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1511B1 - 굴착식 매립장 - Google Patents

굴착식 매립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1511B1
KR101081511B1 KR1020090120259A KR20090120259A KR101081511B1 KR 101081511 B1 KR101081511 B1 KR 101081511B1 KR 1020090120259 A KR1020090120259 A KR 1020090120259A KR 20090120259 A KR20090120259 A KR 20090120259A KR 101081511 B1 KR101081511 B1 KR 1010815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leachate
groundwater
landfill
s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0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3896A (ko
Inventor
박봉현
최은주
강신현
이운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건화
Priority to KR1020090120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1511B1/ko
Publication of KR20110063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38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1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15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1/00Dumping solid waste
    • B09B1/008Subterranean disposal, e.g. in boreholes or subsurface fra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18Making embankments, e.g. dikes, da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02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04Sealing lin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10Waste collection, transportation, transfer or storage, e.g.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lectric or hybrid propul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굴착식 매립장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광 하협한 형상으로 굴착되고 법면은 다단으로 이루어지고, 적어도 2개 이상 복수개의 매립 블록으로 분할된 복수개의 매립부(100)와, 상기 매립부(100)를 이루는 원 지반(120)에서 발생되는 지하수를 배제하도록 매립부(100)의 저면 및 측면에 형성된 지하수 집배수층(130)과, 상기 지하수 집배수층(130)으로 침출수 및 우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지하수 집배수층(130)의 표면에 형성된 차수층(140)과, 상기 매립부(100)에 발생되는 침출수, 우수, 지하수를 외부로 배제하도록 매립부(100)의 저부에 설치된 침출수 집수조(151), 우수 집수조(152)및 지하수 집수조(153)와, 상기 침출수 집수조(151), 우수 집수조(152), 지하수 집수조(153)에 각각 연결된 침출수 배수관(157), 우수 배수관(158) 및 지하수 배수관(159)이 내장되게 법면에 형성된 공동구(160)와, 상기 매립부(100)의 법면 각 단에 설치되고, 중앙부는 높고 양 단부는 낮게 형성된 적어도 2개 이상 복수개의 유도부재(170)와, 상기 유도부재(170)로 유도된 우수를 우수 집수조(152)으로 안내하는 우수 안내관(180)과, 상기 유도부재(170)로 유도된 침출수를 침출수 집수조(151)으로 안내하는 침출수 안내관(190)을 포함하여서 된 것으로, 본 발명은 굴착식 매립장으로 유입되는 우수와 매립장에 매립된 폐기물에서 발생되는 침출수 및 원지반에서 발생되는 지하수를 분리된 상태로 배제하여 우수 및 지하수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굴착식 매립장에 관한 것이다.
굴착, 매립, 지하수, 침출수, 우수

Description

굴착식 매립장{Excavation landfill}
본 발명은 굴착식 폐기물 매립장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매립장에 매립된 폐기물에서 발생되는 침출수와 매립장 내부의 우수 및 원지반에서 발생되는 지하수를 분리된 상태로 배제하여 우수와 지하수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굴착식 매립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폐기물 매립장은 사람들이 생활하면서 필수 불가결적으로 발생하는 생활 폐기물 및 산업 현장에서 발생하는 산업 폐기물을 매립하는 장소로서, 정부 및 각 지방 자치 단체에서 운영하고 있으며, 수용되는 폐기물의 양에 따라 그 규모도 다양하다.
폐기물 매립장은 지면의 상부에 다수의 적층 구조로 매립하는 평지 매립장과 계곡등에 매립장을 조성하여 매립하는 계곡 매립장 및 매립공간이 확보되도록 지면을 굴착하는 굴착매립장 등으로 구분된다.
평지 매립장은 지면에 계단처럼 다수의 적층 구조로서 폐기물을 매립하는 것이고, 통상적으로 5단 - 9단 정도의 매립층을 형성하고 있으며, 각 단의 매립 후 복토하고 있다.
계곡 매립장은 자연적으로 형성된 계곡에 폐기물을 매립하는 것이고, 계곡의 깊이에 따라 다단으로 매립층을 형성하고 있으며, 각 단의 매립 후 복토하고 있다.
굴착 매립장은 폐기물을 매립할 수 있는 매립공간이 형성되도록 지면을 굴착하여 매립장을 만들고, 그 매립장에 다단으로 매립층을 형성하고 있으며, 각 단의 매립 후 복토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폐기물을 매립할 때에는 그 폐기물에서 침출수가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침출수는 별도의 집수정에 모아 처리하고 있다. 또한 매립장 주변에 발생되는 우수가 침출수와 혼합될 경우에는 침출수로 인하여 우수가 오염되므로 상기 침출수와 우수를 분리되게 배제하여야 한다.
상기 평지 매립장 및 계곡 매립장의 경우에는 매립장의 주변으로 우수를 배제하여 우수와 침출수의 혼합을 간편하게 방지할 수 있지만 굴착식 매립장의 경우에는 굴착된 매립장의 내부로 유입된 우수와 침출수가 혼합되어 침출수의 양을 증가 시키게 되며, 이를 처리하기 위한 비용 또한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굴착식 매립장에 있어서 우수와 침출수의 혼합을 방지하고 이를 분리 처리할 수 있는 굴착식 매립장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폐기물을 매립함에 있어서, 굴착식 매립장으로 유입되는 우수와 매립장에 매립된 폐기물에서 발생되는 침출수를 분리된 상태로 배제함과 동시에 매립장의 내부로 유입된 우수를 임시 저류하여 폐기물과 접촉을 방지하는 동시에 우수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굴착식 매립장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굴착식 매립장은 상부는 넓고 하부는 좁은 상광 하협한 형상으로 굴착되고, 법면은 적어도 2개 이상 복수개의 수평면이 형성되게 다단으로 이루어지며, 적어도 2개 이상 복수개의 매립 블록으로 분할된 매립부; 상기 매립부를 이루는 원 지반에서 발생되는 지하수를 배제하도록 매립부의 저면 및 측면에 형성된 지하수 집배수층; 상기 지하수 집배수층으로 침출수 및 우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지하수 집배수층의 표면에 형성된 차수층; 상기 매립부에 발생되는 침출수, 우수, 지하수를 외부로 배제하도록 매립부의 저부에 설치된 침출수 집수조, 우수 집수조, 지하수 집수조; 상기 침출수 집수조, 우수 집수조, 지하수 집수조에 각각 연결된 침출수 배수관, 우수 배수관 지하수 배수관이 내장되게 법면에 형성된 공동구; 상기 매립부의 법면 각 단에 설치되고, 중앙부는 높고 양 단부는 낮게 형 성된 적어도 2개 이상 복수개의 유도부재; 상기 유도부재로 유도된 우수를 우수 집수조로 안내하는 우수 안내관; 상기 유도부재로 유도된 침출수를 침출수 집수조로 안내하는 침출수 안내관; 상기 우수 안내관 및 침출수 안내관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플랜지관을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굴착식 매립장은 매립부로 유입되는 우수를 저류하도록 매립부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2개 이상 복수개의 매립부에 우수 임시 저류조를 형성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굴착식 매립장으로 유입되는 우수와 매립장에 매립된 폐기물에서 발생되는 침출수 및 원지반에서 발생되는 지하수를 분리된 상태로 배제하여 우수 및 지하수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매립장의 내부로 유입된 우수를 임시 저류하게 되므로 우수가 폐기물과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우수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우수집수조 및 우수펌프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을 나타낸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굴착식 매립장의 배치구조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사방 법면이 하향으로 경사를 이루어지면서 다단으로 이루어지고, 바닥에는 폐기물을 매립할 수 있도록 다수의 블럭을 형성할 수 있도록 바닥 공간부를 갖는다.
상기 매립장의 바닥 양측에는 우수 임시저류조(110)가 설치되고, 그 저부에 침수 집수조, 우수집수조, 지하수 집수조로 이루어진 집수ㅜ조(150)이 매립설치된다. 상기 도일에서 평면상 전후부에 도시된 일점쇄선은 집수조(10(20)을 나타낸것이다.
상기 집수조(10(20)은 침출수 집수조(151), 우수 집수조(152), 지하수 집수조(153)으로 구획 설치된다.
도 2는 도 1의 A - A 선에 있어서, 다단으로 이루어진 일측부 법면에 형성된 다수의 유도부재중 하나를 확대 도시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상기 도2는 매립장의 법면을 나타낸것으로 저부에는 지하수 집배수층이 형성되고, 지하수 집배수층은 배수될 수 있도록 쇄석(131)으로 채워져 형성된다.
도 3은 도 1의 B - B 선에 있어서, 다단으로 이루어진 일측부 법면에 매립 설치된 침출수 배수관, 우수배수관, 지하수 배수관을 예시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상기 도3은 법면에 설치되는 침출수 배수관, 우수배수관, 지하수 배수관을 요약하여 도시한 것으로 이들의 말단 부는 각각의 해당 집수조와 연결된다.
도 4는 도 2의 C - C 선에 있어서, 유도부재에 우수 안내관과 침출수 안내관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발췌도이다.
도 5는 도 2의 C - C 선에 있어서, 유도관에 우수 안내관, 침출수 안내관 및 플랜지관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발췌도이다.
도 6은 도 3의 D - D 선에 있어서, 침출수집수조, 우수 집수도, 지하수집수조에 침출수 배수관, 우수배수관, 지하수 배수관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7a및 도7b는 본발명의 굴착식 매립장 저부에 매립된 각 집수조와 각 배수관의 연결구성을 나타낸 발췌도로서, 매립장의 각 블럭 과 연결되도록 침출수집수조, 우수 집수도, 지하수집수조가 매립설치된다.
상기 도7a는 도1에 있어서 집수조(10)을 상세하게 나타낸 것이며, 도7b는 상기 도1의 집수조(20)의 구성을 나타낸 세부도이다.
여기에서 도1 내지 도3에서 참조 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굴착 매립장의 전체적인 형상은 상부는 넓고 하부는 좁은 상광 하협한 형상으로 굴착하여 매립부(100)를 형성하되, 그 매립부(100)의 법면은 적어도 2개 이상 복수개의 수평면이 형성되게 다단으로 형성하는 것이고, 상기 매립부(100)는 적어도 2개 이상 복수개의 매립 블록으로 분할되어 있다.(도1참조)
이와 같이 복수개의 매립 블록으로 분할된 매립부(100)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2개 이상 복수개의 매립부(100)에는 우수를 저류하기 위한 우수 임시 저류조(110)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매립부(100)를 이루는 원 지반(120)에서 발생되는 지하수를 배제하도록 매립부(100)의 저면 및 측면에 지하수 집배수층(130)이 형성되어 있고, 그 지하수 집배수층(130)에는 쇄석(131)이 충입되는 것이다.(도2 참조)
또한, 상기 지하수 집배수층(130)으로 침출수 및 우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지하수 집배수층(130)의 표면에 차수층(14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매립부(100)에 발생되는 침출수, 우수, 지하수를 외부로 배제하기 위하여 매립부(100)의 저부에 집수조(150)가 설치되어 있되, 그 집수조(150) 는 침출수 집수조(151), 우수 집수조(152), 지하수 집수조(153)로 각각 분리되어 있다.(도6 참조)
상기 집수조(150)에는 펌프(154,155,156)가 설치되어 있고, 그 펌프(154,155,156)에는 침출수 배수관(157), 우수 배수관(158), 지하수 배수관(159)이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침출수 배수관(157), 우수 배수관(158), 지하수 배수관(159)은 매립부(100)의 법면에 형성된 공동구(160)에 내장되고 각 배수관의 단부는 매립부(100)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한편, 매립부(100)의 법면 각 단에는 우수 또는 침출수를 유도하기 위한 유도부재(170)가 설치되어 있되, 그 유도부재(170)는 중앙부는 높고 양 단부는 낮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도부재(170)는 복수개가 서로 연결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유도부재(170)의 연결부에는 우수를 우수 집수조(152)로 안내하는 우수 안내관(180) 및 침출수를 침출수 집수조(151)로 안내하는 침출수 안내관(190)이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유도부재(170)의 내부에는 우수 안내관(180) 또는 침출수 안내관(190)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플랜지관(200)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폐기물을 매립하지 않은 상태일 때에는 유도부재(170)에 모아진 우수가 우수 집수조(152)로 이동되도록 플랜지관(200)을 침출수 안내관(190)의 단부에 연결하는 것이며, 이때 우수 안내관(180)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복수개의 블록으로 분할된 매립부(100)중 어느 하나의 블록 에 폐기물을 다층으로 매립하는 것이며, 이와 같이 폐기물을 매립하면 법면에 설치된 유도부재(170)는 하부로부터 순차적으로 폐기물에 의해서 매몰되는 것이다.
따라서, 폐기물이 근접된 유도부재(170)에는 침출수가 유입되므로 이때에는 침추수가 침출수 집수조(151)로 이동되도록 플랜지관(200)을 우수 안내관(180)의 단부에 연결하는 것이며, 이때 침출수 안내관(190)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유도부재(170)에 유도된 침출수는 침출수 안내관(190)을 통하여 침출수 집수조(151)로 유입되는 것이다.
한편, 폐기물이 매립되지 않은 매립부(100)로 유입되는 우수는 복수개의 매립부(100)중 우수 임시 저류조(110)에 모아지는 것이고, 그 우수 임시 저류조(110)에 모아진 우수는 우수 집수조(152)로 유입되는 것이다.
또한, 원지반에서 발생되는 지하수는 지하수 집배수층(130)을 통하여 지하수 집수조(153)로 유입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집수조로 각각 유입된 침출수, 우수, 지하수는 펌프(154,155,156)에 의해서 펌핑되는 것이고, 상기 펌프(154,155,156)에 연결된 침출수 배수관(157), 우수 배수관(158), 지하수 배수관(159)을 통하여 외부로 배수되는 것이다.
다층으로 매립되는 폐기물의 높이가 지면보다 높게되면, 인접된 매립부(100)에 폐기물을 매립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침출수 배수관(157), 우수 배수관(158), 지하수 배수관(159)은 공동구(160)에 내장되어 있으므로, 폐기물을 매립한 후에도 수리 및 교환 작업이 가능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의 굴착식 매립장은 매립부로 유입되는 우수를 저류하도록 매립부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2개 이상 복수개의 매립부에 우수 임시 저류조를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굴착식 매립장으로 유입되는 우수와 매립장에 매립된 폐기물에서 발생되는 침출수 및 원지반에서 발생되는 지하수를 분리된 상태로 배제하여 우수 및 지하수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매립장의 내부로 유입된 우수를 임시 저류하게 되므로 우수가 폐기물과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우수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우수집수조 및 우수펌프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굴착식 매립장의 배치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도 1의 A - A 선에 있어서, 다단으로 이루어진 일측부 법면에 형성된 다수의 유도부재중 하나를 확대 도시한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 - B 선에 있어서, 다단으로 이루어진 일측부 법면에 매립 설치된 침출수 배수관, 우수배수관, 지하수 배수관을 예시한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도 2의 C - C 선에 있어서, 유도부재에 우수 안내관과 침출수 안내관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발췌도.
도 5는 도 2의 C - C 선에 있어서, 유도관에 우수 안내관, 침출수 안내관 및 플랜지관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발췌도.
도 6은 도 3의 D - D 선에 있어서, 침출수집수조, 우수 집수도, 지하수집수조에 침출수 배수관, 우수배수관, 지하수 배수관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7a및 도7b는 본발명의 굴착식 매립장 저부에 매립된 각집수조와 각 배수관의 연결구성을 나타낸 발췌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매립부 110 : 우수 임시 저류조
120 : 원 지반 130 : 지하수 집배수층
140 : 차수층 151 : 침출수 집수조
152 : 우수 집수조 153 : 지하수 집수조
157 : 침출수 배수관 158 : 우수 배수관
159 : 지하수 배수관 160 : 공동구
170 : 유도부재 180 : 우수 안내관
190 : 침출수 안내관 200 : 플랜지관

Claims (2)

  1. 상부는 넓고 하부는 좁은 상광 하협한 형상으로 굴착되고, 법면은 적어도 2개 이상 복수개의 수평면이 형성되게 다단으로 이루어지며, 적어도 2개 이상 복수개의 매립 블록으로 분할된 매립부(100)와;
    상기 매립부(100)를 이루는 원 지반(120)에서 발생되는 지하수를 배제하도록 매립부(100)의 저면 및 측면에 형성된 지하수 집배수층(130)과;
    상기 지하수 집배수층(130)으로 침출수 및 우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지하수 집배수층(130)의 표면에 형성된 차수층(140)과;
    상기 매립부(100)에 발생되는 침출수, 우수, 지하수를 외부로 배제하도록 매립부(100)의 저부에 설치된 침출수 집수조(151), 우수 집수조(152) 및 지하수 집수조(153)로 이루어진 집수조(150)와;
    상기 침출수 집수조(151), 우수 집수조(152) 및 지하수 집수조(153)에 각각 연결된 침출수 배수관(157), 우수 배수관(158) 지하수 배수관(159)이 내장되게 법면에 형성된 공동구(160)와;
    상기 매립부(100)의 법면 각 단에 설치되고, 중앙부는 높고 양 단부는 낮게 형성된 적어도 2개 이상 복수개의 유도부재(170)와;
    상기 유도부재(170)로 유도된 우수를 우수 집수조(152)로 안내하는 우수 안내관(180)과;
    상기 유도부재(170)로 유도된 침출수를 침출수 집수조(151)로 안내하는 침출 수 안내관(190)과;
    상기 우수 안내관(180) 및 침출수 안내관(190)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플랜지관(200)을 포함함을 특징을 하는 굴착식 매립장.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매립부(100)로 유입되는 우수를 저류하도록 매립부(100)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2개 이상 복수개의 매립부(100)에 우수 임시 저류조(110)를 형성함을 특징을 하는 굴착식 매립장.
KR1020090120259A 2009-12-07 2009-12-07 굴착식 매립장 KR1010815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0259A KR101081511B1 (ko) 2009-12-07 2009-12-07 굴착식 매립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0259A KR101081511B1 (ko) 2009-12-07 2009-12-07 굴착식 매립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3896A KR20110063896A (ko) 2011-06-15
KR101081511B1 true KR101081511B1 (ko) 2011-11-08

Family

ID=44397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0259A KR101081511B1 (ko) 2009-12-07 2009-12-07 굴착식 매립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15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3367B1 (ko) * 2013-02-18 2015-05-28 진보지질(주) 폐기물 매립장 경사시추 지하수 배제공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24928B (zh) * 2019-10-09 2020-11-17 安徽国祯环卫科技有限公司 一种垃圾堆体开挖作业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8441B1 (ko) 2006-04-21 2006-12-19 (주)경동기술공사 쓰레기 매립장 침출수 여과매트
KR100896707B1 (ko) 2008-05-09 2009-05-11 플러스이앤씨(주) 폐기물 매립지 사면부를 이용한 침출수 배수시설 시공구조
KR100908224B1 (ko) 2008-06-23 2009-07-20 제이에이건설주식회사 매립장의 배수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8441B1 (ko) 2006-04-21 2006-12-19 (주)경동기술공사 쓰레기 매립장 침출수 여과매트
KR100896707B1 (ko) 2008-05-09 2009-05-11 플러스이앤씨(주) 폐기물 매립지 사면부를 이용한 침출수 배수시설 시공구조
KR100908224B1 (ko) 2008-06-23 2009-07-20 제이에이건설주식회사 매립장의 배수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3367B1 (ko) * 2013-02-18 2015-05-28 진보지질(주) 폐기물 매립장 경사시추 지하수 배제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3896A (ko) 201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66287B2 (ja) 雨水排水システム
US11149427B2 (en) Tessellation square module and underground storage system
CN104043644B (zh) 一种利用分层循环清洗治理土壤污染的方法
KR100896707B1 (ko) 폐기물 매립지 사면부를 이용한 침출수 배수시설 시공구조
JP5723872B2 (ja) 防潮堤内の干拓地造成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施設構造
KR101081511B1 (ko) 굴착식 매립장
KR101081513B1 (ko) 굴착식 매립장의 우수 침출수 분리배제방법
KR100592430B1 (ko) 쓰레기 매립지의 경사면 유실 방지 구조
KR101081512B1 (ko) 굴착식 매립장의 폐기물 매립방법
JP2012255250A (ja) 雨水処理施設
RU2751569C1 (ru) Горизонтальное водозаборное сооружение комбинированной конструкции
CN216841803U (zh) 特长深埋隧道长距离反坡排水装置
CN209585078U (zh) 一种用于超大深基坑的强排水系统
JP5880060B2 (ja) 地盤沈下により発生する建物と周囲の地盤との段差を抑制する構造及び方法
RU2431530C1 (ru) Способ реконструкции свалки с преобразованием ее в полигон тбо
JP2002143801A (ja) 廃棄物処分場
KR200426719Y1 (ko) 터널형 빗물 침투 및 저류 시스템
KR102253356B1 (ko) 폐기물 매립장의 우수 및 침출수 제거방법
RU2758237C1 (ru)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горизонтального водозаборного сооружения комбинированной конструкции
CN220413915U (zh) 一种环保沿河涉水便道
RU2434992C1 (ru) Способ повышения экологической безопасности находящегося в эксплуатации пойменного гидроотвала отходов предприятия
JP2008106513A (ja) 雨水貯留浸透施設
CN218233688U (zh) 一种灰渣回填露天矿坑的渗滤液收集系统
CN212926186U (zh) 危险废物刚性填埋场防渗阻隔结构
JP2007182708A (ja) 地下貯留槽設計支援装置、地下貯留槽設計支援方法、該設計方法に基づく地下貯留槽設計支援プログラム及び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プログラム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