and method
US11081428B2 (en) Electronic device with three dimensional thermal pad
US6629363B1 (en) Process for mechanically attaching a temporary lid to a microelectronic package
US20080277774A1 (en) Power semiconductor device, electronic device, lead frame member, and method of making power semiconductor device
CN210498979U (zh) 一种新型焊接装置
JP2015097226A (ja) 複合配線板
CN212625544U (zh) 一种半导体封装单元
CN211578741U (zh) 导线框架及包含其的集成电路封装体
CN209859781U (zh) 一种贴片e型电感骨架
JP4303609B2 (ja) スペーサ
KR101568213B1 (ko) 필터커넥터에서 사용되는 표면실장소자 타입의 평판배열핀 및 그 설치방법
KR101386071B1 (ko) 표면실장기를 이용한 스프링 고정 장치
JP5817589B2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242914Y1 (ko) 방열판 고정을 위한 레그 장치
CN219203154U (zh) 一种引线框架
JPS62243348A (ja) フラツトパツケ−ジ
JP6418530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及び製造用治具
US20150028468A1 (en) Non-leaded type semiconductor package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US6045369A (en) Device for mounting semiconductor package and method of fabricating same
JP4307063B2 (ja) 枠体の取付け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