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7675B1 - 선박의 리크부위검사방법 - Google Patents

선박의 리크부위검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7675B1
KR101087675B1 KR1020090113701A KR20090113701A KR101087675B1 KR 101087675 B1 KR101087675 B1 KR 101087675B1 KR 1020090113701 A KR1020090113701 A KR 1020090113701A KR 20090113701 A KR20090113701 A KR 20090113701A KR 101087675 B1 KR101087675 B1 KR 1010876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
box
leak
test body
snif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3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7342A (ko
Inventor
임병옥
배준홍
김현철
정왕조
이종규
이재민
채희문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3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7675B1/ko
Publication of KR20110057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73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7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76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2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special tracer materials, e.g. dye, fluorescent material, radioactive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2Special adaptations of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equip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3/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fluids
    • G01B13/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fluid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 G01M3/3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1Pure fluids
    • F17C2221/016Noble gases (Ar, Kr, X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선박의 리크부위 검사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선박의 시험체에 불활성 가스를 주입하는 단계, 하부가 개구된 검진박스를 시험체 외주에 밀착시킨 후, 검진박스 내부의 공기압을 소정의 압력으로 낮추는 단계, 시험체 외주에서 이동되는 검진박스에 연통된 불활성가스 검출기가 리크를 감지하는 경우, 검진박스를 스니퍼로 교체하는 단계; 스니퍼에 연결된 불활성가스 검출기가 리크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험체 외주를 검사하는데 시간과 인력이 절약되므로 비용절감의 효과가 있고, 스니퍼로만 진행되어 발생되는 오검사율이 줄어들게 된다.
스니퍼, 검진박스, 광범위, 공기압, 시험체

Description

선박의 리크부위검사방법{METHOD INSPECTION FOR }
본 발명은 선박의 리크(leak) 부위 검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스니퍼를 이용하여 시험체의 리크 부위를 검사하는 실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선박에서 가스를 수용하는 시험체(10) 내부를 비운 후, 불활성 가스를 상기 시험체(10)에 주입하는 가스주입단계를 거친 후, 불활성가스 검출기(30)에 연결되는 스니퍼(50)를 이용하여 수 작업에 의해 조금씩 이동하여 상기 시험체(10)의 리크 부위(70)를 판별하는 리크검사단계를 통하여 확인하게 된다.
그런데, 전술한 방법은 검사자의 능력에 따라 검출 여부가 달라질 수 있으며, 작은 영역을 계속적으로 이동하며 검사하여야 하므로 많은 인력 및 시간이 소요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검사자의 능력에 따라 좌우되지 않으며, 넓은 영역을 미리 검사하여 적은 인력 및 시간이 소요될 수 있는 광범위검사단계가 포함된 선박의 리크부위 검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일측면에 따르면, 선박의 시험체에 불활성 가스를 주입하는 단계; 하부가 개구된 검진박스를 상기 시험체 외주에 밀착시킨 후, 상기 검진박스 내부의 공기압을 소정의 압력으로 낮추는 단계; 상기 시험체 외주에서 이동되는 검진박스에 연통된 불활성가스 검출기가 리크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검진박스를 스니퍼로 교체하는 단계; 및 상기 스니퍼에 연결된 불활성가스 검출기가 리크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선박의 리크부위 검사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검진박스는, 상기 시험체 외주에서 이동될 수 있는 이동수단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이동수단은 유압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상기 검진박스는,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 탄성재질에 의해 기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광범위검사단계가 포함된 선박의 리크부위 검사하는 방법에 의하면, 시험체 외주를 검사하는데 시간과 인력이 절약되므로 비용절감의 효과가 있고, 스니퍼로만 진행되어 발생되는 오검사율이 줄어들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광범위검사단계가 포함된 선박의 리크부위 검사하는 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범위검사단계가 포함된 선박의 리크부위 검사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범위검사단계가 포함된 선박의 리크부위 검사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실시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가스를 수용하는 선박의 시험체(10)에 불활성 가스(60)를 주입하는 가스주입단계와, 하부가 개구된 검진박스(100)를 상기 시험체(10) 외주에 밀착시킨 후 펌프(미도시)를 이용하여 상기 검진박스(100) 내부를 흡입하여 내부의 공기압이 낮은 상태로 만드는 검진박스장착단계와, 상기 검진박스(100)는 내부의 공기압이 낮은 상태로 유지되며 상기 시험체 외주에서 이동되도록 하여, 상기 검진박스(100)와 연통된 불활성가스 검출기(30)를 통해 선박의 리크(70) 부위를 검사하는 광범위리크검사단계와, 상기 광범위리크검사단계를 통해 리크(70)가 감지되면 상기 검진박스를 스니퍼로 교체하여 상기 시험체(10) 외주를 스니퍼를 이용하여 리크(70) 부위를 검사하는 소범위리크검사단계로 구성된다.
이하, 각 단계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주입단계는 가스를 수용하는 선박(LNG선)의 시험체(10)에 가스를 투입하여 검사를 시작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시험체(10)는 검사를 위한 검사체로, 화학적으로 활발하지 못하여 화합물을 잘 만들지 못하는 불활성 가스(60)를 주입기(20)를 통해 시험체(10) 내부로 삽입한다.
이때, 상기 시험체(10) 내부는 가스를 최대한 외부를 사전에 배출시켜, 불활성 가스(60)와 섞이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검진박스장착단계는 하부가 개구된 검진박스(100)를 상기 시험체(10) 외주에 밀착시킨 후 펌프(미도시)를 이용하여 상기 검진박스(100) 내부를 흡입하여 내부의 공기압이 낮은 상태로 만드는 단계이다.
상기 검진박스(100) 하부에 흡착력을 가진 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시험체(10) 외주에 밀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펌프(미도시)와 연통되는 펌핑공(112)이 형성되어 펌프(미도시)를 이용하여 내부의 공기압을 내릴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검진박스(100)는 불활성가스 검출기(30)와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된다. 보통은 검진박스(100)의 너트공(도 5의 114)에 상기 검출기의 볼트삽입부(미도시)를 삽입하던지, 억지끼움방식등 다양하게 제작가능하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진박스(100)로는 다양한 너비 및 폭을 가지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시험체(10)의 크기에 대응하는 너비 및 폭을 가지는 검진박스(100)가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검진박스(100)는 상기 시험체(10) 외주에서 이동되도록, 도 4의 이동수단(200)이 구비된다. 이는, 상기 시험체(10)가 어느 부위에 리크(70)가 발생되었는지를 모르기 때문에 상기 검진박스(100)를 시험체(10) 외주에 전방위로 이동시켜 리크(70) 부위를 찾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상기 검진박스(100)은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이동수단(200)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선박은 공동으로 사용하는 대단위의 컴프레셔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수단(200)은 별도의 동력원을 이용하지 아니하고, 상기 컴프레셔의 에어를 이용하여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검진박스(100)는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 탄성재질에 의해 기밀되는 것이 좋다. 이는, 이상적인 환경에서는 상기 검진박스(100)를 공기압이 낮은 상태에서 상기 이동수단(200)에 의해 이동시킬 경우 내부의 공기압 변화가 적지만, 상기 시험체(10)의 외주면의 상태와 상기 이동수단(200)이 이동시키는 속도에 따라 상기 검진박스(100)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기 때문에, 시험체(10)의 형상에 대응가능하도록 탄성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지금까지 도 2의 검진박스(100)의 장착단계 및 상기 검진박스(100)의 이동수단(200)에 대해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이하, 도 2의 광범위 리크검사 단계를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광범위검사단계가 포함된 선박의 리크부위 검사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실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광범위리크검사단계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수단(200)은 검진박스(100)를 내부의 공기압이 낮은 상태로 유지시키며 상기 시험체(10) 외주에서 이동되도록 하여, 상기 검진박스(100)와 연통된 불활성가스 검출기(30)를 통해 선박의 리크(70) 부위를 검사하는 것이다.
상기 시험체(10)는 외주면이 넓기 때문에 어디에서 가스가 누출되는지 알 수 없다. 작은 기계인 스니퍼를 이용하면 작업자의 실수에 의해 리크(70) 부위를 지나칠수 있으며 시간 또한 많이 발생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스니퍼보다 단위체적이 넓은 검진박스(100)를 사용하여 대략의 리크(70) 부위를 판별하는 것이 시간과 검사오진율이 줄어들게 된다.
그리고, 광범위리크검사단계를 통해 리크(70)가 감지되면 상기 검진박스를 스니퍼로 교체하여 해당되는 영역을 종래의 소범위리크검사단계를 거쳐 정확한 위치를 판별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스니퍼를 시험체의 리크부위를 검사하기 전에 검진박스를 이용하여 검사를 선진행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인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스니퍼를 이용하여 시험체의 리크 부위를 검사하는 실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범위검사단계가 포함된 선박의 리크부위 검사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범위검사단계가 포함된 선박의 리크부위 검사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실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광범위검사단계가 포함된 선박의 리크부위 검사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실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시험체
20: 주입기
30: 불활성가스 검출기
60: 불활성가스
70: 리크
100: 검진박스
200: 이동수단

Claims (4)

  1. 선박의 시험체에 불활성 가스를 주입하는 단계;
    하부가 개구된 검진박스를 상기 시험체 외주에 밀착시킨 후, 상기 검진박스 내부의 공기압을 소정의 압력으로 낮추는 단계;
    상기 시험체 외주에서 이동되는 검진박스에 연통된 불활성가스 검출기가 리크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검진박스를 스니퍼로 교체하는 단계; 및
    상기 스니퍼에 연결된 불활성가스 검출기가 리크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선박의 리크부위 검사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진박스는,
    상기 시험체 외주에서 이동될 수 있는 이동수단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선박의 리크부위 검사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유압에 의해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리크부위 검사방법.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검진박스는,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 탄성재질에 의해 기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리크부위 검사방법.
KR1020090113701A 2009-11-24 2009-11-24 선박의 리크부위검사방법 KR1010876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3701A KR101087675B1 (ko) 2009-11-24 2009-11-24 선박의 리크부위검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3701A KR101087675B1 (ko) 2009-11-24 2009-11-24 선박의 리크부위검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7342A KR20110057342A (ko) 2011-06-01
KR101087675B1 true KR101087675B1 (ko) 2011-11-30

Family

ID=44392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3701A KR101087675B1 (ko) 2009-11-24 2009-11-24 선박의 리크부위검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767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40668A (ja) 2002-02-20 2003-08-27 Honda Motor Co Ltd 漏洩試験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40668A (ja) 2002-02-20 2003-08-27 Honda Motor Co Ltd 漏洩試験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7342A (ko) 2011-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29870B2 (ja) 非剛体の被試験物の漏れを検出する方法
CN103822761B (zh) 密封性检测装置及方法
JP2011179975A (ja) 漏れ検査装置及び漏れ検査方法
KR100832345B1 (ko) 진공용 공압 앵글밸브의 테스트 장치
CN207675383U (zh) 一种气密性测试仪
CN103759904B (zh) 用于密封性检测的系统
KR101730861B1 (ko) 기밀 테스트 장치
CN108871695A (zh) 一种锂电池注液前的测漏装置
JP4821553B2 (ja) 漏れ検査装置
JPS59170739A (ja) タンクの漏洩検査方法
KR101087675B1 (ko) 선박의 리크부위검사방법
KR101609738B1 (ko) 라디에이터의 기밀 테스트 장치
JP4968668B2 (ja) ハウジングなどの漏れ検査装置
KR102243396B1 (ko) 헬륨 기밀 검사장치용 노즐 하우징 및 이를 포함하는 헬륨 기밀 검사장치
KR101542512B1 (ko) 연료탱크 누설 검사장치
JP3817916B2 (ja) リークテスト装置
JP2018004429A (ja) 漏れ検査装置および漏れ検査方法
CN106950016A (zh) 一种用于高压油管高压检漏的装置
KR20140124523A (ko) 연료공급장치
JP3151843U (ja) ガス導入装置
CN104729805A (zh) 一种耐酸碱手套泄漏检测装置
JP3183547U (ja) 漏洩検出装置
JP2010060542A (ja) 気密部品の欠陥検査方法および装置
JP6515692B2 (ja) 気密検査装置及び気密検査方法
JP4605927B2 (ja) 漏洩試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