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4332B1 - 레귤레이터 - Google Patents

레귤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4332B1
KR101084332B1 KR1020080109105A KR20080109105A KR101084332B1 KR 101084332 B1 KR101084332 B1 KR 101084332B1 KR 1020080109105 A KR1020080109105 A KR 1020080109105A KR 20080109105 A KR20080109105 A KR 20080109105A KR 101084332 B1 KR101084332 B1 KR 1010843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er
ring
pin
fastening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9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0022A (ko
Inventor
이응삼
노진환
신광식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9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4332B1/ko
Publication of KR20100050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00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4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43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6Closures, e.g. cap, breakable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70Pressure relief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5/00Methods or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with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under pressures
    • F17C5/06Methods or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with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under pressures for filling with compressed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38Pressure regul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귤레이터의 입력 포트의 체결부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가스통(500)에 연결되어 가스통(500)의 가스가 유입되는 입력 포트(300)와, 상기 입력 포트(300)로부터 유입된 가스를 소정의 압력으로 변환하는 본체(100, 200)와, 상기 본체(100, 200)를 통과한 가스를 토출하는 출력 포트(600)를 구비하고, 상기 입력 포트(300)는, 가스통(500)의 헤더부(520)가 결합되는 체결부(320)와, 상기 헤더부(520)가 상기 체결부(320)에 결합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헤더부(520)가 상기 체결부(320)에 결합되면 상기 헤더부(520)의 핀(528)에 접촉하여 핀(528)을 가압하는 핀 가압부(360)를 구비하며, 상기 체결부(320)는, 상기 체결부(320)의 저면(340)에 형성되는 오목부(342)와, 상기 오목부(342)에 설치되어 상기 헤더부(520)가 상기 체결부(320)에 결합되면 상기 헤더부(520)의 상면(524)과 상기 체결부(320)의 저면(340) 사이를 밀봉하는 오링(400)을 구비하고, 상기 헤더부(520)가 상기 체결부(320)에 결합되어 상기 헤더부(520)의 상면(524)과 상기 오링(400)이 접촉하기 시작할 때, 상기 헤더부(520)의 핀(528)과 상기 핀 가압부(360)는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오목부(342)의 반경방향 길이(d4)가 상기 오링(400)의 반경방향 두께(r4)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귤레이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헤더부(520)가 체결부(320)에 결합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된 핀 가압부(360)가 체결부(320)에 설치되어 있어, 헤더부(520)가 체결부(320)에 결합되는 도중에 핀 가압부(360)가 헤더부(520)의 핀(528)에 접촉하여 핀(528)을 가압하므로, 별도로 핀(528)을 가압하여 헤더부(520)의 토출구를 개방할 필요가 없고 작업이 용이해진다.
레귤레이터, 핀 가압부, 오링

Description

레귤레이터{REGULATOR}
본 발명은 가스 공급원의 고압의 가스를 사용 압력으로 낮추어 저압의 가스를 사용 기기에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레귤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레귤레이터는 도시 가스나 LPG 가스 등의 연소 가스와, 공기나 탄산가스 등의 일반 기체의 압력을 제어하는 용도로 가정이나 산업에서 널리 쓰이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레귤레이터는 입력 포트, 본체, 및 출력 포트를 구비하고, 입력 포트에 가스통 등의 가스 공급원이 연결되어 고압의 가스가 유입되고, 이 유입된 고압의 가스는 본체에서 저압의 사용 압력으로 변환되며, 이 저압의 가스는 출력 포트를 통해 사용 기기에 공급된다. 본체에는 압력 조절부가 부착되어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압력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12a는 종래의 레귤레이터의 입력 포트(30)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가스통(500)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12a 및 도 3을 참조하면, 입력 포트(30)에는 가스통(500)의 헤더부(520)가 결합될 수 있는 체결부(2)가 설치되어 있고, 체결부(2)의 저면에는 오링(4)이 제공되어 있다. 오링(4)은 헤더부(520)를 체결부(2) 에 결합하여 가스를 공급할 때 헤더부(520)와 체결부(2) 사이의 밀봉을 유지하여 가스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가스통(500)의 헤더부(520)의 상면(524)에는 홈부(526)가 형성되어 있고 홈부(526)의 중앙에 핀(528)이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어, 핀(528)을 누르면 핀(528) 둘레의 홈부(526)의 토출구가 개방되어 가스가 방출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가스통(500)의 자세한 구성은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따라서, 레귤레이터를 사용하여 가스통(500)의 가스를 사용 기기에 공급하고자 할때에는, 가스통(500)의 헤더부(520)를 레귤레이터의 체결부(2)에 결합하여 헤더부(520)와 체결부(2) 사이를 밀봉하고, 그 다음 헤더부(520)의 핀(528)을 눌러서 가스가 레귤레이터에 유입되게 한다.
한편, 도 12b는 종래의 레귤레이터의 체결부(2)에 사용되는 오링(4)을 도시한 것이다. 오링(4)의 반경방향 두께 r은 가스통(500)의 헤더부(520)의 상면(524)의 두께 s2와 거의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오링(4)과 헤더부(520)의 상면(524)이 맞물리게 되어 있다. 또한, 오링(4)의 외경 r0은 레귤레이터의 체결부(2)의 내경 c2보다 작게 형성되어, 오링(4)을 체결부(2)에 용이하게 삽입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레귤레이터를 사용하는 때에는 가스통(500)의 헤더부(520)를 레귤레이터의 체결부(2)에 결합하고 헤더부(520)와 체결부(2) 사이를 밀봉시키는 작업과, 헤더부(520)의 핀(528)을 눌러서 레귤레이터로 가스를 유입시키 는 작업이 별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자가 실수로 헤더부(520)와 체결부(2) 사이를 완전히 밀봉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헤더부(520)의 핀(528)을 누르면 가스가 외부로 누출되는 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있다.
또한, 오링(4)의 반경방향 두께가 오링(4)에 접촉되는 헤더부(520)의 상면(524)의 두께와 거의 동일하므로, 오링(4)이 체결부(2) 내에 정확하게 위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헤더부(520)를 체결부(2)에 결합하면 오링(4)과 헤더부(520)가 제대로 맞물리지 않아 완전한 밀봉이 이루어지지 않을 염려가 있다.
또한, 오링(4)의 외경이 체결부(2)의 내경보다 작으므로, 헤더부(520)를 체결부(2)에 장착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오링(4)이 체결부(2)의 외부로 빠져나가 분실될 염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고안된 것으로, 가스통의 헤더부를 레귤레이터의 체결부에 밀봉시키는 작업과 헤더부의 핀을 눌러서 레귤레이터로 가스를 유입시키는 작업을 하나로 통합하여 작업을 용이하고 간편하게 할 뿐만 아니라, 헤더부를 체결부에 결합할때 헤더부와 체결부 사이를 먼저 밀봉시키고 그 후에 헤더부의 핀을 눌러 가스를 배출하게 함으로써 외부로 가스 유출의 염려가 없는 안전한 레귤레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헤더부를 체결부에 장착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체결부에 삽입된 오링이 외부로 빠져나가 분실되지 않는 오링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따르면, 가스통에 연결되어 가스통의 가스가 유입되는 입력 포트와, 상기 입력 포트로부터 유입된 가스를 소정의 압력으로 변환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를 통과한 가스를 토출하는 출력 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입력 포트는, 가스통의 헤더부가 결합되는 체결부와, 상기 헤더부가 상기 체결부에 결합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헤더부가 상기 체결부에 결합되면 상기 헤더부의 핀에 접촉하여 핀을 가압하는 핀 가압부를 구비하며, 상기 체결부는, 상기 체결부의 저면에 형성되는 오목부와, 상기 오목부에 설치되어 상기 헤더부가 상기 체결부에 결합되면 상기 헤더부의 상면과 상기 체결부의 저면 사이를 밀봉하는 오링을 구비하고, 상기 헤더부가 상기 체결부에 결합되어 상기 헤더부의 상면과 상기 오링이 접촉하기 시작할 때, 상기 헤더부의 핀과 상기 핀 가압부는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오목부의 반경방향 길이가 상기 오링의 반경방향 두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귤레이터가 제공된다.
삭제
본 발명의 제3 특징에 따르면, 상기 오목부의 깊이가 d1이고, 상기 오링의 길이방향 두께가 r1이고, 상기 체결부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핀 가압부의 높이가 h1이고, 상기 헤더부의 핀과 상면의 높이 차가 s1 일때, d1 < r1 및 r1 - d1 > h1 - s1 을 만족한다.
본 발명의 제4 특징에 따르면, 상기 오링은 내측부의 길이방향 두께가 외측부의 길이방향 두께보다 크게 단차진 형상이다.
삭제
본 발명의 제6 특징에 따르면, 상기 오링의 반경방향 두께가 상기 헤더부의 상면의 반경방향 두께보다 크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7 특징에 따르면, 상기 체결부의 내벽에는 상기 헤더부의 외벽에 형성된 나사부에 나사 결합될 수 있는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링의 외경은 나사부가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상기 체결부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8 특징에 따르면, 상기 오목부의 저면에 상기 오링이 접촉되는 부분을 따라 돌기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9 특징에 따르면, 상기 오링의 저면의 외주에는, 상기 헤더부의 상면이 상기 오링에 접촉한 때에 상기 헤더부의 외벽을 둘러싸는 돌출부가 형성된다.
삭제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따르면, 헤더부가 체결부에 결합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된 핀 가압부가 체결부에 설치되어 있어, 헤더부가 체결부에 결합되는 도중에 핀 가압부가 헤더부의 핀에 접촉하여 핀을 가압하므로, 별도로 핀을 가압하여 헤더부의 토출구를 개방할 필요가 없고 작업이 용이해진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따르면, 핀 가압부가 헤더부의 핀에 접촉하여 핀을 가압하기 전에, 헤더부의 상면과 오링이 접촉하여 헤더부와 체결부 사이에 밀봉이 이루어지므로, 가스가 외부로 누출될 염려가 없다. 즉, 헤더부가 체결부에 결합되는 도중에, 헤더부의 상면과 오링이 접촉하여 헤더부와 체결부 사이에 밀봉이 이루어지고, 헤더부가 체결부에 더 결합되면, 핀 가압부가 헤더부의 핀을 가압하기 시작하여 헤더부의 토출구가 개방되고 가스가 배출되므로, 작업자는 가스 누출의 염려 없이 단순히 헤더부를 체결부에 체결하기만 하면 된다.
본 발명의 제3 특징에 따르면, 오링의 길이방향 두께가 체결부 저면에 형성된 오목부의 깊이보다 크므로, 오링이 체결부 저면으로부터 돌출되게 삽입되고, 그 돌출된 높이는 핀 가압부가 체결부 저면으로부터 돌출된 높이에서 핀이 헤더부의 상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들어간 깊이를 뺀 값보다 크기 때문에, 핀 가압부가 헤더부의 핀에 접촉하기 전에, 헤더부의 상면과 오링이 접촉하는 것을 확실히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특징에 따르면, 오링이 계단형상으로 단차져 있기 때문에, 유로가 복잡해져 밀봉이 보다 확실히 행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특징에 따르면, 오목부의 반경방향 폭이 오링의 반경방향 두께보다 크기 때문에, 오링이 길이방향으로 압축되어 반경방향으로 체적팽창하는 것을 수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특징에 따르면, 오링의 반경방향 두께가 헤더부의 상면의 반경방향 두께보다 크기 때문에, 헤더부가 체결부에 결합될때 오링이 오목부 내에 정확하게 위치해 있지 않더라도 오링은 헤더부의 상면을 확실하게 밀봉한다.
본 발명의 제7 특징에 따르면, 헤더부가 체결부에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오링이 오목부로부터 이탈하여도 오링은 체결부의 내벽의 나사부에 걸려서 외부로 유실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8 특징에 따르면, 오목부의 저면에 형성된 돌기와 오링이 확실하게 맞물려 오링과 오목부 사이의 밀봉이 확실하게 행해진다.
본 발명의 제9 특징에 따르면, 헤더부가 체결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오링의 돌출부가 헤더부의 외주를 둘러싸므로 오링과 헤더부 사이의 밀봉이 확실하게 행해진다.
본 발명의 제10 특징에 따르면, 오링이 관 내의 제 위치에서 이탈하여도 오 링은 관 내벽에 형성된 나사부에 걸려서 외부로 유실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귤레이터(10)의 종단면도로서, 가스 유로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2는 가스 유로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레귤레이터(10)는 하우징(100)과 개폐부(200)를 구비한다. 하우징(100)은 몸체부(120)와 덮개부(140)를 구비한다. 몸체부(120)의 좌측 외벽 및 덮개부(140)의 우측 내벽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몸체부(120)와 덮개부(140)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몸체부(120)에는 입력 포트(300)와 출력 포트(600)가 돌출되어 제공된다. 입력 포트(300)는 예를 들어, 탄산가스의 가스통에 연결되고, 출력 포트(600)는 예를 들어, 탄산수 제조장치에 연결된다. 탄산수 제조장치는 출력 포트(600)로부터의 탄산가스를 물에 도입하여 탄산수를 만든다. 몸체부(120) 내에는 입력 포트(300)로부터 출력 포트(600)까지 가스가 유동하도록 제공되는 가스 유로(180)가 형성된다. 레귤레이터(10)는 유입되는 고압의 가스를 소정의 저압의 일정한 압력으로 변환하여 탄산수 제조장치 등으로 공급한다.
가스 유로(180)는 유입 라인(182), 유출 라인(184), 및 버퍼 공간(186)을 가진다. 몸체부(120)의 좌측부와 덮개부(140)의 우측부에는 각각 내측으로 함입된 공간들이 제공되고, 몸체부(120)와 덮개부(140)의 결합에 의해 이 공간들은 버퍼 공간(186)을 형성한다. 유입 라인(182)은 입력 포트(300)로부터 몸체부(120)의 내 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일정거리 연장하는 입력 포트 연장부(182a)와 그 말단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하여 버퍼 공간(186)과 연결되는 수직부(182b)를 가진다. 유출 라인(184)은 출력 포트(600)로부터 몸체부(120)의 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일정거리 연장하는 출력 포트 연장부(184a)와 그 말단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하여 버퍼 공간(186)과 연결되는 수직부(184b)를 가진다. 유입 라인의 수직부(182b)는 버퍼 공간(186)의 중앙에 연결되고, 유출 라인의 수직부(184b)는 버퍼 공간(186)의 저면 가장자리에 연결된다. 유입 라인의 수직부(182b)의 좌측 말단에는 내측으로 돌출한 내연부(190)에 의해 통공(188)이 형성된다.
몸체부(120) 내의 가스 유로(180)는 개폐부(200)에 의해 개폐된다. 개폐부(200)는 차단 부재(220), 탄성 부재(240), 및 가압 부재(260)를 구비한다. 차단 부재(220)는 지지부(222), 돌출부(224), 및 선단부(226)를 가진다. 지지부(222)의 일단은 유입 라인의 수직부(182b)의 우측 말단에 설치된 고정 돌기(270)의 홈(272) 내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지지부(222)의 타단에는 몸통부가 형성된다. 돌출부(224)는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통공(188)을 개폐하는 것으로, 지지부(222)측 부분의 횡단면이 통공(188)의 면적보다 넓게 형성되고, 선단부(226)측 부분의 횡단면이 통공(188)의 면적보다 좁게 형성되는 원추형상을 가진다. 선단부(226)는 지지부(222)가 형성된 돌출부(224)의 반대측에 형성된다. 지지부(222)와 돌출부(224)는 유입 라인의 수직부(182b)에 유지되고, 선단부(226)는 버퍼 공간(186)에 유지되도록 설치된다.
지지부(222)에는 탄성 부재(240)가 제공된다. 탄성 부재(240)로는 스프링이 사용되며, 스프링(240)의 일단은 돌출부(224)의 바닥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고정 돌기(270)의 상부면에 고정된다. 스프링(240)은 일정 압력 압축된 상태로 설치되어 외부에서 힘이 가해지지 않을 때 돌출부(224)의 일부가 통공(188) 내에 삽입되어 통공(188)을 폐쇄한다.
가압 부재(260)는 가압 블럭(261), 다이어프램(262), 부하 스프링(263), 콘 와셔(264), 및 압력 조절부(265)를 가진다. 가압 블럭(261)은 버퍼 공간(186) 내 좌측부에 배치되며, 버퍼 공간(186)의 내경과 유사한 외경을 갖는다. 가압 블럭(261)의 둘레에는 홈이 형성되고, 홈 내에는 오링(267)이 삽입된다. 가압 블럭(261)은 오링(267)을 통해 버퍼 공간(186)을 밀봉하면서 좌우로 이동 가능하다. 가압 블럭(261)과 차단 부재(220)의 선단부(226) 사이에는 다이어프램(262)이 제공되고, 다이어프램(262)의 가장자리에는 링 형상의 고정구(270)가 설치되어 다이어프램(262)을 버퍼 공간(186) 내에 고정시킨다. 가압 블럭(261)이 우측으로 이동하면, 가압 블럭(261)은 다이어프램(262)을 중간 매개로 하여 차단 부재(220)의 선단부(226)를 누르고 이로 인해 통공(188)이 개방된다.
덮개부(140) 내에는 버퍼 공간(186)보다 작은 횡단면을 가지는 좌측 공간이 버퍼 공간(186)으로부터 좌측으로 연장되어 제공된다. 좌측 공간 내에는 콘 와셔(264)와 부하 스프링(263)이 설치된다. 콘 와셔(264)는 좌측 공간 내의 좌측에 배치되고, 부하 스프링(263)은 콘 와셔(264)와 가압 블럭(261) 사이에 배치된다. 덮개부(140)의 좌측에는 덮개부(140)를 관통하며 내측벽에 나사부가 형성된 조절홈(148)이 형성되고, 조절홈(148)에는 압력 조절부(265)가 삽입된다. 압력 조절 부(265)는 누름부(265a), 로드부(265b), 및 손잡이부(265c)를 가진다. 누름부(265a)는 좌측 공간 내에 위치되고 말단이 콘 형상을 가지며 와셔(264)를 누른다. 로드부(265b)는 누름부(265a)로부터 좌측으로 연장되며 조절홈(148)에 삽입된다. 로드부(265b)의 외벽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조절홈(148)과 체결된다. 손잡이부(265c)는 로드부(265b)의 단부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로드부(265b)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손잡이부(265c)의 회전에 의해 가압 블럭(261)이 좌우로 이동된다.
도 2에서 화살표는 가스 유로(180)가 개방된 상태에서 가스의 이동경로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다이어프램(262)이 가압 블럭(261)에 의해 눌려지면, 다이어프램(262)은 차단 부재(220)의 선단부(226)에 접촉되고, 차단 부재(220)는 우측으로 이동하여 통공(188)이 개방된다. 가스통으로부터 레귤레이터(10)로 유입된 가스는 유입 라인(182), 통공(188), 버퍼 공간(186), 및 유출 라인(184)을 통해 순차적으로 흐르면서 압력 및 유량이 조절된 후 탄산수 제조장치 등으로 공급된다.
다음으로, 레귤레이터(10)의 입력 포트(300)와 가스통의 결합 구조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가스의 공급에 사용되는 통상적인 가스통(500)을 도시한 것이고, 도 4a 및 도 4b는 가스통(500)의 헤더부(520)를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가스통(500)은 긴 원통형의 형상이며, 일단에 헤더부(520)가 설치되어 있다. 헤더부(520)의 외벽에는 레귤레이터(10)의 입력 포트(300)의 체결부(320)의 내벽의 나사부(380)에 나사 결합될 수 있는 나사부(522)가 형성되어 있어, 가스통(500)이 레귤레이터(10)에 안정적으로 고정되게 한다. 헤더부(520)의 상면(524)에는 횡단면이 원형인 홈부(526)가 형성되고, 홈부(526)의 중심에는 핀(528)이 상하 이동가능하게 제공된다. 도 4a를 참조하면, 핀(528)은 헤더부(520)의 상면(524)보다 깊이 s1만큼 낮게 설치되어 있다. 이는 핀(528)이 실수로 눌려져서 가스통(500)의 가스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면(524)의 두께는 s2로 형성된다. 도 4b는 핀(528)을 누른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핀(528)을 누르면 핀(528)이 하방으로 이동하여 홈부(526)의 저면의 토출구가 개방되고 가스통(500) 내의 가스가 외부로 배출된다. 화살표는 홈부(526)의 토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가스의 이동 경로를 보여준다. 핀(528)을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핀(528)은 스프링 등의 탄성 부재에 의해 상방으로 원상복귀하여 홈부(526)의 토출구가 폐쇄된다.
도 5는 레귤레이터(10)의 입력 포트(300)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입력 포트(300)의 말단에는 가스통(500)의 헤더부(520)가 결합되는 체결부(320)가 형성되어 있다. 체결부(320)의 내벽에는 나사부(380)가 형성되어 가스통(500)의 헤더부(520)의 외벽에 형성된 나사부(522)가 나사 결합될 수 있게 구성된다. 이때, 나사부(380)를 포함한 체결부(320)의 내경은 c1이고, 나사부(380)를 제외한 체결부(320)의 내경은 c2이다. 한편, 체결부(320)의 저면(340)에는 오링(400)이 삽입될 수 있는 고리형상의 오목부(342)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342)는 후술하는 계단형의 오링(400)이 끼워질 수 있도록 2단으로 단차져 있다. 오목 부의 내측부의 깊이 d1이 외측부의 깊이 d2보다 크며, 오목부의 내측부의 반경방향 길이가 d3이고, 외측부의 반경방향 길이가 d4로 형성된다. 또한, 입력 포트(300)의 말단 근방에는 핀 가압부(360)가 설치된다. 핀 가압부(360)는 입력 포트(300)의 횡단면 중심에서 가스통(500)이 결합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연장하는 가압 로드(362)를 구비하고, 이 가압 로드(362)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지지부(364)에 의해 유지된다. 가압 로드(362)는 체결부(320)의 저면(340)을 기준으로 높이 h1만큼 돌출되게 설치된다.
도 6은 체결부(320)의 저면(340)의 오목부(342)에 끼워지는 오링(400)을 도시한다. 오링은 합성고무 등의 탄성 재료로 구성된다. 오링(400)은 횡단면이 원형이며, 종단면이 2단의 계단형인 형상을 갖는다. 오링(400)의 내측부의 길이방향 두께 r1이 외측부의 길이방향 두께 r2보다 크며, 오링(400)의 내측부의 반경방향 두께가 r3이고, 외측부의 반경방향 두께가 r4로 형성된다. 오링(400)의 외경은 r5이다.
전술한 구성요소의 치수 관계는 다음과 같다.
d1 < r1 ...(1)
d1 - d2 < r1 - r2 ...(2)
d3 > r3 ...(3)
d4 > r4 ...(4)
r1 - d1 > h1 - s1 ...(5)
r4 > s2 ...(6)
r5 > c2 ...(7)
도 7은 오링(400)을 체결부(320)의 저면(340)의 오목부(342)에 삽입한 상태를 도시한다. 오링(400)이 오목부(342)에 삽입된 상태에서, 식 (1)은 d1 < r1 이므로 오링은 t1 (= r1 - d1) 만큼 체결부(320)의 저면(340)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돌출된다. 식 (2)에서 d1 - d2 < r1 - r2 이므로 t2 (= (r1 - r2)- (d1 - d2)) 만큼 오링(400)과 오목부(342) 사이에 길이방향의 간극이 존재한다. 식 (3)에서 d3 > r3 이므로 t3 (= d3 - r3) 만큼 오링(400)과 오목부(342) 사이에 반경방향의 간극이 존재한다. 식 (4)에서 d4 > r4 이므로 t4 (= d4 - r4) 만큼 오링(400)과 오목부(342) 사이에 반경방향의 간극이 존재한다. 즉, 오링(400)은 전체적으로 오목부(342)보다 길이방향으로 크고 반경방향으로 작게 형성되어, 오링(400)을 오목부(342)에 삽입하면 길이방향으로는 돌출되고 반경방향으로는 간극이 생긴다.
도 8a는 가스통(500)의 헤더부(520)를 레귤레이터(10)의 체결부(320)에 나사 결합하여, 헤더부(520)의 상면(524)이 오목부(342)에 삽입된 오링(400)의 저면에 맞닿아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8a를 참조하면, 식 (5)은 t1 (= r1 - d1 ) > h1 - s1 이므로, 가스통(500)의 핀(528)이 핀 가압부(360)에 닿기 전에 헤더부(520)의 상면(524)이 오링(400)의 저면에 먼저 닿고 헤더부(520)의 상면(524)과 오링(400) 사이에 밀봉이 시작된다. 도 8b는 가스통(500)의 헤더부(520)를 레귤레이터(10)의 체결부(320)에 더 체결하여, 핀 가압부(360)가 가스통(500)의 핀(528)에 맞닿아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오링(400)은 헤더부(520)의 압력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수축하고 반경방향으로 확장하며, 오링(400)과 오목부(342) 사이의 간극 t2, t3, t4가 이 변형 체적을 수용한다. 오링(400)의 변형이 이루어지면서 헤더부(520)의 상면(524)과 오링(400) 사이에 밀봉이 더욱 확실해지고, 그 다음 헤더부(520)의 핀(528)이 핀 가압부(360)에 닿는다. 도 8c는 가스통(500)의 헤더부(520)를 레귤레이터(10)의 체결부(320)에 완전히 체결하여, 핀 가압부(360)가 가스통(500)의 핀(528)을 눌러 가스통(500)의 홈부의 토출구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8c를 참조하면, 오링(400)과 오목부(342) 사이의 간극 t2, t3, t4가 오링(400)의 변형 체적을 완전히 수용하고, 헤더부(520)의 상면(524)과 오링(400) 사이의 밀봉이 더욱 확실해진 상태에서, 가스통(500)의 홈부의 토출구가 개방되고 가스통(500)의 가스가 레귤레이터(10)의 입력 포트(300)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가스통 결합 구조에 따르면, 단순히 가스통(500)의 헤더부(520)를 레귤레이터(10)의 체결부(320)에 결합하기만 하면, 먼저 밀봉이 이루어지고 그 후 가스통(500)의 가스가 레귤레이터(10)에 유입되므로, 편리하고 안전하게 가스가 공급된다.
가스의 공급이 이루어진 후 가스통(500)을 제거할 때에도, 단순히 가스통(500)의 헤더부(520)를 레귤레이터(10)의 체결부(320)로부터 결합 해제하면, 핀 가압부(360)와 핀(528)의 접촉이 먼저 해제되어 가스의 공급이 차단된 후, 헤더부(520)의 상면(524)과 오링(400) 사이의 밀봉이 해제되므로, 편리하고 안전하게 가스통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식 (6)에서 r4 > s2 이므로, 오링(400)의 저면이 헤더부(520)의 상면(524)보다 넓다. 따라서, 오링(400)과 오목부(342) 사이의 반경방향의 간극 t3, t4로 인해 오링(400)이 약간 치우쳐 놓여진 상태에서 가스통(500)을 체결하는 경우라도, 오링(400)과 헤더부(520)의 상면(524)이 확실히 접촉하여 밀봉이 이루어진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 (7)에서 r5 > c2 이므로 오링(400)의 외경이 나사부(380)를 제외한 체결부(320)의 내경보다 크다. 따라서, 헤더부(520)가 체결부(320)에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오목부(342)에 삽입된 오링(400)이 오목부(342)에서 이탈하더라도 체결부(320)의 나사부(380)에 걸리므로 외부로 유출되어 분실되는 위험이 없다. 오링(400)을 오목부(342)에 삽입하거나 제거할 때에는 손이나 집게로 오링(400)을 접어서 삽입 또는 제거하면 된다. 도 7 및 도 8a 내지 도 8c에서는, 오링(400)의 외경이 나사부(380)를 제외한 체결부(320)의 내경보다 작은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여기서도 오링(400)의 외경이 나사부(380)를 제외한 체결부(320)의 내경보다 크도록 오링(400)을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0은 오링(400)이 삽입되는 오목부(342)의 저면에 끝이 뾰족한 돌기(344)를 설치한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돌기(344)는 오링(400)이 접촉하는 부분을 따라 오목부(342)의 저면에 원형으로 형성된다. 오링(400)이 돌기(344)의 뽀족한 끝에 접함으로써 오링(400)과 오목부(342) 사이의 밀봉이 더욱 확실히 이루어진다.
도 11은 다른 형태의 오링(400)이 오목부(342)에 삽입되어 밀봉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 오링(400)의 외부 둘레에는 돌출부(420)가 형성되어 있고, 이 돌출부(420)는 헤더부(520)의 외주를 완전히 둘러싸므로 밀봉이 더욱 확실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귤레이터의 단면도로서, 가스 유로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귤레이터의 단면도로서, 가스 유로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귤레이터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통상의 가스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가스통의 헤더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귤레이터의 체결부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링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링을 레귤레이터의 체결부에 삽입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가스통의 헤더부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귤레이터의 체결부에 결합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귤레이터의 체결부와 오링의 반경방향 크기를 비교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귤레이터의 체결부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링이 레귤레이터의 체결부에 삽입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2a는 종래의 레귤레이터의 체결부의 단면도이고, 도 12b는 종래의 레귤 레이터의 체결부에 삽입되는 오링을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레귤레이터 100 하우징
200 개폐부 300 입력 포트
320 체결부 340 체결부의 저면
342 오목부 360 핀 가압부
362 가압 로드 364 지지부
380 체결부의 나사부 400 오링
500 가스통 520 가스통의 헤더부
522 헤더부의 나사부 524 헤더부의 상면
526 홈부 528 핀

Claims (10)

  1. 가스통(500)에 연결되어 가스통(500)의 가스가 유입되는 입력 포트(300)와,
    상기 입력 포트(300)로부터 유입된 가스를 소정의 압력으로 변환하는 본체(100, 200)와,
    상기 본체(100, 200)를 통과한 가스를 토출하는 출력 포트(600)를 구비하고,
    상기 입력 포트(300)는, 가스통(500)의 헤더부(520)가 결합되는 체결부(320)와, 상기 헤더부(520)가 상기 체결부(320)에 결합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헤더부(520)가 상기 체결부(320)에 결합되면 상기 헤더부(520)의 핀(528)에 접촉하여 핀(528)을 가압하는 핀 가압부(360)를 구비하며,
    상기 체결부(320)는, 상기 체결부(320)의 저면(340)에 형성되는 오목부(342)와, 상기 오목부(342)에 설치되어 상기 헤더부(520)가 상기 체결부(320)에 결합되면 상기 헤더부(520)의 상면(524)과 상기 체결부(320)의 저면(340) 사이를 밀봉하는 오링(400)을 구비하고, 상기 헤더부(520)가 상기 체결부(320)에 결합되어 상기 헤더부(520)의 상면(524)과 상기 오링(400)이 접촉하기 시작할 때, 상기 헤더부(520)의 핀(528)과 상기 핀 가압부(360)는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오목부(342)의 반경방향 길이(d4)가 상기 오링(400)의 반경방향 두께(r4)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귤레이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342)의 깊이가 d1이고, 상기 오링(400)의 길이방향 두께가 r1이고, 상기 체결부(320)의 저면(340)으로부터 상기 핀 가압부(360)의 높이가 h1이고, 상기 헤더부(520)의 핀(528)과 상면(524)의 높이 차가 s1일때,
    d1 < r1, 및
    r1 - d1 > h1 - s1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귤레이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링(400)은 내측부의 길이방향 두께(r1)가 외측부의 길이방향 두께(r2)보다 크게 단차진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귤레이터.
  5. 삭제
  6. 청구항 1, 청구항 3 및,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링(400)의 반경방향 두께(r4)가 상기 헤더부(520)의 상면(524)의 반경방향 두께(s2)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귤레이터.
  7. 청구항 1, 청구항 3 및,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320)의 내벽에는 상기 헤더부(520)의 외벽에 형성된 나사부(522)에 나사 결합될 수 있는 나사부(380)가 형성되고,
    상기 오링(400)의 외경은 나사부(380)가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상기 체결부(320)의 내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귤레이터.
  8. 청구항 1, 청구항 3 및,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342)의 저면에 상기 오링(400)이 접촉되는 부분을 따라 돌기(34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귤레이터.
  9. 청구항 1, 청구항 3 및,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링(400)의 저면의 외주에는, 상기 헤더부(520)의 상면(524)이 상기 오링(400)에 접촉한 때에 상기 헤더부(520)의 외벽을 둘러싸는 돌출부(42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귤레이터.
  10. 삭제
KR1020080109105A 2008-11-04 2008-11-04 레귤레이터 KR1010843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9105A KR101084332B1 (ko) 2008-11-04 2008-11-04 레귤레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9105A KR101084332B1 (ko) 2008-11-04 2008-11-04 레귤레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0022A KR20100050022A (ko) 2010-05-13
KR101084332B1 true KR101084332B1 (ko) 2011-11-17

Family

ID=42276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9105A KR101084332B1 (ko) 2008-11-04 2008-11-04 레귤레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433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7805B1 (ko) 2014-07-11 2015-11-11 (주) 에타 고압가스용기 결합용 감압밸브
KR20150130165A (ko) * 2014-05-13 2015-11-23 (주) 에타 고압가스용기 결합용 감압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2225U (ja) 1994-03-22 1994-09-20 株式会社ジャレコ 炭酸ガスレギュレー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2225U (ja) 1994-03-22 1994-09-20 株式会社ジャレコ 炭酸ガスレギュレータ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0165A (ko) * 2014-05-13 2015-11-23 (주) 에타 고압가스용기 결합용 감압장치
KR101587052B1 (ko) * 2014-05-13 2016-01-20 (주)에타 고압가스용기 결합용 감압장치
KR101567805B1 (ko) 2014-07-11 2015-11-11 (주) 에타 고압가스용기 결합용 감압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0022A (ko) 2010-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10812B2 (en) Multi-stage pressure regulator and method for fluid pressure regulation
KR102025143B1 (ko) 밸브
KR101084332B1 (ko) 레귤레이터
JP2019505746A (ja) 安全バルブ
CN1620326B (zh) 阀部件
KR101838644B1 (ko) 압축 유체를 수용하는 용기용 측정 캡 및 이 캡을 구비한 용기
US2708588A (en) Valved test plug
US7469714B2 (en) Valve, especially a gas safety valve
KR102342606B1 (ko) 감압밸브
JP6279411B2 (ja) 差圧式容器弁
JP7458019B2 (ja) 開閉弁装置
CA2974469C (en) Pressure control system
KR20100083502A (ko) 레귤레이터
KR102108100B1 (ko) 고압 가스 개폐 밸브
KR102223955B1 (ko) 고압 가스 밸브
KR102643784B1 (ko) 체크밸브타입형 고압니들밸브용 밸브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고압니들밸브
KR100656991B1 (ko) 내압측정용 병마개
JP4844713B2 (ja) 圧縮空気供給装置
KR200480641Y1 (ko) 개폐밸브
KR102630402B1 (ko) 체크밸브타입형 고압니들밸브
JP2019105569A (ja) 漏水検知装置
KR101622129B1 (ko) 충진밸브 어셈블리
KR102391620B1 (ko) 엘피지 용기밸브
KR101874601B1 (ko) 휴대형 누기 시험기구
CN211145373U (zh) 可调节流量温控阀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