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8920B1 - 무단개폐 방지용 잠금 기능 맨홀 뚜껑 - Google Patents

무단개폐 방지용 잠금 기능 맨홀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8920B1
KR101078920B1 KR1020110085188A KR20110085188A KR101078920B1 KR 101078920 B1 KR101078920 B1 KR 101078920B1 KR 1020110085188 A KR1020110085188 A KR 1020110085188A KR 20110085188 A KR20110085188 A KR 20110085188A KR 101078920 B1 KR101078920 B1 KR 1010789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manhole
lock
head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5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효상
Original Assignee
실리기업 주식회사
삼화주철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실리기업 주식회사, 삼화주철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실리기업 주식회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8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89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E02D29/1481Security devices, e.g. indicating unauthorised op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4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resilient or elastic
    • E02D2200/146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99/00Subject-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잠금 기능을 가지는 맨홀 및 이에 포함된 맨홀 뚜껑에 관한 것이다. 잠금 장치가 맨홀 뚜껑에 결합된 맨홀 뚜껑 구조물은 제 1 홀이 형성된 맨홀 뚜껑 및 상기 제 1 홀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맨홀 뚜껑에 결합되는 잠금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잠금 장치는 상기 제 1 홀로 삽입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단부에 형성된 헤드부, 상기 몸체부의 하단부에 형성된 잠금 결합부 및 상기 잠금 결합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열된 잠금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잠금부에는 제 2 홀이 형성되어 상기 잠금 결합부가 상기 잠금부의 제 2 홀로 삽입되며, 제 1 잠금 상태 변화 기구를 이용하여 상기 헤드부, 상기 몸체부 및 상기 잠금 결합부를 중력 반대 방향으로 상승시킨 상태에서 제 2 잠금 상태 변화 기구로 상기 헤드부를 회전시켜서 상기 맨홀의 잠금 상태를 변화시킨다.

Description

무단개폐 방지용 잠금 기능 맨홀 뚜껑{MANHOLE COVER HAVING LOCKING STRUCTURE FOR PREVENTING OPENING AND CLOSING THE COVER WITHOUT PERMISSION}
본 발명은 잠금 기능을 가지는 맨홀 및 이에 포함된 맨홀 뚜껑에 관한 것이다.
현재, 우리 나라에는 전력 케이블, 통신 케이블 등 다양한 케이블들의 설치, 보수 및 관리를 위한 아래의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많은 맨홀들이 존재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맨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맨홀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맨홀 본체(100)는 지중에 매설되고, 맨홀 뚜껑(102)이 맨홀 본체(100) 중 지지부(110) 상에 놓이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잠금 기능이 구현되어 있지 않아서 누구든지 맨홀을 임의로 개방할 수 있어서 케이블 도난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잠금 기능을 가지는 맨홀 및 이에 포함된 맨홀 뚜껑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별한 기구를 이용하지 않는 한 맨홀이 임의로 개방되지 않도록 상기 기구를 이용하여야만 동작하는 잠금 장치 및 상기 잠금 장치를 맨홀 뚜껑에 설치함에 의해 형성된 맨홀 뚜껑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의 맨홀 본체로 안착되는 맨홀 뚜껑 구조물은 제 1 홀이 형성된 맨홀 뚜껑; 및 상기 제 1 홀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맨홀 뚜껑에 결합되는 잠금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잠금 장치는 상기 제 1 홀로 삽입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단부에 형성된 헤드부; 상기 몸체부의 하단부에 형성된 잠금 결합부; 및 상기 잠금 결합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열된 잠금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잠금부에는 제 2 홀이 형성되어 상기 잠금 결합부가 상기 잠금부의 제 2 홀로 삽입되며, 제 1 잠금 상태 변화 기구를 이용하여 상기 헤드부, 상기 몸체부 및 상기 잠금 결합부를 중력 반대 방향으로 상승시킨 상태에서 제 2 잠금 상태 변화 기구로 상기 헤드부를 회전시켜서 상기 맨홀의 잠금 상태를 변화시킨다. 상기 제 1 잠금 상태 변화 기구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 상에 결합되는 상태 변화부; 및 상기 몸체부 상에 체결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상태 변화부의 중앙에는 제 3 홀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가 상기 제 3 홀로 삽입되며, 상기 몸체부의 하부 종단 부분은 다른 부분보다 넓은 폭을 가지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몸체부의 상단 부분에 체결되며, 상기 상태 변화부는 상기 손잡이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부 종단 부분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상태 변화부의 하부 종단에는 적어도 하나의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부의 외측면과 상기 손잡이부의 내측면에는 각기 나사산이 형성되어 맞물리고, 상기 손잡이부를 회전시키면 상기 손잡이부가 상기 몸체부 상에서 상하로 이동하며, 상기 손잡이부가 상기 몸체부의 하부 종단을 향하여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절개부가 벌어지면서 상기 상태 변화부가 상기 몸체부 중 폭이 넓은 하단 종단 부분 위로 배열되고, 상기 잠금 장치의 헤드부, 상기 몸체부 및 상기 잠금 결합부를 통하여 요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잠금 상태 변화 기구가 상기 요부로 삽입되어 밀착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맨홀의 잠금 장치는 맨홀 뚜껑에 결합되어 맨홀 뚜껑 구조물을 형성하며, 상기 잠금 장치는 특별한 기구, 즉 잠금 상태 변화 기구들을 이용하지 않는 한 임의로 개방되지 않는다. 즉, 상기 맨홀의 잠금을 해제하도록 특별하게 제조된 잠금 상태 변화 기구들을 이용하지 않는 한 타인의 임의 개방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잠금 상태 변화 기구는 관리자만이 소지하고 있고 타인이 임의로 모방할 수 없으므로, 관리자 외의 타인은 상기 맨홀을 임의로 개방할 수 없다.
도 1은 일반적인 맨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맨홀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I′라인을 따라 절취된 맨홀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 상태를 해제할 때의 맨홀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 상태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 장치의 분해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잠금 상태 변화 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잠금 상태 변화 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맨홀을 개방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맨홀은 맨홀 본체(300), 맨홀 뚜껑(302), 잠금 장치(304) 및 개방 장치(306)를 포함한다. 여기서, 맨홀 뚜껑(302), 잠금 장치(304) 및 개방 장치(306)는 상호 결합되어 하나의 구조물을 형성하며, 이하 이러한 구조물을 맨홀 뚜껑 구조물이라 하겠다.
잠금 장치(304)는 맨홀 뚜껑(302)에 설치되어 상기 맨홀을 잠그는 역할을 수행하며, 특별한 기구를 이용하지 않는 한 임의로 해제되지 않는다. 이러한 잠금 장치(304)는 맨홀 뚜껑(302)과 일체형으로 제조될 수도 있고, 각기 별도로 제조된 후 일체형으로 결합될 수 있다.
개방 장치(306)는 상기 맨홀을 개방시킬 때 개방 동작을 용이하게 하는 구조를 가진다. 이의 자세한 구조 및 동작은 후술하겠다.
위 도 3에서는 맨홀 뚜껑(302)에 하나의 잠금 장치(304) 및 하나의 개방 장치(306)가 구현되었으나, 개방 장치(306) 없이 복수의 잠금 장치들(304)이 맨홀 뚜껑(302)에 구현되어 잠금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3개의 잠금 장치들(304)이 상호 120도 각도를 이루면서 맨홀 뚜껑(302)에 결합된 후 잠금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물론, 잠금 장치들(304)은 특별한 기구가 없는 한 임의로 잠금 상태가 해제되지 않는 구조를 가진다.
이하, 본 발명의 잠금 장치(304) 및 개방 장치(306)의 구조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술하겠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I′라인을 따라 절취된 맨홀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 상태를 해제할 때의 맨홀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 상태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 장치의 분해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잠금 상태 변화 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잠금 상태 변화 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맨홀 뚜껑(302)은 맨홀 본체(300)에 안착되며, 잠금 장치(304) 및 개방 장치(306)가 맨홀 뚜껑(302)과 결합된다.
잠금 장치(304)는 몸체부(410), 헤드부(412), 잠금 결합부(414), 잠금부(416), 헤드 지지부(418), 잠금 지지부(420), 제 1 탄성부(422) 및 제 2 탄성부(424) 및 제 3 탄성부(710)를 포함한다.
몸체부(410)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맨홀 뚜껑(302)의 홀로 삽입되며, 예를 들어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헤드부(412)는 몸체부(410)의 상부 종단부에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특별한 기구를 이용하여 회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다각형 형상, 특히 오각형 이상의 형상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헤드부(412)는 상기 맨홀이 잠가져 있는 상태에서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맨홀 뚜껑(302)의 상면과 동일하거나 낮은 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맨홀의 잠금 상태가 해제될 때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맨홀 뚜껑(302) 위로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헤드부(412)는 몸체부(410)와 일체로 형성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412), 몸체부(410) 및 잠금 결합부(414)를 통하여 요부(504)가 형성된다. 이 경우, 제 3 탄성부(710)가 요부(504)로 삽입된다.
잠금 결합부(414)는 몸체부(410)의 하부 종단부에 형성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부(416)의 홀(700)로 삽입되어 잠금부(416)와 결합된다. 또한, 잠금 결합부(414)는 잠금 지지부(420)의 홀(702)에도 삽입된다. 즉, 잠금 결합부(414)는 잠금부(416)의 홀(700) 및 잠금 지지부(420)의 홀(702)로 삽입된다.
이러한 잠금 결합부(414)는 제조시부터 몸체부(41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각기 제조된 후 잠금 결합부(414)가 몸체부(410)에 용접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잠금 결합부(41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각형 형상을 가지는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복수의 부재들이 상하로 결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잠금 결합부(414)는 잠금부(416)의 홀(700) 및 잠금 지지부(420)의 홀(702)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충분한 높이를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잠금부(416)의 홀(7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결합부(414)와 동일한 형상, 바람직하게는 다각형 형상을 가지며, 잠금 지지부(420)의 홀(702)은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잠금 결합부(414)는 잠금부(416)와 맞물리며, 따라서 헤드부(412)의 회전에 따라 잠금 결합부(414)가 회전하면 잠금부(416)도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맨홀의 잠금 동작 또는 잠금 해제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잠금부(416)의 홀(700)의 모서리 부분에 각기 작은 크기의 요부들이 형성되고, 잠금 결합부(414)의 모서리들이 상기 요부들로 삽입될 수 있다. 물론, 잠금 결합부(414)의 모서리는 잠금부(416)의 요부들에 삽입될 수 있도록 더 돌출되어야 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잠금 결합부(414)가 홀(700)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면서도 잠금부(416)와 더 밀착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잠금부(416)는 몸체부(410)와 교차하는 방향, 바람직하게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맨홀을 잠그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잠금부(416)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맨홀 본체(300)의 본체 돌출부(460)의 하부에 위치하면 상기 맨홀이 잠가지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 돌출부(460)의 하부에는 요부(512)가 형성되고 잠금부(416)의 종단에는 돌출부(43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잠금부(416)의 돌출부(430)가 맨홀 본체(300)의 본체 돌출부(460)의 요부(512)로 삽입됨에 의해 상기 맨홀이 안정적으로 잠가질 수 있다.
상기 맨홀의 잠금 상태를 해제할 때는 잠금부(416)가 본체 돌출부(460)의 요부(512)로부터 이탈하도록 잠금부(416)를 회전시키며, 즉 잠금부(416)가 본체 돌출부(460)의 요부(512)로부터 이탈되면 상기 맨홀의 잠금 상태가 해제된다. 상기 잠금 동작 및 잠금 해제 동작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겠다.
도 4(A)에서는 맨홀 뚜껑(302)이 안착되는 맨홀 본체(300)의 안착부(400a)와 본체 돌출부(460)가 별도로 존재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안착부와 본체 돌출부가 하나로서 존재할 수도 있다. 즉, 맨홀 뚜껑(300)이 안착되는 안착부의 하부면에 요부가 형성되고, 잠금부(416)의 돌출부(430)가 상기 안착부의 요부로 삽입될 수도 있다.
헤드 지지부(418)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412)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헤드부(412)보다 큰 반경을 가진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지지부(418)에 홀이 형성되고, 몸체부(410)가 헤드 지지부(418)의 홀로 삽입되며, 헤드부(412)는 헤드 지지부(418)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헤드 지지부(418)는 제 2 탄성부(424)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잠금 지지부(420)는 도 4(A)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부(416)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잠금 지지부(420)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맨홀 뚜껑(302)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된 부분(440)에 결합되며, 즉 맨홀 뚜껑(302)에 고정되어 지지된다. 예를 들어, 잠금 지지부(420)의 네 모서리에는 각기 홀이 형성되고, 볼트 등을 상기 홀을 통하여 맨홀 뚜껑(302)으로 삽입시켜 잠금 지지부(420)를 맨홀 뚜껑(302)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잠금부(416)가 잠금 지지부(420)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제 1 탄성부(422)는 예를 들어 스프링으로서 몸체부(410)에 체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탄성부(422)의 상부 종단은 헤드 지지부(418)의 하면과 접촉하며, 하부 종단은 잠금 결합부(414)의 상면 위에 놓인다. 즉, 제 1 탄성부(422)는 헤드 지지부(418)와 잠금 결합부(414) 사이에 위치한다. 이러한 제 1 탄성부(422)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맨홀 뚜껑(302)의 외부로 돌출된 잠금 장치(304)를 다시 원상태로 복원시키는 역할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제 1 탄성부(422)는 제 1 잠금 상태 변화 기구(500)를 이용하여 헤드부(412), 몸체부(410) 및 잠금 결합부(414)를 상승시킬 경우 수축되었다가 제 1 잠금 상태 변화 기구(500)가 헤드부(412)로부터 분리되면 복원력에 의해 헤드부(412), 몸체부(410) 및 잠금 결합부(414)를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원시킨다.
제 2 탄성부(424)는 예를 들어 스프링으로서 제 1 탄성부(422)보다 넓은 직경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탄성부(424)는 헤드 지지부(418)와 잠금부(416) 사이에 배열된다. 이 경우, 제 2 탄성부(424)가 잠금부(416)에 의해 지지되므로, 헤드 지지부(418)가 제 2 탄성부(424)에 의해 지지되어 맨홀 뚜껑(302)에 고정되지 않고도 맨홀 뚜껑(302)의 홀 내에 유지된 상태로 헤드부(412)를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410)에는 제 2 탄성부(424) 없이 제 1 탄성부(422)만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헤드 지지부(418)가 지지되어야 하므로, 잠금 지지부(420)에 홀이 아닌 요부가 형성되어 잠금 결합부(414)를 지지하도록 하며, 그 결과 헤드 지지부(418)는 잠금 결합부(414) 위에 놓인 제 1 탄성부(42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 3 탄성부(7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412), 몸체부(410) 및 잠금 결합부(414)에 형성된 요부(504)로 삽입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 1 잠금 상태 변화 기구(500)에 탄성력을 가하여 제 1 잠금 상태 변화 기구(500)가 요부(504)로부터 용이하게 이탈하도록 보조한다. 다만, 제 1 잠금 상태 변화 기구(500)는 제 3 탄성부(710)가 존재하지 않아도 이탈이 가능하므로, 제 3 탄성부(710)가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개방 장치(306)는 제 1 개방부(450), 제 2 개방부(452), 연결부(456) 및 회전축(458)을 포함한다.
제 1 개방부(450)는 맨홀 뚜껑(302)에 결합되며, 그의 일부에는 홀(454)이 형성된다.
제 2 개방부(452)는 맨홀 본체(300)와 결합되며, 바람직하게는 맨홀 본체(300)에 형성된 회전축(458)과 결합된다.
연결부(456)는 제 2 개방부(452)를 제 1 개방부(450)에 연결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며, 바람직하게는 제 1 개방부(450)의 홀(454) 내에서 움직인다.
회전축(458)은 제 2 개방부(452)를 회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소자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맨홀 본체(300)의 특정 부분(462) 위에서 맨홀 본체(300)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개방 장치(306)의 동작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잠금 장치(304)의 잠금 상태를 해제한 후 맨홀 뚜껑(302)을 위로 올리면 회전축(458)이 회전되면서 제 2 개방부(452)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며, 그 결과 맨홀 뚜껑(302)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평 상태에서 수직 상태로 변화되어 상기 맨홀이 개방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겠다.
이하,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잠금 장치(304)의 동작을 살펴보겠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맨홀이 잠가진 상태에서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자 하는 경우, 관리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1 잠금 상태 변화 기구(500)를 헤드부(412)의 상면에 형성된 요부(504)로 삽입시켜 고정시키고, 그런 후 제 1 잠금 상태 변화 기구(500)를 중력 반대 방향으로 잡아 당겨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장치(304)를 상부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 경우, 잠금 장치(304)의 구성요소들 중 헤드부(412), 몸체부(410) 및 잠금 결합부(414)만이 상부 방향으로 이동된다. 다만, 잠금 결합부(414)는 이동할지라도 잠금부(416)의 홀(700) 내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한다.
즉, 잠금 결합부(414)는 상기 맨홀의 잠금 상태를 해제시킬 때 잠금부(416)의 홀(700) 내에서 위치 변동은 있지만 홀(700) 내에 유지된다. 이것은 잠금 장치(304)를 상부 방향으로 잡아당긴 상태에서도 헤드부(412)를 회전시켜서 잠금부(416)를 회전시키기 위해서이다. 여기서, 잠금부(416)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잠금부(416)의 홀(700) 및 잠금 결합부(414)는 모두 다각형 형상, 바람직하게는 오각형 이상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물론, 잠금부(416)의 홀(700)과 잠금 결합부(414)는 동일한 형상을 가진다.
이어서, 관리자는 잠금 장치(304)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된 상태에서 제 2 잠금 상태 변화 기구(502)를 이용하여 헤드부(412)를 회전시킨다. 결과적으로, 잠금부(416)가 회전함에 따라 잠금부(416)의 돌출부(430)가 본체 돌출부(460)의 요부(512)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맨홀의 잠금 상태가 해제된다.
정리하면, 관리자는 제 1 잠금 상태 변화 기구(500)를 이용하여 잠금 장치(304)를 중력 반대 방향(상부 방향)으로 잡아당긴 상태에서 제 2 잠금 상태 변화 기구(502)를 이용하여 헤드부(412)를 회전시켜서 상기 맨홀의 잠금 상태를 해제한다.
한편, 관리자가 제 1 잠금 상태 변화 기구(500)를 잠금 장치(304)로부터 분리시키면, 제 1 탄성부(422)의 복원력에 의해 잠금 장치(30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래 상태로 자동으로 복원된다.
즉, 제 1 잠금 상태 변화 기구(500)와 제 2 잠금 상태 변화 기구(502)를 모두 소지한 관리자만이 맨홀의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으며, 제 1 잠금 상태 변화 기구(500)를 잠금 장치(304)로부터 이탈시키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잠금 장치(304)를 원래의 상태로 복원시킬 수 있다.
물론, 상기 맨홀을 다시 잠그고자 할 경우에는, 제 1 잠금 상태 변화 기구(500)로 잠금 장치(304)를 중력 반대 방향으로 상승시킨 후 제 2 잠금 상태 변화 기구(502)로 헤드부(412)를 회전시켜 상기 맨홀을 다시 잠금 상태로 변화시킬 수 있다.
요컨대, 잠금 상태 변화 기구들(500 및 502)을 모두 소지하지 않은 타인은 상기 맨홀의 잠금 상태를 임의로 변화시킬 수 없으며, 즉 상기 맨홀의 잠금 상태를 임의로 해제할 수 없다. 특히, 잠금 상태 변화 기구들(500 및 502)은 특별한 형상으로 제작된 후 관리자만이 보관하므로, 타인은 잠금 상태 변화 기구들(500 및 502)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없고 기존에 사용되는 개방 장치로 본 발명의 맨홀을 개방시킬 수 없다. 따라서, 상기 관리자는 안전하게 상기 맨홀 및 상기 맨홀 내부의 케이블 등을 보호할 수 있다.
이하, 제 1 잠금 상태 변화 기구(500) 및 제 2 잠금 상태 변화 기구(502)의 구조 및 동작을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상술하겠다.
도 8(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제 1 잠금 상태 변화 기구(500)는 몸체부(800), 상태 변화부(802) 및 손잡이부(804)를 포함한다.
몸체부(800)는 헤드부(412), 몸체부(410) 및 잠금 결합부(414)를 통하여 형성된 요부(504)로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몸체부(800)의 외측면에는 나사산(814)이 형성되고, 몸체부(800)의 종단 부분(812)은 다른 부분보다 더 넓은 폭을 가진다. 물론, 몸체부(800)의 종단 부분(812)의 폭은 요부(504)의 직경보다 작은 길이를 가지며, 종단 부분(812)의 외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상태 변화부(802)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800) 위로 체결되는 부재로서, 그를 관통하여 홀(840)이 형성되고, 그의 하단 부분(820)에는 종단으로부터 절개된 적어도 하나의 절개부(822)가 형성된다. 몸체부(800) 견지에서 살펴보면, 몸체부(800)는 상태 변화부(802)의 홀(840)로 삽입된다.
손잡이부(804)는 사람이 손으로 잡을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수용부(830) 및 손잡이(832)를 포함한다.
수용부(830)의 하면에는 홀(842)이 형성되며, 수용부(830)는 몸체부(800)의 상단 부분을 수용한다. 즉, 몸체부(800)의 상단 부분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830)로 삽입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용부(830)의 내측면에는 몸체부(800)의 나사산(814)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따라서 손잡이부(804)를 회전시키면 손잡이부(804)가 몸체부(800)에 결합된 상태로 상하 움직이게 된다.
손잡이(832)는 수용부(830)의 상단부에 형성되며, 사람이 잡기 편하도록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제 1 잠금 상태 변화 기구(500)의 구조 및 동작을 살펴보겠다.
상태 변화부(802)는 몸체부(800)로 체결되고 몸체부(800)의 상부 종단 부분이 손잡이부(804)의 홀(842)로 삽입되며, 그 결과 제 1 잠금 상태 변화 기구(500)는 도 8(B)에 도시된 구조를 가진다. 다만, 상태 변화부(802)는 몸체부(800)의 종단 부분(812) 위로 배열되지는 않는다.
이어서, 손잡이부(804)를 회전시키면 손잡이부(804)가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800) 상에서 상하로 움직이게 된다. 특히, 손잡이부(804)가 몸체부(800)의 하부 방향(중력 방향)으로 움직이면 손잡이부(804)의 수용부(830)가 상태 변화부(802)에 힘을 가하게 되며, 그 결과 상태 변화부(802)가 몸체부(800) 상에서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절개부(822)가 벌어지면서 상태 변화부(802)의 하단 부분(820)이 몸체부(800)의 종단 부분(812) 위로 올라가며, 그 결과 상태 변화부(802)의 하부 종단 부분의 폭이 넓어지게 된다. 결과적으로, 제 1 잠금 상태 변화 기구(500)가 헤드부(412), 몸체부(410) 및 잠금 결합부(414)에 형성된 요부(504) 내에서 몸체부(410) 또는 잠금 결합부(414)의 내측면에 밀착되게 된다. 따라서, 관리자가 제 1 잠금 상태 변화 기구(500)를 중력 반대 방향으로 잡아 당기면 헤드부(412), 몸체부(410) 및 잠금 결합부(414)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력 반대 방향으로 상승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헤드부(412), 몸체부(410) 및 잠금 결합부(414)를 관통하여 홀이 형성될 수 있고, 제 1 잠금 상태 변화 기구(500)가 상기 홀로 삽입된 상태에서 밀착되어 헤드부(412), 몸체부(410) 및 잠금 결합부(414)를 상승시킬 수도 있다. 물론, 이 경우에는 제 3 탄성부(710)가 존재하지 않을 것이다.
한편, 헤드부(412), 몸체부(410) 및 잠금 결합부(414)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시킨 상태에서 손잡이부(804)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손잡이부(804)가 몸체부(800) 상에서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관리자가 상태 변화부(802)를 상부 방향으로 잡아 당기면 제 1 잠금 상태 변화 기구(500)가 도 8(B)에 도시된 구조로 되어 헤드부(412)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 경우, 헤드부(412), 몸체부(410) 및 잠금 결합부(414)는 제 1 탄성부(422)의 복원력으로 인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래 상태로 복원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잠금 상태 변화 기구(500)의 몸체부(800)의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손잡이부(804)를 하부 방향으로 밀면 상태 변화부(802)가 몸체부(800) 상에서 하부로 이동하여 도 8(C)에 도시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하, 제 2 잠금 상태 변화 기구(502)의 구조 및 동작을 살펴보겠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제 2 잠금 상태 변화 기구(502)는 손잡이부(900) 및 회전부(902)를 포함한다.
회전부(902)는 손잡이부(900)에 연결되며, 헤드부(412)와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헤드부(412)가 육각형 형상을 가지는 경우, 회전부(902)는 육각형 형상에서 일부분이 개방된 형상을 가진다. 결과적으로, 회전부(902)가 헤드부(412)를 둘러싸서 헤드부(412)를 좌우로 회전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잠금 상태 변화 기구(500)를 이용하여 헤드부(412), 몸체부(410) 및 잠금 결합부(414)를 상부로 돌출시킨 상태에서 제 2 잠금 상태 변화 기구(502)를 이용하여 헤드부(412)를 회전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부(902)의 하부 종단면으로부터 지지부(912)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912)는 제 2 잠금 상태 변화 기구(502)로 헤드부(412)를 둘러쌀 때 헤드부(412)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결과적으로, 관리자가 헤드부(412)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힘을 가하더라도 제 2 잠금 상태 변화 기구(502)가 헤드부(412)로부터 임의로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정리하면, 관리자는 제 1 잠금 상태 변화 기구(500)를 이용하여 헤드부(412), 몸체부(410) 및 잠금 결합부(414)를 상부로 돌출시킨 상태에서 제 2 잠금 상태 변화 기구(502)로 헤드부(412)를 회전시켜 상기 맨홀을 잠그거나 잠금 상태를 해제시킨다. 물론, 제 1 잠금 상태 변화 기구(500)가 헤드부(412), 몸체부(410) 및 잠금 결합부(414)를 상부로 잡아당기고 제 2 잠금 상태 변화 기구(502)가 헤드부(412)를 회전시킬 수 있는 한 잠금 상태 변화 기구들(500 및 502)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하, 상기 맨홀을 개방시키는 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하겠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맨홀을 개방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장치(304)의 잠금부(416)가 맨홀 본체(300)의 본체 돌출부(460)의 하부에 위치하면, 상기 맨홀은 잠금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맨홀을 개방시킬 때에는, 관리자는 잠금 장치(304)의 잠금부(416)를 본체 돌출부(460)로부터 이탈시킨다. 이어서, 맨홀 뚜껑(302) 중 잠금 장치(304)에 해당하는 부분을 들어올리면,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458)이 회전되면서 상기 맨홀이 개방된다. 바람직하게는, 맨홀 뚜껑(302)은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맨홀의 수평면으로부터 수직하게 회전되며, 그 결과 관리자는 상기 맨홀을 용이하게 출입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부(456)는 상기 맨홀 개방시에는 홀(454)의 일 종단으로 이동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300 : 맨홀 본체 302 : 맨홀 뚜껑
304 : 잠금 장치 306 : 개방 장치
410 : 몸체부 412 : 헤드부
414 : 잠금 결합부 416 : 잠금부
418 : 헤드 지지부 420 : 잠금 지지부
422 : 제 1 탄성부 424 : 제 2 탄성부
430 : 돌출부 450 : 제 1 개방부
452 : 제 2 개방부 456 : 연결부
458 : 회전축 500 : 제 1 잠금상태 변화 기구
502 : 제 2 잠금 상태 변화 기구 800 : 몸체부
802 : 상태 변화부 804 : 손잡이부
822 : 절개부 900 : 손잡이부
902 : 회전부

Claims (11)

  1. 맨홀의 맨홀 본체로 안착되는 맨홀 뚜껑 구조물에 있어서,
    제 1 홀이 형성된 맨홀 뚜껑; 및
    상기 제 1 홀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맨홀 뚜껑에 결합되는 잠금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 장치는,
    상기 제 1 홀로 삽입되는 몸체부(410);
    상기 몸체부(410)의 상단부에 형성된 헤드부(412);
    상기 몸체부(410)의 하단부에 형성된 잠금 결합부(414); 및
    상기 잠금 결합부(414)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열된 잠금부(416)를 포함하되,
    상기 잠금부(416)에는 제 2 홀이 형성되어 상기 잠금 결합부(414)가 상기 잠금부(416)의 제 2 홀로 삽입되며, 제 1 잠금 상태 변화 기구(500)를 이용하여 상기 헤드부(412), 상기 몸체부(410) 및 상기 잠금 결합부(414)를 중력 반대 방향으로 상승시킨 상태에서 제 2 잠금 상태 변화 기구(502)로 상기 헤드부(412)를 회전시켜서 상기 맨홀의 잠금 상태를 변화시키고,
    상기 제 1 잠금 상태 변화 기구(500)는,
    몸체부(800);
    상기 몸체부(800) 상에 결합되는 상태 변화부(802); 및
    상기 몸체부(800) 상에 체결되는 손잡이부(804)를 포함하되,
    상기 상태 변화부(802)의 중앙에는 제 3 홀(840)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800)가 상기 제 3 홀(840)로 삽입되며, 상기 몸체부(800)의 하부 종단 부분(812)은 다른 부분보다 넓은 폭을 가지고, 상기 손잡이부(804)는 상기 몸체부(800)의 상단 부분에 체결되며, 상기 상태 변화부(802)는 상기 손잡이부(804)와 상기 몸체부(800)의 하부 종단 부분(812)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상태 변화부(802)의 하부 종단에는 적어도 하나의 절개부(8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부(800)의 외측면과 상기 손잡이부(804)의 내측면에는 각기 나사산(814)이 형성되어 맞물리고, 상기 손잡이부(804)를 회전시키면 상기 손잡이부(804)가 상기 몸체부(800) 상에서 상하로 이동하며, 상기 손잡이부(804)가 상기 몸체부(800)의 하부 종단을 향하여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절개부(822)가 벌어지면서 상기 상태 변화부(802)가 상기 몸체부(800) 중 폭이 넓은 하단 종단 부분(812) 위로 배열되고, 상기 잠금 장치의 헤드부(412), 상기 몸체부(410) 및 상기 잠금 결합부(414)를 통하여 요부(504)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잠금 상태 변화 기구(500)가 상기 요부(504)로 삽입되어 밀착되고, 제 1 잠금 상태 변화 기구(500)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헤드부(412), 상기 몸체부(410) 및 상기 잠금 결합부(414)가 중력 반대 방향으로 상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뚜껑 구조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잠금 상태 변화 기구는 상기 헤드부를 둘러싼 상태로 상기 헤드부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뚜껑 구조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장치는,
    상기 헤드부를 지지하는 헤드 지지부;
    상기 맨홀 뚜껑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잠금부를 지지하는 잠금 지지부;
    상기 몸체부에 결합된 제 1 탄성부;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 1 탄성부보다 넓은 직경을 가지는 제 2 탄성부; 및
    상기 헤드부, 상기 몸체부 및 상기 잠금 결합부를 통하여 형성된 요부로 삽입되는 제 3 탄성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 1 탄성부는 상기 헤드 지지부와 상기 잠금 결합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탄성부는 상기 헤드 지지부와 상기 잠금부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뚜껑 구조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와 상기 잠금 결합부는 각기 오각형 이상의 다각형 형상을 가지고, 상기 잠금부의 제 2 홀은 상기 잠금 결합부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잠금 결합부는 상기 맨홀의 잠금 상태 변화시 상기 제 2 홀 내에서 상하로 이동하되,
    상기 잠금 결합부는 상기 맨홀의 잠금 상태 변화와 관계없이 상기 제 2 홀 내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뚜껑 구조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의 종단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맨홀 본체의 본체 돌출부의 하면에는 요부가 형성되되,
    상기 맨홀의 잠금시에는 상기 잠금부의 돌출부가 상기 본체 돌출부의 요부로 삽입되고, 상기 맨홀의 잠금 상태 해제시에는 상기 돌출부가 상기 본체 돌출부의 요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뚜껑 구조물.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10085188A 2010-11-29 2011-08-25 무단개폐 방지용 잠금 기능 맨홀 뚜껑 KR1010789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19660 2010-11-29
KR1020100119660 2010-11-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8920B1 true KR101078920B1 (ko) 2011-11-01

Family

ID=45396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5188A KR101078920B1 (ko) 2010-11-29 2011-08-25 무단개폐 방지용 잠금 기능 맨홀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8920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59805B2 (en) Security safe and self-service terminal provided with same
KR101326197B1 (ko) 다중 잠금장치를 구비한 밸브 핸들용 안전커버
US7684179B1 (en) Actuation mechanism for vertical insertion, retention and extraction of an electronic component
AU2018250471A1 (en) Self latching anti-lock latch device
KR101078920B1 (ko) 무단개폐 방지용 잠금 기능 맨홀 뚜껑
KR100505738B1 (ko) 체인 고리를 이용한 공동주택 단지 내 맨홀 뚜껑 잠금구조
KR101087555B1 (ko) 수밀 기능을 가지는 맨홀 및 이에 포함되는 속뚜껑 구조물
KR100880208B1 (ko) 잠금장치를 갖는 맨홀조립체
KR101246691B1 (ko) Rfid를 이용한 잠금장치
JP5192202B2 (ja) 錠用封印カバー
KR101086181B1 (ko) 도로 굴착없이 구형 맨홀 뚜껑의 교체가 가능한 다기능 맨홀 뚜껑
JP2019178522A (ja) 地中埋設用側溝材、および地中埋設用側溝材の蓋ロック具
JP3178747U (ja) ポールの固定構造
KR100607571B1 (ko) 전기통신용 맨홀의 인너 커버
KR101745954B1 (ko) 방범창 고리형 잠금구조체
KR101087556B1 (ko) 최초 설치로 맨홀 목의 높이 조절이 영구 가능한 다기능 맨홀 뚜껑 및 틀 장치
KR200431806Y1 (ko) 도어용 핸들의 다중잠금장치
US9810002B2 (en) Rotary cable latch
TWI694202B (zh) 磁吸式鎖附機構
KR20110107509A (ko) 영구자석을 이용하여 잠금 기능을 구현하는 맨홀
JP7221523B2 (ja) レバーハンドル
JP2013207866A (ja) 配線器具収容函およびケーブルの引出構造
KR102581741B1 (ko) 천장 점검구용 도어의 잠금장치
JP4048381B2 (ja) 収納式進入防止装置
JP3201931U (ja) 人孔蓋の二重ロック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