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0793B1 - 연소기관의 밸브 어셈블리의 밸브 개폐 및 밸브 행정 조정장치 - Google Patents

연소기관의 밸브 어셈블리의 밸브 개폐 및 밸브 행정 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0793B1
KR101090793B1 KR1020080032831A KR20080032831A KR101090793B1 KR 101090793 B1 KR101090793 B1 KR 101090793B1 KR 1020080032831 A KR1020080032831 A KR 1020080032831A KR 20080032831 A KR20080032831 A KR 20080032831A KR 101090793 B1 KR101090793 B1 KR 1010907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valve
cam
combustion engine
cam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2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2588A (ko
Inventor
피셔 미하엘
한 요아킴
카레르 울리히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 유럽기술연구소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 유럽기술연구소,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90102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25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0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07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3/00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3/00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 F01L13/0015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for optimising engine performances by modifying valve lift according to various working parameters, e.g. rotational speed, load, torque
    • F01L13/0063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for optimising engine performances by modifying valve lift according to various working parameters, e.g. rotational speed, load, torque by modification of cam contact point by displacing an intermediate lever or wedge-shaped intermediate element, e.g. Tourtelo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12Transmitting gear between valve drive and valve
    • F01L1/18Rocking arms or le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12Transmitting gear between valve drive and valve
    • F01L1/18Rocking arms or levers
    • F01L1/185Overhead end-pivot rocking a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20Adjusting or compensating clearance
    • F01L1/22Adjusting or compensating clearance automatically, e.g. mechanically
    • F01L1/24Adjusting or compensating clearance automatically, e.g. mechanically by fluid means, e.g. hydraulically
    • F01L1/2405Adjusting or compensating clearance automatically, e.g. mechanically by fluid means, e.g. hydraulically by means of a hydraulic adjusting device located between the cylinder head and rocker a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3/00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 F01L13/0015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for optimising engine performances by modifying valve lift according to various working parameters, e.g. rotational speed, load, torque
    • F01L13/0063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for optimising engine performances by modifying valve lift according to various working parameters, e.g. rotational speed, load, torque by modification of cam contact point by displacing an intermediate lever or wedge-shaped intermediate element, e.g. Tourtelot
    • F01L2013/0068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for optimising engine performances by modifying valve lift according to various working parameters, e.g. rotational speed, load, torque by modification of cam contact point by displacing an intermediate lever or wedge-shaped intermediate element, e.g. Tourtelot with an oscillating cam acting on the valve of the "BMW-Valvetronic"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3/00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 F01L13/0015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for optimising engine performances by modifying valve lift according to various working parameters, e.g. rotational speed, load, torque
    • F01L13/0063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for optimising engine performances by modifying valve lift according to various working parameters, e.g. rotational speed, load, torque by modification of cam contact point by displacing an intermediate lever or wedge-shaped intermediate element, e.g. Tourtelot
    • F01L2013/0073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for optimising engine performances by modifying valve lift according to various working parameters, e.g. rotational speed, load, torque by modification of cam contact point by displacing an intermediate lever or wedge-shaped intermediate element, e.g. Tourtelot with an oscillating cam acting on the valve of the "Delphi"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2305/00Valve arrangements comprising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lve Device For Special Equip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소기관의 밸브 어셈블리(Valve Assembly)의 밸브 개폐 및 밸브 행정(Stroke) 조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캠 축 주위를 설정된 방식으로 선회하도록 구비된 레버 받침; 상기 레버 받침에 선회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캠 축과 평행한 제1축에 대하여 선회 가능하되, 상기 캠 축의 캠에 접촉하는 제1접촉 수단을 포함하는 레버; 그리고 상기 캠 축과 평행하게 배치된 제2축에 대하여 선해 가능하도록 지지되며 상기 레버의 제2접촉 수단에 접촉하는 제3접촉 수단과 밸브의 개폐를 위한 밸브 어셈블리의 작동을 위한 제4접촉 수단을 포함하는 매개 레버;를 포함하되, 상기 레버 받침, 상기 레버, 상기 캠, 그리고 상기 매개 레버는 상기 밸브가 캠 축의 회전에 의하여 개폐되고 밸브의 행정이 레버 받침을 상기 설정된 방식으로 선회시킴으로써 조정되도록 서로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롤러 캠 종동부(roller cam follower), 버킷 태핏(bucket tappet)

Description

연소기관의 밸브 어셈블리의 밸브 개폐 및 밸브 행정 조정 장치{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VALVE OF VALVE ASSEMBLY OF A COMBUSTION ENGINE AS WELL AS FOR ADJUSTING STROKE OF VALVE}
본 발명은 연소기관(Combustion Engine)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소기관의 밸브 어셈블리(Valve Assembly)의 밸브 개폐 및 밸브 행정(Stroke) 조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어떠한 연소기관에도 적용 가능하지만, 특히 오토 엔진(Otto Engine)을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문제점이 상세히 기술된다.
점차 감소하는 자원 문제와 환경을 보전하기 위하여 오토 엔진의 연료 소모를 더욱 감소시키는 것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연료 소모를 감소시킴으로 인하여 엔진 출력에 손해를 봐서는 안 된다. 이와 같이 연료 소모를 감소시키고 엔진 출력에 손해를 안 보기 위해서는 오토 엔진의 효율을 증가시켜야 한다.
오토 엔진의 효율을 증가시키는 종래의 장치 중 하나는 PCT출원의 국제공개번호 WO 2005/059321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장치에 따르면, 상당한 정도의 유동 손해(flow losses)가 밸브에서 발생하였고 이로 인해 오토 엔진의 효율이 감소되었기 때문에 오토 엔진의 연소실에 도달하는 혼합기(fuel air mixture)의 체적을 너무 자주 제어하는 스로틀 밸브를 제거하였다. 상기 스로틀의 기능은 가변 행정(variable stroke)을 구비하는 밸브가 담당하였고, 상기 가변 행정에 의하여 오토 엔진의 연소실에 도달하는 혼합기의 체적이 제어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장치는 조립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이 보다 편한 개선된 장치 및/또는 최소한 상기 종래의 장치의 대용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제 1항의 특징을 가진 장치와 제 8항의 특징을 가진 연소기관에 의하여 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소기관의 밸브 어셈블리의 밸브 개폐 및 밸브 행정 조정 장치는: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캠 축 주위를 설정된 방식으로 선회하도록 구비된 레버 받침; 상기 레버 받침에 선회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캠 축과 평행한 제1축에 대하여 선회 가능하되, 상기 캠 축의 캠에 접촉하는 제1접촉 수단을 포함하는 레버; 그리고 상기 캠 축과 평행하게 배치된 제2축에 대하여 선해 가능하도록 지지되며 상기 레버의 제2접촉 수단에 접촉하는 제3접촉 수단과 밸브의 개폐를 위한 밸브 어셈블리의 작동을 위한 제4접촉 수단을 포함 하는 매개 레버;를 포함하되, 상기 레버 받침, 상기 레버, 상기 캠, 그리고 상기 매개 레버는 상기 밸브가 캠 축의 회전에 의하여 개폐되고 밸브의 행정이 레버 받침을 상기 설정된 방식으로 선회시킴으로써 조정되도록 서로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소기관은 그 연소실의 입구에 배치되어 있는 밸브(42)가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밸브 어셈블리(33)를 포함하되, 상기 연소기관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 어셈블리의 밸브 개폐 및 밸브 행정 조정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요지는 레버 받침을 종래의 장치와 같이 매개 레버와 동축상에 배치하는 것이 아니라 캠 축과 동축상에 배치하는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캠 축이 레버 받침과 함께 하고 레버는 모듈로서 미리 조립될 수 있으므로 밸브 개폐 및 밸브 행정 조정 장치 또는 연소기관의 조립을 위한 과정을 단순화하게 된다.
종속항에서도 본 발명의 장점과 향상된 점이 발견된다.
본 발명에서 "접촉 수단"이라 함은 특히 면, 롤러, 및/또는 슬라이딩 요소를 말한다. 본 발명에서 접촉 수단은 두 요소 사이에 움직임을 전달하기 위한 수단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밸브의 "행정"이라 함은 밸브의 하사점(bottom dead center)과 상사점(top dead center) 사이에서 밸브의 태핏이 움직이는 거리를 말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레버 받침은 상기 캠 축 상에 지지된다. 이 경우 상기 캠 축은 상기 연소기관의 하우징 안에서 지지된다. 더 나아 가, 캠 축과 레버 받침을 동축상으로 지지한다는 점에 대하여는 상기 캠 축과 레버 받침을 연소기관의 하우징 안에서 독립적으로 지지할 수도 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레버 받침은 하우징 안에서 지지되고, 캠 축은 레버 받침 안에서 지지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레버 받침은 상기 캠 축이 그 중심에 안착되는 환상부와 상기 환상부에 일체식으로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캠 축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가늘어지는 테이퍼부가 구비되어 있되, 상기 레버는 상기 테이퍼부에 선회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레버 받침의 구조에 의하여 공간이 절약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레버의 제2접촉 수단은 윤곽면으로 되어 있다. 이 윤곽면은 거의 모든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밸브의 개폐 움직임을 캠 축 각도의 함수로 변화시키기가 용이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레버는 환형의 조각으로 되어 있되, 상기 레버를 상기 레버 받침에 선회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연결 점과 제1접촉 수단은 상기 환형의 조각의 반대쪽 끝단에 배치된다. 이러한 특징에 의하여 레버 구조가 간단하고 공간이 절약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환형의 조각은 상기 캠 축을 마주보는 내측과 상기 내측의 반대편에 있으며 상기 윤곽면을 포함하는 외측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특징에 의하여 레버의 구조가 간단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레버 받침은 상기 레버 받침을 상기 설정된 방식으로 선회시키기 위하여 전기적 및/또는 기계적으로 제어되는 구동기에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밸브의 행정이, 예를 들어 연소기관의 목표 출력에 의존하여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기는, 예를 들어 스텝 모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밸브 어셈블리는 상기 매개 레버의 상기 제4접촉 수단에 접촉하고 상기 밸브의 개폐를 위하여 상기 매개 레버의 선회 움직임을 상기 밸브의 직선 움직임으로 변환하는 롤러 캠 종동부 또는 버킷 태핏(bucket tappet)을 포함한다. 상기 매개 레버의 선회 움직임을 상기 밸브의 밸브 축의 직선 움직임으로 변환하기 위하여 롤러 캠 종동부 또는 버킷 태핏이 바람직하지만 다른 기구들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캠을 구비하고 있으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캠 축; 상기 캠 축과 평행한 제1축에 대하여 선회 가능하며 상기 캠 축의 캠과 접촉하여 동력을 전달받는 레버; 상기 레버에 접촉하여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캠 축과 평행한 제2축에 대하여 선회 가능하며, 상기 전달 받은 동력을 이용하여 밸브의 개폐를 위한 밸브 어셈블리를 작동시키는 매개 레버; 그리고 구동기에 연결되어 선회하며 상기 제1축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레버 받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버 받침은 상기 캠 축과 동축상인 축을 기준으로 상기 캠 축 주위를 선회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레버가 캠과 접촉하는 면과 상기 레버가 매개 레버와 접촉하는 면은 서로 반대편에 위치하며, 상기 레버가 매개 레버와 접촉하는 면은 윤곽면으로 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레버 받침은 상기 캠 축이 그 중심에 안착되는 환상(環狀)부와 상기 환상부에 일체식으로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캠 축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가늘어지는 테이퍼부가 구비되어 있되, 상기 레버는 상기 테이퍼부에 선회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레버 받침을 캠 축과 동축상에 배치함으로써 레버를 모듈로서 미리 조립할 수 있으므로 조립성이 향상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소기관의 밸브 어셈블리의 밸브 개폐 및 밸브 행정 조정 장치(1)를 보여 주는 것으로, 이 장치(1)는 오토 엔진(Otto Engine)에 장착되어 있다. 오토 엔진은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으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장치(1)는 캠 축(2)을 포함하는데, 상기 캠 축(2)은 그 회전축(2a)을 기준으로 오토 엔진의 크랭크 축(도시하지 않음)의 절반의 회전속도로 회전한다. 상기 캠 축(2)은 캠(3)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캠(3)은 상기 캠 축(2)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버 받침(4)은 명확히 구별될 수 있도록 파선으로 나타냈다. 레버 받침(4)은 환상(環狀)부(5)를 포함하는데, 상기 캠 축(2)은 상기 환상부(5)를 통해 연장된 다. 상기 레버 받침(4)은 캠 축(2)에 직접적으로 지지될 수 있고 여기에서 보여주지 않은 다른 별도의 지지 수단에 의하여 지지될 수도 있다. 어떠한 경우이든, 상기 레버 받침(4)은 캠 축(2)의 회전축(2a)과 동축상인 축(7)을 기준으로 선회하도록 구비된다.
테이퍼부(6)는 상기 레버 받침(4)의 환상부(5)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캠 축(2)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가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부호 11은 상기 오토 엔진에 대하여 정지되어 있고 회전축(2a)과 교차하는 제1기준선(12)과 레버 받침(4)에 고정되어 회전축(2a)과 교차하는 제2기준선(13) 사이의 각도를 나타낸다. 상기 각도(11)는 구동기(14)에 의하여 조정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기(14)는 레버 받침(4)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구동기(14)는 바람직하게는 전기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여기에서는 개략적으로만 나타내었음).
레버 받침(4)의 테이퍼부(6)에서는, 레버(15)가 레버 받침(4)의 연결 점(16)에서 지지된다. 상기 레버(15)는 상기 회전축(2a)과 평행에 가깝고 상기 연결 점(16)을 통해 연장된 축(17)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레버(15)는 캠 축(2)으로부터 멀어지는 아치형상의 외측(21)과 캠 축(2)을 향하는 아치 형상에 가까운 내측(22)을 가지는 환형의 조각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다른 형태의 레버(15)도 가능하다.
상기 레버(15)는 그 일단에 연결 점(16)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레버(15)는 그 타단에 상기 연결 점(16)으로부터 이격 되어 있는 롤러(23)를 구비하고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 점(16)의 반대편에 구비하고 있다. 상기 롤러(23)는 상기 회전축(2a)과 평행에 가깝게 배치된 축(24)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레버(15)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롤러(23)는 캠(3)의 외주면(24a)에서 구른다.
더 나아가, 상기 장치(1)는 상기 오토 엔진에 대하여 정지하고 있고 캠 축(2)의 회전축(2a)과 평행에 가깝게 배치된 축(26)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매개 레버(25)를 포함한다. 상기 매개 레버(25)는 상기 축(26)으로부터 일정 간격 떨어져 있는 일단에 롤러(27)를 가지고 있다. 상기 롤러(27)는 상기 캠 축(2)의 회전축(2a)과 평행에 가깝게 연장된 축(3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상기 롤러(27)는 레버(15)의 외측(21) 상에서 구르며, 상기 외측(21)은 윤곽면으로 되어 있다. 상기 매개 레버(25)는 그 일단에 축(26)과 그 타단에 축(31)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매개 레버(25)의 일단에는 밸브 어셈블리(33)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 곡면 요소(32)가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밸브 어셈블리(33)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중앙 롤러(35)를 가진 롤러 캠 종동부(34)를 포함하며, 상기 롤러(35)는 상기 작동 곡면 요소(32)의 윤곽면 상에서 구른다. 상기 롤러(35)는 상기 캠 축(2)의 회전축(2a)과 평행에 가깝게 연장된 축(37)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롤러 캠 종동부(34)는 그 일단이 상기 오토 엔진에 대하여 고정적으로 구비된 조정기("hydraulic lash adjuster")(38)에 선회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또한, 상기 롤러 캠 종동부(34)의 타단은 밸브(42)의 밸브 축(41)의 끝단에 선회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본 발명의 작동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오토 엔진의 작동 중에, 캠 축(2)은 캠(3)과 함께 회전하는데, 상기 캠(3)은 상기 레버(15)를 특정 방향(43)으로 움직이도록 한다. 한편, 상기 특정 방향(43)의 반대 방향의 움직임은 리턴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구현된다. 따라서, 상기 레버(15)의 외측(21)은 롤러(27)를 작동시키고, 상기 롤러(27)는 결국 축(26)을 중심으로 작동 곡면 요소(32)의 윤곽면(36)의 선회 움직임을 이끌게 된다. 상기 윤곽면(36)의 일부분은 결국 롤러 캠 종동부(34)의 롤러(35)를 작동시켜 조정기(38)를 중심으로 선회하도록 한다. 이에 의하여 밸브 디스크(41a)를 포함하는 밸브 축(41)이 화살표(44)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하며 밸브(42)를 개폐시킨다.
더 큰 엔진의 출력이 필요한 때에는, 전기 신호가 구동기(14)에 인가된다. 그것에 의하여 구동기(14)는 상기 레버 받침(4)을 선회시키고 이에 따라 상기 각도(11)가 조정된다. 그것에 의하여 레버(15)의 위치가 변화하게 되고 이는 결국 매개 레버(25)를 선회하게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작동 곡면 요소(32)의 윤곽면(36)의 다른 부분이 롤러 캠 종동부(34)의 롤러(35)와 접촉하게 되고, 마침내 밸브(42)의 행정이 변화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디젤 엔진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소기관의 밸브 개폐 및 밸브 행정 조정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밸브 개폐 및 밸브 행정 조정 장치 2: 캠 축
2a: 회전축 3: 캠
4: 레버 받침 5: 환상부
6: 테이퍼부 7: 축
11: 각도 12: 기준선
13: 기준선 14: 구동기
15: 레버 16: 연결점
17: 축 21: 외측
22: 내측 23: 롤러
24: 축 24a: 외주면
25: 매개 레버 26: 축
27: 롤러 31: 축
32: 작동 곡면 요소 33: 밸브 어셈블리
34: 롤러 캠 종동부 35: 롤러
36: 윤곽면 37: 축
38: 조정기 41: 밸브 축
41a: 밸브 디스크 42: 밸브
43: 이동 방향 44: 행정

Claims (13)

  1.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캠 축(2) 주위를 설정된 방식으로 선회하도록 구비된 레버 받침(4);
    상기 레버 받침(4)에 선회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캠 축(2)과 평행한 제1축(17)에 대하여 선회 가능하되, 상기 캠 축(2)의 캠(3)에 접촉하는 제1접촉 수단(23)을 포함하는 레버(15); 그리고
    상기 캠 축(2)과 평행하게 배치된 제2축(26)에 대하여 선회 가능하도록 지지되며 상기 레버(15)의 제2접촉 수단(21)에 접촉하는 제3접촉 수단(27)과, 밸브(42)의 개폐를 위한 밸브 어셈블리(33)의 작동을 위한 제4접촉 수단(36)을 포함하는 매개 레버(25);
    를 포함하되,
    상기 레버 받침(4), 상기 레버(15), 상기 캠(3), 그리고 상기 매개 레버(25)는 상기 밸브(42)가 캠 축(2)의 회전에 의하여 개폐되고 밸브(42)의 행정(44)이 레버 받침(4)을 상기 설정된 방식으로 선회시킴으로써 조정되도록 서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관의 밸브 어셈블리의 밸브 개폐 및 밸브 행정 조정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받침(4)은 상기 캠 축(2) 상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 기관의 밸브 어셈블리의 밸브 개폐 및 밸브 행정 조정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받침(4)은 상기 캠 축(2)이 그 중심에 안착되는 환상(環狀)부(5)와 상기 환상부(5)에 일체식으로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캠 축(2)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가늘어지는 테이퍼부(6)가 구비되어 있되,
    상기 레버(15)는 상기 테이퍼부(6)에 선회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관의 밸브 어셈블리의 밸브 개폐 및 밸브 행정 조정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15)의 제2접촉 수단(21)은 윤곽면(contoured surface)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관의 밸브 어셈블리의 밸브 개폐 및 밸브 행정 조정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15)는 환형의 조각으로 되어 있되,
    상기 레버(15)를 상기 레버 받침(4)에 선회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연결 점(16)과 제1접촉 수단(23)은 상기 환형의 조각의 반대쪽 끝단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관의 밸브 어셈블리의 밸브 개폐 및 밸브 행정 조정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의 조각은 상기 캠 축(2)을 마주보는 내측(22)과 상기 내측(22)의 반대편에 있으며 상기 레버(15)의 제2접촉 수단(21)의 윤곽면을 포함하는 외측(2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관의 밸브 어셈블리의 밸브 개폐 및 밸브 행정 조정 장치.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받침(4)은 상기 레버 받침(4)을 상기 설정된 방식으로 선회시키기위하여 전기적 또는 기계적으로 제어되는 구동기(14)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관의 밸브 어셈블리의 밸브 개폐 및 밸브 행정 조정 장치.
  8. 연소기관의 연소실의 입구에 배치되어 있는 밸브(42)가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밸브 어셈블리(33)를 포함하는 연소기관에 있어서,
    상기 연소기관은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밸브 어셈블리의 밸브 개폐 및 밸브 행정 조정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관.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어셈블리(33)는 상기 매개 레버(25)의 상기 제4접촉 수단(36)에 접촉하고 상기 밸브(42)의 개폐를 위하여 상기 매개 레버(25)의 선회 움직임을 상기 밸브(42)의 직선 움직임으로 변환하는 롤러 캠 종동부(34) 또는 버킷 태핏(bucket tappet)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관.
  10. 캠을 구비하고 있으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캠 축;
    상기 캠 축과 평행한 제1축에 대하여 선회 가능하며 상기 캠 축의 캠과 접촉하여 동력을 전달받는 레버;
    상기 레버에 접촉하여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캠 축과 평행한 제2축에 대하여 선회 가능하며, 상기 전달 받은 동력을 이용하여 밸브의 개폐를 위한 밸브 어셈블리를 작동시키는 매개 레버; 그리고
    구동기에 연결되어 선회하며 상기 제1축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레버 받침;
    을 포함하는 연소기관의 밸브 어셈블리의 밸브 개폐 및 밸브 행정 조정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받침은 상기 캠 축과 동축상인 축을 기준으로 상기 캠 축 주위를 선회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관의 밸브 어셈블리의 밸브 개폐 및 밸브 행정 조정 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가 캠과 접촉하는 면과 상기 레버가 매개 레버와 접촉하는 면은 서로 반대편에 위치하며, 상기 레버가 매개 레버와 접촉하는 면은 윤곽면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관의 밸브 어셈블리의 밸브 개폐 및 밸브 행정 조 정 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받침은 상기 캠 축이 그 중심에 안착되는 환상(環狀)부와 상기 환상부에 일체식으로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캠 축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가늘어지는 테이퍼부가 구비되어 있되,
    상기 레버는 상기 테이퍼부에 선회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관의 밸브 어셈블리의 밸브 개폐 및 밸브 행정 조정 장치.
KR1020080032831A 2008-03-26 2008-04-08 연소기관의 밸브 어셈블리의 밸브 개폐 및 밸브 행정 조정장치 KR1010907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8015787.2 2008-03-26
DE102008015787A DE102008015787A1 (de) 2008-03-26 2008-03-26 Vorrichtung zum Öffnen und Schließen eines Ventils einer Ventilanordnung eines Verbrennungsmotors sowie zum Einstellen eines Hubs des Venti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2588A KR20090102588A (ko) 2009-09-30
KR101090793B1 true KR101090793B1 (ko) 2011-12-08

Family

ID=41011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2831A KR101090793B1 (ko) 2008-03-26 2008-04-08 연소기관의 밸브 어셈블리의 밸브 개폐 및 밸브 행정 조정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90793B1 (ko)
DE (1) DE1020080157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61480B2 (ja) 2010-11-08 2014-07-30 スズキ株式会社 内燃機関の可変動弁装置
US9133735B2 (en) * 2013-03-15 2015-09-15 Kohler Co. Variable valve timing apparatu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 incorporating the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81397B2 (en) 2001-02-19 2002-11-19 Yamaha Hatsudoki Kabushiki Kaisha Variable valve drive system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05194986A (ja) 2004-01-09 2005-07-21 Honda Motor Co Ltd 弁作動特性可変装置
JP2007270740A (ja) 2006-03-31 2007-10-18 Daihatsu Motor Co Ltd 内燃機関におけるバルブリフト可変式動弁装置
EP1985816A1 (en) 2007-03-05 2008-10-29 PIAGGIO &amp; C. S.p.A. System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lift and the phase of the valves i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41521B2 (en) 2003-12-18 2008-10-28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Variable valve mechanis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81397B2 (en) 2001-02-19 2002-11-19 Yamaha Hatsudoki Kabushiki Kaisha Variable valve drive system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05194986A (ja) 2004-01-09 2005-07-21 Honda Motor Co Ltd 弁作動特性可変装置
JP2007270740A (ja) 2006-03-31 2007-10-18 Daihatsu Motor Co Ltd 内燃機関におけるバルブリフト可変式動弁装置
EP1985816A1 (en) 2007-03-05 2008-10-29 PIAGGIO &amp; C. S.p.A. System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lift and the phase of the valves i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8015787A1 (de) 2009-10-01
KR20090102588A (ko) 2009-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61620B2 (en) Variable valve actuation device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7469669B2 (en) Variable valve train mechanism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3485434B2 (ja) 内燃機関の動弁装置
US20010037781A1 (en) Variable valve mechanism having an eccentric-driven frame
WO2004011782A1 (ja) 内燃機関の動弁装置
US6968819B2 (en) Variable valve actuating device
JP4381188B2 (ja) 内燃機関の可変動弁装置
KR101090793B1 (ko) 연소기관의 밸브 어셈블리의 밸브 개폐 및 밸브 행정 조정장치
WO2004031541A1 (ja) 内燃機関の動弁装置
JP5313644B2 (ja) 可変動弁機構
JP3982917B2 (ja) 内燃機関の可変動弁装置
JP3996751B2 (ja) 内燃機関の可変動弁装置
JP4200975B2 (ja) 内燃機関の可変動弁装置
JP2003148116A (ja) 4サイクルエンジンの動弁装置
KR101080793B1 (ko) 내연 기관의 밸브 어셈블리의 밸브 개폐 및 밸브 행정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내연 기관
JP4090340B2 (ja) 内燃機関の動弁装置
JP4031973B2 (ja) 内燃機関の可変動弁装置
WO2021131191A1 (ja) 可変動弁機構
KR101091621B1 (ko) 내연기관의 밸브 어셈블리의 밸브 개폐 및 밸브 스트로크의조절을 위한 장치
JP4595763B2 (ja) 内燃機関の可変動弁装置
JP4090339B2 (ja) 内燃機関の動弁装置
JP2007162597A (ja) 内燃機関の可変動弁装置
JP4552707B2 (ja) 内燃機関の可変動弁装置
JP5447211B2 (ja) 内燃機関の可変動弁装置
WO2007119562A1 (ja) 内燃機関におけるバルブリフト可変式動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