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8339B1 - Camera module having impurities preven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Camera module having impurities preventing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88339B1 KR101088339B1 KR1020100000520A KR20100000520A KR101088339B1 KR 101088339 B1 KR101088339 B1 KR 101088339B1 KR 1020100000520 A KR1020100000520 A KR 1020100000520A KR 20100000520 A KR20100000520 A KR 20100000520A KR 101088339 B1 KR101088339 B1 KR 10108833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mera module
- foreign material
- blocking
- foreign matter
- main fram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Lens Barrel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에 구비되는 렌즈 하우징으로 구성된 이물질 차단 장치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과 상기 렌즈 하우징의 사이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차단하는 상기 이물질의 이동 경로를 차단하는 이물질 차단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따라, 이물질 유입으로 인한 제품의 해상력 저하을 방지할 수 있고, 이물질 차단부를 환형의 플레이트로 구성하여 제품에 별도의 설치 공간이 필요없으며, 이로 인해, 제품의 크기 및 부피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이물질 침투를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mera module having a foreign material blocking device including a main frame and a lens housing provided in the main frame, the movement path of the foreign material blocking the foreign matter flowing between the main frame and the lens housing.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oreign matter blocking unit, thereby, to prevent the reduction of the resolution of the product due to the inflow of foreign matter, by configuring the foreign matter blocking unit in the annular plate,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installation space in the product, Foreign matter penetration can be prevented without increasing the size and volume of the product, and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of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유입되는 이물질을 차단함과 아울러 적외선 필터 또는 이미지 센서로 유입되는 이물질의 이동경로를 차단하는 이물질 차단부를 구성한 이물질 차단 장치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mera module having a foreign matter blocking device configured to block foreign matters flowing into the camera module and to block a foreign material flowing into the infrared filter or an image sensor.
통상적으로, 디지털 카메라 제작 기술의 발달로 소형, 경량화된 카메라 모듈이 등장하여 휴대용 통신 장치에도 카메라를 장착할 수 있게 되면서, 광학 렌즈 및 카메라 모듈이 장착된 휴대용 통신 장치가 보편화되고 있는 추세이다.In general, 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camera manufacturing technology, a compact, light weight camera module has appeared to enable the mounting of a camera in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상기 카메라 모듈은 피사체의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하여 그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한 후 필요에 따라 이를 편집 및 전송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camera module is capable of capturing a photograph or video of a subject, storing the image data thereof, and editing and transmitting the image data as necessary.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 모듈(1)의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카메라 모듈(1)은 인쇄회로기판(미도시 됨)과, 적외선 필터(2a)를 내장한 메인 프레임(2)과, 상기 메인 프레임(2)내에 구비되는 렌즈 하우징(3)과, 상기 렌즈 하우징(3)을 구동시키는 구동부(4)와, 상기 구동부(4)를 지지하는 지지부(5)와, 상기 렌즈 하우징(3)의 상부에 구비되는 커버부(6)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the structure of the camera module 1 is as follows. The camera module 1 includes a printed circuit board (not shown), a
그러나, 상기 종래의 카메라 모듈(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하우징(3)과 커버부(6)의 사이에 갭(Gap)(G1)이 발생되고, 상기 갭(G1)을 통해 이물질(A1)이 유입되어 메인 프레임(2)의 하부에 쌓이거나 적외선 필터(2a)의 상면으로 유입되어 카메라 모듈(1)의 해상력을 저하시키고, 이로인해 제품의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camera module 1, as shown in FIG. 1, a gap G1 is generated between th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카메라 모듈에 이물질 차단을 위한 기구 장치를 구비할 경우 카메라 모듈의 크기가 커져 소형화에 저해요인이 되었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when a mechanism device for blocking foreign matters is provided in a conventional camera module, the size of the camera module is increased, which is a factor in miniaturization.
따라서, 카메라 모듈에 이물질 유입으로 인한 제품의 해상력 저하를 방지하고, 별도의 설치공간이 필요없이 설치할 수 있는 이물질 차단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foreign matter blocking device that can prevent the degradation of the product resolution due to the inflow of foreign matters into the camera module and can be installed without the need for a separate installation space.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유입되는 이물질을 차단함과 아울러 적외선 필터 또는 이미지 센서로 유입되는 이물질의 이동경로를 차단하는 이물질 차단부를 구성함으로써, 이물질 유입으로 인한 제품의 해상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이물질 차단 장치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block the foreign matter flowing into the camera module, and also to configure the foreign matter blocking unit to block the moving path of the foreign matter introduced into the infrared filter or image sensor, the foreign matter to prevent the degradation of the product caused by the foreign matter inflow It is to provide a camera module having a blocking device.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유입되는 이물질을 차단함과 아울러 적외선 필터 또는 이미지 센서로 유입되는 이물질의 이동경로를 차단하는 환형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이물질 차단부를 구성함으로써, 제품에 별도의 설치 공간이 필요없고, 이로인해, 제품의 크기 및 부피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이물질 침투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이물질 차단 장치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by blocking the foreign material flowing into the camera module and by configuring a foreign material blocking portion consisting of an annular plate for blocking the moving path of the foreign material flowing into the infrared filter or image sensor,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installation space in the product, Accordingly, to provide a camera module having a foreign matter blocking device to prevent foreign matter penetration without increasing the size and volume of the product.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에 구비되는 렌즈 하우징으로 구성된 이물질 차단 장치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In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mera module having a main body and a foreign matter blocking device composed of a lens housing provided in the main frame,
상기 메인 프레임과 상기 렌즈 하우징의 사이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차단하는 상기 이물질의 이동 경로를 차단하는 이물질 차단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oreign matter blocking unit for blocking the moving path of the foreign matter blocking the foreign matter flowing between the main frame and the lens housing.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에 구비되는 렌즈 하우징으로 구성된 이물질 차단 장치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amera module including a main frame and a foreign material blocking device including a lens housing provided in the main frame.
상기 렌즈 하우징 위에 장착되는 커버부;A cover part mounted on the lens housing;
상기 렌즈 하우징과 상기 커버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장착공간; 및A mounting space formed between the lens housing and the cover portion; And
상기 장착 공간에 장착되어 상기 렌즈 하우징과 상기 커버부의 사이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차단하는 이물질 차단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And a foreign material blocking unit mounted on the mounting space to block foreign substances introduced between the lens housing and the cover unit.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물질 차단 장치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에 의하면, According to the camera module provided with a foreign matter b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카메라 모듈에 유입되는 이물질을 차단함과 아울러 적외선 필터 또는 이미지 센서로 유입되는 이물질의 이동경로를 차단하는 이물질 차단부를 구성함으로써, 이물질 유입으로 인한 제품의 해상력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이물질 차단부를 환형의 플레이트로 구성하여 제품에 별도의 설치 공간이 필요없으며, 이로인해, 제품의 크기 및 부피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이물질 침투를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By blocking foreign substances entering the camera module and blocking the foreign substances flowing into the infrared filter or image sensor, the foreign material blocking unit can prevent the deterioration of the resolution of the product due to the foreign substance inflow, and the foreign matter blocking unit is annular. It is composed of a plate of the product does not need a separate installation space, thereby preventing the ingress of foreign substances without increasing the size and volume of the product, thereby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도 1은 종래의 카메라 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차단 장치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차단 장치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차단 장치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의 커버부의 결합 전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차단 장치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A-A' 선 단면도.
도 7은 도 6의 A부 확대 단면도.
도 8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차단 장치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의 구성 중 이물질 차단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차단 장치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의 구성 중 이물질 차단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차단 장치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차단 장치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12의 B부 확대 측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차단 장치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의 구성 중 이물질 차단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차단 장치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의 구성 중 이물질 차단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B-B' 선단면도.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camera module.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amera module having a foreign matter block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amera module having a foreign matter block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before coupling of the cover portion of the camera module with a foreign matter block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bined state of the camera module having a foreign matter block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 of FIG. 5.
7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portion A of FIG. 6.
Figure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oreign matter blocking unit of the camera module with a foreign matter block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n exploded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oreign matter blocking unit of the camera module having a foreign matter block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amera module having a foreign matter block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mbined state of the camera module having a foreign matter block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art B enlarged side sectional view of Fig. 12.
Figure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oreign matter blocking unit of the camera module having a foreign matter block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oreign matter blocking unit of the camera module having a foreign matter block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 of FIG. 14;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예들이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the drawings described above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can be replaced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various variations.
도 2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물질 차단 장치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은 적외선 필터(20)를 내장한 메인 프레임(12)과, 상기 메인 프레임(12)에 구비되는 렌즈 하우징(13)과, 상기 렌즈 하우징(13)을 구동시키는 구동부(14)와, 커버부(16) 및 이물질 차단부(100)로 구성되어 있다.2 to 9, the camera module including the foreign matter blocking device includes a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물질 차단부(100)는 상기 렌즈 하우징(13)과 상기 커버부(16)의 사이에 제공된 갭(G1)을 통해 유입되는 이물질(A1)을 차단함과 아울러 상기 적외선 필터(20)로 유입되는 상기 이물질(A1)의 이동 경로를 차단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12)과 상기 렌즈 하우징(13)의 사이에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2 to 7, the foreign
상기 이물질 차단부(100)는 메탈(Metal)재질, 필림 시트(Film Sheet) 및 탄성 재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물질 차단부(100)는 메탈(Metal)재질, 필림 시트(Film Sheet) 및 탄성 재질이외 다른 재질도 가능하다.The foreign
상기 이물질 차단부(100)는 별도의 설치공간이 필요없이 상기 메인 프레임(12)과 상기 렌즈 하우징(13)의 상면에 구비되도록 환형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져 있다.The foreig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 모듈에는 상기 이물질 차단부(100)에 대향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12)에 형성된 이물 트랩(12b)(12c)이 형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6, the camera module has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물질 차단부(10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이물질 차단부(100)는 상기 메인 프레임(12)과 상기 렌즈 하우징(13)에 구비되고, 상기 이물질(A1)의 유입시 이동 경로를 다수의 방향으로 변경시켜 상기 이물질을 차단하도록 이동 경로 차단부(110)로 이루어져 있다.As shown in FIG. 8 and FIG. 9,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foreign
상기 이동 경로 차단부(110)는 차단 부재(111)와, 이동 경로 단턱부(112)로 구성되어 있다.The movement
상기 차단 부재(111)는 후술하는 상기 이동 경로 단턱부(112)와 대응되게 결합되도록 상기 렌즈 하우징(13)의 외곽에 돌출 형성되어 있다.The blocking
상기 이동 경로 단턱부(112)는 상기 차단 부재(111)의 형성과 대응되게 결합되며, 상기 이물질의 유입 경로를 다수의 방향으로 변경시킴과 아울러 차단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12)에 형성되어 있다.The movement
상기 차단 부재(111)는 환형의 돌기로 형성되어 있다.The blocking
상기 이동 경로 단턱부(112)는 상기 환형의 돌기와 결합되도록 단차지게 형성되어 있다.The movement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 모듈에는 상기 이물질 차단부(100)에 대향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12)에 형성된 이물 트랩(1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물 트랩은 상기 메인 프레임(12)의 상기 이물질 차단부(100)에 대향되는 면에 형성된 요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요홈의 상기 카메라 모듈 내측 끝단에는 상기 커버부에 대향되게 돌출된 돌출부(미도시 됨)가 구비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9, the camera module is provided with a
한편,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을 구비한 휴대용 통신 장치를 대표적인 예시로 나타내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은 반드시 휴대용 통신 장치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카메라 모듈을 구비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전자 기기에 적용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camera modul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s a representative example. However, the camera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but may be applied to various types of electronic devices that may include a camera module.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예시로는,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에 대응되는 통신 프로토콜들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를 비롯하여, 디지털 카메라,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디지털방송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스마트 폰(Smart Phone) 등 모든 정보통신기기와 멀티미디어 기기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Examples of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l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operating based on communication protocols corresponding to various communication systems, digital cameras, and portable multimedia players. ), An MP3 player, a digital broadcasting player,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nd a smart phone (Smart Phone) may include all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s and multimedia devices and applications thereof.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 예에 의한 이물질 차단 장치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의 동작과정을 첨부된 도 2 내지 도 9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ures 2 to 9 attached to the operation of the camera module having a foreign matter block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n detail as follows.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물질 차단 장치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10)은 적외선 필터(20)를 내장한 메인 프레임(12)과, 상기 메인 프레임(12)에 구비되는 렌즈 하우징(13)과, 상기 렌즈 하우징(13)을 구동시키는 구동부(14)와, 커버부(16) 및 이물질 차단부(100)로 구성된다.2 to 7, the camera module 10 having the foreign matter blocking device includes a
이 상태에서, 상기 메인 프레임(12)내에 상기 렌즈 하우징(13)을 결합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12)의 상면과 상기 렌즈 하우징(13)의 상면의 사이에 상기 이물질 차단부(100)를 올려 놓는다.In this state, the
상기 이물질 차단부(100)는 환형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환형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이물질 차단부(100)는 상기 메인 프레임(12)과 원통형의 상기 렌즈 하우징(13)의 상면에 올려 놓는다.The foreign
이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프레임(12)과 상기 렌즈 하우징(13)의 상부에 상기 커버부(16)를 결합한다.In this state, as shown in FIG. 4, the
이때,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물질 차단부(100)는 상기 렌즈 하우징(13)과 상기 커버부(16)에 제공된 갭(G1)을 통해 유입되는 이물질(A1)을 차단함과 아울러 상기 적외선 필터(20)로 유입되는 상기 이물질(A1)의 이동 경로를 차단함으로써, 제품의 해상력을 향상시킬뿐만 아니라 해상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case, as illustrated in FIGS. 5 to 7, the foreig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 모듈에는 상기 이물질 차단부(100)에 대향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12)에 형성된 이물 트랩(12b)(12c)이 형성된다.As illustrated in FIG. 6, the camera module has foreign material traps 12b and 12c formed in the
또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물질 차단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이물질 차단부(110)는 차단 부재(111)와, 상기 메인 프레임(12)내에 형성되는 이동 경로 단턱부(112)로 구성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s 8 and 9, as shown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foreign matter blocking unit, the foreign
이 상태에서, 상기 메인 프레임(12)내로 상기 렌즈 하우징(13)을 결합한다. 이때, 상기 차단 부재(111)는 환형의 돌기로 형성되고, 상기 렌즈 하우징(13)의 외곽에 돌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렌즈 하우징(13)이 상기 메인 프레임(12)내로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메인 프레임(12)의 이동 경로 단턱부(112)는 상기 렌즈 하우징(13)의 차단 부재(111)와 대응되면서 결합된다.In this state, the
이 상태에서, 상기 메인 프레임(12)의 상부와 상기 렌즈 하우징(13)의 상부에 커버부(16)를 결합한다.In this state, the
상기 렌즈 하우징(13)과 상기 커버부(16)에 제공된 갭(G1)을 통해 이물질(A1)이 유입될 경우 상기 이물질(A1)은 상기 렌즈 하우징(13)의 차단 부재(111)에 의해 유입 경로 방향이 수평방향에서 수직방향으로 변경된다. When the foreign matter A1 is introduced through the gap G1 provided in the
상기 이물질(A1)은 상기 차단 부재(111)에 의해 유입 경로 방향이 변경되고, 다시 상기 이동 경로 단턱부(112)에 의해 유입 경로 방향이 수직방향에서 수평방향으로 변경된다.The foreign material A1 is changed in the inflow path direction by the blocking
이와 같이, 상기 차단 부재(111)와 상기 이동 경로 단턱부(112)는 상기 이물질(A1)의 유입 경로를 다수의 방향으로 변경시킴으로써,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한다.As such, the blocking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 모듈에는 상기 이물질 차단부(100)에 대향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12)에 형성된 이물 트랩(17)이 형성된다. 상기 이물 트랩은 상기 메인 프레임(12)의 상기 이물질 차단부(100)에 대향되는 면에 형성된 요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요홈의 상기 카메라 모듈 내측 끝단에는 상기 커버부에 대향되게 돌출된 돌출부(미도시 됨)가 구비된다.
As shown in FIG. 9, the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 예에 의한 이물질 차단 장치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의 동작과정을 첨부된 도 10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ures 10 to 15 attached to the operation of the camera module having a foreign matter block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n detail as follows.
도 10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물질 차단 장치(200)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10)은 적외선 필터(20)를 내장한 메인 프레임(12)과, 상기 메인 프레임(12)에 구비되는 렌즈 하우징(13)과, 상기 렌즈 하우징(13)을 구동시키는 구동부(14)와, 커버부(16), 장착 공간(201) 및 이물질 차단부(202)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0 to FIG. 15, the camera module 10 having the foreign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착 공간(201)은 후술하는 상기 이물질 차단부(202)을 장착할 수 있도록 상기 렌즈 하우징(13)과 상기 커버부(16)의 사이에 형성된다.10 to 12, the mounting
상기 이물질 차단부(202)는 상기 렌즈 하우징(13)의 구동에 따라서 함께 구동됨과 아울러 상기 렌즈 하우징(13)과 상기 커버부(16)의 사이에 제공된 갭(G1)을 통해 유입되는 이물질(A1)을 차단하도록 상기 장착 공간(201)에 장착된다.The foreign
이 상태에서, 상기 메인 프레임(12)내에 상기 렌즈 하우징(13)을 결합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12)과 상기 렌즈 하우징(13)의 상면에 상기 커버부(16)를 결합한다.In this state, the
이때, 상기 이물질 차단부(202)의 일단(202a)은 상기 커버부(16)의 하면에 결합하고, 상기 이물질 차단의 타일단(202b)은 상기 렌즈 하우징(13)의 상면에 형성된 결합홈(13a)에 결합한다.At this time, one
상기 이물질 차단부(202)는 상기 렌즈 하우징(13)의 구동시 함께 구동가능하도록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탄성 재질이외에 다른 연성의 재질로 가능하다.The foreign
상기 이물질 차단부(202)의 단면은 탄성을 갖도록 다수개의 주름진 곡선부(202c)로 이루어지고, 상기 곡선부(202c)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작게 형성된다.The cross section of the foreign
이 상태에서,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렌즈 하우징(13)을 구동시키면, 상기 렌즈 하우징(13)과 함께 상기 이물질 차단부(202)도 구동됨과 아울러 상기 렌즈 하우징(13)과 상기 커버부(16)에 제공된 갭(G1)을 통해 유입되는 이물질(A1)을 차단한다.In this state, as shown in FIGS. 11 and 12, when the
이와 같이, 상기 이물질 차단부(202)는 상기 렌즈 하우징(13)의 구동시 함께 구동하면서 이물질(A1)을 차단함으로써, 카메라 모듈을 장시간 사용시 이물질 차단부(202)의 파손을 방지하고, 이물질(A1) 차단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oreign
또한,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물질 차단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기 이물질 차단부(202)는 접시 형상의 이물질 차단부(300) 또는 도너츠 형상의 이물질 차단부(400)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시 형상 또는 도너츠 형상의 이물질 차단부(300)(400) 이외에 다른 형상도 가능하다.(예컨대 링 형상)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s 13 to 15, a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oreign material blocking unit, the foreign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이물질 차단 장치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은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The camera module having the foreign matter block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drawings, and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적외선 필터 : 12a 메인 프레임: 12
렌즈 하우징 : 13 구동부 : 14
커버부 : 16 이물질 차단부 : 100Infrared Filter: 12a Main Frame: 12
Lens housing: 13 Drive: 14
Cover part: 16 Foreign material blocking part: 100
Claims (14)
상기 메인 프레임과 상기 렌즈 하우징의 사이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차단하는 상기 이물질의 이동 경로를 차단하는 이물질 차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물질 차단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과 상기 렌즈 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이물질의 유입시 이동 경로를 다수의 방향으로 변경시켜 상기 이물질을 차단하는 이동 경로 차단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차단 장치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In the camera module having a main frame and a foreign matter blocking device composed of a lens housing provided in the main frame,
It includes a foreign material blocking unit for blocking the moving path of the foreign matter blocking the foreign matter flowing between the main frame and the lens housing,
The foreign material blocking unit is provided in the main frame and the lens housing, the camera having a foreign matter block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movement path blocking unit for blocking the foreign material by changing the moving path in a plurality of directions when the foreign material is introduced. module.
The camera module of claim 1, wherein the foreign material blocking unit is made of any one of a metal material, a film sheet, and an elastic material.
The camera module of claim 1, wherein the foreign material blocking unit comprises an annular plate.
상기 메인 프레임에 형성되고, 상기 차단 부재의 형상과 대응되게 결합되며, 상기 이물질의 유입경로를 다수의 방향으로 변경시키는 이동 경로 단턱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차단 장치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ovement path blocking portion, and the blocking member protruding on the outside of the lens housing,
The camera module having a foreign matter blocking device formed on the main frame, coupl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blocking member, and configured to include a moving path step portion for changing the inflow path of the foreign matter in a plurality of directions.
상기 이동 경로 단턱부는 상기 환형의 돌기와 결합되도록 단차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차단 장치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blocking member is formed of an annular projection,
The movement path step portion is a camera module having a foreign matter block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stepped to be coupled to the annular projection.
The camera module of claim 1, wherein the camera module further comprises a foreign material trap formed on the main frame opposite to the foreign material blocking part.
상기 렌즈 하우징 위에 장착되는 커버부;
상기 렌즈 하우징과 상기 커버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장착공간; 및
상기 장착 공간에 장착되어 상기 렌즈 하우징과 상기 커버부의 사이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차단하는 이물질 차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물질 차단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과 상기 렌즈 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이물질의 유입시 이동 경로를 다수의 방향으로 변경시켜 상기 이물질을 차단하는 이동 경로 차단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차단 장치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In the camera module having a main frame and a foreign matter blocking device composed of a lens housing provided in the main frame,
A cover part mounted on the lens housing;
A mounting space formed between the lens housing and the cover portion; And
A foreign material blocking part mounted in the mounting space to block foreign substances introduced between the lens housing and the cover part,
The foreign material blocking unit is provided in the main frame and the lens housing, the camera having a foreign matter block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movement path blocking unit for blocking the foreign material by changing the moving path in a plurality of directions when the foreign material is introduced. module.
The camera module of claim 8, wherein one end of the foreign material blocking unit is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cover unit, and the tile end is coupled to a coupling groove formed in the lens housing.
The camera module of claim 8, wherein the foreign material blocking unit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상기 곡선부들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작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차단 장치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cross section of the foreign material blocking portion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corrugated curve,
The curved portion of the camera module having a foreign matter block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maller form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The camera module of claim 8, wherein the foreign material blocking unit comprises a foreign material blocking unit having a dish shape or a donut shape.
The camera module of claim 8, wherein the camera module further comprises a foreign material trap formed on the main frame opposite to the foreign material blocking part.
상기 요홈의 상기 카메라 모듈 내측 끝단에는 상기 커버부에 대향되게 돌출된 돌출부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차단 장치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The foreign material trap of claim 13, wherein the foreign material trap is formed of a groove formed on a surface of the main frame opposite to the foreign material blocking part.
The camera module having a foreign matter blocking device further comprises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inner side of the groove of the groove in the camera modul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00520A KR101088339B1 (en) | 2010-01-05 | 2010-01-05 | Camera module having impurities preventing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00520A KR101088339B1 (en) | 2010-01-05 | 2010-01-05 | Camera module having impurities preventing apparatu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80344A KR20110080344A (en) | 2011-07-13 |
KR101088339B1 true KR101088339B1 (en) | 2011-12-01 |
Family
ID=44919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00520A KR101088339B1 (en) | 2010-01-05 | 2010-01-05 | Camera module having impurities preventing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88339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90755B1 (en) * | 2011-12-29 | 2015-02-11 | 삼성전기주식회사 | Camera module |
KR20140033812A (en) * | 2012-09-10 | 2014-03-19 | 자화전자(주) | Camera lens assembly |
KR101484586B1 (en) * | 2014-10-27 | 2015-01-28 | 자화전자(주) | Camera lens assembly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200944A (en) | 2002-12-18 | 2004-07-15 | Nec Access Technica Ltd | Mobile terminal and fixed structure of camera unit used for the same |
JP2006078941A (en) | 2004-09-13 | 2006-03-23 | Konica Minolta Opto Inc | Imaging device |
KR100661612B1 (en) | 2005-10-28 | 2006-12-26 | 삼성전기주식회사 | Camera module |
JP2009025698A (en) * | 2007-07-23 | 2009-02-05 | Konica Minolta Opto Inc | Imaging device |
-
2010
- 2010-01-05 KR KR1020100000520A patent/KR101088339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200944A (en) | 2002-12-18 | 2004-07-15 | Nec Access Technica Ltd | Mobile terminal and fixed structure of camera unit used for the same |
JP2006078941A (en) | 2004-09-13 | 2006-03-23 | Konica Minolta Opto Inc | Imaging device |
KR100661612B1 (en) | 2005-10-28 | 2006-12-26 | 삼성전기주식회사 | Camera module |
JP2009025698A (en) * | 2007-07-23 | 2009-02-05 | Konica Minolta Opto Inc | Imaging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80344A (en) | 2011-07-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744296B2 (en) | Camera module having colloid layer surrounding sensor | |
US8018527B2 (en) | Connecting structure and digital camera module employing the same | |
KR100816844B1 (en) | Image sensor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camera module having the same | |
KR100724885B1 (en) | Camera lens module | |
JP4930989B2 (en) | Camera module and imaging device | |
JP2005286422A (en) | Photographing apparatus | |
TWI663463B (en) | Driving mechanism | |
KR101472675B1 (en) | Dual camera module | |
KR100813599B1 (en) | Camera module using a circuit board builted-in integrated circuit | |
KR101008477B1 (en) | Camera module | |
KR101088339B1 (en) | Camera module having impurities preventing apparatus | |
KR20140095759A (en) | Camera module | |
US20130258187A1 (en) | Camera module | |
JP5203272B2 (en) | Imaging device | |
KR20120005704A (en) | Camera module | |
JP5899862B2 (en) | The camera module | |
KR20120120419A (en) | Imaging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 |
KR100966343B1 (en) | Camera module | |
US8885098B2 (en) | Cameral module with sealing structur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 |
JP6079124B2 (en) | Camera module and mobile terminal with camera | |
KR101026830B1 (en) | Camera module | |
JP2005043394A (en) | Imaging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the same | |
KR20110103525A (en) | Camera module | |
KR200464059Y1 (en) | Camera Module | |
KR101470012B1 (en) | Camera Modu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007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