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1017B1 - 위급상황 대응이 가능한 가변 할당형 시선 유도등 시스템 - Google Patents

위급상황 대응이 가능한 가변 할당형 시선 유도등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1017B1
KR101081017B1 KR1020110048982A KR20110048982A KR101081017B1 KR 101081017 B1 KR101081017 B1 KR 101081017B1 KR 1020110048982 A KR1020110048982 A KR 1020110048982A KR 20110048982 A KR20110048982 A KR 20110048982A KR 101081017 B1 KR101081017 B1 KR 1010810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controller
unit
information
induction
induction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8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진
Original Assignee
(주)도명디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도명디앤이 filed Critical (주)도명디앤이
Priority to KR1020110048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10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1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10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08B7/06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guiding along a path, e.g. evacuation path lighting stri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1Outdoor lighting of tunnels or the like, e.g. under brid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널이나 지하차도 등에 나열식으로 설치하여 진행로를 안내하는 시선 유도등 시스템을 역방향 보고 채널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이러한 구성을 통해서 위급상황 발생 시 관리되는 시선 유도등을 재할당하고 이상 상태의 전파와 대응을 신뢰성 있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위급상황 대응이 가능한 가변 할당형 시선 유도등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고전압 교류 전력선과 제어 선로를 분리 구성하고, 기 설정된 수의 피난 유도등 겸용 시선 유도등을 관리하며 상기 제어 선로 및 별도의 무선 통신 기능을 통해 관리부와 복수 채널로 연결되는 메인 제어기를 복수로 구성하도록 하고, 선로 이상 시 메인 제어기가 관리할 수 있는 시선 유도등을 재할당 함으로써 선로가 파손되는 위급 상황 시에도 신뢰성 있게 유도등을 관리하여 시선 유도등을 피난 유도등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위급상황 대응이 가능한 가변 할당형 시선 유도등 시스템{VARIABLE ALLOCABLE SAFETY GUIDANCE LAMP SYSTEM CAPABLE OF EMERGEMCY REACTING}
본 발명은 위급상황 대응이 가능한 가변 할당형 시선 유도등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터널이나 지하차도 등에 나열식으로 설치하여 진행로를 안내하는 시선 유도등 시스템을 역방향 보고 채널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이러한 구성을 통해서 위급상황 발생 시 관리되는 시선 유도등을 재할당하고 이상 상태의 전파와 대응을 신뢰성 있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위급상황 대응이 가능한 가변 할당형 시선 유도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지하 차도나 터널 혹은 지하 주차장의 진입구 등에 설치되어 그 진행로의 형태를 운전자에게 명확하게 인지시켜 급격한 밝기 변화에 따른 시력저하로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시선 유도등 시스템이 광범위하게 도입되고 있다.
이러한 시선 유도등 시스템은 터널이나 지하차도의 차도 측면에 LED(발광 다이오드)를 광원으로 하는 시선 유도등을 일정한 간격으로 나열하여 설치하고 상기 시선 유도등과 연결되어 그 안정적인 동작이나 밝기를 제어하는 제어기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기는 관리동과 연결되어 전원 및 제어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1은 터널(10)에 설치된 시선 유도등(20)의 배치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복수의 시선 유도등(20)이 차도를 따라서 터널(10)의 양 측방에 균일하게 나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시선 유도등(20)은 설치 위치에서 전면과 후면에 상이한 색상의 빛을 제공하여 진행 방향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시선 유도등은 어두운 실내로 진입한 운전자의 시선을 유도하여 안전을 도모하고 있으며, 과도한 밝기로 인한 운전자의 눈부심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부 밝기, 시간에 따른 스케줄링 혹은 수동 제어에 의해 그 밝기가 제어된다.
현재 대부분의 터널에 설치되어 있는 시선 유도등의 경우, 한국 도로공사의 지침에 따라서 DC 24V 전원을 이용한 PLC(Power Line Communication) 방식으로 동작하는데, 1Km 까지 단일 제어기가 제공하는 DC 24V 전원으로 동작하되 전압 강하를 고려하여 14V에서도 정상적으로 동작해야 함과 아울러 해당 전원에 포함된 제어 신호에 따라 연결된 전체 시선 유도등의 밝기가 제어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는 종래 시선 유도등 시스템의 구성예를 보인 것으로, 관리동(30)에 설치되어 시선 유도등의 동작 여부와 밝기를 제어하는 관리부(31)와, 상기 관리부(31)와 전원선로 및 제어 선로를 통해 연결되어 복수의 시선 유도등(42)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기(41)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제어기(41)와 시선 유도등(42)은 터널(40)에 배치되며, 전원 선로(전원선과 접지) 만으로 연결된다.
상기 메인 제어기(41)는 도시한 바와 같이 비교적 낮은 전압의 직류 전원을 비교적 긴 거리까지 전송하면서 수십 개 이상의 시선 유도등(42)에 전원과 신호를 단일 전원선을 통해 동시에 공급하며, 상기 각 시선 유도등(42)은 상기 메인 제어기(41)가 전원선을 통해 제공하는 전원 및 신호를 수신하여 복수의 LED를 점등하고 그 밝기를 PWM 제어 방식으로 제어한다.
도시된 구성의 선로는 실질적으로 전원선(접지와 직류 전압을 제공하기 위한 선로)이며 별도로 통신선로를 구성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위해서, 상기 메인 제어기(41)와 상기 시선 유도등(42) 각각에는 저전압 직류 PLC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이 포함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구성은 신뢰성이 낮으면서도 비용이 높고, 저전압 직류 PLC 선로 구성 상 모니터링이나 백업을 위한 제어 선로의 구성이 어려워 정확한 시선 유도등의 동작 여부나 이상 상황 발생을 확인하기 곤란하다.
일반적인 PLC의 경우 220V 60Hz의 상용 전원에 수십V 정도의 신호를 실어 전송하고 해당 신호를 전원선에 연결된 모뎀에서 획득하는 방식으로 구성되는데, 다양한 노이즈원에 의해서 상당히 높은 수준의 소스 코딩과 채널코딩을 거쳐 변조된 신호를 여러 번 반복하여 전송하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결국, 100V 이상의 AC를 실내 통신과 같이 제한된 거리 및 환경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도 다양한 노이즈에 의해서 상용화가 용이하지 않은 PLC 방식을 수십V 수준의 DC 전압에서 1Km까지 전달되도록 구성하는 것은 대단히 어렵다. 특히, 터널과 같이 다양한 전파들이 반사되는 상황에서는 선로를 통한 노이즈의 유입이 크기 때문에 접지 성능을 높이는 정도로는 완전한 노이즈 차단이 어려워 실제 설치된 시선 유도등의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가 빈번하여 보수를 위한 비용이 과도한 상황에 직면하고 있다.
특히, 이러한 구성은 시선 유도등의 밝기 제어에 대한 신뢰성을 낮추어 운영자도 밝기 제어에 대한 정상동작을 확신하지 못하는 상황에 이르고 있는 실정이므로, 구간별 이나 개별 시선 유도등에 대한 제어는 거의 불가능한 상황이다. 또한, 제어 신호는 제어기에서 시선 유도등으로 전달되기만 할 뿐 반대로 신호를 수집하는 채널을 구성하기 어려워 시선 유도등에 고장이 발생하거나 선로 중 단선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이를 확인하기 어려워 이상에 대한 대응이 느려질 수밖에 없으며 이러한 상황이 반복될 경우 실제 위급 상황 시 필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
결국, 높은 비용을 들여 설치하는 시선 유도등이 안정적으로 동작을 하고 있지 못하고, 이상에 대한 파악이 느려 유명무실한 경우가 많으며, 밝기 제어 등에 대한 신뢰성이 낮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서는 시선 유도 등에 의해 오히려 사고가 유발될 수도 있다.
한편, 많은 비용을 들여 설치한 시선 유도등을 단순한 시선 유도에만 사용하고 있을 뿐, 터널 사고 등과 같은 위급 상황 시 피난 안내나 사고 상황 발생 전파 등과 같이 해당 자원을 활용할 수 있는 기능은 아직 제공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 실시예들의 목적은 고전압 교류 전력선과 제어 선로를 분리 구성하고, 기 설정된 수의 피난 유도등 겸용 시선 유도등을 관리하며 상기 제어 선로 및 별도의 무선 통신 기능을 통해 관리부와 복수 채널로 연결되는 메인 제어기를 복수로 구성하도록 하고, 선로 이상 시 메인 제어기가 관리할 수 있는 시선 유도등을 재할당 함으로써 선로가 파손되는 위급 상황 시에도 신뢰성 있게 유도등을 관리하여 시선 유도등을 피난 유도등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위급상황 대응이 가능한 가변 할당형 시선 유도등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 실시예들의 다른 목적은 메인 제어기마다 자신이 관리하는 피난 유도등 겸용 시선 유도등을 제어하고 그 이상을 파악하여 유선 선로로 인접 메인 제어기나 관리부에 전달하며, 인접 메인 제어기 이상 시 연결 가능한 시선 유도등을 선별하여 관리 대상을 재할당하고, 메인 제어기 연결이 불가능한 시선 유도등의 경우 초기 설정 시 결정된 피난 유도등 동작을 선별적으로 수행하도록 하여 가용한 모든 유도등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위급상황 대응이 가능한 가변 할당형 시선 유도등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급상황 대응이 가능한 가변 할당형 시선 유도등 시스템은 전력선을 통해 전원을 생성 및 충전하며 제어 선로를 통한 제어 신호에 따라 구비된 발광부를 동작시켜 시선 유도등이나 피난 유도등으로 동작하는 복합 유도등과; 상기 전력선을 통해 전원을 생성 및 충전하며, 상기 제어 선로를 통해 제어 신호를 수신하거나 하나 이상의 할당된 복합 유도등 제어하고 이상 여부를 파악하여 출력하며, 연결된 제어 선로 이상 시 광역 통신 방식으로 이상 정보를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메인 제어기와; 상기 메인 제어기와 유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복합 유도등을 제어하고 이상 정보를 수신하는 관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메인 제어기는 상기 연결된 제어 선로 이상 시 인접 메인 제어기 상태 및 비할당 복합 유도등을 확인하여 비할당된 복합 유도등을 자신의 그룹으로 재할당하여 관리하면서 이를 이상 정보와 함께 상기 관리부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메인 제어기는 인접 메인 제어기로부터 각 인접 메인 제어기가 관리하는 복합 유도등의 정보를 수집하여 관리하며, 해당 인접 메인 제어기 이상 시 수집된 정보를 근거로 상기 인접 메인 제어기가 관리하는 복합 유도등을 자신의 그룹으로 재할당하여 관리하고, 상기 인접 메인 제어기가 복구되는 경우 재할당되었던 복합 유도등을 자신의 그룹에서 제외시킨다.
상기 복합 유도등은 위급 상황을 파악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부가적인 센서를 더 포함하며, 제어선로 이상에 의해 연결되는 메인 제어기가 없는 경우 상기 센서의 상태가 기 설정된 범위에 속한다면 자신을 관리하는 메인 제어기로부터 기 수집된 피난 유도등 동작 방식에 따라 피난 유도등으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제어기는 상기 복합 유도등의 센서 정보를 더 수신하며, 상기 관리부와 통신이 두절된 후 기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상기 복합 유도등의 센서로부터 얻어지는 정보를 기준으로 위급 상황 여부를 스스로 판단할 수도 있다.
상기 메인 제어기는 상기 관리부의 제어에 따라 자신이 관리하는 상기 복합 유도등을 피난 유도등으로 전환시키며, 상기 복합 유도등은 기 설정된 피난 유도등 동작 방식에 따라 발광부를 방향을 지시하는 형태로 동작한다.
상기 복합 유도등은 시선 유도를 위한 발광부 외에 추가적인 발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제어기로부터 피난 유도등으로 동작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기 설정되거나 수신되는 방향을 가리키도록 상기 시선 유도를 위한 발광부 및 추가적인 발광부를 화살표 모양으로 점등 혹은 점멸시키거나 방향성을 가지고 순차 발광시킬 수 있다.
상기 메인 제어기는 상기 제어 선로를 통해 자신이 관리하는 복합 유도등이나 관리부, 혹은 인접 메인 제어기와 제어 신호 및 상태 정보를 송수신하는 유선 통신부와; 상기 유선 통신부를 백업하기 위한 광역 통신부와; 상기 유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관리부와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여 자신이 관리하는 하나 이상의 복합 유도등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복합 유도등의 이상 상황, 인접 메인 제어기의 이상 상황, 전력선이나 제어 선로의 이상 상황 중 하나 이상을 파악하여 이를 상기 관리부에 유선 혹은 무선으로 전달하며, 인접 메인 제어기 이상 시 기 수집된 인접 메인 제어기의 상태 정보에 포함된 복합 유도등 관리 정보를 기초로 상기 인접 메인 제어기가 관리하는 복합 유도등을 자신의 관리 그룹에 재할당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 제어기의 제어부는 자신이 관리하는 복합 유도등이나 전력선 또는 제어 선로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상태 정보 수집부와; 관리 대상 유도등 정보 및 이상 상태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인접 메인 제어기와 교환하고 인접 메인 제어기 이상 시 인접 메인 제어기가 관리하던 복합 유도등을 관리 대상으로 재할당하는 인접 메인 제어기 관리부와; 관리 대상 유도등 정보와 수집된 인접 메인 제어기 정보를 관리하는 권한 관리부와; 상기 인접 메인 제어기 관리부 및 상기 상태 정보 수집부로부터 얻어지는 상태 정보와 복합 유도등 할당 정보로부터 상태 이상을 판정하고 그에 따라 복합 유도등을 제어하는 상태 이상 판정부와; 상기 상태 이상 판정부의 판정 결과에 따른 리포트를 생성하는 리포트 생성부와; 상기 상태 이상 판정부의 판정과 상기 권한 관리부가 관리하는 정보를 기초로 통신 수단과 통신 시점 및 통신 정보를 결정하는 통신 방식 선택부와; 상기 통신 방식 선택부가 선택한 통신 방식에 따라 상기 리포트 생성부가 제공하는 리포트를 그대로, 선별, 혹은 가공하여 무선 정보나 유선 정보로 전송하는 리포트 전달부를 포함한다.
상기 광역 통신 방식은 CDMA, WCDMA, Wibro, WiMAX, LTE, LTE advance 중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급상황 대응이 가능한 가변 할당형 시선 유도등 시스템은 전력선 및 제어 선로에 병렬 연결된 복수의 시선 유도등과, 상기 전력선과 제어 선로에 직렬 혹은 병렬로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시선 유도등을 그룹으로 관리하는 하나 이상의 메인 제어기 및 상기 제어 선로를 통해 상기 메인 제어기에 제어 명령을 제공하고 이상 상황을 전달받는 관리부로 이루어진 위급상황 대응이 가능한 가변할당형 시선 유도등 시스템으로서, 상기 시선 유도등은 시선 유도등으로 동작하는 발광영역 외의 추가 발광 영역을 더 구비한 발광부를 구비하고, 자신을 관리하는 메인 제어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시선 유도등이나 상기 추가 발광 영역의 발광에 따라 피난 유도등으로 동작하며, 상기 메인 제어기는 상기 연결된 제어 선로 이상 시 인접 메인 제어기 상태 및 비할당 복합 유도등을 확인하여 비할당된 복합 유도등을 자신의 그룹으로 재할당하여 시선 유도등이나 피난 유도등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면서 이상 정보와 재할당 정보를 상기 관리부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위급상황 대응이 가능한 가변 할당형 시선 유도등 시스템은 고전압 교류 전력선과 제어 선로를 분리 구성하고, 기 설정된 수의 피난 유도등 겸용 시선 유도등을 관리하며 상기 제어 선로 및 별도의 무선 통신 기능을 통해 관리부와 복수 채널로 연결되는 메인 제어기를 복수로 구성하도록 하고, 선로 이상 시 메인 제어기가 관리할 수 있는 시선 유도등을 재할당 함으로써 선로가 파손되는 위급 상황 시에도 신뢰성 있게 유도등을 관리하여 시선 유도등을 피난 유도등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위급상황 대응이 가능한 가변 할당형 시선 유도등 시스템은 메인 제어기마다 자신이 관리하는 피난 유도등 겸용 시선 유도등을 제어하고 그 이상을 파악하여 유선 선로로 인접 메인 제어기나 관리부에 전달하며, 인접 메인 제어기 이상 시 연결 가능한 시선 유도등을 선별하여 관리 대상을 재할당하고, 메인 제어기 연결이 불가능한 시선 유도등의 경우 초기 설정 시 결정된 피난 유도등 동작을 선별적으로 수행하도록 하여 가용한 모든 유도등을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시선 유도등의 적용 예.
도 2는 종래 시선 유도등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선 유도등 시스템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유도등의 예시적 구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유도등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 제어기의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선 유도등 시스템의 동작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 제어기의 제어부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유도등의 발광 제어부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 제어기의 동작 과정을 보인 순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복합 유도등의 동작 과정을 보인 순서도.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들과 실시예들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선 유도등 시스템의 구성예를 보인 것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관리동(100)에 구성되어 시선 유도등에 대한 제어 명령을 제공하고 그 결과나 이상 여부 등에 대한 관리 정보를 송수신하는 관리부(110)와, 터널(200) 내에 구성되며, 별도의 교류 전력선(201)으로부터 전원을 제공받고, 별도의 제어 선로(202)를 통해서 제어 명령을 주고 받아 자신이 관리하는 시선 유도등을 제어하고 이상 발생 시 상기 관리부에 상기 제어 선로 혹은 광역 무선 통신망을 통해 이상 상황을 보고하는 하나 이상의 메인 제어기(210, 220) 및 상기 메인 제어기(210, 220)별로 복수로 관리되며, 제어에 따라 시선 유도등이나 피난 유도등 중 하나로 동작하는 복합 유도등(211, 221)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메인 제어기(210, 220) 및 상기 복합 유도등(211, 221)은 각각 상기 교류 전력선(201)으로부터 제공되는 교류 전원으로부터 동작에 필요한 직류 전압을 생성하고, 충전을 실시하여 상기 교류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에도 정상적인 동작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어 선로(202)는 간단한 직렬 통신용 통신 선로로 구성되는 것이 비용 상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통신 선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시된 제어 선로(202)는 단일 선로에 복수의 메인 제어기들(210, 220)이 병렬로 연결되는 구성이 나타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메인 제어기들(210, 220)과 관리부들 사이를 각각 직렬로 연결하는 구성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선 유도등 시스템의 경우, 복수의 메인 제어기(210, 220)가 각각 기 설정된 수(예를 들어 7개)의 복합 유도등(211, 221)을 자신의 그룹으로 관리하는 계층적 구성을 가지게 되는데, 소정의 그룹을 이루는 복합 유도등(211, 221)을 관리하는 메인 제어기(210, 220)는 자신의 복합 유도등 그룹에 대한 개별적 혹은 그룹별 밝기 제어나 동작 모드(시선 유도등 모드/피난 유도등 모드)의 제어가 가능하며, 복합 유도등 각각에 대한 이상 여부와 연결된 교류 전력선(201)과 제어 선로(202)에 대한 이상을 확인하여 이를 상기 제어 선로(202)를 통해 상기 관리부(110)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 선로(202)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각각 내장된 광역 무선 통신 방식으로 상기 관리부(110)나 관리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20)에 이러한 이상 상황이나 이상 상태를 보고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그에 따른 대응 명령을 수신하여 그에 따라 동작할 수도 있다.
도시된 예에서, 상기 광역 무선 통신 방식은 터널 내 기지국(310)과 통신망(300) 및 관리동(100) 주변에 설치된 복수의 기지국(320)을 포함하는 무선통신망을 활용하는 방식으로, 예를 들어, CDMA, WCDMA를 포함하는 3G 통신 방식,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를 포함하는 광역 통신 방식, LTE(Long Term Evolution), LTE advance를 포함하는 4G 통신 방식 중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광역 통신 방식의 경우 터널이라는 제한적인 통신 환경에서도 비교적 신뢰성 있게 동작할 수 있으면서 이러한 통신 환경 구축을 위한 별도의 비용이 발생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인 RF, 블루투스, 와이파이(WiFi), 지그비(zigbee), UWB(Ultra Wide Band)등을 이용하는 경우 별도의 통신망을 구축해야 하며, 각각의 커버리지나 중계기 구성 등을 고려한 설계가 필요하므로 복수의 송수신 수단들이 터널 내에 구성되어야 한다. 하지만, 터널과 같은 열악한 무선 통신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구성이 조밀해야 하므로 광대역 통신망을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 초기 투자 비용이 높고 관리 비용이 높을 뿐만 아니라 위급 상황 발생 시 설치된 복수의 구성 요소들 중 일부가 유실된다면 통신이 불가능하게 되므로 신뢰성이 낮다.
하지만, 앞서 예를 든 3G/4G 광역 무선 통신망이나 와이브로, 와이맥스 등의 경우 통신사에서 기지국을 관리하므로 별도의 설치나 관리 비용이 발생하지 않으며 커버리지가 넓기 때문에 위급 상황 발생 시에도 소실 가능성이 현저히 낮아 신뢰성이 높다.
도시된 구성에 적용된 복합 유도등(211, 221)의 경우 단순히 시선 유도등으로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피난 유도등으로도 활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이는 도 4의 복합 유도등 구성예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복합 유도등(400)은 시선 유도를 위한 선광원 제공 기능과 더불어, 필요한 경우 정확한 피난 경로를 알려주기 위한 화살표 형태의 광원을 제공하는 기능을 포함하며, 이를 위해서 기존 시선 유도등보다 많은 수의 제어 가능한 LED로 이루어진 광원부(402)가 구성된다. 이러한 광원부(402) 중 측면에서 확인할 수 있는 일부 영역은 시선 유도를 위한 발광 영역(403, 404)이 되어 시선 유도등으로 사용될 경우 점등된다. 피난 유도등으로 사용될 경우 상기 광원부(402)에서 피난 방향을 알려주기 위해 필요한 부분이 점등되어 피난처의 방향을 알려줄 수 있다.
상기 광원부(402)가 구성되는 복합 유도등의 외부 케이스(401)는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면에 경사를 가진 사각형 형태 외에도 경사를 가지는 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외부 케이스(401)에 구성되는 광원부(402) 역시 도시된 연결된 화살표 구성 외에 분리된 화살표, 도트 매트릭스 구성 등과 같은 가변형 표현이 가능한 다양한 발광부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결국,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서, 발광부(402)의 일측면에 위치한 시선 유도를 위한 발광 영역(404)이 정상 방향을 나타내는 색상으로 발광하고, 타측면에 위치한 시선 유도를 위한 발광 영역(403)은 역주행 방향을 나타내는 색상으로 발광하여 시선 유도등으로 기능할 수 있다. 더불어, 위급 상황 시 도로의 진행 방향과 반대 방향, 터널의 입출구 방향이나 대피로 혹은 탈출구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 형태로 발광부(402)가 고정, 점멸, 순차 표현 등으로 점등하는 피난 유도등으로 기능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터널 내에 설치된 복합 유도등이 피난 유도등으로 동작하는 경우, 간단히 도로의 진행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화살표를 점멸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일반적인 경우 터널은 상행 터널과 하행 터널 사이에 서로를 연결하는 피난 갱문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위급 상황 시 도로의 진행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피난을 유도할 경우 자연스럽게 이동하는 사람들의 동선이 터널 내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는 피난 갱문이나 입구가 된다. 물론, 각 피난 유도등의 위치 등을 고려하여 자신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피난 갱문이나 탈출구, 비상구 등으로 안내하기 위해 피난 방향이 다르게 설정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유도등(400)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교류 전력선으로부터 제공되는 충분한 전력으로부터 동작에 필요한 전원 및 충전에 필요한 전원을 변환 제공하는 전원부(450)와, 상기 전원부(450)를 통해 제공되는 전원으로 충전되어 상기 교류 전력선 차단 시 전원으로 동작하는 충전부(460)와, 제어 선로를 통해 제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유선 통신부(420)와, 상기 유선 통신부(420)를 통해 제공되는 제어 정보에 따라 동작 모드와 동작 방식을 결정하고, 동작에 대한 결과나 이상 상태 수집 정보를 상기 유선 통신부(420)를 통해 메인 제어기에 제공하는 발광 제어부(440)와, 상기 발광 제어부(440)의 동작 모드와 동작 방식에 따라 제공되는 출력 신호를 LED 구동을 위한 구동 전원으로 변환하는 구동 드라이버(430)와, 상기 구동 드라이버(430)에 의해 원하는 형상이나 색상 등으로 발광하는 발광부(410)로 이루어진다.
상기 발광 제어부(440)는 상기 전원부(450)와 충전부(460) 등에 대한 동작 상태와, 상기 발광부(410)에 대한 동작 상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이상 상태를 파악하여 이를 유선 통신부(420)를 통해 메인 제어기에 전달할 수 있는데, 필요한 경우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를 구비하여 전기적 특성 변화를 통해서 이상 상태를 파악할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된 구성 외에도 부가적인 전원 절환 소자가 별도로 상기 전원부(450), 충전부(460) 및 발광 제어부(440)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발광 제어부(440)는 메인 제어기의 요청에 따라 응답하거나 주기적으로 자신의 상태를 메인 제어기에 전달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메인 제어기는 복합 유도등(400) 각각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이상 상태를 파악하여 이를 신속하게 관리부에 전달할 수 있으므로 전체 시스템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광 제어부(440)는 상기 메인 제어기와의 연결이 차단되는 경우(메인 제어기의 이상, 선로의 이상, 통신부의 이상 등) 스스로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동작 모드를 피난 유도등 모드로 전환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독립적인 피난 유도등 동작을 위해서 상기 발광 제어부(440)는 상기 메인 제어기로부터 설치 시 혹은 운영 중에 피난 유도등으로 동작할 경우 제공해야 할 표현 방식에 대한 정보를 미리 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위급상황이 아닌 경우(단순 선로 노후나 메인 제어기의 오동작 등) 복합 유도등이 시선 유도등에서 피난 유도등으로 전환되게 되면 사고를 유발하는 등 피해가 우려되기 때문에 독립적으로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것은 신중해야만 한다. 따라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발광 제어부(440)에는 추가적인 보조 센서가 더 연결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동작 모드 전환 필요성을 부가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위급 상황 및 피난 유도가 필요한 상황을 확인하기 위한 연기 센서, 온도 센서 등이 더 연결된 경우 상기 발광 제어부(400)는 메인 제어기와의 연결이 차단됨과 아울러 센서의 센싱값이 기준에 도달할 경우 스스로 피난 유도등으로 동작 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메인 제어기에 의해 그룹으로 관리되는 복합 유도등의 구조에 있어, 메인 제어기가 파손되거나 선로가 파손되는 경우에도 독립 전원으로 동작하는 개별 복합 유도등이 동작 가능한 상황이라면 스스로 상황을 파악하여 그에 따른 동작을 실시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으로 가용한 유도등 자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 제어기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교류 전력선으로부터 제공되는 충분한 전력으로부터 동작에 필요한 전원 및 충전에 필요한 전원을 변환 제공하는 전원부(510)와, 상기 전원부(510)를 통해 제공되는 전원으로 충전되어 상기 교류 전력선 차단 시 전원으로 동작하는 충전부(520)와, 제어 선로를 통해 자신이 관리하는 복합 유도등이나 관리부 혹은 인접 메인 제어기와 제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유선 통신부(550)와, 상기 유선 통신부(550)를 백업하기 위한 광역 통신부(540)와, 상기 유선 통신부(550)를 통해 관리부(110)와 제어 정보를 직간접적으로 송수신하여 자신이 관리하는 하나 이상의 복합 유도등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복합 유도등의 이상 상황, 인접 메인 제어기의 이상 상황, AC 전력선이나 제어 선로의 이상 상황을 파악하여 이를 상기 관리부에 전달하며, 상기 유선 통신부(550)나 제어 선로 이상 시 광역 통신부(540)를 통해서 상기 수집된 이상 상황을 관리부에 전달하는 제어부(530)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530)는 상기 유선 통신부(550)와 광역 무선 통신부(540)를 통해서 관리부에 이상 상황이나 현재 상태를 보고하고, 상기 관리부가 제공하는 제어 명령에 따라 자신이 관리하는 복합 유도등을 제어하는데, 교류 전력선이 차단되거나, 제어 선로가 차단되는 등의 위급 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그에 따라 기 설정된 동작 절차로 대응을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류 전력선이 차단되는 경우 충전부를 통해 동작하면서 제어 선로로 관리부에 이를 알릴 수 있으며, 제어 선로가 차단되는 경우 광역 무선 통신을 통해서 관리부에 이를 알릴 수 있다. 한편, 제어 선로와 교류 전력선이 동시에 차단되는 경우 광역 무선 통신으로 관리부에 이를 전달한 후 그에 따른 제어 정보를 무선으로 수신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도 7은 상기 설명한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시선 유도등 시스템의 적용 예를 보인 것으로 이를 통해서 위급 상황 발생 시의 동작 방식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터널(200) 내에는 복수의 메인 제어기들(210, 220)과, 각 메인 제어기들이 관리하는 복수(본 실시예에서는 7개)의 복합 유도등(211)이 설치되며, 상기 터널(200)에서 이격된 위치에 관리동의 관리부(110)가 구성된다.
도시된 구성에서 교류 전력선과 제어 선로는 개념적인 선로로 간소화하여 표현한 것임에 주의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복합 유도등(211)은 30m 거리로 7개가 하나의 메인 제어기(210)에 할당되어 그룹으로 관리되고, 상기 메인 제어기는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메인 제어기들은 210m 간격으로 구성되며, 필요한 경우 이러한 구조가 반복되어 수Km 길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각 메인 제어기와 상기 복합 유도등은 비교적 간단한 제어 선로를 이용하는 직렬 통신 방식(예를 들어, RS-485)으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데, 각각 고유한 식별 정보를 가질 수 있으며, 이는 설치 시 결정되거나 고유한 정보가 기 설정된 상태일 수 있다.
상기 메인 제어기(210, 220)는 관리부(110)의 제어에 따라 자신이 관리하는 복합 유도등 그룹에 대해서 그룹별 혹은 개별적으로 밝기를 제어하고, 시선 유도등이나 피난 유도등 중 하나의 동작 모드를 설정하며, 복합 유도등이나 인접 메인 제어기 및 선로들에 대한 이상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관리부(110)에 제공하고 그에 따른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대응한다.
만일, 도시된 구성에서 특정 선로(예를 들어, 제어 선로)의 소정 위치, 예를들어 C에 단선이 발생할 경우 제 2메인 제어기(220)는 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관리부(110)에 알릴 수 있다. 한편, B에 단선이 발생하는 경우 제 1메인 제어기(210)가 이를 관리부(110)에 알릴 수 있다. 물론, C에 단선이 발생하는 경우 제 2메인 제어기(220)가 이상 발생을 감지하면 이를 제 1메인 제어기(210)에 알리고, 제 1메인 제어기(210)가 이를 관리부(110)에 알리는 릴레이 방식의 정보 전달도 가능하다.
한편, B에서 단선이 발생할 경우 제 1메인 제어기(210)가 관리하는 복합 유도등(211)의 마지막 복합 유도등은 제 1메인 제어기(210)가 더 이상 제어할 수 없게 된다. 물론, C에서 단선이 발생할 경우에도 해당 제 2메인 제어기(220)가 관리하는 복합 유도등(221) 중 일부는 더 이상 제 2메인 제어기(220)가 관리할 수 없으므로 동작 가능한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메인 제어기에 의해 효과적인 제어가 불가능한 상황이 된다. 결국, 앞서 도 5를 통해 설명한 것처럼 복합 유도등이 스스로 상황을 파악하여 기 설정된 동작을 하게 되므로 가용한 유도등을 이용 할 수는 있으나 효과적인 관리는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메인 제어기가 인접 메인 제어기의 동작 상태를 파악하여 인접 메인 제어기의 동작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 현재 자신과 제어 선로를 통해서 연결된 모든 복합 유도등을 파악하여 자신이 관리하는 복합 유도등을 재할당함으로써, 제어 선로의 단선이나 일부 메인 제어기의 동작 이상 시에도 가용한 복합 유도등을 인접한 메인 제어기가 임시로 대신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관리 대상 유도등의 재할당 방식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는데, 비할당 복합 유도등(자신을 관리하는 메인 제어기와 통신이 두절된 복합 유도등)에게 보고를 요청하고 비할당 상태임을 보고(비할당 상태이며 동작이 가능한 상태임)하는 복합 유도등을 자신이 관리하도록 하는 방식, 미리 인접한 메인 제어기로부터 인접 메인 제어기가 관리하는 복합 유도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해당 인접 메인 제어기와 연결되지 않는 경우 해당 인접 메인 제어기에 할당된 복합 유도등(인접 메인 제어기에 의해 더이상 관리되지 않는, 즉 비할당 상태인 복합 유도등)을 자신의 관리 대상으로 포함시키는 경우 등이 있을 수 있다. 이는 도 8 및 도 9를 통해 좀더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한편, 제어 선로가 유지되는 메인 제어기는 제어 선로를 통해서 유선으로 관리부(110)에 이상 상황을 알릴 수 있으며, 제어 선로가 단절된 후속 메인 제어기는 이를 유선 선로를 통해서 관리부(110)에 알릴 수 없으므로 이 경우 광역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이상 상황을 관리부(110)에 전달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터널을 이용하는 차량(600)에 탑승한 일반 가입자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610)용으로 기 구성된 기지국(310)을 통해서 이상 정보를 SMS나 MMS 혹은 별도의 데이터 통신 방식으로 관리부(110) 혹은 해당 관리부를 운영하는 관리자의 휴대 단말기(120) 등으로 전달하여 이상 여부를 보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요한 경우 역으로 관리부(110)나 관리자의 휴대 단말기(120)를 통해서 특정한 제어 코드가 SMS 등으로 전달되면 이를 수신하여 그에 따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만일, 제어 선로 중에서 A 부분에서 단선이 발생할 경우 이는 관리부(110)에서도 확인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모든 메인 제어기들이 광역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이상 상황을 보고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상황에서 모든 메인 제어기가 광역 무선 통신을 시도하게 되면 제한된 광역 이동통신의 채널 부하를 급격히 증가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게 되는데, 이상이 발생되는 경우 제어 선로가 단절된 메인 제어기들이 자신의 상태를 전달하기 위해서 반복적으로 광역 무선 통신을 시도하게 되므로 짧은 시간 내에 통신 부가하 급속히 증가하게 된다.
터널과 같은 제한된 공간은 복수의 기지국들이 겹쳐서 배치되어 비교적 동시 통화 채널 수가 많은 일반적인 개방 공간과 달리 복수의 기지국들이 중첩되어 배치되기 어렵기 때문에 동시 통화 채널의 수가 비교적 제한된다.
특히, 최근과 같이 무선 데이터 사용량이 급증하고 있는 상황이라면 제한된 통화 채널들마저 데이터 통신 채널에 복수로 할당되는 경우가 많아 동시 통화 가능 채널의 수는 부족할 수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만일 터널내 화재나 사고 등의 위급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상황 파악이나 응급 구조 등을 위해서 터널 내의 이동통신 단말기(610)의 사용이 급증하게 되므로 기지국(310)에 대한 접속이 쉽지 않은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메인 제어기의 제어부에서, 제어 선로 이상 시 무조건 각 메인 제어기가 이상 상황을 보고하는 것이 아니라 제어 선로에 의해 부분적으로 연결 가능한 메인 제어기들 간 정보를 교환하여 기 설정된 우선 순위나 랜덤하게 부여된 지연 시간을 토대로 광역 무선 통신 사용 시점을 분산시키도록 하여 급속한 통신 부하 상승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 제어기의 제어부 구성 중 이상 상황 발생에 따라 복합 유도등을 재할당하고 이를 알리는 광역 무선 통신을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구성 부분을 보인 블록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자신이 관리하는 복합 유도등이나 교류 전력선 또는 제어 선로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상태 정보 수집부(531)와, 인접 메인 제어기와 관리 대상 유도등 정보와 이상 상태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교환하고 인접 메인 제어기 이상 시 인접 메인 제어기가 관리하던 복합 유도등을 관리 대상으로 재할당하는 인접 메인 제어기 관리부(534)와, 관리 대상 유도등 정보와 수집된 인접 메인 제어기 정보 및 통신 우선 순위나 지연을 위한 랜덤 정보 등을 포함하는 권한 관리부(537)와, 상기 인접 메인 제어기 관리부(534) 및 상태 정보 수집부(531)로부터 얻어지는 상태 정보(자신이 수집한 상태 정보 및 인접 메인 제어기로부터 받은 상태 이상 정보 등)와 복합 유도등 할당 정보로부터 상태 이상을 판정하고 그에 따라 복합 유도등을 제어하는 상태 이상 판정부(532)와, 상기 상태 이상 판정부(532)의 판정 결과에 따른 리포트를 생성하는 리포트 생성부(533)와, 상기 상태 이상 판정부(532)의 판정과 상기 권한 관리부(537)가 관리하는 정보를 기초로 어떠한 통신 수단을 이용할 것인지, 언제 통신을 실시할 것인지, 어떠한 정보 형태로 통신을 실시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통신 방식 선택부(535)와, 상기 통신 방식 선택부(535)가 선택한 통신 방식에 따라 상기 리포트 생성부(533)가 제공하는 리포트를 그대로, 선별, 혹은 가공하여 무선 정보나 유선 정보로 전송하는 리포트 전달부(53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접 메인 제어기 관리부(534)는 인접 메인 제어기와 통신이 가능한 지 확인하고, 인접 메인 제어기로부터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자신의 상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인접 메인 제어기와 단절이 발생한 경우 해당 인접 메인 제어기에 할당된 복합 유도등(혹은 연결된 가용한 비할당 복합 유도등)을 자신이 관리하는 복합 유도등으로 재할당한다.
한편, 각 메인 제어기들에 대한 상태 정보는 각 메인 제어기의 식별 정보 혹은 우선 순위를 기초로 관리할 수 있다.(예를 들어, 초기 설치시 인접한 메인 제어기들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권한 관리부(537)에 저장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인접 메인 제어기들에 대한 이상 상황, 복합 유도등 할당 상태 등을 파악하고 식별자 별로 상태를 정리할 수 있다)
만일, 인접 메인 제어기가 복구되는 경우 상기 재할당했던 인접 메인 제어기의 복합 유도등을 자신의 그룹에서 제외시켜 복합 유도등 관리 대상을 재구성한다.
상기 통신 방식 선택부(535)는 예를 들어 상태 이상 판정부(532)의 판정 결과 관리부에 대한 제어 선로 연결이 차단됨을 확인하면 상기 권한 관리부(537)의 우선 순위나 랜덤 정보를 확인하여 그에 따라 수집된 이상 상태 정보 및 복합 유도등 재할당 정보가 포함된 리포트를 언제 어떤 통신 방식으로 전달할지를 상기 리포트 전달부(536)에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서 메인 제어기에 의해 관리되지 못하는 복합 유도등이 발생되는 경우 이를 인접 메인 제어기가 대신 관리하도록 하며, 이를 통해서 임의의 위치에서 제어 선로가 단선 되더라도 복합 유도등이 인접 메인 제어기에 재할당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용한 복합 유도등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이러한 복합 유도등의 이상 상황이나 인접 메인 제어기의 이상 상황 및 선로의 이상 상황을 시간적으로 분산된 시점에 광역 무선 통신 방식으로 관리부에 전달함으로써, 동작 신뢰성과 통신 연결 신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유도등의 발광 제어부(440)의 구성 중에서 자동 모드 전환에 관련된 구성을 보인 것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발광부의 이상 상황, 유선 통신부의 이상 상황 및 보조적으로 연결되는 센서의 상태를 수집하는 상태 확인부(441)와, 상태 이상 정보를 메인 제어기에 전달하는 메인 제어기 전달부(443)와, 기존에 할당되었던 메인 제어기가 동작하지 않을 때 인접한 다른 메인 제어기로 제어 주체가 변경되는 경우 해당 정보를 수신하여 메인 제어기를 재할당하는 메인 제어기 할당부(446)와, 상기 상태 확인부(441)가 제공하는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메인 제어기 전달부(443)에 제공하고, 상기 메인 제어기 전달부(443)를 통해 메인 제어기와 연결이 차단됨을 확인할 경우 상기 상태 확인부(441)를 통해 수집된 센서 정보 등을 통해 기 설정된 위급상황인지 파악하여 유도등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상태 이상 판정부(442)와, 상기 상태이상 판정부(442)의 판정 결과에 따라 유도등의 동작 모드를 시선 유도등이나 피난 유도등 중 하나로 동작시키는 유도등 동작 모드 선택부(445)와, 상기 유도등 동작 모드 선택부(445)의 출력에 따라 유도등이 동작할 동작 패턴을 발생시켜 구동 드라이버에 제공하는 유도등 동작 패턴 발생부(444)를 포함한다.
물론, 상기 구성은 본 발명의 실시예 중 하나를 보인 것으로 도시된 각 구성 요소들은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며, 이들 중 일부 구성을 통합되거나 생략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조의 복합 유도등을 관리하는 메인 제어기는 상기 복합 유도등의 센서 정보를 더 수신하여 이를 활용할 수 있는데, 상기 센서 정보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이 역시 이상 상황으로 간주하여 관리부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제어기는 상기 관리부와 통신이 두절된 후 기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상기 복합 유도등의 센서로부터 얻어지는 정보를 기준으로 위급 상황 여부를 스스로 판단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 제어기 동작 과정을 보인 순서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복합 유도등이 기 설정된 동작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메인 제어기는 자신의 복합 유도등 및 인접 메인 제어기 혹은 선로에 대한 상태 정보를 지속적으로 수집한다.
상기 수집된 상태 정보를 확인하여 이상이 발생 되는 경우 유선 선로(제어 선로)가 유지되는 상황이라면 이를 관리부에 전달하고 그에 따른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면 된다.
하지만, 상태 이상을 판정한 상황에서 인접한 메인 제어기와 자신 사이의 유선 선로가 유지되고 있지 않다면 인접 메인 제어기에 할당된 복합 유도등을 자신이 관리하는 것으로 재할당하여 관리 권한을 변경한다.
더불어, 이러한 유선 선로의 이상에 따라 이상 상황 및 관리 대상 유도등이 재할당되었음을 알리는 정보를 리포트로 작성하여 무선으로 관리부에 전달한다.
만일 이러한 무선 전송이 성공하면 제어 명령을 대기했다가 명령이 수신되면 그에 따라 명령을 수행하며, 만일 명령이 수신되지 않을 경우 기 설정된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이는 상기 무선 리포트의 전송이 일정 횟수나 일정 시간 이상 실패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며, 이 경우에도 기 설정된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는 것은 상기 메인 제어기가 독립적으로 자신의 관리하는 복합 유도등을 관리하는 상황을 의미하며, 이 경우 상기 각 복합 유도등으로부터 센서 측정 정보를 수집하여 위급 상황 여부를 파악한 후 그에 따라 복합 유도등을 시선 유도등이나 피난 유도등 중 하나로 동작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유도등의 동작 과정을 보인 순서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복합 유도등이 소정의 모드로 동작하는 과정에서 이상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연결된 메인 제어기에 제공하는 기본 동작을 반복한다. 만일, 메인 제어기와 정상적으로 통신할 수 없는 경우, 메인 제어기의 이상을 판정하며, 인접한 다른 메인 제어기로부터 재할당 정보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만일 재할당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메인 제어기를 재할당하고 해당 메인 제어기에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상기 기본 동작 단계로 진행한다.
만일, 일정 제한 기간 동안 재할당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구성된 센서 등을 통해서 위급 상황을 파악하여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독립적인 동작 상태가 되며, 해당 상태가 되면 위급 상황 기준에 미달할 경우 기본 시선 유도등으로 동작하고 위급 상황 기준에 해당하면 피난 유도등 모드로 동작한다.
물론, 이러한 동작 모드는 메인 제어기와의 통신 상태가 복구되는 경우 해제되어 메인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는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첨부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100: 관리동 110: 관리부
120: 관리자 휴대 단말기 200: 터널
201: 교류 전력선 202: 제어 선로
210, 220: 메인 제어기 211, 221: 복합 유도등
300: 통신망 310, 320: 기지국

Claims (9)

  1. 전력선을 통해 전원을 생성 및 충전하며 제어 선로를 통한 제어 신호에 따라 구비된 발광부를 동작시켜 시선 유도등이나 피난 유도등으로 동작하는 복합 유도등과;
    상기 전력선을 통해 전원을 생성 및 충전하며, 상기 제어 선로를 통해 제어 신호를 수신하거나 하나 이상의 할당된 복합 유도등 제어하고 이상 여부를 파악하여 출력하며, 연결된 제어 선로 이상 시 광역 통신 방식으로 이상 정보를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메인 제어기와;
    상기 메인 제어기와 유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복합 유도등을 제어하고 이상 정보를 수신하는 관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메인 제어기는 상기 연결된 제어 선로 이상 시 인접 메인 제어기 상태 및 비할당 복합 유도등을 확인하여 비할당된 복합 유도등을 자신의 그룹으로 재할당하여 관리하면서 이를 이상 정보와 함께 상기 관리부에 전송하며,
    상기 메인 제어기는 인접 메인 제어기로부터 각 인접 메인 제어기가 관리하는 복합 유도등의 정보를 수집하여 관리하며, 해당 인접 메인 제어기 이상 시 수집된 정보를 근거로 상기 인접 메인 제어기가 관리하는 복합 유도등을 자신의 그룹으로 재할당하여 관리하고, 상기 인접 메인 제어기가 복구되는 경우 재할당되었던 복합 유도등을 자신의 그룹에서 제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급상황 대응이 가능한 가변 할당형 시선 유도등 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합 유도등은 위급 상황을 파악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부가적인 센서를 더 포함하며, 제어선로 이상에 의해 연결되는 메인 제어기가 없는 경우 상기 센서의 상태가 기 설정된 범위에 속한다면 자신을 관리하는 메인 제어기로부터 기 수집된 피난 유도등 동작 방식에 따라 피난 유도등으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급상황 대응이 가능한 가변 할당형 시선 유도등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제어기는 상기 복합 유도등의 센서 정보를 더 수신하며, 상기 관리부와 통신이 두절된 후 기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상기 복합 유도등의 센서로부터 얻어지는 정보를 기준으로 위급 상황 여부를 스스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급상황 대응이 가능한 가변 할당형 시선 유도등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합 유도등은 시선 유도를 위한 발광부 외에 추가적인 발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제어기로부터 피난 유도등으로 동작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기 설정되거나 수신되는 방향을 가리키도록 상기 시선 유도를 위한 발광부 및 추가적인 발광부를 화살표 모양으로 점등 혹은 점멸시키거나 순차 발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급상황 대응이 가능한 가변 할당형 시선 유도등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제어기는
    상기 제어 선로를 통해 자신이 관리하는 복합 유도등이나 관리부, 혹은 인접 메인 제어기와 제어 신호 및 상태 정보를 송수신하는 유선 통신부와;
    상기 유선 통신부를 백업하기 위한 광역 통신부와;
    상기 유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관리부와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여 자신이 관리하는 하나 이상의 복합 유도등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복합 유도등의 이상 상황, 인접 메인 제어기의 이상 상황, 전력선이나 제어 선로의 이상 상황 중 하나 이상을 파악하여 이를 상기 관리부에 유선 혹은 무선으로 전달하며, 인접 메인 제어기 이상 시 기 수집된 인접 메인 제어기의 상태 정보에 포함된 복합 유도등 관리 정보를 기초로 상기 인접 메인 제어기가 관리하는 복합 유도등을 자신의 관리 그룹으로 재할당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급상황 대응이 가능한 가변 할당형 시선 유도등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제어기의 제어부는
    자신이 관리하는 복합 유도등이나 전력선 또는 제어 선로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상태 정보 수집부와;
    관리 대상 유도등 정보 및 이상 상태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인접 메인 제어기와 교환하고 인접 메인 제어기 이상 시 인접 메인 제어기가 관리하던 복합 유도등을 관리 대상으로 재할당하는 인접 메인 제어기 관리부와;
    관리 대상 유도등 정보와 수집된 인접 메인 제어기 정보를 관리하는 권한 관리부와;
    상기 인접 메인 제어기 관리부 및 상기 상태 정보 수집부로부터 얻어지는 상태 정보와 복합 유도등 할당 정보로부터 상태 이상을 판정하고 그에 따라 복합 유도등을 제어하는 상태 이상 판정부와;
    상기 상태 이상 판정부의 판정 결과에 따른 리포트를 생성하는 리포트 생성부와;
    상기 상태 이상 판정부의 판정과 상기 권한 관리부가 관리하는 정보를 기초로 통신 수단과 통신 시점 및 통신 정보를 결정하는 통신 방식 선택부와;
    상기 통신 방식 선택부가 선택한 통신 방식에 따라 상기 리포트 생성부가 제공하는 리포트를 그대로, 선별, 혹은 가공하여 무선 정보나 유선 정보로 전송하는 리포트 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급상황 대응이 가능한 가변 할당형 시선 유도등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역 통신 방식은 CDMA, WCDMA, Wibro, WiMAX, LTE, LTE advance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급상황 대응이 가능한 가변 할당형 시선 유도등 시스템.
  9. 삭제
KR1020110048982A 2011-05-24 2011-05-24 위급상황 대응이 가능한 가변 할당형 시선 유도등 시스템 KR1010810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8982A KR101081017B1 (ko) 2011-05-24 2011-05-24 위급상황 대응이 가능한 가변 할당형 시선 유도등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8982A KR101081017B1 (ko) 2011-05-24 2011-05-24 위급상황 대응이 가능한 가변 할당형 시선 유도등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1017B1 true KR101081017B1 (ko) 2011-11-09

Family

ID=45397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8982A KR101081017B1 (ko) 2011-05-24 2011-05-24 위급상황 대응이 가능한 가변 할당형 시선 유도등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10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8580B1 (ko) * 2013-08-12 2014-01-08 석천정보통신(주) 원격제어를 이용한 시선유도등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2544713B1 (ko) * 2023-01-31 2023-06-20 주식회사 에스티엘 시선유도등 제어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0018A (ja) * 1999-02-22 2000-09-05 Koito Ind Ltd 視線誘導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0018A (ja) * 1999-02-22 2000-09-05 Koito Ind Ltd 視線誘導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8580B1 (ko) * 2013-08-12 2014-01-08 석천정보통신(주) 원격제어를 이용한 시선유도등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2544713B1 (ko) * 2023-01-31 2023-06-20 주식회사 에스티엘 시선유도등 제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2887B1 (ko) 무선화재감시 시스템
EP1937036A2 (en) Wireless communication based safer street lamp control system
EP1303999B1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working components
KR101623345B1 (ko) 복합 센서 기반의 지능형 통합 디밍 제어 시스템
CN102388678A (zh) 智能照明控制系统
JP2015528999A (ja) 照明制御装置およびプロセス
JP2011119257A (ja) 無線通信モジュールを用いた発光装置駆動システム及びその駆動方法
KR101081017B1 (ko) 위급상황 대응이 가능한 가변 할당형 시선 유도등 시스템
CN115868126A (zh) 在网状网络中分配路由器装置
US20130088153A1 (en) Method of controlling electrical devices, particularly lighting lamps and control system of electrical devices, particularly lighting lamps
CN102378434A (zh) 导向照明系统
KR101532420B1 (ko) Led 교통신호등의 이상 유무 자동감지 시스템
KR101962344B1 (ko) 정보제공 가로등 및 시스템 그리고 이의 운영 방법
KR101250767B1 (ko) 무선 스마트 표지병 시스템 및 이를 위한 관리 방법
KR100971548B1 (ko) 유무선 통신을 통한 광역 조명 시스템
KR20180083741A (ko) 차량 및 보행자 감지기능을 구비한 실내주차장 조명시스템
KR20190008485A (ko) 대기 환경 관리 가로등 및 시스템 그리고 이의 운영 방법
RU112572U1 (ru) Система контроля и управления уличной освещенностью
KR20150115103A (ko) 송전선로에 설치되는 항공장애 표시장치
CN102976170A (zh) 电梯的组管理控制装置
KR101079809B1 (ko) 위급상황 대응이 가능한 시선 유도등 시스템
US9836033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 system
EP3001777B1 (en) Luminous intensity regulating device for led light towers
EP2821312B1 (en) Signaling system for signalling the decommisioning of a subsection of a railway track
KR101409354B1 (ko) 주상변압기 통합 관리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