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3649A -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3649A
KR20090003649A KR1020070066484A KR20070066484A KR20090003649A KR 20090003649 A KR20090003649 A KR 20090003649A KR 1020070066484 A KR1020070066484 A KR 1020070066484A KR 20070066484 A KR20070066484 A KR 20070066484A KR 20090003649 A KR20090003649 A KR 200900036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initial access
gateway devic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6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05559B1 (ko
Inventor
조상영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66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5559B1/ko
Publication of KR20090003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36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5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55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6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47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based on conditions of the access network or the infrastructur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73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adapting protocols for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to wireless environment, e.g. adapting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8Upper layer protocols
    • H04W80/10Upper layer protocols adapted for application session management, e.g. 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6Gateway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무선 인터넷 접속 및 콘텐츠를 다운로드하는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것으로,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통신 환경에 관계없이 무선 인터넷을 위한 초기 접속을 수행하고, 이에 따른 콘텐츠를 다운로드하는 종래 방법과는 달리, 무선 인터넷의 초기 접속 시 이동 통신 단말기의 ACK(ACKnowledge character) 메시지 정보에 따라 GUI(Graphic User Interface) 기반 초기 접속 또는 텍스트 기반 초기 접속을 선택적으로 수행하고, 특정 콘텐츠의 다운로드 시에 이동 통신 단말기의 상태 정보에 따라 패킷 사이즈를 조정한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이동 통신 단말기의 통신 환경에 따라 원활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동 통신 단말기, ACK 메시지, GUI 기반 초기 접속 데이터, 텍스트 기반 초기 접속 데이터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COMMUNICATION SERVICE SYSTEM AND ITS METHOD USING BY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신 서비스 기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초기 접속 및 콘텐츠 다운로드 시 무선 인터넷을 통한 원활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적합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는 단순한 음성 통화 기능 외에 내장 카메라나 메모리 등을 탑재하여 디지털 카메라 촬영이나 MP3 음악 파일을 재생할 수 있는 등 멀티미디어 단말기로 그 기능이 확장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기능 향상으로 인해 이동 통신 단말기의 서비스 또한 음성 통화를 위한 통신 서비스의 제공에만 그치지 않고, 이동 통신 단말기에 새로이 부가되는 멀티미디어 기능을 이용하는 다양한 부가 서비스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예를 들어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블루투스(Bluetooth),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Zigbee 등)을 이용하여 특정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데, 예를 들면, 무선 헤드셋 등을 이용한 MP3 감상, 무선 마이크를 이용한 음성 통화 등의 기능을 제공하고, 더 나아가 게임 기능, DMB 기능 등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도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한 다양한 기능들이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을 위해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데, 이는 무선 인터넷에 할당된 특정키를 이용하여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고, 무선 인터넷을 통해 전송되는 초기 접속 메뉴 화면을 제공받아 원하는 콘텐츠를 검색 및 요청하여 해당 콘텐츠를 무선 인터넷을 통해 다운로드하게 된다.
하지만, 종래에 무선 인터넷을 이용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는 경우에 이동 통신 단말기의 통신 환경(상태)에 따라 초기 접속 및 콘텐츠 다운로드 중에 무선 인터넷의 접속이 지연되거나 접속이 끊기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이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는데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초기 접속 시 이동 통신 단말기의 ACK 메시지 도착 시간에 따라 GUI 기반 또는 텍스트 기반 초기 접속 데이터를 선택 전송하여 무선 인터넷에 따른 통신 서비스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콘텐츠 제공 시 이동 통신 단말기의 ACK 메시지 및 윈도우 사이즈에 따라 패킷 사이즈를 조정하여 무선 인터넷에 따른 통신 서비스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 관점의 일 양태에 따른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신 서비스 시스템으로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의 초기 접속 세션 연결을 위한 ACK 메시지의 도착 시간에 따라 텍스트 기반 또는 GUI 기반 초기 접속 데이터를 요청하도록 라우팅하고, 이를 통해 제공된 초기 접속 화면을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콘텐츠 요청 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ACK 메시지 및 윈도우 사이즈에 따라 수신되는 해당 콘텐츠를 패킷 사이즈를 조정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게이트웨이 장치와,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로부터 요청된 상기 텍스트 기반 또는 GUI 기반 초기 접속 데이터를 추출하여 전송하고, 이를 통해 요청된 콘텐츠를 추출하여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로 전송하는 초기 접속 서버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신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일 관점의 다른 양태에 따른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게이트웨이 장치로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ACK 메시지의 도착 시간에 따라 상기 텍스트 기반 초기 접속 데이터 또는 GUI 기반 초기 접속 데이터를 요청하도록 라우팅하고, 이에 따라 상기 초기 접속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해당 초기 접속 데이터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며, 이를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요청된 콘텐츠를 상기 초기 접속 서버로 요청 및 수신한 후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ACK 메시지 및 윈도우 사이즈에 따라 패킷 사이즈를 조정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TCP/IP 패킷 핸들러와, 상기 이동 통신 단말 기를 통해 송수신되는 패킷 데이터를 저장하여 필요에 따라 상기 TCP/IP 패킷 핸들러로 제공하는 TCP/IP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게이트웨이 장치를 제공한다.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신 서비스 방법으로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의 초기 접속 요청에 따라 게이트웨이 장치에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세션 연결을 위한 ACK 메시지의 도착 시간을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ACK 메시지의 도착 시간이 기준 도착 시간보다 상대적으로 빠른 경우 GUI 기반 초기 접속 데이터를 초기 접속 서버로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ACK 메시지의 도착 시간이 기준 도착 시간보다 상대적으로 느린 경우 텍스트 기반 초기 접속 데이터를 상기 초기 접속 서버로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GUI 기반 초기 접속 데이터 또는 텍스트 기반 초기 접속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 및 이동 통신망을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의 특정 콘텐츠 요청 시 초기 접속 서버에서 해당 콘텐츠를 추출하여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전송된 해당 콘텐츠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ACK 메시지 및 윈도우 사이즈에 따라 패킷 사이즈를 조정하여 상기 이동 통신망을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신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통신 환경에 관계없이 무선 인터넷을 위한 초기 접속을 수행하고, 이에 따른 콘텐츠를 다운로드하는 종래 방법과는 달리, 이 동 통신 단말기의 초기 접속 시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ACK 메시지의 도착 시간을 기준 시간과 비교하여 GUI 기반 초기 접속 데이터 또는 텍스트 기반 초기 접속 데이터를 선택 제공하고, 특정 콘텐츠 다운로드 시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ACK 메시지 및 윈도우 사이즈 정보에 따라 패킷 사이즈를 조정한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이동 통신 단말기의 통신 환경에 따라 원활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요지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초기 접속 시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ACK 메시지의 도착 시간을 기준 시간과 비교하여 GUI 기반 초기 접속 데이터 또는 텍스트 기반 초기 접속 데이터를 선택 제공하고, 특정 콘텐츠 다운로드 시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ACK 메시지 및 윈도우 사이즈 정보에 따라 패킷 사이즈를 조정한 콘텐츠를 제공한다는 것이며, 이러한 기술적 수단을 통해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통신 환경에 따라 초기 접속 및 콘텐츠를 제공하는데 적합한 통신 서비스 시스템의 블록구성도로서, 이동 통신 단말기(102), 이동 통신망(104), 게이트웨이 장치(106), 제 1 초기 접속 서버(108) 및 제 2 초기 접속 서버(110)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102)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로서, 키패드 상에 구비된 무선 인터넷 접속 키가 입력되면 이동 통신망(104)을 통해 무선 인터넷에 대한 초기 접속을 요청하고, 이동 통신망(104)을 통해 전송되는 초기 접속 데이터(GUI 기반 초기 접속 데이터 또는 텍스트 기반 초기 접속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에 대한 메뉴 화면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102)는 무선 인터넷의 초기 접속을 요청할 때, 무선 인터넷의 세션 연결을 위한 ACK 메시지를 이동 통신망(104)을 통해 게이트웨이 장치(106)로 전송한다.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102)에서는 초기 접속 데이터에 대한 메뉴 화면을 통해 특정 콘텐츠를 선택하는 키가 입력되면, 이동 통신망(104)을 통해 해당 콘텐츠를 요청하고, 이에 따라 이동 통신망(104)을 통해 수신된 해당 콘텐츠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102)는 콘텐츠를 요청할 때, 무선 인터넷 세션 연결을 위한 ACK 메시지 및 윈도우 사이즈 정보를 이동 통신망(104)을 통해 게이트웨이 장치(106)로 전송한다.
그리고, 이동 통신망(104)은 이동 통신 단말기(102)와 게이트웨이 장치(106)를 접속시켜 상호 통신을 연결하는 것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102)로부터의 초기 접속 요청을 게이트웨이 장치(106)로 전송하고, 이에 따라 게이트웨이 장치(106)로부터 전송되는 초기 접속 데이터(GUI 기반 초기 접속 데이터 또는 텍스트 기반 초기 접속 데이터)를 이동 통신 단말기(102)로 전송하며, 이동 통신 단말기(102)로부터의 콘텐츠 제공 요청을 게이트웨이 장치(106)로 전송하고, 이에 따라 게이트웨이 장치(106)로부터 전송되는 패킷 사이즈가 조정된 콘텐츠를 이동 통신 단말기(102) 로 전송한다.
여기에서, 이동 통신망(104)은 동기식의 경우 이동 통신 단말기(102)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수신 및 송신하는 기지국(BS : Base Station)을 제어하고, 이를 통해 전송되는 무선 신호를 전송하며, 수신되는 각종 패킷 데이터를 이동 통신 단말기(102)로 제공하는 BSC(Base Station Controller)와, BSC로부터 전송되는 무선 신호를 이동 통신 단말기(102)에 대한 IP를 할당하여 게이트웨이 장치(106)로 접속시키며, 이를 통해 패킷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하는 PDSN(Packet Data Serving Node)을 포함하여 구성되거나 혹은 비동기식의 경우 이동 통신 단말기(102)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수신 및 송신하는 노드 B(Node-B)를 제어하고, 이를 통해 전송되는 무선 신호를 전송하며, 수신되는 각종 패킷 데이터를 이동 통신 단말기(102)로 제공하는 RNC(Radio Network Controller)와, RNC로부터 전송되는 무선 신호를 이동 통신 단말기(102)에 대한 IP를 할당하여 게이트웨이 장치(106)로 접속시키며, 이를 통해 패킷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하는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음에, 게이트웨이 장치(106)는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패킷 핸들러와 TCP/IP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102)로부터 이동 통신망(104)을 통해 전송되는 ACK 메시지의 도착 시간을 체크하여 GUI 기반 초기 접속 데이터 또는 텍스트 기반 초기 접속 데이터를 요청하도록 제 1 초기 접속 서버(108) 또는 제 2 초기 접속 서버(110)로 라우팅하고, 이에 따라 제 1 초기 접속 서버(108) 또는 제 2 초기 접속 서버(110)로 부터 전송되는 해당 초기 접속 데이터(GUI 초기 접속 데이터 또는 텍스트 기반 초기 접속 데이터)를 이동 통신망(104)을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102)로 전송한다. 여기에서, 제 1 초기 접속 서버(108)는 예를 들면, GUI 기반 초기 접속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이며, 제 2 초기 접속 서버(110)는 예를 들면, 텍스트 기반 초기 접속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를 의미하며, 무선 인터넷 세션 연결을 위해 이동 통신 단말기(102)로부터 수신되는 ACK 메시지의 도착 시간이 기준 도착 시간보다 상대적으로 빠른 경우 제 1 초기 접속 서버(108)로 GUI 기반 초기 접속 데이터를 요청하고, 이동 통신 단말기(102)로부터 수신되는 ACK 메시지의 도착 시간이 기준 도착 시간보다 상대적으로 느린 경우 제 2 초기 접속 서버(110)로 텍스트 기반 초기 접속 데이터를 요청한다.
또한, 게이트웨이 장치(106)는 해당 초기 접속 데이터(GUI 초기 접속 데이터 또는 텍스트 기반 초기 접속 데이터)를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102)로부터 요청된 콘텐츠를 제 1 초기 접속 서버(108) 또는 제 2 초기 접속 서버(110)로 요청하고, 이에 따라 전송되는 해당 콘텐츠를 이동 통신 단말기(102)의 ACK 메시지 및 윈도우 사이즈 정보에 따른 통신 환경에 따라 해당 콘텐츠의 패킷 사이즈를 조정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102)로 이동 통신망(104)을 통해 전송한다. 여기에서, 게이트웨이 장치(106)에서는 ACK 메시지와 윈도우 사이즈가 기준값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값을 갖으면 최대 전송 사이즈(MSS : Maximum Segment Size)를 최대(예를 들면, 1500Bytes 등)로 패킷 사이즈를 조정하여 전송하고, ACK 메시지와 윈도우 사이즈가 기준값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값을 갖으면 최대 전송 사이즈(MSS)를 최소(예를 들면, 500Bytes 등)로 패킷 사이즈를 조정하여 전송한다.
한편, 제 1 초기 접속 서버(108)는 GUI 기반 초기 접속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로서, 게이트웨이 장치(106)로부터 GUI 기반 초기 접속 데이터가 요청되면, 해당 데이터를 추출하여 게이트웨이 장치(106)로 전송하고, 제 2 초기 접속 서버(110)는 텍스트 기반 초기 접속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로서, 게이트웨이 장치(106)로부터 텍스트 기반 초기 접속 데이터가 요청되면, 해당 데이터를 추출하여 게이트웨이 장치(106)로 전송하며, 이 후 게이트웨이 장치(106)로부터 요청된 해당 콘텐츠를 추출하여 게이트웨이 장치(106)로 전송한다. 여기에서, 콘텐츠를 저장하는 콘텐츠 데이터베이스가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는데, 이는 제 1 초기 접속 서버(108) 및 제 2 초기 접속 서버(110)에 각각 구성되거나 혹은 제 1 초기 접속 서버(108) 및 제 2 초기 접속 서버(110)에 연결된 하나의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로 하여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통신 서비스 시스템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초기 접속을 요청할 때,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ACK 메시지의 도착 시간을 체크하여 GUI 기반 초기 접속 데이터 또는 텍스트 기반 초기 접속 데이터를 선택 제공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ACK 메시지의 도착 시간에 따라 초기 접속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102)에서 무선 인터넷 연결을 위한 특정 키가 입력될 경우 이러한 입력에 따라 무선 인터넷의 초기 접속을 이동 통신망(104)을 통해 게이트웨이 장치(106)로 요청한다(단계202). 이 때, 이동 통신 단말기(102)에서는 무선 인터넷 세션 연결을 위한 ACK 메시지를 이동 통신망(104)을 통해 게이트웨이 장치(106)로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게이트웨이 장치(106)에서는 이동 통신 단말기(102)로부터의 초기 접속 요청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102)로부터 전송되는 ACK 메시지의 도착 시간을 측정하고(단계204), 측정된 ACK 메시지의 도착 시간을 기 저장된 기준 도착 시간과 비교한 후에(단계206), 측정된 ACK 메시지의 도착 시간이 기준 도착시간보다 상대적으로 더 빠른 값을 갖는지를 체크한다(단계208).
상기 단계(208)에서의 체크 결과, 측정된 ACK 메시지의 도착 시간이 기준 도착시간보다 상대적으로 더 느린 값을 갖는 경우 게이트웨이 장치(106)에서는 이동 통신 단말기(102)로부터의 초기 접속 요청에 따라 제 2 초기 접속 서버(110)로 라우팅하여 텍스트 기반 초기 접속 데이터를 요청한다(단계210). 여기에서, 제 2 초기 접속 서버(110)는 예를 들면, 텍스트 기반 초기 접속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를 의미한다.
그리고, 제 2 초기 접속 서버(110)에서는 게이트웨이 장치(106)로부터의 텍스트 기반 초기 접속 데이터 요청에 따라 해당 텍스트 기반 초기 접속 데이터를 추출한 후에(단계212), 이러한 텍스트 기반 초기 접속 데이터를 게이트웨이 장치(106)로 전송하고, 게이트웨이 장치(106)에서는 전송되는 텍스트 기반 초기 접속 데이터를 이동 통신망(104)을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102)로 전송한다(단계214).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102)에서는 이동 통신망(104)을 통해 전송되는 텍스트 기반 초기 접속 데이터를 이용하여 초기 접속 메뉴 화면을 구성한 후에 이를 제공한다(단계216).
한편, 상기 단계(208)에서의 체크 결과, 측정된 ACK 메시지의 도착 시간이 기준 도착시간보다 상대적으로 더 빠른 값을 갖는 경우 게이트웨이 장치(106)에서는 이동 통신 단말기(102)로부터의 초기 접속 요청에 따라 제 1 초기 접속 서버(108)로 라우팅하여 GUI 기반 초기 접속 데이터를 요청한다(단계218). 여기에서, 제 1 초기 접속 서버(108)는 예를 들면, GUI 기반 초기 접속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를 의미한다.
그리고, 제 1 초기 접속 서버(108)에서는 게이트웨이 장치(106)로부터의 GUI 기반 초기 접속 데이터 요청에 따라 해당 GUI 기반 초기 접속 데이터를 추출한 후에(단계220), 이러한 GUI 기반 초기 접속 데이터를 게이트웨이 장치(106)로 전송하고, 게이트웨이 장치(106)에서는 전송되는 GUI 기반 초기 접속 데이터를 이동 통신망(104)을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102)로 전송한다(단계222).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102)에서는 이동 통신망(104)을 통해 전송되는 GUI 기반 초기 접속 데이터를 이용하여 초기 접속 메뉴 화면을 구성한 후에 이를 제공한다(단계224).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이 GUI 기반 초기 접속 데이터 또는 텍스트 기반 초기 접속 데이터를 선택 제공한 상태에서 특정 콘텐츠가 요청되면, 이동 통신 단말기의 ACK 메시지 및 윈도우 사이즈 정보에 따라 패킷 사이즈가 조정된 콘텐츠를 이 동 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ACK 메시지 및 윈도우 사이즈에 따라 패킷 사이즈를 조정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102)에서 무선 인터넷 연결을 위한 특정키가 입력될 경우 이러한 입력에 따라 무선 인터넷의 초기 접속을 이동 통신망(104)을 통해 게이트웨이 장치(106)로 요청한다(단계302). 이 때, 이동 통신 단말기(102)에서는 무선 인터넷 세션 연결을 위한 ACK 메시지를 이동 통신망(104)을 통해 게이트웨이 장치(106)로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게이트웨이 장치(106)에서는 이동 통신 단말기(102)로부터의 초기 접속 요청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102)로부터 전송되는 ACK 메시지의 도착 시간을 측정하고(단계304), 측정된 ACK 메시지의 도착 시간을 기 저장된 기준 도착 시간과 비교한다(단계306).
상기 단계(306)에서의 비교 결과에 따라, 게이트웨이 장치(106)에서는 제 1 초기 접속 서버(108) 또는 제 2 초기 접속 서버(110)로 선택적으로 라우팅하여 GUI 기반 초기 접속 데이터 또는 텍스트 기반 초기 접속 데이터를 요청한다(단계308).
다음에, 제 1 초기 접속 서버(108) 또는 제 2 초기 접속 서버(110)에서는 게이트웨이 장치(106)로부터의 초기 접속 데이터 요청에 따른 해당 초기 접속 데이터(GUI 기반 초기 접속 데이터 또는 텍스트 기반 초기 접속 데이터)를 추출한다(단계310).
그리고, 제 1 초기 접속 서버(108) 또는 제 2 초기 접속 서버(110)에서는 추출된 초기 접속 데이터를 게이트웨이 장치(106)로 전송하고, 게이트웨이 장치(106)에서는 이러한 초기 접속 데이터를 이동 통신망(104)을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102)로 전송한다(단계312).
이어서, 이동 통신 단말기(102)에서는 이동 통신망(104)을 통해 전송되는 초기 접속 데이터(GUI 기반 초기 접속 데이터 또는 텍스트 기반 초기 접속 데이터)를 이용하여 초기 접속 메뉴 화면을 구성한 후에 이를 제공한다(단계314).
한편, 이동 통신 단말기(102)에서는 제공된 초기 접속 메뉴 화면을 통해 특정 콘텐츠를 선택(다운로드)하는 키가 입력될 경우 이에 따른 특정 콘텐츠를 이동 통신망(104)을 통해 게이트웨이 장치(106)로 요청한다(단계316). 이 때, 이동 통신 단말기(102)에서는 그 상태 정보(즉, 무선 인터넷 세션 연결을 위한 ACK 메시지 및 윈도우 사이즈 정보)를 이동 통신망(104)을 통해 게이트웨이 장치(106)로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게이트웨이 장치(106)에서는 이동 통신 단말기(102)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제 1 초기 접속 서버(108) 또는 제 2 초기 접속 서버(110)로 선택 라우팅하여 해당 콘텐츠를 요청한다(단계318).
다음에, 제 1 초기 접속 서버(108) 또는 제 2 초기 접속 서버(110)에서는 요청된 해당 콘텐츠를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미도시됨)에서 추출한 후에, 이를 게이트웨이 장치(106)로 전송한다(단계320, 322).
한편, 게이트웨이 장치(106)에서는 이동 통신 단말기(102)로부터 전송된 상 태 정보(즉, 무선 인터넷 세션 연결을 위한 ACK 메시지 및 윈도우 사이즈 정보)에 따라 전송되는 콘텐츠의 패킷 사이즈를 조정한다(단계324). 예를 들면, 게이트웨이 장치(106)에서는 ACK 메시지와 윈도우 사이즈가 기준값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값을 갖으면 최대 전송 사이즈(MSS)를 최대(예를 들면, 1500Bytes 등)로 패킷 사이즈를 조정하여 전송하고, ACK 메시지와 윈도우 사이즈가 기준값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값을 갖으면 최대 전송 사이즈(MSS)를 최소(예를 들면, 500Bytes 등)로 패킷 사이즈를 조정하여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게이트웨이 장치(106)에서는 패킷 사이즈가 조정된 콘텐츠를 이동 통신망(104)을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102)로 전송하고, 이동 통신 단말기(102)에서는 이를 다운로드하여 이러한 콘텐츠를 제공한다(단계326, 328).
따라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초기 접속 시 ACK 메시지의 도착 시간에 따라 GUI 기반 초기 접속 또는 텍스트 기반 초기 접속을 선택 요청하고, 이러한 초기 접속 화면을 통해 특정 콘텐츠를 다운로드할 때, ACK 메시지 및 윈도우 사이즈 정보에 따라 해당 콘텐츠의 패킷 사이즈를 조정하여 제공함으로써,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활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통신 환경에 따라 초기 접속 및 콘텐츠를 제공하는데 적합한 통신 서비스 시스템의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ACK 메시지의 도착 시간에 따라 초기 접속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ACK 메시지 및 윈도우 사이즈에 따라 패킷 사이즈를 조정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 : 이동 통신 단말기 104 : 이동 통신망
106 : 게이트웨이 장치 108 : 제 1 초기 접속 서버
110 : 제 2 초기 접속 서버

Claims (17)

  1.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신 서비스 시스템으로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의 초기 접속 세션 연결을 위한 ACK(ACKnowledge character) 메시지의 도착 시간에 따라 텍스트 기반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 기반 초기 접속 데이터를 요청하도록 라우팅하고, 이를 통해 제공된 초기 접속 화면을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콘텐츠 요청 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ACK 메시지 및 윈도우 사이즈에 따라 수신되는 해당 콘텐츠를 패킷 사이즈를 조정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게이트웨이 장치와,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로부터 요청된 상기 텍스트 기반 또는 GUI 기반 초기 접속 데이터를 추출하여 전송하고, 이를 통해 요청된 콘텐츠를 추출하여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로 전송하는 초기 접속 서버
    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신 서비스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서비스 시스템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와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를 연결하여 초기 접속 및 콘텐츠의 패킷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하는 이동 통신망
    을 더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신 서비스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망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수신 및 송신하는 기지국을 제어하고, 이를 통해 전송되는 무선 신호를 전송하며, 수신되는 각종 패킷 데이터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BSC(Base Station Controller)와,
    상기 BSC로부터 전송되는 무선 신호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한 IP를 할당하여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로 접속시키며, 이를 통해 패킷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하는 PDSN(Packet Data Serving Node)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신 서비스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망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수신 및 송신하는 노드 B(Node-B)를 제어하고, 이를 통해 전송되는 무선 신호를 전송하며, 수신되는 각종 패킷 데이터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RNC(Radio Network Controller)와,
    상기 RNC로부터 전송되는 무선 신호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한 IP를 할당하여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로 접속시키며, 이를 통해 패킷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하는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신 서비스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ACK 메시지의 도착 시간에 따라 상기 텍스트 기반 초기 접속 데이터 또는 GUI 기반 초기 접속 데이터를 요청하도록 라우팅하고, 이에 따라 상기 초기 접속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해당 초기 접속 데이터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며, 이를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요청된 콘텐츠를 상기 초기 접속 서버로 요청 및 수신한 후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ACK 메시지 및 윈도우 사이즈에 따라 패킷 사이즈를 조정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패킷 핸들러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송수신되는 패킷 데이터를 저장하여 필요에 따라 상기 TCP/IP 패킷 핸들러로 제공하는 TCP/IP 데이터베이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신 서비스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접속 서버는,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상기 GUI 기반 초기 접속 데이터 를 추출하여 전송하는 제 1 초기 접속 서버와,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상기 텍스트 기반 초기 접속 데이터를 추출하여 전송하는 제 2 초기 접속 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신 서비스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접속 서버는,
    상기 GUI 기반 초기 접속 데이터 또는 텍스트 기반 초기 접속 데이터에 따른 콘텐츠를 저장해 두고, 필요에 따라 추출되어 상기 제 1 초기 접속 서버 또는 제 2 초기 접속 서버로 제공되는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신 서비스 시스템.
  8.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게이트웨이 장치로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ACK(ACKnowledge character) 메시지의 도착 시간에 따라 상기 텍스트 기반 초기 접속 데이터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 기반 초기 접속 데이터를 요청하도록 라우팅하고, 이에 따라 상기 초기 접속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해당 초기 접속 데이터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며, 이를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요청된 콘텐츠를 상기 초기 접속 서버로 요청 및 수 신한 후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ACK 메시지 및 윈도우 사이즈에 따라 패킷 사이즈를 조정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패킷 핸들러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송수신되는 패킷 데이터를 저장하여 필요에 따라 상기 TCP/IP 패킷 핸들러로 제공하는 TCP/IP 데이터베이스
    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게이트웨이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와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를 연결하여 초기 접속 및 콘텐츠의 패킷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하는 이동 통신망
    을 더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게이트웨이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망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수신 및 송신하는 기지국을 제어하고, 이를 통해 전송되는 무선 신호를 전송하며, 수신되는 각종 패킷 데이터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BSC(Base Station Controller)와,
    상기 BSC로부터 전송되는 무선 신호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한 IP를 할당하여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로 접속시키며, 이를 통해 패킷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하는 PDSN(Packet Data Serving Node)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게이트웨이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망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수신 및 송신하는 노드 B(Node-B)를 제어하고, 이를 통해 전송되는 무선 신호를 전송하며, 수신되는 각종 패킷 데이터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RNC(Radio Network Controller)와,
    상기 RNC로부터 전송되는 무선 신호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한 IP를 할당하여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로 접속시키며, 이를 통해 패킷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하는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게이트웨이 장치.
  12.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신 서비스 방법으로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의 초기 접속 요청에 따라 게이트웨이 장치에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세션 연결을 위한 ACK(ACKnowledge character) 메시지의 도착 시간을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ACK 메시지의 도착 시간이 기준 도착 시간보다 상대적으로 빠른 경우 GUI(Graphic User Interface) 기반 초기 접속 데이터를 초기 접속 서버로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ACK 메시지의 도착 시간이 기준 도착 시간보다 상대적으로 느린 경우 텍스트 기반 초기 접속 데이터를 상기 초기 접속 서버로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GUI 기반 초기 접속 데이터 또는 텍스트 기반 초기 접속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 및 이동 통신망을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의 특정 콘텐츠 요청 시 초기 접속 서버에서 해당 콘텐츠를 추출하여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전송된 해당 콘텐츠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ACK 메시지 및 윈도우 사이즈에 따라 패킷 사이즈를 조정하여 상기 이동 통신망을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신 서비스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는,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패킷 핸들러를 포함하여 상기 ACK 메시지의 도착 시간을 체크하고, 상기 ACK 메시지 및 윈도우 사이즈에 따라 패킷 사이즈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신 서비스 방법.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는, TCP/IP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송수신되는 패킷 데이터를 저장하고, 필요에 따라 추출하여 상기 TCP/IP 패킷 핸들러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신 서비스 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망은, BSC(Base Station Controller)와 PDSN(Packet Data Serving Node)를 포함하며, 이를 통해 기지국을 제어하여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한 IP를 할당하여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로 접속시키며, 이를 통해 패킷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신 서비스 방법.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망은, RNC(Radio Network Controller)와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을 포함하며, 이를 통해 노드 B(Node-B)를 제어하여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한 IP를 할당하여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로 접속시키며, 이를 통해 패킷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신 서비스 방법.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접속 서버는, 상기 텍스트 기반 초기 접속 데이터 또는 GUI 기반 초기 접속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로 전송하고, 이를 통해 요청되는 콘텐츠를 추출하여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신 서비스 방법.
KR1020070066484A 2007-07-03 2007-07-03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055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6484A KR100905559B1 (ko) 2007-07-03 2007-07-03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6484A KR100905559B1 (ko) 2007-07-03 2007-07-03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649A true KR20090003649A (ko) 2009-01-12
KR100905559B1 KR100905559B1 (ko) 2009-07-02

Family

ID=40486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6484A KR100905559B1 (ko) 2007-07-03 2007-07-03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555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69232A (zh) * 2017-11-09 2019-05-17 原相科技股份有限公司 无线蓝牙音频通信系统、方法以及收发器
CN109768806A (zh) * 2017-11-09 2019-05-17 原相科技股份有限公司 无线蓝牙装置、控制器以及使用于控制器的方法
US11012842B2 (en) 2017-11-09 2021-05-18 Audiowise Technology Inc. Wireless stereo bluetooth communication mechanism capable of effectively reducing number of audio packet retransmissio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8820A (ko) * 2001-07-20 2003-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를 이용한 호환 시스템
KR100970893B1 (ko) * 2003-09-19 2010-07-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의 과금선택정보 처리방법
KR20050099078A (ko) * 2004-04-08 2005-10-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 시 부호화 모드 선택 방법
KR100786656B1 (ko) * 2006-05-08 2007-12-2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Ua 필드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 초기접속 메뉴페이지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69232A (zh) * 2017-11-09 2019-05-17 原相科技股份有限公司 无线蓝牙音频通信系统、方法以及收发器
CN109768806A (zh) * 2017-11-09 2019-05-17 原相科技股份有限公司 无线蓝牙装置、控制器以及使用于控制器的方法
US10917774B2 (en) 2017-11-09 2021-02-09 Audiowise Technology Inc. Bluetooth audio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acknowledging reception of packets of audio streams at a slave and master devices
CN109768806B (zh) * 2017-11-09 2021-04-27 原睿科技股份有限公司 无线蓝牙装置、控制器以及使用于控制器的方法
US10999725B2 (en) 2017-11-09 2021-05-04 Audiowise Technology Inc. Wireless Bluetooth communication mechanism capable of effectively reducing number of audio packet retransmission
US11012842B2 (en) 2017-11-09 2021-05-18 Audiowise Technology Inc. Wireless stereo bluetooth communication mechanism capable of effectively reducing number of audio packet retransmission
CN109769232B (zh) * 2017-11-09 2022-08-16 原睿科技股份有限公司 无线蓝牙音频通信系统、方法以及收发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5559B1 (ko) 2009-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637123B (zh) 信息传递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1336532B (zh) 用于在数据传输中安装分组过滤器的方法和设备
JP4921363B2 (ja) ソフトウエアプログラムの同期方法
JP5081818B2 (ja) サービスセッション中に無線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のインターフェースを自動選択するマルチモードモバイル端末
KR10227495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망 접속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80027333A (ko) 이동 단말기들을 제어하는 소프트웨어 모듈들을 전송하기위한 네트워크 장비
CN101600224B (zh) 无线数据卡支持多个pdp上下文的实现方法及无线数据卡
EP2437569A1 (en) Method and terminal for data transmission
TW200524394A (en) Dynamically distributed portal-based application processing system
EP3062563A1 (en) Network access selection method and terminal
KR20110051351A (ko) 휴대 단말기의 원격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20100082106A (ko) 와이 파이 멀티미디어 기반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WO2018161281A1 (zh) 通信方法及装置
CN102638789B (zh) 建立点对点传输的方法及移动通信系统
US11516705B2 (en) Network performance improvement method and device
KR100905559B1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78349B1 (ko) 다중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스위칭 지원 단말기 및 방법
US20060187891A1 (en) Provision of services in a communication system
EP2819375A1 (en) Method and device for data access
KR101006484B1 (ko)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JP4241806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通信方法
CN113453287B (zh) 一种数据传输方法、装置及系统
US8825015B2 (en) Accessing web pages on communication paths with low bandwidth
KR100667350B1 (ko) 업링크 이벤트 발생에 따라 전송율을 변경하는 데이터 전송시스템 및 방법
KR100687492B1 (ko) 도움말 인덱스를 이용하여 이동단말기를 구동하는 방법 및이동단말기에서 도움말을 제공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