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0337B1 - 양이온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염모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양이온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염모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0337B1
KR101080337B1 KR1020040054324A KR20040054324A KR101080337B1 KR 101080337 B1 KR101080337 B1 KR 101080337B1 KR 1020040054324 A KR1020040054324 A KR 1020040054324A KR 20040054324 A KR20040054324 A KR 20040054324A KR 101080337 B1 KR101080337 B1 KR 101080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hair
polyquaternium
group
cati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4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7079A (ko
Inventor
윤일기
이인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40054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0337B1/ko
Publication of KR20060007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70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0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03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61K8/416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47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ids; Metal or ammonium salts thereof, e.g. crotonic acid, (meth)acrylic aci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e.g. (meth)acrylic acid ester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0Preparations for permanently dye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2Colour properties
    • A61K2800/43Pigments; Dyes
    • A61K2800/432Direct dyes
    • A61K2800/4324Direct dyes in preparations for permanently dye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4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 A61K2800/542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characterized by the charge
    • A61K2800/5424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characterized by the charge anionic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염모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4차 폴리암모늄 양이온성 화합물; 하나 이상의 불포화 올레핀계 카르복실산 단위를 단독으로 하는 호모중합체 형태의 음이온성 중합체, 또는 하나 이상의 불포화 올레핀계 카르복실산 단위와 하나 이상의 불포화 카르복실산 형태의 탄소수 10 내지30의 알킬에스테르 단위를 복합으로 하는 공중합체 형태의 음이온성 중합체; 특정 양이온성 화합물; 및 케라틴 섬유 염색용 산화 염료를 포함하는 염모제 조성물이 모발의 염색 후, 모발 컨디셔닝 효과가 우수하고 색상 지속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염색 후 모발과 두피에 잔류하는 염모제액과 피부오염을 제거하는 데 있어 매우 유용하다.
염모제, 4차 폴리암모늄 양이온성 화합물, 음이온성 중합체, 컨디셔닝

Description

양이온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염모제 조성물{Hairdye Composition Comprising Cationic Surfactant}
본 발명은 모발의 염색 후, 모발 컨디셔닝 효과가 우수하고 색상 지속성이 우수할 뿐 아니라, 염색 후 모발과 두피에 잔류하는 염모제액과 피부오염을 제거하는 데 있어 효과가 우수한 염모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제2제형 산화 영구 염모제는 안정성을 이유로 제1제의 염모제와 제2제의 산화제가 별도의 용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용전에 제1제 및 제2제를 혼합하여 사용한다. 산화 영구 염모제에 의해 얻어진 모발의 염색 색상은 2-3개월 동안 지속되는 특징이 있다.
제1제의 염모제는 그 주요성분으로 산화축합을 하여 색상을 발색하는 방향족계 아민류나 알코올류의 염료 및 그 염과, 암모니아, 모노에탄올아민, 아미노메칠프로판올 등의 알칼리제로 구성되며, 제2제의 산화제로는 과산화수소가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모발의 염색은 제1제에 함유되어 있는 염료 중간체 및 커플러가 제2제에 함유되어 있는 산화제와 혼합될 때, 산화축합 반응을 일으켜 모발에 여러가지 색상을 나타나게 된다. 이때, 알칼리제는 모발을 팽윤시켜 염료의 모발 침투 를 용이하게 하며 산화제인 과산화수소의 분해를 촉진시키고 과산화수소에 의해 발생된 산소가 염료 중간체의 산화축합의 반응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모발의 염색 중에는 알칼리제와 산화제의 작용으로 모발의 손상이 일어나는데, 양이온성 화합물을 사용하게 되면 손상된 모발에 흡착되어 마찰력을 떨어뜨리고 다른 비수용성 컨디셔닝 물질의 모발 흡착을 증가시키는 작용을 한다. 또한 모발의 전기적 성질을 바꾸어서 정전기를 감소시키는 작용을 한다.
종래에 사용된 양이온성 화합물은 소량 사용시에는 침전을 형성하지 않고 모발에 정전기 방지효과와 컨디셔닝 효과를 부여할 수 있으나, 사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침전을 형성하거나, 세정력을 저하시켜 염색 후 염색으로 인한 피부오염을 효과적으로 씻어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함께 사용시 일부 양이온 화합물 또는 양이온 중합체의 경우 보관상태에서 상이 분리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그리고, 양이온성 화합물을 사용시 염료의 모발 침착 비율이 높아져 두피 또는 피부의 오염이 더욱 높아지며, 염색 후 모발에 미반응된 염료가 잘 세정되지 않아 모발이 뻣뻣하고 트리트먼트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를 야기하였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의 혼합 사용시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프랑스 공개특허 제2,502,949호에서는 양이온성 화합물을 제2제의 산화제에,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제1제의 염모제에 각각 분리처방하여 안정성을 개선하였고, 사용전에 제1제 및 제2제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제시하였다.
또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와의 침전을 형성하여 세정력의 저하를 극복하기 위하여, 미국특허 제5,441,541호(콜게이트, 1995년 8월 15일)에서는 일반적으로 사 용되는 4급 암모늄염에 친수부를 도입하여 전하가 중화되어 석출되는 현상을 극복하였으며, 유성 오염에 대한 세정력을 향상시키는 것도 제시하였다.
또한,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998-024300호(로레알)에서는 4차 폴리암모늄 양이온성 중합체에, 불포화올레핀계 카르복실산 형태의 친수성 단위 하나 이상 및 불포화 카르복실산 형태의 탄소수 10 내지 30의 알킬 에스테르만의 소수성 단위 하나 이상을 함유하는 음이온성 중합체를 혼합함으로써 사용성 및 염색 효과의 상승을 제시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이 양이온성 화합물이 가지고 있는 장점을 활용하고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예의연구를 한 결과, 신규 4차 폴리암모늄 양이온성 화합물에 음이온성 중합체 및 양이온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염모제 조성물을 개발하여 양이온성 화합물을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 나타나는 문제점들을 극복할 뿐만 아니라, 컨디셔닝 효과가 우수하고 모발에서 염모제액의 제거가 용이하며, 피부 오염이 적고 염색 효과가 오래 지속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모발의 염색 후, 모발 컨디셔닝 효과가 우수하고 색상 지속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염색 후 모발과 두피에 잔류하는 염모제액과 피부오염을 제거하는 데 매우 유용한 염모제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양이온성 화합물;
b) 음이온성 중합체;
c) 양이온성 중합체; 및
d) 케라틴 섬유 염색용 산화 염료
를 포함하는 염모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04030872895-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R2, R3 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또는 동시에 C1 ~C20의 포화 또는 불포화 사슬기, 벤질기, 히드록시에틸기, 또는 에틸렌옥사이드기나 프로필렌옥사이드기가 1 내지 20개 부가된 히드록시에틸기이고;
R4는 C1~C20의 알킬기, 에틸렌옥사이드기나 프로필렌옥사이드기가 1 내지 10개 부가된 알킬기 또는 히드록시기가 1개 이상 결합된 알킬기이고;
n은 1 내지 20의 정수이며;
X는 할로겐족 원소, 설페이트기 또는 아세테이트기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양이온성 화합물은 디아민(diamine) 구조이며, 분자내에 큰 친수기를 포함함으로써 음이온성 중합체와 이온결합가능한 구조를 형성하기 때문에 컨디셔닝 효과를 상승시키고, 염색 후 색상의 지속효과가 뛰어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학식1로 표시되는 양이온성 화합물의 사용 가능한 범위는 0.01 내지 20 중량%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중량%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상기 음이온성 중합체는 다음과 같이 2종으로 나누어진다.
먼저, 음이온성 중합체는 하나 이상의 불포화 올레핀계 카르복실산 형태의 단위 및 하나 이상의 불포화 카르복실산 형태의 탄소수 10 내지 30인 알킬 에스테르의 공중합체로 구성된다. 즉, 음이온성 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공중합체로 구성된다.
상기 불포화 올레핀계 카르복실산의 단위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단량체인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이다.
[화학식 2]
Figure 112004030872895-pat00002
상기 화학식 2에서, R1은 H 또는 CH3를 나타낸다.
상기 불포화 카르복실산의 탄소수 10 내지 20인 알킬 에스테르와 같은 유형 의 단위는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단량체인 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레이트의 탄소수 10 내지 30인 알킬 에스테르 단위이다.
[화학식 3]
Figure 112004030872895-pat00003
상기 화학식3에서, R1은 H 또는 CH3이고, R2는 탄소수 10 내지 30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공중합체를 제조하기 위한 가교화제로는 불포화 결합이 다른 중합성기를 하나 이상 가진 CH2=C기를 함유하는 단량체인 폴리알릴에테르류이며, 예를들어 폴리알릴수크로오스 또는 폴리알릴펜타에리트리톨 등이다.
상기 공중합체로 구성된 음이온성 중합체로는 페물렌 TR1(Pemulen TR1), 페물렌 TR2(Pemulen TR2), 카보폴 1342(Carbopol 1342), 카보폴 1382(carbopol 1382) 또는 카보폴 ETD 2020(Carbopol ETD 2020)의 상품명으로 시판되는 노베온(Noveon)사의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 다른 음이온성 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호모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즉, 화학식 2가 단독으로 가교된 아크릴산 호모중합체 중 알릴릭 알코올에테르로 가교된 것으로, 불포화 결합이 다른 중합성기를 하나 이상 가진 CH2=C기를 함유하는 단량체인 폴리알릴에테르이며, 예를들어 폴리알릴수크로오스 또는 폴리알릴펜타에리트리톨 등이다.
상기 호모중합체로 구성된 음이온성 중합체로는 카보폴 980(Carbopol 980), 카보폴981(Carbopol 981), 카보폴 954(Carbopol 954), 카보폴 2989(Carbopol 2989), 카보폴 5984(Carbopol 5984) 또는 울트레즈 10(Ultrez 10)의 상품명으로 시판되는 노베온(Noveon)사의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음이온성 중합체의 사용 가능한 범위는 0.001 내지 10 중량%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 중량%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상기 양이온성 중합체로는 4급화 암모늄을 함유하는 폴리쿼터늄 시리즈, 예를들어 폴리쿼터늄-4, 폴리쿼터늄-6, 폴리쿼터늄-7, 폴리쿼터늄-10, 폴리쿼터늄-11, 폴리쿼터늄-22, 폴리쿼터늄-28, 폴리쿼터늄-39 또는 폴리쿼터늄-47 등을 들 수 있다.
시판되는 상품명으로는 날코(Nalco)사의 Merquat 100, Merquat 280, Merquat 550, Merquat 2001N, Plus 3330; 아머콜(Amerchol)사의 Ucare polymer JR-400; ISP사의 Gafquat 734, HS-100; 또는 네셔널 스타치(National Starch)사의 Celquat H-100 의 제품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양이온성 중합체의 사용 가능한 범위는 0.01 내지 20 중량%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중량%이다
또한, 본 발명의 염모제 조성물에 사용되는 임의 성분으로는 산화염료, 용제, 산화방지제, 점증제, 알카리제, 금속 봉쇄제, 산화제 그리고 향료 등이 사용된다.
통상 사용이 가능한 산화염료로는 종래 염모제에 사용되고 있는 통상의 산화염료 전구체와 커플러를 포함한다. 상기 산화염료 전구체는 적절한 커플러와 반응하거나 인돌 전구체와 산화축합의 과정을 거쳐 멜라닌 타입의 염료를 생성한다. 또한 색조를 보다 다양하게 하기 위해 직접염료로서, 아조 염료, 안트라퀴논 염료, 벤젠기의 니트로 유도체, 인다민(Indamine), 인도아닐린(indoaniline) 그리고 인도페놀(Indophenol) 등이 사용된다.
상기 산화염료 전구체로는 현재 알려진 대부분의 산화염료 중간체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들면, o-아미노페놀, p-아미노페놀, 염산 톨루엔-2,5-디아민, 염산 p-페닐렌디아민, 톨루엔-2,5-디아민, p-페닐렌디아민, 황산 p-메틸아미노페놀, 황산 o-아미노페놀, 황산 p-아미노페놀, 황산 톨루엔-2,5-디아민, 황산 p-페닐렌디아민 등이 있으며, 이들을 단독 또는 2 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커플러는 2-메칠-5-히드록시에틸 아미노페놀, p-아미노-o-크레솔, m-아미노페놀, 염산 2,4-디아미노페녹시에탄올, 염산 m-페닐렌디아민, m-페닐렌디아민, N-메칠-p-페닐렌디아민, 황산 p-아미노-o-크레졸, 황산 4-에톡시-m-페닐렌디아민, 황산 m-페닐렌디아민, α-나프톨, 레소르신, 2-메틸레소르시놀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상기의 산화염료 전구체와 혼합되어 사용되며 모발에 다양한 색조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산화 염료 중간체 및 커플러를 포함하는 산화염료의 사용 함량은 과산화물과 혼합하기 전의 염모제 조성물에 대하여 0.05 내지 10.0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0.1 내지 5.0 중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수용성 용제로는 에탄올, 프로필 알콜, 이소프로필 알코올, 글리콜, 그리고 프로필렌글리콜, 헥실렌글리콜, 디에칠렌글리콜과 같은 글리콜에테르의 단독 또는 혼합 사용이 가능하다. 사용 가능한 범위는 0.01 내지 20 중량%이며, 0.5 내지 15 중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알카리제로는 pH 6 이상이 가능한 물질로,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암모니아수, 모노에탄올아민 그리고 아미노메칠프로판올 등이 사용 가능하며, 보다 적절한 pH는 6 내지 12의 범위이다.
상기 산화 방지제로는 아스코르빈산, 에리소르빈산, 시스테인하이드로클로라이드, 소듐설파이트 등이 사용 가능하다. 사용 가능한 범위는 0.01 내지 10 중량%이며, 0.1 내지 3 중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 봉쇄제로는 이디티에이(EDTA), 테트라소듐이디티에이, 펜타소듐펜티테이트 등이 사용 가능하다. 사용 가능한 범위는 0.01 내지 5 중량%이며, 0.05 내지 1 중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산화제로는 과산화수소수(35%)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염모성 조성물은 앞서 설명한 화학식 1의 양이온성 화합물, 음이온성 중합체 및 양이온성 중합체를 일정비율로 혼합함으로써 제조된다.
즉, 상기 조성물은 a)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양이온성 화합물, b) 음이온성 중합체 및 c) 양이온성 중합체를 0.1:0.01:0.1 ~ 10:1:10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a)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양이온성 화합물 및 b) 음이온성 중합체와의 중량비가 0.1:0.01 미만인 경우에는 컨디셔닝 효과를 보기 어려우며, 중량비가 10:1을 초과하여 양이온성 화합물을 혼합하면 사용감이 떨어뜨린다.
본 발명에 있어서, a)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양이온성 화합물 0.1 내지 10 중량%, b) 음이온성 중합체 0.01 내지 5 중량% 및 c) 양이온성 중합체 0.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염모제 조성물은 모발의 염색 후, 모발 컨디셔닝 효과가 우수하고 색상 지속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염색 후 모발과 두피에 잔류하는 염모제액과 피부오염을 제거하는 데 있어 매우 유용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로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4 비교예 1 내지 6>
표 1및 표 2와 같은 중량부의 조성비율로 염모제 제1제를 제조하고, 표 3의 산화제 제2제를 제조하였다.
표1 및 표2의 염모제는 원료 1~8을 유상으로 75~80℃에서 가온 용해하고 원료 9-17 및 원료 21을 수상으로 75~80℃에서 가온 용해하여, 수상과 유상을 동일 온도에서 혼합 유화한 후, 45℃로 냉각하여 나머지 원료 18~20을 추가하고 균일하게 혼합 교반하여 제조하였다.
표3의 산화제는 원료 1~7을 유상으로 75~80℃에서 가온 용해하고 원료 8, 원료 11을 수상으로 75~80℃에서 가온 용해하여 수상과 유상을 동일 온도에서 혼합 유화한 후, 45℃로 냉각하여 나머지 원료 9, 원료 10을 추가하고 균일하게 혼합 교반하여 제조하였다.
표 1 및 표 2의 염모제에 함유된 양이온성 화합물로는, 하기 화학식 1a의 양 이온성 화합물에서 n이 6, R이 탄소수 12의 알킬기인 것을 사용하였다. 이때, 양이온성 화합물은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03-0012760호에 기재된 반응식 1 또는 반응식 2의 방법에 의해 제조하였고, X는 할로겐족 원소, 설페이트기 또는 아세테이트기일 수 있다.
[화학식 1a]
Figure 112004030872895-pat00004
No 원료명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1 세토스테아릴알코올 9.5 9.5 9.5 9.5
2 올레인산 0.5 0.5 0.5 0.5
3 글리콜디스테아레이트 1.0 1.0 1.0 1.0
4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 1.5 1.5 1.5 1.5
5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2.5 2.5 2.5 2.5
6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 1.5 1.5 1.5 1.5
7 베헨트리모늄클로라이드 2.0 2.0 2.0 2.0
8 스테아트리모늄클로라이드 - 2.0 - -
9 Acrylates/C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 - - - -
10 카보머 - - - -
11 Bis-Ammonium chloride
(화합물 1a)
- - - -
12 폴리쿼터늄-22 - - 2.0 -
13 폴리쿼터늄-6 - - - 2.0
14 프로필렌글라이콜 5.0 5.0 5.0 5.0
15 아황산나트륨 적량 적량 적량 적량
16 아스코르빈산 적량 적량 적량 적량
17 산화염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18 암모니아수 6.0 6.0 6.0 6.0
19 모노에탄올아민 1.0 1.0 1.0 1.0
20 조합향 적량 적량 적량 적량
21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No 원료명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1 세토스테아릴알코올 9.5 9.5 9.5 9.5 9.5 9.5
2 올레인산 0.5 0.5 0.5 0.5 0.5 0.5
3 글리콜디스테아레이트 1.0 1.0 1.0 1.0 1.0 1.0
4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 1.5 1.5 1.5 1.5 1.5 1.5
5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2.5 2.5 2.5 2.5 2.5 2.5
6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 1.5 1.5 1.5 1.5 1.5 1.5
7 베헨트리모늄클로라이드 - - - - - -
8 스테아트리모늄클로라이드 - - - - - -
9 Acrylates/C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 0.4 0.4 0.4 - - -
10 카보머 - - - 0.4 0.4 0.4
11 Bis-Ammonium chloride
(화합물 1a)
2.0 2.0 2.0 2.0 2.0 2.0
12 폴리쿼터늄-22 - 2.0 - - 2.0 -
13 폴리쿼터늄-6 - - 2.0 - - 2.0
14 프로필렌글라이콜 5.0 5.0 5.0 5.0 5.0 5.0
15 아황산나트륨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16 아스코르빈산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17 산화염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18 암모니아수 6.0 6.0 6.0 6.0 6.0 6.0
19 모노에탄올아민 1.0 1.0 1.0 1.0 1.0 1.0
20 조합향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21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No 원료명 함량
1 세토스테아릴알코올 3.5
2 에틸헥실팔미테이트 0.5
3 파라핀 1.0
4 경질유동이소파라핀 1.5
5 코코아미드디이에이 0.5
6 폴리옥시에칠렌세틸에텔 1.5
7 페나세틴 적량
8 EDTA 2Na 적량
9 인산 적량
10 과산화수소수(35%) 17.0
11 정제수 To 100
<시험예 1> 모발 컨디셔닝 및 염색 지속 효과 검토
염색 시험은 표 1 내지 표 2의 염모제와 표 3의 산화제를 동일 함량의 비율로 혼합하고 모발 또는 울포 등에 도포하고 약 30분간 방치 후, 흐르는 물에 혼합액을 헹구어 내었다.
염모제에 있어 모발 컨디셔닝 효과를 비교 실시하였다. 통상의 양이온성 화 합물로 베헨트리모늄클로라이드 또는 스테아트리모늄클로라이드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비교예와 본 발명에 따른 양이온성 화합물[화학식 1a], 음이온성 중합체 및 양이온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염모제 조성물인 실시예로 구분하여 비교하였다.
임의로 여자 50명을 선별하고, 다시 각각 5명씩 10집단으로 나누었다. 비교예에 따른 통상의 양이온 화합물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즉, 양이온성 화합물[화학식 1a], 음이온 중합체 및 양이온성 중합체를 함유하는 조성물로 각각 염색을 한 후 모발의 컨디셔닝 효과를 관찰하였고, 1개월 경과 후 염색 색상의 지속력을 비교 관찰하였다. 모발의 컨디셔닝 효과 및 염색 지속력의 관찰은 임의로 선정된 5명의 전문가 집단을 통해 관능으로 평가되었다. 평가 기준은 하기 표 4와 같고, 전문가 집단에 의한 모발 컨디셔닝 효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젖은 상태 평점 마른 상태
매우 매끄럽다 5 매우 매끄럽다
매끄럽다 4 매끄럽다
보통이다 3 보통이다
손에 약간 걸림 2 거칠다
손에 심하게 걸림 1 매우 거칠다
구 분 젖은 상태 마른 상태
비교예 1 2.8 2.5
비교예 2 2.7 3.1
비교예 3 2.9 2.9
비교예 4 3.0 2.9
실시예 1 3.8 3.6
실시예 2 4.2 4.1
실시예 3 4.2 4.0
실시예 4 3.8 3.7
실시예 5 4.3 4.1
실시예 6 4.2 4.0
평가 기준에 의거한 전문가 패널 집단을 통한 모발 컨디셔닝의 평가 결과, 상기 표 5와 같이 통상의 양이온성 화합물을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에 해당하는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4에 비해, 본 발명에 따른 양이온성 화합물[화학식 1a] 음이온성 중합체 및 양이온성 중합체를 사용하는 염모제 조성물을 사용한 실시예 1내지 실시예6에서 모발의 컨디셔닝 효과가 상승하였다. 특히, 실시예 중 양이온성 화합물[화학식 1a] 이외에 추가의 양이온성 중합체를 사용한 실시예 2 내지 3 및 실시예 5 내지 6의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 모발의 컨디셔닝 효과가 더욱 상승하였다.
그리고 약 1개월 경과 후 염색 지속력 평가 시험을 한 결과, 하기 표 6과 같이 실시예의 경우 비교예에 비해 색상이 보다 선명하게 남아 있으며, 양이온성 화합물[화학식 1a] 이외에 추가의 양이온성 중합체를 사용한 경우 색상이 더욱 더 선명하게 남아 유지되었다. 이때, 표 6에서 ◎는 물빠짐 후에도 색상 차이 적음, ○는 색상 차이 다소 있음, △는 색상 차이 심함을 의미한다.
구 분 염색 지속력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시험예 2> 세정력 시험
염모제에 있어 세정력을 비교 실시하였다.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세정력이란 염색 후 모발에 남아있는 제1제 및 제2제의 염모제 혼합액이 잘 헹구어지고 모발의 표면에 남아있는 산화염료가 잘 제거되는 것을 의미한다.
통상의 양이온 화합물을 함유하는 표1의 염모제와, 본 발명에 따른 양이온성 화합물[화학식 1a], 음이온성 중합체 및 양이온성 중합체을 함유하는 표2의 염모제를 각각 제조하여, 표 3의 산화제와 동일 함량의 비율로 잘 혼합하여 울포에 염색을 하고, 30분 후 흐르는 물에 1분간 잘 헹군 다음 측색을 하였다.
그리고 다음과 같이 세정력 시험을 목적으로 샴푸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40℃의 소듐 라우레스 설페이트(Sodium Laureth Sulfate, SLES) 1% 용액에 담가 10분간 방치한 후 꺼내 다시 흐르는 물에 잘 헹구어 내고 건조기에 넣어 건조처리 후 색차계를 이용하여 측색(L,a,b, △E)을 하였다. 실제 색차의 차이는 △E의 값으로 해석하였다.
상기과정을 5회 반복 처리 실시하였다. 측색은 각각 3회 실시하여 평균값을 구하였고, △E값으로 표현하였다. 이때, △E값은 물빠짐 전후의 모발 색상 차이를 의미한다.
세정력 실험 결과는 하기 표 7과 같다. 초기 1회 및 5회 세정력 실험시 실시예 1과 같이 양이온성 화합물[화학식 1a], 음이온 중합체 및 양이온성 중합체을 사용하는 염모제 조성물인 실시예가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4의 통상의 양이온 화합물을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색상의 차이가 보다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양이온성 화합물[화학식 1a], 음이온성 중합체 및 양이온성 중합체를 사용하는 경우, 염색 후 혼합액을 세정할 때 울포의 표면 위에 남아있는 미반응의 염료 및 울의 내부까지 침투되지 못한 염료들이 쉽게 헹구어지며 따라서 샴푸액의 세정력 시험시에는 시험 전후의 색차의 차이가 적게 나타난 것인 반면, 비교예와 같이, 양이온 화합물을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에는 염색 후 염료가 잘 헹구어지지 못해 초기 1회 및 5회 샴푸 시험시 색상 차이가 보다 크게 발생한 것이다.
시험예 샴푸 1회
(샴푸전과 차이)
샴푸 5회 (샴푸1회와 차이) 염색 지속력
(샴푸5회 후)
비교예1 13 25 ×
비교예2 13 24
비교예3 14 26
비교예4 15 25
실시예1 9 16
실시예2 8 14
실시예3 8 15
실시예4 10 16
실시예5 9 15
실시예6 8 15
또한, 표 7에 의하면 실시예 1내지 실시예6의 염모제 조성물에서 비교예에 비해 색상이 더욱 남아있으며, 특히 추가의 양이온성 중합체를 함유하는 염모제 조성물에서는 색상이 더욱더 남아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때, 표 7에서 ◎는 물빠짐 후에도 색상 차이 적음, ○는 색상 차이 다소 있음, △는 색상 차이 심함, ×는 색상 차이 매우 심함을 의미한다.
<시험예 3> 피부오염 감소 효과 검토
염모제에 있어 피부오염 감소 효과를 검토하였다. 제1제 및 제2제의 혼합액을 준비하고 임의로 선정된 5명의 전문가 패널집단의 팔에 혼합액을 도포 후 약 20분 후에 비누로 2회 세척하여 피부의 오염도를 관능평가 하였다. 비교예와 실시예 중 각각 2개씩을 선정하여 실시하였다.
구 분 비교예 1 비교예 3 실시예 1 실시예 2
피부오염 감소
그 결과, 표 8과 같이 비교예1 또는 비교예 3는 잘 안 지워지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2에서는 용이하게 지워지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이때, 표 8에서 ◎는 용이하게 지워짐, ○는 다소 남아있음, △는 잘 안 지워짐을 의미한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이온성 화합물, 음이온성 중합체 및 양이온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염모제 조성물은 염색 후 모발에 우수한 컨디셔닝 효과와 염색 색상을 오랫동안 지속시키는 효과를 부여할 뿐 아니라, 세정력이 뛰어나므로 염색 후 모발의 표면에 잔류하는 염료와 두피에 염색된 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Claims (7)

  1. a)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양이온성 화합물;
    b)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공중합체, 또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호모중합체인 음이온성 중합체;
    c) 폴리쿼터늄-4, 폴리쿼터늄-6, 폴리쿼터늄-7, 폴리쿼터늄-10, 폴리쿼터늄-11, 폴리쿼터늄-22, 폴리쿼터늄-28, 폴리쿼터늄-39 또는 폴리쿼터늄-47인 양이온성 중합체; 및
    d) 케라틴 섬유 염색용 산화 염료
    를 포함하는 염모제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1023722002-pat00005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또는 동시에 C1~C20의 포화 또는 불포화 사슬기이고;
    R2, 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또는 동시에 히드록시에틸기, 또는 에틸렌옥사이드기나 프로필렌옥사이드기가 1 내지 20개 부가된 히드록시에틸기이고;
    R4는 에틸렌옥사이드기나 프로필렌옥사이드기가 1 내지 10개 부가된 알킬기 또는 히드록시기가 1개 이상 결합된 알킬기이고;
    n은 1이며;
    X는 할로겐족 원소, 설페이트기 또는 아세테이트기이고
    [화학식 2]
    Figure 112011023722002-pat00006
    상기 화학식 2에서, R1은 H 또는 CH3를 나타냄.
    [화학식 3]
    상기 화학식 3에서, R1은 H 또는 CH3이고, R2는 탄소수 10 내지 30의 알킬기를 나타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중합체가 아크릴레이트, 탄소수 10 내지 30의 알킬기 아크릴레이트 크로스 폴리머, 또는 카보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모제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중합체가 페물렌 TR1, 페물렌 TR2, 카보폴 1342, 카보폴 1382, 카보폴 ETD 2020, 카보폴 980, 카보폴981, 카보폴 954, 카보폴 2989, 카보폴 5984, 또는 울트레즈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모제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a)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양이온성 화합물, b) 음이온성 중합체 및 c) 양이온성 중합체를 0.1:0.01:0.1 ~ 10:1:10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모제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a)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양이온성 화합물 0.1 내지 10 중량%, b) 음이온성 중합체 0.01 내지 5 중량% 및 c) 양이온성 중합체 0.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모제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d) 케라틴 섬유 염색용 산화 염료 0.1내지 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모제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성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a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모제 조성물.
    [화학식 1a]
    Figure 112011023722002-pat00008
    상기 화학식 1a에서, n은 6이며, R은 탄소수 12의 알킬기이며, X는 할로겐족 원소, 설페이트기 또는 아세테이트기임.
KR1020040054324A 2004-07-13 2004-07-13 양이온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염모제 조성물 KR1010803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4324A KR101080337B1 (ko) 2004-07-13 2004-07-13 양이온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염모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4324A KR101080337B1 (ko) 2004-07-13 2004-07-13 양이온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염모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7079A KR20060007079A (ko) 2006-01-24
KR101080337B1 true KR101080337B1 (ko) 2011-11-04

Family

ID=37118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4324A KR101080337B1 (ko) 2004-07-13 2004-07-13 양이온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염모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03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89071B (zh) * 2016-09-27 2022-03-15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毛发护理组合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7079A (ko) 2006-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97275C (fr) Composition anhydre de decoloration des fibres keratiniques comprenant l&#39;association de polymeres amphiphiles anioniques et/ou non ioniques comportant au moins une chaine grasse et de polymeres substantifs cationiques ou amphoteres
JP5850582B2 (ja) 過酸化水素または過酸化水素供与性物質を含む組成物
FR2940094A1 (fr) Composition cosmetique detergente comprenant quatre tensioactifs, un polymere cationique et un sel de zinc
BE897961A (fr) Composition de nettoyage doux
DE102008036957A1 (de) Mattierungsadditiv für Blondierungen
JP5561889B2 (ja) 活性酸素ラジカル除去用組成物およびこれを含有する毛髪用活性酸素ラジカル除去剤
GB2259717A (en) Hair dye composition
TW201600117A (zh) 染毛劑組合物
DE10163803A1 (de) Farberhaltung
FR2569716A1 (fr) Compositions de detergent-assouplissant pour cycle de lavage et dont l&#39;assouplissant a une plus grande affinite pour les tissus
KR101080337B1 (ko) 양이온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염모제 조성물
KR101082601B1 (ko) 산화 영구 염모제 조성물
EP0547790B1 (en) Dye composition for Keratinous fibers
US9028563B2 (en) Foam-type hair dye composition for improving hair softness without dripping
KR20070074744A (ko) 양이온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염모제 조성물
FR2846233A1 (fr) Emulsion creme oxydante, huile-dans-eau, pour le traitement des fibres keratiniques humaines
FR2610194A1 (fr) Composition pour le lavage et le conditionnement de la chevelure en une seule application
EP1294343B1 (de) Mittel zur oxidativen farbveränderung keratinischer fasern ein verdickungssystem enthaltend
FR3060371A1 (fr) Agent colorant pour cheveux sous forme de creme
US20230036777A1 (en) Tinting conditioner having improved dyeing performance
FR2848109A1 (fr) Compositions oxydantes contenant un melange de polymeres dont au moins un copolymere a base d&#39;acide acrylique ou d&#39;acrylate d&#39;alkyle eventuellement hydroxyle et d&#39;acide 2-acrylamido-2-methylpropane sulfonique
EP1787683A2 (de) Wasserfreie Zusammensetzungen und daraus herstellbare Mittel
JPH05238923A (ja) 染毛剤組成物
KR20060014315A (ko) 산화 영구 염모제 조성물
WO2009027454A2 (fr) Composition de traitement de fils ou fibres d&#39;articles texti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