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0916B1 - 철거작업용 공구의 거치장치 - Google Patents

철거작업용 공구의 거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0916B1
KR101080916B1 KR1020090028314A KR20090028314A KR101080916B1 KR 101080916 B1 KR101080916 B1 KR 101080916B1 KR 1020090028314 A KR1020090028314 A KR 1020090028314A KR 20090028314 A KR20090028314 A KR 20090028314A KR 101080916 B1 KR101080916 B1 KR 1010809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frame
frame
outer frame
coupler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8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9989A (ko
Inventor
문항식
Original Assignee
문항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항식 filed Critical 문항식
Priority to KR1020090028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0916B1/ko
Publication of KR20100109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99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0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09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1/0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 B25H1/1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with provision for adjusting holders for tool or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1/0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 B25H1/14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with provision for adjusting the bench top
    • B25H1/16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with provision for adjusting the bench top in h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1/0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 B25H1/14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with provision for adjusting the bench top
    • B25H1/18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with provision for adjusting the bench top in inclin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자가 해머드릴이나 브레이커(파괴해머) 등의 철거작업용 공구를 직접 들지 않더라도 상기 철거작업용 공구를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철거작용업 공구 거치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철거작업용 공구의 결합구 외경에 끼워지는 커플러와, 상기 커플러 아래에 연결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양측 하단에 볼트 체결되며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고, 그 전면에는 하나의 체결구멍이 관통 형성되는 아우터프레임과, 상기 아우터프레임 내부에 인출 가능하게 삽입되며, 그 전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체결구멍들이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관통 형성되는 이너프레임과, 상기 아우터프레임의 체결구멍을 지나 상기 이너프레임의 체결구멍들중 어느 하나의 체결구멍에 끼워지며 상기 이너프레임을 아우터프레임에 고정시키는 고정핀 및 상기 이너프레임의 단부에 직각되게 연결되는 베이스프레임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양단부에 부착되는 바퀴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해머드릴, 브레이커, 파괴해머, 아우터프레임, 이너프레임

Description

철거작업용 공구의 거치장치{A Tool Port Supporting Unit}
본 발명은 해머드릴이나 브레이커(파괴해머) 등의 철거작업용 공구를 거치할 수 있는 장치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자가 철거작업용 공구를 직접 들지 않더라도 상기 공구를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철거작업용 공구의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해머드릴은 통상 전기 에너지에 의한 압축 공기를 이용하여 드릴의 후면을 실린더로 타격하면서 암석이나 콘크리트 벽과 같이 단단한 곳에 구멍을 뚫거나 깰 수 있도록 하고, 혹은 아파트나 빌딩, 주택 등의 바닥에 깔려있는 쪽마루, 타일, 목재, 합성수지판재 및 대리석과 같은 바닥재(이하에서는 바닥재로 통칭함)를 뜯어낼 목적으로 발명된 장비를 말한다.
상기한 해머드릴의 종래 일반적인 구조는 뒤쪽으로 손잡이가 구비되고, 앞쪽에는 드릴이 끼워지기 위한 체결구가 형성되도록 구성하여 바닥재 철거작업시, 손잡이를 잡은 상태에서 해머드릴을 세운 다음, 드릴을 바닥에 위치시킨 다음, 실린 더로 드릴을 타격해 가며 철거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위와 같은 방식으로 해머드릴을 사용하게 되면 드릴 타격작업시 발생한 진동이 작업자에게 지속적으로 전해지고, 더욱이 해머드릴 자체가 가지는 무게로 인해 장시간의 작업을 수행하기에는 무리가 따르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자가 철거작업용 공구를 직접 들지 않더라도 상기 공구를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철거작업용 공구의 거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철거작업용 공구의 경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 철거작업용 공구의 거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철구작업용 공구의 거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구의 결합구 외경에 끼워지는 커플러와, 상기 커플러 아래에 연결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양측 하단에 볼트 체결되며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고, 그 전면에는 하나의 체결구멍이 관통 형성되는 아우터프레임과, 상기 아우터프레임 내부에 인출 가능하게 삽입되며, 그 전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체결구멍들이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관통 형성되는 이너프레임과, 상기 아우터프레임의 체결구멍을 지나 상기 이너프레임의 체결구멍들중 어느 하나의 체결구멍에 끼워지며 상기 이너프레임을 아우터프레임에 고정시키는 고정핀과, 상기 이너프레임의 단부에 직각되게 연결되는 베이스프레임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양단부에 부착되는 바퀴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철거작업용 공구의 거치장치는, 작업자가 철거작업용 공구를 직접 들지 않더라도 상기 공구를 사용할 수 있고, 아울러 상기 공구의 드릴부분을 타격작업시 발생하는 진동이 작업자에게 전달되지 않음으로서 장시간 동안 철거작업용 공구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구현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철거작업용 공구의 경사각도를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는 상승적인 효과를 달성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기술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철거작업용 공구의 거치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상기 철거작업용 공구는 해머드릴이나 브레이커(파괴해머) 등과 같이 바닥면이나 벽면 등을 철거시에 사용하는 모든 공구를 말하며, 하기에서는 해머드릴을 거치장치에 설치한 상태를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해머드릴에 한정지어서 판단해서는 안되고 브레이커 등과 같이 모든 철거작업용 공구에 균등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해머드릴 거치장치(20)는 커플러(22), 아우터프레임(28), 이너프레임(30) 및 베이스프레임(34)을 포함하여 구성하며, 필요에 따라서 높이조절용 연장바(31)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커플러(22)는 거치장치(20)를 해머드릴(10)에 연결시키는 수단으로서, 상기 커플러(22)는 드릴(14)이 끼워지는 해머드릴(10)의 결합구(12) 외경에 끼워지도록 구성한다. 상기 커플러(22)의 아래에는 플레이트(24)가 구비되고, 상기 플레이트(24)에는 아우터프레임(28)의 일단이 볼트(26) 체결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아우터프레임(28)은 동일한 구조로 하여 복수개를 구비하여 상기 커플러(22)의 플레이트(24) 양단부에 볼트(26)로 체결되는 프레임으로서, 사각 단면 형태로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고, 그 전면에는 하나의 체결구멍(28a)이 관통 형성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이너프레임(30)은 상기 아우터프레임(28)의 내부에 각각 인출 가능하게 삽입되는 프레임으로서, 상기 이너프레임(30)은 사각 단면 형태로 형성되고, 그 전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다수개의 체결구멍(30a)들이 관통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이너프레임(30)의 상단면에는 나사구멍(30b)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구멍(30b)에는 높이조절용 연장바(31)가 체결 고정된다. 상기 연장바(31)는 전술한 이너프레임(30)과 동일한 형상을 하고 있는데, 정면에는 복수의 구멍(31a)이 규칙적으로 형성되고, 저면에는 상기 나사구멍(30b)에 체결되는 나사탭(31b)이 형성된다.
상기 아우터프레임(28)의 체결구멍(28a)으로는 고정핀(32)이 끼워지는데, 상기 고정핀(32)은 상기 아우터프레임(28)의 체결구멍(28a)을 지나, 상기 이너프레임(30)의 체결구멍(30a)들 중 어느 하나의 체결구멍(30a)에 끼워지며 이너프레임(30)을 아우터프레임(28)내에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이너프레임(30)에 형 성된 체결구멍(30a)은 언급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형성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해머드릴(10)의 경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해머드릴(10)의 경사각도를 높이고자 할 때에는 첨부된 도 3에서와 같이 고정핀(32)을 분리한 후, 이너프레임(30)을 아우터프레임(28)에서 일정길이 이상 인출한 다음, 이너프레임(30)에 형성되어 있는 다른 체결구멍(30a)을 아우터프레임(28)의 체결구멍(28a) 아래에 정 위치시킨 상태에서 고정핀(32)을 끼워넣음으로서 일정 길이 이상 인출된 이너프레임(30)을 고정시킬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이너프레임(30)의 인출된 길이를 통해 결과적으로 해머드릴의 경사각도를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베이스프레임(34)은 이너프레임(30) 단부에 직각되게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베이스프레임(34)의 양단부에는 바퀴(36)를 장착시켜 해머드릴(10) 이동에 따른 편리함을 제공토록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해머드릴 거치장치의 작용을 첨부된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먼저, 도 2에서와 같이 거치장치(20)에 구비되어 있는 커플러(22)를 해머드릴(10)의 결합구(12) 외경에 끼워넣어 해머드릴(10)을 거치장치(20)에 연결함으로서 작업자가 해머드릴(10)을 직접 들지 않더라도 바닥재(G)를 뜯어가며 철거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철거작업중에 해머드릴(10)의 경사각도를 높이고자 할 때에는 도 3에서와 같이 고정핀(32)을 분리하여 이너프레임(30)의 고정을 해지한 다음, 이너프레 임(30)을 아우터프레임(28) 외부로 일정길이 인출시키도록 한다. 이어서 이너프레임(30)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구멍(30a)들중 어느 하나의 체결구멍(30a)을 아우터프레임(28)의 체결구멍(28a) 아래에 정 위치시킨 상태에서 고정핀(32)을 각 체결구멍(28a, 30a)으로 순차적으로 끼워넣게 되면 이너프레임(30)은 일정길이 이상 인출된 상태로 고정되어 지며, 이와 같은 이너프레임(30)의 인출된 길이를 통해 결과적으로 해머드릴(10)의 경사각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도 3에 도시한 것보다 해머드릴(10)의 경사각도를 더 높이고자 할 때에는 도 1에서 도시한 연장바(31)를 이너프레임(30)에 체결 고정시킨 다음에, 고정핀(32)을 체결구멍(28a,31a)에 끼우면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철거작업용 공구 거치장치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철거작업용 공구 거치장치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철거작업용 공구의 각도가 조절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해머드릴 12: 결합구
20: 거치장치 22: 커플러
24: 플레이트 28: 아우터프레임
30: 이너프레임 28a, 30a: 체결구멍
31: 연장바 31b: 나사탭
32: 고정핀 34: 베이스프레임
36: 바퀴

Claims (2)

  1. 삭제
  2. 철거작업용 공구를 거치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구가 끼워지는 커플러(22)와;
    상기 커플러(22)의 아래에 구비되는 플레이트(24)와;
    상기 플레이트(24)의 양측 하단에 볼트(26) 체결되며,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고, 그 전면에는 하나의 체결구멍(28a)이 관통 형성되는 아우터프레임(28)과;
    상기 아우터프레임(28) 내부에 인출 가능하게 삽입되며, 그 전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체결구멍(30a)들이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관통 형성되는 이너프레임(30)과;
    상기 아우터프레임(28)의 체결구멍(28a)을 지나 상기 이너프레임(28)의 체결구멍(30a)들중 어느 하나의 체결구멍(30a)에 끼워지며 상기 이너프레임(30)을 아우터프레임(28)에 고정시키는 고정핀(32)과;
    상기 이너프레임(30)의 단부에 직각되게 연결되는 베이스프레임(34) 및 ;
    상기 베이스프레임(34)의 양단부에 부착되는 바퀴(36)를 포함하며;
    상기 이너프레임(30)의 상단면에는 나사구멍(30b)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구멍(30b)에는 나사탭(31b)이 체결되고, 상기 나사탭(31b)은 복수의 체결구멍(31a)을 가지는 연장바(31)의 저면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거작업용 공구의 거치장치.
KR1020090028314A 2009-04-02 2009-04-02 철거작업용 공구의 거치장치 KR1010809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8314A KR101080916B1 (ko) 2009-04-02 2009-04-02 철거작업용 공구의 거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8314A KR101080916B1 (ko) 2009-04-02 2009-04-02 철거작업용 공구의 거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9989A KR20100109989A (ko) 2010-10-12
KR101080916B1 true KR101080916B1 (ko) 2011-11-08

Family

ID=43130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8314A KR101080916B1 (ko) 2009-04-02 2009-04-02 철거작업용 공구의 거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09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50086A (zh) * 2017-09-28 2018-02-02 一种多功能移动工作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3001028A1 (en) 1991-07-12 1993-01-21 Anders Svensson Holding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3001028A1 (en) 1991-07-12 1993-01-21 Anders Svensson Hold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9989A (ko) 2010-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30113B2 (en) Dust suppression guard
KR101389791B1 (ko) 건물의 수직형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
CN109750813B (zh) 用于将装饰材料固定于构造物的固定装置
US6796049B1 (en) Adjustable tile spacing apparatus
KR101257364B1 (ko) 건축물용 패널 고정장치
US6302375B1 (en) Demolition-leverage tool
KR20100118963A (ko) 거푸집 서포트용 다목적 렌치
KR100912200B1 (ko) 낙석방지용 와이어로프 독립 고정구
KR101080916B1 (ko) 철거작업용 공구의 거치장치
KR20230010939A (ko) 공사용 휴대형 파쇄기의 하중 지지장비
KR101712851B1 (ko) 건축물의 내,외장패널 고정장치
JP2019155659A (ja) 削孔機
JP2008240328A (ja) カウンタウエイトの位置決め具
KR20110108902A (ko) 건축물의 외장재 고정장치
KR20120125725A (ko) 라인마크 설치기구 및 이를 이용한 라인마크 설치방법
JP2000079508A (ja) ドリルスタンド
KR200449184Y1 (ko) 케이블 지지대
KR100606647B1 (ko) 건축용 석재 고정판 어셈블리
RU2523377C2 (ru) Направляющая для бойка
DE202006016520U1 (de) Gerät zum Entfernen von Rohrschellen aus Mauerwerk
KR200444751Y1 (ko) 바닥재 철거장치.
JP5171292B2 (ja) 釘抜き装置
KR101052570B1 (ko) 원터치 결속구조를 갖는 비계
JP2007255072A (ja) 鋼矢板打設用治具
KR200411727Y1 (ko) 자재 인양 오픈 박스용 고정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