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3847B1 - 연속흐름반응법을 이용한 태양전지용 CdTe 박막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연속흐름반응법을 이용한 태양전지용 CdTe 박막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3847B1
KR101083847B1 KR1020090107656A KR20090107656A KR101083847B1 KR 101083847 B1 KR101083847 B1 KR 101083847B1 KR 1020090107656 A KR1020090107656 A KR 1020090107656A KR 20090107656 A KR20090107656 A KR 20090107656A KR 101083847 B1 KR101083847 B1 KR 1010838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n film
cdte
substrate
continuous flow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7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1014A (ko
Inventor
류시옥
배은진
김채린
Original Assignee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107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3847B1/ko
Publication of KR20110051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10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3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38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445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including thin film solar cells, e.g. single thin film a-Si, CIS or CdTe so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6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characterised by potential barriers
    • H01L31/072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characterised by potential barriers the potential barriers being only of the PN heterojunction type
    • H01L31/073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characterised by potential barriers the potential barriers being only of the PN heterojunction type comprising only AIIBVI compound semiconductors, e.g. CdS/CdTe solar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3Solar cells from Group II-VI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al Vapour Deposition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속흐름반응법(CFR)을 이용한 태양전지용 CdTe 박막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i) 소듐 텔루라이트 및 하이드라진 수화물로 이루어진 제1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ii) 염화카드뮴 수화물 및 염화암모늄로 이루어진 제2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iii) 제1용액 및 제2용액을 혼합한 후, 혼합물을 기판 상에 증착시키는 단계; 및 (iv) 증착된 박막을 질소 분위기 하에서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연속흐름반응법을 이용한 태양전지용 CdTe 박막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연속흐름반응법, CFR, CdTe, 태양전지

Description

연속흐름반응법을 이용한 태양전지용 CdTe 박막의 제조방법{Preparation method of cadmium telluride thin film for solar cell using continuous flow reaction process}
본 발명은 연속흐름반응법(CFR)을 이용하여 CdTe 박막을 기판에 증착시킴으로써 고가의 장비나 복잡한 진공 시스템을 필요로 하지 않아 저비용으로 CdTe 박막을 형성할 수 있는 태양전지용 CdTe 박막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박막 태양전지는 결정성 실리콘계 태양전지와 비교하면 안전한 모드로 성능을 발휘하며, 공정비가 낮고, 다양한 기판에서 넓은 면적으로 증착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지닌다.
카드뮴 텔루라이드(CdTe) 박막은 태양전지 적용을 위한 II-VI형 2성분 화합물 패밀리에서 가장 유망한 후보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CdTe는 이의 독특한 물리적, 광학적 및 전자적 특성으로 인해 좋은 광흡수 다결정성 반도체 소재로서 고려되고 있다.
CdTe의 직접 밴드갭은 약 1.4-1.5eV로서, 이 값은 태양전지의 이론적 최적 변환 효율(~31%)에 근접하는 값이다. 지구상 태양 스펙트럼 범위에서 CdTe의 흡수 계수는 약 10-5 cm-1로서, 박막 태양전지를 제작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CdTe의 다결정성 박막 형성과 관련하여, 지금까지 증발법, 근접승화법, 전착, 스퍼터링, 금속-유기화합물 진공증착, 스크린 프린팅 및 분무열분해 등과 같은 여러가지 방법들이 보고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비싼 진공 시스템 및 고온 조건의 필요로 인하여 고가의 생산비가 드는 문제가 있다.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연속흐름반응법을 이용하여 CdTe 박막을 기판에 증착시킴으로써 고가의 장비나 복잡한 진공 시스템을 필요로 하지 않아 저비용으로 CdTe 박막을 형성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연속흐름반응법을 이용한 태양전지용 CdTe 박막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i) 소듐 텔루라이트 및 하이드라진 수화물로 이루어진 제1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ii) 염화카드뮴 수화물 및 염화암모늄로 이루어진 제2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iii) 제1용액 및 제2용액을 혼합한 후, 혼합물을 기판 상에 증착시키는 단계; 및 (iv) 증착된 박막을 질소 분위기 하에서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연속흐름반응법(CFR)을 이용한 태양전지용 CdTe 박막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증착 단계는 혼합물을 100-200℃의 기판 상에 증착시키며, 이때 상기 온도범위를 벗어나 증착하면 기판과 박막 사이의 결합구조에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증착 단계는 1-10 ml/초의 유속으로 혼합물을 기판 상에 증착시키며, 이때 상기 유속범위를 벗어나 증착하면 박막을 형성하기 전 단계의 용액이 혼합되지 않을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증착 단계는 1-10분 동안 혼합물을 기판 상에 증착시키며, 이때 상기 시간범위를 벗어나 증착하면 물리적 힘에 의해 박막이 침삭되는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처리 단계는 질소 분위기 하 100-600℃에서 1-2 시간 동안 열처리하며, 이때 상기 온도범위를 벗어나 열처리하면 입자사이즈가 충분히 커지지 않아 계면결함농도의 증가로 인해 균일한 박막이 얻어지지 않을 문제가 야기될 수 있고, 상기 시간범위를 벗어나 열처리하면 물질 고유의 결정성과 결합성에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1. 기판 준비
본 발명에서는 상업용 현미경 글래스(Fisher Scientific)를 기판으로 사용하며, 기판의 상단에 ITO를 스퍼터링에 의해 증착시켜 사용한다. 이러한 기판은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에서 초음파 처리한 후, 초순수물로 헹구어 준비한다.
2. CdTe 박막 증착
먼저, 소듐 텔루라이트(Na2TeO3) 및 하이드라진 수화물(H4N2·XH2O)로 구성된 제1용액을 준비하고, 염화카드뮴 헤미 펜타하이드레이트(CdCl2·2.5H2O) 및 염화암모늄(NH4Cl)로 구성된 제2용액을 준비한다.
제1용액 및 제2용액을 혼합한 후, 글래스/ITO 기판 상에 증착시키고, 이때, 혼합 용액의 유속은 1-10 ml/초이며, 증착시간은 1-10분일 수 있다.
박막의 결정화를 개선하고 산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증착된 CdTe 박막을 질소 분위기 하에서 1-2 시간 동안 100-600℃에서 열처리할 수 있다. CFR 증착 공정과 관련된 상세한 것은 알려진 방법(JYoung Jung,No-KukPark,TaeJinLee,SiOkRyu,Chih-HungChang,flowreactor, Curr Appl Phys. 8, 720-724, 2008)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CdTe 박막의 제조방법은 연속흐름반응법(CFR)을 이용하여 CdTe 박막을 기판에 증착시킴으로써 고가의 장비나 복잡한 진공 시스템을 필요로 하지 않아 저비용으로 태양전지용 CdTe 박막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구체화하기 위한 설명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CdTe 박막 제조
1. 기판 준비
상업용 현미경 글래스(Fisher Scientific)를 기판으로 사용하며, 기판의 상단에 ITO를 스퍼터링에 의해 증착시켰다. 이러한 기판은 1M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에서 15분 동안 초음파 처리한 후, 초순수물로 헹구었다. 마지막으로, 질소 가 스 스트림 하에서 건조되었다.
2. CdTe 박막 증착
CFR법에 의해 CdTe 박막을 준비된 기판에 증착시켰다. 먼저, 제1용액은 0.005M 소듐 텔루라이트(Na2TeO3) 및 0.005M 하이드라진 수화물(H4N2·XH2O)로 구성되었다. 제2용액은 0.005M 염화카드뮴 헤미 펜타하이드레이트(CdCl2·2.5H2O) 및 0.025M 염화암모늄(NH4Cl)로 구성되었다.
제1용액 및 제2용액을 T-혼합기에서 혼합한 후, 180℃에서 글래스/ITO 기판 상에 증착시켰다. 이때, 혼합 용액의 유속은 약 9.5ml/초이었고, 증착시간은 3분으로 고정시켰다.
박막의 결정화를 개선하고 산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증착된 CdTe 박막을 질소 분위기 하에서 1시간 동안 400℃에서 열처리하였다.
CFR 증착 공정과 관련된 상세한 것은 알려진 방법(JYoung Jung,No-KukPark,TaeJinLee,SiOkRyu,Chih-HungChang,flowreactor, Curr Appl Phys. 8, 720-724, 2008)에 따라 수행되었다.
<실시예 2> CdTe 박막 분석
1. 표면 형태 분석
글래스 기판 상에 증착된 다결정질의 CdTe 박막의 표면 형태를 분석하기 위하여, 주사전자현미경(SEM; Hitachi, LTD S-4800 FE-SEM)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도 1과 같이 박막이 균일한 알갱이 크기로 잘 형성되었지만, 빈 공 간으로 인해 박막이 치밀하게 증착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2. 구조 분석
CdTe 박막의 구조 및 결정 방향성을 X-선 회절 분광계(XRD; PANalytical MPD for thin film)를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도 2a는 글래스 기판의 X-선 회절 패턴을, 도 2b는 증착된 박막의 X-선 회절 패턴을, 도 2c는 증착된 박막의 열처리 후 X-선 회절 패턴을 나타낸 것으로, 이러한 결과로부터 필름의 결정성은 매우 작거나, 합성된 필름은 무정형인 것으로 알 수 있었다.
필름의 결정성을 향상시키고, 산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증착된 필름을 질소 분위기 하 400℃에서 열처리한 결과, 도 2c와 같이, (100), (102), (110), (112), (201) 및 (114)에서 주요 피크가 나타났다. 이러한 회절 피크는 표준 값과 일치하였고(JCPDS 82-0474), 6방정계 구조를 지닌 CdTe로서 확인되었다. 스펙트럼에서 다른 피크는 CdTeO3(JCPDS 49-1757)에 관한 것으로, 공정 중 전구체의 산화에 의해 형성된 것이다.
3. 화학적 조성 분석
CdTe 박막의 입자 크기 분포를 분석하기 위하여, 투과전자현미경(TEM; Hitachi H-7600)를 사용하였다. TEM의 고해상도에서 분명한 결정성 회절이 관찰되었고, 전자 패턴이 CdTe의 결정성 구조 형성을 나타내었다. TEM 패턴으로부터 얻어진 d-spacing 데이터에 따른 전자 회절 패턴을 도 3에 나타내었다. 이러한 패턴 으로부터 6방정계 CdTe(JCPDS 82-0474) 구조와 일치하는 다결정성 박막의 형성이 확인되었다. 합성된 CdTe의 평균 입자경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 5.8nm였다.
4. 광학적 특성 분석
CdTe 박막의 광학적 특성을 UV-가시선 분광분석기(Ocean Optics Inc, USB 2000 optic spectro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도 5와 같이, 광학 밴드 갭 값이 ~1.57eV로 산출되었다. 순수 다결정성 CdTe 박막의 밴드 갭은 1.5eV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5. 화학적 조성 분석
CdTe 박막의 화학적 조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X-선 광전자 분광기(XPS; VGESCALAB, 200-IXL instrument with Mg K radiation)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도 6과 같이 0-1200eV 범위의 XPS 스펙트럼이 관찰되었다. 412.0eV 및 404.0eV에서 관찰된 결합 에너지 피크는 각각 Cd 3d 5/2 및 Cd 3d 3/2 의 전자 상태와 관련된다. 582.5eV 및 572.0eV에서의 피크는 각각 Te 3d 3/2 및 Te 3d 1/2 의 전자 상태와 관련된다. 586.5eV 및 575.0eV에서의 피크는 각각 CdTeO3 3d 3/2 및 Te 3d 3/2 의 전자 상태와 관련된다. XPS 분석으로부터 CFR 공정 동안 CdTeO3의 형성이 XRD 스펙트럼을 복잡하게 만들고, 더 높은 밴드 갭을 나타내는 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CdTe 박막의 표면 형태를 나타낸 SEM 이미지이고,
도 2a 내지 도 2c는 글래스 기판, 증착된 CdTe 박막, 증착된 CdTe 박막의 열처리 후 각각의 X-선 회절 패턴을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CdTe 박막의 TEM 전자 회절 패턴을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CdTe 입자의 TEM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CdTe 박막의 UV-가시선 흡수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CdTe 박막의 XPS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Claims (5)

  1. (i) 소듐 텔루라이트 및 하이드라진 수화물로 이루어진 제1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ii) 염화카드뮴 수화물 및 염화암모늄로 이루어진 제2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iii) 제1용액 및 제2용액을 혼합한 후, 혼합물을 기판 상에 증착시키는 단계; 및 (iv) 증착된 박막을 질소 분위기 하에서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연속흐름반응법을 이용한 태양전지용 CdTe 박막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증착 단계는 혼합물을 100-200℃의 기판 상에 증착시키는, 연속흐름반응법을 이용한 태양전지용 CdTe 박막의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증착 단계는 1-10 ml/초의 유속으로 혼합물을 기판 상에 증착시키는, 연속흐름반응법을 이용한 태양전지용 CdTe 박막의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증착 단계는 1-10분 동안 혼합물을 기판 상에 증착시키는, 연속흐름반응법을 이용한 태양전지용 CdTe 박막의 제조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 단계는 질소 분위기 하 100-600℃에서 1-2 시간 동안 열처리하는, 연속흐름반응법을 이용한 태양전지용 CdTe 박막의 제조방법.
KR1020090107656A 2009-11-09 2009-11-09 연속흐름반응법을 이용한 태양전지용 CdTe 박막의 제조방법 KR1010838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7656A KR101083847B1 (ko) 2009-11-09 2009-11-09 연속흐름반응법을 이용한 태양전지용 CdTe 박막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7656A KR101083847B1 (ko) 2009-11-09 2009-11-09 연속흐름반응법을 이용한 태양전지용 CdTe 박막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1014A KR20110051014A (ko) 2011-05-17
KR101083847B1 true KR101083847B1 (ko) 2011-11-15

Family

ID=44361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7656A KR101083847B1 (ko) 2009-11-09 2009-11-09 연속흐름반응법을 이용한 태양전지용 CdTe 박막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384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1014A (ko) 2011-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70636B2 (en) Aqueous process for producing crystalline copper chalcogenide nanoparticles, the nanoparticles so-produced, and inks and coated substrates incorporating the nanoparticles
Farhana et al. Recent advances and new research trends in Sb2S3 thin film based solar cells
WO2012023519A1 (ja) 化合物半導体薄膜作製用インク、そのインクを用いて得た化合物半導体薄膜、その化合物半導体薄膜を備える太陽電池、およびその太陽電池の製造方法
US9391231B2 (en) Method for preparing a thin layer of an absorber made of copper, zinc and tin sulfide(s), annealed thin layer and photovoltaic device thus obtained
KR100789064B1 (ko) 금속유기물증착법에 의한 CuInS2 박막의 제조방법,그로 제조된 CuInS2 박막 및 그를 이용한 In2S3박막의 제조방법
KR20110107673A (ko) 용액상 볼밀법을 이용한 cis계 콜로이드 용액 및 태양전지 광흡수층 cis계 화합물 박막의 제조방법
Park et al.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polycrystalline CuInS2 thin films for solar cell devices at low temperature processing conditions
KR101749137B1 (ko) 태양광 전지용 나노결정질 구리 인듐 디셀레니드 (cis) 및 잉크-기반 합금 흡수재층
KR101322681B1 (ko) 정전분무법에 의하여 제조된 czts 박막 및 그의 제조방법
JP2013533841A (ja) セレン化物粉末と製造方法
He et al. Prospect for Bismuth/Antimony Chalcohalides‐Based Solar Cells
KR20190029336A (ko) 태양전지 및 태양전지의 제조 방법
Li et al. Solvent evaporation induced preferential crystal orientation BiI3 films for the high efficiency MA3Bi2I9 perovskite solar cells
KR101311030B1 (ko) Czts 박막용 하이브리드 잉크
Prabhakar et al. Ultrasonic spray pyrolysis of CZTS solar cell absorber layers and characterization studies
CN114772943B (zh) 一种Cs2TiBr6无铅双钙钛矿薄膜及太阳能电池的制备方法
KR101083847B1 (ko) 연속흐름반응법을 이용한 태양전지용 CdTe 박막의 제조방법
CN111816770B (zh) 钙钛矿薄膜的制备方法、钙钛矿薄膜以及太阳能电池器件
Liu et al. Growth, structure and optical characterization of CuGaS2 thin films obtained by spray pyrolysis
Hu et al. Facile solution synthesis, morphology control, and anisotropic optical performance of CsPbCl 3 microcrystals
Raj et al. review on spray pyrolysis deposited CZTS thin films for solar cell applications
KR101121476B1 (ko) 연속흐름반응법을 이용한 화합물 태양전지용 CuInSe2 박막의 제조방법
KR101093831B1 (ko) 스핀 스프레이법을 이용한 태양전지용 CuInS2 박막의 제조방법
Unkaew et al. Influence of the annealing temperature on the organometallic halide perovskite phase formation via CH3NH3Cl as additive in sequential deposition process
Lei et al. Stability Strategies and Applications of Iodide Perovski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