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8349B1 - 다중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스위칭 지원 단말기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다중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스위칭 지원 단말기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8349B1
KR101078349B1 KR1020090128487A KR20090128487A KR101078349B1 KR 101078349 B1 KR101078349 B1 KR 101078349B1 KR 1020090128487 A KR1020090128487 A KR 1020090128487A KR 20090128487 A KR20090128487 A KR 20090128487A KR 101078349 B1 KR101078349 B1 KR 1010783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data
service
network
add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8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1823A (ko
Inventor
고재진
민수영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128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8349B1/ko
Publication of KR20110071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18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8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83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스위칭 지원 단말기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 개의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통신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을 기반으로 운용되는 네트워크 기반의 응용 프로그램을 활성화하는 과정, 상기 응용 프로그램 활성화에 따라 지원되는 서비스 운용 시 기 설정된 시점 마다 상기 복수 개의 통신 모듈이 가지는 네트워크 통신 환경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 상기 수집된 통신 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통신 방식을 선택하는 과정, 상기 선택된 통신 방식에 따라 상기 서비스 지원을 수행하도록 지원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구성을 개시하며, 이를 기반으로 끊김 없는 서비스 지원 및 효율적인 네트워크 자원 이용을 달성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다중, 네트워크, 스위칭, 단말

Description

다중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스위칭 지원 단말기 및 방법{Device for supporting Multi Network Interface Switching And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다중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중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지원되는 환경에서 특정 서비스 이용에 따른 데이터 전송을 다중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끊김없이 지원될 수 있도록 하는 다중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스위칭 지원 단말기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발달하면서 시스템들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서비스가 지원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시스템에서의 통신은 특정 시스템들 간에 어떠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사용할 것인가를 정해주고, 한번 정한 방식을 해당 통신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 종료 시 까지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종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통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는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통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네트워크 하드웨어 계층(13)과, 장치 드라이버 계층(12), 프로토콜 드라이버 계층(11) 및 서비스 계층(10)을 포함한다. 이러한 종래 통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네트워크 하드웨어 계층(13)이 각각의 장치 드라이버 계층(12)과 연결되고, 시스템 커널에 포함된 프로토콜 드라이버 계층(11)이 장치 드라이버 계층(12)을 이용하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도록 시스템이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종래 통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해서 시스템의 프로토콜 드라이버 계층(11)은 네트워크에서 시스템을 구분할 수 있는 고유의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할당받게 되며, 서비스 계층(10)은 할당받은 IP 주소를 통하여 네트워크의 다른 시스템과 통신을 할 수 있다. 이때, 네트워크에서 시스템에 할당한 IP주소와 서비스 계층(10)에서 사용하는 IP주소는 동일하다.
상술한 종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서비스 계층(10)을 지원하기 위하여 하나의 프로토콜 드라이버 계층(11)과 장치 드라이버 계층(12) 및 네트워크 하드웨어 계층(13)을 이용하기 때문에, 네트워크 하드웨어 계층(13) 상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서비스 계층(10)에서 운용되는 특정 서비스 지원을 위한 데이터 전송이 불가능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네트워크 하드웨어 계층(13)에 문제가 발생하면 서비스 계층(10)에서 운용되는 서비스가 중단되어 연속적인 서비스 제공이 안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서비스 중단을 복구하기 위하여 각 드라이버 계층을 리셋하는 경우 이전에 사용되던 IP가 변경이 되어 서비스를 새로 시작하게 되며 이에 따라 이전에 제공되던 서비스 이용에 따른 정보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중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환경에서 특정 서비스 지원을 끊김 없이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다중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스위칭 지원 단말기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은 통신부와 저장부 및 중앙처리부를 포함하는 다중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스위칭 지원 단말기를 개시한다. 상기 통신부는 복수 개의 통신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저장부는 상기 통신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을 기반으로 운용되는 네트워크 기반의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하며,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 활성화에 따라 지원되는 서비스 운용 시 기 설정된 시점 마다 상기 복수 개의 통신 모듈이 가지는 네트워크 통신 환경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통신 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통신 모듈을 선택하여 상기 서비스 지원을 수행하도록 지원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복수 개의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통신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을 기반으로 운용되는 네트워크 기반의 응용 프로그램을 활성화하는 과정, 상기 응용 프로그램 활성화에 따라 지원되는 서비스 운용 시 기 설정된 시점 마다 상기 복수 개의 통신 모듈이 가지는 네트워크 통신 환경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 상기 수집된 통신 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통신 방식을 선택하는 과정, 상기 선택된 통신 방식에 따라 상기 서비스 지원을 수행하도록 지원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다중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스위칭 지원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스위칭 지원 단말기 및 방법에 따르면, 하나의 서비스 프로그램이 별도의 조작 없이 여러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어, 네트워크 상황에 따라 서비스가 끊어질 수 있는 단점을 보완하고 전송 데이터의 형식에 따라 적합한 통신방식을 선택함으로써 시스템의 네트워크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단말기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입력부(110), 저장부(120), 표시부(130), 통신부(140) 및 중앙 처리부(15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입력부(110)를 이용하여 저장부(120)에 저장된 특정 서비스 응용 프로그램을 활성화하는 경우, 중앙 처리부(150)가 해당 서비스 지원을 위한 데이터 송수신을 담당하게 된다. 이때 상기 중앙 처리부(150)는 상기 통신부(140)에 포함된 복수 개의 통신 모듈 중 현재 통신 환경에 적합한 어느 하나의 통신 모듈을 실시간으로 이용하여 해당 서비스 지원을 위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특정 서비스를 끊김없이 지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재 통신 환경에서 가장 적합한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하 각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입력부(110)는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키 및 기능키들을 포함한다. 상기 기능키들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방향키, 사이드 키 및 단축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10)는 상기 단말기(100)가 터치스크린을 채용하는 경우 별도의 키 버튼이나 키패드를 채용하지 않고 상기 터치스크린과 케이스 일측에 형성되는 사이드 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110)는 상기 단말기(100)가 터치스크린을 채용하는 경우 다수개의 키들을 포함하는 기본키 맵과 기본키 맵에 따른 터치 패널 세팅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기본키 맵은 쿼티 키맵, 3*4 키맵, 4*3 키맵, 메뉴 맵, 소프트 키 맵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110)는 저장부(120)에 저장된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을 선택하기 위한 입력 신호, 선택된 응용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특정 서비스를 지원하는 경우, 해당 서비스 지원에 필요한 데이터 입력 신호 등을 생성하고, 이를 중앙 처리부(15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1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키보드, 마우스, 음성 인식 기능을 가지는 마이크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2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상기 단말기(100)가 터치스크린으로 형성되는 경우, 터치스크린 운용을 위한 키 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키 맵은 키맵이나 메뉴 맵, 소프트 키 맵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키 맵 및 메뉴 맵은 각각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다. 즉, 키맵은 키보드 맵이나, 3*4 키 맵, 쿼티 키 맵 등이 될 수 있고,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응용 프로그램의 운용 제어를 위한 제어키 맵이 될 수 도 있다. 이러한 상기 저장부(120)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영역은 단말기(100)의 부팅 및 단말기(100) 각 구성의 운용을 위한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다양한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 예를 들면, 인터넷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웹 브라우저, 기타 음원을 재생하기 위한 MP3 응용 프로그램, 사진 등을 재생하기 위한 이미지 출력 응용 프로그램, 동영상 재생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프로그램 영역은 통신부(140)에 포함된 다양한 통신 모듈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프로토콜 드라이 버, 장치 드라이버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프로그램 영역은 다중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스위칭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상기 다중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스위칭 프로그램은 입력부(110)에서 발생된 입력 신호에 의하여 특정 응용 프로그램이 선택되고, 선택된 응용 프로그램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운용되는 서비스인 경우 사용자 설정에 따라 중앙 처리부(150)에 로드되어 활성화될 수 있다. 이러한 다중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스위칭 프로그램은 현재 활성화되는 서비스가 네트워크 기반의 응용 프로그램에 의한 것인지 확인하는 루틴, 다중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스위칭 모드 설정 여부를 확인하는 루틴, 통신부(140)에 포함된 각 통신 모듈들을 활성화하도록 제어하고 통신 환경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루틴, 현재 서비스 지원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확인하는 루틴, 해당 데이터 전송에 적합한 통신 모듈을 선택하는 루틴, 선택된 통신 모듈에 따라 데이터 변환을 수행하는 루틴, 변환된 데이터를 선택된 통신 모듈을 통하여 네트워크에 전송하는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중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스위칭 프로그램은 전송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데이터 수신 시, 이를 상기 응용 프로그램에 전달하는 루틴, 상기 데이터 전송을 위한 가상 IP 운용을 위한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영역은 단말기(100)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서, 다양한 컨텐츠들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데이터 영역은 상기 통신부(140)가 수신한 데이터, 서비스 지원을 위한 가상 IP 주소, 각 통신 모듈 지원을 위한 IP 주소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영역은 상기 통신 부(140)가 수집한 통신 환경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30)는 단말기(100)의 각종 메뉴를 비롯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보 등을 표시한다. 즉 표시부(130)는 단말기(100) 이용에 따른 다양한 화면 예를 들면, 대기화면, 메뉴 화면, 특정 웹 사이트 접속 화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표시부(130)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ed Diode)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13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측에 터치 패널이 배치되는 터치스크린에 포함되도록 제작되는 경우 터치 패널과 함께 입력부(110)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표시부(130)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서비스 지원에 따른 화면 출력 시 현재 선택된 통신 방식 및 통신 모듈에 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통신부(140)에 포함된 다양한 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통신 모듈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은 자동으로 선택될 수 있기 때문에, 이 경우 사용자에게 현재 어떠한 통신 모듈을 기반으로 데이터 송수신을 운용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신부(140)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통신 채널 형성 등을 중앙 처리부(150)의 제어 하에 수행한다. 특히 상기 통신부(140)는 복수개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 통신 모듈을 각기 다른 통신 방식에 따라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통신부(140)는 케이블 기반의 제1 통신 모듈, 무선 접속 기반의 제2 통신 모듈, 이동성 무선 접속 기반의 제3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140)는 예를 들면, 이더넷 방식, 와이브로 방식, HSDPA 방식, 광통신 방식, 근거리 유무선 통신 방식 등을 지원하는 다양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40)에 포함되는 각 통신 모듈들은 중앙 처리부(150) 제어에 따라 활성화되고, 해당 통신 방식 지원을 위한 통신 환경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수집된 통신 환경 정보는 중앙 처리부(150)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40)에 포함되는 각 통신 모듈은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동안 각 네트워크가 지원하는 고유 IP 주소를 할당받게 되며, 해당 고유 IP 주소를 기반으로 특정 서비스 지원을 위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신부(140)는 고유 IP 주소를 기반으로 수신되는 데이터를 중앙 처리부(15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중앙 처리부(150)는 상기 단말기(100)의 각 구성에 전원 공급을 제어하여 초기화 과정을 수행하도록 지원하며, 초기화 과정이 완료되면 각 구성에 대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기반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중앙 처리부(150)는 입력부(110)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신호에 따라 저장부(120)에 저장된 네트워크 기반의 특정 응용 프로그램을 활성화하고, 해당 응용 프로그램 활성화에 따라 생성되는 이미지 등은 표시부(130)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앙 처리부(150)는 특정 응용 프로그램 활성화 시 기 설정된 통신 모듈을 기반으로 해당 서비스 지원을 위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중앙 처리부(150)는 케이블 기반으로 제1 통신 모듈을 기반으로 서비스 지원을 위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앙 처리부(150)는 제1 통신 모듈의 통신 환경이 기 설정된 값 이하로 검출되거나, 일정 주기 또는 실시간 으로 다른 통신 모듈들의 통신 환경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통신 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예비 통신 모듈을 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통신 모듈의 통신 환경이 기 설정된 값 이하인 경우 중앙 처리부(150)는 준비된 예비 통신 모듈을 기반으로 동일한 서비스 지원을 위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앙 처리부(150)는 가상 IP 주소를 마련하여 각 통신 모듈들에 할당된 고유 IP 주소를 매핑하여, 서비스 계층에서 가상 IP 주소를 기반으로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 처리부(150)는 서비스 계층에서 수행되는 현재 데이터 환경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현재 통신 모듈 기반에서 다른 통신 모듈 기반으로 천이되는 경우 해당 데이터 환경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끊김 없는 서비스 지원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중앙 처리부(150)는 상기 서비스 지원을 위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특정 서버에 동일한 단말기(100)임을 인증하는 정보와 현재 필요한 데이터 환경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특정 서버는 해당 단말기(100) 인증을 확인하고, 해당 단말기에 전송되던 데이터 이후 필요한 데이터를 단말기(100) 요청에 따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중앙 처리부(150)에 대하여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중앙 처리부(15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중앙 처리부(150)는 서비스 및 가상 IP 운용부(151), 다중 인터페이스 운용부(153) 및 IP 운용부(155)를 포함한다.
이러한 중앙 처리부(150)는 복수 개의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통신부(140)를 제어하여 각각의 통신 모듈이 형성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할당된 IP와 연동하는 하나의 가상 IP 주소를 구성하고, 서비스 입장에서 하나의 가상 IP 주소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형태를 제공함으로써, 서비스에서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여러개의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이하 각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서비스 및 가상 IP 운용부(151)는 입력부(110)에서 발생되는 입력 신호에 의해 선택된 네트워크 기반의 응용 프로그램이 활성화되는 경우, 활성화된 응용 프로그램에 필요한 다양한 루틴들을 활성화하고, 표시부(130) 등을 통한 데이터 출력을 처리한다. 그리고 상기 서비스 및 가상 IP 운용부(151)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특정 데이터를 생성하고, 해당 데이터를 다중 인터페이스 운용부(153)에 전달한다. 이때, 상기 서비스 및 가상 IP 운용부(151)는 서비스 지원을 위한 가상 IP 주소를 생성하고, 상기 가상 IP 주소를 현재 운용되고 있는 통신 모듈의 고유 IP 주소와 매핑하고, 매핑된 정보로 작성된 데이터를 다중 인터페이스 운용부(153)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다중 인터페이스 운용부(153)는 서비스 및 가상 IP 운용부(151)로부터 가상 IP 주소와 고유 IP 주소의 매핑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수신하면, 해당 데이터를 고유 IP 주소를 가지는 통신 모듈을 통하여 네트워크에 전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중 인터페이스 운용부(153)는 현재 활성화된 통신 모듈이 다양한 통신 환경에 의하여 다른 통신 모듈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다른 통신 모듈의 고유 IP 주소를 가지도록 데이터 변경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중 인터페이스 운용부(153)는 IP 운용부(155)로부터 수신된 특정 통신 모듈의 고유 IP 주소를 가지며 전달된 수신 데이터에 가상 IP 주소를 할당하여 서비스 및 가상 IP 운용부(151)에 전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중 인터페이스 운용부(153)는 다른 통신 모듈로의 전환 시에 데이터 포맷의 변경이 필요한 경우, 해당 데이터의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다중 인터페이스 운용부(153)는 통신부(140)에 포함된 통신 모듈들의 활성화 제어 및 통신 환경 정보 수집과 분석을 수행하고, 이를 기반으로 현재 상태에서의 적합한 통신 모듈 선택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다중 인터페이스 운용부(153)는 데이터 변환이 완료된 데이터 및 IP 주소가 변경된 데이터를 IP 운용부(155)에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다중 인터페이스 운용부(153)의 구성에 대하여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IP 운용부(155)는 다중 인터페이스 운용부(153)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에 대하여 해당 데이터에 포함된 고유 IP 주소를 확인한다. 그리고 상기 IP 운용부(155)는 해당 고유 IP 주소를 가지는 특정 통신 모듈을 기반으로 상기 전달받은 데이터를 네트워크에 전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인터페이스 운용부(153)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5는 도 4의 데이터 처리부(5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6은 도 4의 통신 모듈 운용부(6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중 인터페이스 운용부(153)는 데이터 처 리부(50)와 통신 모듈 운용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50)는 서비스 및 가상 IP 운용부(151)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며, 수신된 데이터의 내용과 형식을 확인하고, 해당 데이터 내용과 형식에 따라 적합한 통신방식을 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기 데이터 처리부(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송 데이터 처리부(51), 데이터 정보 변환부(53) 및 통신 방식 선정부(55)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기 전송 데이터 처리부(51)는 서비스 및 가상 IP 운용부(151)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며, 수신된 데이터의 형식과 내용을 분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전송 데이터 처리부(51)는 서비스 및 가상 IP 운용부(151)가 전달한 데이터의 용량, 데이터의 구성, 데이터의 포맷, 데이터 압축 방식 등을 확인하고, 해당 정보들을 수집한다. 그리고 상기 전송 데이터 처리부(51)는 통신 방식 선정부(55)에 상술한 데이터의 형식 및 내용에 관한 정보를 전달한다. 그리고 통신 방식 선정부(55)가 선정한 통신 방식에 따라 데이터의 정보 변환이 필요한 경우 해당 데이터를 데이터 정보 변환부(53)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정보 변환부(53)는 상기 전송 데이터 처리부(51)로부터 데이터의 정보 변환 요청에 따라 전달된 데이터의 형식을 변환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데이터 정보 변환부(53)는 전송 데이터 처리부(51)로부터 선정된 통신 방식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고, 선정된 통신 방식에 따라 데이터의 형식을 변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데이터 정보 변환부(53)는 데이터 변환에 있어서 통신 방식에 따라 메시지 포맷을 새로 구성하고, 선정된 통신 방식에 할당된 고유 IP 주소 정보를 해당 메시지 에 포함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데이터 정보 변환부(53)는 데이터 변환이 완료되면, 완료된 변환 데이터를 통신 방식 선정부(55)에 전달한다.
상기 통신 방식 선정부(55)는 통신 모듈 운용부(60)로부터 현재 통신 환경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통신 환경 정보와 전송 데이터 처리부(51)가 전달한 데이터의 형식 및 내용을 기반으로 적절한 통신 방식을 선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상기 통신 방식 선정부(55)가 선정하는 통신 방식은 통신부(140)에 포함된 각 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통신 방식 선정부(55)가 통신 방식을 선정하게 되면 통신부(140)에 포함된 복수 개의 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통신 방식 선정부(55)는 통신 모듈 운용부(60)에 각 통신 모듈이 현재 가지는 통신 환경 정보 예를 들면 데이터 전송 속도, 대여폭 할당량, 트래픽 량, 전송 크기 규격 등을 포함하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의 용량이나 실시간 서비스 지원 규격 등에 따른 데이터 전송 속도 등을 고려하여 특정한 통신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상기 통신 모듈 운용부(60)가 일정 주기, 실시간 또는 현재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통신 모듈의 통신 환경 변화여부에 따라 각 통신 모듈들의 통신 환경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저장부(120)에 저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통신 방식 선정부(55)는 상기 통신 환경 정보를 저장부(120)를 참조하여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통신 모듈 운용부(60)는 통신부(140)에 포함된 복수 개의 통신 모듈을 기반으로 각 네트워크 접속 상태 즉 통신 상태를 모니터링 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통신 모듈 운용부(60)는 데이터 처리부(50)로 통신 환경 정보를 전달해주고, 데이터 처리부(50)에서 전달받은 데이터 전송 요청에 의해 선정된 통신 방식을 기반으로 해당 데이터를 해당 통신 모듈을 기반으로 전달되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상기 통신 모듈 운용부(6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환경 관리부(61) 및 통합 네트워크 드라이버(6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환경 관리부(61)는 통신부(140)에 포함된 각 통신 모듈에 의한 네트워크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통신 환경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부(120)에 저장하거나, 데이터 처리부(50)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통신 환경 관리부(61)는 기 설정된 시점에 따라 통신부(140)에 포함된 통신 모듈들을 활성화하도록 제어하고, 각 통신 모듈과 연결되는 네트워크의 통신 환경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신 환경 관리부(61)는 통신 환경 정보 수집이 완료되면, 전원 절약 등을 위하여 해당 통신 모듈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거나, 전원이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경우 통신 모듈의 전원 공급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통신 환경 관리부(61)는 각 통신 모듈이 네트워크로부터 할당받은 고유 IP 주소와 연동하는 별도의 가상 IP 주소를 통하여 서비스가 하나의 IP를 가지고 정보를 전달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통신 모듈 운용부(60)를 통하여 하나의 가상 IP 주소를 기반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며, 가상 IP 주소는 실제 네트워크의 고유 IP 주소와 연동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서비스에서 별도의 작업 없이 필요에 따라 적합한 네트워크를 선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상기 통합 네트워크 드라이버(63)는 통신부(140)의 각 통신 모듈 지원을 위 한 드라이버로서 저장부(120)에 저장되어 있다가 네트워크 기반 서비스 지원 시 중앙 처리부(150)에 로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통합 네트워크 드라이버(63)는 통신부(140)에 포함된 통신 모듈 전체를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드라이버로서, 통신부(140)에 포함된 각 통신 모듈을 개별적으로 지원하는 서브 드라이버들 다수가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스위칭을 지원하는 단말기는 복수 개의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통신부를 운용하되 특정 서비스의 네트워크 접속 시 각 통신 모듈의 통신 환경과 서비스 운용에 따라 데이터 전송에 적합한 통신 모듈을 선택하여 운용하도록 지원함으로써, 최적의 통신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단말기는 특정 통신 모듈을 기반으로 서비스 운용 중에 특정 통신 모듈의 통신 환경이 좋지 않은 경우 적절한 다른 통신 모듈을 선택하여 운용하도록 지원함으로써, 끊김 없는 서비스 지원 및 적절한 품질의 서비스 지원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스위칭을 지원하는 단말기의 구성과, 각 구성들의 역할 및 기능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스위칭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스위칭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중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스위 칭 방법은 먼저 사용자가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서비스 이용을 위한 특정 응용 프로그램을 활성화면, 701 단계에서 단말기(100)는 다중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스위칭을 위한 서비스 모드 활성화 여부를 확인한다. 이 과정에서 별도의 다중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스위칭을 위한 서비스 모드가 활성화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단말기(100)는 703 단계로 분기하여 상기 활성화된 서비스가 지원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단말기(100)는 하나의 통신 모듈을 기반으로 서비스 지원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말기(100)는 701 단계에서 다중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스위칭을 위한 서비스 모드가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 705 단계로 분기하여 현재 활성화된 서비스가 네트워크에 전송할 전송 데이터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별도의 전송 데이터 발생이 없는 경우 상기 단말기(100)는 701 단계 이전으로 분기하여 이하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701 단계에서의 서비스 모드 활성화 여부 확인은 단말기(100) 설정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즉 단말기(100)가 디폴트로 다중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스위칭을 위한 서비스를 지원하는 경우 상기 701 단계는 생략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705 단계에서 전송 데이터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100)는 709 단계로 분기하여 전송 데이터의 데이터 정보 변환이 필요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단말기(100)는 통신 환경 관리부(61)를 운용하여 통신부(140)에 포함된 각 통신 모듈이 네트워크에 접속된 상태에서의 통신 환경 정보를 수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100)는 디폴트로 선택된 통신 모 듈의 통신 방식에 따라 전송 데이터 전송을 제어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전송 데이터의 내용 및 형식이 상기 선택된 통신 방식을 위하여 정보 변환이 필요한 경우 711 단계로 분기하여 데이터 정보 변환부(53)를 이용하여 데이터의 형식을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는 709 단계에서 별도의 데이터 정보 변환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713 단계로 직접적으로 분기하여 전송 데이터를 해당 통신 모듈을 기반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100)는 709 단계에서 데이터 정보 변환 요청에 의하여 711 단계에서 전송 데이터를 변환한 경우, 변환된 데이터를 713 단계에서 해당 통신 모듈을 기반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단말기(100)는 715 단계에서 전송 결과 수신 및 가상 IP 할당 기능에 따라 수신된 전송 결과를 서비스 계층에 전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100)는 715 단계에서 해당 서비스 종료 여부를 확인하고, 종료를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701 단계 이전으로 분기하여 이하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단말기(100)는 707 단계 내지 713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단말기(100)는 다양한 환경적 요인에 의하여 각 통신 모듈의 통신 환경이 변경될 수 있기 때문에, 현재 활성화된 통신 모듈이라 하더라도 해당 통신 모듈의 통신 환경 정보를 수집하여 서비스 이용에 따라 생성된 전송 데이터의 전송이 적절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100)는 전송이 적절하지 않은 경우, 보다 적절한 통신 환경을 가지는 통 신 모듈을 선택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통신 모듈 변경에 따라 전송 데이터의 데이터 정보 변환이 필요한 경우, 그에 대응하여 전송 데이터의 정보 변환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기반의 스위칭 방법 중 중앙 처리부(150)의 데이터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단말기(100)의 중앙 처리부(150)에 포함된 서비스 및 가상 IP 운용부(151)는 사용자가 입력부(110)를 이용하여 저장부(120)에 저장된 특정 응용 프로그램을 활성화하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비스 및 가상 IP 운용부(151)는 서비스 운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를 801 단계에서 전송 데이터 처리부(51)에 전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러면 전송 데이터 처리부(51)는 803 단계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통신 방식 선정부(55)에 전달한다. 그러면 통신 방식 선정부(55)는 805 단계에서 통신 환경 관리부(61)로부터 통신 환경 정보를 요청하고 해당 통신 환경 정보를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통신 방식 선정부(55)는 통신 환경 정보를 기준으로 수신된 데이터의 형식 변환이 필요한지 여부를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807 단계에서 데이터 정보 변환부(53)에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정보 변환을 통신 방식 선정부(55)가 요청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전송 데이터 처리부(51)가 상기 통신 방식 선정부(55)로부터 데이터 정보 변환 필요에 대한 메시지를 수신하면, 데이터 정보 변환을 위하여 데이터 형식과 내용을 데이터 정보 변환부(53)에 전달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전송 데이터 처리 부(51)는 809 단계에서 데이터 정보 변환부(53)에 수신된 데이터의 형식 및 내용을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데이터 정보 변환부(53)는 데이터 형식 변환 요청이 발생하는 경우, 수신된 데이터의 형식을 변환하여 변환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811 단계에서 통신 방식 선정부(55)에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통신 방식 선정부(55)는 813 단계에서 변환 데이터를 통신 환경 관리부(61)에 전달하면서, 해당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특정 서버 등에 전송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통신 환경 관리부(61)는 전송 요청에 따른 데이터를 815 단계에서 통합 네트워크 드라이버(63)를 통하여 특정 통신 모듈과 연결된 네트워크에 전파할 수 있다. 이후 전송한 데이터에 대한 전송 결과를 통합 네트워크 드라이버(63)가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통합 네트워크 드라이버(63)는 817 단계에서 전송 결과를 통신 환경 관리부(61)에 전달한다. 그러면 전송 결과는 819 단계에서 통신 환경 관리부(61)에서 통신 방식 선정부(55)로, 821 단계에서 통신 방식 선정부(55)에서 전송 데이터 처리부(51)로 전달되고, 823 단계에서 전송 데이터 처리부(51)는 해당 전송 결과에 가상 IP 주소를 적용하여 서비스 및 가상 IP 운용부(151)에 전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송 결과가 통신 환경 관리부(61), 통신 방식 선정부(55)를 거쳐 전송 데이터 처리부(51)에 전달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상술한 구성들을 거치지 않고 전송 결과를 전송 데이터 처리부(51)에 직접적으로 전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중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스위칭 방법은 특정 서비스 이용 시 전송할 데이터에 대하여 현재 통신 환경에 따라 적절한 통신 모듈을 선택하여 운용할 수 있으며, 이를 지원하기 위한 데이터 정보 변환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중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스위칭 방법은 수신된 전송 결과에 대하여 가상 IP 주소를 적용함으로써 서비스 운용 시 각 통신 모듈별로 새로운 IP 주소 적용을 수행하지 않고 전체 통신 모듈들에 대하여 통합적으로 서비스 지원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중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스위칭 방법은 사용자 서비스에서 별도의 작업없이 유비쿼터스 통신 환경에 따라 여러개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선택하여 사용함으로써 사용자는 끊어지지 않은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서비스 제공자는 손쉽게 유비쿼터스 서비스, 모바일 단말 통신 서비스, ITS 서비스 및 텔레메틱스 서비스 등을 개발 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단말기(100)는 그 제공 형태에 근거리 통신을 위한 근거리통신모듈, 피사체의 정지영상/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모듈 및 디지털 방송 수신과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방송모듈 등과 같이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구성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상기 언급된 구성 요소들과 동등한 수준의 구성 요소가 상기 디바이스에 추가로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상기한 구성에서 특정 구성들이 제외되거나 다른 구성으로 대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겐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단말기(100)는 다양한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모든 형태의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단말기(100)는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에 대응되는 통신 프로토콜들(communication protocols)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들(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을 비롯하여,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디지털방송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음악 재생기(예컨대, MP3 플레이어), 휴대게임단말, 스마트 폰(Smart Phone), PC, 노트북(Notebook) 및 핸드헬드 PC 등 모든 정보통신기기와 멀티미디어기기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균등론에 따라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계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도 2의 중앙 처리부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의 다중 인터페이스 운용부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3의 데이터 처리부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3의 통신 모듈 운용부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스위칭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중앙 처리부 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00 : 단말기 110 : 입력부
120 : 저장부 130 : 표시부
140 : 통신부 150 : 중앙 처리부
151 : 서비스 및 가상 IP 운용부 153 : 다중 인터페이스 운용부
155 : IP 운용부 50 : 데이터 처리부
60 : 통신 모듈 운용부

Claims (9)

  1. 서로 다른 통신 방식에 따라서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복수 개의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을 기반으로 운용되는 네트워크 기반의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부;
    복수 개의 통신 모듈이 각각 형성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할당된 고유 IP 주소와 연동하기 위한 하나의 가상 IP 주소를 매핑하여 설정하고, 상기 응용 프로그램 활성화에 따라 지원되는 서비스 운용 시 기 설정된 시점 마다 상기 복수 개의 통신 모듈이 가지는 네트워크 통신 환경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통신 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통신 모듈을 선택하고, 상기 특정 통신 모듈로 수신된 데이터의 고유 IP 주소를 상기 가상 IP 주소로 변경하여 응용 프로그램에 전달하고, 응용 프로그램으로부터 송신 요청된 데이터의 가상 IP 주소를 상기 특정 통신 모듈의 고유 IP 주소로 변경하여 상기 특정 통신 모듈에서 서비스 지원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중앙처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스위칭 지원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서비스 지원 시 각 통신 모듈에 할당되는 네트워크 고유 IP 주소를 통합 운용하기 위한 가상 IP 주소를 생성하여 운용하는 서비스 및 가상 IP 운용부;
    상기 복수 개의 통신 모듈이 가지는 네트워크 통신 환경 정보에 따라 통신 방식을 선정하는 다중 인터페이스 운용부;
    상기 서비스 지원에 따라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복수의 통신 모듈의 고유 IP 주소를 관리하는 IP 운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스위칭 지원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인터페이스 운용부는
    상기 서비스 지원에 따른 데이터 전송 시에 상기 데이터의 형식 및 내용을 선택된 통신 방식에 따라 선택적으로 변환하는 데이터 처리부;
    상기 데이터 및 변환된 데이터를 상기 선정된 통신 방식에 대응하는 통신 모듈을 통하여 전송하고 그에 따른 전송 결과를 수신하는 통신 모듈 운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스위칭 지원 단말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서비스 운용에 따른 데이터를 수신하고 데이터의 내용 및 형식을 확인하는 전송 데이터 처리부;
    상기 네트워크 통신 환경 정보와 상기 전송 데이터 처리부가 전달하는 데이터의 내용 및 형식에 따라서 상기 복수 개의 통신 모듈이 각각 지원하는 통신 방식중 하나를 선택하는 통신 방식 선정부;
    상기 통신 방식 선정에 따라 상기 데이터의 형식 변환 요구가 발생하면, 데이터의 형식을 변환하는 데이터 정보 변환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스위칭 지원 단말기.
  5. 서로 다른 통신 방식으로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복수 개의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통신부 운용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을 기반으로 운용되는 네트워크 기반의 응용 프로그램을 활성화하는 과정;
    상기 응용 프로그램 활성화에 따라 지원되는 서비스 운용 시 기 설정된 시점 마다 상기 복수 개의 통신 모듈이 가지는 네트워크 통신 환경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
    상기 수집된 네트워크 통신 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통신 방식을 선택하는 과정; 및
    복수 개의 통신 모듈이 각각 형성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할당된 고유 IP주소와 연동하기 위한 하나의 가상 IP 주소를 매핑하여 설정하고, 상기 특정 통신 방식에 대응하는 특정 통신 모듈로 수신된 데이터의 고유 IP 주소를 가상 IP 주소로 변경하여 응용 프로그램에 전달하고, 응용 프로그램으로부터 송신 요청된 데이터의 가상 IP 주소를 상기 특정 통신 모듈의 고유 IP 주소로 변경하여 상기 선택된 통신 방식에 따라 송신되도록 상기 서비스 지원을 수행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스위칭 지원 방법.
  6. 삭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지원을 수행하는 과정은
    상기 서비스 운용에 따라 전송할 데이터의 내용 및 형식을 확인하는 과정;
    상기 선택된 특정 통신 방식에 따라 상기 데이터의 형식을 변환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데이터의 형식을 변환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스위칭 지원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지원을 수행하는 과정은
    상기 데이터 또는 변환된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하는 과정;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전송된 데이터 또는 변환된 데이터의 전송 결과를 수신하는 과정;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스위칭 지원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지원을 수행하는 과정은
    상기 수신된 전송 결과에 상기 가상 IP 주소를 적용하여 상기 서비스에 적용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스위칭 지원 방법.
KR1020090128487A 2009-12-21 2009-12-21 다중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스위칭 지원 단말기 및 방법 KR1010783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8487A KR101078349B1 (ko) 2009-12-21 2009-12-21 다중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스위칭 지원 단말기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8487A KR101078349B1 (ko) 2009-12-21 2009-12-21 다중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스위칭 지원 단말기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1823A KR20110071823A (ko) 2011-06-29
KR101078349B1 true KR101078349B1 (ko) 2011-10-31

Family

ID=44402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8487A KR101078349B1 (ko) 2009-12-21 2009-12-21 다중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스위칭 지원 단말기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83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2155B1 (ko) * 2011-10-21 2013-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307826B1 (ko) * 2011-11-28 2013-09-1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지원하는 장치
KR102389003B1 (ko) 2015-10-13 2022-04-2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종망간 전환시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367456B1 (ko) * 2015-12-03 2022-02-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통신 연결 방법
US11895571B2 (en) 2021-04-06 2024-0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transmitting and/or receiving packet through network sl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8566B1 (ko) 2005-12-09 2006-12-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중 시스템 단말과 그의 서비스 적응 장치 및 방법
KR100726852B1 (ko) * 2005-12-08 2007-06-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중 모드 단말 및 이를 이용한 통신 경로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6852B1 (ko) * 2005-12-08 2007-06-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중 모드 단말 및 이를 이용한 통신 경로 제어 방법
KR100658566B1 (ko) 2005-12-09 2006-12-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중 시스템 단말과 그의 서비스 적응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1823A (ko) 2011-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55887B (zh) 对应多移动装置的线上服务的提供方法与系统
US8260354B2 (en) Operating device and method for universal IC card
US8972519B2 (en) Optimization of multimedia service over an IMS network
CN111818669B (zh) 移动终端及其数据传输方法
CN100518125C (zh) 通信装置、系统和方法
US8705447B2 (en) Remote control method and system, and remote control method of a mobile device
CN101499010B (zh) 一种在手机上使用桌面应用程序的方法
KR101078349B1 (ko) 다중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스위칭 지원 단말기 및 방법
WO2005109988A2 (en) Priority sess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20110105028A1 (en) Mobile terminal and communication method for determining a communication protocol
CN109428839B (zh) 一种cdn调度方法、设备及系统
EP3065047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multi-screen by distributing screen and sharing input interface between user
JP6583653B2 (ja) ストリーミングメディア送信方法及びシステム、ユーザ機器及びサーバ
US9313613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performing unsolicited location-based download
CN105450758A (zh) 一种多媒体文件播放的方法及终端
CN109981793B (zh) 一种远程输入的方法
CN111400072B (zh) 接口调用方法、存储介质和相关设备
KR100774848B1 (ko) 메뉴 리스트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2839007B (zh) 一种网络攻击的防御方法及装置
CN114071652A (zh) 一种绑定关系的建立方法以及相关设备
KR101561524B1 (ko) 원격 사용자 인터페이스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003649A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30003314A (ko) 씬 클라이언트 아키텍쳐를 이용한 무선 pda 서비스시스템
CN111787587B (zh) 数据传输方法、装置和电子设备
CN114860370B (zh) 一种显示设备、服务器及软件开发工具包切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