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0793B1 - 내연 기관의 밸브 어셈블리의 밸브 개폐 및 밸브 행정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내연 기관 - Google Patents

내연 기관의 밸브 어셈블리의 밸브 개폐 및 밸브 행정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내연 기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0793B1
KR101080793B1 KR1020080114788A KR20080114788A KR101080793B1 KR 101080793 B1 KR101080793 B1 KR 101080793B1 KR 1020080114788 A KR1020080114788 A KR 1020080114788A KR 20080114788 A KR20080114788 A KR 20080114788A KR 101080793 B1 KR101080793 B1 KR 1010807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valve
cam
combustion engine
internal combus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4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5351A (ko
Inventor
카레르 울리히
한 요하킴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 유럽기술연구소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 유럽기술연구소,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00045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53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0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07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3/00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3/00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 F01L13/0015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for optimising engine performances by modifying valve lift according to various working parameters, e.g. rotational speed, load, torque
    • F01L13/0021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for optimising engine performances by modifying valve lift according to various working parameters, e.g. rotational speed, load, torque by modification of rocker arm ratio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02Valve drive
    • F01L1/04Valve drive by means of cams, camshafts, cam discs, eccentrics or the like
    • F01L1/047Camshaf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26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two or more valves operated simultaneously by same transmitting-gear; peculiar to machines or engines with more than two lift-valves per cylind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34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means for changing the timing of the valves without changing the duration of opening and without affecting the magnitude of the valve li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3/00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 F01L13/0015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for optimising engine performances by modifying valve lift according to various working parameters, e.g. rotational speed, load, torque
    • F01L13/0063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for optimising engine performances by modifying valve lift according to various working parameters, e.g. rotational speed, load, torque by modification of cam contact point by displacing an intermediate lever or wedge-shaped intermediate element, e.g. Tourtelot
    • F01L2013/0073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for optimising engine performances by modifying valve lift according to various working parameters, e.g. rotational speed, load, torque by modification of cam contact point by displacing an intermediate lever or wedge-shaped intermediate element, e.g. Tourtelot with an oscillating cam acting on the valve of the "Delphi"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576Elements
    • Y10T74/20882Rocker ar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1Elements
    • Y10T74/2101Cams
    • Y10T74/2107Follow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lve Device For Special Equipments (AREA)
  • 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캠이 구비된 캠 샤프트; 밸브를 개폐하기 위한 밸브 어셈블리를 가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캠 샤프트를 기준으로 선회하도록 구비되어 있는 작동 곡면 요소; 상기 캠 샤프트를 기준으로 선회하도록 구비되어 있는 레버 받침; 상기 레버 받침에 선회 가능하도록 끼워져 있으며, 상기 캠이 상기 레버 받침을 기준으로 선회하도록 상기 캠에 지지되는 레버; 그리고 작동 곡면 요소와 레버에 선회 가능하도록 끼워져 있는 연결 요소;를 포함하되, 상기 캠 샤프트, 상기 캠, 상기 작동 곡면 요소, 상기 레버 받침, 상기 레버, 그리고 상기 연결 요소는 상기 캠 샤프트의 회전에 의하여 밸브가 개폐되고 레버 받침이 설정된 방식으로 선회하면서 상기 밸브의 행정이 조절되도록 서로 관련되게 배치되어 있는 내연 기관의 밸브 어셈블리의 밸브 개폐 및 밸브 행정 조절 장치를 제공한다
오토 엔진, 밸브의 행정, 내연 기관

Description

내연 기관의 밸브 어셈블리의 밸브 개폐 및 밸브 행정 조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내연 기관{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VALVE OF VALVE ASSEMBLY OF COMBUSTION ENGINE AS WELL AS FOR ADJUSTING STROKE OF THE VALVE AND THECOMBUSTION ENGINE PROVIDED WITH THE SAME}
본 발명은 내연 기관의 밸브 어셈블리의 밸브 개폐 및 밸브 행정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나아가서는 내연 기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임의의 내연 기관에 적용 가능하지만, 본 발명 및 그 문제점은 오토 엔진(Otto Engine)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자원의 고갈에 의해, 그리고 환경 보호를 위해, 오토 엔진의 연료 소모량을 더욱 저감시키는 것은 의무적이다. 그러나 그 결과로서 엔진의 출력이 저하되어서는 안 된다. 이것은 오토 엔진의 효율을 증대시키는 것에 의해서만 이루어질 수 있다.
오토 엔진의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한 방안은 WO 2005/059321 공보에 기재되어 있으며, 밸브에서 상당한 유동 손실이 발생하여 오토 엔진의 효율을 저감시키기 때문에, 종래에 오토 엔진의 연소실에 도달하는 혼합기의 체적을 조절하기 위해 사 용되었던 스로틀 밸브를 제거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방안에서 스로틀 기능은, 밸브가 가변 스트로크를 가져서 오토 엔진의 연소실에 도달하는 혼합기의 체적을 조절하는 것으로 고려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안은 캠 샤프트가 가변 밸브 행정 제어를 하지 않는 종래의 오토 엔진에서의 위치보다 상당히 떨어져야 한다는 점에서 문제점이 있음이 증명되었다. 예를 들어, 가변 밸브 행정 제어를 하지 않는 오토 엔진에서 그러한 제어를 하는 오토 엔진으로 전환하고자 할 때, 오토 엔진, 특히 실린더 헤드와 그 제조 장치의 설계를 개조하는데 많은 비용이 필요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회피할 수 있는 향상된 장치와 향상된 내연 기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목적은 제1항의 특징을 지닌 장치와 제8항의 특징을 지닌 내연 기관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에 따라, 캠이 구비된 캠 샤프트; 밸브를 개폐하기 위한 밸브 어셈블리를 가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캠 샤프트를 기준으로 선회하도록 구비되어 있는 작동 곡면 요소; 상기 캠 샤프트를 기준으로 선회하도록 구비되어 있는 레버 받침; 상기 레버 받침에 선회 가능하도록 끼워져 있으며, 상기 캠이 상기 레버 받침을 기준으로 선회하도록 상기 캠에 지지되는 레버; 그리고 작동 곡면 요소와 레버에 선회 가능하도록 끼워져 있는 연결 요소;를 포함하되, 상기 캠 샤프트, 상기 캠, 상기 작동 곡면 요소, 상기 레버 받침, 상기 레버, 그리고 상기 연결 요소는 상기 캠 샤프트의 회전에 의하여 밸브가 개폐되고 레버 받침이 설정된 방식으로 선회하면서 상기 밸브의 행정이 조절되도록 서로 관련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의 밸브 어셈블리의 밸브 개폐 및 밸브 행정 조절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밸브를 구비하고 연소실의 입구에 배치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밸브 어셈블리;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내포된 아이디어는 한편으로는 매우 콤팩트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작동 곡면 요소와 레버 받침을 캠 샤프트와 동심원상에 배치하는 것이다. 따라서, 다른 한편으로는 캠 샤프트가 가변 밸브 행정 제어를 하는 내연 기관 내에서 종래의 위치 근처에 머무르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가변 밸브 행정 제어를 하지 않는 내연 기관으로부터 그러한 제어를 하는 내연 기관으로의 전환이 내연 기관과 그 제조 수단의 설계를 개조하지 않거나 조금만 개조함으로써 가능하다. 이것은 상당히 적은 비용의 해결책을 야기한다.
또한, 캠 샤프트를 기준으로 설정된 각도만큼 레버 받침이 선회하는 것은 캠샤프트를 기준으로 동일한 각도만큼 작동 곡면 요소가 선회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이후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이것은 특히 사용되는 리턴 스프링의 관점에서 좋다. 사용되는 시스템 덕분에, 밸브가 열린 위치는 크랭크 샤프트의 각도 위치에 상관하여 행정의 함수로 변화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것은 감소된 행정으로 "조기 입구 폐쇄"를 위한 요구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보조한다. 이것은 캠 샤프트 위상 변화가 간소화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개선점은 종속항에서 설명된다.
본 발명에서, "접촉 수단"은 특히 면, 롤러 및/또는 미끄러짐 요소를 언급한다.
본 발명에서, 접촉 수단은 두 개의 부품들 사이에 운동을 전달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밸브의 "행정"은 그 상사점과 하사점 사이에 밸브에 의하여 커버되는 거리를 언급한다.
본 발명에서, "캠 샤프트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이란 캠 샤프트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회전을 언급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레버 받침이 캠 샤프트 상에서 지지된다. 이 경우, 상기 캠 샤프트는 내연 기관의 하우징 내에서 지지된다. 또한, 캠 샤프트와 레버 받침의 동축상의 지지에 대하여, 그 둘이 내연 기관의 하우징 내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 와는 달리, 레버 받침의 지지는 상기 하우징 내에서 수행되고, 캠 샤프트의 지지는 레버 받침 내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레버 받침은 설정된 방식으로 선회하기 위하여 기계적 및/또는 전자적으로 제어 가능한 구동기에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밸브의 행정은, 예를 들어 내연 기관의 목표 출력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그러한 구동기는, 예를 들어 스텝 모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환형부와 상기 환형부로부터 돌출된 두 개의 다리를 갖는 리턴 스프링이 구비되어 있되, 상기 환형부는 캠 서프트에 대해 동심원상에 배치되어 있으며, 하나의 다리는 상기 작동 곡면 요소에 끼워져 있고, 다른 하나의 다리는 레버 받침에 끼워져 있다. 그러한 리턴 스프링으로 감겨진 토션 스프링(torsion spring)일 수 있다. 캠 샤프트를 기준으로 설정된 각도만큼 레버 받침이 선회하는 것 역시 캠 샤프트를 기준으로 동일한 각도만큼 작동 곡면 요소가 선회하는 것을 동시에 필요로 하기 때문에, 그처럼 끼워진 리턴 스프링의 다리들은 캠 샤프트에 대한 레버 받침의 위치에 상관 없이 서로에 대하여 동일한 정도로 구부러져 있다. 이것은 리턴 스프링의 두 다리의 서로에 대한 최초 및 최후 위치가 캠 샤프트에 대한 레버 받침의 각 위치에 대하여 동일함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캠 샤프트가 회전하는 동안 상기 리턴 스프링에 의하여 발생된 복귀력이 항상 동일하고, 이것에 의하여 결국 상기 장치의 기구학적 설계를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레버는 제1,2부분을 포함하되, 제1부분은 그 일단이 상기 레버 받침에 선회 가능하도록 끼워지고 그 타단이 상기 제2부분에 접하며, 상기 제2부분은 제1부분에 비하여 캠 샤프트를 향해 기울어지게 연장되고, 제1부분에서 먼 쪽에 있는 제2부분의 끝단은 상기 연결 요소에 선회 가능하도록 끼워져 있다. 따라서, 캠 샤프트에 수직인 면으로 상기 장치의 연장은 더욱 줄어들고, 이에 따라 더욱 컴팩트한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레버는 제1,2부분이 서로 접하는부분에 접촉 수단, 특히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롤러 요소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롤러 요소는 상기 캠에 지지되고 있다. 이 영역에서, 상기 롤러 요소는 공간을 절약하는 방식으로 상기 레버와 합쳐져 있다. 롤러 접촉의 사용은 마찰의 관점에서 장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레버 받침은 작동 곡면 요소, 캠, 리턴 스프링, 연결 요소 및/또는 레버를 캠 샤프트의 축 방향으로 감싸는 하우징으로 설계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하우징은 상당히 얇은 벽으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컴팩트한 설계를 더욱 가능하게 한다. 더 나아가, 상기 부품들은 하우징으로 설계된 레버 받침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어 그 안에서 보호받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또 하나의 연결 요소, 또 하나의 작동 곡면 요소 및/또는 또 하나의 리턴 스프링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장치의 대칭면은 캠 샤프트에 수직으로 교차하고, 캠, 레버, 그리고 하우징을 관통한다. 따라서, 두 개의 밸브를 위한 가변 밸브 행정 제어는 유리하게 하나의 레버 받침, 하나의 캠, 그리고 하나의 레버를 구비한다. 따라서, 부품들이 절약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레버는, 특히 핀들에 의하여 캠 샤프트에 수직으로 볼 때 상기 레버 받침 및/또는 상기 연결 요소에 양측에서 선회 가능하도록 끼워져 있다. 이러한 종류의 레버는 양측에서 대칭으로 하중을 받게 되고, 이것은 그것들이 간단한 지지되는 결과를 낳는다. 특히, 휨 모멘트가 줄어들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밸브 어셈블리는 제2작동 곡면 요소에 접촉하고 제2작동 곡면 요소의 선회 움직임을 밸브의 개폐를 위한 직선 움직임으로 변환하는 롤러 캠 종동부 또는 버켓 태핏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롤러 캠 종동부 또는 버켓 태핏이 바람직하나, 선회 움직임을 직선 움직임으로 변환하는 다른 장치 역시 생각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른 지시가 없는 한 도면에서 동일한 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로 표시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따르는 내연 기관, 예를 들어 오토 엔진의 단면은 캠(3)을가지는 캠 샤프트(2)가 구비된 장치(1)를 보여준다. 캠 샤프트(2)는 그것의 회전축(4)을 기준으로 오토 엔진의 크랭크 샤프트(도시하지 않음)의 절반 속도로 회전한다. 캠 샤프트(2)는 바람직하게는 캠(3)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장치(1)는 또한 레버 받침(5)을 가지고 있는데, 명확성을 위해 단지 캠 샤프트(2)에 대해 수직으로 본 레버 받침(5)의 절반만을 보였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오토 엔진의 밸브 어셈블리(17)와 함께 장치(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 샤프트(2)를 가로지르는 대칭면(6)을 가진다. 이후에는, 대응하고 대칭되게 배열된 부품은, 예를 들어 9'와 같이 참조 부호(')로 나타낸다.
레버 받침(5)은 바람직하게 환형부(7)를 가지며, 그것을 통하여 캠 샤프트(2)가 연장된다. 레버 받침(5)은 캠 샤프트(2) 상에 직접 장착되거나 별개의 베어링 수단(도시하지 않음)을 통하여 캠 샤프트(2) 상에 장착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레버 받침(5)은 캠 샤프트(2), 즉 회전축(4)을 기준으로 선회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레버 받침(5)의 선회는 조절 장치(5a), 특히 엔진 제어 신호의 함수로 정의되어 캠 샤프트(2)를 기준으로 회전하는 스텝 모터에 의하여 수행되는데, 조절 장치(5a)는 명확성을 위하여 단지 도 1에만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레버 받침(5)은 하우징으로 설계되어 있다. 상당히 얇은 두께를 가진 재료로 된 단차(8)가 환형부(7)에 연결되어 있고, 그 단차는 그 내부에 리턴 스프링(9)과 작동 곡면 요소(10)를 수용한다. 단차(8)는 경부(8a)를 포함하고, 상기 경부(8a)는 상기 환형부(7)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상기 단차(8)는 상기 경부(8a)에 연결된 축부(8b)를 포함하고, 상기 축부(8b)는 (캠 샤프트에 대하여)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캠 샤프트(2)에 대하여 수직으로 보면, 환형부(7), 리턴 스프링(9), 그리고 작동 곡면 요소(10)는 서로 근접해 있다.
리턴 스프링(9)은 하나 또는 복수의 스프링 선이 감겨져 구성되는 환형부(11)를 포함한다. 환형부(11)는 캠 샤프트(2)에 동심원상(concentrically)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2에서, 리턴 스프링(9)은 보이지 않는다. 그 구조는 대칭면(6)에 대하여 대칭으로 배열된 리턴 스프링(9')을 참조로 상세히 후술한다. 각각이 스프링 선으로 이루어진 두 개의 다리(13', 14')가 환형부(11')에 구비된다. 다리(14')는 단차(8) 영역에서 레버 받침(5)에 끼워져 있다. 다리(14')는 바람직하게는 단차(8')의 축부(8b')에 지지된다. 리턴 스프링(9')의 다리(13')는 작동 곡면 요소(10')에 고정된다.
작동 곡면 요소(10, 10') 역시 캠 샤프트(2) 상에 선회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윤곽면(15, 15')을 포함하는데, 윤곽면(15, 15')은 밸브(18, 18')를 작동시키기에 적당한 밸브 어셈블리(17)의 버켓 태핏(16, 16')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밸브들(18, 18')은 오토 엔진의 연소실의 입구에 배치되어 있다.
다른 단차(19)의 경부(20)가 단차(8)의 축부(8b)에 연결되고 다른 단차(19)의 축부(21)가 상기 경부(20)에 연결되어 상기 다른 단차(19)는 레버 받침(5)의 단차(8)에 연결된다. 단차(19)는 대칭적 구조로 된 장치(1)의 레버 받침(5), 레버(22), 그리고 연결 요소들(23, 23')를 감싸고 있다.
레버(22)는 예를 들어 레버 받침(5) 상에서 핀들(24, 24')에 의하여 그 일단에서 축(24a)을 기준으로 그것이 선회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레버(2)는 두 부분(26, 27)을 포함한다. 그 하나의 부분(26)은 일 끝단(25)과, 다른 부분(27)의 일 끝단(29)에 소정 부분(32)에서 접촉하는 다른 끝단(28)의 두 개의 끝단을 가지고 있다. 다른 부분(27)은 캠 샤프트(2)를 향하여 기울어져 연장되어 있다. 예를 들어, 그 하나의 부분(26)에 대하여 30~60ㅀ기울어져 연장되어 있다. 다른 부분(27)의 다른 끝단(30)에서, 연결 요소(23, 23')는 그 일단(23a, 23a')에서 축(31)을 기준으로 각각 선회 가능하도록 끼워져 있다(예를 들어, 핀들(31)에 의해). 연결 요소(23, 23')의 다른 끝단(23b, 23b')에서, 연결 요소(23, 23')는 축(31b)을 기준으로 각각 작동 곡면 요소(10, 10') 상에서 선회 가능하도록 끼워져 있다(예를 들어, 핀들에 의해).
연결 요소들(23, 23')은 작동 곡면 요소(10, 10')의 마주 보는 윤곽면(15, 15') 상에서 돌기(31a, 31a')에 이어져 있다.
롤러 요소(33)는 레버(22)에서 소정 부분(32)에 통합된 방식으로 선회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롤러 요소(33)의 회전축은 도면 부호 34로 나타내고 핀들(24, 24', 34)의 회전축(24a, 31a, 31b)이 각각 그렇듯이 회전축(4)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롤러 요소(33)는 캠(3)에 접촉하고 있으며, 캠 샤프트(2)가 회전하는 동안 캠(3) 상에서 구른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필수적인 구조의 설명에 이어서 그 작동 원리를 이제 설명한다.
오토 엔진의 작동 중에, 캠 샤프트(2)는 캠(3)과 함께 회전하는데, 캠(3)은 롤러 요소(33)에 대한 작용에 의하여 레버(22)를 회전축(24a)를 기준으로 선회시킨다. 이 경우, 레버(22)의 끝단(27)은 명백하게 선회축(24')을 기준으로 선회하고, 이것은 작동 회전 요소들(10, 10')이 연결 요소들(23, 23')을 캠 샤프트(2)와 회전축(4)을 기준으로 선회하도록 한다.
여기에서, 작동 곡면 요소(10)의 윤곽면들(15, 15')은 버켓 태핏들(16, 16')에 작용하고, 이는 결국 밸브들(18, 18')이 개폐를 위하여 전진과 후진을 하도록 한다. 여기에서, 밸브들(18, 18')은 행정(18a)를 수행한다.
리턴 스프링(9, 9')의 역할은,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된 작동 곡면(10, 10')이 연장된 위치(밸브(18, 18')가 열린 위치)에서 오그라든 위치(밸브(18, 18')가 닫힌 위치)까지 움직이도록 하는 것이다.
만약 더 많은 엔진 출력이 요구되면, 전기 신호가 조절 장치(5a)에 전달되고, 그 결과 상기 조절 장치(5a)는 레버 받침(5)을 캠 샤프트(2)를 기준으로 설정된 각도만큼 선회시킨다. 이것은 결국 레버(22)와, 결과적으로 연결 요소들(23, 23')의 위치를 변화시키고, 이에 따라 윤곽면(15, 15')의 위치도 변화시킨다. 이에 따라, 윤곽면(15, 15')은 버켓 태핏(16, 16')과 다른 위치에서 접촉하게 되고, 결국 밸브(18, 18')의 행정이 변화하도록 한다.
특히, 레버 받침(5)의 설계는 변화 가능하고, 두 개의 단차(9, 19)를 가지는위에서 설명한 구조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단차(9, 19)는 환형부(8)에 연결된다.
비록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여러 방식으로 변형될 수 있다.
명백히, 본 발명은 디젤 엔진에도 적용 가능하다.
특히, 비대칭 구조 역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각 장치 당 단지 하나의 레버 받침, 하나의 리턴 스프링, 하나의 작동 곡면 요소, 하나의 연결 요소 및 하나의 캠을 가지는 실시예를 생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포함하는 내연 기관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B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장치 2: 캠 샤프트
3: 캠 4: 회전축
5: 레버 받침 5a: 조절 장치
6: 대칭면 7: 환형부
8: 단차 8a: 경부
8b: 축부 9, 9': 리턴 스프링
10, 10': 작동 곡면 요소 11, 11': 환형부
13, 14, 14': 다리 15, 15': 윤곽면
16, 16': 버켓 태핏 17: 밸브 어셈블리
18, 18': 밸브 18a: 스트로크
19: 단차 20: 경부
21: 축부 22: 레버
23, 23': 연결 요소 23a, 23a' 23b, 23b': 끝단
24, 24': 핀 24a: 회전축
25: 끝단 26, 27: 부분
28, 29, 30: 끝단 31: 핀
31a: 돌기 32: 소정 부분
33: 롤러 요소 34: 축

Claims (9)

  1. 캠(3)이 구비된 캠 샤프트(2);
    밸브(18, 18')를 개폐하기 위한 밸브 어셈블리(17)를 가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캠 샤프트(2)를 기준으로 선회하도록 구비되어 있는 작동 곡면 요소(10, 10');
    상기 캠 샤프트(2)를 기준으로 선회하도록 구비되어 있는 레버 받침(5);
    상기 레버 받침(5)에 선회 가능하도록 끼워져 있으며, 상기 캠(3)이 상기 레버 받침(5)을 기준으로 선회하도록 상기 캠에 지지되는 레버(22); 그리고
    작동 곡면 요소(10, 10')와 레버(22)에 선회 가능하도록 끼워져 있는 연결 요소(23, 23');
    를 포함하되,
    상기 캠 샤프트(2), 상기 캠(3), 상기 작동 곡면 요소(10, 10'), 상기 레버 받침(5), 상기 레버(22), 그리고 상기 연결 요소(23, 23')는 상기 캠 샤프트(2)의 회전에 의하여 밸브(18, 18')가 개폐되고 레버 받침(5)이 설정된 방식으로 선회하면서 상기 밸브(18, 18')의 행정(18a)이 조절되도록 서로 관련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의 밸브 어셈블리의 밸브 개폐 및 밸브 행정 조절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환형부(11, 11')와 상기 환형부로부터 돌출된 두 개의 다리(13, 13', 14, 14')를 갖는 리턴 스프링(9, 9')이 구비되어 있되,
    상기 환형부(11, 11')는 상기 캠 샤프트(2)에 대해 동심원상에(concentrically) 배치되어 있으며, 하나의 다리(13, 13')는 상기 작동 곡면 요소에 끼워져 있고, 다른 하나의 다리(14, 14')는 상기 레버 받침(5)에 끼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의 밸브 어셈블리의 밸브 개폐 및 밸브 행정 조절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22)는 제1,2부분(26, 27)을 포함하되,
    상기 제1부분(26)은 그 일단(25)이 상기 레버 받침(5)에 선회 가능하도록 끼워지고 그 타단(28)이 상기 제2부분(27)에 접하며,
    상기 제2부분(27)은 상기 제1부분(26)에 비하여 상기 캠 샤프트(2)를 향해 기울어지게 연장되고, 제1부분(26)에서 먼 쪽에 있는 제2부분(27)의 끝단은 상기 연결 요소(23, 23')에 선회 가능하도록 끼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의 밸브 어셈블리의 밸브 개폐 및 밸브 행정 조절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22)는 상기 제1,2부분(26, 27)이 서로 접하는 부분(32)에 접촉 수단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접촉 수단은 상기 캠(3)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의 밸브 어셈블리의 밸브 개폐 및 밸브 행정 조절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받침(5)은 상기 작동 곡면 요소(10, 10'), 상기 캠(3), 리턴 스프링(9, 9'), 상기 연결 요소(23, 23'), 또는 상기 레버(22)를 상기 캠 샤프트(2)의 축방향으로 감싸는 하우징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의 밸브 어셈블리의 밸브 개폐 및 밸브 행정 조절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개폐 및 밸브 행정 조절 장치(1)는 또 하나의 연결 요소(23'), 또 하나의 작동 곡면 요소(10'), 또는 리턴 스프링(9')을 포함하되,
    상기 장치(1)는 상기 캠 샤프트(2)에 수직으로 교차하고 상기 캠(3), 상기 레버(22), 그리고 상기 레버 받침(5)을 관통하는 대칭면(6)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의 밸브 어셈블리의 밸브 개폐 및 밸브 행정 조절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22)는 핀(24, 24' 31)에 의하여 상기 레버 받침(5) 또는 상기 연결 요소(23, 23')에 선회 가능하도록 끼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의 밸브 어셈블리의 밸브 개폐 및 밸브 행정 조절 장치.
  8. 밸브(18, 18')를 구비하고 연소실의 입구에 배치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밸브 어셈블리(17);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장치(1);
    를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치는 제1항에 따른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어셈블리(17)는 상기 작동 곡면 요소(10, 10')에 지지되고 상기 캠(3)의 선회 움직임을 밸브(18, 18')의 개폐를 위한 직선 움직임으로 전환하는 롤러 캠 종동부 또는 버켓 태핏(16, 1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
KR1020080114788A 2008-10-23 2008-11-18 내연 기관의 밸브 어셈블리의 밸브 개폐 및 밸브 행정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내연 기관 KR1010807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8043139.7 2008-10-23
DE102008043139A DE102008043139A1 (de) 2008-10-23 2008-10-23 Vorrichtung zum Öffnen und Schließen eines Ventils einer Ventilanordnung eines Verbrennungsmotors sowie zum Einstellen eines Hubs des Venti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5351A KR20100045351A (ko) 2010-05-03
KR101080793B1 true KR101080793B1 (ko) 2011-11-07

Family

ID=42054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4788A KR101080793B1 (ko) 2008-10-23 2008-11-18 내연 기관의 밸브 어셈블리의 밸브 개폐 및 밸브 행정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내연 기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926459B2 (ko)
KR (1) KR101080793B1 (ko)
DE (1) DE1020080431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12353B2 (en) 2018-09-14 2021-02-09 Charise Noel Necklace with interchangeable jewel par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37809A (en) * 1997-03-20 1999-08-17 General Motors Corporation Variable valve timing mechanisms
US20010035141A1 (en) 2000-02-24 2001-11-01 Pierik Ronald J. Ring gear variable valve train device
US6439177B2 (en) 2000-06-30 2002-08-27 Delphi Technologies, Inc. Low friction variable valve actuation device
JP2008223744A (ja) 2007-03-16 2008-09-25 Hitachi Ltd 内燃機関の可変動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36612A1 (de) * 2001-07-17 2003-02-06 Herbert Naumann Variable Hubventilsteuerungen
DE602004006649T2 (de) 2003-12-18 2008-01-31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Toyota Variabler ventilmechanism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37809A (en) * 1997-03-20 1999-08-17 General Motors Corporation Variable valve timing mechanisms
US20010035141A1 (en) 2000-02-24 2001-11-01 Pierik Ronald J. Ring gear variable valve train device
US6439177B2 (en) 2000-06-30 2002-08-27 Delphi Technologies, Inc. Low friction variable valve actuation device
JP2008223744A (ja) 2007-03-16 2008-09-25 Hitachi Ltd 内燃機関の可変動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5351A (ko) 2010-05-03
US7926459B2 (en) 2011-04-19
US20100101374A1 (en) 2010-04-29
DE102008043139A1 (de) 2010-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22187B2 (en) Variable valve mechanism having an eccentric-driven frame
US6745734B2 (en) Variable valve actuating mechanism having torsional lash control spring
KR100655255B1 (ko) 내연 기관의 밸브 작동 장치
JP2007170333A (ja) 可変動弁機構
US6615773B2 (en) Piston control mechanism of recipro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 of variable compression ratio type
US8051817B2 (en) Variable valve mechanism
JP4697011B2 (ja) 可変動弁機構
US6295958B2 (en) Linkless variable valve actuation mechanism
US6968819B2 (en) Variable valve actuating device
JP4771874B2 (ja) 可変動弁機構
JP5313644B2 (ja) 可変動弁機構
KR101080793B1 (ko) 내연 기관의 밸브 어셈블리의 밸브 개폐 및 밸브 행정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내연 기관
JP4469341B2 (ja) 可変動弁機構
JP2002276315A (ja) 内燃機関の可変動弁装置
KR101090793B1 (ko) 연소기관의 밸브 어셈블리의 밸브 개폐 및 밸브 행정 조정장치
JP2007239470A (ja) 内燃機関の可変動弁装置
JP4507997B2 (ja) 内燃機関の可変動弁装置
KR20000071212A (ko) 밸브 작동기구
JP2004150301A (ja) 内燃機関の可変動弁装置
JP5625616B2 (ja) 内燃機関の可変動弁装置
US7302923B2 (en) Variable valve timing device adapted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05076607A (ja) 内燃機関における動弁機構
JP5864203B2 (ja) 可変動弁機構
JP2004340106A (ja) 内燃機関の可変動弁装置
KR20100062347A (ko) 연속 가변 밸브 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