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8797B1 - 학습에 의해 충격 오동작을 방지하는 블랙박스 어플리케이션이 내장된 휴대폰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학습에 의해 충격 오동작을 방지하는 블랙박스 어플리케이션이 내장된 휴대폰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8797B1
KR101088797B1 KR1020100042874A KR20100042874A KR101088797B1 KR 101088797 B1 KR101088797 B1 KR 101088797B1 KR 1020100042874 A KR1020100042874 A KR 1020100042874A KR 20100042874 A KR20100042874 A KR 20100042874A KR 101088797 B1 KR101088797 B1 KR 1010887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ck
accident
sensor
impact
sensiti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2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3401A (ko
Inventor
이소형
문민식
이재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인드웨어코퍼레이션즈
주식회사 마인드웨어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인드웨어코퍼레이션즈, 주식회사 마인드웨어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인드웨어코퍼레이션즈
Priority to KR1020100042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8797B1/ko
Publication of KR20110123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34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8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87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또는 휴대폰)을 이용한 블랙박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학습을 통해 충격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블랙박스 어플리케이션이 내장된 스마트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블랙박스 어플리케이션이 내장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학습을 통해 충격 오동작을 방지하는 방법은, 스마트폰 내부에 장착된 센서로부터 외부로부터의 충격 신호를 수신하는 충격신호 수신단계; 상기 충격신호 수신에 따라 사용자로 하여금 사고인지 아닌지를 선택하도록 하는 사고확인단계; 상기 사용자가 사고로 선택하면 상기 센서의 충격 감도를 유지하고 사고시 영상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는 충격감도 유지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사고로 선택하지 않으면 상기 센서의 충격 감도를 높여 현재의 충격 감도 미만의 값은 사고로 인식하지 않도록 하는 충격감도 조절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학습에 의해 충격 오동작을 방지하는 블랙박스 어플리케이션이 내장된 휴대폰 및 그 방법{Mobilephone embbeded blackbox application preventing shocking malfunction through studying,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스마트폰(또는 휴대폰)을 이용한 블랙박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학습에 의해 충격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블랙박스 어플리케이션이 내장된 스마트폰에 관한 것이다.
차량 등의 운행중에는 신호위반이나 중앙선 침범, 충돌 및 접촉사고 등으로 인한 사고로 막대한 물적, 인적피해가 발생시 목격자가 없는 경우, 사고 발생시 증명할 자료가 없고, 사고에 대한 확실한 상황파악이 불가능한 경우에 피해자가 가해자로 바뀌거나 상대방 과실임에도 불구하고 쌍방과실로 불이익을 당하는 사례들이 늘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근래에는 차량에도 블랙박스를 장착하는 사례가 늘고 있으며, 세계적으로도 차량용 블랙박스의 표준화를 준비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에서는 블랙박스의 표준으로 KSR 5076를 규격화하고 있으며, 미국의 경우는 HVEDR를 규격화하여 실시하고 있다.
차량의 블랙박스의 경우, 다양한 기술들이 축적되어 있지만 기본적으로는 외부 충격을 어떠한 방식으로 감지할 것인지, 충격이나 기타 주변상황을 어떻게 촬영하고 기록하고 관리할 것인지가 기본 기능으로 탑재되어 있다.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감지하는 방식으로는 주로 Gravity 센서, 자이로 센서 또는 충격센서를 이용하는 경우가 대표적이며, 이를 XY축 또는 XYZ축으로 구분하여 각 방향에서의 충격을 감지하여 분석하고 있다.
그러나, 센서가 인식하는 물리량은 외부로부터의 충격만 있는 것이 아니라 오프로드나 과속방지턱 또는 예측되지 않은 장애물에 의한 주행에서도 발생할 수 있으나 센서 자체가 이러한 것들까지 인식하여 사고로 판단할 수는 없어 오동작의 문제가 자주 발생된다.
이러한 충격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해서, 센서가 감지할 수 있는 충격 감도를 미리 설정하여 그 이하에서는 사고로 인지하지 않도록 하는 기술들도 개발되고 있으나 이 역시 한계가 있기 마련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차량의 주행시 오프로드, 과속방지턱 또는 장애물에 의해 발생되는 신호에 의한 충격 오동작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학습을 통한 충격 오동작 방지 기능이 부가된 스마트폰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학습에 의해 충격 오동작을 방지하는 블랙박스 어플리케이션이 내장된 스마트폰은, 운송수단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장착되며, 외부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카메라와, 외부 충격을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의 반응을 감지하고, 상기 센서의 충격 감도를 사용자로 하여금 사고 기준값으로 선택할 지에 대한 여부를 확인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센서의 충격 감도를 조절하도록 하는 블랙박스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카메라의 영상데이타를 선출입방식으로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사고 순간의 영상데이타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스마트폰의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블랙박스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충격감도를 상기 사용자가 선택하지 않는 횟수를 카운트하여 일정 횟수가 되면, 상기 카운트된 횟수 각각의 충격감도 중 최저값을 선택하여 그 최저값 이하의 충격에서는 사고로 인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학습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운송수단은 차량, 모터사이클 또는 자전거이며, 상기 블랙박스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운송수단의 종류에 따라 상기 센서의 충격 감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블랙박스 어플리케이션이 내장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학습에 의해 충격 오동작을 방지하는 방법은, 스마트폰 내부에 장착된 센서로부터 외부로부터의 충격 신호를 수신하는 충격신호 수신단계; 상기 충격신호 수신에 따라 사용자로 하여금 사고인지 아닌지를 선택하도록 하는 사고확인단계; 상기 사용자가 사고로 선택하면 상기 센서의 충격 감도를 유지하고 사고시 영상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는 충격감도 유지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사고로 선택하지 않으면 상기 센서의 충격 감도를 높여 현재의 충격 감도 미만의 값은 사고로 인식하지 않도록 하는 충격감도 조절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충격감도 조절단계에 따라 상기 센서의 충격시 촬영된 영상 데이타는 저장 및 관리되지 않는 영상데이타 처리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충격감도 조절단계의 전단계에는, 상기 사고확인단계에서 사용자가 상기 센서의 충격 감도에 의한 충격 신호를 사고로 선택하지 않는 횟수를 카운트하고, 카운트된 횟수가 소정 횟수가 되면 상기 충격감도 조절단계로 이동하는 카운트에 의한 학습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차량의 주행시 오프로드, 과속방지턱 또는 장애물에 의해 발생되는 신호에 의한 충격 오동작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학습을 통한 충격 오동작 방지 기능이 부가된 스마트폰 및 그 방법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의 내부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학습을 통해 충격 오동작을 방지하는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학습을 통해 충격 오동작을 방지하는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학습을 통해 충격 오동작을 방지하는 블랙박스 어플리케이션이 내장된 스마트폰의 구조 및 그 방법의 동작 및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기술하는 스마트폰(smartphone)은 PC와 같은 기능과 더불어 고급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전화를 통칭하는 용어로서 사용되며, 응용 프로그램 개발자를 위한 표준화된 인터페이스와 플랫폼을 제공하는 완전한 운영 체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전화로 볼 수 있고, 전자 우편, 인터넷, 전자책 읽기 기능, 내장형 키보드나 외장 USB 키보드, VGA 단자를 갖춘 고급 기능이 있는 전화로 볼 수 있으며, 다시 말해 스마트폰은 전화 기능이 있는 소형 컴퓨터라 볼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과 같은 수준의 다양한 기능은 가지고 있지 않으나 본 발명에서 요구되는 핵심기기인 카메라 촬영기능과 GPS, Gravity, 자이로 센서 등을 포함하고 있는 일반 휴대폰 역시 그 대상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기술하는 블랙박스는 운송수단용으로서 상세하게는 차량이나, 모터사이클 또는 자전거용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의 내부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은 제어부(11), GPS(12), 카메라(13), 녹음기(14), 전원공급부(15), 센서(16), 메모리부(17), 보조메모리부(18), 타이머(19), ON/OFF스위치(20), 표시부(21), 스피커(22) 및 카운터(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11)는 스마트폰의 카메라(13)로부터 촬영된 영상신호 및 녹음기(14)로부터 녹음된 음성신호가 A/D컨버터(미도시)를 거쳐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입력받으며, 메모리부(17), 보조메모리부(18), 표시부(21) 등의 기타 다른 구성요소들의 전반적인을 제어를 담당한다.
GPS(12, Global Position System)는 스마트폰에 내장되며, 스마트폰의 위치정보를 위성으로부터 수신한다.
카메라(13)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고화질의 CCD(Charge Coupled Device)가 사용되고, 이미지를 강화하기 위한 이미지 증폭기나 줌(Zoom)기능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으며, 또한 차량의 전후방향 및 측방향을 촬영하기 위해 상하좌우 또는 폴더에 하나 이상 장착된다.
센서(16)는 Gravity 센서, 자이로 센서 또는 충격센서의 IC 형태의 센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외부의 충격을 감지하여 스마트폰에 내장된 블랙박스 어플리케이션에 동작에 따라 사고시의 영상을 저장하도록 하기 위한 매개체로서 사용된다.
메모리부(17)는 제어부(11)로부터 디지털 신호를 입력받으며 카메라(13)로부터 촬영된 영상신호를 저장하고, 저장되는 영상신호는 타이머(19)에 미리 설정된 시간간격에 따라 선입선출방식(First In-First Out)으로 저장하며, 센서(16)의 충격 감지 및 제어부(11)의 제어에 따라 사고 전후의 시간동안의 영상을 저장한다.
이러한 메모리부(17)는 SRAM이나 DRAM으로 구성하거나 전원이 차단되어도 데이터가 유지되는 플래쉬(Flash) 메모리로 구성할 수 있다.
보조메모리부(18)는 제어부(11)로부터 디지털신호를 입력받으며 메모리부(17)에 저장된 영상신호를 타이머(19)에 기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일정분량을 전송받아 계속해서 저장하며, 블랙박스 어플리케이션이 내장될 수 있고, 전원이 차단되어도 데이터가 유지되는 플래쉬 메모리로 구성할 수 있다.
타이머(19)는 메모리부(17) 및 보조메모리부(18)에 저장되는 영상신호의 시간 간격이 설정되어 있으며, 별도의 메뉴얼에 따라 사용자가 임의로 재설정이 가능하다.
카운터(23)는 센서(16)에 의해 충격감지가 되는 순간 사고인지를 확인하는 단계에서 사용자가 사고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여 선택한 횟수를 카운트한다. 카운트된 횟수와 기설정된 카운트의 비교는 제어부(11)를 통해 이루어진다.
ON/OFF스위치(20)는 스마트폰의 여러 누름버튼 중에 하나로서 구성되며, 표시부(21)는 액정디스플레이로 구성될 수 있고, 기타 녹음기(14) 및 스피커(22)는 일반적인 휴대폰에 내장되는 부품들로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되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블랙박스 기능 동작을 도 2 및 도 3를 통해 설명한다.
도 2는 센서를 통해 충격감지되는 순간 사고여부를 사용자로 하여금 선택하도록 하여 선택에 따라 센서감도를 조절하는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도 3은 센서를 통해 충격감지되는 순간 사고여부를 사용자로 하여금 선택하도록 하여 선택 횟수에 따라 센서감도를 조절하는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학습을 통해 충격 오동작을 방지하는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센서(16)로부터 충격감지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S21), 제어부(11)에 의해 사용자로 하여금 현시점의 충격을 사고로 선택 또는 판단할 지를 문의한다(S22). 예를 들면, "충격이 감지되었습니다. 사고로 판단하시겠습니까?"(자동실행 팝업/취소 가능)라고 표시부(21)에 표시된다.
이어서,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외부접촉이나 충격이 있다고 판단되어 "예"라고 응답을 하면 현재 기설정된 센서(16) 감도값을 사고 판단의 기준값으로 그대로 유지하고(S23), 충격시 전후(타이머에 기설정됨)의 영상 데이타를 메모리(17) 또는 보조메모리(18)에 저장하게 된다(S24).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외부접촉이나 충격이 있는 것이 아니라 오프로드 상의 충격, 과속방지턱에 의한 충격 또는 기타 예측되지 않은 장애물에 의한 충격이라고 판단하면 "아니오"라고 응답을 하고 현재의 충격 강도 이하에서는 센서(16)의 감지가 있더라도 사고 여부를 문의하지 않도록 충격 감도를 상향으로 조절하도록 한다(S25). 이후 메모리(17) 또는 보조메모리(18)에 저장된 영상데이타는 선입선출방식에 따라 소정시간 경과후 데이타가 저장되지 않고 삭제된다(S26).
이러한 구성에 따라 오프로드/과속방지턱/장애물 등에서의 충격 오동작이 발생할 경우 사용자가 저장이 필요 없다고 선택을 하는 순간, 충격 강도를 자동으로 높여 다음에는 유사한 수준의 충격에서 동작을 의뢰하지 않도록 학습하여 불필요한 파일들의 생성 및 관리가 없어지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학습을 통해 충격 오동작을 방지하는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센서(16)로부터 충격감지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S31), 제어부(11)에 의해 사용자로 하여금 현시점의 충격을 사고로 선택 또는 판단할 지를 문의한다(S32). 예를 들면, "충격이 감지되었습니다. 사고로 판단하시겠습니까?"(자동실행 팝업/취소 가능)라고 표시부(21)에 표시된다.
이어서,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외부접촉이나 충격이 있다고 판단되어 "예"라고 응답을 하면 현재 기설정된 센서(16) 감도값을 사고 판단의 기준값으로 그대로 유지하고(S33), 충격시 전후(타이머에 기설정됨)의 영상 데이타를 메모리(17) 또는 보조메모리(18)에 저장하게 된다(S34).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외부접촉이나 충격이 있는 것이 아니라 오프로드 상의 충격, 과속방지턱에 의한 충격 또는 기타 예측되지 않은 장애물에 의한 충격이라고 판단하면 "아니오"라고 응답을 하고 "아니오"라고 선택한 횟수 및 현재의 센서 감도를 체크한다(S35).
카운터(23)에 의해 사용자가 "아니오"라고 선택한 횟수가 기설정된 횟수 미만이면 센서(16)가 감지하는 충격 감도값의 조절없이 종료되고, 그 이상이면 사용자가 선택한 횟수에 대응되는 센서(16)가 인식한 충격값 중 최저값 이하에서는 충격에 따른 사고여부 문의를 하지 않도록 센서(16)의 감도를 상향으로 조절하도록 한다(S36). 이후 메모리(17) 또는 보조메모리(18)에 저장된 영상데이타는 선입선출방식에 따라 소정시간 경과후 데이타가 저장되지 않고 삭제된다(S37).
이러한 구성에 따라 오프로드/과속방지턱/장애물 등에서의 충격 오동작이 발생할 경우 사용자가 저장이 필요 없다고 선택을 하는 순간, 충격 강도를 자동으로 높여 다음에는 유사한 수준의 충격에서 동작을 의뢰하지 않도록 학습하여 불필요한 파일들의 생성 및 관리가 없어지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 : 제어부 12 : GPS
13 : 카메라 14 : 녹음기
15 : 전원공급부 16 : 센서
17 : 메모리부 18 : 보조메모리부
19 : 타이머 20 : ON/OFF 스위치
21 : 표시부 22 : 스피커
23 : 카운터

Claims (6)

  1. 운송수단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장착되며,
    외부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카메라와,
    외부 충격을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의 반응을 감지하고, 상기 센서의 충격 감도를 사용자로 하여금 사고 기준값으로 선택할 지에 대한 여부를 확인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센서의 충격 감도를 조절하도록 하는 블랙박스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카메라의 영상데이타를 선출입방식으로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사고 순간의 영상데이타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스마트폰의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블랙박스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충격감도를 상기 사용자가 선택하지 않는 횟수를 카운트하여 일정 횟수가 되면, 상기 카운트된 횟수 각각의 충격감도 중 최저값을 선택하여 그 최저값 이하의 충격에서는 사고로 인식하지 않도록 하는, 학습에 의해 충격 오동작을 방지하는 블랙박스 어플리케이션이 내장된 휴대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수단은 차량, 모터사이클 또는 자전거이며, 상기 블랙박스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운송수단의 종류에 따라 상기 센서의 충격 감도를 조절할 수 있는, 학습에 의해 충격 오동작을 방지하는 블랙박스 어플리케이션이 내장된 휴대폰.
  4. 스마트폰 내부에 장착된 센서로부터 외부로부터의 충격 신호를 수신하는 충격신호 수신단계;
    상기 충격신호 수신에 따라 사용자로 하여금 사고인지 아닌지를 선택하도록 하는 사고확인단계;
    상기 사용자가 사고로 선택하면 상기 센서의 충격 감도를 유지하고 사고시 영상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는 충격감도 유지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사고로 선택하지 않으면 상기 센서의 충격 감도를 높여 현재의 충격 감도 미만의 값은 사고로 인식하지 않도록 하는 충격감도 조절단계;를 포함하는, 블랙박스 어플리케이션이 내장된 휴대폰을 이용하여 학습에 의한 충격 오동작을 방지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감도 조절단계에 따라 상기 센서의 충격시 촬영된 영상 데이타는 저장 및 관리되지 않는 영상데이타 처리단계를 더 포함하는, 블랙박스 어플리케이션이 내장된 휴대폰을 이용하여 학습에 의한 충격 오동작을 방지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감도 조절단계의 전단계에는,
    상기 사고확인단계에서 사용자가 상기 센서의 충격 감도에 의한 충격 신호를 사고로 선택하지 않는 횟수를 카운트하고, 카운트된 횟수가 소정 횟수가 되면 상기 충격감도 조절단계로 이동하는 카운트에 의한 학습단계를 더 포함하는, 블랙박스 어플리케이션이 내장된 휴대폰을 이용하여 학습에 의한 충격 오동작을 방지하는 방법.
KR1020100042874A 2010-05-07 2010-05-07 학습에 의해 충격 오동작을 방지하는 블랙박스 어플리케이션이 내장된 휴대폰 및 그 방법 KR1010887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2874A KR101088797B1 (ko) 2010-05-07 2010-05-07 학습에 의해 충격 오동작을 방지하는 블랙박스 어플리케이션이 내장된 휴대폰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2874A KR101088797B1 (ko) 2010-05-07 2010-05-07 학습에 의해 충격 오동작을 방지하는 블랙박스 어플리케이션이 내장된 휴대폰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3401A KR20110123401A (ko) 2011-11-15
KR101088797B1 true KR101088797B1 (ko) 2011-12-01

Family

ID=45393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2874A KR101088797B1 (ko) 2010-05-07 2010-05-07 학습에 의해 충격 오동작을 방지하는 블랙박스 어플리케이션이 내장된 휴대폰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87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4902B1 (ko) 2018-11-19 2020-02-07 (주)큐알온텍 차량용 영상 기록시스템의 제어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7701B1 (ko) * 2017-06-14 2022-06-15 주식회사 파인디지털 차량 충격의 알림을 수행하는 주차 충격 감지 장치 및 주차 충격 감지장치를 이용한 차량 충격 알림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4909B1 (ko) 2007-06-21 2008-07-09 주식회사 피엘케이 테크놀로지 센서 보정이 용이한 사고 정보 기록장치 및 보정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4909B1 (ko) 2007-06-21 2008-07-09 주식회사 피엘케이 테크놀로지 센서 보정이 용이한 사고 정보 기록장치 및 보정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4902B1 (ko) 2018-11-19 2020-02-07 (주)큐알온텍 차량용 영상 기록시스템의 제어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3401A (ko) 2011-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21970B2 (en) Method and system for logging vehicle behavior
KR102162445B1 (ko)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벤트 처리 방법
KR102087073B1 (ko)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공유 방법
CN105632183B (zh) 一种车辆违规行为举证的方法及其系统
KR100768942B1 (ko) 영상 처리 장치
US11265508B2 (en) Recording control device, recording control system, recording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control program
KR102211496B1 (ko) 주차시 차량용 블랙박스의 이벤트 감지시스템 및 그 이벤트 감지방법
GB2486384A (en) Logging driving information using a mobile telecommunications device
JP5914018B2 (ja) ドライブレコーダ
KR101183217B1 (ko) 모바일 결합형 사용자 인터랙티브 차량용 블랙박스 및 그 구동 방법
KR101482620B1 (ko) 영상 프레임을 이용한 보안 방법, 이를 실행하는 장치 및 이를 저장한 기록 매체
KR101088797B1 (ko) 학습에 의해 충격 오동작을 방지하는 블랙박스 어플리케이션이 내장된 휴대폰 및 그 방법
KR102326997B1 (ko) 블랙박스 영상 정보의 관리 시스템
KR101237991B1 (ko) 스마트 폰에서 차량 운행 정보의 공유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KR20110123402A (ko) 거치대와 스마트폰을 이용한 블랙박스 시스템
KR101348216B1 (ko) 차량용 영상기록장치 및 영상기록방법
KR102506131B1 (ko) 퍼스널 모빌리티 안전 시스템
KR20160071024A (ko) 영상데이터 전송기능을 갖춘 차량용 블랙박스
KR102013635B1 (ko) 차량용 블랙박스
US20150070497A1 (en) Recording apparatus for vehicles and method of recording
KR101431507B1 (ko) 차량 사고 영상 전송 시스템
CN101470909A (zh) 路况记录方法及电子装置
KR100796386B1 (ko) 차량용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및 이를 이용한 작동방법
KR20150140038A (ko) 거치대와 스마트폰을 이용한 블랙박스 시스템
KR101683368B1 (ko) 자동차용 영상수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