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4671B1 - A fried equipment for separating carbonized material - Google Patents

A fried equipment for separating carbonized materi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4671B1
KR101084671B1 KR1020110035121A KR20110035121A KR101084671B1 KR 101084671 B1 KR101084671 B1 KR 101084671B1 KR 1020110035121 A KR1020110035121 A KR 1020110035121A KR 20110035121 A KR20110035121 A KR 20110035121A KR 101084671 B1 KR101084671 B1 KR 1010846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water
oil
filter
sepa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51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한명수
Original Assignee
한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명수 filed Critical 한명수
Priority to KR1020110035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4671B1/en
Priority to PCT/KR2011/003831 priority patent/WO2012141374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4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467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23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with means for filtering the frying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66Control devices, e.g. to control temperature, level or quality of the frying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01D17/04Breaking emulsions
    • B01D17/042Breaking emulsions by changing the 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Abstract

PURPOSE: A frying machine for separating and discharging carbonized materials is provided to reduce waste oil by suppressing the viscosity and color change of oil. CONSTITUTION: A frying machine for separating and discharging carbonized materials comprises a chamber, opening and closing valve(20), a water inlet pipe(30), an oil discharge pipe(40), a water exhaust pipe, a heating member(60), a gasoline filtration part, and a water filtration part. The chamber comprises first and second spaces(11,12). The gasoline is accepted to the first space. The water is accepted to the second space. A funnel-shaped inflow part(120) i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second space communicated with the first space. The opening and closing valve opens and closes the first and second border area. The water inlet pipe is communicated with the top of the second space. The heating member is arranged in the first space to heat gasoline. The gasoline filtration part circulates the gasoline of the lower part of the first space and filters foreign materials of gasoline.

Description

탄화물질의 분리 배출이 가능한 튀김 장치{A Fried Equipment For Separating Carbonized Material}A Fried Equipment For Separating Carbonized Material}

본 발명은 튀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튀김 챔버 내에 비중차에 의해 분리되는 기름과 물을 수용하며, 튀김 시 발생하는 이물질을 물이 수용된 공간으로 유입하도록 하여 기름 내에 이물질이 존재하지 않게 함으로써 탄화물질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탄화물질의 분리 배출이 가능한 튀김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y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ccommodate oil and water separated by a specific gravity difference in a frying chamber, and to introduce foreign substances generated during frying into a space containing water so that no foreign substances exist in the oi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ying apparatus capable of separating and discharging carbonized material that can prevent carbonized material from being generated.

현대는 우리나라에도 서구의 음식 문화들이 도입되고 기름에 튀긴 음식들이 다양해진 만큼 식용유를 사용하여 튀김 요리를 하는 빈도가 높아지고 있다. 식용유는 대개 콩기름, 옥수수기름 이외에도 올리브유, 포도씨유 등을 이용한다.In modern times, western food cultures have been introduced in Korea, and fried foods are becoming more frequent as cooking oil is used. Cooking oil usually uses olive oil and grape seed oil in addition to soybean oil and corn oil.

통상적으로 튀김기에 사용되는 식물성 식용유는 불포화 지방산으로 이루어져 있어 산화가 단시간 내에 잘 이루어지는데, 열이나 광선, 미량 금속에 의해서 자유 라디칼(Free Radical)을 생성하게 되어 유지의 연쇄적 산화 반응이 진행되어 산화 현상이 빠르게 진행될 뿐만 아니라, 기름 자체적으로도 고온의 열에 의해 클러스터(지방구)들이 생성되게 되어 기름이 혼탁해지고 점성이 높아진다. 또한, 식재료들에 의한 부유물이 공기와 산화 접촉되고 그것들이 고온에서 탄화되어 오일의 산패를 가속화시키게 된다.Normally, vegetable cooking oil used in fryer is composed of unsaturated fatty acids, which oxidizes well within a short time. The free radicals are generated by heat, light, and trace metals, and the chain oxidation of fats and oils proceeds to oxidize. Not only does the phenomenon progress rapidly, but the oil itself generates clusters (fat spheres) by high temperature heat, which makes the oil cloudy and more viscous. In addition, suspended solids by food ingredients are oxidized in contact with air and they are carbonized at high temperatures to accelerate oil rancidity.

식용유를 반복 사용하다 보면 식재료에서 배어나오는 동물성 유지와, 불순물, 찌꺼기, 지방산, 산화물 등이 함께 혼합되고, 튀김 찌꺼기들의 탄화로 변질되고 오염되어 재사용이 불가능해져서 많은 양의 식용유가 폐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자원의 낭비이며 환경 오염을 일으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므로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별도의 정제 기능을 갖는 튀김기가 요구되어 왔다.Repeated use of cooking oil results in a large amount of cooking oil being discarded as animal fats and oils from food ingredients, impurities, residues, fatty acids, and oxides are mixed together, denatured and contaminated by carbonization of fried residues, making it impossible to reuse. . Since this is a waste of resources and acts as a cause of environmental pollution, a fryer having a separate purification function has been required to solve this problem.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튀김 챔버 내에 비중차에 의해 분리되는 기름과 물을 수용하며, 튀김 시 발생하는 이물질을 물이 수용된 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하여 기름 내에 이물질이 존재하지 않게 함으로써 탄화물질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탄화물질의 분리 배출이 가능한 튀김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ccommodates oil and water separated by the specific gravity difference in the frying chamber, foreign matters generated during frying to flow into the space containing water is present in the foreign matt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rying apparatus capable of separating and discharging the carbonized material which can prevent the carbonized material from being generated.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의 탄화물질의 분리 배출이 가능한 튀김 장치는 상부가 개구되며 기름이 수용되는 제1공간 및 상기 제1공간의 하부와 연통되며 물이 수용되는 제2공간을 포함하는 챔버와; 상기 제1공간과 제2공간의 경계영역을 개폐하는 개폐밸브와; 상기 제2공간의 상부와 연통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유입시키기 위한 물유입관과; 상기 제1공간의 하부와 연통되어 이물질이 함유된 기름을 배출시키는 기름배출관과; 상기 제2공간의 하부에 연통되어 수용된 물을 배출시키는 물배출관; 및 상기 제1공간 내에 배치되어 수용된 기름을 가열시키는 가열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The frying apparatus capable of separating and discharging the carbonized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ncludes a first space in which an upper portion is opened and oil is accommodated, and a second space in communication with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space and in which water is received. A chamber; An opening / closing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a boundary area between the first space and the second space; A water inflow pipe communicating with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space and for introducing water supplied from the outside; An oil discharge pipe communicating with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space to discharge oil containing foreign substances; A water discharge pipe communicating with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space and discharging the received water; And heating means arranged to heat the oil disposed in the first space.

하나의 예로써, 상기 챔버는 상기 제1공간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단열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As an example, the chamber may further include a heat insulator configured to surround the first space.

하나의 예로써, 상기 물유입관과 연통되어 상기 제2공간으로 공급되는 물의 수위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수위조절기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As an exampl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water level regulator in communication with the water inlet pipe to automatically adjust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upplied to the second space.

하나의 예로써, 상기 챔버의 제1공간은 그 하부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단면적이 작아지게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As an example, the first space of the cha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is relatively reduced toward the lower portion.

하나의 예로써, 상기 챔버의 제2공간은 상기 제1공간과 연통되는 상부에 깔때기 형상의 유입부가 장착되고, 상기 물배출관과 연통되는 하부에는 원뿔 형상으로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유출부가 장착되는 것이 특징이다.As one example, the second space of the chamber is equipped with a funnel-shaped inlet portion in the upper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space, the outlet portion in communication with the water discharge pipe is equipped with an outlet portion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in the conical shape. It is characteristic.

하나의 예로써, 상기 제1공간의 하부에 수용된 기름을 순환시킴과 더불어 기름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기름여과부를 더 포함하는 바, 수용공간과;As an example, further comprising an oil filtration unit for circulating the oil contain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space and for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oil;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 및 분리되며 일측에는 복수의 유입공이 형성된 통공판이 장착되고 상기 통공판에 의해 구획되는 일측 공간에는 여과재가 충진되되 상기 여과재를 감싸는 측면과 저면에는 복수의 유출공이 형성된 여과통과; 일측이 상기 제1공간의 하부와 연통되며 타측은 상기 수용공간을 관통하여 여과통의 상단에 연통되는 제1순환관과; 상기 제1순환관에 장착되며 상기 제1공간의 하부에 수용된 이물질을 포함한 기름을 흡입하여 상기 제1순환관을 통해 상기 여과통으로 유입시키기 위한 흡입펌프; 및 일측이 상기 기름배출관과 연통되며 타측은 상기 수용공간 하부에 연통되어 상기 여과재에 의해 여과되는 기름을 상기 기름배출관 및 상기 제1공간의 하부로 유입시키는 제2순환관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A filter barrel inserted into and separated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and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inflow holes formed on one side thereof, and filled with a filter material in one side space defined by the through plate, and having a plurality of outflow holes formed on the side and bottom of the filter material; A first circulation tube having one side communicating with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space and the other side passing through the accommodation space and communicating with an upper end of the filter barrel; A suction pump mounted on the first circulation pipe and suctioning oil including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space and introducing the oil into the filter barrel through the first circulation pipe; And a second circulation tube in which one side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oil discharge tube and the other side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receiving space to introduce oil filtered by the filter medium into the oil discharge tube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space.

하나의 예로써, 상기 제2공간에 수용된 물을 순환시킴과 더불어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물여과부를 더 포함하는 바, 수용공간과;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 및 분리되며 일측에는 복수의 유입공이 형성된 통공판이 장착되고 상기 통공판에 의해 구획되는 일측 공간에는 여과재가 충진되되 상기 여과재를 감싸는 측면과 저면에는 복수의 유출공이 형성된 여과통과; 상기 물배출관에 장착되며 상기 제2공간에 수용된 이물질을 포함한 물을 흡입하여 상기 여과통으로 유입시키기 위한 흡입펌프와; 일측이 상기 물배출관과 연통되며 타측은 상기 수용공간을 관통하여 여과통 상단에 연통되어 상기 흡입펌프에 의해 흡입되는 이물질을 포함한 물을 상기 여과통으로 유입시키는 제1순환관; 및 일측이 상기 물배출관의 상부와 연통되며 타측은 상기 수용공간 하부에 연통되어 상기 여과재에 의해 여과되는 물을 상기 제2공간의 상부로 유입시키는 제2순환관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As an example, further comprising a water filtration unit for circulating the water contained in the second space and filtering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water; A filter barrel inserted into and separated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and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inflow holes formed on one side thereof, and filled with a filter material in one side space defined by the through plate, and having a plurality of outflow holes formed on the side and bottom of the filter material; A suction pump mounted to the water discharge pipe and configured to suck water including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second space and to flow into the filter barrel; A first circulation tube having one side communicating with the water discharge tube and the other side passing through the accommodation space and communicating with the upper part of the filter tube to introduce water including foreign substances sucked by the suction pump into the filter tube; And a second circulation tube having one side communicating with an upper portion of the water discharge tube and the other side communicating with a lower portion of the receiving space to introduce water filtered by the filter medium into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space.

이때, 상기 여과통의 상단에는 상기 제1순환관이 삽입되어 연통하기 위한 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순환관을 상기 여과통의 삽입공으로부터 이격시킴과 더불어 상기 여과통을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탈, 부착시키기 위한 탈부착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In this case, an insertion hole for inserting and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circulation tube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filter barrel, and separating and attaching the filter barrel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while separating the first circulation tube from the insertion hole of the filter barrel.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removable means for.

상기 탈부착수단은, 상기 여과통의 일측면에 장착되는 고정턱과; 상기 수용공간의 하부면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유동하도록 결합되며, 그 상부면에 상기 여과통이 안착되고 일측에는 안착된 여과통의 타측면을 가압하는 가압돌기가 형성되며, 타측의 내측면에는 상기 여과통의 고정턱을 감싸는 수용홈이 형성된 측판을 포함하는 안착부와; 상기 수용홈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여과통의 고정턱으로 탄성력을 부가하는 스프링과; 상기 수용홈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제1브라켓과; 상기 제1브라켓과 마주하는 수용공간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제2브라켓; 및 소정 각도로 절곡된 형태를 가지며 일측에는 유동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브라켓과 힌지 결합되고, 타측의 일부는 수용공간 외부로 노출되며 중심부는 상기 제2브라켓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여과통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유동시키기 위한 탈부착레버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The detachable means includes a fixed jaw mounted on one side of the filter barrel; Coupled to flow forward or back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receiving space, the upper surface is the filter is seated on one side is formed with a pressing projection for pressing the other side of the seated filter, the other side of the inner side of the filter A seating portion including a side plate having a receiving groove surrounding the fixed jaw; A spring installed on the inner side of the receiving groove to add an elastic force to the fixing jaw of the filter barrel; A first bracket coupl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A second bracket coupl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space facing the first bracket; And a shape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a flow groove is formed at one side to be hinged with the first bracket, a part of the other side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and a center is hinged to the second bracket to be seated on the seating part.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etachable lever for flowing the filtered filter forward or backward.

하나의 예로써, 상기 가열수단은 연소 가스를 제공하는 가스통과; 상기 가스통에서 공급되는 가스를 연소시키는 연소장치와; 일정 길이를 가지는 관 형상으로 상기 제1공간 내에 배치되며 상기 연소장치를 통해 연소되는 화력을 통과시켜 기름을 가열하는 가열관; 및 상기 가열관의 측면에 이격 설치되되 일측이 상기 가열관과 연통되어 가열관에서 방출되는 폐열이 순환되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이중관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As one example, the heating means includes a gas passage for providing combustion gas; A combustion device for burning the gas supplied from the gas cylinder; A heating tube disposed in the first space in a tubular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heating oil by passing a thermal power combusted through the combustion apparatus; And at least one double tube installed at a side of the heating tube, one side of which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heating tube so that waste heat discharged from the heating tube is circulated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이에 더하여, 상기 가열관은 그 내측면을 따라 일정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구성된 복수의 측벽이 장착되는 것이 특징이다.In addition, the heating tube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side walls are configured to be inclined at an angle along the inner surface.

또한, 상기 가열관은 그 내측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구성되는 방출판이 장착되는 것이 특징이다.In addition, the heating tub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charge plate is formed in a spira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surface.

하나의 예로써, 상기 챔버의 상부에 안착 및 분리되어 상기 제1공간 내로 유입되는 하나 이상의 튀김망을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As an exampl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one or more frying net that is seated and separated on the top of the chamber and introduced into the first space.

이 경우, 상기 튀김망의 안착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가열수단을 기설정된 시간과 온도로 작동시키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In this case, it comprises a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seating of the frying ne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ntroller for operating the heating means at a predetermined time and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of the detection sensor.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공간과 제2공간에 각각 설치되는 온도센서와, 수동 조작과 설정을 위한 복수의 조작 버튼 및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온도값과 작동시간을 포함한 정보데이터를 표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The controller may display information data including temperature sensors installed in the first and second spaces, a plurality of operation buttons for manual operation and setting, and temperature values and operating times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s. It further comprises a display for.

상기한 바에 따른 본 발명의 탄화물질의 분리 배출이 가능한 튀김 장치는 챔버를 기름이 수용된 제1공간과 물이 수용된 제2공간으로 구성하며, 튀김 시 발생하는 이물질 등이 상기 제2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제2공간에서는 물을 순환 및 여과시킴으로써 제2공간으로 유입된 이물질 들을 분리 배출할 수 있게 된다.The frying apparatus capable of separating and discharging the carbonized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omprises a chamber comprising a first space accommodating oil and a second space accommodating water, such that foreign substances generated during frying flow into the second space. On the other hand, in the second space it is possible to separate and discharge the foreign substances introduced into the second space by circulating and filtering the water.

이에 따라, 제1공간의 기름 내에 이물질이 존재하지 않게 됨으로써 기름의 색과 점도가 변화되는 기간을 연장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폐유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탄화 물질이 미포함된 기름에 의해 튀김맛이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As a result, the absence of foreign matter in the oil of the first space enables to prolong the period of change in the color and viscosity of the oil, thereby reducing the generation of waste oil, and not including carbonized material. The effect of improving the fried taste is caused by the oi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탄화물질의 분리 배출이 가능한 튀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챔버의 제2공간을 나타내는 부분 절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가열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여과공간과 튀김망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탈부착수단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컨트롤러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탄화물질의 분리 배출이 가능한 튀김 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rying apparatus capable of separating and discharging the carbonized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artially cut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space of the chamber of on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heating apparatus of on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ltration space and the frying net of on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emovable means of on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ler that is on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7a to 7c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frying apparatus capable of separating and discharging the carbonized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탄화물질의 분리 배출이 가능한 튀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챔버의 제2공간을 나타내는 부분 절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가열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여과공간과 튀김망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탈부착수단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컨트롤러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탄화물질의 분리 배출이 가능한 튀김 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rying apparatus capable of separating and discharging the carbonized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space of the chamber of on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on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an example of the heating apparatus which is a structure. And,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ltration space and a frying net of on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etachable means of on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block showing a controller of on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7A to 7C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n operating state of a frying apparatus capable of separating and discharging carbonized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탄화물질의 분리 배출이 가능한 튀김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구되며 기름이 수용되는 제1공간(11) 및 상기 제1공간(11)의 하부와 연통되며 물이 수용되는 제2공간(12)을 포함하는 챔버와, 상기 제1공간(11)과 제2공간(12)의 경계영역을 개폐하는 개폐밸브(20)와, 상기 제2공간(12)의 상부와 연통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유입시키기 위한 물유입관(30)과, 상기 제1공간(11)의 하부와 연통되어 이물질이 함유된 기름을 배출시키는 기름배출관(40)과, 상기 제2공간(12)의 하부에 연통되어 수용된 물을 배출시키는 물배출관(50) 및 상기 제1공간(11) 내에 배치되어 수용된 기름을 가열시키는 가열수단(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frying apparatus capable of separating and discharging the carbonized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municates with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space 11 and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space 11 in which an upper portion is opened and oil is received, as shown in FIG. 1. A chamber including a second space 12, an opening / closing valve 20 for opening and closing a boundary area between the first space 11 and the second space 12,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space 12, and A water inlet pipe 30 for communicating water supplied from the outside, an oil discharge pipe 40 communicating with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space 11 to discharge oil containing foreign substances, and the second space And a water discharging pipe 50 communicating with the lower part of 12 to discharge the received water, and a heating means 60 for heating the oil contained in the first space 11.

상기 챔버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공간(11)과 제2공간(12)이 서로 연통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하우징(1) 내에 설치되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hamber is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space 11 and the second space 12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are installed in the housing 1.

상기 하우징(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각 구성들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하우징(1) 내에는 상기 각 구성들이 내장되어 있으며 적어도 어느 일 측면이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된 개폐부(미도시)가 구비됨으로써 각 구성들에 대한 유지 보수 시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 1, the housing 1 is to prevent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The housing 1 is embedded in the housing 1 so that at least one side thereof can be opened and closed. By providing a configured opening and closing portion (not shown) it is possible to provide convenience during maintenance for each component.

이러한 하우징(1)은 상기 제1공간(11)의 개구된 상부가 노출되어 튀김용 식품이 투입될 수 있도록 그에 상응하는 부위 역시 개구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바 없으나 비 사용시 개구 부위를 밀폐하기 위한 밀폐뚜껑이 구비될 수 있다.The housing 1 is configured such th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opened upper portion of the first space 11 is exposed so that the food for frying may be introduced therein. A sealing lid for sealing may be provided.

상기 제1공간(11)은 튀김용 식품의 튀김이 실시되는 공간으로 기름이 수용되어 있으며, 그 하부는 물이 수용된 제2공간(12)의 상부와 연통되어 있다. 상기 제2공간(12)은 물이 수용되어 있으며 상기 제1공간(11)에서 튀김이 실시될 경우 튀김 가루나 불순물 등과 같이 튀김용 식품으로부터 분리되는 이물질 등이 유입되도록 하여 이를 분리 배출하게 되는 바, 상기 제1공간(11)에서 반복적인 튀김이 실시되어도 이물질 등이 잔류하지 않게 됨으로써 상기 제1공간(11)의 기름 내에서는 이물질들로부터 탄화 물질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기름과 물은 서로 다른 비중차에 의해 혼합되지 않음은 당연하다.The first space 11 is a space in which the frying food is fried, and oil is accommodated, and a lower portion thereof communicates with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space 12 containing water. The second space 12 is water is received and when the fry is carried out in the first space (11) is to be separated and discharged so that foreign matters separated from the food for frying, such as fried powder or impurities flow in In this case, even when repeated frying is performed in the first space 11, foreign substances do not remain, so that carbonized materials are not generated from foreign substances in the oil of the first space 11. At this time, it is obvious that the oil and water are not mixed by different specific gravity differences.

여기서, 본 바람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챔버의 제1공간(11)은 그 하부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단면적이 작아지게 구성됨으로써 상기 제2공간(12)에 수용된 물과의 경계면을 최소화하고, 이에 따라 상기 가열수단(60)을 통해 가열되는 기름의 온도가 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게 된다.Here, the first space 11 of the chamber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wind is configured to have a relatively small cross-sectional area toward the lower portion thereof to minimize the interface with the water contained in the second space 12, thereby Accordingly, the temperature of the oil heated through the heating means 60 is minimized from being transferred to the water.

뿐만 아니라, 상기 챔버는 상기 제1공간(11)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단열재(13)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바, 이를 통해 일정 온도로 가열된 상기 제1공간(11)의 기름을 보온하여 열 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하게 된다.In addition, the chamber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heat insulating material 13 configured to surround the first space 11, through which heat to heat the oil of the first space 11 heated to a certain temperature Minimizing the occurrence of losses.

상기 챔버의 제2공간(12)은 상기 제1공간(11)에서 낙하하는 이물질 등이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한번 유입된 이물질 등이 부력 등으로 인해 다시 상기 제1공간(11)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second space 12 of the chamber is configured such that foreign matters falling from the first space 11 easily enter, and the foreign matters once introduced into the first space 11 again due to buoyancy. It is configured to prevent inflow.

구체적으로, 상기 제2공간(12)의 내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공간(11)과 연통되는 상부에 깔때기 형상의 유입부(120)가 장착되어 있다. 즉 상기 유입부(120)는 입구(A)로부터 출구(B)로 갈수록 그 직경이 작아지게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물배출관(50)과 연통되는 하부에는 원뿔 형상으로 복수의 통공(122)이 형성된 유출부(121)가 장착되어 있다.Specifically, the funnel-shaped inlet 120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space 12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space 11 as shown in FIG. 2. That is, the inlet portion 120 is formed such that its diameter decreases from the inlet (A) toward the outlet (B). In addition, a lower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water discharge pipe 50 is mounted with an outlet portion 121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2 formed in a conical shape.

이에 따라, 상기 제1공간(11)에서 낙하하는 이물질 등은 하부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아지게 구성된 유입부(120)를 통해 용이하게 수거 및 유입될 수 있으며, 반대로 이물질 등이 다시 상승하게 되는 경우에는 상기 유입부(120)의 출구(B) 직경이 작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통과하여 다시 상기 제1공간(11)으로 유입될 수 없게 되는 것이다.Accordingly, foreign matters falling from the first space 11 may be easily collected and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120 configured to have a smaller diameter toward the lower portion thereof, and conversely, foreign matters may rise again. In this case, since the diameter of the outlet B of the inlet part 120 is formed to be small, the inlet part 120 is prevented from entering the first space 11 again.

뿐만 아니라, 상기 유출부(121)의 경우 원뿔 형상으로 구성됨에 따라 상기 유입부(120)를 통해 낙하되는 이물질 등이 어느 한 부위에 적층되지 않고 기울어진 면을 따라 흘러 내려와 상기 통공(122)으로 통과되어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outlet portion 121, the conical shape is formed so that foreign matters falling through the inlet portion 120 flow down along the inclined surface without being stacked on any one portion to the through hole 122. It is passed through and discharged.

한편, 상기 개폐밸브(20)는 상기 제1공간(11)과 제2공간(12)의 경계영역에 설치되어 경계영역을 개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개폐밸브(20)는 평상시 개방되어 있어 상기 제1공간(11)과 제2공간(12)이 연통되도록 하며, 상기 제2공간(12)을 청소할 경우에나 이하에서 설명하는 물배출관(50)을 통해 제2공간(12) 상의 물을 완전히 배수시킬 경우에는 상기 개폐밸브(20)는 폐쇄시켜 상기 제1공간(11)과 제2공간(12)을 분리함으로써 상기 제1공간(11)의 기름이 상기 물배출관(50)으로 배수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opening and closing valve 20 is installed in the boundary region of the first space 11 and the second space 12 is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boundary region. The on-off valve 20 is normally open so that the first space 11 and the second space 12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when the second space 12 is cleaned, the water discharge pipe 50 described below. When completely draining the water on the second space 12 through the closing valve 20 is closed by separating the first space 11 and the second space 12 of the first space (11) It is to prevent oil from being drained to the water discharge pipe 50.

여기서, 상기 개폐밸브(20)는 도 1등에서 도시하고 있는 구조에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의 관을 개폐할 수 있는 구조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다.Here, the opening and closing valve 20 is not limited to the structure shown in Figure 1, etc., any structure may be used as long as it can open and close a conventional pipe.

상기 물유입관(30)은 상기 제2공간(12)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일측이 제2공간(12)의 상부와 연통되어 있고, 타측은 외부의 수도관(미도시)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물유입관(3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500)가 장착되어 관을 개폐함으로써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공급 또는 차단되게 할 수 있다.The water inlet pipe 30 is for supplying water to the second space 12, one side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space 12, the other side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water pipe (not shown). have. In addition, the water inlet pipe 30 may be equipped with a valve 500 as shown in FIG. 1 to open or close the pipe so that water supplied from the outside may be supplied or blocked.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물유입관(30)을 통해 공급되는 물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수위조절기(70)가 구성되는 바, 상기 수위조절기(70)는 상기 물유입관(30)과 연통되어 상기 제2공간(12)으로 공급되는 물의 수위를 기설정된 높이 까지 자동으로 조절한다. He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level regulator 70 is configured to adjust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inlet pipe 30, the water level controller 70 is the water inlet pipe ( It is in communication with 30) automatically adjusts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upplied to the second space 12 to a predetermined height.

이러한 수위조절기(70)는 그 설치 위치에 의해 수위가 결정될 수 있으며, 변동되는 물의 증감에 따라 추가 물의 공급 또는 차단되는 것으로, 기계식 내지 전자식 등 공지 기술을 통해 다양하게 구현 가능한 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The water level regulator 70 may be determined by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water level, the additional water is supplied or blocked in accordance with the fluctuation of the fluctuating water, it can be variously implemented through known techniques such as mechanical or electronic bar, a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상기 기름배출관(40)은 상기 제1공간(11)과 제2공간(12)의 경계영역 즉 상기 제1공간(11)의 하부와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이 역시 그 끝단에 밸브(500)가 장착되어 관의 개폐가 이루어지게 되며, 장치의 비 사용시 상기 경계영역에 형성되는 불순물과 기름막을 포함한 이물질 등을 배출할 수 있게 된다.The oil discharge pipe 40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a boundary area between the first space 11 and the second space 12, that is,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space 11. The valve 500 is also mounted at the end thereof to open and close the pipe, and when the device is not in use, foreign substances including an impurity and an oil film formed at the boundary region can be discharged.

또한, 상기 제1공간(11)에 수용된 기름은 상기 기름배출관(40)을 통해 모두 배출될 수 있는데, 이때는 앞서 설명한 개폐밸브(20)를 폐쇄하지 않고서도 배출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oil accommodated in the first space 11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oil discharge pipe 40, all at this time can be discharged without closing the on-off valve 20 described above.

상기 물배출관(50)은 상기 제2공간(12)의 하부에 연통되도록 구성되어 제2공간(12)에 수용된 물의 배출이 실시됨은 물론 상기 유출구(121)를 통해 배출되는 불순물 내지 탄화물질을 포함한 이물질 등을 배출할 수 있게 된다.The water discharge pipe 50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space 12 to discharge the water contained in the second space 12 as well as including impurities or carbonized material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121. Foreign substances can be discharged.

한편, 상기 가열수단(60)은 상기 제1공간(11) 내에 배치되어 수용된 기름에 열을 전달함으로써 기름을 가열시키는 구성으로 전기 가열식 내지 가스 가열식 등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써, 상기 가열수단(6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소 가스를 제공하는 가스통(600)과, 상기 가스통(600)에서 공급되는 가스를 연소시키는 연소장치(610)와, 일정 길이를 가지며 관 형상으로 상기 제1공간(11) 내에 배치되어 상기 연소장치(610)를 통해 연소되는 화염을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제1공간(11)으로 열을 방출하는 가열관(620)을 포함한다. 이처럼 가스불을 상기 가열관(620)으로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제1공간(11)에 수용된 기름을 가열시키게 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heating means 60 is configured to heat the oil by transferring heat to the oil accommodated in the first space 11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such as electric heating or gas heating. As an example, the heating means 60 is a gas cylinder 600 for providing a combustion gas, a combustion device 610 for burning the gas supplied from the gas cylinder 600, and a predetermined length, as shown in FIG. And a heating tube 620 disposed in the first space 11 in a tubular shape and discharging heat to the first space 11 by passing a flame combusted through the combustion device 610. As such, the gas fire passes through the heating tube 620 to heat the oil contained in the first space 11.

이에 더하여 상기 가열수단(60)은 가열관(620)을 통과한 폐열을 이용한 보조 가열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ating means 60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heating means using the waste heat passing through the heating tube 620.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이중관(630)을 더 포함하는 바, 상기 이중관(630)은 상기 가열관(620)의 측면에 이격 설치되되 일측이 상기 가열관(620)과 연통되어 있고, 타측은 상기 하우징(1)에 설치되는 환기구(400)와 연결되어 상기 가열관(620)에서 방출되는 화염이 상기 이중관(630)을 순환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상기 가열수단(60)의 열에너지를 이중관(630)에서 순환하여 배출하도록 함으로써 에너지 절감을 이룰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That is, as shown in Figure 3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double tube 630, the double tube 630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heating tube 620 is spaced one side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heating tube 620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ventilation hole 400 installed in the housing 1 so that the flame discharged from the heating tube 620 circulates through the double tube 630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s described above, by circulating and discharging the heat energy of the heating means 60 in the double pipe 630, the effect of achieving energy savings is generated.

여기서, 상기 가열수단(60)의 가열관(620)은 그 내측면을 따라 일정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구성된 복수의 측벽(621)이 장착되어 있어, 화염이 상기 측벽(621)의 구조에 의해 바로 방출되지 않고 일정 시간 유지되게 함으로써 열 전달의 효율을 상승시키게 함이 타당하다. 또한, 상기 가열관(620)은 상술한 측벽(621)과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는 방출판이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방출판은 도면에 도시된 바 없으나 상기 가열관(620) 내측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장착되되 그 형상이 나선형으로 구성되어 방출되는 화염이 나선형 관을 따라 이동되게 함으로써 열 전달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Here, the heating tube 620 of the heating means 60 is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side walls 621 configured to be inclined at an angle along the inner surface thereof, so that the flame is immediately discharged by the structure of the side wall 621. It is reasonabl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heat transfer by keeping it constant for a while. In addition, the heating tube 620 may be equipped with a discharge plate that performs the same role as the side wall 621 described abov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discharge plate may be moun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heating tube 620, and the shape of the discharge plate may be spirally configured to increase the heat transfer efficiency by allowing the discharged flame to move along the spiral tube. Will b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탄화물질의 분리 배출이 가능한 튀김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공간(11)의 하부에 수용된 기름을 순환시킴과 더불어 기름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기름여과부과, 상기 제2공간(12)에 수용된 물을 순환시킴과 더불어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물여과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rying apparatus capable of separating and discharging the carbonized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oil filtration for circulating the oil contain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space 11 as well as filtration of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oil as shown in FIG. In addition,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water filtration unit for circulating the water contained in the second space 12 and to filter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water.

먼저, 상기 기름여과부는 수용공간(80)과, 상기 수용공간(80)에 삽입 및 분리되며 일측에는 복수의 유입공(830)이 형성된 통공판(83)이 장착되고 상기 통공판(83)에 의해 구획되는 일측 공간에는 여과재(82)가 충진되되 상기 여과재(82)를 감싸는 측면과 저면에는 복수의 유출공(831)이 형성된 여과통(81)과, 일측이 상기 제1공간(11)의 하부와 연통되며 타측은 상기 수용공간(80)을 관통하여 여과통(81)의 상단에 연통되는 제1순환관(84)과, 상기 제1순환관(84)에 장착되며 상기 제1공간(11)의 하부에 수용된 이물질을 포함한 기름을 흡입하여 상기 제1순환관(84)을 통해 상기 여과통(81)으로 유입시키기 위한 흡입펌프(86) 및 일측이 상기 기름배출관(40)과 연통되며 타측은 상기 수용공간(80) 하부에 연통되어 상기 여과재(82)에 의해 여과되는 기름을 상기 기름배출관(40) 및 상기 제1공간(11)의 하부로 유입시키는 제2순환관(8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First, the oil filtration unit is inserted into and separated from the receiving space 80, and the receiving space 80, one side is equipped with a through-plate 83 formed with a plurality of inlet holes 830 and on the through-plate 83 One side space divided by the filter medium 82 is filled, but the side and bottom surrounding the filter medium 82, the filter cylinder 81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outlet holes 831, one sid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space (11) A first circulation pipe 84 and a first circulation pipe 84 communicating with an upper end of the filter container 81 through the receiving space 80 and being connected to the first circulation pipe 84. The suction pump 86 and one side for injecting the oil containing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inlet to the filter barrel 81 through the first circulation pipe 84 and one side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oil discharge pipe 40 and the other side is the The oil communicating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receiving space 80 is filtered by the filter material 82, the oil discharge pipe 40 and the upper The second circulation pipe 85 is introduc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space (11).

이러한 기름여과부의 구성에 따르면, 상기 흡입펌프(86)에서 흡입되는 이물질을 포함한 기름이 상기 제1순환관(84)을 통해 상기 여과통(81)으로 유입되고, 여과통(81)에 유입된 이물질을 포함한 기름은 상기 통공판(83)의 유입공(830)으로 유입되어 충진된 상기 여과재(82)를 통과하면서 이물질 등이 여과된다. 이후, 여과된 기름은 여과통(81)에 형성된 복수의 유출공(831)에서 배출하게 되며 상기 수용공간(80)의 하부에 연통된 제2순환관(85)을 통해 기름배출관(40) 또는 제1공간(11)의 하부로 유입되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oil filtration unit, the oil containing the foreign matter sucked in the suction pump 86 is introduced into the filter barrel 81 through the first circulation pipe 84, the foreign matter introduced into the filter barrel 81 The oil included is introduced into the inlet hole 830 of the through plate 83 and the foreign matter is filtered while passing through the filter medium 82 filled. Thereafter, the filtered oil is discharged from the plurality of outlet holes 831 formed in the filter barrel 81 and the oil discharge pipe 40 or the first through the second circulation pipe 85 communica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receiving space 80. 1 is to flow into the bottom of the space (11).

그리고, 상기 물여과부는 수용공간(90)과, 상기 수용공간(90)에 삽입 및 분리되며 일측에는 복수의 유입공(930)이 형성된 통공판(93)이 장착되고 상기 통공판(93)에 의해 구획되는 일측 공간에는 여과재(92)가 충진되되 상기 여과재(92)를 감싸는 측면과 저면에는 복수의 유출공(931)이 형성된 여과통(91)과, 상기 물배출관(50)에 장착되며 상기 제2공간(12)에 수용된 이물질을 포함한 물을 흡입하여 상기 여과통(91)으로 유입시키기 위한 흡입펌프(96)와, 일측이 상기 물배출관(50)과 연통되며 타측은 상기 수용공간(90)을 관통하여 여과통(91) 상단에 연통되어 상기 흡입펌프(96)에 의해 흡입되는 이물질을 포함한 물을 상기 여과통(91)으로 유입시키는 제1순환관(94) 및 일측이 상기 물배출관(50)의 상부와 연통되며 타측은 상기 수용공간(90) 하부에 연통되어 상기 여과재(92)에 의해 여과되는 물을 상기 제2공간(12)의 상부로 유입시키는 제2순환관(9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water filtration unit is inserted into and separated from the receiving space 90, the receiving space 90, the one side is equipped with a through plate 93 formed with a plurality of inlet holes 930 and the through plate 93 One side space partitioned by the filter medium 92 is filled, but the side and bottom surrounding the filter medium 92 is provided with a filter barrel (91) having a plurality of outlet holes (931), and is mounted to the water discharge pipe (50) A suction pump 96 for sucking water containing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two spaces 12 and flowing into the filter container 91, and one side communicates with the water discharge pipe 50, and the other side opens the accommodation space 90. The first circulation pipe (94) and one side of the water discharge pipe (50) which penetrates through the filter container (91) and introduces water containing foreign substances sucked by the suction pump (96) into the filter container (91). The filter material 92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upper side and the other side is communica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receiving space 90 The water to be filtered is configured by including a second circulation pipe (95) to flow into the top of the second space (12).

상기 물여과부 역시, 흡입펌프(96)에서 흡입되는 이물질을 포함한 물이 상기 제1순환관(94)을 통해 상기 여과통(91)으로 유입하게 되고, 여과통(91)에 유입된 이물질을 포함한 물은 상기 통공판(93)을 통해 여과재(92)를 통과하면서 이물질 등이 여과된다. 이후, 여과된 물은 여과통(91)에 형성된 복수의 유출공(931)을 통해 수용공간(90) 내로 배출하게 되며, 상기 수용공간(90) 하부에 연통된 제2순환관(95)을 통해 다시 제2공간(12)의 상부로 유입됨으로써 물의 순환과 여과가 실시되는 것이다.The water filtration unit also, the water containing the foreign matter sucked in the suction pump 96 is introduced into the filter barrel 91 through the first circulation pipe 94, the water containing foreign matter introduced into the filter barrel 91 The foreign matter is filtered while passing through the filter medium 92 through the through plate 93. Thereafter, the filtered water is discharged into the receiving space 90 through the plurality of outlet holes 931 formed in the filter tube 91, and through the second circulation tube 95 communica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receiving space 90. Again, the second space 12 is introduced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water circulation and filtration is performed.

이때, 상기 기름여과부와 물여과부의 수용공간(80, 90) 상부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공간(80, 90)을 개폐하기 위한 상부커버(30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커버(300)를 분리한 후 내부에 구성된 상기 여과재(82, 92)가 충진된 여과통(81, 91)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upper cover 30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receiving space (80, 90) is provid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receiving space (80, 90) of the oil filtration unit and the water filtration unit, the upper After the cover 300 is removed, the filter tubes 81 and 91 filled with the filter media 82 and 92 configured therein can be easily replaced.

여기서, 상기 상부커버(300)는 상기 여과통(81, 91)과의 기밀한 밀착을 위하여 상기 여과통(81, 91)의 상부로 일부가 삽입되는 밀착패킹(310)이 구성되어 여과통(81, 91) 내에서 순환되는 물 또는 기름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Here, the upper cover 300 is formed of a close packing portion 310 is inserted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lter cylinder (81, 91) for hermetic contact with the filter cylinder (81, 91) filter cylinder (81, 91) It is preferable not to let water or oil circulated in the) outflow.

또한, 상기 여과재(81, 91)은 그 재질에 있어 한정되지 않는 바, 기름과 물의 입자는 통과시키면서 탄화 물질을 포함한 이물질 등은 여과될 수 있는 어떠한 여과재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나, 바람직하게는 반영구적인 재활용이 가능하며 물에 의한 부식성에 대항하도록 스테인리스강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filter materials 81 and 91 are not limited in terms of their materials, but any filter media capable of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including carbonized materials while allowing oil and water particles to pass therethrough may be used, but is preferably semipermanent. Phosphorus recycling is possible and preferably made of stainless steel to counteract corrosiveness by water.

이처럼 상술한 기름여과부와 물여과부의 여과 작용으로 반복적인 튀김 시에도 기름과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매번 배출하지 않아도 되며, 여과재(82, 92)가 구성된 여과통(81, 91)의 교체에 있어서도 상기 수용공간(80, 90) 상부의 상부커버(300)만을 개방시켜 용이하게 교체 가능한 특징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iltration action of the oil filtration unit and the water filtration unit does not require the discharge of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oil and water every time even during repeated frying, and even in the replacement of the filter barrels 81 and 91 including the filter mediums 82 and 92. Opening only the upper cover 300 of the upper receiving space (80, 90) has a feature that can be easily replaced.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기름여과부 및 물여과부의 여과통(81, 91) 상단에는 수용공간(80, 90)을 관통하여 제1순환관(84, 94)이 연통되는데, 이러한 제1순환관(84, 94)이 삽입되도록 각 여과통(81, 91)의 상단에는 상기 제1순환관(84, 94)과 대향하는 측면에 삽입공(700)이 형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irculating pipe (84, 94) is communicated through the receiving space (80, 90) at the upper end of the filter cylinder (81, 91) of the oil filtration unit and the water filtration unit, An insertion hole 700 is formed at the upper side of each of the filter tubes 81 and 91 so that the first circulation tubes 84 and 94 are inserted in the side opposite to the first circulation tubes 84 and 94.

이와 함께, 상기 제1순환관(84, 94)을 상기 여과통(81, 91)의 삽입공(700)으로부터 삽입 및 이격시킴과 더불어 상기 여과통(81, 91)을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탈, 부착시키기 위한 탈부착수단을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first circulation pipe (84, 94) is inserted into and spaced apart from the insertion hole 700 of the filter cylinder (81, 91), and the filter cylinder (81, 91) to remove and attach from the receiving space It further comprises a removable means for.

즉, 상기 탈부착수단은 상기 여과통(81, 91)을 수용공간(80, 90)으로부터 탈, 부착함에 있어, 상기 제1순환관(84, 94)을 상기 여과통(81, 91)으로부터 이격시키거나 상기 삽입공(700)에 기밀하게 밀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That is, the detachable means is to detach and attach the filter cylinders 81 and 91 from the accommodation spaces 80 and 90, so that the first circulation pipes 84 and 94 are spaced apart from the filter cylinders 81 and 91. It i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sertion hole 700.

구체적으로,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탈부착수단의 일 예를 설명하면,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5, an example of the detachable means will be described.

상기 탈부착수단은 상기 여과통(81, 91)의 일측면에 장착되는 고정턱(710)과, 상기 수용공간(80, 90)의 하부면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유동하도록 결합되며, 그 상부면에 상기 여과통(81, 91)이 안착되고 일측에는 안착된 여과통(81, 91)의 타측면을 가압하는 가압돌기(721)가 형성되며, 타측의 내측면에는 상기 여과통(81, 91)의 고정턱(700)을 감싸는 수용홈(723)이 형성된 측판(722)으로 구성된 안착부(720)를 포함한다.The detachable means is coupled to the fixed jaw 710 mounted on one side of the filter barrel (81, 91), to flow forward or back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receiving space (80, 90),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cylinders (81, 91) is seated on one side is formed with a pressing projection 721 for pressing the other side of the filter cylinders (81, 91) seated, the inner side of the other side fixed jaw of the filter (81, 91) ( It includes a seating portion 720 consisting of a side plate 722 formed with a receiving groove 723 surrounding the 700.

이때, 상기 안착부(720)의 하부면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홀(72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홀(724)을 관통하여 상기 수용공간(80, 90)의 하부면에 고정 결합되는 결합핀(725)이 구성되어 상기 안착부(720)가 좌, 우, 상, 하로 비틀림 없이 안정적으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유동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720 is formed with a guide hole 724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shown in Figure 5, through the guide hole 724 to the receiving space (80, 90) Coupling pin 725 is fixedly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is configured so that the seating portion 720 can be stably flowed forward or backward without twisting left, right, up, down.

그리고, 상기 가압돌기(721)는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여과통(81, 91)이 안착부(720)의 하부면에 안착될 때, 그 외형이 외측으로 밀렸다가 상기 여과통(81, 91)이 완전히 안착하게 되어 상기 고정턱(700)이 수용홈(723)에 밀착되면서 상기 가압돌기(721)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외형이 복원됨과 더불어 상기 여과통(81, 91)의 측면을 가압함으로써 여과통(81, 91)을 고정하게 된다.In addition, the pressing protrusion 721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n elastic force so that when the filter cylinder (81, 91) is se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720, the outer shape is pushed to the outside and the filter cylinder (81, 91) ) Is completely seated so that the fixing jaw 7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receiving groove 723 and the appearance is restored agai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pressing protrusion 721 and pressurizes the side surfaces of the filter barrels 81 and 91. (81, 91) is fixed.

이와 더불어 상기 탈부착수단은 상기 수용홈(723)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여과통(81, 91)의 고정턱(710)으로 탄성력을 부가하는 스프링(730)을 더 포함하여 여과통(81, 91)이 완전히 안착되는 경우 상기 여과통(81, 91)의 측면에서 일방향으로 힘을 가함으로써 더욱 견고하게 상기 여과통(81, 91)을 안착부(720) 상에서 고정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detachable means further comprises a spring 730 is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723 to add an elastic force to the fixing jaw 710 of the filter barrel (81, 91), the filter barrel (81, 91) When fully seated, by applying a force in one direction from the sides of the filter barrel (81, 91) it is possible to more firmly secure the filter cylinder (81, 91) on the seating portion (720).

또한, 상기 탈부착수단은 탈부착레버(760)를 더 포함하여 상기 안착부(720)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유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탈부착레버(760)가 안착부(720)에 결합되도록 제1브라켓(740)과 제2브라켓(750)이 구비되는 바, 상기 제1브라켓(740)은 상기 수용홈(723)의 외측면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2브라켓(750)은 상기 제1브라켓(740)과 마주하도록 상기 수용공간(80, 90)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탈부착레버(760)는 소정 각도로 절곡된 형태를 가지며 일측에는 유동홈(761)이 형성되어 상기 제1브라켓(740)과 힌지 결합됨으로써 탈부착레버(760)의 원활한 유동을 제공하는 한편, 상기 탈부착레버(760)의 유동시에는 안착부(720)의 틀어짐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탈부착레버(760)의 타측 일부는 수용공간(80, 90)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며 그 중심부는 상기 제2브라켓(750)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안착부(720)에 안착된 여과통(81, 91)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유동시키게 된다.In addition, the detachable means further includes a detachable lever 760 to be configured to flow the seating portion 720 forward or backward, so that the detachable lever 760 is coupled to the seating portion 720. The bracket 740 and the second bracket 750 are provided, the first bracket 740 is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723, the second bracket 750 is the first bracket It is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space (80, 90) to face the 740. In addition, the detachable lever 760 has a form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a flow groove 761 is formed at one side thereof to be coupled to the first bracket 740 to provide a smooth flow of the detachable lever 760. When the removable lever 760 flows, the mounting portion 720 may be prevented from twisting. In addition, a por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detachable lever 760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receiving space (80, 90) and its center portion is hinged to the second bracket 750, the filter barrel 81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720) , 91) to flow forward or backward.

여기서, 상기 수용공간(80, 90) 상부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공간(80, 90)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탈부착레버(760)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유동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고정홈(762)이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fixing groove for maintaining the state in which the removable lever 760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receiving space (80, 90) is moved forward or rearwar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receiving space (80, 90) as shown in FIG. 762 may be formed.

이와 같은 탈부착수단의 구성으로 상기 여과통(81, 91)의 교체하는 경우, 상기 탈부착레버(760)를 전방으로 유동시키게 되면 상기 탈부착레버(760)와 결합된 상기 안착부(720)가 전체적으로 후방으로 유동하게 되어 상기 여과통(81, 91)과 연통되어 있는 제1순환관(84, 94)을 상기 여과통(81, 91)으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후 상기 여과통(81, 91)을 상기 안착부(720)로부터 분리하여 수용공간(80, 90) 상부를 통해 외부로 유출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When the filter barrels 81 and 91 are replac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detachable means as described above, when the detachable lever 760 is moved forward, the seating portion 720 coupled with the detachable lever 760 is generally rearward. The first circulation pipe (84, 94) which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filter cylinder (81, 91) is to be separated from the filter cylinder (81, 91), and then the filter cylinder (81, 91) is seated It is to be separated from the unit 720 to flow out to the outside through the receiving space (80, 90).

이때, 상기 삽입공(700)은 상기 제1순환관(84, 94)의 직경과 대응하도록 구성되어 제1순환관(84, 94)의 삽입 시 완전한 밀착을 통해 물 또는 기름이 유출되지 않도록 되어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삽입공(700)에 삽입되는 제1순환관(84, 94)의 끝단과 상기 삽입공(700)은 테이퍼(taper) 형상으로 구성하여 제1순환관(84, 94)의 삽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이 타당하다.At this time, the insertion hole 700 is configured to correspond to the diameter of the first circulation pipe (84, 94) so that water or oil is not leaked out through the complete close contact when the first circulation pipe (84, 94) is inserted. More preferably, the end of the first circulation pipe (84, 94) and the insertion hole 70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700 is formed in a taper (taper) shape of the first circulation pipe (84, 94) ), It is reasonable to make the insertion smooth.

반대로 상기 여과통(81, 91)의 결합은 상기 수용공간(80, 90)의 개방측으로 통해 세척 내지 교체된 여과통(81, 91)이 삽입되어 상기 안착부(720)로 안착시키되, 먼저 상기 여과통(81, 91)의 고정턱(710)을 상기 측벽(722)의 수용홈(723)에 수용되도록 한 후 여과통(81, 91)을 가압돌기(721)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완전히 안착시키게 되면 상기 가압돌기(721)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여과통(81, 91)을 가압하여 상기 여과통(81, 91)을 완전히 고정되도록 한다. 이후, 상기 탈부착레버(760)를 반대 방향인 후방으로 유동시키게 되면, 상기 제1순환관(84, 94)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던 상기 여과통(81, 91)의 삽입공(700)이 제1순환관(84, 94)과 밀착되어 여과통(81, 91)의 교체가 완료되는 것이다.On the contrary, the combination of the filter barrels 81 and 91 is inserted into the seating portion 720 by being inserted into the filter barrels 81 and 91 which have been washed or replaced through the open 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s 80 and 90. When the fixing jaw 710 of the 81, 91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723 of the side wall 722, the filter barrel 81, 91 is completely sea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ressing projection 721 is located The filter cylinders 81 and 91 are press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protrusion 721 to completely fix the filter cylinders 81 and 91. Subsequently, when the detachable lever 760 flows backward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insertion hole 700 of the filter cylinders 81 and 91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irculation tubes 84 and 94 is the first circulation tube. Close contact with (84, 94) is the replacement of the filter cylinder (81, 91) is completed.

본 발명에 따른 탄화물질의 분리 배출이 가능한 튀김 장치는 상기 챔버의 상부에 안착 및 분리되어 상기 제1공간(11) 내로 유입되는 튀김망(100)을 더 포함한다.The frying apparatus capable of separating and discharging the carbonized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frying net 100 that is seated and separ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hamber and flows into the first space 11.

상기 튀김망(100)은 튀김용 식품을 수용하여 상기 제1공간(11)의 기름 내로 투입되는 것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면에 안착턱(110)이 형성되어 상기 챔버 상부에 안착될 수 있으며, 크기를 달리하도록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닭 튀김의 경우 1마리용 튀김망과 2 ~ 3마리용 튀김망 으로 그 크기가 각기 달리하여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The frying net 100 is to receive the food for frying is put into the oil of the first space (11), as shown in Figure 4 seating jaw 110 is formed on both sides to be seated on the upper chamber It may be configured in one or more to vary the size. For example, in the case of fried chicken, one fried net and two or three fried nets may be configured in different sizes.

이와 같은 튀김망(100)을 이용하여 튀김용 식품을 조리하는 경우 본 발명에서는 컨트롤러(200)를 통해 상기 튀김망(100)의 안착 여부를 판단하고 기설정된 시간과 온도로 튀김을 실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When cooking the food for frying using such a frying net 100 i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the frying net 100 is seated through the controller 200 and to perform frying at a predetermined time and temperature. have.

구체적으로, 상기 컨트롤러(2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튀김망의 안착을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감지센서(210)를 포함한다. 상기 감지센서(210)는 상기 하우징(1)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튀김망(100)이 복수로 구성될 경우 각 튀김망(100)의 안착턱(110)이 안착되는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Specifically, the controller 200 includes a plurality of detection sensors 210 for detecting the seating of the frying network as shown in FIG. The sensing sensor 210 is installed in the housing 1, and when the frying net 100 is configured in plural, each of the sensing sensors 210 is loca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ating jaw 110 of each frying net 100. It is installed.

상기 컨트롤러(200)는 상기 감지센서(210)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가열수단(60)을 기설정된 시간과 온도로 작동시키게 되며, 앞서 설명한 기름여과부와 물여과부의 흡입펌프(86, 96) 또한 제어함으로써 자동으로 튀김의 실시 중 제2공간(12)에 수용된 물을 순환시키거나, 튀김의 종료 후 제1공간(11)에 수용된 기름을 순환시킬 수 있게 된다.The controller 200 operates the heating means 60 at a predetermined time and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of the detection sensor 210, and the suction pumps 86 and 96 of the oil filtration unit and the water filtration unit described abov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circulate the water contained in the second space 12 during the execution of the frying, or to circulate the oil contained in the first space 11 after the completion of the frying.

또한, 상기 컨트롤러(200)는 상기 제1공간(11)과 제2공간(12)에 각각 설치되는 온도센서(220)를 더 포함하여, 튀김의 실시 중 상시 기름과 물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상기 가열수단(60)의 온도를 제어함으로써 기설정된 온도를 유지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200 further includes a temperature sensor 220 installed in the first space 11 and the second space 12, respectively, to measure the temperature of oil and water at all times during the fry. It is possible, thereby to maintain the predetermined temperature by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means (60).

이에 더하여, 상기 컨트롤러(200)는 장치의 외부에 노출되어 사용자에 의해 컨트롤러(200)를 수동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조작 버튼(230)을 포함한다. 상기 조작 버튼(230)은 상기 흡입펌프(83, 92)의 수동 조작뿐만 아니라, 제1공간(11)의 기름으로 열을 전달함에 있어 그 시간과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복수의 설정키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200 includes a plurality of operation buttons 230 that ar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device to allow the user to manually operate the controller 200. The operation button 230 includes a plurality of setting keys for controlling the time and temperature in transferring heat to the oil in the first space 11 as well as manual operation of the suction pumps 83 and 92. .

그리고, 사용자에게 컨트롤러(200)의 정보데이터를 표출하도록 디스플레이(240)가 구비되어 상기 온도센서(220)에서 측정된 제1공간(11) 및 제2공간(12)의 온도값은 물론 기설정된 조리 시간의 카운팅 등을 표출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컨트롤러(200)는 도면에 도시된 바 없으나 작동 시간의 카운팅 완료 시점에서 부져를 울려 사용자에게 작동 완료를 알리는 알림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240 is provided to display the information data of the controller 200 to the user, as well as the temperature values of the first space 11 and the second space 12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220, as well as a predetermined value. The counting of the cooking time is expressed. Lastly,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controller 200 may further include a notification means for notifying the user of the completion of operation by ringing a buzzer at the completion time of the counting of the operation time.

이하에서는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탄화물질의 분리 배출이 가능한 튀김 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ure 7a to 7c will be described the operating state of the frying apparatus capable of separating and discharging the carbonized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튀김망(100)에 수용된 튀김용 식품은 튀김망(100)과 함께 상기 제1공간(11) 내로 투입되는데, 상기 감지센서(210)는 상기 튀김망(100)의 안착턱(110)이 챔버 상부에 안착되는 동시에 이를 감지하여 컨트롤러(200)로 작동 신호를 송출하게 된다.First, the food for frying contained in the frying net 100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space 11 together with the frying net 100, and the sensing sensor 210 is seating jaw 110 of the frying net 100. At the same time it is seated on the chamber and detects it and sends an operation signal to the controller 200.

이후, 상기 감지센서(210)의 작동 신호를 전송받은 상기 컨트롤러(200)는 기설정된 조리 시간 동안 상기 가열수단(60)을 일정 온도로 유지되게 작동시키게 되면서 상기 튀김용 식품의 튀김이 시작된다.Thereafter, the controller 200 receiving the operation signal of the detection sensor 210 operates to maintain the heating means 60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for a preset cooking time, and the frying of the food for frying is started.

튀김이 실시되는 중 튀김용 식품의 표면으로부터 튀김 가루, 불순물 등의 이물질이 분리되는데 이러한 이물질의 일부는 상부로 상승하게 되지만 대부분 하부로 낙하하게 되어 상기 제1공간(11)과 연통되는 제2공간(12)으로 유입하게 된다.While the frying is performed, foreign matters, such as frying powder and impurities, are separated from the surface of the food for frying. Some of these foreign matters are raised to the upper part, but most of them fall to the lower part so that the second space communicates with the first space 11. Inflow to (12).

여기서, 물이 수용된 상기 제2공간(12)으로 유입되는 이물질은 깔때기 형상의 유입부(120)의 구조에 의해 용이하게 유입되지만, 한번 유입된 이물질이 다시 상기 유입부(120)를 통해 제1공간(11) 방향으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원뿔 형상의 유출부(121)는 낙하하는 이물질 등이 어느 한 부위에 쌓이지 않도록 함과 더불어 복수의 통공(122)이 형성됨으로써 이를 통해 이물질이 제2공간(12)에서 배출하게 된다.Here, the foreign matter introduced into the second space 12 containing water is easily introduced by the structure of the funnel-shaped inlet 120, but the foreign matter once introduced again through the inlet 120. It does not flow into the space 11 direction. In addition, the conical outlet portion 121 prevents foreign matters from falling down and accumulates in any one portion, and a plurality of through-holes 122 are formed so that foreign matters are discharged from the second space 12.

상기 컨트롤러(200)는 상기 가열수단(60)이 작동된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물여과부의 흡입펌프(92)를 작동시켜 상기 제2공간(12)에 수용된 물을 순환 및 여과시키는 공정을 수행한다.The controller 200 circulates and filters the water contained in the second space 12 by operating the suction pump 92 of the water filtration unit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since the heating means 60 is operated. To carry out the process.

즉, 상기 물여과부의 흡입펌프(96)를 작동시켜 배출된 이물질을 포함한 물을 제1순환관(94)을 통해 상기 여과통(91)으로 이송 및 유입시키게 되고, 상기 여과통(91)의 여과재(92)을 통과한 상기 물은 이물질이 여과되어 상기 제2순환관(95)을 통해 다시 제2공간(12)의 상부로 유입되는 등 물의 순환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water including the foreign substances discharged by operating the suction pump 96 of the water filtration unit is transported and introduced into the filter barrel 91 through the first circulation pipe 94, the filter medium of the filter tube (91) ( The water passed through 92 is the foreign matter is filtered and the water is circulated through the second circulation pipe (95) to flow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space 12 again.

이러한 물의 순환은 튀김 실시 중에 반복적으로 실시되는 것으로 그 횟수는 한정되어 있지 않으며 이 역시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반복 횟수가 결정될 수 있다.This water circulation is repeatedly performed during the frying operation, and the number of times is not limited, and this may also be determined by the user's setting.

이후, 튀김 조리 시간이 완료되어 상기 컨트롤러(200)는 상기 가열수단(60)과 물여과부의 흡입펌프(96)의 작동을 중단시키고, 상기 기름여과부의 흡입펌프(86)를 작동시키게 된다.Thereafter, the frying cooking time is completed, the controller 200 stops the operation of the suction pump 96 of the heating means 60 and the water filter unit, and operates the suction pump 86 of the oil filter unit.

이는 상기 기름과 물의 경계영역에서 온도 차로 발생될 수 있는 기름막과 같은 부유물질과 기름 내에 잔존하는 탄화 물질들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흡입펌프(86)를 작동시킴에 따라 상기 제1공간(11)의 하부와 연통된 제1순환관(84)으로부터 기름을 흡입한다.This is to remove suspended matter such as an oil film and carbonaceous substances remaining in the oil, which may occur due to a temperature difference in the boundary area between the oil and water, and the first space 11 is operated by operating the suction pump 86. The oil is sucked from the first circulation tube 84 in communication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이때, 상기 기름여과부의 흡입펌프(86)의 작동은 반복적으로 실시되는 것이 아니라 단시간 동안 그 작동이 실시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operation of the suction pump 86 of the oil filtration unit is preferably not to be carried out repeatedly, so that the operation can be carried out for a short time.

상기 기름여과부의 흡입펌프(86)가 작동됨에 따라 이물질이 포함된 기름이 상기 제1순환관(84)을 통해 상기 여과통(81) 내로 이송 및 유입되며, 여과통간(81)의 여과재(82)을 통과한 기름은 이물질 등이 여과되어 제2순환관(85)을 통해 상기 기름배출관(40)으로 유입됨으로써 다시 제1공간(11)으로 공급되거나 이후 기름배출관(40)을 통해 기름을 배출할 시 함께 배출되도록 한다.As the suction pump 86 of the oil filtration unit is operated, oil containing foreign matter is transferred and introduced into the filter barrel 81 through the first circulation pipe 84, and the filter medium 82 of the filter barrel 81. After passing through the oil, foreign substances are filtered and introduced into the oil discharge pipe 40 through the second circulation pipe 85 to be supplied to the first space 11 again or thereafter to discharge oil through the oil discharge pipe 40. To be discharged together.

이와 같은 공정을 수행한 본 발명에 따른 탄화물질의 분리 배출이 가능한 튀김 장치는 물과 기름에 포함된 탄화 물질을 포함한 이물질 등이 제거된 상태에서 다음 튀김 공정이 실시될 수 있도록 대기하게 된다.The frying apparatus capable of separating and discharging the carbonized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ing such a process waits for the next frying process to be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foreign matters including carbonized material contained in water and oil are removed.

이상에서는 상기 컨트롤러(200)에 의한 자동 작동 과정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것으로, 복수의 조작 버튼 등을 통하여 사용자가 직접 본 발명의 튀김 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음은 당연하다.In the above described the automatic operation process by the controller 200, which 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atural that the user can directly operate the f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a plurality of operation buttons.

이처럼, 제1공간(11)의 기름 내에 이물질이 존재하지 않게 됨으로써, 기름의 색과 점도가 변화되는 기간을 연장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폐유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탄화 물질이 미포함된 기름에 의해 튀김맛이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As such, the absence of foreign matter in the oil of the first space 11 enables to prolong the period in which the color and viscosity of the oil are changed, thereby reducing the generation of waste oil, as well as carbonizing material. The oil does not contain the effect of improving the fried taste will occur.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rovided. It belongs to the scope of the invention.

1 : 하우징 11 : 제1공간
12 : 제2공간 13 : 단열재
20 : 개폐밸브 30 : 물유입관
40 : 기름배출관 50 : 물배출관
60 : 가열수단 70 : 수위조절기
100 : 튀김망 200 : 컨트롤러
1 housing 11 first space
12: second space 13: heat insulating material
20: on-off valve 30: water inlet pipe
40: oil discharge pipe 50: water discharge pipe
60: heating means 70: water level regulator
100: fried net 200: controller

Claims (17)

상부가 개구되며 기름이 수용되는 제1공간 및 상기 제1공간의 하부와 연통되며 물이 수용되되 상기 제1공간과 연통되는 상부에 깔때기 형상의 유입부가 장착되고 하부에는 원뿔 형상으로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유출부가 장착되는 제2공간을 포함하는 챔버와;
상기 제1공간과 제2공간의 경계영역을 개폐하는 개폐밸브와;
상기 제2공간의 상부와 연통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유입시키기 위한 물유입관과;
상기 제1공간의 하부와 연통되어 이물질이 함유된 기름을 배출시키는 기름배출관과;
상기 제2공간의 하부에 형성된 유출부와 연통되어 수용된 물을 배출시키는 물배출관;
상기 제1공간 내에 배치되어 수용된 기름을 가열시키는 가열수단;
상기 제1공간의 하부에 수용된 기름을 순환시킴과 더불어 기름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기름여과부; 및
상기 제2공간에 수용된 물을 순환시킴과 더불어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물여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화물질의 분리 배출이 가능한 튀김 장치.
The first opening is opened and communicates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space and the oil is accommodated, the funnel-shaped inlet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space and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in the conical shape A chamber including a second space in which the formed outlet portion is mounted;
An opening / closing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a boundary area between the first space and the second space;
A water inflow pipe communicating with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space and for introducing water supplied from the outside;
An oil discharge pipe communicating with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space to discharge oil containing foreign substances;
A water discharge pipe communicating with the outlet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space to discharge the received water;
Heating means arranged to heat oil contained in the first space;
An oil filtration unit for circulating oil contain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space and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oil; And
And a water filtration unit for circulating the water accommodated in the second space and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wat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는
상기 제1공간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단열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화물질의 분리 배출이 가능한 튀김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hamber is
A frying apparatus capable of separating and discharging carbonized material, further comprising a heat insulator configured to surround the first spa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유입관과 연통되어 상기 제2공간으로 공급되는 물의 수위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수위조절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화물질의 분리 배출이 가능한 튀김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a water level controller communicating with the water inlet pipe to automatically adjust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upplied to the second spa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의 제1공간은
그 하부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단면적이 작아지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탄화물질의 분리 배출이 가능한 튀김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space of the chamber
A frying apparatus capable of separating and discharging carbonaceous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is relatively reduced toward the lower por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름여과부는
수용공간과;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 및 분리되며 일측에는 복수의 유입공이 형성된 통공판이 장착되고 상기 통공판에 의해 구획되는 일측 공간에는 여과재가 충진되되 상기 여과재를 감싸는 측면과 저면에는 복수의 유출공이 형성된 여과통과;
일측이 상기 제1공간의 하부와 연통되며 타측은 상기 수용공간을 관통하여 여과통의 상단에 연통되는 제1순환관과;
상기 제1순환관에 장착되며 상기 제1공간의 하부에 수용된 이물질을 포함한 기름을 흡입하여 상기 제1순환관을 통해 상기 여과통으로 유입시키기 위한 흡입펌프; 및
일측이 상기 기름배출관과 연통되며 타측은 상기 수용공간 하부에 연통되어 상기 여과재에 의해 여과되는 기름을 상기 기름배출관 및 상기 제1공간의 하부로 유입시키는 제2순환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화물질의 분리 배출이 가능한 튀김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oil filter unit
Receiving space;
A filter barrel inserted into and separated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and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inflow holes formed on one side thereof, and filled with a filter material in one side space defined by the through plate, and having a plurality of outflow holes formed on the side and bottom of the filter material;
A first circulation tube having one side communicating with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space and the other side passing through the accommodation space and communicating with an upper end of the filter barrel;
A suction pump mounted on the first circulation pipe and suctioning oil including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space and introducing the oil into the filter barrel through the first circulation pipe; And
One side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oil discharge pipe and the other side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receiving space comprising a second circulation pipe for introducing the oil filtered by the filter medium into the oil discharge pipe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space Frying device capable of separating and discharging vagina.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여과부는
수용공간과;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 및 분리되며 일측에는 복수의 유입공이 형성된 통공판이 장착되고 상기 통공판에 의해 구획되는 일측 공간에는 여과재가 충진되되 상기 여과재를 감싸는 측면과 저면에는 복수의 유출공이 형성된 여과통과;
상기 물배출관에 장착되며 상기 제2공간에 수용된 이물질을 포함한 물을 흡입하여 상기 여과통으로 유입시키기 위한 흡입펌프와;
일측이 상기 물배출관과 연통되며 타측은 상기 수용공간을 관통하여 여과통 상단에 연통되어 상기 흡입펌프에 의해 흡입되는 이물질을 포함한 물을 상기 여과통으로 유입시키는 제1순환관; 및
일측이 상기 물배출관의 상부와 연통되며 타측은 상기 수용공간 하부에 연통되어 상기 여과재에 의해 여과되는 물을 상기 제2공간의 상부로 유입시키는 제2순환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화물질의 분리 배출이 가능한 튀김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water filter part
Receiving space;
A filter barrel inserted into and separated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and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inflow holes formed on one side thereof, and filled with a filter material in one side space defined by the through plate, and having a plurality of outflow holes formed on the side and bottom of the filter material;
A suction pump mounted to the water discharge pipe and configured to suck water including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second space and to flow into the filter barrel;
A first circulation tube having one side communicating with the water discharge tube and the other side passing through the accommodation space and communicating with the upper part of the filter tube to introduce water including foreign substances sucked by the suction pump into the filter tube; And
One side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water discharge pipe and the other side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receiving spa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circulation pipe for introducing the water filtered by the filter medium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space Ejectable frying device.
제 7항 또는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통의 상단에는 상기 제1순환관이 삽입되어 연통하기 위한 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순환관을 상기 여과통의 삽입공으로부터 삽입 및 이격시킴과 더불어 상기 여과통을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탈, 부착시키기 위한 탈부착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화물질의 분리 배출이 가능한 튀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7 to 9,
An insertion hole for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circulation pipe is inserted into the upper end of the filter barrel is formed,
And a detachable means for inserting and separating the first circulation tube from the insertion hole of the filter barrel and detaching and attaching the filter tube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수단은
상기 여과통의 일측면에 장착되는 고정턱과;
상기 수용공간의 하부면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유동하도록 결합되며, 그 상부면에 상기 여과통이 안착되고 일측에는 안착된 여과통의 타측면을 가압하는 가압돌기가 형성되며, 타측의 내측면에는 상기 여과통의 고정턱을 감싸는 수용홈이 형성된 측판을 포함하는 안착부와;
상기 수용홈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여과통의 고정턱으로 탄성력을 부가하는 스프링과;
상기 수용홈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제1브라켓과;
상기 제1브라켓과 마주하는 수용공간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제2브라켓; 및
소정 각도로 절곡된 형태를 가지며 일측에는 유동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브라켓과 힌지 결합되고, 타측의 일부는 수용공간 외부로 노출되며 중심부는 상기 제2브라켓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여과통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유동시키기 위한 탈부착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화물질의 분리 배출이 가능한 튀김 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The detachable means is
A fixed jaw mounted on one side of the filter barrel;
Coupled to flow forward or back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receiving space, the upper surface is the filter is seated on one side is formed with a pressing projection for pressing the other side of the seated filter, the other side of the inner side of the filter A seating portion including a side plate having a receiving groove surrounding the fixed jaw;
A spring installed on the inner side of the receiving groove to add an elastic force to the fixing jaw of the filter barrel;
A first bracket coupl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A second bracket coupl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space facing the first bracket; And
It has a form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a flow groove is formed on one side is hinged to the first bracket, the other side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receiving space and the center is hinged to the second bracket is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A frying apparatus capable of separating and discharging carbonized material, comprising a detachable lever for flowing the filter barrel forward or backwar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단은
연소 가스를 제공하는 가스통과;
상기 가스통에서 공급되는 가스를 연소시키는 연소장치와;
일정 길이를 가지는 관 형상으로 상기 제1공간 내에 배치되며 상기 연소장치를 통해 연소되는 화력을 통과시켜 기름을 가열하는 가열관; 및
상기 가열관의 측면에 이격 설치되되 일측이 상기 가열관과 연통되어 가열관에서 방출되는 폐열이 순환되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이중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화물질의 분리 배출이 가능한 튀김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heating means
A gas cylinder for providing combustion gas;
A combustion device for burning the gas supplied from the gas cylinder;
A heating tube disposed in the first space in a tubular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heating oil by passing a thermal power combusted through the combustion apparatus; And
It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heating tube spaced apart one side of the frying apparatus capable of separating and discharging the carbonized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double tube in communication with the heating tube to circulate the waste heat discharged from the heating tube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관은 그 내측면을 따라 일정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구성된 복수의 측벽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화물질의 분리 배출이 가능한 튀김 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The heating tube is a frying apparatus capable of separating and discharging the carbonized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side walls configured to be inclined at an angle along the inner surface.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관은 그 내측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구성되는 방출판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화물질의 분리 배출이 가능한 튀김 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The heating tube is a frying apparatus capable of separating and discharging the carbonized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charge plate is formed in a spira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surfa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의 상부에 안착 및 분리되어 상기 제1공간 내로 유입되는 하나 이상의 튀김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화물질의 분리 배출이 가능한 튀김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frying apparatus capable of separating and discharging carbonized material,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frying net which is seated and separ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hamber and introduced into the first space.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튀김망의 안착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가열수단을 기설정된 시간과 온도로 작동시키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화물질의 분리 배출이 가능한 튀김 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And a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seating of the frying net, and further comprising a controller for operating the heating means at a predetermined time and temperature according to a detection signal of the detection sensor. Frying device.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공간과 제2공간에 각각 설치되는 온도센서와, 수동 조작과 설정을 위한 복수의 조작 버튼 및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온도값과 작동시간을 포함한 정보데이터를 표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화물질의 분리 배출이 가능한 튀김 장치.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controller is a display for displaying information data including a temperature sensor installed in the first space and the second space, a plurality of operation buttons for manual operation and setting, and a temperature value and an operating tim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Deep frying apparatus capable of separating and discharging the carbonized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KR1020110035121A 2011-04-15 2011-04-15 A fried equipment for separating carbonized material KR101084671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5121A KR101084671B1 (en) 2011-04-15 2011-04-15 A fried equipment for separating carbonized material
PCT/KR2011/003831 WO2012141374A1 (en) 2011-04-15 2011-05-25 Deep frying apparatus capable of separating and discharging carbonized mat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5121A KR101084671B1 (en) 2011-04-15 2011-04-15 A fried equipment for separating carbonized materi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4671B1 true KR101084671B1 (en) 2011-11-21

Family

ID=45397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5121A KR101084671B1 (en) 2011-04-15 2011-04-15 A fried equipment for separating carbonized material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84671B1 (en)
WO (1) WO2012141374A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1833B1 (en) * 2011-07-28 2012-12-12 신준호 Fryer
WO2013147362A1 (en) * 2012-03-29 2013-10-03 Kim Tae Sun Frying apparatus
KR101321437B1 (en) 2011-10-28 2013-10-28 주봉경 Frying apparatus using frying oil and water
KR101614892B1 (en) * 2015-01-08 2016-04-22 범일산업 주식회사 A heat exchanger having a thermal expansion and contraction function of the gas fryer
KR20160083751A (en) 2015-01-02 2016-07-12 한명수 Water and oil frier having cooling system having safety
WO2023042952A1 (en) * 2021-09-16 2023-03-23 (주)시스피아기연 Frying apparatus capable of removing retained sediment and circulating and replenishing filtered frying oi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91981B1 (en) * 2017-12-01 2021-10-13 Electrolux Professional S.p.A. Professional fryer
TWI815687B (en) * 2022-10-04 2023-09-11 康明湧 Improved water-cooled oil-water separation fry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62125U (en) * 1980-05-01 1981-12-02
KR200334947Y1 (en) * 2003-07-24 2003-12-01 김태선 Apparatus for heating and cooking food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3644B1 (en) * 1997-09-13 2000-02-01 좌병식 Fryer
KR20100123566A (en) * 2009-05-15 2010-11-24 박민영 Fryer system with filtering func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62125U (en) * 1980-05-01 1981-12-02
KR200334947Y1 (en) * 2003-07-24 2003-12-01 김태선 Apparatus for heating and cooking food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1833B1 (en) * 2011-07-28 2012-12-12 신준호 Fryer
KR101321437B1 (en) 2011-10-28 2013-10-28 주봉경 Frying apparatus using frying oil and water
WO2013147362A1 (en) * 2012-03-29 2013-10-03 Kim Tae Sun Frying apparatus
KR20160083751A (en) 2015-01-02 2016-07-12 한명수 Water and oil frier having cooling system having safety
KR101614892B1 (en) * 2015-01-08 2016-04-22 범일산업 주식회사 A heat exchanger having a thermal expansion and contraction function of the gas fryer
WO2023042952A1 (en) * 2021-09-16 2023-03-23 (주)시스피아기연 Frying apparatus capable of removing retained sediment and circulating and replenishing filtered frying oi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41374A1 (en) 2012-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4671B1 (en) A fried equipment for separating carbonized material
CN104093343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ep fryer
JP2011505880A (en) Low oil fryer with automatic filtration and top-off capability
KR101204232B1 (en) Well-Being Water and Oil Type Fryer Improved Efficiency and Lifespan of Frying Oil
US20090039004A1 (en) Automatic oil filtration and treatment with level control and system heating during filtration
KR20130069693A (en) Electric frying apparatus using microwave
EP0931492A1 (en) Fryer
KR101437002B1 (en) Fry appartus for removing residue by spouting fry oil
KR101072355B1 (en) A water and oil fryer
JP6072420B2 (en) Flyer
KR101217992B1 (en) Frying machine
KR102166998B1 (en) Fried cooking apparatus
KR101435494B1 (en) A Fried Equipment
CN114106930B (en) Animal fat grading device and method using superheated steam
US7698994B2 (en) Fryer filtration arrangement with boil-out bypass
KR101379444B1 (en) fryer for the family whom a frying pan function was imposed
KR20200000629A (en) Environmentally efficient, energy efficient feeding system due to energy conservation, prevention of oil leaks, and collection of chips
KR102419955B1 (en) Oil fryer equipped with a circulation system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and moisture
KR102081002B1 (en) Oil seperated type frying apparatus
JP2016073487A (en) Fryer
KR200324774Y1 (en) A Frying Unit Using Oil Filtering Function
KR20120134444A (en) Closed type fried equipment for separating carbonized material
CN219331400U (en) Volcanic stone barbecue oven with smoke abatement function
KR101384763B1 (en) Frying apparatus unnecessary cooling pipe for temperature control of oil
KR100817039B1 (en) Frying machine of cycling filt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