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7494B1 - 고체 고분자 전해질 및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리튬 고분자 이차전지 - Google Patents

고체 고분자 전해질 및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리튬 고분자 이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7494B1
KR101087494B1 KR1020110044108A KR20110044108A KR101087494B1 KR 101087494 B1 KR101087494 B1 KR 101087494B1 KR 1020110044108 A KR1020110044108 A KR 1020110044108A KR 20110044108 A KR20110044108 A KR 20110044108A KR 101087494 B1 KR101087494 B1 KR 1010874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thium
polymer electrolyte
carbon atoms
formula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4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형석
최주곤
Original Assignee
한국씰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씰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씰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44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74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7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74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5Polymeric materials, e.g. gel-type or solid-typ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20Manufacture of shaped structures of ion-exchange resins
    • C08J5/22Films, membranes or diaphragms
    • C08J5/2206Films, membranes or diaphragms based on organic and/or in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J5/2218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J5/2256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 than those involving carbon-to-carbon bonds, e.g. obtained by polyconden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5/541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08K5/5415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oxygen containing at least one Si—O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5/549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silicon in a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1/00Compositions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1/02Polyalkylene 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08L75/08Polyurethanes from polyeth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6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 H01B1/1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organic substances
    • H01B1/122Ionic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onductiv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은 이온전도성을 가진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또는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를 용융반응을 통하여 분자량이 높고 분지를 갖는 개질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또는 개질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수지로 제조한 고체 고분자 전해질에 관한 것으로서, 개질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또는 개질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및 리튬염을 포함하고, 상기 개질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또는 개질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는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또는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를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융융반응시켜 개질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기계적 물성, 기계적 강도 및 이온전도도가 우수하고, 결정성을 저하시켜 이온전도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고안정성이 요구되는 전자기기나 전기자동차에 적용될 리튬 고분자 이차전지의 새로운 전해질 소재로서 적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고체 고분자 전해질 및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리튬 고분자 이차전지{SOLID POLYMER ELECTROLYTE AND PRODUCING METHOD THE SAME, LITHIUM SECONDARY BATTERY B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고체 고분자 전해질 및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리튬 고분자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높은 이온전도성을 가진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를 용융반응을 통하여 분자량이 높고 분지를 갖는 개질 폴리에틸렌옥사이드 수지로 제조한 고체 고분자 전해질 및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리튬 고분자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통신 산업의 발전에 의해 소형화, 경량화, 박형화 및 휴대화가 가능하고 에너지밀도가 높은 전지를 필요하게 되었다. 리튬 금속을 음극, 액체용매를 전해질로 사용한 리튬계 이차전지는 덴드라이트(dendrite) 현상으로 인해서 전지의 안전성 확보에 어려움이 있어 왔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리튬 금속 대신 리튬 이온을 다량 흡수할 수 있는 결정성 또는 비결정성 탄소를 음극으로, 액체 전해질 대신 고체 고분자 전해질이나 유기용매와 염을 고분자에 혼합한 겔 상으로 구성한 고분자 전해질로 사용하는 것이 리튬 이온 고분자전지이다. 이는 누액이 없고, 고분자 특유의 특성을 이용하여 박형 등 전지의 형태를 다양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기술의 개선에 따라 제조공정도 혁신적으로 단순화시킬 수 있는 가능성과 전지의 안전성 확보 관점에서도 많은 장점이 있다.
한편, 고체 고분자 전해질은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와 알칼리 금속염의 복합체에 관한 연구로부터 시작되었다. 초기에는 고분자 자체와 리튬염을 기계적으로 혼합하여 고분자 전해질을 제조하였다. 이러한 고분자 전해질은 60 ℃이상의 고온에서는 10-4S/㎝의 비교적 높은 이온전도도를 나타내지만, 실온에서는 10-8S/㎝까지 낮아진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1990년 이후 상업적으로 사용 가능한 10-3S/㎝ 이상의 이온전도도를 가진 겔 고분자 전해질이 대두되었다.
그런데, 지금까지 리튬 이온 전지 제조에 사용되어온 고분자 전해질은 유기용매를 포함한 고분자 겔형과 유기용매를 포함하지 않은 완전 고상형으로 크게 두 가지 형태로 분류할 수 있다. 완전 고상형은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지만 이온전도도가 떨어져 상온에서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고, 고분자 겔형은 상온에서 유기 전해질과 비슷한 높은 이온전도도를 나타내지만 기계적 물성이 떨어져 전지의 제조공정을 어렵게 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기계적 물성이 떨어져 필름상으로 제조하기 어려워 전지의 조립공정을 어렵게 하며, 또한 고분자 겔의 유동성이 있어 충방전시 전지의 수명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첫 번째 과제는 유기용매와 리튬염을 포함한 고분자 겔형 전해질과 달리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고 기계적 강도를 높일 수 있는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또는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를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용융반응을 통하여 분자량이 높고, 분지가 형성된 결정화도가 낮은 개질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또는 개질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를 제조하고 이에 리튬염과 가소제를 첨가한 고체 고분자 전해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두 번째 과제는 개질을 통하여 효과적으로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또는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의 결정성을 저하시켜 이온전도도가 향상된 고체 고분자 전해질을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세 번째 과제는 상기 고체 고분자 전해질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리튬 고분자 이차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첫 번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개질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또는 개질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및 리튬염;을 포함하고, 상기 개질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또는 개질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는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또는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를 하기 [화학식 1],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융융반응시켜 개질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고분자 전해질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1034783562-pat00001
[화학식 2]
Figure 112011034783562-pat00002
상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2]에서, 상기 R1은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렌,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렌, 탄소수 5 내지 20의 시클로알킬렌 및 탄소수 8 내지 20의 아릴알킬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고, 상기 R2는 탄소수 1 내지 28의 알킬렌, 탄소수 6 내지 24의 아릴렌, 탄소수 5 내지 24의 시클로알킬렌 및 탄소수 8 내지 24의 아릴알킬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고체 고분자 전해질은 카보네이트 화합물 또는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고 히드록실기를 함유한 폴리헤드랄 올리고머 실세스퀴옥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3]
상기 [화학식 3]에서, R은 서로 독립적으로 각각 수소(H), 메틸(methyl)기, 에틸(ethyl)기, 이소-프로필(iso-propyl)기, t-부틸(ter-butyl)기, 시클로헥실(cyclohexyl)기 및 페닐(phenyl)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반응성기를 갖는 탄소수 1내지 20의 탄화수소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리튬염은 리튬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네이트(LiCF3SO3), 리튬헥사플루오르포스페이트(LiPF6), 리튬테트라플루오르보레이트(LiBF4), 리튬헥사플루오르아르센네이트(LiAsF6), 리튬퍼클로레이트(LiClO4), 리튬트리플로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LiN(CF3SO2)2)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카보네이트 화합물은 에틸렌카보네이트(ethylene carbonate) 또는 프로필렌카보네이트(propylene carbonate)이거나, 상기 에틸렌카보네이트 또는 프로필렌카보네이트에 디에틸렌카보네이트(di-ethylene carbonate) 또는 디메틸카보네이트(di-methyl carbonate)가 혼합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두 번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중량평균분자량 2,000-200,000인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또는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를 하기 [화학식 1],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용융반응시켜서 개질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또는 개질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를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개질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또는 개질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100 중량부에 대하여 리튬염 5-40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을 용융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고분자 전해질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1034783562-pat00004
[화학식 2]
Figure 112011034783562-pat00005
상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2]에서, 상기 R1은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렌,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렌, 탄소수 5 내지 20의 시클로알킬렌 및 탄소수 8 내지 20의 아릴알킬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고, 상기 R2는 탄소수 1 내지 28의 알킬렌, 탄소수 6 내지 24의 아릴렌, 탄소수 5 내지 24의 시클로알킬렌 및 탄소수 8 내지 24의 아릴알킬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카보네이트 화합물 또는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고 히드록실기를 함유한 폴리헤드랄 올리고머 실세스퀴옥산 2-30 중량부를 더 혼합하여 용융반응시킬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112011034783562-pat00006
상기 [화학식 3]에서, R은 서로 독립적으로 각각 수소(H), 메틸(methyl)기, 에틸(ethyl)기, 이소-프로필(iso-propyl)기, t-부틸(ter-butyl)기, 시클로헥실(cyclohexyl)기 및 페닐(phenyl)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반응성기를 갖는 탄소수 1 내지 20의 탄화수소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또는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100 중량부에 대하여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0.5-10 중량부를 용융반응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리튬염은 리튬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네이트(LiCF3SO3), 리튬헥사플루오르포스페이트(LiPF6), 리튬테트라플루오르보레이트(LiBF4), 리튬헥사플루오르아르센네이트(LiAsF6), 리튬퍼클로레이트(LiClO4), 리튬트리플로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LiN(CF3SO2)2)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카보네이트 화합물은 에틸렌카보네이트(ethylene carbonate) 또는 프로필렌카보네이트(propylene carbonate)이거나, 상기 에틸렌카보네이트 또는 프로필렌카보네이트에 디에틸렌카보네이트(di-ethylene carbonate) 또는 디메틸카보네이트(di-methyl carbonate)가 혼합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세 번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양극, 고분자 전해질 및 음극이 순서대로 라미네이션된 리튬 고분자 이차전지로서, 상기 고체 고분자 전해질 및 상기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고체 고분자 전해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고분자 이차전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리튬 고분자 이차 전지용 고체 고분자 전해질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용융반응을 통하여 고분자량 및 분지가 형성된 개질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또는 개질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로서, 기계적 물성, 기계적 강도 및 이온전도도가 우수하고, 결정성을 저하시켜 이온전도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고안정성이 요구되는 전자기기나 전기자동차에 적용될 리튬 고분자 이차전지의 새로운 전해질 소재로서 적용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의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고체 고분자 전해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체 고분자 전해질은 개질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또는 개질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가소제; 및 리튬염;을 포함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개질 폴리에틸렌옥사이드; 가소제; 및 리튬염;을 포함한다.
상기 개질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또는 개질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전해질은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트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용융반응시켜서 기계적 물성 및 기계적 강도를 높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트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종류 및 첨가량에 따라 물성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개질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또는 개질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를 전해질로 이용하면 결정성을 효과적으로 낮추어 이온전도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트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1034783562-pat00007
[화학식 2]
Figure 112011034783562-pat00008
상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2]에서, 상기 R1은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렌,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렌, 탄소수 5 내지 20의 시클로알킬렌 및 탄소수 8 내지 20의 아릴알킬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고, 상기 R2는 탄소수 1 내지 28의 알킬렌, 탄소수 6 내지 24의 아릴렌, 탄소수 5 내지 24의 시클로알킬렌 및 탄소수 8 내지 24의 아릴알킬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다.
상기 리튬염은 기존 고분자 전해질 제조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화합물로서, 상기 리튬염은 리튬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네이트(LiCF3SO3), 리튬헥사플루오르포스페이트(LiPF6), 리튬테트라플루오르보레이트(LiBF4), 리튬헥사플루오르아르센네이트(LiAsF6), 리튬퍼클로레이트(LiClO4), 리튬트리플로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LiN(CF3SO2)2)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체 고분자 전해질은 카보네이트 화합물 또는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고 히드록실기를 함유한 폴리헤드랄 올리고머 실세스퀴옥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112011034783562-pat00009
상기 [화학식 3]에서, R은 서로 독립적으로 각각 수소(H), 메틸(methyl)기, 에틸(ethyl)기, 이소-프로필(iso-propyl)기, t-부틸(ter-butyl)기, 시클로헥실(cyclohexyl)기 및 페닐(phenyl)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반응성기를 갖는 탄소수 1내지 20의 탄화수소이다.
상기 카보네이트 화합물 또는 히드록실기를 함유한 폴리헤드랄 올리고머 실세스퀴옥산(polyhedral olygomeric silsesquioxane)을 더 첨가할 경우 상기 물질들이 가소제 역할을 하여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또는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사슬 사이로 혼합되어 더 낮은 결정성을 가진 고분자 전해질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카보네이트 화합물은 예를 들면, 에틸렌카보네이트(ethylene carbonate) 또는 프로필렌카보네이트(propylene carbonate)이거나, 상기 에틸렌카보네이트 또는 프로필렌카보네이트에 디에틸렌카보네이트(di-ethylene carbonate) 또는 디메틸카보네이트(di-methyl carbonate)가 혼합된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고체 고분자 전해질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체 고분자 전해질 제조방법은 (a) 중량평균분자량 2,000-200,000인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또는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를 하기 [화학식 1],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용융반응시켜서 개질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또는 개질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를 수득하는 단계 및 (b) 상기 개질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또는 개질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100 중량부에 대하여 리튬염 5-40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을 용융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1034783562-pat00010
[화학식 2]
Figure 112011034783562-pat00011
상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2]에서, 상기 R1은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렌,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렌, 탄소수 5 내지 20의 시클로알킬렌 및 탄소수 8 내지 20의 아릴알킬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고, 상기 R2는 탄소수 1 내지 28의 알킬렌, 탄소수 6 내지 24의 아릴렌, 탄소수 5 내지 24의 시클로알킬렌 및 탄소수 8 내지 24의 아릴알킬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체 고분자 전해질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카보네이트 화합물 또는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고 히드록실기를 함유한 폴리헤드랄 올리고머 실세스퀴옥산 2-30 중량부를 더 혼합하여 용융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3]
Figure 112011034783562-pat00012
상기 [화학식 3]에서, R은 서로 독립적으로 각각 수소(H), 메틸(methyl)기, 에틸(ethyl)기, 이소-프로필(iso-propyl)기, t-부틸(ter-butyl)기, 시클로헥실(cyclohexyl)기 및 페닐(phenyl)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반응성기를 갖는 탄소수 1 내지 20의 탄화수소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체 고분자 전해질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또는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100 중량부에 대하여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0.5-10 중량부를 용융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체 고분자 전해질 제조방법에 있어서, 리튬염의 혼합은 상기 개질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또는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에 5-40 중량부를 혼합하게 된다. 상기 리튬염의 혼합중량이 5 중량부 미만일 경우 리튬 이온 농도가 너무 낮아 이온전도도가 저하될 수 있고, 4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과다한 리튬염 사용으로 점도가 상승하여 이온전도도가 감소하고 비용이 증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리튬염은 리튬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네이트(LiCF3SO3), 리튬헥사플루오르포스페이트(LiPF6), 리튬테트라플루오르보레이트(LiBF4), 리튬헥사플루오르아르센네이트(LiAsF6), 리튬퍼클로레이트(LiClO4), 리튬트리플로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LiN(CF3SO2)2)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고체 고분자 전해질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리튬염의 첨가와 함께 카보네이트 화합물 또는 히드록실기를 함유한 폴리헤드랄 올리고머 실세스퀴옥산(polyhedral olygomeric silsesquioxane)을 더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혼합되는 카보네이트 화합물 또는 히드록실기를 함유한 폴리헤드랄 올리고머 실세스퀴옥산(polyhedral olygomeric silsesquioxane)은 상기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또는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사슬 사이로 혼합되어 더 낮은 결정성을 갖도록 하는 가소제 역할을 효과적으로 발휘하기 위하여, 상기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또는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를 혼합한 100 중량부에 대하여 2-30중량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카보네이트 화합물로는 에틸렌카보네이트(ethylene carbonate) 또는 프로필렌카보네이트(propylene carbonate)이거나, 상기 에틸렌카보네이트 또는 프로필렌카보네이트에 디에틸렌카보네이트(di-ethylene carbonate) 또는 디메틸카보네이트(di-methyl carbonate)가 혼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과정에 따라 얻은 고체 고분자 전해질은 리튬 고분자 이차전지의 전해질로 사용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양극, 고분자 전해질 및 음극이 순서대로 라미네이션된 리튬 고분자 이차전지로서, 상기 고분자 전해질이 본 발명에 따른 고체 고분자 전해질 또는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고체 고분자 전해질인 리튬 고분자 이차전지를 제공하게 된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중량평균분자량이 20,000인 저분자량의 폴리에틸렌옥사이드 50 g에 4,4'-메틸렌비스(페닐이소시아네이트)(MDI) 2.5 g을 혼합하였고, 염으로는 리튬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네이트(LiCF3SO3) 16 g을 혼합하여 이를 용융믹서(Brabender, twin screw)에 주입하고 120 ℃에서 5 분간 용융반응하여 고체 고분자전해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염 혼합시 에틸렌카보네이트(ethylene carbonate) 2.5 g을 더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 및 방법으로 고체 고분자 전해질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2에 따른 고체 고분자 전해질에 대하여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결정화도 및 이온전도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측정 방법]
(1) 결정화도
결정화도는 시차주사열량계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를 이용하여 녹음열량을 측정하여 계산하였다. 폴리에틸렌옥사이드의 100% 결정일 때의 열량(213.7 J/g)의 백분율로 구하였다.
(2) 이온전도도
이온전도도는 교류임피던스법으로 측정하였는데, 셀의 계면 저항과 벌크저항을 시간에 따른 특성을 임피던스 변화로 측정하였다. 고체고분자전해질의 이온전도도는 아래 식(1)으로 계산하였다.
σ= 1/Rb x t/A 식(1)
상기 식(1)에서,
Rb는 전해질의 저항, t는 전해질 필름의 두께이며 A는 전해질 필름의 면적이다.
구분 결정화도(%) 이온전도도(S/㎝)
실시예 1 15 9.3×10-4
실시예 2 2 2.3×10-3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고체 고분자 전해질의 결정화도가 충분히 낮고, 이온전도도가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카보네이트 화합물을 추가 혼합할 경우 이온전도도가 더욱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 따른 고체 고분자 전해질을 리튬 고분자 이차전지에 적용한 결과 리튬 전극에 대해 1.0-5.5 V까지 안정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Claims (11)

  1. 개질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또는 개질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리튬염; 및 폴리헤드랄 올리고머 실세스퀴옥산;을 포함하고
    상기 개질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또는 개질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는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또는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를 하기 [화학식 1] 또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융융반응시켜 개질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폴리헤드랄 올리고머 실세스퀴옥산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고분자 전해질:
    [화학식 1]
    Figure 112011075933351-pat00019

    [화학식 2]
    Figure 112011075933351-pat00020

    상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2]에서,
    상기 R1은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렌,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렌, 탄소수 5 내지 20의 시클로알킬렌 및 탄소수 8 내지 20의 아릴알킬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고,
    상기 R2는 탄소수 1 내지 28의 알킬렌, 탄소수 6 내지 24의 아릴렌, 탄소수 5 내지 24의 시클로알킬렌 및 탄소수 8 내지 24의 아릴알킬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며,
    [화학식 3]
    Figure 112011075933351-pat00021

    상기 [화학식 3]에서,
    R은 서로 독립적으로 각각 수소(H), 메틸(methyl)기, 에틸(ethyl)기, 이소-프로필(iso-propyl)기, t-부틸(tert-butyl)기, 시클로헥실(cyclohexyl)기 및 페닐(phenyl)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반응성기로서, 탄소수 1 내지 20의 탄화수소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에틸렌카보네이트(ethylene carbonate) 또는 프로필렌카보네이트(propylene carbonate) 중에서 선택된 카보네이트 화합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고분자 전해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염은 리튬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네이트(LiCF3SO3), 리튬헥사플루오르포스페이트(LiPF6), 리튬테트라플루오르보레이트(LiBF4), 리튬헥사플루오르아르센네이트(LiAsF6), 리튬퍼클로레이트(LiClO4), 리튬트리플로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LiN(CF3SO2)2)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고분자 전해질.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카보네이트 화합물은 디에틸렌카보네이트(di-ethylene carbonate) 또는 디메틸카보네이트(di-methyl carbonate)를 더 포함하고 있는 특징으로 하는 고체 고분자 전해질.
  5. 양극, 고분자 전해질 및 음극이 순서대로 라미네이션된 리튬 고분자 이차전지로서,
    상기 고분자 전해질이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의 고체 고분자 전해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고분자 이차전지.
  6. (a) 중량평균분자량 2,000-200,000인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또는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를 하기 [화학식 1] 또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용융반응시켜서 개질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또는 개질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를 수득하는 단계; 및
    (b) 상기 개질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또는 개질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100 중량부에 대하여 리튬염 5-40 중량부 및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고 히드록실기를 함유한 폴리헤드랄 올리고머 실세스퀴옥산 2-30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을 용융반응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고분자 전해질 제조방법:
    [화학식 1]
    Figure 112011075933351-pat00022

    [화학식 2]
    Figure 112011075933351-pat00023

    상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2]에서,
    상기 R1은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렌,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렌, 탄소수 5 내지 20의 시클로알킬렌 및 탄소수 8 내지 20의 아릴알킬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고,
    상기 R2는 탄소수 1 내지 28의 알킬렌, 탄소수 6 내지 24의 아릴렌, 탄소수 5 내지 24의 시클로알킬렌 및 탄소수 8 내지 24의 아릴알킬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며,
    [화학식 3]
    Figure 112011075933351-pat00024

    상기 [화학식 3]에서,
    R은 서로 독립적으로 각각 수소(H), 메틸(methyl)기, 에틸(ethyl)기, 이소-프로필(iso-propyl)기, t-부틸(tert-butyl)기, 시클로헥실(cyclohexyl)기 및 페닐(phenyl)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반응성기로서, 탄소수 1 내지 20의 탄화수소이다.
  7. 제 6 항에 있어서,
    용융반응시키는 단계의 상기 혼합물은 에틸렌카보네이트(ethylene carbonate), 프로필렌카보네이트(propylene carbonate) 중에서 선택된 카보네이트 화합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고분자 전해질 제조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또는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100 중량부에 대하여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0.5-10 중량부를 용융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고분자 전해질 제조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염은 리튬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네이트(LiCF3SO3), 리튬헥사플루오르포스페이트(LiPF6), 리튬테트라플루오르보레이트(LiBF4), 리튬헥사플루오르아르센네이트(LiAsF6), 리튬퍼클로레이트(LiClO4), 리튬트리플로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LiN(CF3SO2)2)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고분자 전해질 제조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카보네이트 화합물은 디에틸렌카보네이트(di-ethylene carbonate) 또는 디메틸카보네이트(di-methyl carbonate) 더 포함하고 있는 특징으로 하는 고체 고분자 전해질 제조방법.
  11. 양극, 고분자 전해질 및 음극이 순서대로 라미네이션된 리튬 고분자 이차전지로서,
    상기 고분자 전해질이 제 6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고체 고분자 전해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고분자 이차전지.
KR1020110044108A 2011-05-11 2011-05-11 고체 고분자 전해질 및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리튬 고분자 이차전지 KR1010874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4108A KR101087494B1 (ko) 2011-05-11 2011-05-11 고체 고분자 전해질 및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리튬 고분자 이차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4108A KR101087494B1 (ko) 2011-05-11 2011-05-11 고체 고분자 전해질 및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리튬 고분자 이차전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7494B1 true KR101087494B1 (ko) 2011-11-28

Family

ID=45398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4108A KR101087494B1 (ko) 2011-05-11 2011-05-11 고체 고분자 전해질 및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리튬 고분자 이차전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749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9894A (ko) 2018-03-19 2019-09-2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우레탄 결합을 포함하는 알콕시실란 화합물을 포함하는 고체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90109901A (ko) 2018-03-19 2019-09-2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보레이트계 에스테르 화합물 및 우레탄 결합을 포함하는 폴리실세스퀴옥산폴리알킬렌글리콜을 포함하는 고체 고분자 전해질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30127164A (ko) 2022-02-24 2023-08-31 정민화 고체전해질을 이용한 리튬이차전지 및 리튬이차전지의 수명 및 안정성 향상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8095A (ja) * 2000-10-18 2002-07-12 Du Pont Mitsui Polychem Co Ltd ゲル型ポリマー電解質及びその用途
KR101028970B1 (ko) 2011-01-19 2011-04-12 한국씰텍주식회사 고체 고분자 전해질 및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리튬 고분자 이차전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8095A (ja) * 2000-10-18 2002-07-12 Du Pont Mitsui Polychem Co Ltd ゲル型ポリマー電解質及びその用途
KR101028970B1 (ko) 2011-01-19 2011-04-12 한국씰텍주식회사 고체 고분자 전해질 및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리튬 고분자 이차전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9894A (ko) 2018-03-19 2019-09-2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우레탄 결합을 포함하는 알콕시실란 화합물을 포함하는 고체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90109901A (ko) 2018-03-19 2019-09-2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보레이트계 에스테르 화합물 및 우레탄 결합을 포함하는 폴리실세스퀴옥산폴리알킬렌글리콜을 포함하는 고체 고분자 전해질 및 그의 제조방법
US10797346B2 (en) 2018-03-19 2020-10-06 Korea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Solid polymer electrolyte comprising an alkoxysilane compound having a urethane bond, a method of preparing the electrolyte, and a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KR20230127164A (ko) 2022-02-24 2023-08-31 정민화 고체전해질을 이용한 리튬이차전지 및 리튬이차전지의 수명 및 안정성 향상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8970B1 (ko) 고체 고분자 전해질 및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리튬 고분자 이차전지
KR102411660B1 (ko) 리튬전지용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전지
EP2160787B1 (en) Non-aqueous electrolyte solution for lithium-ion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ion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KR101202863B1 (ko) 배터리용 음극 및 이를 사용한 리튬 이온 배터리
KR102208587B1 (ko) 비수계 전해액 및 비수계 전해액 이차 전지
EP2235783B1 (en) Non-aqueous electrolyte solution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US20190112453A1 (en) Protective negative electrode for lithium metal battery and lithium metal battery comprising same
EP2863469B1 (en)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cell and method for using same
JP4079681B2 (ja) 非水電解液および該電解液を用いた非水電解液二次電池
TWI453972B (zh) 固態高分子電解質組成物
US10978735B2 (en) Stretchable polymer electrolyte, stretchable electrode, stretchable polymer, electrocheical device, and method of preparing stretchable polymer
CN111344891B (zh) 非水电解液及使用该非水电解液的能量设备
US20050042519A1 (en) Electrolyte composition, lithium battery us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lithium battery
CN109546206B (zh) 一种宽温型锂离子电池复合固态电解质及其制备方法
WO2004057690A2 (en) Cr0sslinked polymer electroltyes and method of making such crosslinked polymers
JP2014017250A (ja) 非水系電解液二次電池及びその使用方法
EP3780235A1 (en) Electrolyt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KR101087494B1 (ko) 고체 고분자 전해질 및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리튬 고분자 이차전지
CN117996177A (zh) 一种聚合物电解质及其制备方法和锂电池
Santhosh et al. Evaluation of a cross-linked polyurethane acrylate as polymer electrolyte for lithium batteries
US20030108798A1 (en) Lithium salt, ionic conductor and liquid electrolyte
EP2779299B1 (en) Nonaqueous electrolyte solution, and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using said electrolyte solution
EP3709428B1 (en) Electrolyt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same
CN116053577A (zh) 一种聚脲、聚硫脲超离子固态电解质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3809392A (zh) 硅烷改性聚醚多元醇共聚物固体聚合物电解质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