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8303B1 - 인조대리석 스크랩으로 구성된 인테리어 벽면 장식재 - Google Patents

인조대리석 스크랩으로 구성된 인테리어 벽면 장식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8303B1
KR101088303B1 KR1020080127022A KR20080127022A KR101088303B1 KR 101088303 B1 KR101088303 B1 KR 101088303B1 KR 1020080127022 A KR1020080127022 A KR 1020080127022A KR 20080127022 A KR20080127022 A KR 20080127022A KR 101088303 B1 KR101088303 B1 KR 1010883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ficial marble
scrap
interior wall
present
scra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7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8612A (ko
Inventor
정준택
Original Assignee
(주)제이엠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엠티 filed Critical (주)제이엠티
Priority to KR1020080127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8303B1/ko
Publication of KR20100068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86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8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83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6Natural ornaments; Imitation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2Mountings for pictures; Mountings of horns on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44C5/0438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containing ston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9/00Designs imitating natural patterns
    • B44F9/04Designs imitating natural patterns of stone surfaces, e.g. marble

Landscapes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조대리석 스크랩으로 구성된 인테리어 벽면 장식재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히, 인테리어 벽면 장식재에 있어서, 인조대리석 원판(1)으로부터 절단되어 얻어진 긴 직육면체 형상의 인조대리석 스크랩(3)과, 상기 인조대리석 스크랩(3)의 상면(3a)에 파석수단에 의해 불규칙적으로 파석되어 형성된 울퉁불퉁한 파석면과, 상면(3a)에 상기 울퉁불퉁한 파석면이 형성된 다수의 인조대리석 스크랩(3)이 다수 부착된 넓은 판 형상의 평평한 베이스보드(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대리석 스크랩으로 구성된 인테리어 벽면 장식재에 관한 것이다.
인조대리석, 스크랩, 재활용, 벽면 장식재

Description

인조대리석 스크랩으로 구성된 인테리어 벽면 장식재 { Interior Wall Surface Decoration Materials Using Artificial Marble Scrap }
본 발명은 인조대리석 원판을 정밀 규격화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 스크랩을 재활용하여 재료손실을 줄이고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인조대리석 스크랩으로 구성된 인테리어 벽면 장식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싱크 상판이나 가구, 건축용 내외장재로서 사용되는 대리석은 천연 대리석도 사용되지만, 최근에는 인조 대리석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이러한 인조 대리석은 천연 대리석과 같은 견고성과, 나무와 같은 유연한 가공성, 그리고 다양한 색상과 우아한 질감을 주는 장식 특성으로 인해 상업용이나 일반 주택용 내장 마감재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특히, 인조 대리석은 표면에 미세한 구멍이 없고, 타일, 나무, 화강암이나 대리석과 같이 시공하더라도 이음새가 두드러지지 않아 박테리아나 곰팡이가 서식할 수 없기 때문에 세면대 싱크대 등에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인조 대리석은 열가소성 수지와 무기 충전재를 주성분으로 하며, 이 외에도 항균성을 위한 첨가제, 미려함을 위한 칼라 점박이, 안료 등이 포함된다. 열가소성 수지로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스티렌(polystyrene)과 ABS수지, 폴리비닐알코올(PVA ; poly vinyl alcohol),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 methyl methacrylate),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폴리아미드(polyamid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에테르(polyether), 폴리에스테르(polyester) 등이 사용되고 있다. 상용화된 인조 대리석은 아크릴계 수지(메틸 메타 크릴레이트)와 수산화 알루미늄의 무기 충전재를 주성분으로 한다.
이러한 상기 인조 대리석은 싱크대나 건축용 내외장재로 사용하는 경우, 일정한 크기의 사각형 인조 대리석 판재를 얻기 위해 미리 생산된 인조 대리석 원판을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고 이러한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스크랩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인조 대리석 원판으로부터 절단되어 나오는 작은 판재(스크랩)는 일반적으로 폐기되어 왔으므로, 재료의 손실이 크고, 이러한 폐자재가 매립에 의하여 지반을 연약화하고, 분진을 발생할 뿐 아니라, 매립지 주변의 수질 및 공기를 오염시키는 등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는 문제가 있어 왔으며, 자원 재활용의 요구가 있어 왔다. 이러한 요구에 따라, 상기 인조 대리석의 폐기되는 부분을 다시 분쇄하여 이를 인조 대리석으로 재차 성형하는 방식이 제안되어 왔는데, 이러한 방식은 분쇄장치, 혼합장치, 압착 프레스 등의 추가적인 장비가 많이 필요할 뿐 아니라, 공정이 복잡하고, 첨가되는 첨가제가 많이 필요하며, 작업시간이 많이 걸린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대리석 판재의 재생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인조대리석 원판을 정밀 규격화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 스크랩을 재활용하여 재료손실을 줄이고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인조대리석 스크랩으로 구성된 인테리어 벽면 장식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페 스크랩을 재활용 함에 있어 상품적 가치가 뛰어나고 재활용을 위한 제품 생산및 시공시 취급성 및 작업성이 우수하면서도 미적 효과가 우수한 인조대리석 스크랩을 이용한 인조대리석 스크랩으로 구성된 인테리어 벽면 장식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인조대리석 스크랩으로 구성된 인테리어 벽면 장식재는, 인테리어 벽면 장식재에 있어서, 인조대리석 원판(1)으로부터 절단되어 얻어진 긴 직육면체 형상의 인조대리석 스크랩(3)과,
상기 인조대리석 스크랩(3)의 상면(3a)에 파석수단에 의해 불규칙적으로 파석되어 형성된 울퉁불퉁한 파석면과,
상면(3a)에 상기 울퉁불퉁한 파석면이 형성된 다수의 인조대리석 스크랩(3)이 다수 부착된 넓은 판 형상의 평평한 베이스보드(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조대리석 스크랩으로 구성된 인테리어 벽면 장식재에 있어서, 인조대리석 스크랩(3)은 상기 베이스보드(10) 상면에 서로 평행하게 정렬되되, 다른 그룹과 수직되게 소정 간격(D) 이격되어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인조대리석 스크랩으로 구성된 인테리어 벽면 장식재에 있어서, 상기 인조대리석 스크랩(3)은 상기 베이스보드(10) 상면에 서로 평행하게 정렬되되, 다른 그룹과 수직되게 인접하는 스크랩(3)과 서로 측면이 접한 상태로 상기 베이스보드(10) 상면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경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이 해결되며, 인조대리석 원판을 정밀 규격화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 스크랩을 재활용하여 재료손실을 줄이고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인조대리석 스크랩으로 구성된 인테리어 벽면 장식재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경우 폐 스크랩을 재활용 함에 있어 상품적 가치가 뛰어나고 재활용을 위한 제품 생산및 시공시 취급성 및 작업성이 우수하면서도 미적 효과가 우수한 인조대리석 스크랩으로 구성된 인테리어 벽면 장식재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인조대리석 스크랩으로 구성된 인테리어 벽면 장식재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a,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조대리석 스크랩으로 구성된 인테리어 벽면 장식재,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조대리석 스크랩으로 구성된 인테리어 벽면 장식재, 도 5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인조대리석 스크랩으로 구성된 인테리어 벽면 장식재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인조대리석 스크랩으로 구성된 인테리어 벽면 장식재는, 도 3(a, b)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조대리석 원판(1)으로부터 절단되어 얻어진 긴 직육면체 형상의 인조대리석 스크랩(3)과, 상기 인조대리석 스크랩(3)의 상면(3a)에 파석수단에 의해 불규칙적으로 파석되어 형성된 울퉁불퉁한 파석면과, 상면(3a)에 상기 울퉁불퉁한 파석면이 형성된 다수의 인조대리석 스크랩(3)이 다수 부착된 넓은 판 형상의 평평한 베이스보드(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인조대리석 스크랩으로 구성된 인테리어 벽면 장식재는, 인조대리석 스크랩(3)은 베이스보드(10) 상면에 서로 평행하게 정렬되되, 소정 간격(D) 이격되어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인조대리석 스크랩으로 구성된 인테리어 벽면 장식재에 있어서, 인조대리석 스크랩(3)은 베이스보 드(10) 상면에 서로 평행하게 정렬되되, 인접하는 스크랩(3)과 서로 측면이 접한 상태로 상기 베이스보드(10) 상면에 부착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조대리석 스크랩(3)은 베이스보드(10) 상면에 서로 평행하게 정렬되되, 다른 그룹과 수직되게 또는 평행이 되게 그룹별로 색상을 달리하여 부착할 수 있다. 도 4의 실시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인조대리석 스크랩으로 구성된 인테리어 벽면 장식재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조대리석 원판(1)으로부터 절단되어 얻어진 긴 직육면체 형상의 인조대리석 스크랩(3)의 상면(3a)을 파석기로 파석하여 울퉁불퉁한 파석면을 형성한 후, 상기 파석면이 형성된 인조대리석 스크랩(3)을 서로 인접하게 정렬시키면서 부착시켜 얻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조대리석 스크랩을 이용한 인테리어 벽면 시공방법 흐름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조대리석 스크랩을 이용한 인테리어 벽면 시공방법 중 파석단계 설명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조대리석 스크랩을 이용한 인테리어 벽면 시공방법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조대리석 스크랩을 이용한 인테리어 벽면 시공방법 흐름도이다. 도 1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조대리석 스크랩을 이용한 인테리어 벽면 시공방법은 크게 스크랩 생성단계(S100)와 파석 단계(S120)와 브러싱 단계(S140)와 시공 단계(S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먼저 인조대리석 원판(1)을 절단하여 인조대리석 스크랩(3)을 생성되는 단계(S100)가 진행된다. 제조된 인조대리석 원판(1)은 원하는 규격으로 재가공되는 과장에서 필연적으로 스크랩(3)이 발생하게 된다. 예를들어, 발생되는 스크랩(3)은 길이가 50 ~ 100cm 가량이고, 두께는 1~2cm 이며 높이는 1~3cm 가량 될 수 있다.
파석 단계(S120)는 전 단계(S100)에서 생성된 스크랩(3)의 상면(3a)을 파석하는 단계이다. 파석 단계(S120)는 수동으로 소정 형상의 망치 등의 타격기구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자동 파석기를 이용하여 수행한다.
브러싱 단계(S140)는 전 단계(S120)에서 파석된 스크랩(3)의 상면을 브러싱하여 에지를 스무딩하고 자연스런 질감의 무늬를 형성시키는 단계이다. 여기에 사용되는 브러쉬는 금속 재질의 일정 이상의 강성을 갖는 브러쉬일 수 있다.
시공 단계(S160)는 전 단계인 브러싱 단계(S140)를 거친 인조대리석 스크 랩(3)을 벽면(5) 또는 평평한 베이스보드(10)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붙이는 공정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러싱 단계(140)를 거친 스크랩(3)은 바로 건물 벽면에 작업자에 의해 시공되어 질 수 있다. 가공된 스크랩(3)을 벽면 또는 베이스보드(10)에 부착하는데 사용되는 접착제 또는 접착수단은 당업계에 공지된 인조대리석용 접착제, 백시멘트, 또는 당업게에 공지된 타일용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러싱 단계(140)를 거친 인조대리석 스크랩(3)은 평평한 베이스보드(10)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붙여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베이스보드(10)란 인조대리석 스크랩(3)이 장착되는 수단이며 이 베이스보드(10)에 인조대리석 스크랩(3)이 부착되면 인조대리석 보드(20)로 칭하여 진다. 베이스보드(10)는 석고보드, 아크릴 등의 합성수지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인조대리석 스크랩(3)이 부착된 인테리어 장식용 인조대리석 보드(20)를 형성시키는 경우에, 단계(S160)에서 형성된 스크랩(3)이 부착된 인조대리석 보드(20)를 벽면에 시공하는 2차 시공 단계(S1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따른 일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인조대리석 스크랩(3)을 벽면(5) 또는 평평한 베이스보드(10)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붙이는 시공 단계(S160) 이전에, 인조대리석 스크랩(3)을 소정길이로 절단하여 규격화 시키는 단계(S150);를 더 포 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크랩(3)을 소정길이로 절단하는 단계(S150)는 브러싱 단계(S140) 이후에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파석 단계(S120) 이후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조대리석 스크랩을 이용한 인테리어 벽면 시공방법 중 파석단계 설명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파석 단계(S120)는, 컨베어벨트(30)의 상면에 구비된 스크랩 정렬수단(40)의 홈부(42)에 스크랩(3)을 삽입하여 상기 스크랩(3)을 정렬시키는 단계(S121)와, 스크랩(3)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컨베어벨트(30)를 전진시키는 단계(S123)와, 컨베어벨트(30)의 상부에 구비된 파석기(50)의 파쇄날(52)을 모터(54)로 회전시키는 단계(S125)를 포함한다. 이후에 파석기(50)의 파쇄날(52)을 길이방향 이동수단(56)에 의해 상기 스크랩(3)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파석기(50)가 정렬된 복수의 스크랩(3)의 상면(3a)을 연속적으로 파석하는 단계(S125)가 진행된다.
도 3(a, b),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러싱 단계(140)를 거친 인조대리석 스크랩(3)은 평평한 베이스보드(10)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붙이되, 일정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구비될 수 있다. 브러싱 단계(140)를 거친 인조대리석 스크랩(3)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제에 의해 서로 측면끼리 5~6개씩 서로 부착되어 판매된 후 시공자에 의해 인테리어 벽면 등에 좀더 용이하게 시공되어 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크랩(3)이 습기가 많은 곳에 시공되는 경우 시공 전에 방수처리제가 도포된 후 시공되어 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됐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것으로 본 발명과 균등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도면부호는 단순히 발명의 이해를 보조하기 위한 것으로 권리범위의 해석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함을 밝히며 기재된 도면부호에 의해 권리범위가 좁게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조대리석 스크랩을 이용한 인테리어 벽면 시공방법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조대리석 스크랩을 이용한 인테리어 벽면 시공방법 중 파석단계 설명도.
도 3(a,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조대리석 스크랩으로 구성된 인테리어 벽면 장식재.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조대리석 스크랩으로 구성된 인테리어 벽면 장식재.
도 5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인조대리석 스크랩으로 구성된 인테리어 벽면 장식재.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조대리석 스크랩을 이용한 인테리어 벽면 시공방법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인조대리석 원판 3 : 인조대리석 스크랩
3a : 스크랩 상면 5 : 벽면
10 : 베이스보드 20 : 인조대리석 보드
30 : 컨베어벨트 40 : 스크랩 정렬수단
41 : 돌기부 42 : 홈부
50 : 파석기 52 : 파쇄날

Claims (4)

  1. 삭제
  2. 인테리어 벽면 장식재에 있어서,
    인조대리석 원판(1)으로부터 절단되어 얻어진 긴 직육면체 형상의 인조대리석 스크랩(3)과,
    상기 상면(3a)에 파석수단에 의해 불규칙적으로 파석되어 형성된 울퉁불퉁한 파석면과,
    상기 상면(3a)에 상기 울퉁불퉁한 파석면이 형성된 다수의 인조대리석 스크랩(3)이 다수 부착된 넓은 판 형상의 평평한 베이스보드(1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인조대리석 스크랩(3)은 상기 베이스보드(10) 상면에 서로 평행하게 정렬되되, 다른 그룹과 수직되게 소정 간격(D) 이격되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인조대리석 스크랩으로 구성된 인테리어 벽면 장식재.
  3. 인테리어 벽면 장식재에 있어서,
    인조대리석 원판(1)으로부터 절단되어 얻어진 긴 직육면체 형상의 인조대리석 스크랩(3)과,
    상기 상면(3a)에 파석수단에 의해 불규칙적으로 파석되어 형성된 울퉁불퉁한 파석면과,
    상기 상면(3a)에 상기 울퉁불퉁한 파석면이 형성된 다수의 인조대리석 스크랩(3)이 다수 부착된 넓은 판 형상의 평평한 베이스보드(1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인조대리석 스크랩(3)은 상기 베이스보드(10) 상면에 서로 평행하게 정렬되되, 다른 그룹과 수직되게 인접하는 스크랩(3)과 서로 측면이 접한 상태로 상기 베이스보드(10) 상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대리석 스크랩으로 구성된 인테리어 벽면 장식재.
  4. 삭제
KR1020080127022A 2008-12-15 2008-12-15 인조대리석 스크랩으로 구성된 인테리어 벽면 장식재 KR1010883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7022A KR101088303B1 (ko) 2008-12-15 2008-12-15 인조대리석 스크랩으로 구성된 인테리어 벽면 장식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7022A KR101088303B1 (ko) 2008-12-15 2008-12-15 인조대리석 스크랩으로 구성된 인테리어 벽면 장식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8612A KR20100068612A (ko) 2010-06-24
KR101088303B1 true KR101088303B1 (ko) 2011-11-30

Family

ID=42366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7022A KR101088303B1 (ko) 2008-12-15 2008-12-15 인조대리석 스크랩으로 구성된 인테리어 벽면 장식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830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19698A (ja) * 1998-05-07 1999-11-24 Yamamoto Yogyo Kako Kk 天然石調模様を有する装飾材の製造方法及び不定形で柔軟な着色薄片状樹脂フレークを得るためのシート状物
JP2000120251A (ja) * 1998-10-16 2000-04-25 Tokyo Enbosu Kogyo Kk エンボス加工された装飾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19698A (ja) * 1998-05-07 1999-11-24 Yamamoto Yogyo Kako Kk 天然石調模様を有する装飾材の製造方法及び不定形で柔軟な着色薄片状樹脂フレークを得るためのシート状物
JP2000120251A (ja) * 1998-10-16 2000-04-25 Tokyo Enbosu Kogyo Kk エンボス加工された装飾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8612A (ko) 2010-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14726B2 (en) Rock laminate
US839421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loor planks
US20080029926A1 (en) Compound of Wood and Synthetic Material
KR101042523B1 (ko) 인조대리석 스크랩을 이용한 인테리어 벽면 시공방법
CN201704900U (zh) 卡槽快速安装式保温装饰墙板
KR101088303B1 (ko) 인조대리석 스크랩으로 구성된 인테리어 벽면 장식재
KR100935333B1 (ko) 인조대리석을 이용한 벽면 장식재 제조방법
KR20210081066A (ko) 인조대리석 스크랩을 이용한 인테리어 벽면 시공방법
CA3071605A1 (en) Modular magnetically receptive wood and engineered wood surface units and magnetic box system for covering floors, walls, and other surfaces
WO2004054774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panel for furnishing and building and panel so manufactured
CN102245370A (zh) 使用泡沫作为模具而热成型丙烯酸类聚合物的方法以及由此形成的制品
DE69215367D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kunststoffbelägern für böden und wände und derart erhaltene produkte
CN201924545U (zh) 墙面装饰结构
KR20190073828A (ko) 천연플레이트 스톤시트를 이용한 실내외장식용 내장재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내장재
KR100597274B1 (ko) 인조 대리석 판재 재생방법
CN210706688U (zh) 一种艺术石拼画
US20240009956A1 (en) Decorative mineral panel
CN212427896U (zh) 一种文化砖装饰板
KR200311201Y1 (ko) 황동분말 인테리어 금속타일
CN201953061U (zh) 一种混凝土结构的模板体系
US20050230868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labs made of stone-like agglomerated material having an aged upper surface
KR200311200Y1 (ko) 황동분말 인테리어 단추타일
KR20220084933A (ko) 인조대리석의 시공방법
AU2004209466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labs made of stone-like agglomerated material having an aged upper surface
CN204914190U (zh) 瓷砖粘接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