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8839B1 - 영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플라즈마 패널을 그 전기 전원에 연결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영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플라즈마 패널을 그 전기 전원에 연결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8839B1
KR101088839B1 KR1020040060148A KR20040060148A KR101088839B1 KR 101088839 B1 KR101088839 B1 KR 101088839B1 KR 1020040060148 A KR1020040060148 A KR 1020040060148A KR 20040060148 A KR20040060148 A KR 20040060148A KR 101088839 B1 KR101088839 B1 KR 1010888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plasma discharge
display device
power supply
discharg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0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6049A (ko
Inventor
게라르 모리조
쟝-라팰 브잘
게라르 릴리
Original Assignee
톰슨 프라즈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톰슨 프라즈마 filed Critical 톰슨 프라즈마
Publication of KR20050016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60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8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88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10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2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 G09G3/28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 G09G3/296Driving circuits for producing the waveforms applied to the driving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46Connecting or feeding means, e.g. leading-in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46Connecting or feeding means, e.g. leading-in condu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s-Filled Discharge Tub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Control Of Gas Discharge Display Tubes (AREA)

Abstract

본 디바이스는 그 전면 상에 인접한 전극 쌍(7, 8) 어레이를 구비한 플라즈마 방전 디스플레이를 구비하고, 그 후면 상에 전원(13)을 구비하는 금속 지지 판(1)을 포함한다. 각 인접한 전극 쌍(7, 8)의 전원 회로는 전원(13)에서 시작해서 전극 쌍 중 전극(7)을 지난 후 전극(8)을 지나는 전류 루프를 형성하며, 전극(8)의 연결 말단부는 상기 금속 판(1)의 정면 상에 위치한 횡단하는 전기 도체(21)에 의해 전원(13)에 링크된다. 본 발명에 따라, 전극(8)에 링크된 횡단하는 도체(21)는 상기 전극 쌍(7, 8)과 0이 아닌 각도를 형성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의 여러 전류 루프 사이의 인덕턴스 차이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여러 방전 구역 사이의 휘도차가 감소되도록 감소된다.

Description

영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플라즈마 패널을 그 전기 전원에 연결하는 장치 {CONNECTION OF A PLASMA PANEL TO ITS ELECTRICAL POWER SUPPLY IN AN IMAGE DISPLAY DEVICE}
도 1은 후술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개략적인 연결관계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전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횡단면이 도시된, 도면.
도 2는 후술된 바와 같은 도 1의 디바이스의 정면도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 디바이스의 전원과 제어 수단이 또한 디스플레이의 측면에 옮겨져 있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 1 실시예의 정면도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 디바이스의 전원과 제어 수단이 또한 디스플레이의 측면에 옮겨져 있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 2 실시예의 정면도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 디바이스의 전원과 제어 수단이 또한 디스플레이의 측면에 옮겨져 있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 3 실시예의 정면도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 디바이스의 전원과 제어 수단이 또한 디스플레이의 측면에 옮겨져 있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 4 실시예의 정면도를 도시 한 도면으로서, 이 디바이스의 전원과 제어 수단이 또한 디스플레이의 측면에 옮겨져 있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 5 실시예의 정면도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 디바이스의 전원과 제어 수단이 또한 디스플레이의 측면에 옮겨져 있는, 도면.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금속지지 판 3: 전면 패널
4: 후면 패널 7, 8: 전극
11, 12: 연결 말단부 13: 제어 수단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를 이 디스플레이를 위한 전원 및 제어 수단에 연결하는 분야에 관한 것이다.
첨부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특허출원 제 FR 2 826 765호(톰슨 플라즈마 출원)는 영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서:
- 상기 영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그 전면 상에 플라즈마 방전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며, 그 후면 상에 상기 디스플레이를 위한 방전 전원 및 제어 수단(13)을 구비하는 금속 지지판(1)을 포함하며;
-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그 자체는 전면 패널(3)과 후면 패널(4)을 포함 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 1 전극 어레이를 가지며, 상기 제 1 전극 어레이는 이 제 1 어레이의 두 서로 다른 일련의 전극 중 인접한 전극(7, 8) 사이에 전압 펄스를 인가하여 특히 방전을 유지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전극은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한 측면에서 나오는 연결 말단부(11, 12)를 가지며,
- 두 서로 다른 일련의 인접한 전극(7, 8)의 각 쌍을 위한 상기 전원 회로는 전원과 제어 수단으로부터 시작해서 상기 전극 쌍 중 제 1 전극(7)을 지난 후 제 2 전극(8)을 지나는 전류 루프를 형성하며,
여기서, 두 서로 다른 일련의 전극(7, 8)의 연결 말단부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대향하는 에지(5, 6) 상에 위치하며, 두 서로 다른 일련의 인접한 전극(7, 8)의 각 쌍에 대해, 이 쌍의 전원 회로의 상기 전류 루프는 금속 판(1)을 에워싸지 않는, 영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기술한다.
바람직하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측면(6)에서 나온 일련의 전극 중 하나(8)의 연결 말단부는, 금속 판(1)의 전면 측 상에 위치하고 상기 말단부로부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대향하는 측면(5)으로 연장하는 횡단하는 전기 도체(21)에 의해 전원 및 제어 수단(13)에 링크된다. 전극의 모든 전원 도체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동일한 측면에 도입되고, 그러면 상기 어레이의 모든 전극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동일한 측면에서 전원과 제어 수단에 연결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지속 펄스의 양 및 음(또는 널)의 교류 전압을 모두 생성하는데 단일 전기 전원이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 디바이스는 또한 인접한 전극 사이에 동일한 임피던스를 갖는 방전 구역 을 얻으면서(전류는 전극 쌍(7, 8) 중 어떤 것이 고려되고 있든지 간에 동일한 전극 길이를 거쳐서 흐른다) 금속판에 와전류 손실(eddy current losses)을 제한(전류 루프는 금속판을 에워싸지 않는다)하는 장점을 또한 갖는다.
이 디바이스에서, 횡단 도체는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도체 뱅크로 그룹지어 진다. 도 2에서, 감소된 폭의 두 도체의 뱅크(23, 24)가 예컨대 제공되며, 디스플레이 전원과 제어 수단(13)을 디스플레이의 측면(6) 상에서 공통 전극인 일련의 전극(8)의 연결 말단부(12)에 링크하기 위해 측면(5, 6) 사이에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베이스에 평행하게 배치된다. 이들 도체 뱅크 중 하나가 디스플레이의 상단부에 배치되고, 다른 하나는 하단부에 배치된다. 더나아가, 이들은 디스플레이 후방 패널(4)과 금속 판(1) 사이에 삽입된다. 주목해야 할 점은, 이 도면에서 디스플레이 전원과 제어 수단(13)이 도체 뱅크(23 및 24)로의 이들의 연결을 보여주기 위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옆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는 반면, 물론, 이들은 실제로는 도 1에 지시된 바와 같이 금속 판(1) 뒤에 위치한다는 점이다. 이점은 이후 기술될 도 3 내지 도 5에도 적용된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에 관한 도체 뱅크(23 및 24)의 위치가 제공되면, 도체 뱅크와 동일한 레벨에 위치한 디스플레이 영역과 도체 뱅크 사이에 위치한 디스플레이 영역 사이의 휘도 차이가 관찰될 수 있다. 이것은 인접한 전극의 여러 쌍(7, 8)의 전원 회로의 전류 루프 사이에서의 인덕턴스 차이로 인해 초래된다. 사실, 인접한 전극의 각 쌍(7, 8)의 전원 회로는 전원과 제어 수단(13)에서 시작해서 각 쌍의 전극 중 제 1 전극(7)을 지난 후 제 2 전극(8)을 지나 전원 및 제어 수단(13)에 서 회로를 접속하기 이전에 도체 뱅크(23, 24) 중 하나를 지나가는 전류 루프를 형성한다. 도체 뱅크 근처에 위치한 전극 쌍(7, 8)에 대해, 대응하는 전류 루프는 더 작은 표면적과, 그에 따라 더 낮은 인덕턴스를 갖는다. 도체 뱅크에서 더 멀리 떨어져 있는 전극 쌍들(7, 8)과 관련된 전류 루프는 더 큰 표면적을 가지며; 그러므로, 이들 전류 루프는 더 높은 인덕턴스를 보인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방전 구역에서의 방전의 형태가 이러한 인덕턴스의 변동에 매우 민감하게 제공되면, 이는 광 방출의 불균형(disparity)을 초래하며, 그에 따라 도체 뱅크 근처에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방전 구역과 다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방전 구역 사이에 휘도차이를 초래한다.
한 해결책으로 최소 표면적의 전류 루프만을 생성하기 위해 디스플레이의 전체 표면을 덮고 있는 도체 뱅크를 제공하는 것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이 해결책은 특히 높은 재료 및 생산 비용과 같은 수많은 결점을 가지며, 높은 기생 커패시턴스가 공통 전극(8)과 한편으로는 뱅크 사이에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금속 판(1) 사이에서 생성된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의 요지는 여러 디스플레이 방전 구역 사이의 휘도차이를 감소시키는 디바이스이다.
본 발명은 영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서:
- 상기 영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그 전면 상에 플라즈마 방전 디스플레이를 구비하고, 그 후면 상에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방전용 전원 및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금속 지지판을 포함하며,
-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그 자체는 전면 패널과 후면 패널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 1 전극 어레이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전극 어레이는 특히 제 1 어레이 내의 서로 다른 두 일련의 전극의 인접한 전극 사이에 전압 펄스를 인가함으로써 방전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전극은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한 측면에서 나오는 연결 말단부를 가지며, 상기 두 서로 다른 일련의 전극의 연결 말단부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대향하는 에지 상에 위치되며,
- 두 서로 다른 일련의 인접한 전극의 각 쌍을 위한 상기 전원 회로는 전원 및 제어 수단에서 시작해서 각 쌍 중의 제 1 전극을 지난 후 제 2 전극을 지나는 전류 루프를 형성하며, 상기 각 쌍의 전원회로의 상기 전류 루프는 금속 판을 에워싸지 않으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한 측면에서 나오는 일련의 전극 중 하나의 연결 말단부는 상기 금속 판의 전면 측 상에 위치되고 상기 연결 말단부로부터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대향하는 측으로 연장하는 횡단하는 전기 도체에 의해 전원과 제어 수단에 링크되는, 영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있어서,
인접한 전극 쌍에 대응하는 전극에 링크된 각 횡단 도체는 상기 전극 쌍과 0이 아닌 각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거의 동일한 인덕턴스를 갖는 전류 루프가 그에 따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인접한 전극 쌍 모두에 대해 생성된다. 그러므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여러 방전 구역 사이에 휘도차이가 거의 없다.
바람직하게, 횡단하는 전기 도체는 후면 패널과 금속 판 사이에 삽입된 적어도 하나의 도체 뱅크로 그룹지어 진다.
제 1 실시예에 따라, 본 디바이스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대각선을 따라서 배치된 단일 도체 뱅크를 포함한다.
제 2 실시예에 따라, 횡단하는 전기 도체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각 도체 뱅크의 대각선을 따라 각각 배치된 두 개의 별도의 도체 뱅크로 그룹지어 진다.
제 3 실시예에 따라, 횡단하는 전기 도체는 네 개의 별도의 도체 뱅크로 그룹지어 지며, 이때 두 뱅크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상반부의 자체 대각선을 따라서 각각 배치되며, 다른 두 뱅크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하반부의 자체 대각선을 따라서 각각 배치된다.
제 4 실시예에 따라, 횡단하는 전기 도체는 두 별도의 도체 뱅크로 그룹지어 지며, 이때 뱅크 중 하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상반부의 대각선을 따라서 배치되며, 다른 하나의 뱅크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하반부의 대향하는 대각선을 따라서 배치된다.
제 5 실시예에 따라, 횡단하는 전기 도체는 후면 패널과 금속 판 사이에 삽입된 전도성 포일에 의해 형성되며, 이 포일의 크기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크기와 거의 같으며, 이 포일에는 개구가 생성된다.
본 발명은 비-제한적인 예에 의해 제공되는 다음의 설명을 읽음으로써 더 잘 이해될 것이며, 이러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것이다.
본 발명 및 종래기술의 디바이스 사이의 차이가 도면을 통해 좀더 분명하게 드러나도록, 동일한 참조번호가 동일한 기능을 제공하고, 동일한 위치에 놓인 요소에 사용되었다.
본 발명에 따라, 횡단하는 전기 도체(21)는 이들과 관련된 인접한 전극 쌍(7 및 8)과 0이 아닌 각도를 형성한다. 이러한 속성이 도 3에 예시되어 있다. 이 도면에서, 횡단하는 전기 도체(21)는 뱅크(23')로 그룹지어 진다. 이 뱅크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전극 쌍(7, 8)과 0이 아닌 각도를 형성한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뱅크(23')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금속 판(1)과 후면 패널(4) 사이에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대각선을 따라서 배치된다.
이러한 특성은 이웃한 전극 쌍(7, 8)과 관련된 전류 루프 사이의 인덕턴스 차이를 줄이고, 디스플레이의 최대 인덕턴스 전류 루프와 최소 인덕턴스 전류 루프 사이의 인덕턴스 차이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의 상단부에 위치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행(i)과 관련되고 도 3에 도시된 면적(ABC)에 비례하는 전류 루프의 인덕턴스는 이웃한 행(i+1)과 관련되고 면적(DEF)에 비례하는 전류 루프의 인덕턴스와 상대값이 거의 차이가 없다. 또한 이것은 관련 전류 루프의 표면적이 GHL인 행(i+n)의 인덕턴스와도 그 상대값이 거의 차이가 없다.
전극 쌍(7, 8)과 횡단하는 도체(21) 사이의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전류 루프의 인덕턴스는 변경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의 구조와 디스플레이에서 생성된 방전 유형에 적응될 수 있다.
본 발명이 무시할 수 없는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이 각도는 어림잡아 적어도 5°이어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 2 실시예를 예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서로 절연되어 있고 금속 판(1)과 후면 패널(4) 사이에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대각선을 따라서 각각 배치되는 두 도체 뱅크(23' 및 24')가 제공된다.
뱅크(23' 및 24')의 폭은 도 3의 실시예와 비교할 때 절반이다. 이 해결책은 디스플레이 전류의 분배가 전원 기판 상에서 공유될 수 있게 하며 그 전자기 방사가 감소되게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 3 실시예를 예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서로 절연된 네 개의 도체 뱅크가 제공된다. 이들 중 둘(23' 및 24')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상반부의 두 뱅크의 대각선을 따라서 각각 배치되며, 다른 둘(23" 및 24")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하반부의 두 뱅크의 대각선을 따라서 각각 배치된다. 이로 인해 뱅크의 폭은 추가로 줄어들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 4 실시예를 예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서로 절연된 두 도체 뱅크(23' 및 24')가 제공된다. 이들 중 하나(23')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상반부의 대각선을 따라서 배치되며, 다른 하나(24')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하반부의 대향하는 대각선 상에 배치되며, 이때 이들 두 뱅크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측면(5)의 중간부분에서 나온다.
전류 루프의 인덕턴스를 훨씬 더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면, 또 다른 실시예는 후면 패널(4)과 금속 판(1) 사이에 삽입되고 개구부가 그 내부에 생성된 전도성 포일에 의해 횡단하는 전기 도체를 형성하는 것이 있다. 이 실시예가 도 7에 예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전도성 포일(25)이 후면 패널(4)과 금속 판(1) 사이에 삽입된다. 이 포일의 크기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크기와 거의 같다. 포일(25)의 전체 표면 위에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는 개구(26)가 포일에 생성된다. 도 7의 예에서, 개구(26)는 마름모 또는 삼각형 형태이다. 다른 형태도 본 발명의 결과에 유해하지 않다면 생각해볼 수 있다. 개구의 피치와 크기는 디스플레이에서의 방전 유형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인접한 전극 쌍(7, 8)에 대응하는 횡단하는 도체(21)는 직선이 아니며, 디스플레이의 측면(5 및 6) 사이에서 연장하는 파선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횡단하는 도체의 위치가 전원과 제어 수단(13) 및 전극(8) 사이의 최단 전류 경로에 해당한다. 이 실시예는 본 발명의 중요한 특성 중 하나, 즉 횡단하는 도체가 인접한 전극의 대응하는 쌍(7, 8)과 0이 아닌 각도를 형성한다는 점을 증명하고 있다.
횡단하는 전기 도체(21)가 후면 패널(4)의 전체 높이를 덮는 본 출원의 도입부에 언급된 해결책에 비해, 이 실시예는 다음의 장점을 제공한다:
- 전기적인 관점에서, 디스플레이의 공통 전극(8)과 금속 판(1) 사이의 커패시턴스가 매우 크게 감소되며, 그에 따라 리액티브 전류 손실이 감소된다;
- 기계적인 관점에서, 전도성 포일에 생성된 개구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를 접착 층에 의해 금속 판(1)에 접착될 수 있게 하며; 어떤 개구도 없다면, 접착 층은 전도성 포일의 두 표면 상에 제공되어야 할 것이며, 이것은 도 7의 실시예와 비 교할 때 추가적인 접착 층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를 이 디스플레이를 위한 전원 및 제어 수단에 연결하는 분야에서 여러 방전 구역 사이에서 휘도 차이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영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서,
    - 상기 영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그 전면 상에 플라즈마 방전 디스플레이를 구비하고, 그 후면 상에 상기 플라즈마 방전 디스플레이의 방전용 전원 및 제어 수단(13)을 구비하는 금속 지지판(1)을 포함하며,
    - 상기 플라즈마 방전 디스플레이 자체는 전면 패널(3)과 후면 패널(4)을 포함하고,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제 1 전극 어레이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전극 어레이는 상기 제 1 전극 어레이의 서로 다른 두 일련의 전극의 인접한 전극(7, 8) 사이에 전압 펄스를 인가함으로써 방전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전극은 상기 패널의 한 측면에서 나오는 연결 말단부를 가지며, 상기 서로 다른 두 일련의 전극(7, 8)의 연결 말단부는 플라즈마 방전 디스플레이의 대향하는 측면(5, 6) 상에 위치되며,
    - 서로 다른 두 일련의 인접한 전극(7, 8)의 각 쌍을 위한 전원 회로는 상기 전원 및 제어 수단(13)에서 시작해서 상기 각 쌍의 전극 중 제 1 전극(7)을 지난 후 제 2 전극(8)을 지나고 상기 전원 및 제어 수단(13)으로 다시 돌아와서 종료하는 전류 루프를 형성하며, 이러한 쌍의 전원 회로의 상기 전류 루프는 상기 금속 지지판(1)을 에워싸지 않으며, 상기 플라즈마 방전 디스플레이의 한 측면(6)에서 나오는 일련의 전극 중 하나(8)의 연결 말단부는 상기 금속 지지판(1)의 전면 측 상에 위치되고 상기 연결 말단부로부터 상기 플라즈마 방전 디스플레이의 대향하는 측면(5)으로 연장하는 횡단 전기 전도체(21)에 의해 상기 전원 및 제어 수단(13)에 링크되는, 영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있어서,
    인접한 전극(7, 8)의 쌍에 대응하는 전극(8)에 링크된 각 횡단 전기 전도체(21)는 상기 인접한 전극의 쌍과 0이 아닌 각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횡단 전기 전도체(21)는 상기 후면 패널(4)과 금속 지지판(1) 사이에 삽입된 적어도 하나의 전도체 그룹(group)(23')으로 나누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 방전 디스플레이의 대각선을 따라서 배치된 단일 전도체 그룹(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횡단 전기 전도체(21)는 두 개의 별도의 전도체 그룹(23', 24')으로 나누어지며, 이때 각 그룹은 상기 플라즈마 방전 디스플레이의 각 그룹의 대각선을 따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횡단 전기 전도체(21)는 네 개의 별도의 전도체 그룹(23', 24', 23", 24")으로 나누어지며, 이때 두 그룹(23', 24') 각각은 상기 플라즈마 방전 디스플레이의 상반부의 각 그룹의 대각선을 따라서 배치되며, 다른 두 그룹(23", 24") 각각은 상기 플라즈마 방전 디스플레이의 하반부의 각 그룹의 대각선을 따라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횡단 전기 전도체(21)는 두 개의 별도의 전도체 그룹(23', 24')으로 나누어지며, 이때 상기 그룹 중 하나(23')는 상기 플라즈마 방전 디스플레이의 상반부의 대각선을 따라서 배치되며, 다른 하나의 그룹(24')은 상기 플라즈마 방전 디스플레이의 하반부의 대향하는 대각선을 따라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횡단 전기 전도체(21)는, 상기 후면 패널(4)과 상기 금속 지지판(1) 사이에 삽입된 전도성 포일(foil)(25)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전도성 포일(25)의 크기는 상기 플라즈마 방전 디스플레이의 크기와 같고, 개구(26)가 상기 포일 내부에 생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26)는 상기 전도성 포일(25)의 전체 표면 위에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9. 삭제
  10.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지지판(1)과 상기 후면 패널(4)을 상기 전도성 포일(25) 내의 상기 개구(26)를 통해 서로 접착시키기 위해 접착 층이 이들 상기 금속 지지판(1)과 상기 후면 패널(4) 사이에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0040060148A 2003-08-05 2004-07-30 영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플라즈마 패널을 그 전기 전원에 연결하는 장치 KR1010888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309633A FR2858707A1 (fr) 2003-08-05 2003-08-05 Connexion d'un panneau au plasma a son alimentation electrique dans un dispositif de visualisation d'images
FR0309633 2003-08-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6049A KR20050016049A (ko) 2005-02-21
KR101088839B1 true KR101088839B1 (ko) 2011-12-06

Family

ID=33561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0148A KR101088839B1 (ko) 2003-08-05 2004-07-30 영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플라즈마 패널을 그 전기 전원에 연결하는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141930B2 (ko)
EP (1) EP1507278B1 (ko)
JP (1) JP4451738B2 (ko)
KR (1) KR101088839B1 (ko)
CN (1) CN100458873C (ko)
DE (1) DE602004003528T2 (ko)
FR (1) FR2858707A1 (ko)
TW (1) TWI34040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26765A1 (fr) * 2001-06-29 2003-01-03 Thomson Plasma Mode de connexion d'un panneau a plasma a son alimentation electrique dans un dispositif de visualisation d'images
US20060202917A1 (en) * 2005-03-08 2006-09-14 Lg Electronics Inc. Plasma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9723A (ja) 1998-09-17 2000-03-31 Hitachi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その駆動回路並びに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85098A (ja) * 1997-09-01 1999-03-30 Fujitsu Ltd プラズマ表示装置
JPH11338383A (ja) * 1998-05-22 1999-12-10 Bridgestone Corp 表示パネル
JP3289684B2 (ja) * 1998-09-11 2002-06-10 日本電気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モジュール及びその駆動方法
KR100325857B1 (ko) * 1999-06-30 2002-03-07 김순택 에너지 복구 효율이 향상된 플라즈마 표시 패널 및 그 구동방법
FR2826765A1 (fr) * 2001-06-29 2003-01-03 Thomson Plasma Mode de connexion d'un panneau a plasma a son alimentation electrique dans un dispositif de visualisation d'imag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9723A (ja) 1998-09-17 2000-03-31 Hitachi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その駆動回路並びに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858707A1 (fr) 2005-02-11
TW200506996A (en) 2005-02-16
CN100458873C (zh) 2009-02-04
CN1581247A (zh) 2005-02-16
EP1507278A3 (en) 2005-03-02
DE602004003528T2 (de) 2007-06-21
US20050029958A1 (en) 2005-02-10
KR20050016049A (ko) 2005-02-21
JP4451738B2 (ja) 2010-04-14
JP2005055894A (ja) 2005-03-03
EP1507278B1 (en) 2006-12-06
TWI340403B (en) 2011-04-11
EP1507278A2 (en) 2005-02-16
DE602004003528D1 (de) 2007-01-18
US7141930B2 (en) 2006-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2071B1 (ko) 플라즈마 표시장치 및 그의 전계집중부를 가진 유전체층 제조방법
EP1282148B1 (en) Display tube and display device
CA1123886A (en) Planar ac plasma panel
US4945281A (en) Flat light source
TW460891B (en) AC plasma display with apertured electrode patterns
US6384531B1 (en) Plasma display device with conductive metal electrodes and auxiliary electrodes
US6262532B1 (en) Plasma display device with electrically floated auxiliary electrodes
US6043605A (en) Plasma display device with auxiliary electrodes and protective layer
KR101088839B1 (ko) 영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플라즈마 패널을 그 전기 전원에 연결하는 장치
JP3678332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WO2004097780A1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4025325B2 (ja) プラズマ放電方法およびそれを適用した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
JP4264346B2 (ja) 画像表示装置
JP3618291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点灯安定化処理装置
EP1786013A2 (en) Plasma display panel
US3681655A (en) Glass-clad wire gas discharge display matrix
CN101167157B (zh) 平荧光灯及其电极结构
JP3193749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100778849B1 (ko) 평판표시장치의 표면처리를 위한 유도결합형 플라즈마발생장치의 안테나구조
KR940004296B1 (ko) 플라즈마 어드레스 방식의 액정표시소자
KR100326858B1 (ko) 고주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70097203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4947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69697B1 (ko) 전극 구조가 개선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392958B1 (ko) 고주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