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2532B1 - 압입송풍형 냉각탑 - Google Patents

압입송풍형 냉각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2532B1
KR101952532B1 KR1020180014287A KR20180014287A KR101952532B1 KR 101952532 B1 KR101952532 B1 KR 101952532B1 KR 1020180014287 A KR1020180014287 A KR 1020180014287A KR 20180014287 A KR20180014287 A KR 20180014287A KR 101952532 B1 KR101952532 B1 KR 1019525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upply
cooling
supply channel
water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4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종대
이병천
Original Assignee
(주)풍천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풍천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풍천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80014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25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2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25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C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OUT CHEMICAL INTERACTION
    • F28C1/00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 F28C1/02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with counter-current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C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OUT CHEMICAL INTERACTION
    • F28C1/00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 F28C1/16Arrangement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precipitation or mist formation, outside the coo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5/00Component parts of trickle coolers
    • F28F25/02Component parts of trickle coolers for distributing, circulating, and accumulating liquid
    • F28F25/06Spray nozzles or spray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5/00Component parts of trickle coolers
    • F28F25/02Component parts of trickle coolers for distributing, circulating, and accumulating liquid
    • F28F25/08Splashing boards or grids, e.g. for converting liquid sprays into liquid films; Elements or beds for increasing the area of the contact surf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5/00Component parts of trickle coolers
    • F28F25/10Component parts of trickle coolers for feeding gas or vapour
    • F28F25/12Ducts; Guide vanes, e.g. for carrying currents to distinct zo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5/00Component parts of trickle coolers
    • F28F2025/005Liquid collection; Liquid treatment; Liquid recirculation; Addition of make-up liq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각수를 냉각하거나 냉매를 냉각응축하며, 열교환부가 배치되는 열교환영역(15), 냉각수를 상기 열교환부로 살수하는 살수부(50)가 배치되는 살수영역(16) 및 급기채널을 형성하는 장변측 케이싱(10a)과 단변측 케이싱(10b); 열교환부를 통과한 냉각수를 집수하는 집수조(61)와 냉각수유출구(62)로 구성되는 집수부(60); 열교환영역(15)과 살수영역(16)을 양측으로 분할(구획)하며, 상단은 장변측 케이싱(10a)의 상단면과 같게 고정되고, 하단은 열교환영역(15)의 하부로부터 소정의 깊이로 연장되게 고정하며, 양측 단부는 양측 장변 측케이싱(10a)의 내측면에 고정되어 장변측 케이싱(10a)을 지지하는 채널분할격벽(21); 급기채널을 소정의 높이로 하여 하측은 제1급기채널(12)로, 상측은 제2급기채널(13)로 분할(구획)하며, 하단은 제1급기채널(12)과 제2급기채널(13)의 중간과 대면하는 단변측 케이싱(10b)의 하단고정부(18a)에 고정되고, 상단은 채널분할격벽(21) 하부의 상단고정 부(18b)에 고정되며, 제1급기채널(12)과 제2급기채널(13) 각각으로 유동하는 급기를 안내함과 동시에 제2급기채널(13)을 통해 낙하하는 냉각수를 안내하는 안내면을 형성하고, 안내면을 따라 유동하는 냉각수를 집수조(61)로 배출하는 배출부가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유체안내판(26a, 26b, 26c, 26d)으로 이루는 유체안내부(25a, 25b, 25c, 25c', 25d); 상기 채널분할격벽(21)과 상기 유체안내부(25a, 25b, 25c, 25c', 25d)로 구성되는 채널구획부(20a, 20b, 20c); 제1급기채널(12)과 제2급기채널(13) 각각에 급기하며, 제1급기채널(12) 및 제2급기채널(13) 각각의 단변측 케이싱(10b)에 형성되는 제1장착개구(10ca)에 장착되거나, 제1급기채널(12)의 단변측 케이싱(10b)에 형성되는 급기구(19a) 내측의 유체안내판 하부에 구비되어 급기구(19a)와 제1급기채널(12)을 구획하는 격벽(11a)에 형성된 제2장착개구(10cb)와 제2급기채널(12)의 제1장착개구(10ca)에 장착되는 복수의 송풍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입송풍형 냉각탑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압입송풍형 냉각탑{Forced draft type cooling tower}
본 발명은, 냉각수의 냉각 또는 냉매를 냉각응축하는 압입송풍형 냉각탑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급기채널을 제1급기채널(12)과 제2급기채널(13)로 구획하고, 저면에는 제1급기채널(12)로 유동하는 냉각공기를 안내함과 동시에 상면에는 제2급기채널(13)로 유동하는 냉각공기와 냉각수의 유동을 안내하며, 제2급기채널(13)의 열교환부로부터 낙하되는 냉각수를 집수조(61)로 배출하는 배출부가 구비되는 채널구획부, 제1급기채널(12) 및 제2급기채널(13)과 대면하는 단편측 케이싱(10b)에 형성되는 제1장착개구(10ca)에 장착되거나, 제2급기채널(13)과 대면하는 단편측 케이싱(10b)에 형성되는 급기구(19a) 내측에 구비되는 격벽(11a)에 형성되는 제2장착개구(10cb)에 복수의 송풍팬부를 장착하는 냉각탑의 구조에 따라, 제1급기채널(12)과 제2급기채널(13)을 간편하고 경제적인 구조로 구획할 수 있고, 냉각탑의 대형화가 용이하며, 제1급기채널(12)과 제2급기채널(13)사이에 작업자의 출입, 보수공간 및 배관설치의 다용도공간(90)을 제공할 수 있고, 냉각탑의 설치 및 냉각공기흡입공간(19c)의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다수의 냉각탑을 간편하게 연속적으로 확장 배치할 수 있고, 급기채널내에서 급기의 송풍 난류 및 유동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냉각유체의 유동 불균형(편향)을 방지하여 열교환효율을 향상할 수 있고, 고온배기의 재순환을 감소시키어 열교환 효율 저하를 억지할 수 있으며, 안정적인 냉각수량을 집수할 수 있고, 냉각부하에 따라 각 급기채널별 독립적 냉각운전을 할수 있으며, 일측 급기채널내의 구성이 고장이거나 정비시에도 타측 급기채널내의 구성은 냉각운전을 계속 할 수 있고, 일부 송풍팬부의 고장시에도 그 나머지 송풍팬부들로 냉각운전이 유지되며, 소비동력을 절감할 수 있고, 유지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압입송풍형 냉각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설비 및 냉동. 냉장장치 등에서 운전되는 냉동기나 산업용 열교환기는 제거되어야 하는 폐열을 수반하며, 이 폐열은 냉각탑을 유동하는 고온유체(또는 냉매)로부터 냉각공기로 전달되어 대기로 배출된다.
이러한 냉각탑의 폐열 제거방식(heat rejection type)은, 고온유체와 냉각공기가 직접접촉하며 열교환을 이루는 습식냉각 개방식 열교환부(wet cooling open type heat exchanger)에서 고온유체(hot fluid) 일부가 증발되면서 발생되는 증발잠열에 의해 고온유체를 냉각하는 증발냉각(evaporative cooling),
고온유체(또는 냉매)와 냉각공기 및 냉각수가 간접접촉하며 열교환을 이루는 습식냉각 밀폐식 열교환부(wet cooling closed circuit type heat exchanger)에서 밀폐된 전열관(heat transfer tube)의 외표면을 유동하는 공기와 냉각수의 접촉을 통해 전열관내를 유동하는 고온유체(또는 냉매)를 냉각(또는 응축)하는 간접접촉 증발냉각(evaporative cooling), 전열관 내를 유동하는 고온유체의 폐열을 관벽(tube wall)을 통해 고온유체 보다 온도가 낮은 냉각공기에 전달하여 현열(sensible heat)로 고온유체를 냉각하는 건식냉각(dry cooling), 습식냉각 열교환부와 건식냉각 열교환부를 조합한 혼식열교환부(hybrid cooling type heat exchanger)를 통해 고온유체를 냉각하는 습-건식 혼식냉각(hybrid cooling)으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냉각작용은, 액체(고온유체, 냉각오일 등)의 온도를 낮추는 유체냉각(fluid cooling)과, 기체(냉매가스, 증기 등)를 냉각하여 응축하는 유체응축(fluid condense)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냉각공기와 냉각유체의 유동 방식은, 냉각공기는 상향으로 유동되고 냉각유체는 하향으로 유동되는 대향류형(counter flow type), 냉각공기는 수평으로 유동되고 냉각유체는 하향으로 유동되는 직교류형(cross flow type), 냉각공기와 냉각유체와 같은 방향으로 유동되는 평행류형(parallel flow type)으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통풍방식은, 자연 대기의 풍력 또는 탑(tower)의 내외 공기 밀도차에 의한 상승 풍력을 이용하는 자연통풍식(natural draft type), 송풍팬을 통해 공기를 강제 통풍하는 기계통풍식(mechanical draft type), 이젝터(ejector)의 냉각유체 분사 유인력을 이용하여 통풍하는 이젝터 통풍식(ejector draft type)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송풍방식은, 열교환부에서 열교환을 마친 고온의 냉각공기(이하에서는 "배기"라 한다.)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흡입 송풍식(induced draft type), 냉각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부로 압입 송풍하고 열교환부에서 열교환을 마친 배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압입송풍식(forced draft type)으로 구분될 수 있다.
배기의 토출방식은, 팬데크에 수직으로 구성된 팬실린더(fan cylinder)를 통해 수직 상향으로 배기하는 수직 배기식(vertical exhaust type), 측부 케이싱에 수평으로 구성된 팬실린더를 통해 수평으로 배기하는 수평 배기식(horizontal exhaust type)으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송풍팬 방식은, 일반적으로 흡입통풍식에 적용되는 축류형 팬(axial type fan)과, 압입송풍식에 적용되는 원심형 팬(centrifugal type fan)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송풍팬의 구동방식은, 벨트구동식(belt drive type), 감속기구동식(gear reducer drive type), 직결구동식(direct drive type)으로 구분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대상이 되는 종래기술의 압입송풍형 냉각탑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압입송풍형 냉각탑의 구성은 미국의 냉동공조기술협회(ASHRAE)의 문헌인 2000 ASHRAE System and Equipments Handbook, CHAPTER 35.Condensers와 CHAPTER 36.Cooling towers에서 인용한 참고도 1.과 같고, 압입송풍형 냉각탑의 급기채널, 팬토출구 및 집수조의 전형적인 구조는 참고사진 1.과 같다.
참고도 1. 압입송풍형 냉각탑의 구성
Figure 112018110794836-pat00001
참고 사진 1. 압입송풍형 냉각탑의 급기채널 및 팬토출구
Figure 112018110794836-pat00002
압입송풍형 냉각탑은 흡입통풍식 냉각탑대비 설치면적 감소(약 15~20% 감소), 장애물이 있는 실외 설치의 용이(편흡입 급기구조), 실내설치 용이(이 경우 덕트로 급.배기), 철재구조이므로 환경유발 감소 등 장점이 있는 반면에,
①흡입송풍 냉각탑 대비 저속배기 및 배기구의 구조상 고온배기의 재순환(recirculation) 증가로 열교환 효율저하.
참고도 1. 및 참고사진 1.에서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②격벽을 관통한 팬토출구내로 낙하되는 냉각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향 경사진 팬토출구를 장변(longitudinal) 측 케이싱과 근접하게 연장하고 격벽과 장변측 케이싱사이에 급기채널을 형성하는 구조로 급기채널의 협소.
③토출 급기가 팬토출구와 마주하는 장변측 케이싱내벽에 부디친 후 상하, 좌우, 팬토출구 방향으로 확산되면서 열교환부로 유동되는 급기 구조로서 급기의 난류 및 유동저항 증가에 따른 소비동력 증가(통상 흡입통풍식 냉각탑 대비 압입송풍형 냉각탑의 소비동력은 약 200~300% 증가됨).
④격벽과 케이싱사이 하단부에 구성되는 집수조의 구조상 집수용량의 한계로 냉각수 순환에 불안정(수위가 불충분할 때 냉각수 순환계에 공기 유입 및 순환 냉각수량의 변동에 따른 넘침 등)과 팬 토출구의 하향 급기에 의한 집수조 수면에 파동 발생.
⑤장변측의 케이싱 일측에 송풍팬부를 구성하는 편흡입 냉각탑구조로서, 다수의 냉각탑을 장변측 케이싱에 붙히어 2대이상 연속 확장 배치할 수 없고, 1대 또는 냉각탑의 송풍팬부 측이 상호 외향하게하여 2대의 냉각탑을 확장 배치하는 어느 경우라도 송풍팬부의 외측 방향으로 소정 간격의 냉각공기흡입공간을 구비함에 따른 전체적인 설치면적(냉각탑 면적 + 냉각공기흡입공간 면적)증가.
⑥하향 토출기류에 의하여 집수조의 냉각수 표면에 파동을 일으켜, 수위 변동에 따라 개폐되는 급수 볼탭(ball tap)의 작동에 부작용(파동에 의한 급수개폐 빈도증가, 용수손실 및 볼탭 손상 초래)을 발생시키는 등의 단점을 가지고 있다.
다음은, 본 발명과 같이, 압입송풍형 냉각탑 구조를 갖는 종래기술의 압입송풍형 냉각탑(이하에서는 "종래기술"이라 칭한다.)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는 종래 압입송풍형 냉각탑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고, 도 15는 도 14 종래 압입송풍형 냉각탑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며, 도 16은 도 14 종래 압입송풍형 냉각탑의 송풍팬부 배치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17은 도 14 압입송풍형 냉각탑의 다수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종래기술의 압입송풍형 냉각탑(2a)은, 열교환영역(15), 살수영역(16) 및 급기채널(14)을 형성하는 장변측 케이싱(10a), 단변(transverse)측 케이싱(10b) 및 격벽(11b); 상기 장변측 케이싱(10a)에 마련되는 급기구(19a); 상기 케이싱(10a,10b)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배기구(17); 상기 열교환영역(15)에 배치되는 열교환부(30a); 상기 열교환부(30a)의 상부에 형성되는 살수영역(16)에 배치되어 공급되는 냉각수를 상기 열교환부(30a)로 살수하며 일측에 냉각수유입구(41)를 갖는 살수주관(42), 상기 살수주관(42)으로부터 분기되는 살수분기관(43), 상기 살수분기관(43)에 결합되는 다수의 살수노즐(44)로 구성되는 살수부(40); 상기 살수부(40)의 상부에 구비되어 비산되는 물방울을 회수하는 엘리미네이터(45); 팬룸(19b)을 구획하는 상기 격벽(11b)에 형성된 개구(10c)를 관통하여 장착되며 각형의 급기토출구(54b)를 갖는 팬하우징(51b), 상기 팬하우징(51b)에 수용되는 원심형 송풍팬(52b), 상기 송풍팬(52b)을 간접구동하는 팬모터(53b)로 구성되는 송풍팬부(50c);
급기방향의 상기 장변측 케이싱(10a)의 내측면과 상기 경사형 격벽(11b) 사이의 하부에 구성되며 집수조(61')와, 상기 집수조(61')의 일영역에 구비되는 냉각수유출구(62)로 구성되는 집수부(60')를 포함하는 압입송풍형 냉각탑(2a)을 마련하고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장변측 케이싱(10a) 사이에는, 한 쌍의 장변측 케이싱(10a)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급기채널(14)의 팽창 및 수축 변형을 방지 하기위하여 복수의 지지빔(19d)을 장착하고 있다.
위와같이, 종래기술은, 장변측 케이싱(10a) 일측에 복수의 송풍팬부(50c)를 구성 및 하나의 급기채널(14)을 갖는 냉각탑 구조로서,
냉각탑의 대형화가 곤란하고, 2대 이상 다수의 냉각탑을 연속적으로 붙이어 확장 배치할 수 없으며,
도면 14에서 나타내고 있는 바와같이, 경사형 격벽(11b)과 장변측 케이싱(10a) 사이에 형성되는 협소한 급기채널(14)과 급기토출구(54b)내로 낙하되는 냉각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급기토출구(54b)를 장변측 케이싱(10a) 내측면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구조에 따라, 토출 급기가 장변측 케이싱(10a) 내벽에 부디친 후 상하, 좌우, 급기토출구(54b) 방향으로 확산되면서 열교환부(30a)로 유동되므로 급기의 난류 및 유동저항이 증가되어 냉각공기의 유동 편향(불균형)과 소비동력을 증가(통상 흡입통풍식 냉각탑 대비 압입송풍형 냉각탑의 소비동력은 약 200~300% 증가됨)시킬 수 있고,
열교환영역(15)의 단면적 그대로를 배기구(17)로 이용하는 구조상, 열교환을 마친 저속의 고온배기가 상기 배기구(17)와 인접한 급기구(19a)로 재순환(recirculation)되어 열교환 효율을 저하(재순환의 정도에 따라 크게는 25% 정도의 냉각탑 열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으며,
도면 14.에서 나타내고 있는 바와같이, 경사형 격벽(11b)과 장변측 케이싱(10a)사이 하단부에 구성되는 제한된 체적의 집수부(60')의 구조상 집수용량의 한계로 냉각수 순환에 불안정(수위가 부족할 때 냉각수 순환계에 공기 유입, 순환 냉각수량의 증감 변동에 따른 냉각수의 넘침 및 부족 등)을 초래할 수 있고,
상기 급기토출구(54b)의 하향 토출기류에 의하여 집수부(60')의 냉각수 표면에 파동을 일으켜 수위변동에 따라 개폐되는 급수 볼탭(ball tap)의 작동에 부작용(파동에 의한 급수개폐 빈도증가, 용수손실 및 볼탭 손상 초래)을 발생 시킬수 있으며,
냉각탑 1대 또는 냉각탑의 송풍팬부(50c) 측이 상호 외향하게 하여 2대의 냉각탑을 붙이어 확장 배치하는 어느 경우라도 도면 17. 에서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송풍팬부(50c)의 외부 방향으로 소정 간격의 냉각공기흡입공간(19c)을 구비함에 따른 전체적인 설치면적(냉각탑 면적 + 냉각공기흡입공간 면적)이 증가될 수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물론, 냉각탑의 단면적 크기를 더 크게 개선하여 급기채널(14)의 용적을 증가시키어 급기의 난류 및 유동저항을 좀 더 감소시키고,
집수부(60')의 크기도 증가시킬 수는 있겠지만, 이 경우 그 개선에 따라 냉각탑의 설치면적이 증가되어 압입송풍형 냉각탑의 제1 장점인 설치면적 감소가 곤란해지므로 그 개선에는 제약이 따른다.
위와 같은 압입송풍형 냉각탑의 문제점들은 설치면적을 줄인다는 대명제하에 압입송풍식 구조에서 불가피한 전형적인 문제로 두어 압입송풍형 냉각탑이 개발된 이래 그 기본구조인, 장변측 케이싱(10a) 일측에 복수의 송풍팬부(70c)를 구성, 경사형 격벽(11b)과 장변측 케이싱(10a)사이에 형성되는 협소한 급기채널(14), 격벽(11b)과 장변측 케이싱(10a)사이 하단부에 구성되는 협소한 집수부(60') 및 급기토출구(54b)를 장변측 케이싱(10a) 내측면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하는 구성 내지 그 구조는 현재까지 거의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
(ASHRAE 2000 Hvac Systems And Equipment Handbook) CHAPTER 35 CONDENSERS: Fig. 11 Functional View of Evaporative Condenser CHAPTER 36 COOLING TOWERS: Fig. 11 Factory-Assembled Counterflow Forced-Draft Towe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급기채널을 제1급기채널(12)과 제2급기채널(13)로 구획하고, 저면에는 제1급기채널(12)로 유동하는 냉각공기를 안내함과 동시에 상면에는 제2급기채널(13)로 유동하는 냉각공기와 냉각수의 유동을 안내하며, 제2급기채널(13)의 열교환부로부터 낙하되는 냉각수를 집수조(61)로 배출하는 배출부가 구비되는 채널구획부, 제1급기채널(12) 및 제2급기채널(13)과 대면하는 단편측 케이싱(10b)에 형성되는 제1장착개구(10ca)에 장착되거나, 제2급기채널(13)과 대면하는 단편측 케이싱(10b)에 형성되는 제1장착개구(10ca)와 제1급기채널(12)의 급기구(19a) 내측에 구비되는 격벽(11a)에 형성되는 제2장착개구(10cb)에 복수의 송풍팬부를 장착하는 냉각탑의 구조에 따라,
제1급기채널(12)과 제2급기채널(13)을 간편하고 경제적인 구조로 구획할 수 있고,
냉각탑의 대형화가 용이하며,
제1급기채널(12)과 제2급기채널(13)사이에 작업자의 출입, 보수공간 및 배관설치의 다용도공간(90)을 제공할 수 있고,
냉각탑의 설치 및 냉각공기흡입공간(19c)의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다수의 냉각탑을 간편하게 연속적으로 확장 배치할 수 있고,
급기채널내에서 급기의 송풍 난류 및 유동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냉각유체의 유동 불균형(편향)을 방지하여 열교환효율을 향상할 수 있고,
고온배기의 재순환을 감소시키어 열교환 효율 저하를 억지할 수 있으며,
안정적인 냉각수량을 집수할 수 있고,
냉각부하에 따라 각 급기채널별 독립적 냉각운전을 할수 있으며,
일측 급기채널내의 구성이 고장이거나 정비시에도 타측 급기채널내의 구성은 냉각운전을 계속 할 수 있고,
일부 송풍팬부의 고장시에도 그 나머지 송풍팬부들로 냉각운전이 유지되며,
소비동력을 절감할 수 있고,
유지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압입송풍형 냉각탑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냉각수를 냉각하거나 냉매를 냉각응축하며, 열교환부가 배치되는 열교환영역(15), 냉각수를 상기 열교환부로 살수하는 살수부(50)가 배치되는 살수영역(16) 및 급기채널을 형성하는 장변측 케이싱(10a)과 단변측 케이싱(10b)
상기 열교환부를 통과한 냉각수를 집수하는 집수조(61)와 냉각수유출구(62)로 구성되는 집수부(60);
상기 열교환영역(15)과 살수영역(16)을 양측으로 분할(구획)하며, 상단은 상기 장변측 케이싱(10a)의 상단면과 같게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열교환영역(15)의 하부로부터 소정의 깊이로 연장되게 고정하며,
양측 단부는 양측 장변측 케이싱(10a)의 내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장변측 케이싱(10a)을 지지하는 채널분할격벽(21);
상기 급기채널을 소정의 높이로 하여 하측은 제1급기채널(12)로, 상측은 제2급기채널(13)로 분할(구획)하며, 하단은 상기 제1급기채널(12)과 제2급기채널(13)의 중간과 대면하는 상기 단변측 케이싱(10b)의 하단고정부(18a)에 고정되고, 상단은 상기 채널분할격벽(21) 하부의 상단고정부(18b)에 고정되며,
상기 제1급기채널(12)과 제2급기채널(13) 각각으로 유동하는 급기를 안내함과 동시에 상기 제2급기채널(13)을 통해 낙하하는 냉각수를 안내하는 안내면을 형성하고, 상기 안내면을 따라 유동하는 냉각수를 상기 집수조(61)로 배출하는 배출부가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유체안내판(26a, 26b, 26c, 26d)으로 이루는 유체안내부(25a, 25b, 25c, 25c', 25d);
상기 채널분할격벽(21)과 상기 유체안내부(25a, 25b, 25c, 25c', 25d)로 구성되는 채널구획부(20a, 20b, 20c);
상기 제1급기채널(12)과 제2급기채널(13) 각각에 급기하며, 상기 제1급기채널(12) 및 제2급기채널(13) 각각의 단변측 케이싱(10b)에 형성되는 제1장착개구(10ca)에 장착되거나,
상기 제1급기채널(12)의 단변측 케이싱(10b)에 형성되는 급기구(19a) 내측의 상기 유체안내판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급기구(19a)와 제1급기채널(12)을 구획하는 격벽(11a)에 형성된 제2장착개구(10cb)와 상기 제2급기채널(12)의 제1장착개구(10ca)에 장착되는 복수의 송풍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입송풍형 냉각탑을 제공한다.
여기서, 장변측 케이싱(10a)과 단변측 케이싱(10b)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측에는 작업자가 점검 및 보수를 위해 상기 제1급기채널(12)과 제2급기채널(13)로 출입할 수 있도록 점검문(29b)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열교환영역(15)과 살수영역(16)은 채널분할격벽(21)을 통해 양측으로 수직 분할(구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면에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채널분할격벽(21)의 하부에는 상단고정부(18b)가 구비되고 유체안내판의 상단에는 상기 상단고정부(18b)에 고정되는 고정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채널분할격벽(21)의 양측 단부에는 상기 장변측 양측 케이싱(10a) 내측면에 고정되는 고정 플랜지 또는 브래킷(bracket) 중 어느 하나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채널분할격벽(21)은, 상기 단변측 양측 케이싱(10b)의 내측에 형성되는 열교환영역의 중앙을 구획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 제1급기채널(12) 및 제2 급기채널(13)의 넓이를 넓히거나 좁힐시 그에 따라 가변적으로 열교환영역을 구획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일측 단부에는 상기 단변측 케이싱(10b)의 하단고정부(18a)에 고정되는 고정부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유동되는 냉각수가 팬방향으로 몰리는 것을 제지함과 동시에 하측 배출부(22a)로 유입되는 냉각수를 상기 집수조(61)로 안내하는 흐름제지부(28)를 형성하며 급기방향으로 하향 경사면의 안내면을 형성하는 유체안내판(26a)을 갖는 하부 유체안내부(25a),
하단부에는 상기 하측 배출부(22a)로 냉각수를 안내하는 안내굴곡부(27)가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냉각수가 상측 배출부(22a')를 넘어 유동되는 것을 제지함과 동시에 상기 상측 배출부(22a')로 유입되는 냉각수를 상기 집수조(61)로 안내하는 흐름제지부(28)를 형성하며 상기 송풍팬 방향으로 하향곡면의 안내면을 형성하는 유체안내판(26b)을 갖는 중간 유체안내부(25b),
하단부에는 상기 상측 배출부(22a')로 냉각수를 안내하는 안내굴곡부(27)가 형성되고 상단부는 상기 채널분할격벽(21) 하부의 상단고정부(18b)에 고정되는 고정부가 형성되며 송풍팬 방향으로 하향 곡면의 안내면을 형성하는 유체안내판(26c)을 갖는 상부 유체안내부(25c)로 이루는 유체안내부 또는,
상기 하부 유체안내부(25a), 하단부에 하측 배출부(22b)로 냉각수가 넘치는 것을 차단함과 동시에 배출을 위한 일시적인 집수공간을 형성하는 흐름제지부(28')가 구비되고 상단부는 상기 채널분할격벽(21) 하부의 상단고정부(18b)에 고정되는 고정부가 형성되며 송풍팬 방향으로 하향곡면의 안내면을 형성하는 유체안내판(26c)을 갖는 상부 유체안내부(25c')로 이루는 유체안내부 또는,
상기 하부 유체안내부(25a), 하단부는 하측 배출부(22c)로 냉각수를 안내하는 안내굴곡부(27)가 형성되고 상단부는 상기 채널분할격벽(21) 하부의 상단고정부(18b)에 고정되는 고정부가 형성되며 송풍팬 방향으로 하향 경사면의 안내면을 형성하는 유체안내판(26d)을 갖는 상부 유체안내부(25d)로 이루는 유체안내부 또는,
하단부에 상기 집수조(61)의 수면내로 냉각수를 안내하는 안내굴곡부(27)가 형성되고, 상단부는 상기 채널분할격벽(21) 하부의 상단고정부(18b)에 고정되는 고정부가 형성되며, 송풍팬 방향으로 하향 곡면의 안내면을 형성하는 유체안내판(26e)을 갖는 한 쌍의상기 하부 유체안내부(25a), 하단부는 하측 배출부(22c)로 냉각수를 안내하는 안내굴곡부(27)가 형성되고 상단부는 상기 채널분할격벽(21) 하부의 상단고정부(18b)에 고정되는 고정부가 형성되며 송풍팬 방향으로 하향 경사면의 안내면을 형성하는 유체안내판(26d)을 갖는 상부 유체안내부(25d)로 이루는 유체안내부 또는, 유체안내부(25e)로 이루는 유체안내부 또는,
하단부에 상기 집수조(61)의 수면내로 냉각수를 안내하는 안내 굴곡부(27)가 형성되고, 상단부는 상기 채널분할격벽(21) 하부의 상단고정부(18b)에 고정되는 고정부가 형성되며 송풍팬방향으로 하향 경사면의 안내면을 형성하는 유체안내판(26f)을 갖는 한 쌍의 유체안내부(25e)로 이루는 유체안내부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단고정부(18a)는, 상기 제1급기채널(12)의 송풍팬부(50a)와 상기 제2급기채널(12)의 송풍팬부(50a, 50b) 사이의 상기 단변측 케이싱(10a)의 내측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상단고정부(18b)는, 상기 채널분할격벽(21)의 하부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유체안내판(26a)의 하단은 상기 하단고정부(18a)와 대응하는 상기 단변측 케이싱(10b)의 내측면에 고정 플랜지나 브래킷으로 이루는 장착부재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체안내판(26c, 26d, 26e, 26f)의 상단은 상기 상단고정부(18b)와 대응하는 상기 장변측 케이싱(10a) 내측면에 고정 플랜지나 브래킷으로 이루는 장착부재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체안내판(26b, 26c, 26d, 26e, 26f)에는, 작업자가 상기 제1급기채널(12)과 상기 제2급기채널(13) 간을 출입할 수 있는 개구(10d)와 점검문(29a)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하측 배출부는, 상기 유체안내판(26a)에 형성된 흐름제지부(28)의 단부와 상기 유체안내판(26b)에 형성된 안내굴곡부(27) 단부 사이에 평행하는 간극으로 이루는 하측 배출부(22a),
상기 유체안내판(26a)에 형성된 흐름제지부(28)와 상기 유체안내판(26c)에 형성된 흐름제지부(28')로 형성하는 집수공간으로 이루는 하측 배출부(22b) 또는,
하하단부에는 상기 하측 배출부(22c)로 냉각수를 안내하는 안내굴곡부(27)가 형성되고 상단은 상기 상단고정부(18b)에 고정되며 송풍팬 방향으로 안내 경사면을 갖는 유체안내판(26d) 중 어느 하나의 하측 배출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상측 배출부는, 상기 유체안내판(26b)에 형성된 흐름제지부(28) 단부와 상기 유체안내판(26c)에 형성된 안내굴곡부(27) 단부사이에 평행하는 간극으로 이루는 상측 배출부(22a')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유체안내판(26a)에 형성된 흐름제지부(28)와 상기 유체안내판(26d)에 형성된 안내굴곡부(27)의 하부에 구비되는 "U"형상의 배수 트렌치(drain trench)로 이루는 하측 배출부(22c)의 저부에는 하부에 배출구(64)가 형성되는 배출기둥(63)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체안내판(26a, 26b, 26c) 또는 흐름제지부(28) 중 어느 한곳에는 상기 하측 배출부(22a)와 상측 배출부(22a')로 유입되어 배출되는 냉각수의 수막(water screen) 영역을 감소시키어 냉각공기의 유동저항을 저감하는 수단으로서, 냉각수의 유동영역과 냉각공기의 유동영역을 형성하는 복수의 배출골(drain valley; 23)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체안내판(26c)에는, 냉각공기의 유동저항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냉각수의 유동영역과 냉각공기의 유동영역을 형성하며, 냉각수의 유동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장공으로 이루는 복수의 배출구(24b)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출구(24b)는 장공인 것이 바람직하나, 원형, 직사각형 등 다른 형상의 배출구로도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배출구(24b)는, 소정의 냉각공기유동영역의 간격을 두고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또한, 상기 유체안내판(26c)에 형성된 흐름제지부(28')로 형성하는 집수공간으로 이루는 하측 배출부(22b)와 상기 흐름제지부(28)와 안내굴곡부(27)의 하부에 구비되며 "U"형상의 배수트렌치로 이루는 하측 배출부(22c)는, 낙하 냉각수의 간섭에 의하여 발생되는 급기의 유동저항을 저감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하측 배출부(22b, 22c)로 집수되는 냉각수를 양측 장변측 케이싱(10a)의 내측면과 인접한 위치에서 집수조(61)로 배출하도록 양측부가 개방된 구조로도 적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채널구획부는, 채널분할격벽(21), 하부 유체안내부(25a), 중간 유체안내부(25b) 및 상부 유체안내부(25c)로 이루는 채널구획부(20a),
상기 채널분할격벽(21), 하부 유체안내부(25a) 및 상부 유체안내부(25c)로 이루는 채널구획부(20b),
상기 채널분할격벽(21), 하부 유체안내부(25a) 및 상부 유체안내부(25c')로 이루는 채널구획부(20b'),
상기 채널분할격벽(21), 하부 유체안내부(25a) 및 상부 유체안내부(25d)로 이루는 채널구획부(20c),
상기 채널분할격벽(21) 및 한 쌍의 유체안내부(25e)로 이루는 채널구획부(20d) 또는,
상기 채널분할격벽(21) 및 한 쌍의 유체안내부(25f)로 이루는 채널구획부(20e)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유체안내부(25e, 25f) 사이에는 작업자의 출입, 배관 설치, 보수 및 점검을 편리하게 할수 있는 다용도공간(9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수 있다.
여기서, 다용도공간(90)은, 그 단면이 텐트형 또는 삼각형형으로 이루어 질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열교환부는, 다수의 필름 시트(film sheet)로 이루어지는 필름형 충진재 또는, 다수의 스플래시 막대(splash bar)로 이루어지는 비말형 충진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개방식 열교환부(30a)인 것이 바람직하나,
피냉각 유체가 유동하는 전열관(33), 일영역에 냉각유체유입구(31)가 구비되고 상기 전열관(33)의 일측 단부가 연결되는 냉각유체유입헤더(32), 일영역에 냉각유체유출구(35)가 구비되고 상기 전열관(33)의 타측 단부가 연결되는 냉수유출헤더(34)를 갖는 밀폐식 열교환부(30b)로 구성할 수도 있고,
살수 냉각수를 냉각하는 수단으로서, 살수 냉각수 냉각용 개방식 열교환부(30a)와 피냉각 유체 냉각용 밀폐식 열교환부(30b)를 조합한 혼식(hybrid) 열교환부(30c)로도 구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살수부(40)는, 상기 제1급기채널(12)과 제2급기채널(13)에 각각 구비되어 독립적으로 살수 작용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제1급기채널(12)과 제2급기채널(13)의 살수를 포괄하는 하나의 살수부(40)가 구비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1급기채널(12)과 제2급기채널(13) 각각에 급기하며, 상기 제1급기채널(12) 및 제2급기채널(13) 각각의 단변측 케이싱(10b)에 형성되는 제1장착개구(10ca)에 장착되거나, 상기 제1급기채널(12)의 단변측 케이싱(10b)에 형성되는 급기구(19a) 내측의 상기 유체안내판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급기구(19a)와 제1급기채널(12)을 구획하는 격벽(11a)에 형성된 제2장착개구(10cb)와 상기 제2급기채널(12)의 제1장착개구(10ca)에 장착되는 상기 송풍팬부는,
원통형상의 팬하우징(51a), 상기 팬하우징(51a)에 수용되는 축류형 송풍팬(52a), 상기 송풍팬(52a)을 직결구동(direct drive)하는 외륜구동(external rotor)의 팬모터(53a)로 구성되는 송풍팬부(50a)인 것이 바람직하나,
원통형 구조로서 급기방향의 상측 단부에서 하측단부로 경사부를 갖는 급기토출구(54a)를 갖는 팬하우징(51b), 상기 팬하우징(51b)에 수용되는 축류형 송풍팬(52a), 상기 송풍팬(52a)을 구동벨트나 감속기 등으로 간접구동(indirect drive)하는 팬모터(53b)로 구성되는 송풍팬부(50b)로도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고 정압 송풍이 요구되는 구성으로서, 상기 제1급기채널(12)과 대면하는 단변측 케이싱(10b)에 형성되는 급기구(19a)의 내측에 구비되어 팬룸(fan room)을 구획하는 격벽(11a)에 형성된 상기 제2장착개구(10cb)를 관통하여 장착되며 각형의 급기토출구를 갖는 팬하우징, 상기 팬하우징에 수용되는 원심형 송풍팬, 상기 송풍팬을 간접구동하는 팬모터로 구성되는 원심형 송풍팬부로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형의 급기토출구 상판은, 급기의 하향기류를 제지하는 수단으로서, 급기 방향으로 수평되게 형성되고 저판은 상기 집수부(60)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각형의 급기토출구)내로 낙하 냉각수의 유입을 차단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집수부(60)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상판과 저판으로도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각형의 급기토출구의 수평 상판에는, 상기 열교환부로부터 낙하되는 냉각수 물방울이 팬의 정지 또는 가동 중에 상기 팬하우징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상판 단부에 냉각수 유입방지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송풍팬부(50a)는 직결구동의 플럭 팬(plug fan)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송풍팬부(50b)는 벨트 구동(간접구동)의 축류형 송풍팬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급기채널(12)과 대면하는 단변측 케이싱(10b)에 형성된 제1장착개구(10ca)에 장착되는 복수의 송풍팬부(50a)는 2단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 1단 및 2단 이상의 다단으로도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급기구(19a)에 구비되는 상기 격벽(11a)에 형성되는 제2장착개구(10cb)에 장착되는 복수의 송풍팬부(50b)는 1단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 2단 이상의 다단으로도 구성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1장착개구(10ca)가 형성되는 단변측 케이싱(10b) 또는, 상기 제2장착개구(10cb)가 형성되는 격벽(11a)에는, 상기 송풍팬부를 견고하게 고정하며 하중에 따른 좌굴변형 방지와 운전 진동을 감소하는 지지프레임(56)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프레임(56)은 복수의 송풍팬부가 각각 장착되도록 사각틀 격자형상의 프레임인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원통형상의 팬하우징(51a, 51b)에는 상기 제1장착개구(10ca) 및 제2장착개구(10cb) 또는 상기 지지프레임(56)에 장착되는 장착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제1장착개구(10ca) 및 제2장착개구(10cb)의 외곽면에 결합되는 지지프레임(56)에 고정되며 원통형상의 팬하우징 선단에 구비되는 각형의 판재로 이루어지는 장착부재(55a) 인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원통형상의 팬하우징을 수용하는 원형(반지형) 플랜지로 이루어지는 장착부재(55b)로도 적용할 수있고,
상기 팬하우징을 상기 제1장착개구(10ca) 및 제2장착개구(10cb)의 외곽면에 고정하는 다수의 고정 브래킷(미도시)으로도 적용할 수있다.
또한, 상기 단변측 케이싱(10b)과 격벽(11a)에 형성된 상기 제1장착개구(10ca) 및 제2장착개구(10cb)의 외곽면에는, 상기 송풍팬부(50a, 50b)를 장착하는 장착부재(55a, 55b)에 형성된 고정볼트 체결공과 일치하게 체결공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제1장착개구(10ca) 및 제2장착개구(10cb)의 외곽면과 상기 장착부재면사이에는 누수를 차단하는 개스킷(미도시)을 더 마련하여 개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장착개구(10ca) 및 제2장착개구(10cb)의 외곽면은 상기 단변측 케이싱(10b) 또는, 격벽(11a)의 면이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원통형상의 팬하우징(51a, 51b)의 전방 또는 후방 중 어느 한 곳에는, 송풍팬부의 고장 또는 운전부하 조절에 의해 송풍팬의 운전이 정지됨과 동시에 상기 팬하우징(51a, 51b)을 통해 냉각공기가 역류되는 것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댐퍼(57)가 더 포함하여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댐퍼는(77) 중력식 댐퍼(gravity damper)와 전동식 댐퍼(motorized damper)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다음으로, 집수조(61), 상기 집수조(61)의 일영역에 마련되는 냉각수유출구(62)로 구성되는 상기 집수부(60)는, 상기 제1급기채널(12)과 상기 제2급기채널(13)로 부터 배출되는 냉각수를 포괄 집수하는 통합 집수부인 것이 바람직 하나, 상기 제1급기채널(12)과 상기 제2급기채널(13)로 부터 배출되는 냉각수를 개별 집수하는 분할 집수부로도 구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1급기채널(12)과 대면하는 단변측 케이싱(10b)에 마련되는 복수의 송풍팬부 상부와 상기 열교환부의 저면 사이에는, 상기 단변측 케이싱(10b) 내측면에 고정되며, 상기 송풍팬부로 낙하 냉각수가 유입되지 아니하도록 안내하는 안내경사판(71), 하향으로 흐름을 전환하는 안내굴곡부(72)로 구성되는 처마부(7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처마부(70)는, 복수의 상기 송풍팬부(50a)를 일괄 커버하는 하나의 처마부(70)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복수의 송풍팬부(50a) 단위별로 상기 처마부(70)를 각각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열교환부와 처마부(70) 사이의 유체유동공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처마부(70)는 상기 송풍팬부의 상부와 근접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제1급기채널(12)에는, 상기 장변측 케이싱(10a)의 내측에 지지되어 유동하는 급기를 상기 열교환부를 향해 균등하게 안내하며, 낙하 냉각수와 냉각공기를 안내하는 안내 곡면을 갖는 안내판(81), 하부급기로(1h)와 상부급기로(2h)의 높이를 조절하여 각 급기로(1h, 2h)로 유입되는 급기량을 조절하는 조절판(82), 상기 조절판(82)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조절판(82)을 회동시키는 회동힌지부(83), 상기 조절판(82)의 양단에 구비되어 상기 조절판(82)을 회동 및 고정하는 고정부재(84), 상기 조절판(82)의 상하 회동을 안내하고 상기 고정부재(84)가 고정되는 조절가이더(85)로 구성되는 급기조절부(8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내판(81)에는, 상기 안내곡면을 따라 유동하는 냉각수가 송풍팬부 방향으로 과도하게 몰리는 것을 방지하는 배수 수단으로서, 복수의 배수공(86)을 더 포함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배수공(86)은, 냉각수 유동 방향으로 직렬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배수공(86)은 냉각공기유동영역을 두고 직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급기조절부는, 냉각공기가 균등하게 유동하도록 상기 하부급기로(1h)와 상부급기로(2h)의 높이를 최적으로 설정하여 고정하는 고정식 안내판(81)을 갖는 급기조절부로도 구성할 수 있고, 공기 유동 간극을 두고 복수의 안내판(81)을 겹치게 구성하여 이루는 복수의 안내깃(turning vane) 형의 급기조절부로도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냉각수를 냉각하거나 냉매를 냉각응축하며, 열교환부가 배치되는 열교환영역(15), 냉각수를 상기 열교환부로 살수하는 살수부(50)가 배치되는 살수영역(16) 및 급기채널을 형성하는 장변측 케이싱(10a)과 단변측 케이싱(10b);
상기 열교환부를 통과한 냉각수를 집수하는 집수조(61)와 냉각수유출구(62)로 구성되는 집수부(60);
상기 열교환영역(15)과 살수영역(16)을 양측으로 분할(구획)하며, 상단은 상기 장변측 케이싱(10a)의 상단면과 같게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열교환영역(15)의 하부로부터 소정의 깊이로 연장되게 고정되며, 양측 단부는 양측 장변측 케이싱(10a)의 내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장변측 케이싱(10a)을 지지하는 채널분할격벽(21);
상기 급기채널을 소정의 넓이로 하여 일측은 제1급기채널(12)로, 타측은 제2급기채널(13)로 분할(구획)하며, 상기 제1급기채널(12)과 제2급기채널(13) 각각으로 유동하는 급기를 안내함과 동시에 상기 제1급기채널(12)과 제2급기채널(13) 각각을 통해 낙하하는 냉각수를 상기 집수조(61)로 안내하는 안내면을 형성하고, 하단은 상기 집수조(61)의 내측벽(61b) 상부에 소정의 높이와 넓이로 보수공간(92)이 형성되도록 상기 내측벽(61b)으로부터 외측벽(61a) 방향으로 이격되게 상기 집수조(61) 측벽의 하단고정부(18a)에 고정되며, 상단은 상기 채널분할격벽(21) 하부의 상단고정부(18b)에 고정되는 유체안내판(26e, 26f)으로 이루는 유체안내부(25e, 25f);
상기 채널분할격벽(21)과 상기 유체안내부(25e, 25f)로 구성되는 채널구획부(20d, 20e);
상기 제1급기채널(12)과 제2급기채널(13) 각각에 급기하며, 일측과 타측으로 상호 외향하게 상기 제1급기채널(12)과 제2급기채널(13) 각각의 단변측 케이싱(10b)에 형성되는 제1장착개구(10ca)에 장착되는 복수의 송풍팬부;
상기 제1급기채널(12)과 제2급기채널(13)의 유체안내판 사이에 형성되어 작업자의 출입, 보급수장치와 집수부(60)의 점검 및 보수 공간을 제공하는 다용도공간(9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입송풍형 냉각탑냉각탑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상기 유체안내부는, 하단부에 상기 집수조(61)의 수면내로 냉각수를 안내하는 안내굴곡부(27)가 형성되고, 상단부는 상기 채널분할격벽(21) 하부의 상단고정부(18b)에 고정되는 고정부가 형성되며, 송풍팬 방향으로 하향 곡면의 안내면을 형성하는 유체안내판(26e)으로 이루는 한 쌍의 유체안내부(25e)로 또는,
하단부에 상기 집수조(61)의 수면내로 냉각수를 안내하는 안내 굴곡부(27)가 형성되고, 상단부는 상기 채널분할격벽(21) 하부의 상단고정부(18b)에 고정되는 고정부가 형성되며 송풍팬방향으로 하향 경사면의 안내면을 형성하는 유체안내판(26f)으로 이루는 한 쌍의 유체안내부(25e)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압입송풍형 냉각탑은, 냉각규모의 확장에 따라 복수의 압입송풍형 냉각탑을 상호 장변측 케이싱(10a)에 붙이여 연속적으로 확장 설치하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압입송풍형 냉각탑의 본체는, FRP(fiber reinforced plastics) 구조인것이 바람직하나, 철재 구조(steel structure)로도 적용할 수 있고, FRP구조와 철재 구조의 혼용 구조로도 적용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 구조(concrete structure)로도 적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압입송풍형 냉각탑은, 분할 단위의 공장 제조 및 현장 조립형이 바람직하나, 현장건설형으로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급기채널(12)과 제2급기채널(13)을 간편하고 경제적인 구조로 구획할 수 있고,
냉각탑의 대형화가 용이하며,
제1급기채널(12)과 제2급기채널(13)사이에 작업자의 출입, 보수공간 및 배관설치의 다용도공간(90)을 제공할 수 있고,
냉각탑의 설치 및 냉각공기흡입공간(19c)의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다수의 냉각탑을 간편하게 연속적으로 확장 배치할 수 있고,
급기채널내에서 급기의 송풍 난류 및 유동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냉각유체의 유동 불균형(편향)을 방지하여 열교환효율을 향상할 수 있고,
고온배기의 재순환을 감소시키어 열교환 효율 저하를 억지할 수 있으며,
안정적인 냉각수량을 집수할 수 있고,
냉각부하에 따라 각 급기채널별 독립적 냉각운전을 할수 있으며,
일측 급기채널내의 구성이 고장이거나 정비시에도 타측 급기채널내의 구성은 냉각운전을 계속 할 수 있고,
일부 송풍팬부의 고장시에도 그 나머지 송풍팬부들로 냉각운전이 유지되며,
소비동력을 절감할 수 있고,
유지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압입송풍형 냉각탑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압입송풍형 냉각탑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2는 도 1 압입송풍형 냉각탑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3은 도 1 압입송풍형 냉각탑의 주요부를 상세하게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 및 측단면도
도 4는 도 1 압입송풍형 냉각탑의 다수를 확장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압입송풍형 냉각탑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6은 도 5 압입송풍형 냉각탑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7은 도 5 압입송풍형 냉각탑의 주요부를 상세하게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 및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압입송풍형 냉각탑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9는 도 8 압입송풍형 냉각탑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압입송풍형 냉각탑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11은 도 10 압입송풍형 냉각탑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12는 도 10 압입송풍형 냉각탑의 다수를 확장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압입송풍형 냉각탑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14는 종래 압입송풍형 냉각탑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15는 도 14 종래 압입송풍형 냉각탑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16은 도 14 종래 압입송풍형 냉각탑의 송풍팬부 배치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
도 17은 도 14 압입송풍형 냉각탑의 다수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 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술의 기능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여러 실시 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적용하여 대표적으로 일실시 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 예에서는 일실시 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압입송풍형 냉각탑의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 압입송풍형 냉각탑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 압입송풍형 냉각탑의 주요부를 상세하게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 및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 압입송풍형 냉각탑의 다수를 확장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개방식 열교환부(30a)를 갖는 압입송풍형 냉각탑(1a)을 일예로 적용한 구성으로서,
냉각수를 냉각하거나 냉매를 냉각응축하며, 열교환부(30a)가 배치되는 열교환영역(15), 냉각수를 상기 열교환부(30a)로 살수하는 살수부(50)가 배치되는 살수영역(16) 및 급기채널을 형성하는 장변측 케이싱(10a)과 단변측 케이싱(10b);
상기 케이싱(10a,10b)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배기구(17);
상기 열교환부를 통과한 냉각수를 집수하는 집수조(61)와 냉각수유출구(62)로 구성되는 집수부(60);
상기 열교환영역(15)과 살수영역(16)을 양측으로 분할(구획)하며, 상단은 상기 장변측 케이싱(10a)의 상단면과 같게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열교환영역(15)의 하부로부터 소정의 깊이로 연장되게 고정하며,
양측 단부는 양측 장변측 케이싱(10a)의 내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장변측 케이싱(10a)을 지지하는 채널분할격벽(21);
상기 급기채널을 소정의 높이로 하여 하측은 제1급기채널(12)로, 상측은 제2급기채널(13)로 분할(구획)하며, 일측 단부에는 상기 단변측 케이싱(10b)의 하단고정부(18a)에 고정되는 고정부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유동되는 냉각수가 팬방향으로 몰리는 것을 제지함과 동시에 하측 배출부(22a)로 유입되는 냉각수를 상기 집수조(61)로 안내하는 흐름제지부(28)를 형성하며 급기방향으로 하향 경사면의 안내면을 형성하는 유체안내판(26a)을 갖는 하부 유체안내부(25a),
하단부에는 상기 하측 배출부(22a)로 냉각수를 안내하는 안내굴곡부(27)가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냉각수가 상측 배출부(22a')를 넘어 유동되는 것을 제지함과 동시에 상기 상측 배출부(22a')로 유입되는 냉각수를 상기 집수조(61)로 안내하는 흐름제지부(28)를 형성하며 상기 송풍팬 방향으로 하향곡면의 안내면을 형성하는 유체안내판(26b)을 갖는 중간 유체안내부(25b),
하단부에는 상기 상측 배출부(22a')로 냉각수를 안내하는 안내굴곡부(27)가 형성되고 상단부는 상기 채널분할격벽(21) 하부의 상단고정부(18b)에 고정되는 고정부가 형성되며 송풍팬 방향으로 하향 곡면의 안내면을 형성하는 유체안내판(26c)을 갖는 상부 유체안내부(25c)로 이루는 유체안내부;
상기 채널분할격벽(21)과 상기 유체안내부(25a, 25b, 25c)로 구성되는 채널구획부(20a);
상기 열교환부(15)의 상부에 형성되는 살수영역(16)에 배치되어 공급되는 냉각수를 상기 열교환부(30a)로 살수하며 일측에 냉각수유입구(41)를 갖는 살수주관(42), 상기 살수주관(42)으로부터 분기되는 살수분기관(43), 상기 살수분기관(43)에 결합되는 다수의 살수노즐(44)로 구성되는 살수부(40);
상기 살수부(40)의 상부에 구비되어 비산되는 물방울을 회수하는 엘리미네이터(45);
상기 제1급기채널(12)과 제2급기채널(13) 각각에 급기하며, 상기 제1급기채널(12) 및 제2급기채널(13) 각각의 단변측 케이싱(10b)에 형성되는 제1장착개구(10ca)에 장착되며 원통형상의 팬하우징(51a), 상기 팬하우징(51a)에 수용되는 축류형 송풍팬(52a), 상기 송풍팬(52a)을 직결구동(direct drive)하는 외륜구동의 팬모터(53a)로 구성되는 송풍팬부(50a);
상기 제1장착개구(10ca)가 형성되는 단변측 케이싱(10b)에 상기 송풍팬부(50a)를 견고하게 고정하며 하중에 따른 좌굴변형 방지와 운전 진동을 감소하는 지지프레임(56);
상기 단변측 케이싱(10b)의 제1장착개구(10ca)에 장착되는 복수 송풍팬부(50a)의 상부와 상기 열교환부의 저면 사이에 상기 단변측 케이싱(10b) 내측면에 고정되며, 상기 송풍팬부(50a)로 낙하 냉각수가 유입되지 아니하도록 안내하는 안내경사판(71), 하향으로 흐름을 전환하는 안내굴곡부(72)로 구성되는 처마부(70);
상기 제1급기채널(12)의 상기 장변측 케이싱(10a)의 내측에 지지되어 유동하는 급기를 상기 열교환부(30a)를 향해 균등하게 안내하며, 낙하 냉각수와 냉각공기를 안내하는 안내면을 형성하는 안내판(81), 하부급기로(1h)와 상부급기로(2h)의 높이를 조절하여 각 급기로(1h, 2h)로 유입되는 급기량을 조절하는 조절판(82), 상기 조절판(82)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조절판(82)을 회동시키는 회동힌지부(83), 상기 조절판(82)의 양단에 구비되어 상기 조절판(82)을 회동 및 고정하는 고정부재(84), 상기 조절판(82)의 상하 회동을 안내하고 상기 고정부재(84)가 고정되는 조절가이더(85)로 구성되는 급기조절부(80)를 포함하는 압입송풍형 냉각탑(1a)을 마련하고 있다.
다음으로, 상기 흐름제지부(28)에는, 배출되는 냉각수의 수막(water screen) 영역을 감소시키어 냉각공기의 유동저항을 저감하는 수단으로서, 냉각수의 유동영역과 냉각공기의 유동영역을 형성하는 복수의 배출골(23)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고 있다.
다음으로, 상기 원통형상의 팬하우징(51a)의 후방에는, 송풍팬부(50a)의 고장 또는 운전부하 조절에 의해 송풍팬의 운전이 정지됨과 동시에 상기 팬하우징(51a)을 통해 냉각공기가 역류되는 것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댐퍼(57)를 더 포함하여 구비하고 있다.
다음으로, 상기 유체안내판(26b)에는 작업자가 상기 제2급기채널(13)로 출입할 수 있도록 점검문(29a)이 구비되고, 상기 제2급기채널(13)과 대면하는 상기 단변측 케이싱(10b)에는 작업자가 상기 제1급기채널(12)로 출입할 수 있도록 점검문(29b)을 구비하고 있다.
다음으로, 도면 4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압입송풍형 냉각탑 (1a)의 설치의 일례로, 상기 압입송풍형 냉각탑(1a) 4대를 상호 장변측 케이싱(10a)에 붙이여 연속적으로 확장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1 실시예에서는 상기 압입송풍형 냉각탑(1a) 4대를 연속적으로 확장 설치한 상태를 일례로 제시하고 있지만, 최소 2대에서 설치면적이 충족된다면 10대 또는 그 이상의 댓수로도 연속적으로 붙히어 간편하게 확장 설치를 할 수 있다.
그리고 연속 확장 설치에 있어 다수의 송풍팬부(50a)가 장착되는 단변측 케이싱(10b) 외측에 만 냉각공기흡입공간(19c) 구비되고 나머지 3면의 케이싱(10a, 10b)에는 냉각공기흡입공간(19c)이 필요하지 않음으로 냉각공기흡입공간(19c)이 현격하게 감소된다.
반면에, 도면 17에서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종래기술의 압입송풍 냉 각탑(2a)을 연속 확장 설치하는 경우 다수의 송풍팬부(50c)가 장착되는 장변측 케이싱(10a)이 상호 외향하게 2대를 붙이고 2대 단위로 확장설치하며, 송풍팬부(50c)가 장착되는 장변측 케이싱(10a) 마다 전면에 소정의 폭으로 냉각공기흡입공간(19c)을 구비하여야 함으로 설치공간이 현격하게 증가하게된다.
다음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송풍팬부(50a)를 통해 유입되는 급기의 기류는 채널구획부(20a)의 안내면을 따라 상기 제1급기채널(12)과 제2급기채널(13)로 각각 분할 급기되고, 상기 제1급기채널(12)로 유입되는 급기는 하부급기로(1h )와 상부급기로(2h)로 분할되어 조절판(82)의 안내 경사면을 따라 상기 상기 제1급기채널(12)의 열교환부(30a)로 원활히 유동하면서 상기 살수부(40)를 통해 살수되는 냉각수와 접촉하며 열교환을 이룬후 상기 배기구(17)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제2급기채널(13)로 유입되는 급기는 상기 상기 제2급기채널(13)의 열교환부(30a)로 원활히 유동하면서 상기 살수부(40)를 통해 살수되는 냉각수와 접촉하며 열교환을 이룬후 상기 배기구(17)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제1급기채널(12)에 구성된 상기 열교환부(30a)를 통해 냉각된 냉각수는 상기 집수부(60)로 집수되고, 상기 제2급기채널(13)에 구성된 상기 열교환부(30a)를 통해 상기 하측 배출부(20a)와 상기 상측 배출부(20a')로 유입되는 냉각냉각수는 복수의 배수골(23)을 형성하는 흐름제지부(28)통해 상기 집수부(60)로 배출된다.
그리고 냉각수를 상기 복수의 배수골(23) 따라 배출함으로서 냉각수 유동영역과 냉각공기유동영역이 형성됨으로 수막장애로 인한 냉각공기의 유동저항이 저감된다.
상기 집수부(60)에 집수되는 냉각수는 냉각수유출구(62)를 통해 냉각부하 설비로 공급되고 열교환을 마친 고온의 냉각수는 다시 살수부(40)로 재순환되는 냉각과정은 반복된다.
그리고 냉각부하가 현격히 감소하는 경우 상기 제1급기채널(12)과 제2급기채널(13) 중 어느 한 측의 송풍팬부(50a) 운전을 정지(off)하거나, 상기 제1급기채널(12)과 제2급기채널(13)의 다수 송풍팬부(50a)에서 대수를 제어하면 부하 대응 운전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송풍팬부(50a)로부터 보다 송풍거리가 긴 상기 제1급기채널(12)의 열교환부(30a)로 공급되는 급기가 편향되거나 균등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조절판(82)을 회동시키어 상기 하부급기로(1h )와 상부급기로(2h)의 높이(공기통과 면적)를 조절하여 편향흐름을 억지하고 분할 유동되는 급기량을 조절할 수 있다.
위와 같이, 급기채널을 제1급기채널(12)과 제2급기채널(13)로 구획하고, 저면에는 제1급기채널(12)로 유동하는 냉각공기를 안내함과 동시에 상면에는 제2급기채널(13)로 유동하는 냉각공기와 냉각수의 유동을 안내하며, 제2급기채널(13)의 열교환부로부터 낙하되는 냉각수를 집수조(61)로 배출하는 배출부(22a, 22a')가 구비되는 채널구획부(20a), 제1급기채널(12) 및 제2급기채널(13)과 대면하는 단편측 케이싱(10b)에 형성되는 제1장착개구(10ca) 각각에 장착되는 복수의 송풍팬부(50a)가 포함된 압입송풍형 냉각탑(1a)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과 그 작용에 의하여,
제1급기채널(12)과 제2급기채널(13)을 간편하고 경제적인 구조로 구획할 수 있고,
냉각탑의 대형화가 용이하며,
냉각탑의 설치 및 냉각공기흡입공간(19c)의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고,
다수의 냉각탑을 간편하게 연속적으로 확장 배치할 수 있으며,
급기채널내에서 급기의 송풍 난류 및 유동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고,
냉각유체의 유동 불균형(편향)을 방지하여 열교환효율을 향상할 수 있으며,
고온배기의 재순환을 감소시키어 열교환 효율 저하를 억지할 수 있고,
안정적인 냉각수량을 집수할 수 있으며,
냉각부하에 따라 각 급기채널별 독립적 냉각운전을 할수 있고,
일측 급기채널내의 구성이 고장이거나 정비시에도 타측 급기채널내의 구성은 냉각운전을 계속 할 수 있으며,
일부 송풍팬부의 고장시에도 그 나머지 송풍팬부들로 냉각운전이 유지되고,
소비동력을 절감할 수 있고,
유지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 압입송풍형 냉각탑(1a)을 제공할 수 있는것이다
결과적으로 제1실시예의 발명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의 장변측 케이싱(10a)에서 송풍되는 구조에 따른 협소한 급기채널 공간 대비, 본 발명의 단변측 케이싱(10b)에서 송풍되는 구조에 따른 분할된 상기 제1급기채널(12)과 제2급기채널(13) 각각의 공간이 현격하게 증가되는 반면에 냉각공기흡입공간(19c)은 현격하게 감소되어 종래기술의 장변측 케이싱(10a)에서 송풍되는 구조 및 협소한 급기채널 공간에 따라 발생되는 많은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압입송풍형 냉각탑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6은 도 5 압입송풍형 냉각탑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7은 도 5 압입송풍형 냉각탑의 주요부를 상세하게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 및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개방식 열교환부(30a)와 채널구획부(20b)를 갖는 압입송풍형 냉각탑(1b)을 일예로 적용한 구성으로서, 전술한 실시 예와는 달리,
냉각수를 냉각하거나 냉매를 냉각응축하며, 열교환부(30a)가 배치되는 열교환영역(15), 냉각수를 상기 열교환부(30a)로 살수하는 살수부(50)가 배치되는 살수영역(16) 및 급기채널을 형성하는 장변측 케이싱(10a)과 단변측 케이싱(10b);
상기 케이싱(10a,10b)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배기구(17);
상기 열교환영역(15)과 살수영역(16)을 양측으로 분할(구획)하며, 상단은 상기 장변측 케이싱(10a)의 상단면과 같게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열교환영역(15)의 하부로부터 소정의 깊이로 연장되게 고정하며,
양측 단부는 양측 장변측 케이싱(10a)의 내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장변측 케이싱(10a)을 지지하는 채널분할격벽(21);
삭제
삭제
제1급기채널(12)과 제2급기채널(13)을 구획하며, 일측 단부에는 상기 단변측 케이싱(10b)의 하단고정부(18a)에 고정되는 고정부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유동되는 냉각수가 팬방향으로 몰리는 것을 제지함과 동시에 하측 배출부(22a)로 유입되는 냉각수를 상기 집수조(61)로 안내하는 흐름제지부(28)를 형성하며 급기방향으로 하향 경사면의 안내면을 형성하는 유체안내판(26a)을 갖는 하부 유체안내부(25a),
하단부에 하측 배출부(22b)로 냉각수가 넘치는 것을 차단함과 동시에 배출을 위한 일시적인 집수공간을 형성하는 흐름제지부(28')가 구비되고 상기 집수조(61)로 냉각수를 배출하는 장공의 배출구(24b)가 형성되며, 상단부는 상기 채널분할격벽(21) 하부의 상단고정부(18b)에 고정되는 고정부가 형성되고 송풍팬 방향으로 하향곡면의 안내면을 형성하는 유체안내판(26c)을 갖는 상부 유체안내부(25c')로 이루는 유체안내부;
상기 채널분할격벽(21)과 상기 유체안내부(25a, 25c')로 구성되는 채널구획부(20b)를 포함하는 압입송풍형 냉각탑(1b)을 마련하고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작용과 압입송풍형 냉각탑(1b)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과 그 작용에 의한 효과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작용 내지 효과와 대등한 것이어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압입송풍형 냉각탑의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9는 도 8 압입송풍형 냉각탑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개방식 열교환부(30a), 축류형 송풍팬부(50b)와 채널구획부(20c)를 갖는 압입송풍형 냉각탑(1c)을 일예로 적용한 구성으로서, 전술한 실시 예와는 달리,
냉각수를 냉각하거나 냉매를 냉각응축하며, 열교환부(30a)가 배치되는 열교환영역(15), 냉각수를 상기 열교환부(30a)로 살수하는 살수부(50)가 배치되는 살수영역(16) 및 급기채널을 형성하는 장변측 케이싱(10a)과 단변측 케이싱(10b)
상기 케이싱(10a,10b)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배기구(17);
제1급기채널(12)과 제2급기채널(13)을 구획하며, 일측 단부에는 상기 단변측 케이싱(10b)의 하단고정부(18a)에 고정되는 고정부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유동되는 냉각수가 팬방향으로 몰리는 것을 제지함과 동시에 하측 배출부(22a)로 유입되는 냉각수를 상기 집수조(61)로 안내하는 흐름제지부(28)를 형성하며 급기방향으로 하향 경사면의 안내면을 형성하는 유체안내판(26a)을 갖는 하부 유체안내부(25a),
하단부는 하측 배출부(22c)로 냉각수를 안내하는 안내굴곡부(27)가 형성되고 상단부는 상기 채널분할격벽(21) 하부의 상단고정부(18b)에 고정되는 고정부가 형성되며 송풍팬 방향으로 하향 경사면의 안내면을 형성하는 유체안내판(26d)을 갖는 상부 유체안내부(25d)로 이루는 유체안내부;
상기 채널분할격벽(21)과 상기 유체안내부(25a, 25d)로 구성되는 채널구획부(20c);
상기 제1급기채널(12)과 제2급기채널(13) 각각에 급기하며, 상기 제1급기채널(12) 및 제2급기채널(13) 각각의 단변측 케이싱(10b)에 형성되는 제1장착개구(10ca)에 장착되는 송풍팬부(50a),
상기 제1급기채널(12)의 단변측 케이싱(10b)에 형성되는 급기구(19a) 내측의 상기 유체안내판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급기구(19a)와 제1급기채널(12)을 구획하고 팬룸(fan room)을 형성하는 격벽(11a)에 형성된 제2장착개구(10cb)에 장착되며 급기방향의 상측 단부에서 하측단부로 경사부를 갖는 급기토출구(54a)를 갖는 원통형 팬하우징(51b), 상기 팬하우징(51b)에 수용되는 축류형 송풍팬(52a), 상기 송풍팬(52a)을 구동벨트로 간접구동하는 팬모터(53b)로 구성되는 송풍팬부(50b);
상기 유체안내판(26a)에 형성된 흐름제지부(28)와 상기 유체안내판(26d)에 형성된 안내굴곡부(27)의 하부에 구비되는 "U"형상의 배수트렌치로 이루는 하측 배출부(22c)로 구성되는 채널구획부(20c);
상기 하측 배출부(22c)의 저부를 관통하여 결합되며 하부에 배출구(64)가 형성되는 배출기둥(63)을 포함하는 압입송풍형 냉각탑(1c)을 마련하고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작용은 전술한 실시예 들에서 설명한 작용과 대등한 것이어서 그 설명을 생략하고, 압입송풍형 냉각탑(1c)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과 그 작용에 의한 효과는 전술한 실시예 들에서 설명한 효과와 다른 효과에 대해서 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급기채널(12)과 대면하는 단변측 케이싱(10b)에 형성되는 급기구(19a)의 내측에 구비된 팬룸(fan room)에 상기 송풍팬부(50b)를 배치함으로서, 상기 제1급기채널(12)로 향하는 송풍거리를 단축할 수 있고, 기후로부터 송풍팬부(50b)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압입송풍형 냉각탑의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11은 도 10 압입송풍형 냉각탑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며, 도 12는 도 10 압입송풍형 냉각탑의 다수를 확장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는 제1급기채널(12)과 제2급기채널(13)을 양측으로 구획(분할)하고, 상기 제1급기채널(12)과 제2급기채널(13) 사이에 작업자의 출입, 배관 설치, 보수 및 점검을 편리하게 할수 있는 다용도공간(90)을 구비하는 압입송풍형 냉각탑(1d)을 일예로 적용한 구성으로서, 전술한 실시 예와는 달리,
냉각수를 냉각하거나 냉매를 냉각응축하며, 열교환부(30a)가 배치되는 열교환영역(15), 냉각수를 상기 열교환부(30a)로 살수하는 살수부(50)가 배치되는 살수영역(16) 및 급기채널을 형성하는 장변측 케이싱(10a)과 단변측 케이싱(10b);
상기 열교환부(30a)를 통과한 냉각수를 집수하는 집수조(61)와 냉각수유출구(62)로 구성되는 집수부(60);
상기 열교환영역(15)과 살수영역(16)을 양측으로 분할(구획)하며, 상단은 상기 장변측 케이싱(10a)의 상단면과 같게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열교환영역(15)의 하부로부터 소정의 깊이로 연장되게 고정되며, 양측 단부는 양측 장변측 케이싱(10a)의 내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장변측 케이싱(10a)을 지지하는 채널분할격벽(21);
상기 급기채널을 소정의 넓이로 하여 일측은 제1급기채널(12)로, 타측은 제2급기채널(13)로 분할(구획)하며,
상기 제1급기채널(12)과 제2급기채널(13) 각각으로 유동하는 급기를 안내함과 동시에 상기 제1급기채널(12)과 제2급기채널(13) 각각을 통해 낙하하는 냉각수를 상기 집수조(61)로 안내하는 안내 곡면을 형성하고, 하단은 상기 집수조(61)의 내측벽(61b) 상부에 소정의 높이와 넓이로 보수공간(92)이 형성되도록 상기 내측벽(61b)으로부터 외측벽(61a) 방향으로 이격되게 상기 집수조(61) 측벽의 하단고정부(18a)에 고정되며, 상단은 상기 채널분할격벽(21) 하부의 상단고정부(18b)에 고정되는 유체안내판(26e)으로 이루는 유체안내부(25e);
상기 채널분할격벽(21)과 상기 유체안내부(25e)로 구성되는 채널구획부(20d);
상기 제1급기채널(12)과 제2급기채널(13) 각각의 단변측 케이싱(10b)에 형성되는 제1장착개구(10ca)에 장착되는 복수의 송풍팬부(50a);
상기 제1급기채널(12)과 제2급기채널(13)의 유체안내판 사이에 형성되어 작업자의 출입, 보급수장치와 집수부(60)의 점검 및 보수 공간을 제공하는 다용도공간(90)을 포함하는 압입송풍형 냉각탑(1d)을 마련하고 있다.
다음으로, 도면 12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압입송풍형 냉각탑(1d)의 설치의 일례로, 상기 양흡입 압입송풍형 냉각탑(1d) 4대를 상호 장변측 케이싱(10a)에 붙이여 연속적으로 확장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4실시 예에 따른 작용은 전술한 실시예 들에서 설명한 작용과 대등한 것이어서 그 설명을 생략하고, 압입송풍형 냉각탑(1d)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과 그 작용에 의한 효과는 전술한 실시예 들에서 설명한 효과와 다른 효과에 대해서 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급기채널(12)과 제2급기채널(13)을 양측(일측과 타측)으로 구획(분할)하는 구조에 따라 냉각탑의 높이를 현격하게 낮출 수 있고, 상기 한 쌍의 채널구획부(20d) 사이에 형성되는 다용도공간(90)을 통하여 배관, 보수공간 및 작업자의 통로를 제공함으로서 작업자가 안전하게 냉각탑 내로 출입은 물론 편리하게 작업을 할수 있으며, 다용도공간(90)내에 내장 배관에 따라 냉각탑의 외관을 향상할 수 있고, 집수부(60)의 보수 및 청소를 편리하게 할수 있으며, 장변측 케이싱(10a)에 구비되는 점검문과 다용도공간(90)을 통해 확장 설치되는 다수의 냉각탑간에 출입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압입송풍형 냉각탑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실시예는, 제1급기채널(12)과 제2급기채널(13)을 양측으로 구획(분할)하고, 상기 제1급기채널(12)과 제2급기채널(13) 사이에 작업자의 출입, 배관 설치, 보수 및 점검을 편리하게 할수 있는 다용도공간(90)을 구비하며, 개방식 열교환부(30a)와 밀폐식 열교환부(30b)를 조합한 혼식열교환부(30c)를 갖는 압입송풍형 냉각탑(1e)을 일예로 적용한 구성으로서, 전술한 실시 예와는 달리,
냉각수를 냉각하거나 냉매를 냉각응축하며, 열교환부(30b)가 배치되는 열교환영역(15), 냉각수를 상기 열교환부(30b)로 살수하는 살수부(50)가 배치되는 살수영역(16) 및 급기채널을 형성하는 장변측 케이싱(10a)과 단변측 케이싱(10b);
상기 열교환부(30a)를 통과한 냉각수를 집수하는 집수조(61)와 냉각수유출구(62)로 구성되는 집수부(60);
상기 열교환영역(15)과 살수영역(16)을 양측으로 분할(구획)하며, 상단은 상기 장변측 케이싱(10a)의 상단면과 같게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열교환영역(15)의 하부로부터 소정의 깊이로 연장되게 고정되며, 양측 단부는 양측 장변측 케이싱(10a)의 내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장변측 케이싱(10a)을 지지하는 채널분할격벽(21);
상기 급기채널을 소정의 넓이로 하여 일측은 제1급기채널(12)로, 타측은 제2급기채널(13)로 분할(구획)하며,
상기 제1급기채널(12)과 제2급기채널(13) 각각으로 유동하는 급기를 안내함과 동시에 상기 제1급기채널(12)과 제2급기채널(13) 각각을 통해 낙하하는 냉각수를 상기 집수조(61)로 안내하는 안내 경사면을 형성하고, 하단은 상기 집수조(61)의 내측벽(61b) 상부에 소정의 높이와 넓이로 보수공간(92)이 형성되도록 상기 내측벽(61b)으로부터 외측벽(61a) 방향으로 이격되게 상기 집수조(61) 측벽의 하단고정부(18a)에 고정되며, 상단은 상기 채널분할격벽(21) 하부의 상단고정부(18b)에 고정되는 유체안내판(26f)으로 이루는 유체안내부(25f);
상기 채널분할격벽(21)과 상기 유체안내부(25f)로 구성되는 채널구획부(20e);
상기 제1급기채널(12)과 제2급기채널(13) 각각의 단변측 케이싱(10b)에 형성되는 제1장착개구(10ca)에 장착되는 복수의 송풍팬부(50a);
상기 제1급기채널(12)과 제2급기채널(13)의 채널구획부(20e) 사이에 형성되어 작업자의 출입, 보급수장치와 집수부(60)의 점검 및 보수 공간을 제공하는 다용도공간(90)을 포함하는 압입송풍형 냉각탑(1e)을 마련하고 있다.
상기 냉각수유출구(62)와 냉각수유입구(41) 사이에 연결된 냉각수공급관(66)에는 살수펌프(65)가 구비되어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제 5실시 예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양측으로 구획(분할)된 상기 제1급기채널(12)과 제2급기채널(13)에 각각 급기하는 상기 송풍팬부(50a)를 통해 유입되는 급기는 상기 열교환부(30b)로 원활히 유동하면서 상기 살수펌프(65)와 냉각수공급관(66)을 통해 유입되어 살수부(40)를 통해 살수되는 냉각수와 접촉하며 열교환을 이룬 후 상기 배기구(17)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제1급기채널(12)과 제2급기채널(13)의 열교환영역(15)에 구성된 상기 열교환부(30a)를 통해 냉각된 냉각수는 상기 열교환부(30b)의 표면을 유동하면서 접촉되는 냉각공기와 열교환을 이룬 후 상기 집수부(60)로 집수되고, 상기 집수부(60)에 집수되는 냉각수는 냉각수유출구(62)에 연결된 냉각수공급관(66)과 살수펌프(65)를 통해 상기 살수부(40)로 재순환되며, 이와 같은 냉각수의 냉각 재순환과정은 반복된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부(30b)의 냉각유체유입구(31)로 유입된 냉각 온수는 냉각수와 공기가 접촉하며 이루는 증발열교환을 통해 냉각열교환을 마친후 냉각유체유출구(35)를 통해 냉각부하설비로 공급되고 냉각부하설비에서 열교환을 마친 냉각 온수는 상기 냉각유체유입구(31)로 재순환되며 이와 같은 냉각과정은 반복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5실시 예에 따른 효과는 전술한 실시예들의 설명과 같거나 유사한 것이어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 만, 본 발명이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변형된 구성을 용이하게 구현해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전술한 실시 예들은 그 실시 예가 특정하는 기술적구성 및 작용만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관점에서 이해되어야 하며,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고,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과 그 변형으로부터 얻은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압입송풍형 냉각탑은,
제1급기채널(12)과 제2급기채널(13)을 간편하고 경제적인 구조로 구획할 수 있고,
냉각탑의 대형화가 용이하며,
제1급기채널(12)과 제2급기채널(13)사이에 작업자의 출입, 보수공간 및 배관설치의 다용도공간(90)을 제공할 수 있고,
냉각탑의 설치 및 냉각공기흡입공간(19c)의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다수의 냉각탑을 간편하게 연속적으로 확장 배치할 수 있고,
급기채널내에서 급기의 송풍 난류 및 유동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냉각유체의 유동 불균형(편향)을 방지하여 열교환효율을 향상할 수 있고,
고온배기의 재순환을 감소시키어 열교환 효율 저하를 억지할 수 있으며,
안정적인 냉각수량을 집수할 수 있고,
냉각부하에 따라 각 급기채널별 독립적 냉각운전을 할수 있으며,
일측 급기채널내의 구성이 고장이거나 정비시에도 타측 급기채널내의 구성은 냉각운전을 계속 할 수 있고,
일부 송풍팬부의 고장시에도 그 나머지 송풍팬부들로 냉각운전이 유지되며,
소비동력을 절감할 수 있고,
유지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산업상의 이점이 있다.
1a, 1b, 1c, 1d, 1e, 2a : 압입송풍형 냉각탑
10a : 장변측 케이싱 10b : 단변측 케이싱
10c, 10d : 개구 11a, 11b : 격벽
12 : 제1급기채널 13 : 제2급기채널
14 : 급기채널 15 : 열교환영역
16 : 살수영역 17 : 배기구
18a : 하단고정위치 18b : 상단고정위치
19a : 급기구 19b : 팬룸(Fan Room)
19c : 냉각공기흡입공간 19d : 지지빔
20a, 20b, 20c, 20d, 20e : 채널구획부
21 : 채널구획벽 22a, 22a', 22b, 22c : 배출부
23 : 배출골 24a, 24b, 64 : 배출구
25a, 25b, 25c, 25c', 25d, 25e, 25f : 유체안내부
26a, 26b, 26c, 26d, 26e, : 유체안내판
27, 72 : 안내굴곡부 28, 28' : 흐름제지부
29a, 29b : 점검문 30a, 30b, 30c : 열교환부
31 : 1a, 1b, 1c, 1d, 1e, 2a : 압입송풍형 냉각탑
10a : 장변측 케이싱 10b : 단변측 케이싱
10c : 장착개구 10ca : 제1장착개구
10cb : 제2장착개구 11a, 11b : 격벽
12 : 제1급기채널 13 : 제2급기채널
14 : 급기채널 15 : 열교환영역
16 : 살수영역 17 : 배기구
18a : 하단고정부 18b : 상단고정부
19a : 급기구 19b : 팬룸(Fan Room)
19c : 냉각공기흡입공간 19d : 지지빔
20a, 20b, 20c, 20d, 20e : 채널구획부
21 : 채널구획벽 22a, 22a', 22b, 22c : 배출부
23 : 배출골 24a, 24b, 64 : 배출구
25a, 25b, 25c, 25c', 25d, 25e, 25f : 유체안내부
26a, 26b, 26c, 26d, 26e, 26f : 유체안내판
27, 72 : 안내굴곡부 28, 28' : 흐름제지부
29a, 29b : 점검문 30a, 30b, 30c : 열교환부
31 : 냉각유체유입구 32 : 냉각유체유입헤더
33 : 전열관 34 : 냉각유체유출헤더
35 : 냉각유체유출구 40 : 살수부
41 : 냉각수유입구 42 : 살수주관
43 : 살수분기관 44 : 살수노즐
45 : 엘리미네이터 50a, 50b, 50c : 송풍팬부
51a, 51b, 51c : 팬하우징 52a, 52b : 송풍팬
53a, 53b : 팬모터 54a, 54b : 급기토출구
55a, 55b : 장착부재 56 : 지지프레임
57 : 댐퍼 60, 60' : 집수부
61, 61' : 집수조 61a : 외측벽
61b : 내측벽 62 : 냉각수유출구
63 : 배출기둥 65 : 살수펌프
66 : 냉각수공급관 67 : 보충수공급부
68 : 냉각수유출관 70 : 처마부
71 : 안내경사판 80 : 급기조절부
81 : 안내판 82 : 조절판
83 : 회동힌지부 84 : 고정부재
85 : 조절가이더(guider) 86 : 배수공
90 : 다용도공간 92 : 보수공간
95 : 냉각탑기초 1h : 하부급기로
2h : 상부급기로

Claims (17)

  1. 냉각수를 냉각하거나 냉매를 냉각응축하며, 열교환부가 배치되는 열교환영 역(15), 냉각수를 상기 열교환부로 살수하는 살수부(50)가 배치되는 살수영역(16) 및 급기채널을 형성하는 장변측 케이싱(10a)과 단변측 케이싱(10b);
    상기 열교환부를 통과한 냉각수를 집수하는 집수조(61)와 냉각유체유출구(62)로 구성되는 집수부(60);
    상기 열교환영역(15)과 살수영역(16)을 양측으로 분할(구획)하며, 상단은 상기 장변측 케이싱(10a)의 상단면과 같게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열교환영역(15)의 하부로부터 소정의 깊이로 연장되게 고정하며, 양측 단부는 양측 장변측 케이싱(10a)의 내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장변측 케이싱(10a)을 지지하는 채널분할격벽(21);
    상기 급기채널을 소정의 높이로 하여 하측은 제1급기채널(12)로, 상측은 제2급기채널(13)로 분할(구획)하며, 하단은 상기 제1급기채널(12)과 제2급기채널(13)의 중간과 대면하는 상기 단변측 케이싱(10b)의 하단고정부(18a)에 고정되고, 상단은 상기 채널분할격벽(21) 하부의 상단고정부(18b)에 고정되며, 상기 제1급기채널(12)과 제2급기채널(13) 각각으로 유동하는 급기를 안내함과 동시에 상기 제2급기채널(13)을 통해 낙하하는 냉각수를 안내하는 안내면을 형성하고, 상기 안내면을 따라 유동하는 냉각수를 상기 집수조(61)로 배출하는 배출부가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유체안내판(26a, 26b, 26c, 26d)으로 이루는 유체안내부(25a, 25b, 25c, 25c', 25d);
    상기 채널분할격벽(21)과 상기 유체안내부(25a, 25b, 25c, 25c', 25d)로 구성되는 채널구획부(20a, 20b, 20c);
    상기 제1급기채널(12)과 제2급기채널(13) 각각에 급기하며, 상기 제1급기채널(12) 및 제2급기채널(13) 각각의 단변측 케이싱(10b)에 형성되는 제1장착개구 (10ca)에 장착되거나, 상기 제1급기채널(12)의 단변측 케이싱(10b)에 형성되는 급기구(19a) 내측의 상기 유체안내판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급기구(19a)와 제1급기채널(12)을 구획하는 격벽(11a)에 형성된 제2장착개구(10cb)와 상기 제2급기채널(13)의 제1장착개구(10ca)에 장착되는 복수의 송풍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입송풍형 냉각탑.
  2. 냉각수를 냉각하거나 냉매를 냉각응축하며, 열교환부가 배치되는 열교환영 역(15), 냉각수를 상기 열교환부로 살수하는 살수부(50)가 배치되는 살수영역(16) 및 급기채널을 형성하는 장변측 케이싱(10a)과 단변측 케이싱(10b);
    상기 열교환부를 통과한 냉각수를 집수하는 집수조(61)와 냉각유체유출구(62)로 구성되는 집수부(60);
    상기 열교환영역(15)과 살수영역(16)을 양측으로 분할(구획)하며, 상단은 상기 장변측 케이싱(10a)의 상단면과 같게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열교환영역(15)의 하부로부터 소정의 깊이로 연장되게 고정되며, 양측 단부는 양측 장변측 케이싱(10a)의 내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장변측 케이싱(10a)을 지지하는 채널분할격벽(21);
    상기 급기채널을 소정의 넓이로 하여 일측은 제1급기채널(12)로, 타측은 제2급기채널(13)로 분할(구획)하며, 상기 제1급기채널(12)과 제2급기채널(13) 각각으로 유동하는 급기를 안내함과 동시에 상기 제1급기채널(12)과 제2급기채널(13) 각각을 통해 낙하하는 냉각수를 상기 집수조(61)로 안내하는 안내면을 형성하고, 하단은 상기 집수조(61)의 내측벽(61b) 상부에 소정의 높이와 넓이로 보수공간(92)이 형성되도록 상기 내측벽(61b)으로부터 외측벽(61a) 방향으로 이격되게 상기 집수조(61) 측벽의 하단고정부(18a)에 고정되며, 상단은 상기 채널분할격벽(21) 하부의 상단고정부(18b)에 고정되는 유체안내판(26e, 26f)으로 이루는 유체안내부(25e, 25f);
    상기 채널분할격벽(21)과 상기 유체안내부(25e, 25f)로 구성되는 채널구획 부(20d, 20e);
    상기 제1급기채널(12)과 제2급기채널(13) 각각에 급기하며, 일측과 타측으로 상호 외향하게 상기 제1급기채널(12)과 제2급기채널(13) 각각의 단변측 케이싱(10b)에 형성되는 제1장착개구(10ca)에 장착되는 복수의 송풍팬부;
    상기 제1급기채널(12)과 제2급기채널(13)의 유체안내판 사이에 형성되어 작업자의 출입, 보급수장치와 집수부(60)의 점검 및 보수 공간을 제공하는 다용도공간(9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입송풍형 냉각탑.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는, 다수의 필름 시트(film sheet)로 이루어지는 필름형 충진재 또는, 다수의 스플래시 막대(splash bar)로 이루어지는 비말형 충진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개방식 열교환부(30a),
    피냉각 유체가 유동하는 전열관(33), 일영역에 냉각유체유입구(31)가 구비되고 상기 전열관(33)의 일측 단부가 연결되는 냉각유체유입헤더(32), 일영역에 냉각유체유출구(35)가 구비되고 상기 전열관(33)의 타측 단부가 연결되는 냉각유체유출헤더(34)를 갖는 밀폐식 열교환부(30b) 또는,
    상기 개방식 열교환부(30a)와 밀폐식 열교환부(30b)를 조합한 혼식(hybrid) 열교환부(30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입송풍형 냉각탑.
    상기 열교환부는, 다수의 필름 시트(film sheet)로 이루어지는 필름형 충진재 또는, 다수의 스플래시 막대(splash bar)로 이루어지는 비말형 충진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개방식 열교환부(30a),
    피냉각 유체가 유동하는 전열관(33), 일영역에 온수유입구(31)가 구비되고 상기 전열관(33)의 일측 단부가 연결되는 온수유입헤더(32), 일영역에 냉수유출구(35)가 구비되고 상기 전열관(33)의 타측 단부가 연결되는 냉수유출헤더(34)를 갖는 밀폐식 열교환부(30b) 또는,
    상기 개방식 열교환부(30a)와 밀폐식 열교환부(30b)를 조합한 혼식(hybrid) 열교환부(30c)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입송풍형 냉각탑.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안내부는, 일측 단부에는 상기 단변측 케이싱(10b)의 하단고정부(18a)에 고정되는 고정부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유동되는 냉각수가 팬방향으로 몰리는 것을 제지함과 동시에 하측 배출부(22a)로 유입되는 냉각수를 상기 집수조(61)로 안내하는 흐름제지부(28)를 형성하며 급기방향으로 하향 경사면의 안내면을 형성하는 유체안내판(26a)을 갖는 하부 유체안내부(25a),
    하단부에는 상기 하측 배출부(22a)로 냉각수를 안내하는 안내굴곡부(27)가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냉각수가 상측 배출부(22a')를 넘어 유동되는 것을 제지함과 동시에 상기 상측 배출부(22a')로 유입되는 냉각수를 상기 집수조(61)로 안내하는 흐름제지부(28)를 형성하며 상기 송풍팬 방향으로 하향곡면의 안내면을 형성하는 유체안내판(26b)을 갖는 중간 유체안내부(25b),
    하단부에는 상기 상측 배출부(22a')로 냉각수를 안내하는 안내굴곡부(27)가 형성되고 상단부는 상기 채널분할격벽(21) 하부의 상단고정부(18b)에 고정되는 고정부가 형성되며 송풍팬 방향으로 하향 곡면의 안내면을 형성하는 유체안내판(26c)을 갖는 상부 유체안내부(25c)로 이루는 유체안내부 또는,
    상기 하부 유체안내부(25a), 하단부에 하측 배출부(22b)로 냉각수가 넘치는 것을 차단함과 동시에 배출을 위한 일시적인 집수공간을 형성하는 흐름제지부(28')가 구비되고 상단부는 상기 채널분할격벽(21) 하부의 상단고정부(18b)에 고정되는 고정부가 형성되며 송풍팬 방향으로 하향곡면의 안내면을 형성하는 유체안내판(26c)을 갖는 상부 유체안내부(25c')로 이루는 유체안내부 또는,
    상기 하부 유체안내부(25a), 하단부는 하측 배출부(22c)로 냉각수를 안내하는 안내굴곡부(27)가 형성되고 상단부는 상기 채널분할격벽(21) 하부의 상단고정부 (18b)에 고정되는 고정부가 형성되며 송풍팬 방향으로 하향 경사면의 안내면을 형성하는 유체안내판(26d)을 갖는 상부 유체안내부(25d)로 이루는 유체안내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입송풍형 냉각탑.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안내판(26a, 26b)에 형성된 흐름제지부(28)에는, 상기 하측 배출 부(22a)와 상측 배출부(22a')를 통해 배출되는 냉각수의 수막(water screen) 영역을 감소시키어 제1급기채널(12)의 냉각공기의 유동저항을 저감하는 수단으로서, 냉각수의 유동영역과 냉각공기의 유동영역을 형성하는 복수의 배출골(23)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입송풍형 냉각탑.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안내판(26c)에는, 제1급기채널(12)의 냉각공기의 유동저항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냉각수의 유동영역과 냉각공기의 유동영역을 형성하며, 냉각수의 유동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장공으로 이루는 복수의 배출구(24b)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입송풍형 냉각탑.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안내부는, 하단부에 상기 집수조(61)의 수면내로 냉각수를 안내하는 안내굴곡부(27)가 형성되고, 상단부는 상기 채널분할격벽(21) 하부의 상단고정부(18b)에 고정되는 고정부가 형성되며, 송풍팬 방향으로 하향 곡면의 안내면을 형성하는 유체안내판(26e)으로 이루는 한 쌍의 유체안내부(25e) 또는,
    하단부에 상기 집수조(61)의 수면내로 냉각수를 안내하는 안내 굴곡부(27)가 형성되고, 상단부는 상기 채널분할격벽(21) 하부의 상단고정부(18b)에 고정되는 고정부가 형성되며 송풍팬방향으로 하향 경사면의 안내면을 형성하는 유체안내판 (26f)으로 이루는 한 쌍의 유체안내부(25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입송풍형 냉각탑.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부는, 원통형상의 팬하우징(51a), 상기 팬하우징(51a)에 수용되는 축류형 송풍팬(52a), 상기 송풍팬(52a)을 직결구동(direct drive)하는 외륜구동의 팬모터(53a)로 구성되는 송풍팬부(50a) 또는,
    일측에 급기토출구(54a)를 갖는 원통형상의 팬하우징(51b), 상기 팬하우징 (51b)에 수용되는 축류형 송풍팬(52a), 상기 송풍팬(52a)을 간접구동(indirect drive)하는 팬모터(53b)로 구성되는 송풍팬부(50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입송풍형 냉각탑.
  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장착개구(10ca)가 형성되는 단변측 케이싱(10b) 또는, 상기 제2장착개구(10cb)가 형성되는 격벽(11a)에는, 상기 송풍팬부를 견고하게 고정하며 하중에 따른 좌굴변형 방지와 운전 진동을 감소하는 지지프레임(56)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입송풍형 냉각탑.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팬하우징(51a, 51b)의 전방 또는 후방 중 어느 한 곳에는 송풍팬의 운전이 정지됨과 동시에 상기 팬하우징(51a, 51b)을 통해 유동하는 냉각공기를 차단하는 댐퍼(57)를 더 포함하여 구비하고,
    상기 댐퍼(57)는 중력식 댐퍼 또는, 전동식 댐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입송풍형 냉각탑.
  11.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변측 케이싱(10b)의 제1장착개구(10ca)에 장착되는 복수 송풍팬부의 상부와 상기 열교환부의 저면 사이에는, 상기 단변측 케이싱(10b) 내측면에 고정되며, 상기 송풍팬부로 낙하 냉각수가 유입되지 아니하도록 안내하는 안내경사판 (71), 하향으로 흐름을 전환하는 안내굴곡부(72)로 구성되는 처마부(7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입송풍형 냉각탑.
  12.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급기채널(12) 또는 제2급기채널(13)에는, 상기 장변측 케이싱(10a)의 내측에 지지되어 유동하는 급기를 상기 열교환부를 향해 균등하게 안내하며, 낙하 냉각수와 냉각공기를 안내하는 안내면을 형성하는 안내판(81), 하부급기로(1h)와 상부급기로(2h)의 높이를 조절하여 각 급기로(1h, 2h)로 유입되는 급기량을 조절하는 조절판(82), 상기 조절판(82)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조절판(82)을 회동시키는 회동힌지부(83), 상기 조절판(82)의 양단에 구비되어 상기 조절판(82)을 회동 및 고정하는 고정부재(84), 상기 조절판(82)의 상하 회동을 안내하고 상기 고정부재(84)가 고정되는 조절가이더(85)로 구성되는 급기조절부(8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입송풍형 냉각탑.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판(81)에는, 상기 안내면을 따라 유동하는 냉각수가 송풍팬부방향으로 과도하게 몰리는 것을 방지하는 배수 수단으로서, 복수의 배수공(86)을 더 포함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입송풍형 냉각탑.
  1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압입송풍형 냉각탑은, 복수의 압입송풍형 냉각탑의 장변측 케이싱(10a) 각각을 연속적으로 붙이여 확장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입송풍형 냉각탑.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180014287A 2018-02-06 2018-02-06 압입송풍형 냉각탑 KR1019525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4287A KR101952532B1 (ko) 2018-02-06 2018-02-06 압입송풍형 냉각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4287A KR101952532B1 (ko) 2018-02-06 2018-02-06 압입송풍형 냉각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2532B1 true KR101952532B1 (ko) 2019-05-02

Family

ID=66581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4287A KR101952532B1 (ko) 2018-02-06 2018-02-06 압입송풍형 냉각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25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58603A (zh) * 2018-05-24 2018-08-28 德州贝诺风力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冷却塔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24464A (ja) * 2005-07-21 2007-02-01 Takasago Thermal Eng Co Ltd 冷却塔
JP2008292055A (ja) * 2007-05-24 2008-12-04 Nippon Spindle Mfg Co Ltd 冷却塔
KR20110047627A (ko) * 2009-10-30 2011-05-09 주식회사 경인기계 향류형 냉각탑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24464A (ja) * 2005-07-21 2007-02-01 Takasago Thermal Eng Co Ltd 冷却塔
JP2008292055A (ja) * 2007-05-24 2008-12-04 Nippon Spindle Mfg Co Ltd 冷却塔
KR20110047627A (ko) * 2009-10-30 2011-05-09 주식회사 경인기계 향류형 냉각탑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SHRAE 2000 Hvac Systems And Equipment Handbook)
CHAPTER 35 CONDENSERS: Fig. 11 Functional View of Evaporative Condenser
CHAPTER 36 COOLING TOWERS: Fig. 11 Factory-Assembled Counterflow Forced-Draft Tow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58603A (zh) * 2018-05-24 2018-08-28 德州贝诺风力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冷却塔
CN108458603B (zh) * 2018-05-24 2023-11-28 德州贝诺风力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冷却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62729B2 (en) Direct forced draft fluid cooler/cooling tower and liquid collector therefor
JP2020532702A (ja) 集水配置
US6938885B2 (en) Hybrid type cooling tower
US11255620B2 (en) Water collection/deflection arrangement
KR101082792B1 (ko) 고효율 냉각탑
KR100834903B1 (ko) 백연감쇄 흡입통풍식냉각탑
KR101082791B1 (ko) 하부급기형 냉각탑
US20230324134A1 (en) Apparatus for cooling liquid and collection assembly therefor
KR100645228B1 (ko) 돌출형 살수챔버를 갖는 직교류냉각탑
KR101935225B1 (ko) 압입송풍 냉각탑
KR101627775B1 (ko) 분할냉각부를 갖는 백연저감 대향류냉각탑 및 그 제어방법
KR101952532B1 (ko) 압입송풍형 냉각탑
KR100834902B1 (ko) 백연감쇄 압입통풍식냉각탑
KR101895937B1 (ko) 압입송풍형 대향류냉각탑
KR100526758B1 (ko) 하이브리드 냉각탑
EA000905B1 (ru) Гибридная градирня
KR100479838B1 (ko) 실내용 냉각탑
KR20010017120A (ko) 압력 살수식 직교류형 냉각탑
CN113883620B (zh) 一种室内水循环系统
KR200297204Y1 (ko) 실내용 냉각탑
KR101583520B1 (ko) 백연과 동력을 저감하는 직교류냉각탑 및 그 제어방법
KR102350168B1 (ko) 에너지 절감형 하이브리드 냉각탑
KR102656431B1 (ko) 건물 외벽 설치형 열교환 시스템
KR100328739B1 (ko) 루버 내장형 냉각탑
KR101583444B1 (ko) 백연저감 밀폐식 직교류냉각탑 및 이를 이용한 외기냉방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