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8442B1 - 칫솔 - Google Patents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8442B1
KR101078442B1 KR1020090021743A KR20090021743A KR101078442B1 KR 101078442 B1 KR101078442 B1 KR 101078442B1 KR 1020090021743 A KR1020090021743 A KR 1020090021743A KR 20090021743 A KR20090021743 A KR 20090021743A KR 101078442 B1 KR101078442 B1 KR 101078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brush
protrusion
handle portion
bristles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1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3227A (ko
Inventor
전성수
김기필
남송이
Original Assignee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21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8442B1/ko
Publication of KR20100103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32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8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8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97Self supporting, e.g. brushes that stand upright or in other particular way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specially shaped for holding by the hand
    • A46B5/026Grips or handles having a nonslip section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48/00Supports
    • Y10S248/91Weighted base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칫솔에 관한 것으로, 칫솔모가 결합된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에서 연장 형성된 네크부와, 상기 네크부에서부터 연장 형성된 손잡이부로 이루어진 칫솔에 있어서, 상기 네크부와 손잡이부 사이에는 전후로 돌출되고 좌우 방향으로 확장되어 형성된 돌기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돌기부에 연결되는 상기 손잡이부의 끝단에는 납작한 평탄부로 형성하도록 하여 상기 칫솔의 돌기부와 손잡이부의 단면은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평탄부의 배면에는 받침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칫솔모가 어떠한 방향에 눕혀있든지 바닥에 닿지 않게 하여 세면대의 오염물질과 물 등에 의한 오염을 분리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칫솔모, 돌기부, 평탄부, 미세돌기, 타원, 받침돌기

Description

칫솔{Toothbrush}
본 발명은 칫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벼운 칫솔에 무게중심을 아래로 가게하고 칫솔의 돌아감을 막기 위해 바닥에 고정되면서도 칫솔모가 바닥에 닿지 않도록 한 칫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칫솔은 손으로 잡기 좋게 일정한 길이를 갖는 손잡이와 칫솔모가 구비된 헤드부로 구성되며, 구강 위생을 위해 필수적인 위생 용구로, 헤드부의 칫솔모 위에 적당량의 치약을 묻혀 구강 내의 치아나 혀 등을 닦아 주는 도구이다.
통상적인 칫솔의 형태는 칫솔모와 손잡이로 구분되어 있는 장방형 막대 형상으로 되어 있고, 칫솔 사용 후 칫솔모를 신속하게 건조시키고 이렇게 건조된 상태를 유지하여야 칫솔모가 세균 등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 칫솔은 별도의 칫솔보관수단이 아닌 바닥면에 두었을 경우 바닥과 칫솔모가 닿으면서 바닥면의 오염물질이나 물 등에 의해 칫솔모가 오염되거나 세균 등이 번식하게 되는 일들이 발생한다.
이로써 칫솔을 사용하는 사용자로 하여금 심리적인 불쾌함과 함께 칫솔모의 오염에 대한 불안감을 느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4-25089호에 의하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칫솔모와 손잡이가 구비된 칫솔에서, 상기 칫솔모와 대응되는 손잡이의 일단부에 구형본체의 내부 하단부에 중량체가 설치된 무게중심추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3-5559호에 의하면, 솔체를 갖춘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직 하단에서 연장 형성된 네크부와, 상기 네크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헤드부와 상호 연결되어 연장 형성된 손잡이부로 이루어진 통상의 칫솔에 있어서, 상기 네크부의 하부에 연결되되 점차 직경이 확장되면서 하단부가 둥근 원형의 구(球)형상을 이루고, 그 내부에는 횡측 중심선을 기준하여 하측에 무게의 중심이 되는 중량체가 매입 형성된 손잡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방식은 별도의 중량체 매입에 따라서 칫솔의 중량이 늘어남으로 인하여 손목의 힘이 약한 노약자들의 사용시 불편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가벼운 칫솔에 무게중심을 아래로 가게하고 칫솔의 돌아감을 막기 위해 어떤 방향으로 칫솔을 두어도 칫솔 몸체가 바닥에 고정되면서도 칫솔모가 바닥에 닿지 않도록 한 칫솔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은, 칫솔모가 결합된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에서 연장 형성된 네크부와, 상기 네크부에서부터 연장 형성된 손잡이부로 이루어진 칫솔에 있어서, 상기 네크부와 손잡이부 사이에는 전후로 돌출되고 좌우 방향으로 확장되어 형성된 돌기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돌기부에 연결되는 상기 손잡이부의 끝단에는 납작한 평탄부로 형성하도록 하여 상기 칫솔의 돌기부와 손잡이부의 단면은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평탄부의 배면에는 받침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칫솔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전방돌기부와 후방돌기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네크부와 손잡이부를 잇는 중심선에 대하여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칫솔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와 연결되는 손잡이부의 전면 부분에는 미끄럼 방지용 미세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칫솔은, 칫솔모가 결합된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에서 연장 형성된 네크부와, 상기 네크부에서부터 연장 형성된 손잡이부로 이루어진 칫솔에 있어서, 상기 네크부와 손잡이부 사이에는 주위로 돌출되어 형성된 판상의 돌기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돌기부에 결합되는 손잡이부의 길이가 상기 돌기부에 결합되는 상기 네크부의 길이보다 길게 연장되어 상기 칫솔모가 바닥에 닿지 않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칫솔에 있어서, 상기 판상의 돌기부에 연결되는 네크부의 중심선과 상기 판상의 돌기부에 연결되는 손잡이부의 중심선이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칫솔에 있어서, 상기 네크부는 상기 판상의 돌기부 전면에서 그 중심에서 벗어나 외주면 근처에서 결합되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돌기부의 이면에서 대응되는 동일한 위치에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칫솔에 있어서, 상기 네크부와 상기 손잡이부에 결합되는 상기 판상의 돌기부는 상기 네크부와 상기 손잡이부와 비스듬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칫솔은, 칫솔모가 결합된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에서 연장 형성된 네크부와, 상기 네크부에서부터 연장 형성된 손잡이부로 이루어진 칫솔에 있어서, 상기 네크부와 손잡이부 경계로부터 상기 손잡이부 단부 방향으로 상기 손잡이부는 그 단면이 원추형상으로 점점 가늘어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칫솔모가 바닥에 닿지 않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칫솔에 의하면, 칫솔의 손잡이 부분을 둥글게 하여 칫솔모가 어떠한 방향에 눕혀있든지 바닥에 닿지 않게 하여 세면대의 오염물질과 물 등에 의한 오염으로부터 분리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칫솔에서 둥근 손잡이 부분은 재질과 형태적인 변형을 주어 칫솔 사용 시 힘의 활용과 방향성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의 사시도이고,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칫솔에서 칫솔모가 위로 향하여 바닥에 위치된 경우의 상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의 평면도이고,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의 배면도이다.
도3 내지 도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칫솔은 칫솔모(12)가 결합된 헤드부(10)와, 상기 헤드부(10)에 연결되어 연장 형성된 네크부(20)와, 상기 네크부(20)의 끝단부에 연결되어 연장된 손잡이부(30)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4, 도5, 도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네크부(20)와 손잡이부(30) 사이에는 전후로 돌출되고 좌우 방향으로 확장되어 형성된 돌기부(40)가 마련되어 있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기부(40)는 전면의 전방돌기부(42)와 후방 돌기부(44)로 구성되며, 상기 전방돌기부(42)와 후방돌기부(44)는 칫솔의 네크부(20)와 손잡이부(30)를 잇는 중심선에 대하여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다.
도4에서 살펴보면, 전방돌기부(42)는 손잡이부(30) 방향으로 치우쳐있고, 후방돌기부(44)는 상기 네크부(20) 방향으로 치우쳐서 상기 칫솔 몸체에 대해서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5, 도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기부(40)에 연결되는 상기 손잡이부(30)의 끝단에는 납작한 평탄부(34)로 형성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칫솔의 돌기부와 손잡이부의 전체적인 단면은 타원형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평탄부(34)의 배면에는 받침돌기(35)가 형성되어 있어 칫솔이 바닥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도4를 살펴보면, 종래의 칫솔의 구조적 모순을 해결하기 위해 칫솔의 부분적인 몸체의 높이를 칫솔모의 높이보다 높게 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칫솔의 몸체를 이루는 상기 네크부(20)와 손잡이부(30)와 그 사이에서 확장되어 형성된 돌기부(40)와 상기 돌기부(40)에 연결되는 상기 손잡이부(40)의 끝단에는 납작한 평탄부(34)로 형성되어 칫솔의 돌기부(40)와 손잡이부(30)의 단면은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어느 방향으로 칫솔 몸체를 바닥에 두더라도 칫솔 몸체가 구르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칫솔모는 바닥에 닿지 않게 된다.
또한, 타원형으로 이루어진 손잡이부(30)와 손잡이부(30)의 끝단에 형성된 납작한 평탄부(34)에 의하여 칫솔이 바닥에 더욱 안정적으로 위치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기부(40)와 연결되는 손잡이부(30)의 전면 부분에는 미끄럼 방지용 미세돌기(32)가 형성되어 있어, 돌기부(40)와 함께 칫솔의 몸체에 변형을 줌과 동시에 재질적인 변형으로써 칫솔 사용시 힘의 활용과 방향성을 용이하게 한 것이다.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단면도이다.
도7을 참조하면, 칫솔모(12)가 결합된 헤드부(10)와, 상기 헤드부(10)에 연결되어 연장 형성된 네크부(20)와, 상기 네크부(20)의 끝단부에 연결되어 연장된 손잡이부(30)로 이루어지고, 상기 네크부(20)와 손잡이부(30) 사이에는 주위로 돌출되어 형성된 판상의 돌기부(40)가 마련되어 있다.
이때, 상기 돌기부(40)에 결합되는 손잡이부(30)의 길이가 상기 돌기부(40)에 결합되는 상기 네크부(20)의 길이보다 길게 연장되어 상기 칫솔모(12)가 바닥에 닿지 않도록 되어 있다.
즉, 판상의 돌기부(40)를 두어 칫솔의 몸체가 전체적으로 경사를 이루어 칫솔모(12)와 치약이 바닥에 닿지 않게 하는 것을 말한다.
도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단면도이다.
도8에서, 상기 판상의 돌기부(40)에 연결되는 네크부(20)의 중심선과 상기 판상의 돌기부(40)에 연결되는 손잡이부(30)의 중심선이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도8에서 판상의 돌기부(40)의 크기는 도7보다 줄어들게 되고 돌기부를 경계 로 칫솔모가 있는 부분(12)을 기존의 중심축 (B)에서 중심축(A)로 어긋나게 이동되어 있는 것이다.
돌기부(3)의 높이가 낮아지면서도 기존의 칫솔모와 치약이 바닥과 닿지 않는 것은 도7에서와 동일하다.
도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단면도이다.
도9에서, 상기 네크부(20)는 상기 판상의 돌기부(40) 전면에서 그 중심에서 벗어나 외주면 근처에서 결합되고, 상기 손잡이부(30)는 상기 돌기부의 이면에서 대응되는 동일한 위치에서 결합되는 것이다.
도9를 참조하면, 상기 네크부(20)와 상기 손잡이부(30)는 상기 돌기부(40)의 상부에서 결합되며, 돌기부(40)를 경계로 칫솔모(12)와 입에 들어가는 부분(20)과 칫솔의 손잡이 부분(30)이 꺾여 칫솔모와 치약이 바닥에 닿지 않는 경우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단면도이다.
도10에서, 상기 네크부(20)와 상기 손잡이부(30)에 결합되는 상기 판상의 돌기부(40)는 상기 네크부(20)와 상기 손잡이부(30)와 비스듬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도7에서 상기 네크부(20)와 상기 손잡이부(30)가 상기 판상의 돌기부(40)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것과 비교되는 것으로, 돌기부(40)의 양끝의 모서리ⓐ, ⓑ의 연장선의 각도차를 이용하여 돌기부의 형태를 변화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11은 본 발명에서 판상의 돌기부를 다양한 형태로 채용한 칫솔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11을 참조하면, 판상의 돌기부(40)로 인해 칫솔 몸체가 경사를 이루어 바 닥과 칫솔모와 치약이 만나지 않는 경우에, 상기 판상의 돌기부(40)의 단면의 형태는 사각형, 원, 다각형, H형, 다양한 형태의 캐릭터를 포함한다.
도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단면도이다.
도12를 참조하면, 칫솔모(12)가 결합된 헤드부(10)와, 상기 헤드부(10)에서 연장 형성된 네크부(20)와, 상기 네크부(20)에서부터 연장 형성된 손잡이부(30)로 이루어질 때, 상기 네크부(20)와 손잡이부(30) 경계로부터 상기 손잡이부(30) 단부 방향으로 상기 손잡이부(30)는 그 단면이 원추형상으로 점점 가늘어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칫솔모(12)가 바닥에 닿지 않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칫솔은 기존의 칫솔과 비교하여 별도의 부속물 등을 사용하지 않고 칫솔 자체의 구조적인 변경으로써 칫솔모를 바닥에 닿지 닿지 않게 하여 용이하고 지속적으로 위생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1, 도2는 종래의 칫솔의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의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칫솔에서 칫솔모가 위로 향하여 바닥에 위치된 경우의 상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의 평면도이고,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의 배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단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단면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단면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단면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에서 판상의 돌기부를 다양한 형태로 채용한 칫솔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헤드부 12 : 칫솔모
20 : 네크부 30 : 손잡이부
30 : 지지부재 31 : 지지판
32 : 미세돌기 34 : 평탄부
35 : 받침돌기 40 : 돌기부
42 : 전방돌기부 44 : 후방돌기부

Claims (8)

  1. 칫솔모가 결합된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에서 연장 형성된 네크부와, 상기 네크부에서부터 연장 형성된 손잡이부로 이루어진 칫솔에 있어서,
    상기 네크부와 손잡이부 사이에는 전후로 돌출되고 좌우 방향으로 확장되어 형성된 돌기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돌기부에 연결되는 상기 손잡이부의 끝단에는 납작한 평탄부로 형성하도록 하여 상기 칫솔의 돌기부와 손잡이부의 단면은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평탄부의 배면에는 받침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전방돌기부와 후방돌기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네크부와 손잡이부를 잇는 중심선에 대하여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와 연결되는 손잡이부의 전면 부분에는 미끄럼 방지용 미세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090021743A 2009-03-13 2009-03-13 칫솔 KR101078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1743A KR101078442B1 (ko) 2009-03-13 2009-03-13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1743A KR101078442B1 (ko) 2009-03-13 2009-03-13 칫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3227A KR20100103227A (ko) 2010-09-27
KR101078442B1 true KR101078442B1 (ko) 2011-10-31

Family

ID=43008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1743A KR101078442B1 (ko) 2009-03-13 2009-03-13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84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1638B1 (ko) * 2012-02-08 2013-09-04 김태훈 일회용 칫솔
US10485330B2 (en) 2017-02-20 2019-11-26 Israel Harry Zimmerman Self-righting toothbrush
US10517386B2 (en) 2017-03-30 2019-12-31 Israel Harry Zimmerman Self-righting toothbrush
KR101907516B1 (ko) * 2017-11-15 2018-10-12 박미라 기능성 칫솔대 및 그 제조방법
USD876097S1 (en) 2018-03-23 2020-02-25 Israel Harry Zimmerman Toothbrush handle
USD874832S1 (en) 2018-03-23 2020-02-11 Israel Harry Zimmerman Toothbrush hand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3227A (ko) 2010-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8442B1 (ko) 칫솔
TWI458453B (zh) Scalp massage brush
US6053464A (en) Suction cup attachment system for use in a shower
CN105722428B (zh) 口腔护理器具
US7552498B2 (en) Brush
US20110088188A1 (en) Hair brush
CN203181793U (zh) 磁力鱼缸刷
KR100962796B1 (ko) 유아용 젖병 세척솔
USD553862S1 (en) Grout cleaning brush
US9756990B2 (en) Washing device
JP4943068B2 (ja) 乳歯ブラシ
JPWO2004089154A1 (ja) 歯ブラシ
TWM480302U (zh) 一體成型無縫隙刷具
USD946901S1 (en) Toothbrush
KR200465802Y1 (ko) 양면 칫솔
KR200482971Y1 (ko) 전방위 칫솔모가 형성된 칫솔
CN205268005U (zh) 一种洗澡擦身手套
CN205513133U (zh) 牙刷
CN201418489Y (zh) 具有刮除舌苔结构的安全牙刷
JP2008295992A (ja) 頭皮クレンジングマッサージ用ブラシ
CN205338859U (zh) 一种塑胶洗刷手套
JP6373182B2 (ja) 清掃又は洗浄具
TWM290692U (en) Finger-mounted toothbrush
KR20130085092A (ko) 칫솔모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는 칫솔
CN217285690U (zh) 一次性杯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1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