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7699B1 - 용접용 작업대 - Google Patents

용접용 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7699B1
KR101087699B1 KR1020090032707A KR20090032707A KR101087699B1 KR 101087699 B1 KR101087699 B1 KR 101087699B1 KR 1020090032707 A KR1020090032707 A KR 1020090032707A KR 20090032707 A KR20090032707 A KR 20090032707A KR 101087699 B1 KR101087699 B1 KR 1010876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upper plate
base
plate
we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2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4264A (ko
Inventor
지보선
Original Assignee
지보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보선 filed Critical 지보선
Priority to KR1020090032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7699B1/ko
Publication of KR20100114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42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7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76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61Welding 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6/00Equipment for precise positioning of tool or work into particular loc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16/02Indexing equipment
    • B23Q16/04Indexing equipment having intermediate members, e.g. pawls, for locking the relatively movable parts in the indexed position
    • B23Q16/06Rotary index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1/0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Workshop Equipment, Work Benches, Supports, Or Storag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접용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대형 기어나 풀리 등을 생산시 각 부분별로 분할하여 생산된 부품들을 상판에 안착시킨 후 상판을 회전시켜 작업자가 움직이지 않고 간편하고 안전하게 용접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 용접용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면에 고정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상부에 안착되어 회전하는 상판부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고정되되, 상판부의 하부 가장자리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상판부를 회전시키는 동력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용접, 작업대, 상판, 기어, 풀리

Description

용접용 작업대{Worktable for welding}
본 발명은 용접용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대형 기어나 풀리 등을 생산시 각 부분별로 분할하여 생산된 부품들을 상판에 안착시킨 후 상판을 회전시켜 작업자가 움직이지 않고 간편하고 안전하게 용접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 용접용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어나 풀리 등과 같은 대형 제품을 생산시에는 각각의 부분, 즉 대형 기어를 일예들면 보스와 아암 그리고 기어 이가 형성된 리브를 개별적으로 제작한 후 각각을 용접하여 하나의 완성된 대형 기어의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개별적으로 제작된 부품들을 용접하여 하나의 제품으로 완성시키기 위해서는 각각의 부품들을 바닥에 놓고 용접하는 방식으로 하여 하나의 제품을 완성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용접 방법은 작업자가 이동하면서 각각의 부품들을 용접시켜 하나의 제품을 완성시키는 것으로, 이는 용접자세가 불량하여 피로가 빨리 오고, 능률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용접부위의 불량이 많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작업자가 용접위치를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작업성이 떨어져 제작 시간이 늘어날 뿐 아니라 작업 자세가 불안함으로써, 작업 강도가 높아져 쉽게 피로를 느끼게 되고, 작업자의 이동 등으로 인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작업대의 상부에 용접할 가공물을 올려놓은 후 작업대를 회전시키고 작업자는 이동하지 않고 제자리에서 용접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작업자의 이동으로 인한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작업대가 회전하는 상태에서 작업자는 한 장소에 용접을 함으로써, 용접자세가 안정되어 피로를 빨리 느끼지 않고, 잡업 능률이 향상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작업대가 회전하는 상태에서 어느 한 장소에서 용접이 이루어짐으로써, 용접 부위의 불량이 발생되지 않고, 단시간에 많은 양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면에 고정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상부에 안착되어 회전하는 상판부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고정되되, 상판부의 하부 가장자리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상판부를 회전시키는 동력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는 베이스에 볼트 고정되되, 내측에 공간부가 형성된 하우징이 구비되고, 상기 공간부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상부에 안착홈이 형성된 고정 부재가 고정되며, 상기 고정부재의 안착홈에 안착 고정되는 제1베어링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 외측이 돌출되게 보조안착판이 더 구비되고, 이 보조안착판에 드러스트 베어링이 안착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하우징의 외측부에는 다수개의 리브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상판부는 가공물이 안착되는 상판이 구비되고, 상기 상판의 하부에 끼움부재가 형성되며, 이 끼움부재의 하부로 돌출 형성되어 고정부의 고정부재에 구비된 제1베어링에 끼워지는 끼움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끼움부재에는 끼움돌기의 근접 위치에 다수개의 나사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상판의 하부에는 다수개의 리브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베이스의 가장자리부에 다수개가 볼트 고정되는 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의 상단부에는 플레이트가 구비되며,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에는 상판부의 상판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로울러가 구비되고, 지지로울러의 근접 위치에 구비되어 상판의 측면을 지지하는 제2베어링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다수개의 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고정판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동력부는 지지부의 프레임에 형성된 고정판에 고정되는 모터가 구비되고, 상기 모터에 고정되는 구동기어가 구비되며, 상기 구동기어에 맞물리되,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관통공의 양측부에 상판부의 상판 하부에 구비된 끼움부재의 나사공과 대응되게 볼트로 고정되는 볼트공이 형성된 피동기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구동기어와 피동기어를 감싸는 커버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상판부의 상판 상부에 안착되되, 상판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한쌍의 안착봉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작업대의 상부에 용접할 가공물을 올려놓은 후 작업대를 회전시키고 작업자는 이동하지 않고 제자리에서 용접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작업자의 이동으로 인한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작업대가 회전하는 상태에서 작업자는 한 장소에 용접을 함으로써, 용접자세가 안정되어 피로를 빨리 느끼지 않고, 잡업 능률이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작업대가 회전하는 상태에서 어느 한 장소에서 용접이 이루어짐으로써, 용접 부위의 불량이 발생되지 않고, 단시간에 많은 양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용접용 작업대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용 작업대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용 작업대를 보인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용 작업대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고정부를 보인 확대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상판부를 보인 저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상판부를 보인 요부확대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지지부를 보인 확대 분리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지지부를 보인 결합상태 측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동력부를 보인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접용 작업대(100)는 지면에 고정되는 원판 형상의 베이스(1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110)의 중앙부 위치와 가장자리부에는 다수개의 볼트공(112)(112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10)의 상부에 고정되되, 베이스(110)의 중앙부에 형성된 볼트공(112)에 볼트(114)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부(2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210)는 내측에 상, 하부로 관통되는 공간부(214)가 형성되고, 외주면 상단부에는 드러스트 베어링(217)이 안착 설치되는 보조안착판(216)이 형성된 하우징(212)이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하우징(212)의 공간부(214) 상단에 용접 등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되, 상부에 제1베어링(224)이 안착 고정되는 안착홈(222)이 형성된 고정부 재(220)가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하우징(212)의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리브(218)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210)의 상부에 설치되어 가공물(P)이 안착되어 가공물(T)을 회전시키는 상판부(3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상판부(310)는 가공물(P)이 안착되는 상판(312)이 구비되고, 이 상판(312)의 하부에는 드러스트 베어링(217)의 상부에 안착되는 끼움부재(314)가 형성된다,
나아가, 상기 끼움부재(314)의 하부로 돌출 형성되어 고정부재(220)의 안착홈(222)에 체결 고정된 제1베어링(224)에 끼워지는 끼움돌기(316)가 형성되고, 이 끼움돌기(316)의 근접 위치에는 다수개의 나사공(318)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상판(312)의 하부에는 상판(312)을 지지 보강하는 다수개의 리브(320)가 더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10)의 상부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볼트공(112a)에 체결 고정되어 상판(312)의 하부 및 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부(4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410)는 베이스(110)의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볼트공(112a)에 볼트(114a)로 고정되는 다수개의 프레임(412)이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프레임(412)의 상단부에는 플레이트(414)가 구비되고, 이 플레이트(414)의 상부에 제1고정구(416)와 제2고정구(418)가 구비되되, 제1고정구(416)에는 상판(312)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로울러(417)가 체결 고정되며, 제2고정 구(418)에는 상판(312)의 측면을 지지 가이드하는 제2베어링(419)이 체결 고정된다.
아울러, 상기 다수개의 프레임(412) 중 어느 하나의 측면, 즉 하우징(212)을 향하는 방향에 고정판(420)이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상판(312)이 회전되도록 동력을 발생시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부(5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동력부(510)는 다수개의 프레임(412)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고정판(420)에 고정되는 체결부재(512)가 구비되고, 이 체결부재(512)에 고정되는 모터(514)가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모터(514)의 모터축(514a)에 체결 고정되는 구동기어(516)가 구비되고, 이 구동기어(516)에 맞물리는 피동기어(518)가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피동기어(518)는 중앙부에 하우징(212)이 끼워지는 관통공(518a)이 형성되고, 상기 상판(312)의 끼움부재(314)에 형성된 나사공(318)과 대응되게 볼트공(518b)이 형성되어 이 볼트공(518b)에 끼워져 상판(312)의 나사공(318)에 나사 고정되는 볼트(519)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기어(516)와 피동기어(518)를 외부에서 감싸는 형상으로 구비된 커버부재(52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용접용 작업대의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용 작업대의 작용관계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접용 작업대(100)는 먼저, 상기 상판(312)의 상부에 개별적으로 제작된 제품의 부품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모터(514)를 작동시키게 되면 이 모터(514)에 의해 구동기어(516)가 회전하고 이 구동기어(516)의 회전에 의해 피동기어(518)가 회전하면서 상판(312)이 회전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판(312)이 회전할 때 상판(312)의 끼움부재(314)에 형성된 끼움돌기(316)가 고정부재(220)의 안착홈(222)에 구비된 제1베어링(224)에 끼워져 마찰을 받지 않게 되고, 하우징(212)의 외측에 구비된 보조안착판(216)에 안착 고정된 드러스트 베어링(217)에 의해 상판(312)이 안전하게 회전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412)의 상부에 구비된 지지로울러(417)에 의해 상판(312)의 하부를 지지함과 동시에 제2베어링(419)으로 상판(312)의 측면을 지지함으로써, 상판(312)의 상부에 무거운 가공물(P)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회전할 때 불규칙하게 회전하지 않고 안전하게 회전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상기 상판(312)에 가공물(P)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회전함에 따라 작업자는 이동하지 않고 제자리에서 용접을 수행함으로써, 작업시간을 단축함과 동시에 단시간에 많은 양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상판(312)에 안착되는 가공물(P), 즉 기어나 풀리 등과 같이 대형제품을 생산하기 위하여 리브, 아암, 보스 등으로 부분 제작된 부품들을 간편하게 상판(312)에 거치시킴과 동시에 용접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용 작업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판(312)의 상단부에 안착시키되, 상판(312)의 외측부로 돌출되게 안착되는 한쌍의 안착봉(61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안착봉(610)은 상판에 안착홈을 형성하고 이 안착홈에 안착봉(610)이 안착되게 고정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안착봉(610)은 "+"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안착봉(610)을 "="형상으로 상판(312)의 상부에 안착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용접용 작업대에 대한 작용관계는 전자에서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여기에서는 작용관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상기 상판(312)의 지름보다 큰 기어나 풀리 등 가공물(P)을 부분적으로 제작하여 이 들을 하나의 제품으로 생산하기 위하여 용접 작업을 수행할 때 상기 상판(312)의 상부에 안착봉(610)을 안치시키고 그 위에 가공물(P)을 안착시킨 후 상판(312)을 회전시켜 작업자가 용이하게 용접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상판(312)의 상부에 안착돌기(미도시)를 더 형성하고, 이 안착돌기에 안착봉(610)이 안착되도록 안착시켜 작업을 수행하게 되면 이 안착봉(610)이 상판(312)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안전하게 가공물(P)의 용접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용 작업대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은 용접용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대형 기어나 풀리 등을 생산시 각 부분별로 분할하여 생산된 부품들을 상판에 안착시킨 후 상판을 회전시켜 작업자가 움직이지 않고 간편하고 안전하게 용접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 용접용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용 작업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용 작업대를 보인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용 작업대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고정부를 보인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상판부를 보인 저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상판부를 보인 요부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지지부를 보인 확대 분리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지지부를 보인 결합상태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동력부를 보인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용 작업대의 작용관계를 보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용 작업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보호의 설명]
100 : 용접용 작업대 110 : 베이스
112, 112a, 518b : 볼트공 114, 114a, 519 ; 볼트
210 : 고정부 212 : 하우징
214 : 공간부 216 : 보조안착판
217 : 드러스트 베어링 218, 320 : 리브
220 : 고정부재 222 : 안착홈
224, 419 : 제1,2베어링 310 : 상판부
312 : 상판 314 : 끼움부재
316 : 끼움돌기 318 : 나사공
410 : 지지부 412 : 프레임
414 : 플레이트 416 , 418 : 제1,2고정구
417 : 지지로울러 420 : 고정판
510 : 동력부 512 : 체결부재
514 : 모터 516 : 구동기어
518 : 피동기어 518a : 관통공
610 : 안착봉 P : 가공물

Claims (11)

  1. 지면에 고정되는 베이스(110)와,
    상기 베이스(110)의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부(210)와,
    상기 고정부(210)의 상부에 안착되어 회전하는 상판부(310)와,
    상기 베이스(110)의 상부에 고정되되, 상판부(310)의 하부 가장자리부를 지지하는 지지부(410)와,
    상기 상판부(310)를 회전시키는 동력부(510)로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부(210)는 베이스(110)에 볼트 고정되되, 내측에 공간부(214)가 형성된 하우징(212)이 구비되고,
    상기 공간부(214)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상부에 안착홈(222)이 형성된 고정부재(220)가 고정되며,
    상기 고정부재(220)의 안착홈(222)에 안착 고정되는 제1베어링(224)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작업대.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12)의 상단부 외측이 돌출되게 보조안착판(216)이 더 구비되고, 이 보조안착판(216)에 드러스트 베어링(217)이 안착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작업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12)의 외측부에는 다수개의 리브(218)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작업대.
  5. 지면에 고정되는 베이스(110)와,
    상기 베이스(110)의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부(210)와,
    상기 고정부(210)의 상부에 안착되어 회전하는 상판부(310)와,
    상기 베이스(110)의 상부에 고정되되, 상판부(310)의 하부 가장자리부를 지지하는 지지부(410)와,
    상기 상판부(310)를 회전시키는 동력부(510)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판부(310)는 가공물이 안착되는 상판(312)이 구비되고,
    상기 상판의 하부에 끼움부재(314)가 형성되며, 이 끼움부재의 하부로 돌출 형성되어 고정부(210)의 고정부재에 구비된 제1베어링(224)에 끼워지는 끼움돌기(316)가 형성되며,
    상기 끼움부재(314)에는 끼움돌기(316)의 근접 위치에 다수개의 나사공(31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작업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312)의 하부에는 다수개의 리브(32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작업대.
  7. 지면에 고정되는 베이스(110)와,
    상기 베이스(110)의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부(210)와,
    상기 고정부(210)의 상부에 안착되어 회전하는 상판부(310)와,
    상기 베이스(110)의 상부에 고정되되, 상판부(310)의 하부 가장자리부를 지지하는 지지부(410)와,
    상기 상판부(310)를 회전시키는 동력부(510)로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부(410)는 베이스(110)의 가장자리부에 다수개가 볼트 고정되는 프레임(412)이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412)의 상단부에는 플레이트(414)가 구비되며,
    상기 플레이트(414)의 상부에는 상판부(310)의 상판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로울러(417)가 구비되고, 지지로울러(417)의 근접 위치에 구비되어 상판의 측면을 지지하는 제2베어링(419)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작업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프레임(412) 중 어느 하나에 고정판(42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작업대.
  9. 지면에 고정되는 베이스(110)와,
    상기 베이스(110)의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부(210)와,
    상기 고정부(210)의 상부에 안착되어 회전하는 상판부(310)와,
    상기 베이스(110)의 상부에 고정되되, 상판부(310)의 하부 가장자리부를 지지하는 지지부(410)와,
    상기 상판부(310)를 회전시키는 동력부(510)로 이루어지되,
    상기 동력부(510)는 지지부(410)의 프레임(412)에 형성된 고정판(420)에 고정되는 모터(514)가 구비되고,
    상기 모터(514)에 고정되는 구동기어(516)가 구비되며,
    상기 구동기어(516)에 맞물리되, 중앙에 관통공(518a)이 형성되고, 관통공(518a)의 양측부에 상판부(310)의 상판 하부에 구비된 끼움부재(314)의 나사공(318)과 대응되게 볼트로 고정되는 볼트공(518b)이 형성된 피동기어(518)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작업대.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516)와 피동기어(518)를 감싸는 커버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작업대.
  11. 지면에 고정되는 베이스(110)와,
    상기 베이스(110)의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부(210)와,
    상기 고정부(210)의 상부에 안착되어 회전하는 상판부(310)와,
    상기 베이스(110)의 상부에 고정되되, 상판부(310)의 하부 가장자리부를 지지하는 지지부(410)와,
    상기 상판부(310)를 회전시키는 동력부(510)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판부(310)의 상판(312) 상부에 안착되되, 상판(312)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한쌍의 안착봉(61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작업대.
KR1020090032707A 2009-04-15 2009-04-15 용접용 작업대 KR1010876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2707A KR101087699B1 (ko) 2009-04-15 2009-04-15 용접용 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2707A KR101087699B1 (ko) 2009-04-15 2009-04-15 용접용 작업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4264A KR20100114264A (ko) 2010-10-25
KR101087699B1 true KR101087699B1 (ko) 2011-11-30

Family

ID=43133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2707A KR101087699B1 (ko) 2009-04-15 2009-04-15 용접용 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76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7813B1 (ko) 2012-04-02 2013-09-26 (주)기흥기계 안전장치가 구비된 공작기계용 로터리 테이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5312B1 (ko) * 2015-04-20 2017-01-13 양정원 자동 도장장치용 회전판용 회전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4569B1 (ko) * 2007-09-13 2008-07-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차체 조립 라인용 턴 테이블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4569B1 (ko) * 2007-09-13 2008-07-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차체 조립 라인용 턴 테이블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7813B1 (ko) 2012-04-02 2013-09-26 (주)기흥기계 안전장치가 구비된 공작기계용 로터리 테이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4264A (ko) 2010-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7650B1 (ko) 용접용 회전 테이블
KR101143747B1 (ko) 기계용접용 용접 포지셔너 장치
KR101087699B1 (ko) 용접용 작업대
KR20140024165A (ko) 챔퍼밀
CN210188570U (zh) 一种新型现场加工设备
KR20120076431A (ko) 파이프 절단장치
KR101364436B1 (ko) 발전설비용 안전 작업대
KR20110085865A (ko) 포지셔너를 구비한 로봇 시스템과 포지셔너
KR101732993B1 (ko) 플레노 밀러
KR100959351B1 (ko) 맨홀프레임 수선기
CN203738333U (zh) 重型卡车变速器通用工装设备
KR101861021B1 (ko) 가스터빈의 연소기 조립 지그
KR101554923B1 (ko) 회전 절삭 장치
CN211991785U (zh) 一种龙门加工中心与搅拌摩擦焊接多功能加工机床
KR20070065593A (ko) 수직사다리의 용접을 위한 이송장치
CN208178711U (zh) 一种具有防撞功能的3d打印激光切割机机头
CN202696412U (zh) 电机定子嵌接线自动翻转台
KR20120069194A (ko) 선반 방진구 쉘 교체장치
KR20170101564A (ko) 플랜지 가공장치
KR20130134036A (ko) 조립형 그리스 수용 용기를 구비한 건설기계
KR101821364B1 (ko) 구동안정성 증대형 철근 반자동 절단기
JP6025516B2 (ja) 取付加工機および加工方法
CN108857439B (zh) 一种复合车铣磨加工机床
KR101863993B1 (ko) 터빈용 로터 슬롯 사상 작업대
CN218745854U (zh) 用于硫化机上蒸汽室法兰焊接的旋转支撑工作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