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6764B1 - 해양구조물의 상부블록 설치용 가이드 장치 - Google Patents

해양구조물의 상부블록 설치용 가이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6764B1
KR101086764B1 KR1020090035356A KR20090035356A KR101086764B1 KR 101086764 B1 KR101086764 B1 KR 101086764B1 KR 1020090035356 A KR1020090035356 A KR 1020090035356A KR 20090035356 A KR20090035356 A KR 20090035356A KR 101086764 B1 KR101086764 B1 KR 101086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block
guide
offshore structure
coupling
offsh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5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6773A (ko
Inventor
정현수
김병우
이진호
김문성
유영목
윤상웅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35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6764B1/ko
Publication of KR20100116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67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6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67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17/02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placed by lower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to the bottom, e.g. with subsequent fixing thereto
    • E02B17/021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placed by lower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to the bottom, e.g. with subsequent fixing thereto with relative movement between supporting construction and platform
    • E02B17/024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placed by lower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to the bottom, e.g. with subsequent fixing thereto with relative movement between supporting construction and platform shock absorbing means for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2017/0039Methods for placing the offshore structure
    • E02B2017/0043Placing the offshore structure on a pre-installed foundation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2017/0039Methods for placing the offshore structure
    • E02B2017/0047Methods for placing the offshore structure using a bar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양구조물의 상부블록 설치용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블록의 하면에 돌출 설치되는 결합돌기와, 결합돌기가 삽입 위치되어 하부 해양구조물 상에 상부블록이 위치 고정되도록 하부 해양구조물에 설치되는 결합부와, 결합부 상단에 설치되어 결합돌기의 삽입을 안내함과 함께 삽입시 충돌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가이드유닛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해상의 환경 외란으로 상부블록의 움직임이 클 때에도 구조적 손상을 방지하면서도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하부 해양구조물에 상부블록의 설치가 가능한 효과를 가진다.
해상크레인, 바지선, 상부블록, 하부 해양구조물, 가이드

Description

해양구조물의 상부블록 설치용 가이드 장치{GUIDE APPARATUS FOR INSTALLATION OF UPPER BLOCK OF OFFSHORE STRUCTURE}
본 발명은 해양구조물의 상부블록 설치용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해상크레인 또는 바지선 등을 이용하여 하부 해양구조물 상에 상부블록을 설치하는 공법에 있어서 해상의 파도 등 외란에도 하부 해양구조물과 상부블록 간의 설치가 용이하고 구조적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해양구조물의 상부블록 설치용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양구조물은 조립을 위한 메이팅 작업 시 도크 내 제작공법 및 대형크레인으로 육상에서 일체형으로 제작하는 공법과, 해상에서 이루어지는 해상 데크메이팅 공법이 있다.
여기서 도크 내 제작공법 및 대형크레인으로 제작하는 공법은 사용료 문제와 크레인장치 용량의 문제로 많이 사용하지 않고 있다.
그리고 해상 데크메이팅 공법은 육상에서 상부블록과 하부 해양구조물을 별 도로 제작하여 해상에서 설치가 이루어지는 방법이다. 해상 데크메이팅 공법을 살펴보면, 하부 해양구조물을 해상크레인 또는 바지선에 선적하고, 알맞은 해상조건을 갖춘 해상에서 하부 해양구조물을 부유 시키거나 해저에 고정 설치하게 된다. 그리고 같은 방법으로 선적된 상부 블록을 해상크레인 또는 발라스팅(ballasting)이 가능한 바지선으로 메이팅 조건이 충분한 해상으로 운송한다. 그리고 하부 해양구조물이 발라스팅으로 구조물간의 충분한 간격을 유지한 다음 상부블록을 하부 해양구조물의 위쪽에 올려 조립하는 공법이다.
도 1은 해상에서 하부 해양구조물에 상부블록을 설치하는 종래의 방식을 도시한 것으로서, 육상에서 건조된 하부 해양구조물(10)을 해상크레인(1) 또는 바지선(미도시)으로 운송하여 해저에 고정 설치한 후, 해상크레인(1)을 통하여 운송된 상부블록(20)을 하부 해양구조물(10)상에 안착 고정 설치하게 된다.
이때, 하부 해양구조물(10)상에는 복수개의 결합부(12)가 형성되고, 이 결합부(12)에 삽입 위치될 수 있도록 상부블록(20)의 하면에는 결합돌기(22)가 형성되어 결합 설치된다.
그러나 해상크레인(1)을 통해 상부블록(20)을 원하는 위치로 권양하여 하부 해양구조물(10)에 설치하기 전까지에는 해상의 파도, 스웰(swell) 등의 환경 외란이 심할 경우 해상크레인은 롤링, 피칭, 요 운동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설치할 상부블록(20)이 과도하게 움직이게 된다.
이로 인하여 상부블록(20)의 결합돌기(22)와 하부 해양구조물(10)의 결합부(12) 위치를 정확히 맞추기 어렵고, 구조적 손상 가능성도 높을 수 밖에 없었다.
더욱이 이와 같이 환경 외란이 심할 경우 외란 환경이 줄어들어 상부블록(20)의 움직임이 줄어들 때까지 기다려야 하나, 대체적으로 해상크레인(1)의 장비 작업 시간이 정해져 있으므로 환경 외란이 심할 때에도 부득이하게 설치 작업을 실시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그 목적은 상부블록의 결합돌기가 삽입 위치되는 하부 해양구조물의 결합부에 삽입을 안내할 수 있는 가이드유닛을 설치함으로써, 해상의 환경 외란으로 상부블록의 움직임이 클 때에도 구조적 손상을 방지하면서도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설치가 가능한 해양구조물의 상부블록 설치용 가이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해양구조물의 상부블록 설치용 가이드 장치에 있어서, 상부블록의 하면에 돌출 설치되는 결합돌기와, 결합돌기가 삽입 위치되어 하부 해양구조물 상에 상부블록이 위치 고정되도록 하부 해양구조물에 설치되는 결합부와, 결합부 상단에 설치되어 결합돌기의 삽입을 안내함과 함께 삽입시 충돌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가이드유닛을 포함하는 해양구조물의 상부블록 설치용 가이드 장치를 제공된다.
또한, 가이드유닛은, 결합부의 상단 양측으로 마주하도록 힌지 결합되는 가이드판과, 가이드판의 마주하는 내측면으로 상부블록의 삽입 충격을 완충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완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마주하는 가이드판이 일정 각도가 유지된 상태에서 상부블록의 결합돌기 삽입을 안내하도록 힌지 측에 비틀림스프링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해양구조물의 상부블록 설치용 가이드 장치에 의하면, 해상의 환경 외란으로 상부블록의 움직임이 클 때에도 구조적 손상을 방지하면서도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하부 해양구조물에 상부블록의 설치가 가능한 효과를 가진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지만,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구조물의 상부블록 설치용 가이드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하부 해양구조물에 상부블록이 설치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해양구조물의 상부블록 설치용 가이드 장치는, 해저에 설치된 하부 해양구조물(110)에 원유생산 및 저장이 가능한 장 치와 사람이 거주할 수 있는 기반 시설들이 설치된 상부블록(120)을 설치함에 있어 거친 파도 등의 환경 외란으로부터 상부블록(120)의 움직임이 클 때에도 용이하면서도 구조적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부블록(120)의 하면으로는 하방을 향하도록 돌출된 결합돌기(122)가 복수개 설치될 수 있으며, 각 모서리에 근접하여 설치되는 금속재의 결합돌기(122)는 용접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 해양구조물(110)은, 해저로부터 철재 구조물이 수직하게 설치된 것이고, 해상으로 상부가 노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도시된 하부 해양구조물(110)은 고정식이나, 부유식 구조물일 수 있으며, 부유식 구조물일 경우에는 해상크레인 보다 바지선의 활용도가 높을 수 있다.
그리고 하부 해양구조물(110)의 상단으로는 상부블록(120)의 결합돌기(122)에 대응되도록 결합부(112)가 설치될 수 있다.
결합부(112)는 금속재로 하여 하부 해양구조물(110)에 용접 설치될 수 있으며, 결합돌기(122)가 삽입될 수 있도록 중앙에 중공의 내부를 가진다.
결합돌기(122)의 길이와 결합부(112)의 중공 내부의 길이는 같을 수 있다.
위와 같은 결합부(112)에 결합돌기(122)의 삽입을 안내함과 함께 삽입시 충돌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가이드유닛(130)이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유닛(130)은, 결합부(112)의 상단 양측으로 마주하도록 가이드판(132)이 설치되고, 이 가이드판(132)의 마주하는 내측면으로 상부블록(120)의 삽입 충격 을 완충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완충부재(134)가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판(132)은 편평한 판상으로 결합부(112)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133) 결합되되, 마주하는 가이드판(132)이 일정 각도로 유지된 상태에서 상부블록(120)의 결합돌기(122) 삽입을 안내하도록 힌지(133) 측에 비틀림스프링(135)이 설치될 수 있다.
비틀림스프링(135)에 의하여 가이드판(132)은 대략 90°범위 내에서 마주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완충부재(134)는 우레탄이 될 수 있으며, 일정 두께를 가지고서 가이드판(132)에 부착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해양구조물의 상부블록 설치용 가이드 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도 3과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해저에 하부 해양구조물(110)이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하부 해양구조물(110)상에 상부블록(120)을 위치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바지선(미도시:해양구조물이 부유식일 경우 사용) 또는 해상크레인(100)을 통해 상부블록(120)을 원하는 위치로 권양하게 되며, 이때 해상의 파도, 스웰(swell) 등의 환경 외란이 심할 경우 해상크레인(100)은 롤링, 피칭, 요 운동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설치할 상부블록(120)이 과도하게 움직일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하부 해양구조물(110)의 결합부(112)에 설치된 가이드유닛(130)을 통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삽입 설치가 가능하다. 이에 따라 결합부(112)의 상단에 가이드판(132)이 마주하여 90°범위내에서 벌어져서 상부측에서 삽입되는 결합돌기(122)의 삽입을 안내하게 되며, 결합돌기(122)가 서서히 삽입됨에 따라 가이드판(132)은 비틀림스프링(135)을 강제로 누르면서 상부블록(120)과 같이 수평하게 벌어지게 된다.
이때, 가이드판(132)에 설치된 완충부재(134)는 결합돌기(122)의 삽입에 따른 상부블록(120)과 하부 해양구조물(110)간의 충격을 완충하게 되며, 접촉면적의 확대로 보다 상부블록(120)을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결합부(112)에 결합돌기(122)의 삽입이 완료되면, 상부블록(120)은 결합부(112)에 용접을 하게 된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상부블록(120)의 결합돌기(122)가 삽입 위치되는 하부 해양구조물(110)의 결합부(112)에 가이드유닛(130)을 설치함으로써, 해상의 환경 외란으로 상부블록(120)의 움직임이 클 때에도 상부블록(120)의 하면 또는 하부 해양구조물(110)의 상면이 서로 부딪치는 구조적 손상을 방지하면서도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설치가 가능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해양구조물의 상부블록 설치용 가이드 장치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으며,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라 해상에서 하부 해양구조물에 상부블록을 설치하는 방식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구조물의 상부블록 설치용 가이드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하부 해양구조물에 상부블록이 설치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해상크레인 110 : 하부 해양구조물
112 : 결합부 120 : 상부블록
122 : 결합돌기 130 : 가이드유닛
132 : 가이드판 133 : 힌지
134 : 완충부재 135 : 비틀림스프링

Claims (3)

  1. 삭제
  2. 상부블록의 하면에 돌출 설치되는 결합돌기와,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 위치되어 하부 해양구조물 상에 상기 상부블록이 위치 고정되도록 상기 하부 해양구조물에 설치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결합돌기의 삽입을 안내함과 함께 삽입시 충돌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가이드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유닛은,
    상기 결합부의 상단 양측으로 마주하도록 힌지 결합되는 가이드판과,
    상기 가이드판의 마주하는 내측면으로 상기 상부블록의 삽입 충격을 완충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완충부재
    를 포함하는 해양구조물의 상부블록 설치용 가이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주하는 가이드판이 일정 각도가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블록의 결 합돌기 삽입을 안내하도록 상기 힌지 측에 비틀림스프링이 더 포함되는 해양구조물의 상부블록 설치용 가이드 장치.
KR1020090035356A 2009-04-23 2009-04-23 해양구조물의 상부블록 설치용 가이드 장치 KR101086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5356A KR101086764B1 (ko) 2009-04-23 2009-04-23 해양구조물의 상부블록 설치용 가이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5356A KR101086764B1 (ko) 2009-04-23 2009-04-23 해양구조물의 상부블록 설치용 가이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6773A KR20100116773A (ko) 2010-11-02
KR101086764B1 true KR101086764B1 (ko) 2011-11-24

Family

ID=43403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5356A KR101086764B1 (ko) 2009-04-23 2009-04-23 해양구조물의 상부블록 설치용 가이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676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7349B1 (ko) * 2011-12-09 2014-01-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해상구조물 제작방법
KR101351235B1 (ko) 2012-10-25 2014-01-1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발전 동체의 설치 구조 및 설치 방법
KR101825649B1 (ko) * 2016-02-17 2018-02-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구조물 결합용 조인트장치
KR20220091973A (ko) 2020-12-24 2022-07-01 (주)구조실험네트워크 이중강관 해상풍력 기초구조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342B1 (ko) * 2012-06-14 2013-08-05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고정식 해상풍력발전기의 하부구조물 작업 및 구조 안전성 향상을 위한 보루
KR102009247B1 (ko) * 2017-09-21 2019-08-09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탑사이드 덱 설치유도장치 및 이의 운용방법과 설치방법
KR102157976B1 (ko) * 2020-01-05 2020-09-18 채봉철 브라켓을 이용하여 말뚝기초와 결합하는 수중 구조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7349B1 (ko) * 2011-12-09 2014-01-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해상구조물 제작방법
KR101351235B1 (ko) 2012-10-25 2014-01-1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발전 동체의 설치 구조 및 설치 방법
KR101825649B1 (ko) * 2016-02-17 2018-02-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구조물 결합용 조인트장치
KR20220091973A (ko) 2020-12-24 2022-07-01 (주)구조실험네트워크 이중강관 해상풍력 기초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6773A (ko) 2010-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6764B1 (ko) 해양구조물의 상부블록 설치용 가이드 장치
KR101205344B1 (ko) 부유식 구조물
RU2534172C2 (ru) Система баржи со стабилизированной вертикальной качкой для бескрановой установки верхнего строения на морском основании
RU2203828C2 (ru) Конструкция корпуса
KR101662709B1 (ko) 부유식 구조물
Jung et al. Evaluating the impact load on the offshore platform during float-over topside installation
KR101186288B1 (ko) 두 선박 사이의 상대운동 감소 장치
US10352010B2 (en) Self-installing offshore platform
KR101954345B1 (ko) 플로팅 플랫폼을 이용한 접안시설
JP5577206B2 (ja) 動揺低減装置および浮体
KR101735329B1 (ko) 선박 접안 시스템 및 선박 접안 방법
KR102038756B1 (ko) 관절식 용골 스커트를 갖는 부유식 플랫폼
KR20160007947A (ko) 반잠수식 해양구조물
JP4469985B2 (ja) 消波構造物
KR20190129517A (ko) 부유식 구조물 및 부유식 구조물의 계류 방법
EP2285660B1 (en) Mating
KR20090010610A (ko) 건조 공법 및 건조 공법용 구조물
KR200428826Y1 (ko) T자형 바지선
JP3987830B2 (ja) 浮消波構造体
KR20170112423A (ko) 무어링장치 및 무어링시스템
JP3132540B2 (ja) 浮体構造物の設置構造
KR20140143579A (ko) 선박용 펜더
KR101140399B1 (ko) 확장형 부유식 도크 및 이를 이용한 선박 건조 공법
KR101913226B1 (ko) 선박의 착탈식 방현장치
JP7211823B2 (ja) 起伏ゲ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