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8940B1 - 분무기 - Google Patents

분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8940B1
KR101078940B1 KR1020090064096A KR20090064096A KR101078940B1 KR 101078940 B1 KR101078940 B1 KR 101078940B1 KR 1020090064096 A KR1020090064096 A KR 1020090064096A KR 20090064096 A KR20090064096 A KR 20090064096A KR 101078940 B1 KR101078940 B1 KR 1010789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ody
injection
suction pipe
contents
s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4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6458A (ko
Inventor
김양권
Original Assignee
김양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양권 filed Critical 김양권
Priority to KR1020090064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8940B1/ko
Publication of KR20110006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64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8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89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89Dispensing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40Filters located upstream of the spraying outlets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 내의 액체 충전물을 분무하도록 하는 분무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분무기와 연결된 흡입관의 말단부에 솔을 장착하여, 분무기용도와 더불어 용기 내의 액체 충전물을 직접 바를 수 있도록 한 솔이 내장된 분무기에 관한 것으로,
용기 본체(1)의 상단 주입구(2)에 분사노즐(3)이 내장된 분사헤드(4)를 분사캡(5)으로 나사 고정하고, 상기 분사헤드(4)에 흡입관(6)을 연결하여 용기 본체(1)의 내부로 진입하도록 구성한 통상의 분무기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6)을 외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하고, 하단부에 솔(7)을 장착하여 구성한 분무기를 제공하여, 용기 본체의 내용물을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분무기로 분사할 때 분무량을 최소화하여 내용물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용기 본체, 분사노즐, 분사헤드, 흡입관

Description

분무기{Spray}
본 발명은 용기 내의 액체 충전물을 분무하도록 하는 분무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분무기와 연결된 흡입관의 말단부에 솔을 장착하여, 분무기용도와 더불어 용기 내의 액체 충전물을 직접 바를 수 있도록 한 솔이 내장된 분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기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분무기는, 용기에 충전된 액체를 미세한 입자로 분사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즉, 용기 내부에 다양한 용도의 약제나 살충제, 접착제, 화장품, 향수, 간단한 용도의 속성응고제 등이 충전되고, 이 액체를 미세입자로 분사하여 단시간 내에 넓은 면적에 도포하도록 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접착제나 액체상의 화공약품을 분사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분무기의 경우, 인체에 유해한 화공약품이 신체에 접촉되지 않아야 하므로, 분무기의 사용은 필수사항인 것이다.
이러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 분무기는 첨부 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본체(10)의 상부 주입구(11)에 분사노즐(12)이 장착된 분사헤드(13)가 분사캡(14)에 의해 주입구(11)에 체결되고, 상기 분사노즐(12)과 연결되는 흡입관(15)이 용기 본체(1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장착한 구성의 분무기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구성의 종래 분무기는, 용기 본체(10)에 유입되어 분사노즐(12)과 연결된 흡입관(15)의 길이가 용기 본체(10)의 저면까지 닿지 못하므로, 항상 소량의 내용물이 남은 상태에서 벼려 지게 되는 단점이 발생하는 것이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여 용기 본체의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을 모두 소진하기 위해서는 면봉을 이용하여 내용물을 흡수 사용하거나, 솔을 이용하여 묻혀내는 수단으로 내용물을 모두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용기 본체(10)의 내부에 주입구(11)를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용기 본체(10)의 내용물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부분적으로 응고되어 응고결정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응고결정의 발생은, 분사헤드(13)를 가압하여 분사노즐(14)을 통해 내용물을 분사하는 경우, 흡입관(15)을 통해 유입되어 부사노즐(14)을 막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내용물에 혼합된 이물질이나 응고결정에 의해 분사노즐(14)이 막히는 경우, 용기 본체(10)의 내용물을 모두 소진하지 않은 상태에서 방치되거나 바로 폐기처분하게 되는 단점이 발생하였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분무기가 가진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첫째, 용기 본체 내부에 충전된 액체상의 내용물을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 과,
둘째, 용기 본체내의 내용물을 분사하여 광범위하게 분사하거나, 국부적으로 바를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 과,
셋째, 용기 본체 내부의 내용물을 분사할 때, 분사량을 최소화하여 내용물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 것; 과,
넷째, 용기 본체 내부로 투입된 이물질에 의해 분무노즐의 막힘을 방지할 것; 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용기 본체의 상단에 장착된 분무기와 연결된 흡입관의 말단부에 솔을 장착하여, 용기 본체 내부의 내용물을 넓은 면적에 분사하도록 하고, 상황에 따라 솔을 이용하여 협소한 면적에 바를 수 있도록 하여 해결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솔이 장착되는 흡입관을 경사지게 형성하여 용기 본체 내부의 구석진 부분에까지 다다를 수 있도록 흡입관의 길이를 연장형성하여 구성하여, 용기 본체의 모서리 부분이 잔존하는 적은 양의 내용물이라도 모두 흡입하여 분사 또는 도포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분무기는, 용기 본체에 저장된 액체 내용물을 분사노즐을 이용하여 광범위하게 분사할 수 있는 특징과 함께, 솔을 이용하여 좁은 면적에도 내용물을 바를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용기 본체에 저장된 내용물을 완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용기 본체에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내용물이 응고되어 결정이 발생하여도, 흡입관의 말단에 장착된 솔이 필터역할을 수행하게 됨에 따라 분사노즐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효과를 나타내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을 첨부도면을 인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 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조립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솔의 확대단면도이다.
용기 본체(1)의 상단 주입구(2)에 분사노즐(3)이 내장된 분사헤드(4)를 분사캡(5)으로 나사 고정하고, 상기 분사헤드(4)에 흡입관(6)을 연결하여 용기 본체(1) 의 내부로 진입하도록 구성한 통상의 분무기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6)을 경사지게 구성하고, 하단부에 솔(7)을 장착하여 구성한 분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흡입관(6)을 일자형으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흡입관(6)의 말단부에 장착되는 솔(7)은, 합성수지 실(7a)을 여러 가닥 합체한 후 '∩'형으로 절곡하고, 그 절곡부 선단의 근접한 위치를 체결링(8)으로 체결하여 솔(7)을 구성하고, 이 솔(7)을 흡입관(6)의 말단부에 강제 삽입하여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은, 분무기로 사용하기 위해 분사헤드(4)를 가압하면, 용기 본체(1)의 내부에 유입된 흡입관(6)을 통해 액체 내용물이 흡입되어 분사되는 것이다.
상기 흡입관(6)의 하단부에 내장된 솔(7)은 합성수지재 실(7a)로 구성하여 체결링(8)으로 고정한 것이므로, 각 실(7a)과 실(7a) 사이에 여유공간(t)이 형성되게 마련이고, 이 여유공간(t)을 통하여 액체 내용물이 흡입되어 분사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흡입관(6)을 통해 흡입되는 내용물의 양이 솔(7)에 의해 적절하게 제어되므로 종래의 분무기를 통해 분사되는 양보다 적게 분사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용기 본체(1)에 충전된 내용물을 절약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부가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즉, 솔(7)에 의해 흡입관(6)의 말단부가 협소해지므로 흡입되는 내용물의 양 이 적어지게 되고, 이에 의해 분사되는 내용물의 분사량이 줄어들게 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또한, 용기 본체(1)의 내용물이 충분히 사용되어 흡입관(6)의 하단부 이하로 수면이 위치하게 되는 경우에도, 분사헤드(4)를 가압하는 순간, 솔(7)을 통한 모세관현상이 유발되어 흡입관(6)이 닿지 않은 바닥부분의 내용물을 흡입하여 분사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가장 특징적인 부분은, 솔(7)을 구성하는 수단에 있는바, 합성수지재 실(7a)을 여러 가닥 합체한 후, 체결링(8)으로 묶어서 솔(7)을 만들게 되는데, 이때 실(7a)을 체결링(8)으로 체결할 때 과도하게 가압하여 체결하게 되면 실(7a)과 실(7a) 사이에 여유공간이 발생하지 않을 염려가 있다.
따라서, 첨부 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7a)을 체결링(8)으로 묶어주는 경우, 실(7a)이 이탈하지 않을 정도로 여유있게 묶어주어, 각 실(7a)과 실(7a) 사이에 여유공간(t)이 생기도록 하여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여유공간(t)은 용기 본체(1)의 액체 내용물을 흡입하는 통로 역할을 하게 되며, 아울러 용기 본체(1)의 내부에 이물질이 투입되었을 경우, 이물질이 여유공간(t)에 걸리게 되는 필터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필터작용에 의해 분사노즐(3)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용기 본체(1)의 내용물을 부분적으로 도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용기 본체(1)의 주입구(2)에서 분사캡(5)을 분리한 후, 흡입관(6)의 말단부에 장착된 솔(7)을 이용하여 내용물을 국부적으로 직접 도포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6)은, 첨부 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지게 형성하여 그 말단부에 솔(7)을 장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즉, 솔(7)의 끝이 용기 본체(1)의 내부 모사리 근접한 위치에 도달하도록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용기 본체(1)에 충전된 내용물을 모두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첨부 도면 도 5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관(6)의 말단부가 솔(7)에 의해 협소해짐에 따라 충분한 양의 내용물이 흡입되는 것을 방해받을 수 있는바, 내용물의 흡입량을 최대한으로 하기 위한 수단으로 흡입관(6)의 말단에 결합된 솔(7)의 상측에 흡입공(9)을 관통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흡입공(9)의 구성은, 용기 본체(1)에 저장된 내용물을 충분히 흡입하여 분사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내용물의 흡입효과를 확대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첨부 도면 도 5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솔(7)의 중심부에 보조흡입관(9a)을 장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솔(7)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장착된 보조흡입관(9a)의 상단은 솔(7)의 상단부와 동일한 위치로 하고, 하단부는 솔(7)의 하단에서 소폭으로 진입한 위치에 이르도록 그 길이를 조절하여 장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보조흡입관(9a)을 솔(7)의 중앙부에 장착하는 수단은, 내용물을 최소한의 양까지 흡입할 수 있는 기능을 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흡입관(7)에 솔(7)을 장착하는 수단은, 본원 발명을 기초로 하여 동종업에 종사하는 자에 의해 다양한 설계변경을 통하여 실시가 가능할 것이나, 이러한 솔의 장착수단의 변경은 본원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조립단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확대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5 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5 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확대단면도
도 6은 종래의 분무기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용기 본체
2 ; 주입구
3 : 분사노즐
4 : 분사헤드
5 : 분사캡
6 : 흡입관
7 : 솔
8 : 체결링
9 : 흡입공
9a : 보조흡입관

Claims (5)

  1. 용기 본체(1)의 상단 주입구(2)에 분사노즐(3)이 내장된 분사헤드(4)를 분사캡(5)으로 나사 고정하고, 상기 분사헤드(4)에 흡입관(6)을 연결하여 용기 본체(1)의 내부로 진입하도록 구성한 통상의 분무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1) 내의 액체 충전물 잔량이 남지 않도록 모두 소모하는 기능을 비롯해, 상기 액체 충전물에 대한 필터작용에 의해 분사노즐(3)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과, 액체 충전물을 국부적으로 직접 바르는 기능, 및 상기 액체 충전물을 분사할 때 분사량을 최소화하여 절약하는 기능 모두를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흡입관(6) 하단부에 솔(7)을 장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솔(7)은 다수의 합성수지재 실(7a)을 '∩'형으로 절곡하고, 절곡부를 체결링(8)으로 성기게 체결하여, 실(7a)과 실(7a) 사이에 여유공간(t)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
  4. 삭제
  5. 삭제
KR1020090064096A 2009-07-14 2009-07-14 분무기 KR1010789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4096A KR101078940B1 (ko) 2009-07-14 2009-07-14 분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4096A KR101078940B1 (ko) 2009-07-14 2009-07-14 분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458A KR20110006458A (ko) 2011-01-20
KR101078940B1 true KR101078940B1 (ko) 2011-11-01

Family

ID=43613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4096A KR101078940B1 (ko) 2009-07-14 2009-07-14 분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89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259Y1 (ko) * 2014-10-07 2015-05-28 이은식 향 발산 겸용 분무기
JP7026377B2 (ja) * 2017-07-28 2022-02-28 日新産商株式会社 化粧液用携帯容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76308B1 (en) 2002-06-12 2004-08-17 Dave D. Davis Apparatus with multiple paint intakes
KR200366850Y1 (ko) 2004-08-20 2004-11-06 임상수 가정용 분무기
KR200396402Y1 (ko) 2005-07-06 2005-09-21 주식회사 태평양 펌프식 용기의 잔량 방지용 딥튜브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76308B1 (en) 2002-06-12 2004-08-17 Dave D. Davis Apparatus with multiple paint intakes
KR200366850Y1 (ko) 2004-08-20 2004-11-06 임상수 가정용 분무기
KR200396402Y1 (ko) 2005-07-06 2005-09-21 주식회사 태평양 펌프식 용기의 잔량 방지용 딥튜브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458A (ko) 2011-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5770B1 (ko) 비강세척수 분사용기
FI111809B (fi) Laite säilytysainevapaiden nenäsumutteiden ja vastaavien valmisteiden annostelemiseksi
KR101078940B1 (ko) 분무기
JP2006205033A (ja) トリガー噴射装置のアタッチメント、トリガー噴射装置、および噴射器
EA038678B1 (ru) Доз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с шарнирно-сочлененной дозирующей трубкой
CN208426462U (zh) 香熏净化机
KR100979592B1 (ko) 비강 세척용 약액분사장치
CN105963853B (zh) 药剂喷洒器
JP3057561U (ja) 手持ち式噴霧器
CN209865000U (zh) 一种咽喉喷管装置
JP2004097906A (ja) 洗浄用スプレーの噴霧ノズル装置
KR200151755Y1 (ko) 비강 세척기
CN205514968U (zh) 一种新型创面清洗装置
CN212439622U (zh) 一种雾化器
JP2001097414A (ja) 容器の口部の構造
JP2003083187A (ja) 燃料タンク
JPH0353735Y2 (ko)
CN215083630U (zh) 一种改良型雾化器
KR102084839B1 (ko) 분사식 주사기
JP2007020687A (ja) 染毛用マスキング装置
CN220938771U (zh) 一种口腔护理喷雾仪
JP7385797B1 (ja) 噴霧式目薬容器セット
JP2004016833A (ja) 浸潤用噴射ボタン
JPH0811957A (ja) 液体噴出容器
KR20060092480A (ko) 액약 분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