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2791B1 - 하부급기형 냉각탑 - Google Patents
하부급기형 냉각탑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82791B1 KR101082791B1 KR1020110014462A KR20110014462A KR101082791B1 KR 101082791 B1 KR101082791 B1 KR 101082791B1 KR 1020110014462 A KR1020110014462 A KR 1020110014462A KR 20110014462 A KR20110014462 A KR 20110014462A KR 101082791 B1 KR101082791 B1 KR 10108279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supply
- cooling tower
- casing
- cooling water
- wal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C—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OUT CHEMICAL INTERACTION
- F28C1/00—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 F28C1/02—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with counter-current only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C—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OUT CHEMICAL INTERACTION
- F28C1/00—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 F28C1/14—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comprising also a non-direct contact heat exchang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C—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OUT CHEMICAL INTERACTION
- F28C1/00—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 F28C1/16—Arrangement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precipitation or mist formation, outside the cool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5/00—Component parts of trickle coolers
- F28F25/02—Component parts of trickle coolers for distributing, circulating, and accumulating liquid
- F28F25/06—Spray nozzles or spray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싱과 면하는 열교환부의 외측 하부에서 열교환 영역의 중심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케이싱의 양측에 고정되며, 하향 경사 안내면을 갖는 안내판과 안내판의 상측 단부에 형성되는 물막이판으로 구성되는 안내블레이드(21)와, 안내블레이드(21)의 양측 단부에 일체하게 결합되는 블레이드고정부재(22a)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급기안내부(20a) 또는, 다수의 안내블레이드(21)와, 안내블레이드(21)의 양측 단부를 고정하는 삽입공이 형성되는 한 쌍의 블레이드고정부재(22b)로 이루어지는 급기안내부(20b)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급기안내부와; 케이싱의 하단부의 외곽을 따라 구비되어 열교환부의 상면에서 벗어나 우회 유동하는 살수 냉각수를 집수하여 배출하며, 케이싱의 하단부와 일체하게 ""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외측벽(31), 저벽(32) 및 내측벽(33)과, 내측벽(33) 또는, 저벽(32) 중 어느 한 곳에 구비되는 배출구(34)로 구성되는 외곽집수부(30a) 또는, 케이싱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결합부(35)와, 결합부(35)의 하부에 형성되는 ""자 형상의 외측벽(33), 저벽(32) 및 내측벽(33)과, 내측벽(33) 또는, 저벽(32) 중 어느 한 곳에 구비되는 배출구(34)로 구성되는 외곽집수부(30b)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외곽집수부와; 케이싱 중앙에 배치되며 냉각탑 기초에 고정되는 집수조(92)와, 외곽집수부(30a, 30b)의 저벽(32)을 지지하며 집수조(92)의 상단부 양측에 구비되는 지지플랜지부(93)와, 집수조(92)의 일측벽에 구비되는 냉각수유출구(91)로 이루어지는 중앙집수부 (90a,90b)와; 내측벽(33)과 집수조(92)의 측벽 사이에 형성되는 한 쌍의 급기구(12)와; 저벽(32)을 지지하는 냉각탑지지대(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대향류형 냉각탑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급기구를 통한 비산을 방지할 수 있고, 결빙 장해를 방지할 수 있으며, 냉각수 오염원의 유입을 감소할 수 있고, 급기 효율을 향상할 수 있으며, 열교환부의 상단면에서 벗어나는 우회유동 냉각수를 용이하게 집수할 수 있고, 집수조 설치면적 및 운전 하중을 감소할 수 있으며, 운전 소음을 감소할 수 있고, 백연을 저감할 수 있으며, 냉각탑 지지를 강화할 수 있고, 용수를 절약할 수 있으며, 냉각탑의 미관을 향상할 수 있 구조를 갖는 하부급기형 냉각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각탑은, 공기는 수직상향으로 유동되고 냉각수는 수직하향으로 유동되는 대향류형(counter flow type) 냉각탑과, 공기는 수평으로 유동되고 냉각수는 수직하향으로 유동되는 직교류형(cross flow type) 냉각탑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증발냉각 냉각탑의 열교환부는, 냉각수와 공기가 개방된 열교환부를를 유동하면서 상호 접촉에 의하여 증발 열교환하는 개방식 열교환부(open type heat exchanger)와, 냉각유체(냉각수 또는 냉매)가 유동하는 밀폐된 전열관의 외표면 상에 냉각수와 공기를 접촉시키면서 증발 열교환하는 밀폐식 열교환부(close type heat exchanger)와, 개방식 열교환부와 밀폐식 열교환부를 겸비한 하이브리드식 열교환부(hybrid type heat exchaner)로 구분된다.
또한, 통풍방식에 있어서는, 열교환부를 통과하면서 열교환을 마친 고온의 배기를 흡입하여 배기구를 통해 배출하는 흡입통풍식(Induced draft type)과, 냉각탑의 급기구와 연통하게 설치되어 열교환부를 향해 외부공기를 압입 통풍하여 열교환을 마친 고온의 배기를 배기구로 배출하는 압입통풍식(Forced draft type)으로 구분된다.
케이싱 최상부에 송풍팬이 구성되는 흡입통풍식 냉각탑은 케이싱 측부에 구비된 급기구와 급기영역을 통해 급기하는 흡입급기식이 적용되고, 케이싱의 일측부 또는, 집수조의 중앙을 개구하여 송풍팬이 구성되는 압입통풍식 냉각탑은 급기영역으로 압입 급기하는 압입급기식이 적용된다.
그리고 열교환부의 상부면을 향해 살수되는 냉각수의 일부는 열교환부의 상부면에서 벗어나 살수영역의 경계점인 케이싱의 내벽을 타고 흘러내리거나, 케이싱과 열교환부의 측면사이의 공간을 통해 낙하되고, 급기구 및 루버에 접한 냉각수의 물방울은 케이싱의 외벽을 타고 흘러내리며, 이와 같은 우회유동 냉각수가 케이싱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집수조 상부의 외곽크기는 케이싱 하단부의 외곽크기보다 크게 형성된다.
다음으로, 냉각탑은, 가장 저렴한 비용으로 폐열을 제거함과, 용수 재사용을 통한 수자원 보존 등의 장점이 있는 반면에, 배기구를 통한 비산(drift), 백연 (plume), 소음 및 진동 등의 문제를 유발한다.
특히, 케이싱 측부에 급기구를 형성하는 대향류형 냉각탑은, 열교환부 저면과 집수조 수면 사이에 급기영역이 형성되고, 이 급기영역과 면하게 급기구가 형성되는데, 일측 급기구로 유입되는 강풍(송풍팬의 흡인력보다 강한 풍속의 바람)은 급기영역과 타측 급기구를 통해 외부로 유동되고 낙하하는 냉각수의 물방울이 유동되는 강풍에 편승하여 외부로 비산되어 용수손실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강풍은 비산 손실뿐만이 아니라 냉각탑의 부품(루버 및 케이싱 등) 의 손상도 초래하고, 냉각탑의 설치장소가 높을수록 그 피해가 증가되며, 고층 건물에 설치되는 냉각탑에는 강풍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냉각탑 외각에 방풍벽(Windbreak wall)을 설치하기도 한다.
또한, 대향류 냉각탑 구조의 특성상, 냉각탑의 외부에서 공기가 급기구를 향해 하향 곡선으로 급기되고, 급기구를 통한 급기는 열교환부를 향해 상향곡선으로 유동되는 급커브의 기류로 급기의 유동저항 및 소음이 증가되고, 열교환부의 양 외측 영역은 공기가 유동되지 않는 사각영역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급기구를 통해 햇빛에 노출되는 집수조는, 미생물 서식에 적절한 냉각수 온도와 광합성 (Photosynthesis) 작용 및 대기로부터 전달된 오염물질들과 맞물려 조류(Algae), 원생동물(Protozoa), 진균류(Fungi) 및 세균(Bacteria)들이 성장을 촉진하고, 이러한 미생물들은 냉각체계의 표면에 부착되어 바이오막(BIO -films)을 형성하고 점액(Slime)을 성장시키므로 냉각수의 오염과 냉각수계의 부식 및 열교환기의 효율을 저하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PVC 재질의 루버(Louvers)는 자외선 (Ultraviolet light) 등과 같은 햇빛 열에너지에 노출되어 탈염산, 분자절단, 가교화, 및 산화분해 등의 복합 노화 현상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열교환부에서 낙하되는 냉각수는, 케이싱 하부를 전체 커버하는 집수조에 저수된 냉각수의 수면에 떨어지면서 수적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급기구에 구성되는 루버는, 결빙의 누적으로 급기를 감소시키거나 루버의 파손을 초래할 수 있고, 자외선에 직접 노출되어 경화로 인한 노화 손상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급기구를 통해 급기영역 내의 환경(낙하되는 물줄기, 물때 등으로 오염됨 집수조 및 부유물 등)이 노출됨으로 혐오감을 초래하고, 냉각탑의 미관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케이싱 측부에 구비되는 급기구 및 루버로 냉각탑의 미관이 저하되어 건물과 부조화는 물론 갈수록 심화되는 수요자의 미관욕구에 부합되지 못할 뿐만이 아니라, 미관 향상을 위한 대책으로 냉각탑의 외각을 에워싸는 루버벽 (Louver wall)을 별도로 설치하는 경우 추가적인 건축비용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다음은, 종래 하부급기형 냉각탑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종래 대향류형 냉각탑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종래기술"이라 칭한다.
종래기술의 도면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종래 대향류형 냉각탑은, 열교환영역과 급기영역(213) 및 배기영역(214)을 형성하는 케이싱(211)과; 상기 급기영역(213)과 면하게 상기 케이싱(211)의 측부에 형성되는 급기구(212)와; 상기 급기구(212)에 구비되는 루버(220)와; 상기 열교환영역에 배치되며 개방식 열교환부, 밀폐식 열교환부 또는, 하이브리드식 열교환부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열교환부(215)와; 상기 열교환부(215) 상부에 배치되며 냉각수유입구(281)가 구비된 살수주관, 살수분기관 및 살수노즐로 이루어지는 살수부(280)와; 상기 살수부(280) 상부에 배치되는 엘리미네이터(216)와; 상기 케이싱(211)의 상부 중앙에 형성되는 개구(218)와, 상기 개구(218) 위로 돌출되게 설치되며, 배기구와, 상단부에 형성되는 안전가드장착부와, 하단부 흡입구에 형성되는 플랜지로 이루어지는 팬실린더(250)와, 상기 안전가드장착부에 장착되는 안전가드와, 상기 배기구에 배치되며 팬블레이드와, 일측은 상기 팬블레이드에 구비된 팬허브에 결합되고 타측은 팬풀리에 결합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는 베어링블럭으로 이루어지는 송풍팬부60)와, 모터와, 구동풀리와, 구동벨트로 이루어지는 구동부(270)와, 상기 베어링블럭을 고정하는 베어링블럭지지부재(265)와, 상기 모터를 지지하는 모터지지부(275)로 구성되는 팬어셈블리(240)와; 상기 열교환부(215) 하부에 배치되며 냉각수유출구(291)를 구비하는 집수조(290)와; 상기 집수조(290)를 지지하는 냉각탑 지지대로 구성된다.
전술한 종래 대향류형 냉각탑은, 급기구를 통한 비산 및 용수손실을 초래하고, 급커브의 급기 기류로 급기의 유동저항 및 소음이 증가되고, 열교환부의 양 외측영역은 공기가 유동되지 않는 사각영역이 발생되며, 급기구를 통해 대기 상의 부유 이물질이 침입, 광합성 작용에 의한 미생물의 성장으로 냉각수계의 오염, 열교환부 및 냉동기 등의 열교환기의 효율저하를 초래하고, 열교환부에서 낙하되는 냉각수는 집수조에 저수된 냉각수의 수면과 마찰하여 수적음을 발생시키며, 급기구에 구성되는 루버는, 결빙의 누적으로 급기를 감소시키거나 루버의 파손 및 자외선에 직접 노출되어 노화 손상을 초래할 수 있고, 급기구를 통해 급기영역 내의 환경(낙하되는 물줄기, 물때 등으로 오염됨 집수조 및 부유물 등)이 노출됨으로 혐오감을 초래하고, 케이싱 측부에 구비되는 루버로 인해 냉각탑의 미관이 저하되어, 미관 향상을 위한 대책으로 냉각탑의 외각을 에워싸는 루버벽을 설치하는 경우 추가적인 건축비용이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급기구를 통한 비산을 방지할 수 있고, 결빙 장해를 방지할 수 있으며, 냉각수 오염원의 유입을 감소할 수 있고, 급기 효율을 향상할 수 있으며, 열교환부의 상단면에서 벗어나는 우회유동 냉각수를 용이하게 집수할 수 있고, 집수조 설치면적 및 운전 하중을 감소할 수 있으며, 운전 소음을 감소할 수 있고, 백연을 저감할 수 있으며, 냉각탑 지지를 강화할 수 있고, 용수를 절약할 수 있으며, 냉각탑의 미관을 향상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하부급기형 냉각탑을 제공하는 것이다.
치되어 냉각수를 상기 열교환부로 살수하는 살수부와; 상기 살수부 상부에 배치되는 엘리미네이터와; 상기 개구에 설치되며, 배기구와, 상단부에 형성되는 안전가드장착부와, 하단부 흡입구에 형성되는 플랜지로 이루어지는 팬실린더와, 상기 안전가드장착부에 장착되는 안전가드와, 상기 배기구에 배치되며, 팬블레이드와, 일측은 상기 팬블레이드에 구비된 팬허브에 결합되고 타측은 팬풀리에 결합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는 베어링블럭으로 이루어지는 송풍팬부와, 모터와, 구동풀리와, 구동벨트로 이루어지는 구동부와, 상기 베어링블럭을 고정하는 베어링블럭지지부재와, 상기 모터를 지지하는 모터지지부로 구성되는 팬어셈블리를 갖는 대향류형 냉각탑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과 면하는 상기 열교환부의 외측 하부에서 상기 열교환 영역의 중심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상기 케이싱의 양측에 고정되며, 하향 경사 안내면을 갖는 안내판과 상기 안내판의 상측 단부에 형성되는 물막이판으로 구성되는 안내블레이드(21)와, 상기 안내블레이드(21)의 양측 단부에 일체하게 결합되는 블레이드고정부재(22a)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급기안내부(20a) 또는, 다수의 안내블레이드(21)와, 상기 안내블레이드(21)의 양측 단부를 고정하는 삽입공이 형성되는 한 쌍의 블레이드고정부재(22b)로 이루어지는 급기안내부(20b)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급기안내부와;
상기 케이싱의 하단부의 외곽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열교환부의 상면에서 벗어나 우회 유동하는 살수 냉각수를 집수하여 배출하며, 상기 케이싱의 하단부와 일체하게 ""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외측벽(31), 저벽(32) 및 내측벽(33)과, 상기 내측벽(33) 또는, 저벽(32) 중 어느 한 곳에 구비되는 배출구(34)로 구성되는 외곽집수부(30a) 또는, 상기 케이싱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결합부(35)와, 상기 결합부(35)의 하부에 형성되는 ""자 형상의 외측벽(33), 저벽(32) 및 내측벽(33)과, 상기 내측벽(33) 또는, 저벽(32) 중 어느 한 곳에 구비되는 배출구(34)로 구성되는 외곽집수부(30b)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외곽집수부와;
상기 케이싱 중앙에 배치되며 냉각탑 기초에 고정되는 집수조(92)와, 상기 외곽집수부(30a, 30b)의 저벽(32)을 지지하며 상기 집수조(92)의 상단부 양측에 구비되는 지지플랜지부(93)와, 상기 집수조(92)의 일측벽에 구비되는 냉각수 유출구(91)로 이루어지는 중앙 집수부(90a,90b)와;
상기 내측벽(33)과 상기 집수조(92)의 측벽 사이에 형성되는 한 쌍의 급기구(12)와;
상기 저벽(32)을 지지하는 냉각탑지지대(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급기형 냉각탑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개방식 열교환부(15a)는, 필름형(Film filler type) 열교환부 또는, 비말형(Splash filler type) 열교환부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상기 밀폐식 열교환부(15b)는, 냉각유체(냉각수 또는 냉매)가 유동하는 다수의 전열관과, 상기 전열관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며 냉각유체유입구(미부호)가 구비된 냉각유체유입헤더(미도시)와, 상기 전열관의 타측 단부에 결합되며 냉각유체유출구(미부호)가 구비된 냉각유체유출헤더(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집수조(92)는, 상부는 개방되고 사면을 이루는 측벽과 상기 측벽의 하부를 폐쇄하는 저벽으로 이루어지는 통 형상의 구조를 갖는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급기구(12)에는, 조류(Birds)와 보다 큰 낙엽 등의 부유물질이 상기 급기영역(13) 내로 침입을 방지하는 스크린망(Net)을 더 포함하여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내측벽(33)과 상기 집수조(92)의 측벽에는 상기 스크린망(미도시)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크린망은 설치와 분리가 간편하도록 분할 및 조립되는 구조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하나의 조립체로도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살수부는, 하단부에 상기 냉각수유입하부기둥관(82)에 연결되는 플랜지(미부호)가 구비되고 상단부에는 냉각수유출헤더(84a, 84b)를 구비하는 상기 냉각수유입상부기둥관(83a)과, 상기 냉각수유출헤더(84a, 84b)에 연결되는 복수의 살수주관(85)과, 상기 살수주관(85)에 연결되는 다수의 살수분기관(86)과, 상기 살수분기관(86)에 결합되는 다수의 살수노즐(87)로 구성되는 살수부(80a)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양측에 냉각수유입구(미부호)가 구비된 살수주관(85)과, 상기 살수주관(85)에 연결되는 살수분기관(86)과, 상기 살수분기관(86)에 결합되는 다수의 살수노즐(87)로 구성되는 살수부(80b)로도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팬어셈블리는, 상기 개구의 상부에 노출되게 배치되며, 배기구(51)와, 상단부에 형성되는 안전가드장착부와, 하단부에 형성된 나팔관형상의 흡입구(미부호)와 일체하게 구비되며 상기 개구와 인접한 상기 케이싱의 상면에 결합되는 플랜지로 이루어지는 팬실린더와, 상기 안전가드장착부에 장착되는 안전가드와, 상기 배기구에 배치되며 팬블레이드와, 일측은 상기 팬블레이드에 구비된 팬허브에 결합되고 타측은 팬풀리에 결합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는 베어링블럭으로 이루어지는 송풍팬부와, 모터와, 구동풀리와, 구동벨트로 이루어지는 구동부와, 상기 베어링블럭을 고정하며 양측 단부에 상기 팬실린더의 내측벽에 고정되는 결합부재를 구비하는 베어링블럭지지부재와, 상기 모터를 지지하며, 상기 팬실린더의 외측벽에 고정되는 모터지지부로 구성되는 팬어셈블리(40a)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냉각탑의 높이를 단축하는 구조로서, 높이를 단축하는 구조로서, 상기 개구의 하부에 매립되게 배치되며, 배기구(51)와, 상단부에 형성되는 안전가드장착부와, 상기 안전가드장착부의 상단부에 일체하게 구비되며 상기 개구와 인접한 상기 케이싱 상면에 결합되는 플랜지, 하단부 형성되는 나팔관 형상의 흡입구로 이루어지는 팬실린더와, 상기 안전가드장착부에 장착되는 안전가드와, 상기 배기구에 배치되며 팬블레이드와, 일측은 상기 팬블레이드에 구비된 팬허브에 결합되고 타측은 팬풀리에 결합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는 베어링블럭으로 이루어지는 송풍팬부와, 모터와, 구동풀리와, 구동벨트로 이루어지는 구동부와, 상기 베어링블럭을 고정하며 양측 단부에 상기 케이싱의 내측벽에 고정되는 결합부재를 구비하는 베어링블럭지지부재와, 상기 모터를 지지하며, 상기 케이싱의 외측벽 및 상벽에 고정되는 모터지지부로 구성되는 팬어셈블리(40b)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고정부재(22b)에는, 상기 다수의 안내블레이드(21)의 양측 단부가 삽입 고정되는 다수의 삽입공(미도시)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싱의 양측에 고정하는 다수의 볼트공을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안내블레이드(21)에는,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25)를 더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재(25)는, 상단부에 상기 케이싱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결합부재(미부호)가 구비되고, 하단부에는 상기 집수조(92)의 측벽에 고정되는 결합부재(미부호)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25)는, 안내블레이드(21)의 중앙에 하나가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두개 또는, 그 이상의 수로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급기안내부(20a, 20b)는, 하나의 조립체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나, 복수로 분할 및 조립되는 구조로도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벽(32)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의 볼트공을 더 포함하여 형성하고, 상기 저벽(32)에 형성된 다수의 볼트공과 일치하게 상기 지지플랜지부(93)와 상기 냉각탑지지대(150)의 상부에 볼트공을 더 포함하여 형성하여, 상기 저벽(32)과 상기 지지플랜지부(93) 및 상기 냉각탑지지대(150)를 고정볼트(37)와, 와셔와, 밀봉재(38) 및 너트(39)를 통해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출구(34)에는, 상기 외곽집수부(30a, 30b)에 집수되는 냉각수를 상기 집수조(92)로 배출하는 배출관(36)을 더 포함하여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집수조(92)에는, 상기 집수조(92)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냉각탑 기초에 고정되는 복수의 고정브래킷(95)을 더 포함하여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집수조(92)를 고정하는 상기 고정브래킷(95)은 냉각탑 기초에 앵커볼트(Anchor bolts)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냉각수유입하부기둥관(82)에는, 하단부에 상기 집수조(92)의 바닥에 지지되는 지지판(미부호)가 결합되고 하부 일영역에는 냉각수유입하부기둥관(82)의 하부에 침적되는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청소구(94)를 더 포함하여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개구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어느 한곳에는, 상기 배기구와 마주하게 결합되어 상기 배기구를 통해 배출되는 포화습공기를 가열 및 습도를 감소시켜 백연을 저감하며, 다수의 전열핀(103)을 수용하는 전열관(102)과, 상기 전열관(102)을 수용하며, 상기 개구와 인접한 상기 케이싱 상면 또는, 저면 중 어느 한 곳에 결합되는 플랜지(105a, 105b)를 형성하는 하우징(104)과, 상기 전열관(102)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며 고온 냉각수가 유입되는 냉각수유입구(미부호)가 구비된 냉각수유입헤더(101)와, 상기 전열관(102)의 타측 단부에 결합되며 냉각수유출구(미부호)가 구비된 냉각수유출헤더(107)로 구성되는 건식열교환부(100a, 100b)를 더 포함하여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식열교환부(100b)의 하우징(104) 하단부에는, 배기의 흡입을 원활하게 하는 흡입확관부(106)을 더 포함하여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건식열교환부(100a, 100b)가 운전되는 백연 발생기후에서는 고온 냉각수가 상기 건식열교환부(100a, 100b)를 거쳐 상기 살수부(80b)로 공급하도록 하고, 백연이 발생되지 않는 기후에서는 상기 건식열교환부(100a, 100b)를 향하는 고온 냉각수의 공급을 차단하고, 고온 냉각수를 상기 살수부(80b)로 공급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살수부(80b)와 상기 건식열교환부(100a, 100b)로 고온의 냉각수를 안내하며, 상단부는 상기 냉각수유입헤더(101)에 연결되고 하단부는 냉각수하부기둥관(82)에 연결되는 냉각수유입기둥관(83b) 또는, 상단부는 상기 냉각수유입헤더(101)에 연결되고 하단부에 냉각수유입구(81)가 형성되는 냉각수유입관(83c) 중 어느 하나에서 분기되어 상기 살수주관(85)으로 고온의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공급관(110a)과, 상기 냉각수유출헤더(107)에 연결되어 상기 살수주관(85)으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공급관(110b)과, 상기 냉각수유입기둥관(83b) 또는, 상기 냉각수유입관(83c) 중 어느 한곳에 구비되어 상기 건식열교환부(100a)에 고온 냉각수의 유입을 개폐하는 유로조절밸브(111)와, 상기 냉각수공급관(110a)에 구비되어 상기 살수주관(85)에 고온 냉각수의 유입을 개폐하는 유로조절밸브(112)를 더 포함하여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냉각수유입하부기둥관(82), 냉각수유입상부기둥관(83a) 및 냉각수유입기둥관(83b)은, 살수부(80a, 80b) 및 열교환부(15a, 15b)를 지지하는 지지기둥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급기영역 및 배기영역과 면하는 케이싱에는 작업자가 출입하거나 점검통로를 제공하는 점검문(19a, 19b)을 더 포함하여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통상의 구성이어서 도면에는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지만, 상기 집수조(92)에는, 보급수부(Make-up water part)와, 배수부(Drain part)와, 익수부(Over flow part), 유출 냉각수 여과기(Strainer)가 구성되고, 작업자가 상기 케이싱의 상면으로 올라가서 점검 및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싱의 외측에 사다리(Ladder)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부급기형 냉각탑에 있어, 급기구를 통한 비산을 방지할 수 있고, 결빙 장해를 방지할 수 있으며, 냉각수 오염원의 유입을 감소할 수 있고, 급기 효율을 향상할 수 있으며, 열교환부의 상단면에서 벗어나는 우회유동 냉각수를 용이하게 집수할 수 있고, 집수조 설치면적 및 운전 하중을 감소할 수 있으며, 운전 소음을 감소할 수 있고, 백연을 저감할 수 있으며, 냉각탑 지지를 강화할 수 있고, 용수를 절약할 수 있으며, 냉각탑의 미관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하부급기형 냉각탑에 대한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주요부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 주요부(A-A)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 주요부(B-B)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하부급기형 냉각탑에 대한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하부급기형 냉각탑에 대한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 주요부(C-C)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하부급기형 냉각탑에 대한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종래 대향류형 냉각탑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주요부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 주요부(A-A)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 주요부(B-B)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하부급기형 냉각탑에 대한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하부급기형 냉각탑에 대한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 주요부(C-C)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하부급기형 냉각탑에 대한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종래 대향류형 냉각탑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하부급기형 냉각탑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종래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여러 실시 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적용하여 대표적으로 일실시 예에서만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 예에서는 일실시 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하부급기형 냉각탑에 대한 개략적인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주요부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 주요부(A-A)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 주요부(B-B)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하부급기형 냉각탑(1a)은, 열교환영역과 급기영역(13) 및 배기영역(14)을 형성하는 케이싱(11)과; 상기 배기영역(14)과 면하게 케이싱(11)의 상부 중앙에 형성되는 개구(18)와; 상기 열교환영역에 배치되는 열교환부(15a)와; 상기 열교환부(15a) 상부에 배치되며 하단부에 상기 냉각수유입하부기둥관(82)에 연결되는 플랜지(미부호)가 구비되고 상단부에는 냉각수유출헤더(84a, 84b)를 구비하는 상기 냉각수유입상부기둥관(83a)과, 상기 냉각수유출헤더(84a, 84b)에 연결되는 복수의 살수주관(85)과, 상기 살수주관(85)에 연결되는 다수의 살수분기관(86)과, 상기 살수분기관(86)에 결합되는 다수의 살수노즐(87)로 구성되는 살수부(80a)와; 상기 살수부(80a) 상부에 배치되는 엘리미네이터(16)와; 상기 개구(18) 위로 돌출되게 설치되며, 배기구(51)와, 상단부에 형성되는 안전가드장착부(53)와, 하단부 흡입구(미부호)에 형성되는 플랜지(52a)로 이루어지는 팬실린더(50a)와, 상기 안전가드장착부(53)에 장착되는 안전가드(55)와, 상기 배기구(51)에 배치되며 팬블레이드(61)와, 일측은 상기 팬블레이드(61)에 구비된 팬허브(미부호)에 결합되고 타측은 팬풀리(63)에 결합되는 회전축(62)과, 상기 회전축(62)을 지지하는 베어링블럭(64)으로 이루어지는 송풍팬부(60)와, 모터(71)와, 구동풀리(72)와, 구동벨트(73)로 이루어지는 구동부(70)와, 상기 베어링블럭(64)을 고정하며 상기 실린더(50a)의 내측벽에 결합되는 베어링블럭지지부재(65a)와, 상기 모터(71)를 지지하며, 상기 실린더(50a)의 외측벽에 결합되는 모터지지부(75a)로 구성되는 팬어셈블리(40a)와; 상기 케이싱(11)과 면하는 상기 열교환부(15a)의 외측 하부에서 상기 열교환 영역의 중심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상기 케이싱(11)의 양측에 고정되며, 하향 경사 안내면을 갖는 안내판과 상기 안내판의 상측 단부에 형성되는 물막이판으로 구성되는 안내블레이드(21)와, 상기 안내블레이드(21)의 양측 단부에 결합되는 블레이드고정부재(22a)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급기안내부(20a)와; 상기 안내블레이드(21)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25)와; 상기 케이싱(11)의 하단부의 외곽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열교환부(15a)의 상면에서 벗어나 우회 유동하는 살수 냉각수를 집수하여 배출하며, 상기 케이싱(11)의 하단부와 일체하게 ""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외측벽(31), 저벽(32) 및 내측벽(33)과, 상기 내측벽(33)에 구비되는 배출구(34)로 구성되는 외곽집수부(30a)와; 상기 케이싱(11) 중앙에 배치되며 하단부에 냉각탑 기초에 고정하는 복수의 고정브래킷(95)을 구비한 집수조(92)와, 상기 외곽집수부(30a)의 저벽(32)을 지지하며 상기 집수조(92)의 상단부 양측에 구비되는 지지플랜지부(93)와, 상기 집수조(92)의 일측벽에 구비되는 냉각수 유출구(91)와, 상기 집수조(92)의 중앙에 기립배치되며, 하단부는 상기 집수조의 바닥에 지지되는 지지판이 결합되고 하부 일영역에 청소구(94)가 구비되며, 상단부에는 상기 냉각수유입상부기둥관(83a)에 연결되는 플랜지가 구비되는 냉각수유입하부기둥관(82)과, 상기 집수조(92)의 타측벽을 관통하여 상기 냉각수유입하부기둥관(82)에 연결되는 냉각수유입구(81)로 구성되는 중앙집수부(90a)와; 상기 내측벽(33)과 상기 집수조(92)의 측벽 사이에 형성되는 한 쌍의 급기구(12)와; 상기 저벽(32)을 지지하는 냉각탑지지대(150)를 마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저벽(32)과 상기 지지플랜지부(93) 및 상기 냉각탑지지대(150)는 고정볼트(37)와, 와셔와, 밀봉재(38) 및 너트(39)를 통해 체결되어 있다.
또한, 집수조(92)는 상기 고정브래킷(95)을 통해 냉각탑 기초에 앵커볼트(Anchor bolts)로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급기영역(13) 및 배기영역(14b)과 면하는 케이싱(11)에는 작업자가 출입하거나 점검통로를 제공하는 점검문(19a, 19b)을 더 포함하여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다음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구성에 따른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냉각탑이 운전되면 송풍팬의 흡인력으로 외부에서 수직 상향으로 유입되는 급기는 상기 안내블레이드(21)의 안내면을 따라 상기 열교환부(15a)로 상향 유동 되면서 상기 살수부(80a)로부터 낙하되는 냉각수와 열교환을 이룬 후 상기 배기구를 통해 외부로 배기된다.
한편, 상기 열교환부(15a)를 통하면서 열교환을 마친 냉각수는 상기 안내블레이드(21)의 안내면을 따라, 상기 집수조(92)에 집수되고, 상기 열교환부(15a)의 상부면을 벗어난 우회유동 냉각수는 상기 외곽집수부(30a) 내로 흘러내리고, 상기 외곽집수부(30a) 내에 집수된 냉각수는 배출관(36)을 통해 상기 집수조(92)에 집수된다.
상기 집수조(92)에 집수된 냉각수는 상기 냉각수유출구(91)을 통해 냉각부하설비(미도시)로 유동되고, 냉각부하설비(미도시)로 부터 폐열을 흡수한 고온의 냉각수는 상기 냉각수유출구(81)을 통해 상기 살수부(80a)로 재순환되고, 이와 같은 작용은 운전기간 중에 반복된다.
다음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구성에 따른 상세한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내측벽(33)과 상기 집수조(92)의 외벽 사이에 형성되는 하부 급기구 (12)의 특징에 따라, 급기구를 통한 비산 및 용수손실을 방지할 수 있고, 수직 상향 급기기류로 대기상의 부유물질의 침입이 감소되어 냉각수 오염을 감소할 수 있으며, 급기영역(13) 내에 햇빛이 차단됨으로 광합성에 의한 냉각수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급기영역(13)의 내부환경의 은폐는 물론 케이싱(11)의 외관을 향상하여 결과적으로 냉각탑의 미관을 향상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하부 급기구(12)와 상기 케이싱(11)과 면하는 상기 열교환부 (15a)의 외측 하부에서 상기 열교환 영역의 중심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고정되는 상기 급기안내부(20a)의 특징에 따라, 낙하되는 냉각수가 상기 안내블레이드(21)의 안내 경사면을 따라 곧바로 상기 집수조(92)로 유동됨 물론, 냉각탑의 운전정지 시에도 상기 안내블레이드(21) 상에 냉각수가 존재하지 아니함으로 상기 안내블레이드(21) 상에 결빙을 방지할 수 있고, 원활하게 급기가 유동됨은 물론, 급기의 유동저항과 유동소음이 감소됨으로 급기 효율을 향상할 수 있고, 낙수 소음을 감소할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냉각탑의 운전소음을 감소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케이싱(11) 하단부의 외곽을 따라 구비되는 ""자 형상의 외곽집수부(30a)의 특징에 따라, 열교환부의 상단면에서 벗어나는 우회유동 냉각수를 용이하게 집수할 수 있고, 케이싱의 단부의 외곽보다 집수조의 외곽을 더 크게 형성하는 종래기술의 구조가 필요하지 않음으로, 상기 한 쌍의 급기구(12)의 폭에 상응하는 집수조(92)의 폭을 감소시키어 집수조(92) 설치면적 및 운전 하중을 감소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싱(11)의 하단부의 자체지지를 강화할 수 있음은 물론, 보다 강화된 상기 케이싱(11)의 하부 지지부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한 쌍의 급기구(12) 사이에 배치되며, 하단부에 냉각탑 기초에 고정하는 복수의 고정브래킷(95)을 구비하고 상단부 양측에 지지플랜지부(93)가 구비되는 집수조(92)의 특징에 따라, 상기 한 쌍의 급기구(12)를 상기 집수조 (92)의 양측 벽이 구획함으로 강풍에 의한 장해없이 급기를 안내할 수 있고, 상기 집수조(92)를 상기 냉각탑 기초에 견고하게 고정을 할 수 있으며, 지지플랜지부 (93)가 상기 케이싱(11)의 하부에 구비되는 상기 저벽(32)을 지지함으로 냉각탑의 지지를 보다 강화할 수 있음은 물론, 냉각탑의 지지부재를 감소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냉각수유입하부기둥관(82), 냉각수유입상부기둥관(83a) 및 상기 냉각수유입기둥관(83b)의 특징에 따라, 상기 살수부(80a)와 냉각탑의 중앙의 지지를 강화 할 수 있음은 물론, 냉각탑의 지지부재를 감소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하부급기형 냉각탑에 대한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하부급기형 냉각탑(1b)은, 전술 실시예와는 달리, 다수의 전열핀(103)을 수용하는 전열관(102)과, 상기 전열관(102)을 수용하며, 상단부에 상기 개구(18)와 인접한 상기 케이싱(11)저면에 결합되는 플랜지(105a)를 형성하고, 하단부에는 흡입확관부(106)를 형성하는 하우징(104)과, 상기 전열관(102)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며 고온 냉각수가 유입되는 냉각수유입구(미부호)가 구비된 냉각수유입헤더(101)와, 상기 전열관 (102)의 타측 단부에 결합되며 냉각수유출구(미부호)가 구비된 냉각수유출헤더(107)로 구성되는 건식열교환부(100a)가 배기영역(14) 내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살수부(80b)와 상기 건식열교환부(100a)로 고온의 냉각수를 안내하며 상단부는 상기 냉각수유입헤더(101)에 연결되고 하단부는 냉각수하부기둥관(82)에 연결되는 냉각수유입기둥관(83b)과, 상기 냉각수유입기둥관(83b)에서 분기되어 상기 살수주관(85)으로 고온의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공급관(110a)과, 상기 냉각수유출헤더(107)에 연결되어 상기 살수주관(85)으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공급관(110b)과, 상기 냉각수유입기둥관(83b)에 구비되어 상기 건식열교환부(100a)에 고온 냉각수의 유입을 개폐하는 유로조절밸브(111)와, 상기 냉각수공급관(110a)에 구비되어 상기 살수주관(85)에 고온 냉각수의 유입을 개폐하는 유로조절밸브 (112)가 마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구성에 따른 작용과 상세한 효과는, 상기 건식열교환부(100a)의 부가 구성에 따른, 백연저감 작용(배기구(51)를 통해 배출되는 포화습공기를 가열 및 습도를 감소하는 작용) 및 그 효과(백연감소), 건식열교환부 (100a)를 배기영역(14) 내에 배치함에 따른 냉각탑의 높이 단축 효과 이외 다른 작용 및 효과는 전술한 제 1실시예와 대등한 것이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하부급기형 냉각탑에 대한 개략적인 측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 주요부(C-C)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하부급기형 냉각탑(1c)은, 전술 실시예와는 달리, 열교환 영역에 밀폐식 열교환부(15b)를 마련하고 있다.
그리고 케이싱(11)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결합부(35)와, 상기 결합부(35)의 하부에 형성되는 ""자 형상의 외측벽(33), 저벽(32) 및 내측벽(33)과, 상기 내측벽에 구비되는 배출구(34)로 구성되는 외곽집수부(30b)를 마련하고 있다.
또한, 냉각탑의 높이를 단축하는 구조로서, 개구(18)의 하부에 매립되게 배치되며, 배기구(51)와, 상단부에 형성되는 안전가드장착부(53)와, 상기 안전가드장착부(53)의 상단부에 일체하게 구비되며 상기 개구(18)와 인접한 상기 케이싱(11)의 상면에 결합되는 플랜지(52b)와, 하단부 형성되는 나팔관 형상의 흡입구(미부호)로 이루어지는 팬실린더(50a)와, 상기 안전가드장착부(53b)에 장착되는 안전가드(55)와, 상기 배기구(51)에 배치되며 팬블레이드(61)와, 일측은 상기 팬블레이드(61)에 구비된 팬허브(미부호)에 결합되고 타측은 팬풀리(63)에 결합되는 회전축 (62)과, 상기 회전축(62)을 지지하는 베어링블럭(64)으로 이루어지는 송풍팬부(60)와, 모터(71)와, 구동풀리(72)와, 구동벨트(73)로 이루어지는 구동부(70)와, 상기 베어링블럭(64)을 고정하며 양측 단부에 상기 케이싱(11)의 내측벽에 고정되는 결합부재(미부호)를 구비하는 베어링블럭지지부재(65b)와, 상기 모터(71)를 지지하 며, 상기 케이싱(11)의 외측벽 및 상벽에 고정되는 모터지지부(75b)로 구성되는 팬어셈블리(40b)를 마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구성에 따른 작용과 상세한 효과는, 상기 배기공간내(14)에 매립배치되는 팬어셈블리(40b)의 구성에 따른 냉각탑의 높이 단축효과와 상기 케이싱(11)과 불리 및 조립구조의 외곽집수부(30b)의 구성에 따른, 상기 케이싱(11) 및 외곽집수부(30b)의 제조 편리 효과 이외에 다른 작용은 및 효과는 전술한 제 1실시예와 대등한 것이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하부급기형 냉각탑에 대한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하부급기형 냉각탑(1d)은, 전술 실시예와는 달리, 케이싱(11)과 면하는 열교환부(15a)의 외측 하부에서 열교환 영역의 중심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상기 케이싱(11)의 양측에 고정되며, 상측 단부에는 물막이판이 형성되고, 상기 물막이판의 하부에는 하향 경사 안내면을 갖는 안내판을 형성하는 다수의 안내블레이드(21)와, 상기 다수의 안내블레이드(21)의 양측 단부에 결합되는 블레이드고정부재(22b)로 이루어지는 급기안내부(20b)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11) 중앙에 배치되며 하단부에 냉각탑 기초에 고정하는 복수의 고정브래킷(95)을 구비한 집수조(92)와, 상기 외곽집수부(30a)의 저벽(32)을 지지하며 상기 집수조(92)의 상단부 양측에 구비되는 지지플랜지부(93)와, 상기 집수조(92)의 일측벽에 구비되는 냉각수 유출구(91)로 구성되는 중앙집수부(90a)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다수의 전열핀(103)을 수용하는 전열관(102)과, 상기 전열관(102)을 수용하며, 상기 개구(18)와 인접한 상기 케이싱(11)상면에 결합되는 플랜지(105b)를 형성하는 하우징(104)과, 상기 전열관(102)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며 고온 냉각수가 유입되는 냉각수유입구(미부호)가 구비된 냉각수유입헤더(101)와, 상기 전열관(102)의 타측 단부에 결합되며 냉각수유출구(미부호)가 구비된 냉각수유출헤더 (107)로 구성되는 건식열교환부(100b)가 상기 개구(18) 상부에 마련되어 있다.
살수부(80b)와 상기 건식열교환부(100b)로 고온의 냉각수를 안내하며, 상단부는 상기 냉각수유입헤더(101)에 연결되고 하단부에 냉각수유입구(81)가 형성되는 냉각수유입관(83c)에서 분기되어 상기 살수주관(85)으로 고온의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공급관(110a)과, 상기 냉각수유출헤더(107)에 연결되어 상기 살수주관(85)으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공급관(110b)과, 상기 냉각수유입관(83c)에 구비되어 상기 건식열교환부(100a)에 고온 냉각수의 유입을 개폐하는 유로조절밸브 (111)와, 상기 냉각수공급관(110a)에 구비되어 상기 살수주관(85)에 고온 냉각수의 유입을 개폐하는 유로조절밸브(112)를 마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구성에 따른 작용과 상세한 효과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대등한 것이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만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이들 바람직한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부급기형 냉각탑은, 급기구를 통한 비산을 방지할 수 있 고, 결빙 장해를 방지할 수 있으며, 냉각수 오염원의 유입을 감소할 수 있고, 급기 효율을 향상할 수 있으며, 열교환부의 상단면에서 벗어나는 우회유동 냉각수를 용이하게 집수할 수 있고, 집수조 설치면적 및 운전 하중을 감소할 수 있으며, 운전 소음을 감소할 수 있고, 백연을 저감할 수 있으며, 냉각탑 지지를 강화할 수 있고, 용수를 절약할 수 있으며, 냉각탑의 미관을 향상할 수 있으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
1a, 1b, 1c, 1d : 하부급기형 냉각탑 11, 211 : 케이싱
12, 212 : 급기구 13, 213 : 급기영역
14, 214 : 배기영역 15a, 15b, 215 : 열교환부
16, 216 : 엘리미네이터 18 : 개구
19a, 19b : 점검문 20a, 20b : 급기안내부
21 : 안내블레이드 22a, 22b : 블레이드고정부재
25 : 지지부재 30a, 30b : 외곽집수부
31a, 31b : 외측벽 32 : 저벽
33 : 내측벽 34 : 배출구
35 : 결합부 36 : 배출관
37 : 고정볼트 38 : 밀봉재
39 : 너트 40a, 40b, 240 : 팬어셈블리
50a, 50b, 250 : 팬실린더 51 : 배기구
52a, 52b, 105a, 105b : 플랜지 53 : 안전가드장착부
55, 255 : 안전가드 60 : 송풍팬부
61 : 팬블레이드 62 : 회전축
63 : 팬풀리 64 : 베어링블럭
65a, 65b, 265 : 베어링블럭지지부재 70, 270 : 구동부
71 : 모터 72 : 구동풀리
73 : 구동벨트 75a, 75b, 275 : 모터지지부
80a, 80b, 280 : 살수부 81, 281 : 냉각수유입구
82 : 냉각수유입하부기둥관 83a : 냉각수유입상부기둥관
83b : 냉각수유입기둥관 83c : 냉각수유입관
84a, 84b : 냉각수유출헤더 85 : 살수주관
86 : 살수분기관 87 : 살수노즐
90a, 90b : 중앙집수부 91, 291 : 냉각수유출구
92, 290 : 집수조 93 : 지지플랜지부
94 : 청소구 95 : 고정브래킷
100a, 100b : 건식열교환부 101 : 고온냉각수유입헤더
102 : 전열관 103 : 전열핀
104 : 하우징 106 : 흡입확관부
107 : 냉각수유출헤더 110a, 110b : 냉각수공급관
111, 112 : 유로조절밸브 150 : 냉각탑지지대
200 : 대향류형 냉각탑 220 : 루버
12, 212 : 급기구 13, 213 : 급기영역
14, 214 : 배기영역 15a, 15b, 215 : 열교환부
16, 216 : 엘리미네이터 18 : 개구
19a, 19b : 점검문 20a, 20b : 급기안내부
21 : 안내블레이드 22a, 22b : 블레이드고정부재
25 : 지지부재 30a, 30b : 외곽집수부
31a, 31b : 외측벽 32 : 저벽
33 : 내측벽 34 : 배출구
35 : 결합부 36 : 배출관
37 : 고정볼트 38 : 밀봉재
39 : 너트 40a, 40b, 240 : 팬어셈블리
50a, 50b, 250 : 팬실린더 51 : 배기구
52a, 52b, 105a, 105b : 플랜지 53 : 안전가드장착부
55, 255 : 안전가드 60 : 송풍팬부
61 : 팬블레이드 62 : 회전축
63 : 팬풀리 64 : 베어링블럭
65a, 65b, 265 : 베어링블럭지지부재 70, 270 : 구동부
71 : 모터 72 : 구동풀리
73 : 구동벨트 75a, 75b, 275 : 모터지지부
80a, 80b, 280 : 살수부 81, 281 : 냉각수유입구
82 : 냉각수유입하부기둥관 83a : 냉각수유입상부기둥관
83b : 냉각수유입기둥관 83c : 냉각수유입관
84a, 84b : 냉각수유출헤더 85 : 살수주관
86 : 살수분기관 87 : 살수노즐
90a, 90b : 중앙집수부 91, 291 : 냉각수유출구
92, 290 : 집수조 93 : 지지플랜지부
94 : 청소구 95 : 고정브래킷
100a, 100b : 건식열교환부 101 : 고온냉각수유입헤더
102 : 전열관 103 : 전열핀
104 : 하우징 106 : 흡입확관부
107 : 냉각수유출헤더 110a, 110b : 냉각수공급관
111, 112 : 유로조절밸브 150 : 냉각탑지지대
200 : 대향류형 냉각탑 220 : 루버
Claims (7)
- 열교환영역과 급기영역 및 배기영역을 형성하는 케이싱과; 상기 배기영역과 면하게 케이싱의 상부 중앙에 형성되는 개구와; 상기 급기영역과 면하게 상기 케이싱의 측부에 형성되는 급기구와; 상기 급기구에 구비되는 루버와; 상기 열교환영역에 배치되며 개방식 열교환부, 밀폐식 열교환부 또는, 하이브리드식 열교환부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열교환부와; 상기 열교환부 상부에 배치되어 냉각수를 상기 열교환부로 살수하는 살수부와; 상기 살수부 상부에 배치되는 엘리미네이터와; 상기 개구에 설치되며, 배기구와, 상단부에 형성되는 안전가드장착부와, 하단부 흡입구에 형성되는 플랜지로 이루어지는 팬실린더와, 상기 안전가드장착부에 장착되는 안전가드와, 상기 배기구에 배치되며, 팬블레이드와, 일측은 상기 팬블레이드에 구비된 팬허브에 결합되고 타측은 팬풀리에 결합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는 베어링블럭으로 이루어지는 송풍팬부와, 모터와, 구동풀리와, 구동벨트로 이루어지는 구동부와, 상기 베어링블럭을 고정하는 베어링블럭지지부재와, 상기 모터를 지지하는 모터지지부로 구성되는 팬어셈블리를 갖는 대향류형 냉각탑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과 면하는 상기 열교환부의 외측 하부에서 상기 열교환 영역의 중심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상기 케이싱의 양측에 고정되며, 하향 경사 안내면을 갖는 안내판과 상기 안내판의 상측 단부에 형성되는 물막이판으로 구성되는 안내블레이드(21)와, 상기 안내블레이드(21)의 양측 단부에 일체하게 결합되는 블레이드고정부재(22a)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급기안내부(20a) 또는, 다수의 안내블레이드(21)와, 상기 안내블레이드(21)의 양측 단부를 고정하는 삽입공이 형성되는 한 쌍의 블레이드고정부재(22b)로 이루어지는 급기안내부(20b)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급기안내부와;
상기 케이싱의 하단부의 외곽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열교환부의 상면에서 벗어나 우회 유동하는 살수 냉각수를 집수하여 배출하며, 상기 케이싱의 하단부와 일체하게 ""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외측벽(31), 저벽(32) 및 내측벽(33)과, 상기 내측벽(33) 또는, 저벽(32) 중 어느 한 곳에 구비되는 배출구(34)로 구성되는 외곽집수부(30a) 또는, 상기 케이싱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결합부(35)와, 상기 결합부(35)의 하부에 형성되는 ""자 형상의 외측벽(33), 저벽(32) 및 내측벽(33)과, 상기 내측벽(33) 또는, 저벽(32) 중 어느 한 곳에 구비되는 배출구(34)로 구성되는 외곽집수부(30b)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외곽집수부와;
상기 케이싱 중앙에 배치되며 냉각탑 기초에 고정되는 집수조(92)와, 상기 외곽집수부(30a, 30b)의 저벽(32)을 지지하며 상기 집수조(92)의 상단부 양측에 구비되는 지지플랜지부(93)와, 상기 집수조(92)의 일측벽에 구비되는 냉각수 유출구(91)로 이루어지는 중앙 집수부(90a,90b)와;
상기 내측벽(33)과 상기 집수조(92)의 측벽 사이에 형성되는 한 쌍의 급기구(12)와;
상기 저벽(32)을 지지하는 냉각탑지지대(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급기형 냉각탑.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벽(32)을 지지하는 상기 지지플랜지부(93)와 상기 냉각탑지지대(150)에는, 상기 저벽(32)과 상기 지지플랜지부(93) 및 상기 냉각탑지지대(150)를 체결하는 다수의 볼트공 및 고정볼트(37)와, 와셔와, 밀봉재(38) 및 너트(39)를 더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급기형 냉각탑.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34)에는, 상기 외곽집수부(30a, 30b)에 집수되는 냉각수를 상기 집수조(92)로 배출하는 배출관(36)을 더 포함하여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급기형 냉각탑.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팬어셈블리는, 상기 개구의 상부에 노출되게 배치되는 팬어셈블리(40a) 또는, 상기 개구의 상부로 노출되지 아니하게 상기 배기영역 내에 매립 배치되는 팬어셈블리(40b)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급기형 냉각탑.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살수부는, 상기 집수조(92)의 중앙에 기립배치되며, 하단부는 상기 집수조(92)의 바닥에 지지되고, 상단부에는 플랜지가 구비되는 냉각수유입하부기둥관(82)과, 상기 집수조(92)의 타측벽을 관통하여 상기 냉각수유입하부기둥관(82)에 연결되는 냉각수유입구(81)와, 하단부에는 상기 냉각수유입하부기둥관(82)에 연결되는 플랜지가 구비되고 상단부에는 냉각수유출헤더(84a, 84b)가 구비되는 냉각수유입상부기둥관(83a)과, 상기 냉각수유출헤더(84a, 84b)에 연결되는 복수의 살수주관(85)과, 상기 살수주관(85)에 연결되는 다수의 살수분기관(86)과, 상기 살수분기관(86)에 결합되는 다수의 살수노즐(87)로 구성되는 살수부(80a) 또는, 양측에 냉각수유입구가 구비된 살수주관(85)과, 상기 살수주관(85)에 연결되는 다수의 살수분기관(86)과, 상기 살수분기관(86)에 결합되는 다수의 살수노즐(87)로 구성되는 살수부(80b)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급기형 냉각탑.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어느 한곳에는, 상기 배기구와 마주하게 결합되어 상기 배기구를 통해 배출되는 포화습공기를 가열 및 습도를 감소시켜 백연을 저감하며, 다수의 전열핀(103)을 수용하는 전열관(102)과, 상기 전열관(102)을 수용하며 플랜지(105a, 105b)를 형성하는 하우징(104)과, 상기 전열관(102)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며 고온 냉각수가 유입되는 냉각수유입구가 구비된 냉각수유입헤더(101)와, 상기 전열관(102)의 타측 단부에 결합되며 냉각수유출구가 구비된 냉각수유출헤더(107)로 구성되는 건식열교환부(100a, 100b)를 더 포함하여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급기형 냉각탑.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4)의 하단부에는, 배기의 흡입을 원활하게 하는 흡입확관부(106)를 더 포함하여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급기형 냉각탑.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14462A KR101082791B1 (ko) | 2011-02-18 | 2011-02-18 | 하부급기형 냉각탑 |
CN201210039267.2A CN102645108B (zh) | 2011-02-18 | 2012-02-20 | 下部供气型冷却塔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14462A KR101082791B1 (ko) | 2011-02-18 | 2011-02-18 | 하부급기형 냉각탑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82791B1 true KR101082791B1 (ko) | 2011-11-11 |
Family
ID=45397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14462A KR101082791B1 (ko) | 2011-02-18 | 2011-02-18 | 하부급기형 냉각탑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082791B1 (ko) |
CN (1) | CN102645108B (ko)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620597A (zh) * | 2012-04-20 | 2012-08-01 | 魏忠信 | 底部进风的闭式冷却塔 |
KR101296573B1 (ko) * | 2012-02-21 | 2013-08-14 | 서호성 | 냉각기용 송풍팬 조립체 |
KR101338648B1 (ko) | 2012-03-18 | 2013-12-06 | 서종대 | 대향류형 냉각탑 |
KR101338641B1 (ko) | 2012-02-21 | 2013-12-06 | 서호성 | 직교류형 냉각탑 |
KR101338650B1 (ko) | 2012-02-21 | 2013-12-09 | 서호성 | 직교류형 냉각탑 |
CN104724410A (zh) * | 2013-12-24 | 2015-06-24 | 布勒(常州)机械有限公司 | 逆流式冷却器排料机构 |
CN108468613A (zh) * | 2018-05-20 | 2018-08-31 | 广州百兆通用设备有限公司 | 一种水轮机、水轮机离合传动装置以及冷却塔水冷方法 |
CN109945675A (zh) * | 2019-03-18 | 2019-06-28 |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 导流装置及冷却塔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697718B (zh) * | 2013-10-12 | 2015-09-30 | 西安工程大学 | 电厂空冷用闭式蒸发冷却冷水机组喷雾降温系统 |
CN111735322B (zh) * | 2020-07-03 | 2021-10-08 | 深圳市旷世伟业工程有限公司 | 一种中央空调冷却塔降噪结构及其方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173769A (ja) | 1997-12-16 | 1999-07-02 | Takasago Thermal Eng Co Ltd | 向流型冷却塔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212519B2 (ja) * | 1996-10-23 | 2001-09-25 | 神鋼パンテツク株式会社 | 冷却塔およびその温水分配管 |
JP3268234B2 (ja) * | 1997-06-13 | 2002-03-25 | 日本スピンドル製造株式会社 | クーリングタワー |
CN101592445A (zh) * | 2009-04-22 | 2009-12-02 | 林义雄 | 冷却器 |
CN101865614A (zh) * | 2010-06-19 | 2010-10-20 | 上虞市联冷玻璃钢有限公司 | 梯级进风喷雾高效冷却塔 |
CN101975517B (zh) * | 2010-11-26 | 2012-08-22 | 南京化工职业技术学院 | 循环水冷却塔 |
-
2011
- 2011-02-18 KR KR1020110014462A patent/KR101082791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2
- 2012-02-20 CN CN201210039267.2A patent/CN102645108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173769A (ja) | 1997-12-16 | 1999-07-02 | Takasago Thermal Eng Co Ltd | 向流型冷却塔 |
Cited B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96573B1 (ko) * | 2012-02-21 | 2013-08-14 | 서호성 | 냉각기용 송풍팬 조립체 |
KR101338641B1 (ko) | 2012-02-21 | 2013-12-06 | 서호성 | 직교류형 냉각탑 |
KR101338650B1 (ko) | 2012-02-21 | 2013-12-09 | 서호성 | 직교류형 냉각탑 |
KR101338648B1 (ko) | 2012-03-18 | 2013-12-06 | 서종대 | 대향류형 냉각탑 |
CN102620597A (zh) * | 2012-04-20 | 2012-08-01 | 魏忠信 | 底部进风的闭式冷却塔 |
CN102620597B (zh) * | 2012-04-20 | 2013-06-05 | 北京朗博科科技发展有限公司 | 底部进风的闭式冷却塔 |
CN104724410A (zh) * | 2013-12-24 | 2015-06-24 | 布勒(常州)机械有限公司 | 逆流式冷却器排料机构 |
CN104724410B (zh) * | 2013-12-24 | 2017-05-17 | 布勒(常州)机械有限公司 | 逆流式冷却器排料机构 |
CN108468613A (zh) * | 2018-05-20 | 2018-08-31 | 广州百兆通用设备有限公司 | 一种水轮机、水轮机离合传动装置以及冷却塔水冷方法 |
CN108468613B (zh) * | 2018-05-20 | 2024-03-19 | 广州百兆通用设备有限公司 | 一种水轮机、水轮机离合传动装置以及冷却塔水冷方法 |
CN109945675A (zh) * | 2019-03-18 | 2019-06-28 |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 导流装置及冷却塔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2645108B (zh) | 2014-08-06 |
CN102645108A (zh) | 2012-08-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82791B1 (ko) | 하부급기형 냉각탑 | |
KR100931272B1 (ko) | 모듈형 냉각탑 | |
AU2018324521B2 (en) | Water collection arrangement | |
KR100834903B1 (ko) | 백연감쇄 흡입통풍식냉각탑 | |
CN208042402U (zh) | 工业空调 | |
KR101338641B1 (ko) | 직교류형 냉각탑 | |
KR100645227B1 (ko) | 공기유동 통제부재를 갖는 직교류 냉각탑 | |
KR100645228B1 (ko) | 돌출형 살수챔버를 갖는 직교류냉각탑 | |
KR101338650B1 (ko) | 직교류형 냉각탑 | |
KR101694122B1 (ko) | 다단직교류형냉각탑 | |
KR101952532B1 (ko) | 압입송풍형 냉각탑 | |
KR100479838B1 (ko) | 실내용 냉각탑 | |
KR101895937B1 (ko) | 압입송풍형 대향류냉각탑 | |
KR100328739B1 (ko) | 루버 내장형 냉각탑 | |
KR200390617Y1 (ko) | 공기흡입구의 결빙 및 이물질 제거장치 | |
CN216159677U (zh) | 一种全封闭的逆流多风机鼓风式冷却塔 | |
CN212812272U (zh) | 一种智能售电管理装配箱 | |
CN213335654U (zh) | 一种空气预冷空冷器 | |
CN219977146U (zh) | 一种横流开式冷却塔 | |
CN217383861U (zh) | 一种节水消雾冷却塔 | |
CN216977590U (zh) | 四面进风闭式横流冷却塔 | |
KR200297204Y1 (ko) | 실내용 냉각탑 | |
CN118602817A (zh) | 干湿联合冷却塔 | |
JP3683380B2 (ja) | 直交流式熱交換塔 | |
KR200315258Y1 (ko) | 조경화 냉각탑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AMND | Amendm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107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109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03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07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